맨위로가기

천룡팔부 (소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룡팔부》는 김용의 무협 소설로, 북송 시대의 중국을 배경으로 다양한 국가와 민족 간의 복잡한 관계와 세 주인공의 이야기를 다룬다. 소설은 중화사상을 탈피하여 여러 민족을 평등하게 묘사하며, 불교적 사상을 바탕으로 무상함을 주제로 한다. 소봉, 단예, 허죽 세 주인공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며, 각기 다른 배경과 운명을 가진 인물들의 갈등과 성장을 그린다. 다양한 무공과 미디어 믹스를 통해 여러 형태로 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천룡팔부 (소설) - [서적]에 관한 문서
정보
작가진융
국가홍콩
언어중국어
출판사밍파오
출판일1963년 9월 3일
미디어 유형인쇄물
연대순
이전 작품월녀검
다음 작품사조영웅전

2. 역사적 배경

천룡팔부》는 1963년 9월 3일부터 홍콩의 『명보』와 싱가포르의 『남양상보(중국어판)』에 동시 연재되어 1966년 5월 27일까지 4년간 연재되었다. 1965년 5월부터 한 달여 동안 김용이 유럽으로 외유를 간 기간에는 친구였던 작가 예광이 대필을 하기도 했다. 이때, 작중에 등장하는 소녀 아자(阿紫)의 성격을 싫어한 예광이 김용에게 알리지 않고 그녀를 맹인으로 만든 일화는 유명하다. 초판에는 예광의 대필 부분이 그대로 수록되었지만, 후에 김용이 수정할 때 이 부분은 삭제되고 새롭게 쓰였다. 다만 아자의 실명 설정은 그대로 남았다.

이야기는 11세기 말 송대 중국 대륙을 배경으로, 부모 세대가 남긴 갈등에 운명이 휘둘리는 젊은이들의 삶을 그린 군상극이다.

전개는 복잡하게 얽혀 있으며, 등장인물은 선과 악으로 구분되지 않고 다면적으로 각자의 숙업을 짊어진 채 보이지 않는 인과의 실에 조종당한다. 초점도 다중적이며, 무대도 윈난에서 강남, 중원, 북막, 서역으로 눈부시게 옮겨간다.

제목은 불법을 지키는 신들인 천룡팔부중 (천, 용, 야차, 건달바, 아수라, 가루라, 긴나라, 마후라가)에서 유래되었으며, 이야기 자체도 불교적인 사상에 기초한다.

2. 1. 시대적 배경

이야기의 배경은 11세기 말 북송 시대로, 요나라, 서하, 대리국 등 여러 국가들이 공존하며 갈등하던 시기이다. 특히 거란족이 세운 요나라는 발해를 멸망시킨 국가로, 소설 속에서는 송나라와 대립하는 주요 세력으로 등장한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은 등장인물들의 갈등과 운명에 큰 영향을 미친다.

김용의 무협 소설 대부분은 역사의 전환기를 배경으로 설정하고 있는데, 천룡팔부의 무대는 11세기 말, 송대의 중국 대륙이다. 오대의 혼란을 수습하고 중원을 통일한 한족북송에 대해 북방에 거란족의 요나라, 북서쪽에 당항(탕구트족)족의 서하가 대립하는 등 다양한 국가와 민족이 뒤섞여 있던 시대였다.

이야기에 등장하는 네 명의 주인공도 각각 복잡한 국가·민족 관계를 안고 있다. 단예는 송나라 남서쪽에 위치한 소국 대리국의 왕자이고, 토번의 호국법왕인 구마지에게 납치되어 강남모용가로 데려가진다.모용가는 수백 년 전에 존재했던 선비족전연의 후예라는 설정이다.

모용가를 떠난 단예는 들른 술집에서 우연히 개방의 방주 교봉을 만나 의형제를 맺는다. 교봉은 거란족임에도 한족으로 길러졌으며, 중원 최대의 세력인 개방을 이끌고 주변 이민족과의 싸움에 몸을 던졌으며, 특히 북방의 거란족을 민족의 숙적으로 삼아 사투를 벌여왔다. 그러나 어느 날, 거란족이라는 출생의 비밀이 폭로되면서, 자신이 믿어왔던 가치관이 모두 붕괴되는 상황에 직면한다.

소림사의 승려인 허죽도 후에 서하의 공주와 맺어진다.

이처럼 송나라를 내부에서 전복시키려는 모용 일족, 남하하여 송나라 침공의 기회를 엿보는 거란족의 요나라, 그 배후에서 은밀히 실력을 키우는 여진족, 조국과 민족 방위의 사명감에 불타는 중원의 소림사나 개방 등 무림의 영웅들, 서북에서 호시탐탐 어부지리를 노리는 서하, 게다가 그 사이에 암약하는 토번, 그리고 남서쪽에서 칩거하며 자기 보전을 꾀하는 대리라는 착잡한 국가·민족 관계를 배경으로 이야기가 펼쳐진다.

2. 2. 민족 관계

김용의 무협 소설 대부분은 역사의 전환기를 배경으로 설정하고 있으며, 특히 《천룡팔부》는 가장 복잡한 민족 관계를 묘사하고 있다. 소설의 무대는 11세기 말 송대의 중국 대륙으로, 한족북송, 거란족의 요나라, 탕구트족의 서하 등 다양한 국가와 민족이 뒤섞여 대립하던 시대였다.

이야기에 등장하는 네 명의 주인공도 각각 복잡한 국가·민족 관계를 안고 있다. 대리국의 왕자 단예는 백족 계열이며, 선비족의 후예인 모용복은 송나라 전복을 꾀한다.

개방 방주 교봉은 한족으로 자랐으나, 거란족이라는 출생의 비밀이 밝혀지면서 민족 간의 갈등에 휘말린다. 그는 한족 중심의 송나라 무림에서 이단아로 몰리고, 송나라와 요나라의 갈등으로 인해 한족 무술가들과의 관계가 악화된다.[1] 결국 그는 거란족으로서의 정체성을 받아들이고 '소봉'으로 이름을 바꾼다.[2]

소봉은 여진족과의 만남을 통해 민족 문제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게 된다. 이는 중화 사상을 부정하고 여러 국가와 민족을 평등하게 묘사하는 김용 작품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소림사 승려 허죽도 서하 공주와 맺어지는 등, 소설은 다양한 민족 간의 관계를 다룬다.

3. 주요 등장인물


  • '''교봉(喬峰)''' (나중에 '''소봉'''): 개방의 방주였으나, 거란인이라는 출생의 비밀이 폭로되면서 개방에서 추방된다.
  • '''허죽'''(虛竹): 소림사의 승려였으나, 기묘한 사건으로 소요파의 장문으로 지명받게 된다.
  • '''단예'''(段譽): 대리국의 왕자였으나, 강호에서 여러 인물과 조우하며 무공을 익히게 된다.

  • '''왕어언'''(王語嫣): 모든 무예에 정통한 무림의 살아있는 백과사전과 같은 존재이다.
  • '''아주'''(阿朱): 소봉을 사모하게 되지만, 비운으로 이끌려 가게 된다.
  • '''아자'''(阿紫): 잔혹한 성격으로, 사람을 상처 입히는 것을 즐긴다.
  • '''목완청'''(木婉清): 남자에게 얼굴을 보이면 죽이거나 결혼한다는 맹세를 하고 다닌다.
  • '''종영'''(鍾靈): 단예에게 호감을 가졌지만, 단예와 특별한 인연이 있었다.

  • '''모용복'''(慕容復): 전연의 후예로, 왕조의 부흥에 집착하여 악행을 쌓아간다.

  • '''유탄지'''(游坦之): 소봉을 원수로 삼아 쫓지만, 아자에게 학대받으면서도 그녀를 끝까지 사랑한다.

  • '''단정순'''(段正淳): 대리국의 황제의 동생이자 단예의 아버지로, 여러 애인을 둔 바람둥이이다.
  • '''도백봉'''(刀白鳳): 단정순의 아내이자, 단예의 어머니이다.
  • '''단연경'''(段延慶): "사대악인"의 우두머리로, 뛰어난 무술의 달인이다.

  • '''엽이낭'''(葉二娘): "무악부작". 타인의 아기를 빼앗아 가지고 놀고, 마지막에는 죽여버리는 영아 살해범으로 두려움을 받고 있다.
  • '''남해악신'''(南海鱷神): "흉신악살". 단예에게 제자 입문을 강요하지만, 반대로 제자가 된다.
  • '''운중학'''(雲中鶴): "궁흉극악". 경공에 능한 호색한이다.

  • '''구마지'''(鳩摩智): 토번의 호국 법왕. 지혜와 무술에 능하며, 단예를 유괴하기도 했다.
  • '''무애자'''(無崖子): 소요파의 장문. 진롱(바둑의 일종)을 풀 수 있는 인물을 찾고 있었다.
  • '''천산동로'''(天山童姥): 무애자의 사형이자 천산산맥 표묘봉(縹緲峰) 영취궁의 주인.
  • '''이추수'''(李秋水): 무애자의 사매이자 서하의 황족.

  • '''현자'''(玄慈): 소림사의 방장. 중원 무림의 영수와 같은 존재이다.
  • '''지광'''(智光): 천태산 지관선사(止觀禅寺)의 고승. 소봉의 출생의 비밀을 알고 있다.
  • '''서장로'''(徐長老): 은퇴한 개방의 대장로.
  • '''백세경'''(白世鏡): 개방의 집법 장로.
  • '''전관청'''(全冠清): 개방 대지분타(大智分舵)의 타주(舵主). "십방수재"라 불리며, 소봉 추방을 꾀한다.
  • '''마부인'''(馬夫人): 본명은 강민(康敏). 개방 부방주 마대원(馬大元)의 미망인. 단정순과 인연이 있다.
  • '''정춘추'''(丁春秋): "성숙노괴(星宿老怪)"라 불리는 악인이자 무애자의 제자.

  • '''야율홍기'''(耶律洪基): 의 황제. 소봉과 의형제를 맺는다.
  • '''완안아골타'''(阿骨打): 여진족의 용사. 훗날 금나라를 건국하는 금 태조가 된다.


주요 등장인물 관계도
정춘추 계
정춘추이추수무애자
현자 계
현자섭이낭서하 숭종모용박이청나단정순도백봉단연경진홍면감보보조안구완성죽소원산
허죽 계
허죽이청노모용복왕어언효뢰단예목완청종영아자아주소봉


3. 1. 세 주인공


  • '''단예'''(단 요): 대리국의 왕자. 무술을 싫어하지만 우연한 기회로 소요파의 절기 "북명신공"과 "릉파미보", 가문의 "육맥신검" 등 여러 무공을 익히게 된다.[1] 왕어언을 짝사랑한다.
  • '''교봉(교 펑) (나중에 소봉(소 펑))''': 개방의 방주. 뛰어난 무술 실력과 강룡십팔장(降龍十八掌)을 사용한다. 호방한 성격을 지녔지만,[1] 거란족이라는 출생의 비밀이 밝혀지면서 비극적인 운명을 맞는다. 아주에게 호감을 느낀다.[1]
  • '''허죽'''(쉬 주): 소림사의 승려. 소요파의 무공을 이어받고[1] 서하의 공주와 인연을 맺는다.

3. 2. 주요 여성 등장인물


  • '''왕어언'''(王語嫣): 모용복의 사촌 여동생으로, 만타산장의 주인 왕부인의 딸이다. 모든 무예에 정통하여 무림의 살아있는 백과사전으로 불리며, 상대방의 기술을 보고 그 유파를 알아맞힐 수 있다. 단예가 무량산 동굴에서 발견한 옥상과 같은 미모를 지녔다. 사촌 오빠인 모용복을 짝사랑했으나, 결국 그 마음은 이루어지지 못했다.[5]
  • '''아주'''(阿朱): 모용가를 섬기는 시녀로, 옌쯔우(燕子坞) 청향수사(팅샹수이셰)에 산다. 변장술의 달인이다. 소림사에 잠입했다가 중상을 입은 것을 소봉(교봉)에게 구원받은 후 그를 사모하게 된다. 소봉의 출생 비밀이 밝혀져 상심할 때 그를 한결같이 지지하지만, 비극적인 운명을 맞이한다.
  • '''아자'''(阿紫): '성숙노괴' 정춘추(丁春秋)의 제자이다. 독을 잘 다루고 언변이 뛰어나다. 정춘추에게서 신목왕정을 훔쳐 성숙해(중국어판)에서 도망쳤다. 아름다운 외모를 지녔지만, 잔혹한 성격으로 사람을 해치는 것을 즐긴다. 유탄지에게 쇠 가면을 씌우는 등 학대했다. 유탄지의 한결같은 마음을 받지만, 이용할 뿐이었다. 소봉(교봉)에게 특별한 감정을 품고 있으며, 아주와 깊은 관계를 가진 인물이다.
  • '''목완청'''(木婉清): 검은 옷을 입고 얼굴을 가린 소녀. 남자에게 얼굴을 보이면 죽이거나 결혼해야 한다는 맹세를 했다. 단예에게 얼굴을 보인 후 그와 결혼을 선언했지만, 인연은 닿지 않았다.
  • '''종영'''(鍾靈): 무량산에서 단예가 만난 소녀. '섬전초'라는 맹독을 가진 족제(일종의 동물)를 기르고 있다. 단예에게 호감을 가졌지만, 그녀 또한 단예와 특별한 인연이 있었다.

3. 3. 모용 가문

모용복은 고소(현재의 쑤저우시) 연자오 참합장의 주인이다. 옛 전연의 후예로, 가문의 독자적인 무술을 익힌 문무를 겸비하고 용모가 수려한 귀공자이다. 무림에서는 소봉(교봉)과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의 실력자이지만, 일족의 비원인 왕조 부흥에 집착하여 악행을 저지른다. 질투심이 강하고 앙심을 품는 성격이며, 자존심이 높고 오만하다. 오랫동안 왕어언의 호의를 알면서도, 일족의 비원을 위해 그녀를 버리고 자살 미수에 몰아넣을 정도로 냉혹하다.[4]

모용박은 모용복의 아버지이다.[4]

3. 4. 대리 단씨 가문

대리국의 진남왕(鎮南王) 겸 보국대장군(保国大将军) 단정순은 정실 부인 도백봉 외에 많은 애인을 둔 바람둥이였다. 그는 각지에서 여러 여인들과 염문을 뿌렸지만, 각각의 애인에게 진정한 애정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그의 변덕스러운 성격은 많은 생명을 잃게 만드는 비극을 초래하기도 했다.

도백봉은 대리의 진남왕비(鎮南王妃)이자 단정순의 아내이며, 단예의 어머니이다. 남편 단정순과 별거하며 도사가 되었고, "옥허산인"이라 자칭한다.

단예는 단정순과 도백봉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다. 그는 용모가 수려하고 금기서화(琴棋书画)를 사랑했으며, 다툼을 싫어하는 평화주의자였다. 대리 단씨 가문에 전해지는 절기 "일양지"에는 흥미를 보이지 않았으나, 강호에서 여러 사건과 인물을 만나면서 소요파의 절기 "북명신공"과 "릉파미보", 가전의 "육맥신검"까지 습득하게 된다. 아버지처럼 여색을 밝히는 성격이었지만, 어떤 소녀와 사랑에 빠지면 윗세대의 인연이 발각되어 맺어지지 못하는 불운을 겪기도 했다.

"악관만영"이라는 별호를 가진 단연경은 대리의 전 황태자로, 황위를 둘러싸고 단씨 가문과 대립하는 인물이다. "사대악인"의 우두머리이자 뛰어난 무술 실력을 지녔다. 과거에 큰 부상을 입어 보행과 대화에 장애가 있었지만, 복화술로 소리를 내는 특기를 지녔으며, 두 개의 철장을 무기로 사용했다.

3. 5. 그 외 주요 인물


  • '''유탄지''' - 취현장(聚贤庄)의 "유씨쌍웅(游氏双雄)" 중 유기(游骥)의 아들이자 유구(游驹)의 조카이다. 소봉을 원수로 삼아 쫓지만, 아자에게 학대받으면서도 그녀를 끝까지 사랑했다.
  • '''단정순''' - 대리국 황제의 동생이자 단예의 아버지이다. 여러 애인을 둔 바람둥이지만, 각각의 애인에게 진정한 애정을 가졌다.
  • '''도백봉''' - 대리의 진남왕비(镇南王妃)이자 단정순의 아내이며, 단예의 어머니이다. 남편과 별거하며 도사가 되었다.
  • '''단연경''' - "악관만영(惡貫滿盈)"으로 불리는 대리의 전 황태자. "사대악인"의 우두머리로, 뛰어난 무술 실력을 가졌다.
  • '''엽이낭''' - "무악부작(無惡不作)"으로 불리는 "사대악인" 중 한 명. 타인의 아기를 빼앗아 가지고 놀다 죽이는 영아 살해범으로, 허죽과 인연이 있다.
  • '''남해악신''' - "흉신악살(兇神惡煞)"로 불리는 "사대악인" 중 한 명. 단예에게 제자 입문을 강요하다 오히려 제자가 된다.
  • '''운중학''' - "궁흉극악(窮兇極惡)"으로 불리는 "사대악인"의 막내. 경공에 능한 호색한이다.
  • '''구마지''' - 토번의 호국 법왕. 지혜와 무술에 능하며, 단예를 유괴하기도 했다.
  • '''무애자''' - 소요파의 장문. 진롱(바둑의 일종)을 풀 수 있는 인물을 찾고 있었다.
  • '''천산동로''' - 무애자의 사형이자 천산산맥 표묘봉(縹緲峰) 영취궁의 주인. 36동 72도를 생사부로 지배하고 있다.
  • '''이추수''' - 무애자의 사매이자 서하의 황족. 천산동로에게 얼굴을 심하게 다친 것을 원망하고 있다.
  • '''현자''' - 소림사의 방장. 중원 무림의 영수와 같은 존재이다.
  • '''지광''' - 천태산 지관선사(止觀禅寺)의 고승. 소봉의 출생의 비밀을 알고 있다.
  • '''서장로''' - 은퇴한 개방의 대장로.
  • '''백세경''' - 개방의 집법 장로.
  • '''전관청''' - 개방 대지분타(大智分舵)의 타주(舵主). "십방수재"라 불리며, 소봉 추방을 꾀한다.
  • '''마부인''' - 본명은 강민(康敏). 개방 부방주 마대원(馬大元)의 미망인. 단정순과 인연이 있다.
  • '''정춘추''' - "성숙노괴(星宿老怪)"라 불리는 악인이자 무애자의 제자. "화공대법(化功大法)"의 사용자이며, 독을 다루는 데 능하다.
  • '''야율홍기''' - 의 황제. 소봉과 의형제를 맺고 남정을 꾀한다.
  • '''완안아골타''' - 여진족의 용사. 훗날 금나라를 건국하는 금 태조가 된다.

4. 줄거리

당나라 멸망 후 분열되었던 중국을 통일하였으나, 북방의 요나라(거란족)와 서북의 서하(당항족)에 의해 끊임없이 국경의 위협을 받았다.

이야기는 세 명의 주인공 차오펑, 두안위, 쉬주를 중심으로 전개되며, 이들은 41장에서 의형제를 맺는다. 이야기는 두안위의 시점에서 다른 주인공들의 시점으로, 그리고 다시 돌아오는 방식으로 전환되며 복잡하게 얽혀있다.

운남대리의 왕자 단예는 학문을 좋아하고 싸움을 싫어하는 평화주의자였으나, 강호의 분쟁에 휘말려 여러 사건과 인물들과 얽히면서 우연히 소요파의 절기를 익히고, 가문의 "육맥신검"까지 습득하게 된다.[1]

강호 최대 세력인 개방의 방주 교봉(소봉)은 무림의 총아였지만, 거란인이라는 출생의 비밀이 밝혀지면서 모든 것을 잃고 민족 간의 증오의 소용돌이 속에 던져진다.[1]

소림사의 승려였던 허죽은 불교에 깊이 귀의하고 있었지만, 여러 기이한 사건에 휘말려 소요파의 장문으로 지명되고, 한 소녀를 구한 일로 인해 승려로서의 삶에서 벗어나게 된다.[1]

대연국의 후손인 모용복은 왕조 재건이라는 비원에 사로잡혀 있었다.

의형제를 맺은 단예, 교봉(소봉), 허죽은 함께 강의 거친 파도에 맞서 나아간다. 한편, 모용복은 악행을 거듭하면서까지 꿈을 쫓는다.

4. 1. 단예의 이야기

대리국의 왕자 단예는 학문을 좋아하고 싸움을 싫어하는 평화주의자였다. 그는 불교 교리에 대한 존경심과 유혈 사태에 대한 혐오감으로 인해 무술을 연마하는 가문의 전통을 거부한다. 아버지 단정춘이 그에게 무술을 배우도록 강요하자 그는 집을 뛰쳐나온다.[1]

가출한 단예는 강호의 분쟁에 휘말려 여러 사건과 인물들과 얽히면서 우연히 소요파의 절기를 익히고, 가문의 "육맥신검"까지 습득하게 된다. 또한, 그는 우연히 독이 있는 두꺼비인 주하를 섭취한 후 독에 대한 면역력을 얻게 된다.[1]

모험을 하는 동안 그는 종령, 목완청, 왕어언, 아주, 아자 등 다섯 명의 젊은 여인들을 만나는데, 처음 세 명과는 연애 감정을 느끼게 된다. 그러나 단정춘의 과거 행적 때문에 이들이 모두 이복 여동생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1] 이 여인들 중에서 그는 우연히 발견한 요정 같은 여인의 조각상과 닮은 왕어언에게 극도로 집착한다. 그는 끊임없이 그녀의 마음을 얻으려 하지만, 왕어언은 사촌인 모용복에게 반해 그의 사랑을 받아들이지 않는다.[1]

소설 후반부에서 단예는 자신이 사실 단정춘의 친아들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어, 세 명의 여인 모두와 결혼할 수 있게 된다.[1] 원래 결말에서 그의 사랑은 왕어언이 마침내 그가 진정으로 그녀를 사랑한다는 것을 깨닫고 그와 결혼하기로 결정하면서 행복하게 끝난다. 그러나 책이 출판된 후 많은 독자들은 이 결말이 목완청을 이야기의 조연으로 전락시켰다고 싫어했다. 소설의 최신 개정판에서 단예와 왕어언의 로맨스는 일련의 사건으로 인해 얼룩지게 되고 결국 그들은 헤어지게 되며 단예는 목완청과 종령과 함께하게 된다.[1]

4. 2. 소봉(교봉)의 이야기

거지 방파의 방주였던 소봉은 뛰어난 무술 실력과 인품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존경받았다. 하지만, 그가 거란족이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모든 것이 변하게 된다.[1] 그는 양부모와 동료 무술가들을 살해했다는 억울한 누명을 쓰고, 한족이 지배하는 송나라의 ''무림''에서 이단아로 몰리게 된다. 송나라는 거란족이 이끄는 요나라와 전쟁 중이었기 때문에, 소봉과 한족 무술가들의 관계는 더욱 악화되었다.[1]

소봉은 자신의 출생의 비밀을 확인하고 살인 사건을 조사하기 위해 길을 떠난다. 이 여정에는 그를 사랑하고 곁을 지켜주는 아주가 동행한다.[2] 먼 여행 끝에 소봉은 자신이 거란족임을 확인하고, 이름을 샤오 펑으로 바꾼다. 그는 살인과 부모의 죽음에 책임이 있다고 믿는 "영도 형님"을 추적하지만, 돤정춘을 오해하고 그에게 싸움을 신청한다. 이 사건은 아주가 돤정춘의 딸임을 알게 되면서 비극으로 이어진다. 그녀는 아버지로 변장하고 샤오 펑에게 죽임을 당한다.[2] 아주는 죽기 전 샤오 펑에게 자신이 돤정춘의 딸임을 밝히고, 자신의 희생으로 그의 복수심이 충족되기를 바란다고 말한다.[2]

큰 슬픔에 빠진 샤오 펑은 아주와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그녀의 여동생 아지를 데리고 송나라를 떠난다. 그는 아지에게 마음을 주지 못하고 오직 아주만을 사랑했다.[2] 그는 여진족 부족들 사이에 정착하고, 우연히 요나라 황제 예율홍기를 만나 의형제를 맺는다. 샤오 펑은 요나라 왕자의 반란을 진압하는 것을 돕고, 그 대가로 왕자의 칭호와 영지를 받는다.[2]

이후 샤오 펑은 아지를 찾고 소림사에서 열리는 ''무림'' 모임에 참석하기 위해 송나라로 돌아온다. 그는 돤위, 허죽과 힘을 합쳐 적을 물리치고, 소림사에서 모든 살인 사건의 진실이 밝혀지면서 자신의 무죄를 증명하고 ''무림''과 화해한다.[2]

소설 후반부, 예율홍기는 송나라 침략 계획을 세우고 샤오 펑에게 도움을 요청하지만, 샤오 펑은 이를 거절하고 유혈 사태를 막으려 한다. 요나라 황제는 샤오 펑을 감옥에 가두고 송나라를 공격한다.[2] 아지는 요나라에서 탈출하여 돤위, 허죽 등에게 도움을 요청하고, 샤오 펑의 의로움에 감명받은 그들은 ''무림''의 무술가들을 모아 샤오 펑을 구출한다. 그러나 이들은 안문관에서 요나라 군대에 갇히게 되고, 샤오 펑은 예율홍기를 인질로 잡아 송나라와 요나라 사이에 전쟁이 없을 것이라는 약속을 받아낸 후 자살한다.[2]

4. 3. 허죽의 이야기

소림사의 승려였던 허죽은 착하고 순종적인 성격을 지녔다. 불교 계율을 굳게 믿고 따랐으며, 생명이 위험한 상황에서도 계율을 어기지 않으려 했다.[1] 우연한 기회에 바둑 기보를 깨뜨려 소요파 장문인 무애자의 능력과 지위를 물려받게 된다.[1] 이후 천산동로에게 무술을 배우고 령구궁의 지배자가 된다.[1]

갑작스럽게 늘어난 책임감과 무술 실력에 압도된 허죽은 이전의 수도 생활로 돌아가고 싶어했다. 그러나 여러 고난과 위험에서 벗어날 수 없게 되자, 결국 자신의 운명을 받아들인다.[1] 그는 소림사 주지 현자와 "사대악인" 중 한 명인 엽이낭 사이에서 태어난 사생아였으며, 부모와의 재회는 그의 생애 처음이자 마지막이었다.[1] 이후, 우연히 서하 은천공주와 인연을 맺어 서하의 부마가 되고, 공주와 행복하게 결혼한다.[1]

4. 4. 세 주인공의 만남

대리국의 왕자 단예와 개방의 방주 교봉(소봉), 소림사의 승려 허죽은 우연한 만남으로 의기투합하여 의형제를 맺는다. 이들은 함께 강호의 여러 사건을 겪으며 깊은 우정을 쌓는다.

5. 주제 및 특징

천룡팔부》는 불교 사상과 다양한 무공이 어우러져 주제를 형성하고, 등장인물들의 개성과 운명을 빚어내는 특징을 지닌다.

소설 제목은 불법을 수호하는 여덟 신인 천룡팔부에서 유래했다. 작가 김용은 소설 서두에서 천룡팔부가 인간이 아니면서도 인간과 같은 희로애락을 느끼는 존재라는 점을 들어, 이들의 이름을 빌려 이야기 속 인물들을 상징하고자 했다고 밝혔다.[1]

작품 전반에는 무술, 민족, 남녀 간의 사랑조차 시간의 흐름에 따라 소멸한다는 무상함과 체념이 깃들어 있으며, 이는 불교 사상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김용은 불교 철학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불교 용어를 소설 제목으로 사용했다.[1]

5. 1. 불교적 사상

제목은 불법을 지키는 신들인 천룡팔부 (천, 용, 야차, 건달바, 아수라, 가루라, 긴나라, 마후라가)에서 유래했으며, 이야기 자체도 불교적인 사상에 기초하여 구축되었다. 김용은 소설 서두의 해제에서 이들 각각이 기이한 개성과 신통력을 가지고 인간이 아닌 존재이면서도, 인간과 마찬가지로 속세의 희로애락을 맛보는 신들에 대해, 이야기 속에서는 그 자체는 등장하지 않지만, 그 이름을 빌려 현세의 사람들을 상징해 보았다고 했다.[1]

실제 이야기에서도 그 배경에 깔려 있는 것은 무술, 민족, 남녀 간의 정애조차도 시간이 흐름에 따라 모두 소멸해 버린다는 일종의 체념, 무상감이며, 이것이 불교 사상임은 분명하다. 김용은 불교 철학에도 깊은 이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불교 용어를 소설 제목으로 한 것도 그 드러남으로 여겨진다.[1]

5. 2. 다양한 무공

소설 《천룡팔부》에는 다양한 무공이 등장하며, 이들은 등장인물들의 개성과 운명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또한, 다른 김용 소설에 등장하는 무공과의 연관성도 나타난다.

  • 육맥신검(六脈神劍): 대리국의 무공 중 가장 강력하다고 여겨지는 전설적인 기술이다. 손가락에서 무형의 검기를 뿜어내어 상대를 쓰러뜨린다. 단예와 같이 완벽하게 습득한 사람은 백 년 만에 나타났다고 한다.
  • 일양지(一陽指): 대리 단씨 가문의 특기이다. 사조영웅전의 남제 일등대사가 사용하는 무공과 같다. 대리 왕가의 남자들은 모두 습득해야 하므로, 단연경도 이 기술을 사용한다.
  • 칠십이절기(七十二絶技): 소림사가 가진 72가지 필살기를 통칭한다. 소림사의 창시자로 여겨지는 달마대사를 제외하고 모두 터득한 사람은 없다.
  • 강룡십팔장(降龍十八掌): 개방 방주에게 계승되는 무공으로, 사조영웅전에 등장하는 기술과 같다.
  • 타구봉법(打狗棒法): 개방 방주에게 계승되는 봉술이다. 사조영웅전에 등장하는 기술과 같다.
  • 능파미보(凌波微步): 선녀의 상에서 발견된 비급으로, 단예가 터득한 최고의 경공이다. 그가 처음으로 익힌 무공이다.
  • 북명신공(北冥神功): 선녀의 상에서 발견된 비급으로, 단예가 터득했다. 상대의 내력을 흡수하여 자신의 것으로 만든다. 이로 인해 단예는 엄청난 내공의 소유자가 된다.
  • 화공대법(化功大法): 북명신공과 자주 혼동되지만, 맹독으로 상대의 내력을 없앨 뿐, 자신의 내력은 늘어나지 않는다. 정춘추가 사용하는 사악한 기술로 무림에서 두려움의 대상이다.
  • 생사부(生死符): 무형, 무음, 무색, 무향의 암기이다. 맞으면 죽음보다 끔찍한 고통을 맛본다. 삼십육동 칠십이도는 이것을 풀 기술이 없어 천산동모에게 지배당했다. 후에 소요파를 이은 허죽이 습득한다.

6. 미디어 믹스

김용의 무협 소설 천룡팔부는 다양한 미디어로 제작되었다.


  • 1977년, 1982년, 1994년, 2023년에 영화로 제작되었다.
  • 1982년, 1997년, 2003년, 2013년, 2021년에 드라마로 제작되었다. 특히, 2003년 드라마는 한국에서도 큰 인기를 얻었다.
  • 황옥랑은 천룡팔부를 만화로 제작했다.
  • 2002년에는 싱글 플레이어 RPG 게임 《天龙八部중국어》가 출시되었다.
  • 2007년에는 창유와 소후가 개발한 MMORPG 《드래곤 오스(중국명 TLBB중국어)》가 출시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다.[4]
  • 2012년에는 후속작 《天龙八部:神兵海域중국어》(천룡팔부: 신병해역)이 출시되었다.[5]
  • 《天龙八部온라인중국어》는 대만판 게임이다.

6. 1. 영화

연도제목제작주요 출연진
1977천룡팔부쇼 브라더스 (홍콩)이수현, 恬妮|톈니중국어, 람잔기, 웨이 왕
1982천룡팔부홍콩초원, 탕진업, 황일화, 진옥련, 람잔기, 오진우
1994천룡팔부: 천룡신녀홍콩임청하, 공리, 장민, 임지령
2023천룡팔부: 사크라홍콩/중국 본토견자단, 진옥기, 류시아


6. 2. 드라마

연도제목제작주요 출연진
1982《천룡팔부》(1982년 드라마)TVB (홍콩)량차오웨이, 탕전업, 황일화, 천옥련, 왕행, 천복생, 양판판
1997《천룡팔부》(1997년 드라마)TVB (홍콩)황일화, 천하오민, 판소황, 이약동, 류옥취, 류금령, 조학이, 하미전, 장국강, 맥장청, 황기영
2003《천룡팔부》(2003년 드라마)자문 영화 & TV 제작 유한공사 (중국 본토)후쥔, 임지령, 고호, 유역비, 류타오, 천하오
2013《천룡팔부》(2013년 드라마)저장 화책 영화 & TV 제작 유한공사 (중국 본토)종한량, 김기범, 한동, 장몽, 가청, 종봉연, 모효동, 조원원, 류옥취
2021《천룡팔부》(2021년 드라마)텐센트 비디오양우녕, 백서, 장천양, 문영산



2003년 드라마는 한국에서도 큰 인기를 얻었다.

6. 3. 게임


  • 2002년에는 싱글 플레이어 RPG 게임 《天龙八部중국어》가 출시되었다. 플레이어는 원작과 관련 없는 주인공(기본 이름: 뢰전) 역할을 맡아 소설 속 등장인물들을 만나며, 플레이어의 선택과 행동에 따라 스토리가 달라진다.
  • 2007년에는 창유와 소후가 개발한 MMORPG 《드래곤 오스(중국명 TLBB중국어)》가 출시되었다.[4] 이 게임은 최대 동시 접속자 수가 50만 명을 넘는 대히트를 기록하며, 포털 사이트 대기업 "소후"의 매출을 크게 늘렸다.
  • 2012년 10월 25일에는 창유와 소후가 개발한 MMORPG 《天龙八部:神兵海域중국어》(천룡팔부: 신병해역)이 중국에서 출시되었다. 후거와 유시시가 홍보 모델로 참여하여, 각각 단예와 왕어언 역으로 게임 홍보 영상 및 기타 자료에 출연했다.[5]
  • 《天龙八部온라인중국어》는 유희신간(GameFlier)에서 서비스하는 대만판 게임으로, 하군상이 이미지 캐릭터를 맡았다.

6. 4. 만화

황옥랑이 천룡팔부를 만화로 제작했다.

7. 한국적 관점

天龍八部|천룡팔부중국어는 무협 소설이지만, 소설의 배경이 한국의 고려 시대와 비슷한 시기이므로 한국 독자들에게도 흥미로운 작품이다.

7. 1. 고려 시대와의 비교

소설의 배경인 북송 시대는 한국사에서 고려 시대에 해당한다. 당시 고려는 송나라와 문화적, 외교적으로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송나라의 선진 문물을 받아들이기도 했다. 거란(요나라)은 고려를 침략한 적이 있으며( 여요전쟁 ), 이는 소설 속 소봉의 갈등과도 연결된다.

참조

[1] 서적 Wuxia Xiaoshuo Xiaoyao Tan Huizhi Publishing Company (匯智出版有限公司)
[2] 웹사이트 Preface of the novel https://web.archive.[...]
[3] 서적 Handbook of Chinese Popular Culture Greenwood Press
[4] 웹사이트 Dragon Oath http://do.us.changyo[...] 2010-11-04
[5] 웹사이트 《天龙八部》10月25日 “神兵海域”深海公测! http://tl.changyou.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