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모용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용씨는 선비족의 추장 모용에서 유래된 성씨로, 156년부터 181년까지 존재했던 탄식괴 치세에 중부 지역의 추장 귀족으로 기록되었다. 238년 사마의의 요동 정벌을 지원하며 요서 지역에 정착했으며, 이후 모용외는 294년에 랴오닝성 차오양 시 근처에 새로운 수도를 건설했다. 모용선비의 언어는 몽골어족으로 추정되며, 일부는 광둥성에 거주하며 선비 문화나 정체성을 실천하지 않는다고 전해진다. 유전학 연구에 따르면, 모용선비 묘지에서 발굴된 개인들은 동아시아인에게 흔한 모계 하플로그룹을 보였다. 주요 인물로는 모용외, 모용황, 모용수 등이 있으며, 현대에도 후손들이 존재한다.

2. 기원

1982년 랴오닝성 차오양 시에서 발굴된 선비 무덤에서 나온 무궁 기병의 그림


모용선비의 기원은 선비족의 추장 모용에서 비롯된다.[5] 모용씨 일족은 광둥성의 한 마을에 살고 있는데,[6][7] 자오칭은 그들이 북쪽에서 남쪽으로 이주한 이후 살았던 지역이다.[8][9] 이들은 선비족의 문화나 정체성을 지키지 않으며,[10][11] 북쪽에서 남쪽으로의 이동은 족보에 기록되어 있다.[12][13] 이들은 모용보의 후손으로[14] 명나라 건국 후 남중국으로 이주했다.[15][16]

2. 1. 초기 역사

추장 모용은 모용 부족의 첫 번째 조상으로, 부족은 그를 따라 이름이 붙여졌다. 그는 선비족 탄식괴(재위 156–181) 통치 하에 중부 지역의 '다런'(추장 귀족)이었다. ''삼국지''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5]

선비의 탄식괴는 영토를 동부, 중부, 서부의 세 구역으로 나누었다. 유북평에서 요하에 이르기까지, 부여와 모를 동쪽으로 연결하는 지역이 동부였다. 20개 이상의 현이 있었다. 이 지역의 다런(추장)은 미가, 궐기, 술리, 회두라고 불렸다. 유북평에서 상구 서쪽에 이르기까지, 그 지역은 중부였다. 10개 이상의 현이 있었다. 이 지역의 다런은 개죄, 궐거, '''모용''' 등이라고 불렸다. 상구에서 둔황에 이르기까지, 서쪽의 오손을 연결하는 지역은 서부였다. 20개 이상의 현이 있었다. 이 지역의 다런(추장)은 지간 락락, 일려 퇴연, 연리유 등이라고 불렸다. 이 추장들은 모두 탄식괴에게 종속되었다.중국어

모용이 속한 탄식괴의 선비 국가는 그의 뒤를 이은 부도건(187–234)이 몰락한 후 분열되었다. 부도건은 그의 형이자 무능한 탄식괴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헬리안(재위 181–185)의 조카였다. 그 결과 모용은 분열되어 조위 왕조에 복속하여 요서 지역에 정착했다. 이 당시 모용의 지배자는 추장 모용의 후손인 모용막호발(莫護跋)이었다. 모용막호발은 238년에 사마의의 요동 정벌을 적극 지원하며 모용의 지원군을 이끌었다. 막호발은 246년에 그의 아들 목연(木延)에 의해 계승되었으며, 그는 같은 해 고구려에 대한 조위의 공격을 지원했다.

그러나 목연의 아들 섭귀(涉歸)는 서진에 대항하여 싸웠고, 요하 상류 지역으로 밀려났다. 섭귀는 283년에 사망했고, 그의 동생 산(刪)이 지도권을 찬탈했다. 모용산은 285년에 살해되었고, 백성들은 섭귀의 아들 모용외(廆, 268년 출생, 재위 285–333)를 추장으로 선포했다. 모용외는 그가 모용 부족의 추장이 된 해에 부여를 공격하여 만 명의 포로를 잡았다. 그는 기원전 108년 한 무제의 고조선 정복 이후 한족 정착민들이 점령한 286년 요하 유역의 농업 지역을 공격했다.

모용외는 294년에 오늘날 랴오닝성 차오양 시 근처에 새로운 수도를 건설했다. 284년에 모용외와 그의 형인 토욕혼 사이에 내부 불화가 발생했는데, 민간 설화에서는 말 경주 때문에 발생했다고 설명했지만, 실제로는 칸의 지위에 대한 분쟁 때문에 발생했다. 분쟁의 결과로, 모용토욕혼은 그의 백성을 이끌고 오르도스 루프를 거쳐 칭하이호까지 장기간의 서쪽 여정을 떠났다.

2. 2. 모용외의 통치

모용외는 285년에 모용부의 추장이 된 후, 부여를 공격하여 만 명의 포로를 잡았다.[5] 기원전 108년 한 무제의 고조선 정복 이후 한족 정착민들이 점령한 286년 요하 유역의 농업 지역도 공격했다.[5]

294년, 모용외는 오늘날 랴오닝성 차오양 시 근처에 새로운 수도를 건설했다.[5] 284년에는 모용외와 그의 형인 토욕혼 사이에 내부 불화가 발생했는데, 민간 설화에서는 말 경주 때문에 발생했다고 설명했지만, 실제로는 칸의 지위에 대한 분쟁 때문이었다.[5] 이 분쟁의 결과로, 토욕혼은 백성을 이끌고 오르도스 루프를 거쳐 칭하이호까지 장기간 서쪽으로 이동했다.[5]

3. 언어

모용선비의 언어는 몽골어족으로 추정된다. 시무네크(2017)는 모용씨의 언어를 토욕혼어 또는 그와 밀접하게 관련된 언어 변종으로 식별한다.[17] 둔황 문서 P. 1283(티베트어)에는 거란과 모용의 언어가 서로 소통 가능했다는 기록이 있다.[18]

카간이라는 칭호는 모용토욕혼(모용섭귀의 서자)이 동생 모용회로부터 도망치기 위해 요동에서 오르도스 사막 지역으로 이동하기 시작한 283년에서 289년 사이에 처음 등장한다. 모용의 장군 중 한 명인 이날루가 그를 可寒|커한중국어(나중에는 可汗|커한중국어)이라고 불렀다.[19]

선비가(先卑歌)는 285년에 모용회가 작곡한 선비족의 노래이다. 이 노래는 중국어 번역본으로 보존되어 있으며, 선비 족장이 동생 토욕혼을 서쪽으로 보낸 것에 대한 후회를 담고 있다. 원본 중국어 번역에서는 선비어로 형을 뜻하는 단어(A-kan)를 제목에 그대로 남겼는데, 이는 몽골어로 형을 뜻하는 단어(Aqan 또는 Aghan)와 동일하다. 이는 이 노래를 몽골어의 가장 초창기 증거 중 하나로 만든다.

4. 유전학

2007년 11월 ''미국 인류학 저널''에 발표된 유전학 연구에 따르면, 중국 랴오닝성 라마동의 약 300년경 모용선비 묘지에서 발굴된 17명의 개인에게서 모계 하플로그룹 B, C, D, F, G2a, Z, M, J1b1이 발견되었다. 이 하플로그룹은 동아시아인에게 흔하며, 시베리아인에게는 덜 흔하다. 모용선비의 모계 하플로그룹은 흉노선비의 모계 하플로그룹과는 현저히 달랐다.

5. 주요 인물


  • 모용외 - 서진 말 혼란기에 세력을 확장하여 대선우를 칭했다.
  • 모용황 - 전연의 초대 군주. 모용외의 아들.
  • 모용준 - 전연의 제2대 군주. 모용황의 아들.
  • 모용각 - 전연의 무장. 모용황의 아들. 전연의 최성기를 구축했다.
  • 모용평 - 전연의 정치가. 모용외의 아들.
  • 모용수 - 후연의 초대 군주. 모용황의 아들.
  • 모용홍 - 서연의 초대 군주. 모용준의 아들.
  • 모용덕 - 남연의 초대 군주. 모용황의 아들.
  • 모용황후 - 북위도무제의 황후.
  • 모용삼장 - 북제·수나라의 정치가, 대장군.
  • 慕容彦超|모용언초중국어 - 오대십국 시대 후한의 군인. 곽위에게 패했다. 토욕혼인.
  • 모용귀비 - 북송 철종의 비.
  • 모용복 - 김용의 소설 『천룡팔부』의 등장인물. 모용준을 시조로 하는 고소 모용씨에 속한다.
  • 모용보 (355–398), 후연 혜민제
  • 모용초 (385–410), 남연의 마지막 황제
  • 모용충 (사망 386), 서연 위황제
  • 모용린 (사망 398), 후연 장군이자 황족
  • 모용륭 (사망 397), 고양 강공
  • 모용농 (사망 398), 요서 환렬공
  • 모용성 (373–401), 후연의 황제
  • 모용위 (350–385), 전연 유제
  • 모용희 (385–407), 후연의 황제
  • 모용요 (사망 386), 서연의 황제
  • 모용의 (사망 386), 서연의 통치자
  • 모용영 (사망 394), 서연의 마지막 황제
  • 모용충 (사망 386) 서연의 황제
  • 모용공주, 북연의 공주, 풍홍의 아내
  • 모용막호파 (238)
  • 모용무연 (246)
  • 모용설귀 (283년 사망)
  • 모용산 (285년 사망)
  • 모용회 (285–333)
  • 모용순 (사망 635), 토욕혼 칸
  • 모용복윤 (597–635), 토욕혼의 통치자
  • 모용낙가박 (사망 688), 토욕혼의 마지막 칸
  • 모용열 - 『삼국지연의』의 등장인물.

참조

[1] 서적 An Etymological Dictionary of Old Chines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 서적 Lexicon of Reconstructed Pronunciation: in Early Middle Chinese, Late Middle Chinese, and Early Mandarin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3] 간행물 Материалы по истории древних кочевых народов группы дунху. http://kronk.spb.ru/[...] Наука
[4] 간행물 Материалы по истории кочевых народов в Китае III–V вв. Выпуск 3. Мужуны. http://kronk.spb.ru/[...] Наука
[5] 문서 SGZ 30. 837–838, note. 1.
[6] 뉴스 慕容家族扎根广东 系鲜卑"皇亲国戚" http://www.china.com[...] 2008-07-10
[7] 뉴스 祖先600年前迁高要 一个村里3000多人姓慕容(组图) http://news.sohu.com[...] 2004-08-09
[8] 뉴스 广东鲜卑人后裔慕容族祖祠供奉"包青天" http://www.chinanews[...] 2015-11-16
[9] 뉴스 一个村里3000多人姓慕容 http://b.xungen.so/N[...] 2016-01-25
[10] 뉴스 广东高要"游牧民族" 复姓慕容的鲜卑后裔 http://www.people.co[...] 2004-11-02
[11] 뉴스 祖先600年前迁高要 一个村里3000多人姓慕容 http://www.southcn.c[...] 2004-08-09
[12] 뉴스 廣東省高要市——高要市白土鎮幕村慕容家族 http://rongsw.10000x[...] 2008-12-08
[13] 뉴스 一个村里3000多人姓慕容(组图) http://news.sohu.com[...] 2004-08-09
[14] 뉴스 广东鲜卑人后裔慕容族祖祠供奉"包青天" http://news.sina.com[...] 2015-11-16
[15] 뉴스 一个村里3000多人姓慕容 http://www.chens.org[...] 2012-02-15
[16] 뉴스 据说高要白土有个慕容家族,皇帝后裔!是真的吗? http://toutiao.com/a[...] 2015-08-12
[17] 서적 Languages of Ancient Southern Mongolia and North China: a Historical-Comparative Study of the Serbi or Xianbei Branch of the Serbi-Mongolic Language Family, with an Analysis of Northeastern Frontier Chinese and Old Tibetan Phonology Harrassowitz Verlag
[18] 문서
[19] 문서
[20] 논문 'An overview of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Xianbei (''Monguor''/''Tu'')'
[21] 웹사이트 《二〇二〇年全国姓名报告》发布_部门政务_中国政府网 http://www.gov.cn/xi[...] 2023-0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