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군은 17세기 초 여진족을 통합하고 명나라에 대항하기 위해 누르하치가 창설한 팔기군에서 시작되었다. 팔기군은 만주족의 군사, 경제, 사회, 정치 조직으로, 몽골, 한족 병사들을 통합하며 세력을 확장했다. 청나라는 팔기군 외에 한족 출신 병사들로 구성된 녹영군을 창설하여 중국 정복에 활용했으며, 이후 신식 군대인 신건육군을 창설하여 군사력을 강화하려 했다. 청나라는 해군력 발전에도 힘썼으나, 18세기 후반 쇠퇴하며 아편전쟁에서 약화된 모습을 보였다. 청나라 말기에는 용영 제도가 등장하여 지방 군벌의 세력이 강해졌고, 자강운동을 통해 군의 근대화를 시도했지만, 청일전쟁에서 패배하며 그 한계를 드러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나라의 군사 - 천총
천총은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하여 천 명의 지휘관을 의미하며, 고대 마케도니아, 페르시아, 로마, 비잔틴 제국 등 다양한 시대와 지역에서 군사 조직의 지휘관 또는 행정 관료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 청나라의 군사 - 의정왕대신회의
의정왕대신회의는 청나라 초기에 설립된 최고 의사결정 기구로, 초기에는 황족과 고위 관리들이 군사 문제를 심의했으나 옹정제 시대에 대각원에 의해 기능이 대체되며 권한이 축소되었다. - 청나라 - 만주
만주는 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을 포함한 중국 동북 지역을 가리키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왕조가 지배했으며, 지리적으로는 광활한 평야와 산맥을 특징으로 하며, 현재는 중국 정부가 "동북"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 청나라 - 제1차 아편 전쟁
제1차 아편 전쟁은 1839년부터 1842년까지 청나라와 영국 간에 벌어진 전쟁으로, 광저우 무역 체제와 아편 밀매가 원인이 되어 영국의 승리로 끝났으며, 난징 조약 체결로 청나라의 몰락을 가속화하고 서구 열강의 아시아 침략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 중국사 - 순치
순치는 청나라 세조 순치제의 연호로, 1644년 명나라 멸망 후 베이징 천도와 함께 사용되어 1661년까지 지속되었으며, 당시 다양한 세력의 연호와 병존했다. - 중국사 - 광서제
광서제는 도광제의 손자이자 순친왕 혁현의 아들로, 1875년 청나라의 황제가 되었으며, 서태후의 섭정 아래 무술변법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유폐된 채 사망했다.
청군 | |
---|---|
군사 정보 | |
![]() | |
표어 | 없음 |
창설 | 1644년경 |
해산 | 1912년경 |
군대 종류 | 팔기군 녹영 신군 해군 |
지휘부 | |
총사령관 | 중국 황제 |
장관 | 왕스전 (마지막) |
장관 직함 | 병부상서 |
참모총장 | 사전빙 (마지막) |
참모총장 직함 | 해군부상서 |
병력 | |
징병 | 아니오 |
총 병력 | 800,000명 |
현역 | 800,000명 |
재정 | |
산업 | |
관련 정보 | |
계급 | 군대 계급 |
2. 팔기군
팔기군은 17세기 초 누르하치가 창설한 만주족 고유의 군사, 사회, 경제, 정치 조직이다. 팔기제에 소속된 군사 조직으로, 만주족 뿐만 아니라 몽골족, 한족도 포함되었다. 팔기군은 크게 만주팔기, 몽골팔기, 한군팔기로 구성되었으며, 이 외에 한족 중심의 녹영군도 있었다.
팔기에 속한 사람들은 깃발 색깔로 소속을 구분했는데, 정황기, 양황기, 정백기는 황제 직속 부대로 상삼기(上三旗)라 불리며, 나머지 5개 기는 하오기(下五旗)라고 불렸다. 상삼기에는 만주족 출신이나 특별히 뛰어난 한족만이 들어갈 수 있었고, 하오기는 만주 황자들이 지휘했다.
명청 교체기에 만주 팔기군은 청나라의 핵심 전투력이었으나, 삼번의 난 진압 과정에서는 한족 팔기군과 녹영군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이후 청나라는 한족 간의 전투에는 녹영군을 주력으로 활용하고, 팔기군은 예비군으로 후방에 배치하는 전략을 사용했다.
1720년 중국 티베트 원정에서는 한족 장군 악종기가 이끄는 녹영군과 만주 팔기군이 준가르를 격퇴하고 티베트를 청나라의 지배하에 두었다. 이후에도 팔기군과 녹영군은 티베트에 주둔하며 청나라의 지배를 유지하는 데 기여했다.
건륭제 시기 신장 정복을 완료한 후, 청나라 군대는 점차 효율성을 잃어갔다. 백련교도의 난 진압에는 10년 가까운 시간과 막대한 재정이 소요되었으며, 태평천국 운동 진압 과정에서는 한족 총독이 이끄는 지역 군대가 활약하면서 만주족 중심의 군사 체제는 종말을 맞이하게 되었다.
2. 1. 팔기군의 기원과 발전
17세기 초, 누르하치는 팔기군이라는 군사 제도를 통해 여진족을 통합하고 명나라에 대항했다. 팔기군은 단순한 군사 제도를 넘어 경제, 사회, 정치적 역할까지 수행했다. 1601년경, 누르하치는 여진족의 전통적인 소규모 사냥 그룹 '니루'를 영구적인 사회 조직으로 발전시켰다. 1607년에는 '니루'가 '기'로 발전하여 황색, 백색, 적색, 청색으로 구분되었다. 1615년에는 각 기에 붉은색 테두리를 추가하여 총 8개의 기, 즉 만주팔기가 만들어졌다. 이로써 누르하치의 부족은 다른 여진족들을 흡수하며 성장했고, 여진족은 부족 중심에서 누르하치와 아이신기오로 가문 중심으로 재편되었다.홍타이지는 1635년 몽골족을 복속시킨 후 몽골팔기를 창설하여 만주팔기와 동등한 지위를 부여했다. 한족에 대해서는 1629년 3천 명 규모의 '한군'을, 1631년에는 화기를 다루는 명나라 투항병 중심으로 '중군'을 창설했다. 이후 한족 수가 증가함에 따라 1642년에는 8개의 기로 재편된 한군팔기가 만들어졌다.
한군팔기 내에서도 공을 세운 이들은 만주족으로 기적을 변경받았지만, 순혈 만주족과의 암묵적 차별은 존재했다. 이들은 여전히 한족 성씨를 사용했고, 기록에도 한족 출신임이 명시되었다. 한편, 만주족 귀족들은 한족 아이를 입양하기도 했으며, 이들은 1700년대 초 조정에 진출했다. 돈이 부족한 만주족들은 돈을 받고 한족 아이를 입양하여 기적을 바꾸어주기도 했다. 이들의 수가 증가하면서 순혈 만주족을 밀어내고 중요 관직을 차지하는 경우가 많아졌고, 만주족 내에서는 이들을 '2등 기인', '가짜 만주족'이라 폄하하기도 했다. 1740년경에는 만주팔기와 몽골팔기 1,600여 명 중 800여 명이 한족 출신이었다. 한족 출신들은 궁술과 기마술에 능했고 군사 지휘력도 뛰어났다고 전해진다. 옹정제와 건륭제 시기에는 순혈 만주족과 한족 출신을 구분하기 어려워졌고, 1800년대 청나라 조정은 족보 검사를 시도했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팔기는 색깔로 구분되었는데, 정황기, 양황기, 정백기는 황제 직속의 상삼기로, 나머지 5개 기보다 서열이 높았다. 상삼기에는 만주족 출신이나 뛰어난 능력을 가진 한족만이 들어갈 수 있었다. 하오기는 황제가 아닌 만주 황자들이 지휘했다.
;상삼기
정황기(正黃旗) | 양황기(鑲黃旗) | 정백기(正白旗) |
---|---|---|
-- | -- | -- |
;하오기
정홍기(正紅旗) | 양백기(鑲白旗) | 양홍기(鑲紅旗) | 정람기(正藍旗) | 양람기(鑲藍旗) |
---|---|---|---|---|
-- | -- | -- | -- | -- |
2. 2. 팔기군의 구성
17세기 초엽 누르하치가 여진 부족들을 성공적으로 통합하고 명나라에 도전할 수 있었던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군사적으로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역할도 수행했던 독특한 만주 제도인 팔기의 창설이었다.[26]팔기에 속한 사람들은 색깔로 서로를 구분하였는데, 이들의 종류에는 양황기, 양람기, 양백기, 양홍기, 정황기(正黃旗), 정람기(正藍旗), 정백기(正白旗), 정홍기(正紅旗) 등이 있었다. 이들 중에서 정황기, 양황기, 정백기는 황제의 직속 기들로, 나머지 5개의 기들보다 서열이 높았다. 오직 만주족 출신이거나 한족들 중 특출나게 능력이 뛰어난 이들만 이 3개의 기에 들어갈 수 있었는데, 이 3개의 기를 따로 상삼기(上三旗)라고 부르며 나머지 5개의 기를 하오기(下五旗)라고 불렀다. 하오기는 황제가 아닌 만주 황자들이 지휘하였다.
-- | -- | -- |
정황기(正黃旗) | 황색변기(黃色邊旗) | 정백기(正白旗) |
---|
-- | -- | -- | -- | -- |
정홍기(正紅旗) | 백색변기(白色邊旗) | 적색변기(赤色邊旗) | 청기(靑旗) | 청색변기(靑色邊旗) |
---|
명나라가 멸망하고 청나라가 중국 대륙을 장악하는 과정에서, 청나라에 항복한 명나라 패잔병들의 수가 급증했다. 처음에는 이들을 한군팔기에 편입시켰으나, 그 수가 너무 많아져 팔기군의 수를 압도하게 되었다. 이에 청나라는 1645년, 명나라 출신 패잔병들로 구성된 독자적인 군사 조직인 '녹영'을 창설했다.[3] 녹영이라는 이름은 그들이 녹색 군복을 입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3. 녹영군
녹영은 명나라의 군제를 그대로 유지했으며, 한족과 만주족 지휘관들이 함께 지휘했다. 청나라가 새로운 지역을 정복할 때마다 녹영을 창설하여, 1645년에는 산시성, 섬서성, 간쑤성, 강남에서, 1650년에는 푸젠성에서, 1651년에는 광둥성과 광시성에서, 1658년에는 귀주성에서, 1659년에는 윈난성에서 녹영이 창설되었다.[36] 청나라 정복이 완료될 무렵, 녹영의 수는 60만 명이 넘어 20만 명에 불과했던 팔기군의 3배에 달했다.[105]
3. 1. 녹영군의 역할과 중요성
명나라 정복과 삼번의 난 진압에서 녹영은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청나라 군의 주력은 팔기군이었지만, 실제 많은 전투는 녹영이 담당했다. 특히 만주 기병이 활약하기 어려운 중국 남부 지방에서 녹영은 큰 공을 세웠다.[3] 삼번의 난 때에도 팔기군이 고전하는 동안, 녹영 소속 한족 병사들이 반란군 진압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8] 이후 녹영에 해군이 창설되어 남명 저항 세력을 몰아내는 데 기여했다.[3]
녹영의 활약으로 팔기군은 상대적으로 위축되었다. 강희제 시기 삼번의 난 진압에서 녹영이 큰 공을 세웠고, 이후 여러 반란 진압에서도 팔기군보다 뛰어난 모습을 보였다. 청나라 조정은 '한족을 다룰 때에는 한족을 쓰는 것이 맞다'고 판단하여, 한족 반란 진압에 녹영을 우선적으로 파견했다. 팔기군은 안전한 후방에 예비군으로 남겨두는 경우가 많았다.[4]
청나라의 남서부 팽창에도 녹영이 참여했다. 1701년 다르체도 전투에서 청군은 티베트인들에게 승리했다. 1720년 강희제는 준가르 칸국이 점령한 티베트를 되찾기 위해 녹영군과 팔기군을 동원했다.[10] 이후 라싸, 참도, 리탕, 바탕 등 티베트 도시에 녹영 병사들이 주둔하며 청나라의 티베트 지배를 강화했다.[10]
4. 해군
청나라 초기에는 명나라의 해금 정책을 이어받아 바다를 봉쇄하여 왜구 등 외세가 함부로 중국 해안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막았다. 이러한 해양 봉쇄령은 중국 선박들이 밖으로 진출하는 것도 막으면서 해군력도 자연스레 정체하게 되었다. 기마 민족이었던 만주족은 해군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한족에 비하여 무지했기에, 해군과 해안경비대의 역할은 전적으로 한족 출신으로 구성된 녹영에게 맡겼으며 전장시와 항저우에 해군을 두고 해양 감시를 맡겼다.[59]
4. 1. 청나라 해군의 발전과 쇠퇴
청나라 초기에는 해금령 정책으로 인해 해군력 발전이 정체되었다. 강과 해안의 해군 방어는 경구(현재 진강)와 항주에 주둔한 녹영의 수군 부대가 담당했다.[59]1661년, 러시아의 만주 침입에 대비하여 길림에 해군 부대가 설치되었다. 이후 여러 팔기 수비대에도 해군 부대가 추가되었는데, 이들은 통틀어 “팔기 해군”으로 불렸다. 1677년, 청 조정은 타이완에 기반을 둔 명나라 충신 동닝 왕국과 싸우기 위해 복건수사를 재건했다. 이 갈등은 1683년 펑후 해전에서 청나라의 승리와 전투 직후 동닝의 항복으로 끝났다.[59]
청나라는 명나라와 마찬가지로 강력한 해군 건설에 상당한 중요성을 부여했다. 그러나 유럽인들과 달리 공해를 지배하고 무역을 독점할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했고, 대신 순찰을 통해 내해 공간을 방어하는 데 집중했다. 청나라는 육지 영토와 같은 방식으로 내해를 구획하고 통제했다.[59]
강희제와 그의 후계자들은 보하이만(등주 함대, 교주 함대, 뤼순 함대, 천진/대구 함대), 장쑤-절강 해안(강남 함대와 절강 함대), 타이완 해협(복건수사), 광동 해안(광동 총독 함대와 광동수사)으로 구성된 4개 구역 해안 방어 시스템을 구축했다. 함대는 해안을 따라 이어지는 일련의 해안 포대와 “수성” 또는 해군 기지의 지원을 받았다. 강희제 시기의 청나라 군함은 40명의 선원으로 구성되었고, 네덜란드식 대포와 벽총으로 무장하고 있었다.[60]
청나라는 이전 시대에 인접 해역의 해군 방어에 투자했지만, 1799년 건륭제 사후 묘족의 난과 백련교의 난 진압에 더 많은 관심이 쏠리면서 해군은 쇠퇴했고, 청나라 국고는 파산했다. 남은 해군은 심각하게 과도하게 뻗어나가고, 인원 부족, 자금 부족, 그리고 조정 부족 상태였다.[61]
5. 신건육군
청일전쟁에서 패한 이후 청나라 조정은 조직적인 근대적 장비와 편제를 갖춘 신식 군대인 신건육군을 창설했다. 그러나 신건육군에는 혁명사상을 지닌 병사들이 많았으며, 1911년 10월 10일 우창에서 이들이 일으킨 봉기가 신해혁명의 도화선이 되었다.[86][87]
1894년부터 1895년까지 일어난 제1차 청일 전쟁의 패배는 청나라 정부에게 중대한 전환점이었다. 오랫동안 중국인들에게 해적 국가 정도로 여겨졌던 일본이 더 큰 이웃 나라를 확실하게 물리쳤고, 그 과정에서 청나라 정부의 자랑이자 긍지였던, 당시 아시아에서 가장 강력한 해군으로 여겨졌던 북양함대를 궤멸시켰다. 이를 통해 일본은 이전까지 서구 열강들만의 영역이었던 식민지배 국가의 반열에 오른 최초의 아시아 국가가 되었다. 메이지 유신 이후 불과 30년 만에 봉건 국가였던 일본이 서구 열강들의 경제적, 기술적 성과를 모방하여 발전한 상황에서 이러한 패배는 청나라 조정에게는 충격적인 각성의 계기였다. 마침내 1894년 12월, 청나라 정부는 군사 제도를 개혁하고, 서구식 훈련, 전술 및 무기를 사용하여 일부 부대를 재훈련하기 위한 구체적인 조치를 취했다. 이러한 부대들을 통칭하여 신군이라고 불렀다. 이 중 가장 성공적인 부대는 북양군이었는데, 이는 전 회군 사령관인 원세개 장군의 전반적인 감독과 통제 하에 있었다. 원세개는 자신의 지위를 이용하여 결국 중화민국 대총통이 되었고, 마침내 중국 황제가 되었다.[93]
청나라는 마지막 일련의 개혁에서 육군(Lujun)과 순방대(Xunfangdui, 예비군/성급 부대)로 나뉘는 신군을 편성했다. 육군은 창배군(Changbei jun), 서북군(Xubei jun), 후배군(Houbei jun)의 세 부대로 나뉘었는데, 창배군은 평시 12,512명, 전시 21,000명 이상의 36개 사단으로 구성되었고 복무 기간은 3년이었다. 제1예비군인 서북군은 9,840명의 36개 사단으로 구성되었고 복무 기간은 4년이었다. 후배군은 4,960명의 36개 사단으로 구성되었고 복무 기간은 4년이었다.[94]
이로써 전시 총병력은 934,560명이었고, 21,512명(종군자 제외)의 36개 사단 756,000명과 독립 여단 36개의 178,560명이었다.
순방대는 각 성별로 편성되었으며, 각 성은 보병 3,010명 또는 기병 1,890명 또는 보병과 기병을 혼합하여 최대 5개 부대를 유지할 수 있었다. 단, 보병과 기병을 합쳐 5개 부대를 초과할 수 없었다. 따라서 22개 성은 (모두 보병으로 편성할 경우) 최대 331,100명 또는 최소 207,900명을 동원할 수 있었다. 순방대는 평시에는 경찰 역할을 하고, 전시에는 현장 부대를 지원하는 보조 부대로 활동했다.[95]
6. 군사 기술
18세기 청나라 군대는 유럽 군대만큼 무장이 잘 되어 있지는 않았지만, 황제의 압력 아래 어려운 상황에서도 혁신과 효율성을 보여주었다.
시랑(施琅)이 이끄는 함대는 대만에서 명나라의 저항을 분쇄하기 위해 네덜란드의 해군 기술을 활용했다.[56]
청나라는 수도 베이징(北京) 주변에 주둔한 정예 군사 부대 중 하나로 화승총 부대(火器營, Huoqiying)을 설립했다. 팔기군(八旗)에 소속되었던 모든 소총과 대포 전문가들을 통합한 특수 부대였으며,[57] 명나라의 신기영(神機營)과 유사한 역할을 했다. 화승총 부대는 화기 다루는 훈련을 받았으며, 산탄총과 대형 대포 등이 훈련에 사용되었다. 팔기군 병사들로 구성된 이 부대는 베이징 황궁을 경비하는 임무를 맡았다.
청 조정은 때때로 화기 사용을 제한했다. 어선과 연안 선박은 화기 사용이 금지되었고, 화기는 사냥에만 사용할 수 있었다. 만주 지도자들은 한족 군사 부대가 가장 강력한 권총을 사용하는 것을 막으려고 했고, 그 권총은 만주 부대만 사용하도록 했다. 1778년, 건륭제는 산둥성(山東省) 주지사가 민병들에게 화기 사용을 훈련시킨 것을 비판했다. 만주인들은 화기보다 활쏘기에 더 많은 시간을 보낸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만주 문화의 전통적인 역할인 궁술 때문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아편전쟁(鴉片戰爭) 당시 중국군의 30~40%가 화승총과 같은 화기로 무장했을 것으로 추산된다.[58]
화약은 중국에서 발명되었으며, 송 왕조 시대부터 중국 전쟁에서 화약이 계속 사용되었다. 하지만 유럽의 산업혁명으로 현대적인 화기가 등장하면서, 전통적인 훈련과 장비에 기반한 중국 육군과 해군은 낡은 것이 되었다.
1860년 북경 점령과 원명원 약탈 이후, 증국번(曾國藩), 이홍장(李鴻章)과 같은 관리들과 만주족 문상(文祥)은 서양의 발전된 무기 기술을 습득하고 서양식 군사 조직을 모방하려 했다. 프레드릭 타운젠드 워드, 찰스 고든 등이 지휘한 상승군(常勝軍)처럼, 현대적인 소총을 갖추고 외국 장교가 지휘하는 중국군 특별 여단은 증국번과 이홍장이 태평천국의 난을 진압하는 데 활약했다. 이홍장의 회군(淮軍)도 서양식 소총을 장비하고 서양식 훈련을 받았다. 한편, 북경에서는 공친왕 혁흔(恭親王奕訢)과 문상이 신기영(神機営)이라는 정예 부대를 창설했다. 신기영은 러시아제 소총과 프랑스제 대포를 장비하고 영국 장교가 훈련을 맡았다. 2500명의 기인(旗人)으로 구성된 이 부대가 10배 이상의 적군을 무찌른 것은 양질의 장비와 훈련을 받은 소수 정예가 있으면 수도 방위는 충분히 가능하다는 문상의 생각을 증명하는 듯했다.
군 개혁의 주안점은 무기 개량이었다. 증국번은 현대적인 소총과 탄약을 생산하기 위해 소주에 병기창(兵器廠)을 설립했고, 이후 상해로 이전하여 강남기기제조총국(江南機器製造總局)으로 확장했다. 1866년에는 좌종당(左宗棠)의 지휘 아래 정교한 복주선정국(福州船政局)이 설립되어 연안 방어를 위한 현대적인 군함 건조를 목표로 했다. 복주선정국에서는 1867년부터 1874년 사이에 15척의 함선을 건조했다. 남경, 천진(1870년대부터 1880년대 화북 육군의 주요 탄약 공급원), 란주(蘭州)(이슬람교도 대규모 반란을 진압하는 좌종당 지원), 사천, 산동에 다른 병기창이 만들어졌다. 복주선정국의 고문을 맡았던 프랑스 해군 장교 프로스페르 지켈(プロスペ・ジケル)은 1872년에 중국이 서구 열강의 강력한 라이벌이 되고 있다고 적었다.
이러한 개혁과 개선 덕분에 청나라는 국내 반란군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우세했다. 1864년 태평천국을 멸망시킨 후, 신식 장비의 군대는 1868년 염군(捻軍)의 반란, 1873년 귀주의 묘족 반란, 같은 해 운남의 판제의 난(パンゼーの乱), 1877년 신강에서 1862년부터 계속된 대규모 이슬람교도 반란을 진압했다. 청나라는 국내 반란 진압 외에도 외국과도 비교적 성공적으로 싸웠다. 1874년 일본의 대만 출병을 외교적으로 해결했고, 1881년에는 러시아인을 일리강(イリ川)에서 몰아냈으며, 1884년부터 1885년의 청불전쟁에서는 해전에서 많은 실패를 거듭했지만 교착 상태를 만들었다.
군 현대화 개혁으로 실질적인 군사력이 향상되었지만, 1894년부터 1895년의 청일전쟁에서 메이지 유신 이후의 일본에 완패함으로써 군사력이 아직 부족하다는 것도 드러났다. 이홍장이 지휘한 청나라 최정예 부대 회군(淮軍)과 북양함대(北洋艦隊)조차도 일본의 더 잘 훈련되고, 더 잘 지휘되고, 더 기민한 해군과 육군에는 미치지 못했다.
7. 평화 시기 주둔군
팔기군은 민족에 따라 크게 만주족과 몽골족으로 나뉘었지만, 만주족 깃발의 민족 구성은 만주족 지주 가문에 등록된 비만주족 노예들을 포함하여 동질적이지 않았다. 명나라와의 전쟁이 진행되고 만주 지배하의 한족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홍타이지는 이 새로운 인력을 활용하기 위해 별도의 한군 깃발을 만들었다. 6부와 기타 주요 직책은 청나라가 선택한 한군 출신들이 채웠다.[40] 중국을 성공적으로 장악한 것은 바로 한족 깃발군이었다. 그들은 초기 청나라에서 대부분의 총독을 차지했고 정복 후 중국을 통치하고 관리하며 청나라의 통치를 안정시킨 사람들이었다.[41] 한족 깃발군은 순치제와 강희제 시대에 총독직과 관직을 장악하여 일반 한족 민간인들을 대부분 배제했다.[42] 정치적 장벽은 한족, 몽골족 또는 만주족 등 깃발군의 '정복 엘리트'와 비깃발군 사이에 있었다. 민족이 요인이 아니었다.[43]
깃발 제도의 사회적 기원은 각 지파와 그 하위 부서의 인구가 세습적이고 엄격하다는 것을 의미했다. 황제의 칙령으로 허가된 특수한 상황에서만 깃발 간의 혼혈이 허용되었다. 반면 녹영군은 원래 직업 군대로 의도되었다.
명나라 잔여 세력을 물리친 후 당시 약 20만 명에 달하는 만주 팔기군은 절반으로 나뉘었다. 절반은 금군 팔기로 지정되어 베이징에 주둔했다. 그것은 수도의 주둔군이자 청나라 정부의 주요 타격 부대 역할을 했다. 나머지 팔기군은 중국의 주요 도시를 경비하는 데 배치되었다. 이들은 주방 팔기로 알려졌다. 만주 법원은 자신들의 소수 민족 지위를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한족에 의해 중국화되는 것을 두려워하여 만주족과 몽골족과 한족 사이의 엄격한 인종 분리 정책을 강화했다. 이 정책은 대부분 주둔 도시 내 별도의 성벽 지역을 점령한 깃발 주둔지에 직접 적용되었다. 청주와 같이 공간이 제한된 도시에서는 깃발 주둔군과 그 가족을 수용하기 위해 새로운 요새화된 도시가 특별히 건설되었다. 베이징은 황실의 중심지였기 때문에 섭정 돌곤은 중국 전체 인구를 남쪽 교외로 강제 이주시켰는데, 이곳은 "외성"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내성"이라고 불리는 북쪽 성벽 도시는 남은 만주 팔기에 할당되었으며, 각각 자금성 궁전 단지 주변 내성의 일부를 경비할 책임이 있었다.
청나라 무장 세력의 무술가들이 군사 훈련을 담당했다.[44]
베이징의 만주 깃발군이 무술 단체에 가입했다.[45]
하주에서 무술 강당은 무슬림 장군 마풀루와 마푸샹의 군 경력이 시작된 곳이었다.[46]
청나라 군대의 병사와 장교들은 의화단 운동에서 싸우기 전에 무슬림 무술 강사 왕즈핑에게 훈련을 받았다. 베이징 군대의 또 다른 무술 교사는 왕샹자이였다.[47] 군대 무술 트레이너들은 창과 칼과 같은 다양한 무기들을 다뤄야 했다.[48] 화약 무기는 중국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중국의 백병전이 서양 총에 의해 갑자기 대체되었다는 것은 신화이다.[49] 기병도 무술 훈련을 받았다. 무술은 군 장교 시험의 일부였다.[50] 무술가들은 시골에서 도시로 이주한 사람들 중에 있었다.[51] 청나라와 명나라 군대는 소림 전통을 활용했다.[52] 기술과 무기는 군대와 민간 영역에서 교차 수정되었다.[53] 군대에는 도교 무술 트레이너가 포함되어 있었다.[54] 태평천국 군대에는 무술가들이 있었다.[55]
8. 용영의 대두
태평천국 운동 초기, 청군은 연이어 큰 패배를 당했고, 1853년에는 화남의 중심 도시 남경(南京)을 빼앗겼다. 반란군은 남경에서 만주족 수비대와 그 가족들을 학살한 후 그곳을 태평천국의 수도로 삼았다.[34] 얼마 지나지 않아 태평천국의 원정군은 북쪽으로 진군하여 천진(天津) 교외까지 이르렀는데, 이곳은 수도 북경에서 가까운 제국의 심장부로 여겨지는 지역이었다. 궁지에 몰린 청조는 한족 관료 증국번(曾国藩)에게 명하여 반란 진압을 위해 지방(단용(団勇))과 향촌(향용(郷勇))의 민병을 조직하여 단련(団練)이라 불리는 독립군을 만들게 했다. 증국번의 전략은 태평천국군의 직접적인 위협을 받고 있는 성에서 지방의 향신(郷紳)에게 의뢰하여 새로운 군사 조직을 만드는 것이었다. 이 새로운 군대는 모집된 호남 지방의 별칭을 따라 향군(湘軍)으로 알려졌으며, 지방 민병과 독립군의 혼성부대였다. 향군은 전문적인 훈련을 받았지만, 지방 재원과 지휘관(대부분 한족 향신 계층)들의 출연금으로 봉급이 지급되었다. 향군과 그것을 계승하여 증국번의 제자인 이홍장(李鴻章)이 창설한 회군(淮軍)을 통틀어 용영(勇営)이라고 불렀다.[62][63]
증국번은 향군을 창설하고 지휘하기 전까지 군사 경험이 전혀 없었다. 고전적인 교양을 익힌 문관이었던 그가 그린 향군의 청사진은 명나라 장군 척계광(戚継光)이 16세기경 명나라 정규군이 약했기에 자신만의 "사병"을 두어 왜구를 토벌하기로 한 것에서 역사적으로 배운 것이었다. 척계광의 교리는 군인은 직속 상관에게 충성할 뿐만 아니라 자신들이 자란 지역에도 충성한다는 송명리학의 사상에 기반한 것이었고, 이것은 처음에는 군에 뛰어난 사기를 불어넣었다. 척계광의 군대는 해적 대책이라는 개별 문제를 위한 특례적인 해결책이었고, 증국번이 향군을 창설했을 때의 초기 의도도 태평천국의 반란을 진압하기 위한 특례적인 것이라는 생각과 같았다. 그러나 반란이 계속되는 사회 상황 속에서 용영은 청군의 상설 부대가 되어 갔고, 장기적으로 볼 때 청조 중앙 정부에게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첫째, 용영의 체제는 청의 군사 조직에서 만주족 우위의 원칙의 종말로 이어질 수 있었다. 팔기군과 녹영은 국고를 축내면서 기생하며 연명해 왔지만, 이제는 용영이 청조의 사실상 최전선 군대가 될 것이었다. 둘째, 용영 부대의 재원은 지방 재원에서 충당되었고, 지방 지휘관이 지휘했기에 이 권한 이양은 중앙 조정이 전국을 장악하는 힘을 약화시켰다. 이 약점은 19세기 후반에 청 제국의 여러 지역에서 외세가 자치권이 있는 식민지를 획득하려는 경쟁을 하게 되면서 더욱 악화되었다. 이러한 심각한 부정적 영향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방법이 필요하다고 여겨진 것은 반란군에 점령되거나 위협받은 각 성에서의 세수가 재정 부족에 시달리는 중앙 조정에 들어오지 않게 되었기 때문이었다. 마지막으로, 용영의 지휘 구조의 성격은 지휘관들 사이에서 연고주의와 편애를 조장했고, 여기서 관직을 승진시킨 그들이 청의 최종 멸망과 20세기 전반의 중국에서의 지방 군벌 항쟁의 씨앗을 뿌리게 된 것이다.
9. 자강운동과 군의 근대화
1860년 베이징 함락과 원명원 약탈이라는 굴욕적인 사건 이후, 증국번, 이홍장과 만주족인 문상(文祥) 등은 서구의 첨단 무기를 획득하고 서구식 군사 조직을 모방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현대식 소총으로 무장하고 외국 장교들이 지휘하는 중국군 특수 부대(프레더릭 타운젠드 워드와 그 후 찰스 조지 고든이 지휘한 상승군이 한 예이다)는 증국번과 이홍장이 태평천국군을 물리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이홍장의 회군(淮軍)도 서구식 소총을 획득하고 일부 서구식 훈련을 도입했다. 한편 베이징에서는 공친왕과 문상(文祥)이 러시아제 소총과 프랑스제 대포로 무장하고 영국 장교들이 훈련시킨 정예 군대인 "신기영(神機営)"을 창설했다. 2,500명의 기병으로 구성된 이 부대가 10배가 넘는 수의 산적 군대를 물리치자, 소규모이지만 잘 훈련되고 잘 장비된 기병대가 앞으로 수도를 방어하기에 충분하다는 문상(文祥)의 주장이 입증된 것처럼 보였다.
개혁의 주요 초점 중 하나는 중국군의 무기를 개량하는 것이었다. 현대식 소총, 포병 및 탄약을 생산하기 위해 증국번은 소주에 병기창을 설립했고, 이는 상하이로 이전되어 강남기기제조총국(1865년 완공)으로 확장되었다. 1866년에는 좌종당의 지휘 아래 정교한 복주선정국이 건설되었으며, 해안 방어를 위한 현대식 군함 건조에 초점을 맞추었다. 1867년부터 1874년까지 15척의 신형 함선을 건조했다. 난징, 천진(1870년대와 1880년대 북중국군의 주요 탄약 공급원으로 기능함), 란저우(대규모 회족 반란 진압을 지원하기 위해 좌종당이 설립함), 사천, 산둥에 다른 병기창이 건설되었다. 복주선정국에서 고문으로 근무한 프랑스 해군 장교 프로스페르 지켈은 1872년 중국이 서구 열강에 맞설 만한 강력한 경쟁자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썼다.
이러한 개혁과 개선 덕분에 청 정부는 국내 반란군에 대해 큰 이점을 얻었다. 1864년 태평천국을 진압한 후, 새롭게 장비된 군대는 1868년 염군의 난, 1873년 귀주 묘족, 1873년 운남의 판제의 난, 그리고 1877년 1862년부터 신강을 휩쓴 대규모 회족 반란을 진압했다. 국내 반란 진압 외에도 청나라는 외세와 비교적 성공적으로 싸웠다. 청나라 군대는 1874년 대만을 둘러싼 일본과의 위기를 외교적으로 해결하고, 1881년 러시아군을 일리 강 계곡에서 몰아냈으며, 해전에서 많은 실패에도 불구하고 1884년-1885년 청불 전쟁에서 프랑스와 교착 상태를 이루었다.
참조
[1]
서적
undefined
https://books.google[...]
[2]
논문
QING MILITARY INSTITUTIONS AND THEIR EFFECTS ON GOVERNMENT, ECONOMY, AND SOCIETY, 1640–1800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07-12
[3]
서적
undefined
[4]
서적
The Diary of a Manchu Soldier in Seventeenth-Century China: "My Service in the Army", by Dzengseo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7-01-24
[5]
서적
The Diary of a Manchu Soldier in Seventeenth-Century China: "My Service in the Army", by Dzengseo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7-01-24
[6]
서적
The Diary of a Manchu Soldier in Seventeenth-Century China: "My Service in the Army", by Dzengseo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7-01-24
[7]
서적
The Diary of a Manchu Soldier in Seventeenth-Century China: "My Service in the Army", by Dzengseo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7-01-24
[8]
서적
A Military History of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9]
서적
A Military History of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10]
서적
China's Last Imperial Frontier: Late Qing Expansion in Sichuan's Tibetan Borderlands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11-11-28
[11]
서적
The Sichuan Frontier and Tibet: Imperial Strategy in the Early Qing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2]
서적
The Sichuan Frontier and Tibet: Imperial Strategy in the Early Qing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3]
서적
The Last Emperors: A Social History of Qing Imperial Institution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8-11-15
[14]
서적
The Dynastic Centre and the Provinces: Agents and Interactions
https://books.google[...]
BRILL
2014-04-17
[15]
서적
China's Warlords
Oxford University Press
[16]
서적
China and the International System, 1840–1949: Power, Presence, and Perceptions in a Century of Humiliation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08
[17]
서적
The Russian General Staff and Asia, 1860-1917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6-11-22
[18]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서적
The Concubine Who Launched Modern China: Empress Dowager Cixi
Anchor Books
2013
[20]
서적
The Concubine Who Launched Modern China: Empress Dowager Cixi
Anchor Books
2013
[21]
서적
L'escadre de l'amiral Courbet
[22]
서적
Yueh-nan yu Chung-fa chan-cheng (越南與中法戰爭, Vietnam and the Sino-French War)
[23]
서적
Modern Chinese warfare, 1795–1989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2-01-18
[24]
서적
中國歷代政制考
國立編譯館
[25]
서적
Modern Chinese warfare, 1795–1989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2-01-18
[26]
서적
undefined
[27]
서적
undefined
[28]
서적
A Translucent Mirror: History and Identity in Qing Imperial Ideolog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0
[29]
서적
A Translucent Mirror: History and Identity in Qing Imperial Ideolog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0
[30]
서적
Servants of the Dynasty: Palace Women i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8
[31]
서적
Sealords live in vain: Fujian and the making of a maritime frontier in seventeenth-century China
[32]
서적
Sealords live in vain : Fujian and the making of a maritime frontier in seventeenth-century China
[33]
서적
Sealords live in vain: Fujian and the making of a maritime frontier in seventeenth-century China
[34]
서적
The Taiping Rebellion, 1851-1866
https://www.worldcat[...]
Osprey
1994
[35]
서적
The Government of China, 1644-1911
https://www.worldcat[...]
2018
[36]
서적
[37]
서적
The Moslem rebellion in northwest China, 1862 - 1878: a study of government minority policy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11
[38]
서적
The Diary of a Manchu Soldier in Seventeenth-Century China: "My Service in the Army", by Dzengseo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7-01-24
[39]
서적
The Government of China, 1644-1911
https://www.worldcat[...]
2018
[40]
서적
Banner Legacy: The Rise of the Fengtian Local Elite at the End of the Qing
https://books.google[...]
Center for Chinese Studies, The University of Michigan
[41]
서적
https://books.google[...]
[42]
서적
https://books.google[...]
[43]
서적
New Qing Imperial History: The Making of Inner Asian Empire at Qing Chengd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4-07-31
[44]
서적
Ba Gua Zhang An Historical Analysis
https://books.google[...]
Ben Hill Bey
[45]
서적
Orphan Warriors: Three Manchu Generations and the End of the Qing World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46]
서적
Familiar strangers: a history of Muslims in Northwest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98-07-01
[47]
서적
The Complete Book of Yiquan
https://books.google[...]
Jessica Kingsley Publishers
2015-03-21
[48]
서적
Martial Arts of the World: An Encyclopedia of History and Innovation
https://books.google[...]
ABC-CLIO
[49]
서적
Chinese Martial Arts: From Antiquity to the Twenty-First Centu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0]
서적
Chinese Martial Arts Training Manuals: A Historical Survey
https://books.google[...]
Blue Snake Books
2007-12-01
[51]
서적
Marrow of the Nation: A History of Sport and Physical Culture in Republican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2]
서적
The Shaolin Monastery: History, Religion, and the Chinese Martial Art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53]
서적
China at War: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54]
서적
The Religious Question in Modern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1-03-15
[55]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V. 1: The Qing Period, 1644-1911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7-17
[56]
논문
Conceptualizing the Blue Frontier: The Great Qing and the Maritime World in the Long Eighteenth Century
http://archiv.ub.uni[...]
Ruprecht-Karls-Universität Heidelberg
2013-06-28
[57]
웹사이트
European Technology and Manchu Power: Reflections on the "Military Revolution" in Seventeenth Century China
https://www.oslo2000[...]
2023-10-02
[58]
서적
The Gunpowder Age: China, Military Innovation, and the Rise of the West in World Histo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7
[59]
논문
Conceptualizing the Blue Frontier: The Great Qing and the Maritime World in the Long Eighteenth Century
http://archiv.ub.uni[...]
Ruprecht-Karls-Universität Heidelberg
2013-06-28
[60]
논문
Conceptualizing the Blue Frontier: The Great Qing and the Maritime World in the Long Eighteenth Century
http://archiv.ub.uni[...]
Ruprecht-Karls-Universität Heidelberg
2013-06-28
[61]
서적
The Blue Frontier: Maritime Vision and Power in the Qing Empire Cambridge Oceanic Histor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
[62]
서적
The Taiping rebellion, 1851 - 66
Osprey
1994
[63]
서적
Li Hung-chang and the Huai Army
[64]
서적
The rise of Chinese military power 1895-1912
Princeton University Press
[65]
서적
Li Hung-chang and the Huai Army
[66]
서적
Li Hung-chang and the Huai Army
[67]
서적
The Taiping rebellion, 1851 - 66
Osprey
1994
[68]
웹사이트
Digitalisierte Sammlungen der Staatsbibliothek zu Berlin
https://digital.staa[...]
2024-08-28
[69]
웹사이트
Translation of the Peking gazette
https://digital.soas[...]
2024-08-28
[70]
웹사이트
Translation of the Peking gazette
https://digital.soas[...]
2024-08-28
[71]
웹사이트
Translation of the Peking gazette
https://digital.soas[...]
2024-08-28
[72]
서적
Rise of the Chinese Military Power
https://www.worldcat[...]
2016
[73]
서적
An Epitome of the Chino-Japanese War, 1894-95
H.M. Stationery Office
[74]
서적
Sino-Japanese naval war : 1894-1895
https://www.worldcat[...]
2014
[75]
서적
The China-Japan War: Compiled from Japanese, Chinese and Foreign Sources.
Charles Scribner's Sons
[76]
서적
The China-Japan war; compiled from Japanese, Chinese and foreign sources
Charles Scribner's Sons
[77]
서적
Imperial Chinese armies 1840-1911
https://www.worldcat[...]
2016
[78]
서적
Armies of the first Sino-Japanese War 1894-95
https://www.worldcat[...]
2022
[79]
서적
The China-Japan war compiled from Japanese, Chinese and foreign sources
Charles Scribner's Sons
[80]
서적
Armies of the first Sino-Japanese War 1894-95
https://www.worldcat[...]
2022
[81]
서적
The rise of Chinese military power, 1895-1912
Princeton University press
[82]
서적
Li Hung-chang and the Huai Army
[83]
서적
Armies of the First Sino-Japanese War 1894-95
https://www.worldcat[...]
Bloomsbury Publishing Plc
2022
[84]
서적
Imperial Chinese armies 1840-1911
https://www.worldcat[...]
2016
[85]
서적
The Rise of Chinese Military Power 1895-1912
Princeton University Press
[86]
서적
Reilly's Battery: a story of the Boxer Rebellion
https://books.google[...]
R. Rosen Press
2011-02-19
[87]
서적
Reports on military operations in South Africa and China
https://archive.org/[...]
G.P.O.
2011-02-19
[88]
서적
The boxer rebellion: the dramatic story of China's war on foreigners that shook the world in the summer of 1900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USA
2010-06-28
[89]
서적
Some Did it for Civilisation, Some Did it for Their Country: A Revised View of the Boxer War
https://books.google[...]
Chinese University Press
[90]
웹사이트
The Boxer Rebellion, 1900: A Selection of Books, Prints and Photographs
https://web.archive.[...]
The British Library
2010-06-28
[91]
서적
China in convulsion, Volume 2
https://books.google[...]
F. H. Revell Co.
2010-06-28
[92]
서적
China in convulsion, Volume 2
https://books.google[...]
F. H. Revell Co.
2010-06-28
[93]
서적
China at War, 1901–1949
Longman
[94]
서적
Present day political organization of China
Routledge
2007
[95]
서적
Present day political organization of China
Routledge
2007
[96]
서적
Present day political organization of China
Routledge
2007
[97]
서적
Manchus and Han: Ethnic Relations and Political Power in Late Qing and Early Republican China, 1861–1928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98]
서적
中華民國海軍陸戰隊發展史
https://www.mnd.gov.[...]
History and Politics Compilation Office of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2010
[99]
참고자료
[100]
기타
[101]
기타
[102]
기타
[103]
참고자료
[104]
참고자료
[105]
기타
[106]
논문
Wakeman 1977
2010-10
[107]
서적
China at War, 1901–1949
Longman
199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