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최병렬 (정치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병렬은 언론인 출신으로, 조선일보 편집국장과 이사를 역임했으며, 민주정의당 국회의원으로 정계에 입문했다. 노태우 정부에서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비서관, 문화공보부 장관 등을 지냈고, 김영삼 정부에서는 서울특별시장을 역임했다. 이후 국회의원으로 활동하며 한나라당 대표최고위원을 역임했으나, 노무현 대통령 탄핵을 주도한 후 대표직에서 사퇴하고 정계에서 은퇴했다. 2022년 사망했으며, 박근혜 정부에서 '7인회' 멤버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공보처 장관 - 김활란
    김활란은 대한민국의 교육자이자 여성운동가이며 친일반민족행위자로서, 이화여자대학교 총장을 역임하며 여성 교육에 기여했으나 일제강점기 친일 행위로 비판받았다.
  • 대한민국의 공보처 장관 - 김동성 (1890년)
    김동성(1890년)은 일제강점기 언론인, 만화가, 정치인으로 동아일보 창간에 참여하고 한국 최초의 4컷 만화를 발표했으며, 해방 후 공보처장, 국회의원, 국회 부의장을 역임했다.
  • 진주초등학교 (경남) 동문 - 김성태 (1958년)
    김성태는 한국노총 노동운동가 출신으로 서울시의원을 거쳐 한나라당에 입당, 제18대, 19대, 20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자유한국당 원내대표와 당 대표 권한대행을 역임한 정치인이다.
  • 진주초등학교 (경남) 동문 - 최진한
    최진한은 K리그 MVP를 수상한 선수 출신으로, 럭키금성, 유공에서 활약했으며 국가대표로도 활동했고, 은퇴 후에는 FC 서울 U-18, 경남 FC, 부천 FC 1995 감독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이다.
  • 화순 최씨 - 호란
    호란은 연세대학교에서 불어불문학과 심리학을 전공하고 2004년 클래지콰이 멤버로 데뷔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으나, 음주운전 사고와 학교 폭력 관련 논란으로 사회적 물의를 빚었다.
  • 화순 최씨 - 최란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서울문화예술협회 이사장, 서울종합예술전문학교 부학장인 최란은 1980년 드라마 《달동네》로 데뷔하여 다양한 작품에서 연기 활동을 펼쳤으며, 사회 공헌 활동으로 수상하기도 했다.
최병렬 (정치인)
기본 정보
최병렬
최병렬
이름최병렬
출생일1938년 9월 16일
출생지경상남도 산청군 차황면
사망일2022년 12월 2일
사망지서울특별시
국적대한민국
본관화순 최씨
종교천주교 (세례명: 아우구스티노)
배우자백영자
자녀최희준(아들)
경력
직업한국일보 기자
조선일보 편집국장
청와대 정무수석
제18대 문화공보부 장관
초대 공보처 장관
제8대 노동부 장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인수위원
제29대 서울특별시장
한나라당 부총재
한나라당 대표최고위원
한나라당 상임고문
새누리당 상임고문
자유한국당 상임고문
미래통합당 상임고문
국민의힘 상임고문
학력
출신 학교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 신문대학원
정당
소속 정당국민의힘 (2020–2022)
자유한국당 (1997–2020)
민주정의당 (1985–1990)
국회의원
지역구전국구(·), 서울 서초구 갑(15), 서울 강남구 갑(16)
의원 선수4
의원 대수12, 14, 15, 16
주요 직책
서울특별시장시작: 1994년 11월 3일
종료: 1995년 6월 30일
이전: 우명규
다음: 조순
한나라당 대표시작: 2003년 6월 26일
종료: 2004년 3월 23일
이전: 박희태 (acting)
다음: 박근혜
기타
관련 링크대한민국헌정회

2. 생애

최병렬은 1938년 9월 16일 경상남도 산청군에서 태어났다.[1]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조선일보에서 편집국장, 이사를 역임하는 등 언론인으로 활동했다.

1985년 민주정의당 전국구 의원으로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 노태우 정부에서 정무수석, 문화공보부 장관, 국정홍보처 장관, 노동부 장관을 역임했다. 1990년 3당 합당 이후에는 김영삼 캠프에 합류, 상도동계 일원이 되었다. 1994년에는 관선 서울특별시장으로 임명되었으며, 퇴임 직전 삼풍백화점 붕괴사고가 발생하여 조순 서울시장 당선인과 함께 현장을 지휘하기도 했다.

1996년 제15대 총선에서 서초구 갑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고, 1997년 신한국당 대선 경선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1998년 한나라당 서울시장 후보로 출마했으나 고건에게 패배했다. 1999년 한나라당 부총재를 거쳐 2000년 제16대 총선에서 강남구 갑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2002년 한나라당 대선 경선에 다시 도전했으나 이회창에게 밀려 2위로 낙선했다.

2003년 한나라당 대표최고위원으로 선출되었으나, 이회창 캠프의 불법 대선자금 수사, 노무현 대통령 탄핵 추진 등으로 당 지지율이 급락하자 2004년 3월 대표직을 사퇴하고 정계를 은퇴했다. 이후 한나라당 상임고문으로 활동하다 2022년 12월 2일 삼성서울병원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1]

2. 1. 언론인 활동 (1959년 ~ 1985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한 뒤 1959년 한국일보 기자로 입사하면서 기자 생활을 시작했으며, 4년 뒤인 1963년 조선일보로 옮겨 기자 생활을 이어갔다.[4] 1980년 편집국장으로 선임되었고 1983년에는 조선일보 이사에 선임되었다. 1985년 민주정의당의 공천을 받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 전국구 의원으로 당선되며 정계에 입문하였다.[4]

2. 2. 정치 입문과 노태우 정부 시절 (1985년 ~ 1993년)

조선일보 이사로 근무하던 1985년, 민주정의당 공천을 받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 전국구 의원으로 당선되며 정계에 입문하였다.[4]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후보로 출마한 노태우 후보의 캠프에서 일하며 그의 당선에 기여했다. 민주정의당 정책연구소 정세분석실장을 역임하였으며, 1988년 2월 노태우 정부 출범 이후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비서관에 임명되었다. 정무수석비서관 재임 시기 전두환을 비롯한 5공화국 인사들의 정치적 단죄를 주도하였으며, 5공 청문회를 개최하여 전두환을 국회로 소환하였다. 노태우 정부에서 문화공보부 장관, 국정홍보처 장관, 노동부 장관을 역임하였다.[3] 1990년 3당 합당 후 1992년 제14대 대통령 선거에서 김영삼 캠프로 들어가며 상도동계에 편입되었다. 3당 합당 이후 김영삼의 측근이 된 이들을 '신민주계' 로 부른다.

2. 3. 김영삼 정부 시절 (1993년 ~ 1997년)

1994년 11월 김영삼 정부의 마지막 관선 서울특별시장으로 임명되었다. 이듬해 6월 첫 지방선거가 실시되면서 1995년 6월 30일 퇴임하였으며, 퇴임 하루 전인 6월 29일 삼풍백화점 붕괴사고가 발생하여 조순 서울시장 당선인과 함께 현장을 찾아 구조 상황을 점검하고 진두지휘하였다.[10][11] 이듬해인 1996년 제15대 총선에서 서초구 갑 국회의원으로 당선되며 국회에 재입성하였으며, 1997년 제15대 대통령 선거에서 신한국당 경선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6위로 낙선하였다.

2. 4. 국회의원 및 한나라당 대표 시절 (1996년 ~ 2004년)

1996년 제15대 총선에서 서울특별시 서초구 갑 선거구에 신한국당 후보로 출마하여 국회의원에 당선되며 국회에 재입성하였다.[4] 1997년 제15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신한국당 대통령 후보 경선에 출마하였으나 6위로 낙선하였다. 이후 이회창 후보 캠프에서 활동하였으나, 이회창 후보가 김대중 후보에게 밀려 낙선하면서 한나라당은 야당이 되었다.[4]

1998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서울특별시장 후보로 출마하여 서울시장직에 재도전하였으나, 새정치국민회의 후보로 출마한 고건 후보에게 밀려 낙선하였다. 그러나 1999년 한나라당 부총재로 임명되면서 정치적으로 재기하였으며,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서울 강남구 갑 선거구에 한나라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4]

2002년 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 한나라당 경선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이회창 후보에게 밀려 2위로 낙선하였다. 대선 기간 동안 이회창 후보의 선거대책위원회 공동 의장으로 임명되어 선거 운동을 총괄하고 지지 유세에 참여하였다. 그러나 이회창 후보는 노무현 후보에게 다시 밀려 낙선하였고, 이후 정계 은퇴를 선언하였다.[4]

2003년 참여정부 출범 이후 서청원 의원을 누르고 한나라당의 대표최고위원으로 선출되었다. 최병렬 대표는 취임 초 오세훈, 남경필 의원 등 당내 '소장파' 의원들을 당직에 등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독수리 5형제' 로 불리던 김부겸, 이부영, 김영춘, 이우재, 안영근 의원 등이 노무현 대통령이 추진하던 개혁 신당에 합류하면서 당에 위기가 찾아왔다.[4]

2003년 말, 이회창 캠프가 대기업으로부터 받은 불법 대선 자금에 대한 수사가 시작되면서 한나라당의 지지율은 폭락하였다. 이회창은 미국에서 급거 귀국하여 한나라당 당사에서 사과 성명을 발표하였으며, 최병렬은 이회창에 대한 책임론을 거론하였으나 서청원 등 당내 이회창계 인사들의 거센 비판을 받았다.[4]

노무현 대통령이 측근 비리 의혹에 대한 특검법안에 거부권을 행사하자, 최병렬은 국회 당 회의실에서 8일 동안 단식 투쟁을 벌였다.[21] 김영삼 전 대통령은 최병렬의 단식 현장에 방문하여 "굶으면 죽는 건 확실하다"는 발언을 남겨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22] 2003년 12월 5일 특검법안이 국회에서 재가결되자 단식을 중단하였다.[4]

2004년 2월 9일, 최병렬 대표는 한화그룹으로부터 불법 정치 자금을 받은 혐의로 구속 수감된 서청원 의원에 대한 석방 결의안을 발의했고, 한나라당 주도로 결의안이 가결되면서 큰 논란이 일었다. 열린우리당, 새천년민주당 등 야권은 물론 남경필, 오세훈 등 당내 소장파 의원들 역시 최병렬의 석방 결의안 발의를 비판하였다. 최병렬은 제17대 총선 공천 심사 위원장을 맡은 김문수로부터 불출마 권유를 받자, 대표직 사퇴 및 조기 전당 대회 개최를 약속하였다.[4]

2004년 3월, 한나라당은 노무현 대통령에 대한 탄핵 소추안을 발의하였다. 노무현 대통령이 기자클럽과의 간담회에서 열린우리당에 대한 총선 지지를 호소했던 발언이 대통령의 선거 중립 의무를 위반했다는 것이 이유였다. 탄핵안은 새천년민주당과 한나라당이 공동 발의하고 자유민주연합, 민주국민당이 모두 발의에 동참하여 가 193표, 부 2표로 가결되었다. 최병렬은 한나라당 대표로서 탄핵안 통과를 주도하였고, 탄핵 당일 국회 본회의에 참석하여 탄핵 소추안에 찬성 투표를 하였다. 그러나 탄핵안 발의 직후 거센 역풍이 불었고, 한나라당의 지지율은 급격히 떨어졌다. 결국 최병렬은 2004년 3월 22일 대표직에서 사퇴함과 동시에 정계를 은퇴하였다. 최병렬이 대표직을 사퇴한 뒤 열린 임시 전당 대회에서 박근혜가 한나라당의 새 대표로 선출되었고, 제17대 총선에서 한나라당은 121석을 얻으며 탄핵 역풍 속에서도 개헌 발의선을 저지하며 만족스러운 성적을 거두었다. 박근혜는 총선 이후 열린 전당 대회에서 대표로 재선출되었다.[4]

2. 5. 노무현 대통령 탄핵 주도와 정계 은퇴 (2004년)

2003년 참여정부가 출범하고, 서청원 의원을 누르고 한나라당의 대표최고위원으로 선출되었다. 최병렬 대표는 취임 초기에 '소장파'로 불리던 오세훈, 남경필 의원 등을 당직에 등용하는 행보를 보였다. 그러나 소위 '독수리 5형제'로 불리던 김부겸, 이부영, 김영춘, 이우재, 안영근 등 의원 5명이 노무현 대통령이 추진하던 개혁 신당에 합류하면서 당의 위기가 찾아왔다. 또한 2003년 말, 대선 당시 이회창 캠프가 대기업으로부터 받은 불법 대선자금에 대한 수사가 시작되면서 한나라당의 지지율은 폭락하였다. 이회창은 미국에서 체류 중 급거 귀국하여 한나라당 당사에서 사과성명을 발표하였으며, 최병렬은 이에 이회창에 대한 책임론을 거론하였으나 대선 당시 이회창 캠프에서 일했던 서청원 등 당내 이회창계 인사들의 거센 비판에 직면하기도 하였다.

노무현 대통령이 측근 비리 의혹에 대한 특검법안에 거부권을 행사하자, 최병렬은 국회 당회의실에서 8일동안 단식투쟁을 벌이기도 했다.[21] 김영삼은 최병렬의 단식 현장에 방문하여 "굶으면 죽는 건 확실하다"는 뼈 있는 한 마디를 남겨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22] 2003년 12월 5일 특검법안이 국회에서 재가결되자 단식을 중단했다.

2004년 2월 9일, 최병렬 대표는 한화그룹으로부터 불법 정치자금을 받은 혐의로 구속 수감된 서청원 의원에 대한 석방결의안을 발의했고, 한나라당 주도로 결의안이 가결되면서 큰 논란이 벌어졌다. 열린우리당, 새천년민주당 등 야권으로부터 비판을 받은 것은 물론 남경필, 오세훈 등 당내 소장파들 역시 최병렬의 석방결의안 발의를 비판했다. 최병렬은 17대 총선의 공천심사위원장을 맡은 김문수로부터 불출마 권유를 받자, 대표직 사퇴 및 조기전당대회 개최를 약속하였다.

2004년 3월, 한나라당은 노무현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발의하였다. 노무현 대통령이 기자클럽과의 간담회에서 열린우리당에 대한 총선에서의 지지를 호소했던 발언이 대통령의 선거 중립 의무를 위배했다는 것이 이유였다. 탄핵안은 새천년민주당과 한나라당이 공동 발의하여 자유민주연합, 민주국민당이 모두 발의에 동참하였으며 가 193표, 부 2표로 가결되었다. 최병렬은 한나라당 대표로서 탄핵안 통과를 주도하였고 탄핵 당일 국회 본회의에 참석하여 탄핵소추안에 찬성 투표를 하였다. 그러나 탄핵안 발의 직후 탄핵안 발의에 대한 거센 역풍이 불거져나왔고 한나라당의 지지율은 급격히 떨어졌다. 결국 최병렬은 2004년 3월 22일 대표직에서 사퇴하였으며, 사퇴와 동시에 정계를 은퇴하였다. 최병렬이 대표직을 사퇴한 뒤 열린 임시전당대회에서 박근혜가 한나라당의 새 대표로 선출되었고, 17대 총선에서 한나라당은 121석을 얻으며 탄핵 역풍 속에서도 개헌발의선을 저지하며 만족스러운 성적을 거두었다. 박근혜는 총선 이후 열린 전당대회에서 대표로 재선출되었다.

2. 6. 정계 은퇴 이후 (2004년 ~ 2022년)

2004년 3월 22일, 노무현 대통령 탄핵 소추안 가결의 역풍으로 당 지지율이 급락하자 한나라당 대표직에서 사퇴함과 동시에 정계를 은퇴하였다.[21] 이후 한나라당 상임고문직을 유지하며 보수 원로로 활동하였다.

박근혜가 한나라당의 새 대표로 선출된 후 치러진 17대 총선에서 한나라당은 121석을 얻으며 탄핵 역풍 속에서도 개헌저지선을 지켜냈다.[21]

2022년 12월 2일, 삼성서울병원에서 노환으로 별세하였다.[1]

3. 학력

4. 경력

연도경력
1959년한국일보 기자
1963년조선일보 기자
1974년조선일보 정치부 부장
1979년조선일보 사회부 부장
1980년조선일보 편집국장[4]
1981년평화통일정책자문회의 자문위원
1983년조선일보 이사장
1985년민주정의당 국회의원 (12대)
1988년 2월노태우 대통령 비서실 정무수석비서관[3]
1988년 12월제12대 문화공보부 장관[3]
1990년 1월제1대 공보처 장관
1990년 12월제8대 노동부 장관
1992년 ~ 1993년김영삼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위원
1994년 11월 ~ 1995년 6월제29대 서울특별시[8][9]
1996년 ~ 1997년 11월제15대 신한국당 국회의원
신한국당 당무위원, 국회 국방위원회 위원, 국회 정보위원회 위원
1997년 11월제15대 한나라당 국회의원
1997년제15대 대통령선거 한나라당 공동선거대책위원회 위원장, 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 공동대표
1998년한나라당 부총재
2000년제16대 한나라당 국회의원
2003년한나라당 대표최고위원[4]
~ 2012년 2월한나라당 상임고문
2012년 2월 ~ 2017년 2월새누리당 상임고문
2017년 2월 ~ 2020년 2월자유한국당 상임고문
2020년 2월 ~ 2020년 9월미래통합당 상임고문
2020년 9월 ~ 2022년 12월국민의힘 상임고문
사단법인 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 명예대표


5. 가족 관계

아들은 崔喜畯|최희준한국어이다.[13] 사위는 서울동부지방검찰청 검사장을 지낸 韓璨湜|한찬식한국어이다.[14] 9촌 조카로 전 검사이자 청와대 비서관을 지낸 최재경과 전 국회의원 최구식이 있다.[15][16] 또한, 동생의 아들인 조카 중 한 명은 국회의원 천정배의 장녀와 결혼했다.[17][18]

6. 역대 선거 결과

연도선거 종류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순위당락비고
1985년총선민주정의당7,040,477표 (35.2%)전국구 34번당선초선
1992년총선민주자유당7,923,718표 (38.5%)전국구 10번당선재선
1996년총선신한국당40,191표 (48.56%)1위당선3선
1998년지방 선거한나라당1,512,854표 (43.99%)2위낙선민선 2기
2000년총선한나라당62,489표 (56.46%)1위당선4선


7. 평가

최병렬은 추진력이 강하고 강경한 인물로, 기자 시절 후배들로부터 "최히틀러"라고 불렸다.[9]

7. 1. 긍정적 평가

최병렬은 조선일보 편집국장을 지낸 후 정치에 입문하여, 노태우 대통령 시절 정무수석과 문화공보부 장관을 역임했다.[3] 1994년부터 1995년까지 서울특별시장을 역임했고, 이후 3선 국회의원을 지냈다.[4]

7. 2. 부정적 평가

기자 시절 후배들로부터 "최히틀러"라는 별명으로 불릴 정도로 강경한 성격의 소유자였다.[9] 노동부 장관 재임 시절에는 울산 현대자동차 공장 파업에 대해 강경 대응을 고수하였다.[9]

참조

[1] 웹사이트 최병렬 전 한나라당 대표 별세…향년 84 - 한겨레 https://www.hani.co.[...] 2023-02-28
[2] 웹사이트 '최틀러' 최병렬 전 한나라당 대표 별세…향년 84세 https://www.donga.co[...] 2023-02-28
[3] 웹사이트 최병렬 前한나라당 대표 별세 https://www.sedaily.[...] 2023-02-28
[4] 웹사이트 최병렬 전 한나라당 대표 별세…향년 84세(종합) https://www.yna.co.k[...] 2023-02-28
[5]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www.rokps.or[...] 2022-03-13
[6] 뉴스 「最後の官選ソウル市長」崔秉烈・元ハンナラ党代表が死去 https://www.donga.co[...] 2022-12-03
[7] 웹사이트 화순 최씨{{!}}글.이남우 기자{{!}}사진. 장남원 기자 https://www.joongang[...] 1987-03-25
[8] 웹사이트 포스코 회장설' 최병렬은 누구? 조선일보출신·盧탄핵 주도…아들은 TV조선 간판앵커 https://biz.chosun.c[...] 2021-04-10
[9] 웹사이트 최병렬 전 한나라당 대표 별세…'최틀러' 별명 가진 정통 보수 https://www.joongang[...] 2022-12-02
[10] 웹사이트 삼풍백화점 붕괴 정부대책-대형건물 月內 정밀진단 https://www.joongang[...] 1995-07-01
[11] 웹사이트 삼풍백화점 붕괴현장서 취임한 "포청천" https://www.joongang[...] 1995-07-01
[12] 뉴스 한나라 최병렬.하순봉 공천탈락(ハンナラ 崔秉烈 河舜鳳 公薦脱落) http://www.hani.co.k[...] The Hankyoreh 2004-03-04
[13] 웹사이트 최병렬 아들, 최희준 TV조선 해임…이유는 무엇이길래? https://www.ajunews.[...] 2019-10-16
[14] 웹사이트 '文청와대' 겨냥 한찬식 사의 …"윤석열發 검찰 물갈이 시작" https://www.joongang[...] 2019-07-23
[15] 웹사이트 최재경-최병렬-TV조선의 연결고리, 심상치 않다 http://www.mediatoda[...] 2016-10-30
[16] 웹사이트 '디도스 공격' 논란 중심, 최구식 의원은 누구? http://www.idomin.co[...] 2011-12-06
[17] 웹사이트 천정배-최병렬 사돈된다 https://www.joongang[...] 2006-11-21
[18] 웹사이트 [사진] 딸과 함께 입장하는 천정배 의원 https://www.joongang[...] 2007-01-20
[19] 웹사이트 한나라당, 최병렬·서청원·박희태 상임고문 위촉 http://app.yonhapnew[...]
[20] 웹인용 "경제 살리기에는 협력 잘못된 것 걸리면 박살" https://www.joongang[...] 2003-06-27
[21] 웹사이트 최병렬 단식과 '역대 정치인' 단식의 차이 https://www.pressian[...] 2003-11-26
[22] 웹사이트 김영삼 전 대통령의 어록 https://news.imaeil.[...] 2015-11-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