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필라바스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필라바스투는 산스크리트어와 팔리어로 기록된 지명으로, 석가모니가 태어나고 자란 샤카족의 거주지였다. 현재는 네팔의 틸라우라코트와 인도의 피프라화 두 곳을 카필라바스투의 유적지로 추정하며, 19세기부터 유적지 탐사가 이루어졌다. 틸라우라코트는 유네스코 세계 유산 후보지로 지정되었으나, 브래드퍼드 대학교의 조사 결과 석가모니 시대보다 후대의 유적으로 밝혀졌다. 피프라화에서는 석가모니의 유골이 발견되었고, 초기 불교 유적의 흔적이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팔의 고대사 - 마우리아 제국
마우리아 제국은 찬드라굽타 마우리아가 건국하여 아소카 대제 때 최전성기를 누렸으나 쇠퇴하여 숭가 제국에 의해 멸망한 고대 인도 제국으로, 중앙집권적 통치, 불교 전파, 헬레니즘 교류 등의 특징을 가지며 인도 문화와 역사에 큰 영향을 남겼다. - 네팔의 고대사 - 굽타 제국
굽타 제국은 4세기부터 6세기까지 인도 아대륙 북부를 지배하며 정치적 안정과 경제 번영을 누렸고, 문화, 예술, 과학 분야에서 큰 발전을 이뤘으나 훈족의 침입과 지방 세력의 성장으로 쇠퇴하여 6세기 중반에 멸망한 고대 인도 제국이다. - 샤카족 - 아누룻다
아누룻다는 석가모니의 사촌이자 제자로, 석가족 왕자 출신으로 출가하여 불면불휴의 수행 끝에 천안통을 얻었고 붓다의 마지막 포교 여행에 동행했으며 앙굿따라 니까야를 보관하고 150세에 입적했다. - 샤카족 - 슈도다나
슈도다나는 석가모니의 아버지이자 카필라바스투의 샤카족을 다스린 인물로, 세습 군주인지 부족 수장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지만 석가모니의 출가를 반대하다 귀의를 받아들여 아라한이 되었다고 전해진다. - 불교의 역사 - 일본의 불교
일본의 불교는 6세기 백제에서 전래되어 중국과 한국 불교의 영향을 받았으며, 아스카 시대부터 여러 시대를 거치며 다양한 종파가 등장하고 발전하여 사회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 불교의 역사 - 룸비니
룸비니는 네팔에 위치한 석가모니 부처의 탄생지로, 아쇼카 왕의 기둥 비문과 마야데비 사원 발굴 조사로 역사적 중요성이 부각되었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국제적인 불교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지만, 탄생지에 대한 고고학적 증거에 대한 논쟁도 존재한다.
카필라바스투 | |
---|---|
개요 | |
![]() | |
일반 정보 | |
위치 | 틸라우라코트 및 피프라화 (인도-네팔 국경 지역) |
다른 이름 | 카필라바투 (Kapilavatthu) |
역사 | |
관련 인물 | 수도다나 마야 |
추가 정보 | |
관련 유적 | 산치 틸라우라코트 피프라화 |
2. 명칭
- 산스크리트어: Kapila-vastu|카필라바스투sa
- 팔리어: Kapilavatthu|카필라와투pi
- 한역 음사: 가비라파솔, 가비라파소두, 가비라위 등 다수
- 번역: 창성, 창주성, 황적성, 황두거처, 황발선인주소, 적택국, 묘덕성 등
덧붙여, 카필라는 어떤 선인(리시)의 이름이며, "바스투" 또는 "와투"는 "토지"를 의미하는 단어이다.
3. 역사적 배경 및 기원
샤카족의 거주지였고, 석가모니는 이곳에서 자랐다.
지명의 유래에 관해서는, 석가모니 이전에 이 땅에 카필라(Kapila)라는 노란 머리카락을 한 리시(선인)가 살았던 데서 유래했다는 설과, 카필라를 모셨던 데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남전 불교에 따르면, 샤카족의 시조인 감서왕(Okkāka)은 사케타라는 땅에서 왕국을 세웠다. 그러나 그의 네 아들과 다섯 딸이 왕에게 추방되어 히말라야 산맥의 산 쪽으로 가게 되었고, 카필라 선인이 있던 이 땅에 정착하여 새로운 왕국을 세웠다고 전해진다. 그 초대 왕의 이름은 옥카카 무카(Okkāka mukha)라고 한다. 북전 불교에서는 감서왕의 네 아들이 추방되어 카필라바스투를 건국했다고 전한다.
카필라 성에서 바이샬리까지는 51유순, 아노마 강(Anoma River)까지는 30유순, 왕사성에서는 60유순의 거리였다고 한다.
석가모니 말년에 비루리왕에 의해 멸망했다. 서기 5세기 초, 법현이 이 땅을 방문했을 때 성터는 이미 황무지가 되어 있었고, 민가가 수십 호 정도만 남아 있었다고 『불국기』에 기록되어 있다.
4. 위치 비정 논쟁
석가모니 입멸 후 약 1000년 동안 카필라바스투는 불교 순례지였으며, 5세기의 법현과 7세기의 현장 같은 중국 승려들이 방문하여 기록을 남겼다.[23][24][25][26][7][8][9][10] 그러나 이후 이 지역에서 불교의 영향력이 약해지고 힌두교와 이슬람교가 우세해지면서 14세기경에는 그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게 되었다.
잊혔던 카필라바스투 유적지를 찾기 위한 노력은 19세기에 법현과 현장의 기록을 토대로 시작되었다. 이 과정에서 고고학자들은 두 곳을 유력한 후보지로 지목했는데, 하나는 오늘날 네팔의 틸라우라코트이고 다른 하나는 인도의 피프라화이다.[27][28][29][11][12][13] 두 유적지 모두 고고학적 유물이 남아 있다.[22][30][31][32][6][14][15][16]
20세기 후반에 들어 카필라바스투의 위치는 다시 큰 관심사로 떠올랐으며, 네팔과 인도 양측에서 각기 다른 지역을 주장하며 위치에 대한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
4. 1. 네팔 틸라우라코트
네팔의 테라이 지방에 위치한 틸라우라코트를 카필라바스투로 보는 주장이 있다. 이는 현재 인도 우타르 프라데시 주 싯다르타나가르 현의 피프라와(Piprahwa)가 카필라바스투라는 주장과 대립하며, 네팔과 인도 양측의 견해 차이는 쉽게 좁혀지지 않고 있다. 일본에서는 1970년대 릿쇼 대학 연구원이 네팔 당국과 공동으로 틸라우라코트를 카필라바스투로 발표하기도 했으며, 나가사와 카즈토시 등 일부 학자가 이를 지지하지만 학계의 정설로 인정받지는 못하고 있다.네팔 정부는 1996년 9월 2일, 테라이 평원 서부의 룸비니 지역과 틸라우라코트를 석가모니 탄생 관련 유적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 후보지로 신청했다. 이 중 룸비니 지역만 1997년에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유네스코는 틸라우라코트에 대해서는 전문가의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였고, 이에 따라 2001년 영국 브래드퍼드 대학교 고고학팀이 현지 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기원전 1000년에서 6세기경의 것으로 추정되는 도자기 조각 등이 발견되었으나, 현재 남아있는 건축 유적 등은 석가모니 생존 시기보다 후대의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후에도 네팔 정부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ICOMOS)와 지속적으로 협의하며 틸라우라코트의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있다. 2012년에는 등재 신청 지역의 측량 도면을 제출했으며, 2018년에는 유적지 내 개발 문제 관리 및 위원회의 질의에 대한 답변을 2019년까지 보고하도록 권고받는 등 등재를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4. 2. 인도 피프라화
인도는 현재 우타르 프라데시 주 싯다르타나가르 현에 위치한 Piprahwa|피프라와영어가 카필라바스투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의 근거 중 하나는 1898년 영국 주재관이었던 W. C. 페페(William Claxton Peppe, ?~1946)의 발굴이다. 그는 피프라와에서 경전과 함께 "고타마 싯다르타의 유골 및 그 일족의 유골"이라는 명문이 새겨진 항아리를 발굴했다. 또한 근대에 들어 "카필라바스투"라는 글자가 새겨진 인장 등이 출토되면서 피프라와가 카필라바스투일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확정된 것은 아니다.
페페 등이 발굴한 유물 중 일부는 당시 시암 왕(현재의 태국)이었던 라마 5세에게 헌상되었다. 라마 5세는 이 유물 중 일부를 1900년 5월 일본 동본원사 대표에게 수여했다. 수여식은 방콕의 사찰 왓 포에서 열렸으며, 이때 전달된 것은 사리와 금동 석가상, 팔리어 불경의 크메르어 사본으로 보이는 금자 인쇄물(2엽)이었다. 이 중 석가상과 불사리는 1904년 이후 나고야의 가쿠오잔 니타이지에 안치되었고, 경전은 교토의 오타니 대학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
5. 19세기 탐사
19세기 카필라바스투 유적지를 찾기 위한 탐사는 과거 이곳을 순례했던 중국 불교 승려 법현과 후대의 현장이 남긴 기록을 바탕으로 진행되었다.[23][24][25][26][7][8][9][10] 이 과정에서 고고학자들은 카필라바스투의 정확한 위치에 대해 서로 다른 견해를 제시했다. 일부는 오늘날 네팔의 틸라우라코트를 지목했고,[27][28][29][11][12][13] 다른 일부는 오늘날 인도의 피프라화를 옛 샤카국의 수도였던 카필라바스투로 특정했다.[27][28][29][11][12][13]
두 유적지 모두 고고학적 유물이 발견되었는데,[27][28][29][11][12][13] 특히 피프라화 유적에서는 탑(스투파)과 승원 유적이 발굴되었다. 또한 석가모니의 유물로 추정되는 것이 발견되어, 이곳이 초기 불교의 중요한 유적지였음을 보여주는 증거로 여겨진다.[22][30][31][32][6][14][15][16]
6. 고대 기록
마야 부인이 석가모니를 잉태할 때 꾸었다고 전해지는 코끼리 꿈은 카필라바스투를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는 산치 대탑 동문에 새겨진 조각에서 묘사된 코끼리를 통해 알 수 있다. 또한, 산치 대탑 제1탑의 북문에는 석가모니가 카필라바스투를 떠나는 장면이 조각되어 있다.
7. 주요 인물
8. 갤러리
8. 1. 틸라우라코트 (네팔)
틸라우라코트에는 유적군이 존재한다. 다만, 브래드포드 대학교의 조사에 따르면 이 유적들은 석가모니보다 후대의 것으로 밝혀졌다.


8. 2. 피프라화 (인도)
피프라와(Piprahwa|피프라와영어)의 불교 유적에서는 불사리와 경전 일부가 출토되었으며, 이 중 일부는 일본으로 전해졌다.
참조
[1]
서적
Guide To Sanchi
https://archive.org/[...]
ASI
1918
[2]
서적
Encyclopedia of Buddhism
https://books.google[...]
Routledge
[3]
문서
Kapila
https://suttacentral[...]
PTS Pali English Dictionary
[4]
문서
Suttacentral
[5]
저널
Indian Mendicants in Ming and Qing China: A Preliminary Study
https://books.opened[...]
2020
[6]
저널
Archaeological Excavations at Piprāhwā and Ganwaria and the Identification of Kapilavastu
http://journals.ub.u[...]
[7]
서적
Si-Yu-Ki: Buddhist Records of the Western World, by Hiuen Tsiang
https://archive.org/[...]
London.
[8]
서적
The Life of Hiuen-Tsiang. Translated from the Chinese of Shaman (monk) Hwui Li
https://archive.org/[...]
London
[9]
서적
The Great Tang Dynasty Record of the Western Regions
http://bdkamerica.or[...]
Numata Center for Buddhist Translation and Research
[10]
서적
On Yuan Chwang's Travels in India, 629–645 A.D. Volume1
https://archive.org/[...]
Royal Asiatic Society, London
[11]
간행물
The Ancient City of Kapilvastu – Revisited
http://himalaya.soca[...]
2002-11
[12]
웹사이트
Competing Claims on Buddha's Hometown
http://www.archaeolo[...]
Archaeology.org
2001-03
[13]
간행물
Kapilavastu and Its Precise Location
[14]
뉴스
UP's Piprahwa is Buddha's Kapilvastu?
http://timesofindia.[...]
2015-05-04
[15]
웹사이트
Kapilavastu
http://www.vam.ac.uk[...]
[16]
간행물
Sowing the Seeds of the Lotus
http://huntingtonarc[...]
1986
[17]
웹사이트
Guide To Sanchi
https://archive.org/[...]
ASI
1918
[18]
웹사이트
カピラヴァストゥの遺構 [Kapilavastu > Excavations]
https://www.photodha[...]
[19]
서적
Encyclopedia of Buddhism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
문서
Kapila
https://suttacentral[...]
PTS Pali English Dictionary
[21]
문서
Suttacentral
[22]
저널
Archaeological Excavations at Piprāhwā and Ganwaria and the Identification of Kapilavastu
http://journals.ub.u[...]
[23]
서적
Si-Yu-Ki: Buddhist Records of the Western World, by Hiuen Tsiang
https://archive.org/[...]
London.
[24]
서적
The Life of Hiuen-Tsiang. Translated from the Chinese of Shaman (monk) Hwui Li
https://archive.org/[...]
London
[25]
서적
The Great Tang Dynasty Record of the Western Regions
http://bdkamerica.or[...]
Numata Center for Buddhist Translation and Research
[26]
서적
On Yuan Chwang's Travels in India, 629-645 A.D. Volume1
https://archive.org/[...]
Royal Asiatic Society, London
[27]
간행물
The Ancient City of Kapilvastu - Revisited
http://himalaya.soca[...]
2002-11
[28]
웹인용
Competing Claims on Buddha's Hometown
http://www.archaeolo[...]
Archaeology.org
2001-03
[29]
간행물
Kapilavastu and Its Precise Location
[30]
간행물
UP's Piprahwa is Buddha's Kapilvastu?
http://timesofindia.[...]
2015-05-04
[31]
웹인용
Kapilavastu
http://www.vam.ac.uk[...]
[32]
간행물
Sowing the Seeds of the Lotus
http://huntingtonarc[...]
198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