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진보보수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캐나다 진보보수당은 1942년 캐나다 보수당이 명칭을 변경하여 창당된 정당으로, 캐나다의 주요 정당 중 하나였다. 1867년 연방 결성 이후 자유보수당을 기반으로 창당된 보수당은 40년 이상 집권하며 캐나다 정치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1942년 "진보" 명칭을 추가하며 당의 이념적 스펙트럼을 넓히고자 했으나, 1993년 총선에서 대참패를 겪으며 몰락했다. 이후 2003년 캐나다 동맹과의 합당을 통해 캐나다 보수당으로 재창당되었다. 진보보수당은 중도 우파 정당으로, 레드 토리와 블루 토리 두 파벌을 중심으로 다양한 정책과 이념적 스펙트럼을 보여주었으며, 자유 무역, 환경 보호, 퀘벡과의 관계 개선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3년 해산된 정당 - 캐나다 동맹
캐나다 동맹은 2000년 개혁당을 기반으로 창당된 보수 정당으로, 진보보수당과의 통합 실패 후 2000년 총선에서 야당이 되었으나, 2003년 진보보수당과 합당하여 캐나다 보수당으로 재창당되었다. - 캐나다의 해산된 정당 - 캐나다 동맹
캐나다 동맹은 2000년 개혁당을 기반으로 창당된 보수 정당으로, 진보보수당과의 통합 실패 후 2000년 총선에서 야당이 되었으나, 2003년 진보보수당과 합당하여 캐나다 보수당으로 재창당되었다. - 캐나다의 해산된 정당 - 캐나다 보수당 (1867년)
캐나다 보수당(1867년)은 자유-보수당 연합에서 기원하여 캐나다 연합을 지지하고 강력한 중앙 정부 수립에 기여했으며, 존 A. 맥도널드가 초대 총리가 되어 캐나다 최초의 국가 정부를 구성했고, 이후 진보보수당으로 당명을 변경했다. - 캐나다의 정당 - 캐나다 자유당
캐나다 자유당은 1867년 결성되어 자유주의 이념을 바탕으로 개인의 자유, 사회 정의, 다문화주의를 옹호하며, 보수당과 번갈아 가며 집권하여 캐나다의 주권 강화와 다문화주의를 추진해왔다. - 캐나다의 정당 - 캐나다 보수당
캐나다 보수당은 2003년 진보보수당과 캐나다 동맹의 합당으로 창당되어 1867년 건국 이후 보수 정당의 계보를 잇는 중도우파 정당으로,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집권했으며 현재 피에르 폴리에브르가 대표를 맡고 재정 책임성, 개인의 자유, 강력한 국방을 주요 정책으로 한다.
캐나다 진보보수당 | |
---|---|
기본 정보 | |
![]() | |
창립일 | 1942년 12월 10일 |
해산일 | 2003년 12월 7일 |
전신 | 캐나다 보수당 (1867) |
합병 대상 | 캐나다 보수당 (2003) |
본부 | 오타와, 온타리오 |
이념 | 진보 보수주의 자유 보수주의 경제 자유주의 |
정치 성향 | 중도 ~ 중도우파 |
국제 연맹 | 국제 민주 연맹 |
색상 | 파랑-보라색 |
웹사이트 | pcparty.ca (보관된 페이지) |
재정 정책 | |
의석수 | |
관련 정당 목록 | |
선거 | 캐나다 연방 총선 목록 |
프랑스어 명칭 | |
명칭 | Parti progressiste-conservateur du Canada |
2. 역사
캐나다 진보보수당은 1867년 연방 결성 이전부터 존재했으며, 존 A. 맥도널드 경의 지휘 아래 캐나다 최초의 집권당이 되었다.[1] 이 당은 자유당의 보수 성향 전직 의원들을 다수 받아들였다. 연방 보수당은 캐나다 초기 70년 중 40년 이상을 통치했지만, 자유당에 이어 국가 두 번째 연방 정당으로서 야당으로 역사의 대부분을 보냈다.
1896년부터 1993년까지 보수당은 여섯 차례 정부를 구성했다.
- 1911년 ~ 1921년
- 1926년 (잠시)
- 1930년 ~ 1935년
- 1957년 ~ 1963년
- 1979년 ~ 1980년
- 1984년 ~ 1993년
1958년과 1984년에는 200석 이상을 확보하는 기록을 달성하기도 했다.[1]
1942년, 매니토바 주 총리였던 존 브래컨이 당명을 "진보보수당"으로 변경하는 조건으로 연방 보수당 대표가 되었다. 많은 캐나다인들은 이 정당을 "보수당"이라고 불렀지만, 공식 명칭은 "진보보수당"이었다.
1885년부터 이 정당의 주요 약점은 퀘벡에서 지지를 얻지 못하는 것이었는데, 이는 루이 리엘 처형과 1917년 징병 위기 등으로 인해 프랑스계 캐나다인들의 소외감이 커졌기 때문이다. 20세기 연방 정치에서 보수당은 프랑스계 캐나다인의 이익에 무관심한 것으로 여겨졌으며, 퀘벡에서 많은 의석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예외적인 경우도 있었다.
- 1930년 연방 선거에서 리처드 베드퍼드 베넷은 퀘벡의 농촌 지역에서 24석을 확보했다.
- 1958년 연방 선거에서 존 디펜베이커는 퀘벡 75석 중 50석을 차지했다.
- 1984년과 1988년 연방 선거에서 브라이언 멀로니는 퀘벡 민족주의자들과의 협력을 통해 전국적인 지지를 얻었다.
1980년대 후반, 미치 호수 협정 실패 등으로 멀로니의 연합은 분열되었고, 1993년 연방 선거에서 2석만을 얻는 참패를 겪었다. 이후 10년간 쇠퇴를 겪다가, 2003년 캐나다 연합과 합병하여 오늘날의 캐나다 보수당을 결성하면서 공식적으로 해산되었다.
몇몇 주에서는 진보보수당이 계속 존재하고 있으며, 합병에 반대하는 상원 의원들이 캐나다 의회에서 진보보수당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2. 1. 창당 배경 (1867-1942)
캐나다 연방 결성 이전부터 존재하던 자유보수당은 존 A. 맥도널드 경의 지휘 아래 1867년 캐나다 최초의 집권당이 되었다.[1] 이 당은 자유당의 보수 성향 전직 의원들을 다수 받아들였다. 연방 보수당은 캐나다 초기 70년 중 40년 이상을 통치했다.초기 보수당은 대영 제국과의 관계, 군주제 지지, 그리고 지역 산업 보호를 위한 높은 수입 장벽을 유지하는 보호무역주의를 강조했다. 이는 수출 주도형 산업화를 추구하는 중상주의적 접근 방식을 반영한 것이었다.
2. 2. 진보보수당으로의 전환 (1942-1956)
1942년, 매니토바 주 총리이자 해당 주의 진보당 지도자였던 존 브래컨은 당명을 "진보보수당"으로 변경하는 조건으로 연방 보수당 대표가 되었다. 이름 변경에도 불구하고, 이전 진보당 지지자들은 캐나다 자유당이나 협동 연방 연맹을 계속 지지했으며, 브래컨의 보수당 대표직은 1948년에 끝났다. 많은 캐나다인들은 이 정당을 "보수당"이라고 불렀다.2. 3. 디펜베이커 정부 (1957-1963)
존 디펜베이커는 1958년 연방 선거에서 퀘벡의 우익 국민 연합 주 정부의 지원을 받아 퀘벡 75석 중 50석을 차지하는 압승을 거두었다.[1] 이는 캐나다 역사상 최대 의석 확보였다. 디펜베이커 정부는 캐나다의 다문화주의를 강조하고, 사회 복지 정책을 확대하는 등 진보적인 정책을 추진했다. 그러나 미국과의 핵무기 배치 문제로 갈등을 겪었으며, 이는 1963년 총선 패배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2. 4. 스탠필드와 클라크 시대 (1967-1983)
로버트 스탠필드는 존 디펜베이커의 뒤를 이어 당수가 되었으나, 피에르 트뤼도 총리의 자유당 정부에 맞서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2] 1976년, 조 클라크가 당수가 되어 1979년 총선에서 승리했지만, 소수 정부를 구성하여 짧은 기간 동안만 집권했다.[2]2. 5. 멀로니 정부 (1984-1993)
1984년과 1988년 연방 선거에서 브라이언 멀로니 당 대표는 퀘벡 출신으로 퀘벡 민족주의자들과의 협력을 통해 전국적인 지지를 얻었다. 그러나 1980년대 후반, 퀘벡과의 헌법 개정 협상(미치 호수 협정) 실패 등으로 인해 멀로니의 광범위한 연합은 분열되었다.멀로니 정부는 미국과의 자유 무역 협정을 체결하고 환경 보호 정책을 강화하는 등 신자유주의적 정책과 진보적 정책을 동시에 추진했다. 그러나 경기 침체, 재정 적자, 부패 스캔들로 인해 지지율이 하락했다.
2. 6. 몰락과 합당 (1993-2003)
1993년 캐나다 총선에서 킴 캠벨 총리 하의 진보보수당은 개원 전 169석 중 167석을 잃는 대참패를 겪고 겨우 2석을 얻는 미니 정당으로 전락했다.[3] 이는 의원내각제가 발달한 선진국의 집권여당이 이 정도로 궤멸적인 패배를 겪은 드문 사례로, 소선거구제의 모델 케이스로 소개되기도 한다.이후 1997년 캐나다 총선에서는 20석까지 회복했지만, 과거의 영향력을 되찾지 못하고 소수 정당으로 남았다. 결국 2003년, 캐나다 동맹과 합당하여 캐나다 보수당을 결성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한편, 일부 캐나다 의회 상원 의원들은 캐나다 동맹과의 합당에 반대하여 진보보수당으로 계속 활동하기도 했다.
3. 이념 및 정책
진보보수당은 정치적으로 중도 우파 성향을 가진 정당이었다. 1867년 창당 당시부터 개신교와 퀘벡의 로마 가톨릭의 사회적 가치, 영국 제국주의, 캐나다 민족주의, 그리고 헌법적 중앙집권주의를 주요 이념으로 삼았다.[1]
캐나다의 보수주의는 미국보다는 영국과 유럽의 보수주의와 유사한 점이 많았다. 이른바 "토리"적 접근 방식은 1917년까지 당의 주요 기조였으며, 당시 자유주의자들이 주장하던 사회, 경제 문제에 대한 정부 개입 축소에 반대했다.
캐나다 자유당과 마찬가지로 진보보수당은 다양한 구성원을 아우르는 "빅 텐트" 정당을 표방했다. 그러나 자유당과는 달리, 당 내부에는 오랜 파벌주의의 역사가 존재했다. 이러한 파벌주의는 선거 패배와 자유당을 꺾기 위한 특정 정치 그룹과의 연대 과정에서 발생했다.
1942년, 젊은 보수주의자들은 온타리오주 포트 호프에 모여 새로운 보수 정책을 논의했다. 이들은 자유 기업, 징병제 지지 등 전통적인 보수적 가치와 함께 완전 고용, 저가 주택, 노동 조합 권리, 정부 지원 의료보험 제도와 같은 진보적인 정책들을 포함하는 강령을 채택했다.[1]
left 경, 캐나다 초대 총리]]
초창기 진보보수당은 경제 발전에 있어 중상주의적 접근 방식을 취했다. 즉, 지역 산업 보호를 위해 높은 수입 장벽을 유지하면서 수출 주도형 산업화를 추구하는 방식이었다.
1960년대 말과 1970년대 퀘벡에서 일어난 조용한 혁명 이후, 진보보수당은 프랑스계 캐나다인들에게 더 다가갈 필요성을 느꼈다. 동시에 당은 경제 민족주의에서 신자유주의로 정책 기조를 전환하기 시작했다.
브라이언 멀로니는 1983년 당 대표 선거에서 미국과의 자유 무역에 반대한다고 밝혔으나, 캐나다 재계의 대륙주의 정서 확산과 로널드 레이건의 "레이건 혁명"의 영향으로 자유 무역을 수용하게 되었다. 그의 정부는 캐나다-미국 자유 무역 협정 체결을 권고한 1985년 캐나다 경제 연합 및 개발 전망에 관한 왕립 위원회의 제안을 지지했다.
원래 대륙주의를 지지하고 영국과의 경제적 유대를 선호하며 미국과의 자유 무역에 반대했던 것은 자유당이었다. 그러나 대영 제국의 해체와 피에르 트뤼도 정부 시절 자유당의 경제 민족주의 정책으로 인해 두 정당의 전통적인 입장은 바뀌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멀로니는 캐나다-미국 자유 무역 협정을 주요 공약으로 내걸고 1988년 선거에서 승리했다.
멀로니는 또한 1982년 캐나다 헌법 개정 당시 다른 주들과 달리 퀘벡이 헌법을 지지하도록 만들기 위해 퀘벡에 더 큰 자율성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헌법을 개정하겠다고 약속했다.
진보보수당은 신자유주의로 전환했지만, 다른 신자유주의 정당들과는 달리 사회적으로 진보적인 정책들을 유지했다. 멀로니 정부는 환경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처했으며, 엘리자베스 메이(현 캐나다 녹색당 대표)의 도움을 받아 적극적인 환경 정책을 추진했다. 멀로니는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을 설득하여 산성비 감소 조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3. 1. 이념적 스펙트럼
진보보수당은 일반적으로 정치 스펙트럼에서 중도 우파로 분류되었다. 1867년부터 이 당은 개신교와 퀘벡의 로마 가톨릭의 사회적 가치, 영국 제국주의, 캐나다 민족주의, 그리고 헌법적 중앙집권주의와 동일시되었다.[1] 이는 1920년까지 매우 성공적이었으며, 이 시점까지 당은 자치령에서 가장 성공적인 연방 정당이었다.캐나다 보수주의는 역사적으로 미국보다 영국과 유럽에서 행해졌던 것과 더 유사했다. "토리" 접근 방식은 1917년까지 당에 잘 통했지만, 19세기 보수 운동에서 흔히 볼 수 있듯이, 캐나다 토리는 당시 자유주의자들이 옹호했던 사회 및 경제 문제에 대한 정부 개입 축소를 반대했다.
연방 자유당 경쟁자들처럼, 당은 다양한 구성원을 환영하는 "빅 텐트"로 스스로를 정의했다. 자유당과 달리, 이 텐트 안에는 오랜 파벌주의 역사가 있었다. 이러한 파벌주의는 당의 선거 실패로 인해 발생했으며, 당이 자유당을 무너뜨릴 충분한 지지를 얻기 위해 특정 정치 그룹에 접근했기 때문이다.
후년에는 관찰자들이 일반적으로 PC당의 핵심 구성원을 "레드 토리"와 "블루 토리"의 두 진영으로 분류했다.
- 레드 토리: 전통적으로 보수적이며, 사회 정책에서 디즈레일리적 의미의 "토리"로, ''노블레스 오블리제'', 공동체주의, 하나의 국가 보수주의의 원칙을 높이 평가하며, 경제 정책에서 온건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역사적으로 대부분 보호 무역주의자였으며, 제국 자유 무역과 같이 제한적인 방식으로만 자유 무역 경제에 참여했다. 주목할 만한 레드 토리로는 존 파딩, 조지 그랜트, 존 디펜베이커, E. 데이비 펄튼, 로버트 스탠필드 등이 있다.
- 블루 토리: 원래 몬트리올과 토론토의 상업 계급에서 나온 토리 엘리트의 구성원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전에는 사회 정책에서 일반적으로 보수적이었고 경제 정책에서 고전 자유주의적이었다. 1964년부터 이 간부들은 배리 골드워터와 로널드 레이건이 주창한 미국의 공화당의 신자유주의적 영향과 키스 조셉 경과 마가렛 대처가 대표하는 영국의 보수당의 대처리즘 지도력과 더 동일시되었다.
1970년대에 등장한 신보수주의자들은 1980년대 후반에 당 내에서 수가 상당히 감소했으며, 많은 불만을 품은 사람들은 신자유주의와 신보수주의 성향의 캐나다 개혁당과 같은 정당으로 흘러갔다.
캐나다 신보수주의자들은 개인주의와 경제적 자유주의를 더 선호한다. 캐나다 연합과 그 전신인 캐나다 개혁당에 대한 지지는 주로 이 집단에서 나왔으며, 그 지지는 새로운 캐나다 보수당으로 이어졌다.
3. 2. 주요 정책
진보보수당은 대체로 정치 스펙트럼에서 중도 우파로 평가받았다. 1867년부터 이 정당은 개신교와 퀘벡의 로마 가톨릭의 사회적 가치, 영국 제국주의, 캐나다 민족주의, 그리고 헌법적 중앙집권주의와 관련이 있었다. 1920년까지 이 당은 캐나다 자치령에서 가장 성공적인 연방 정당이었다.[1]캐나다 보수주의는 역사적으로 미국보다는 영국과 어느 정도 유럽에서 행해졌던 것과 더 유사했다. "토리" 접근 방식은 1917년까지 당에 잘 맞았지만, 19세기 보수 운동에서 흔히 볼 수 있듯이, 캐나다 토리는 당시 자유주의자들이 옹호했던 사회 및 경제 문제에 대한 정부 개입 축소를 반대했다. 그러나 "미국 보수"와 달리, 그들은 중상주의와 초기 복지 국가 개념을 따르면서 20세기 전반기에 급격한 이념적 전환을 겪지 않았다.
연방 자유당 경쟁자들처럼, 당은 상대적으로 느슨하게 정의된 목표를 지지하는 다양한 구성원을 환영하는 "빅 텐트"로 스스로를 정의했다. 자유당과 달리, 이 텐트 안에는 오랜 파벌주의 역사가 있었다. 이러한 파벌주의는 당의 선거 실패로 인해 발생했으며, 당이 자유당을 꺾을 충분한 지지를 얻기 위해 특정 정치 그룹에 접근했기 때문이다. 이 그룹들은 1980년대의 퀘벡 민족주의자나 서부 캐나다 개혁가와 같이 당 내에서 반 자치적 블록으로 남아 있었다.
1942년, 캐나다 보수당의 젊은 보수주의자들은 정치적 난관에서 벗어나기 위해 새로운 보수 정책을 개발하고자 온타리오주 포트 호프에 모였다. 포트 호프 지지자들은 자유 기업과 징병제 지원과 같은 많은 보수적 목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그러나 이 헌장에는 완전 고용, 저가 주택, 노동 조합 권리, 정부 자금 지원 메디케어 시스템을 포함한 광범위한 사회 보장 조치와 같은 급진적인 정책도 포함되어 있었다.[1]
left 경, 캐나다 초대 총리]]
캐나다 연방 초기에 당은 경제 개발에 대한 중상주의적 접근 방식을 지지했다. 즉, 지역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높은 수입 장벽을 유지하면서 수출 주도형 산업화를 추구했다.
1960년대 말과 1970년대에 퀘벡의 조용한 혁명 이후, 진보보수당은 캐나다의 프랑스계 인구에 대한 호소력을 높일 필요가 있음을 인식했다. 동시에 보수당은 경제 민족주의에서 신자유주의 플랫폼으로 전환했다.
브라이언 멀로니는 1983년 당 대표 선거에서 미국과의 자유 무역에 반대한다고 선언했다. 그러나 캐나다 재계 지도자들 사이에서 대륙주의 정서가 커지고 "레이건 혁명"이 캐나다 보수주의 사상에 미치는 영향으로 인해 멀로니는 자유 무역을 수용하게 되었다. 그의 정부는 캐나다가 미국과의 자유 무역 협정을 추진해야 한다는 1985년 캐나다 경제 연합 및 개발 전망에 관한 왕립 위원회의 권고를 지지했다.
전통적으로, 대륙주의 입장을 고수하고 영국과의 경제적 유대 관계를 선호하며 미국과의 자유 무역에 반대했던 것은 자유당이었다. 대영 제국의 해체와 피에르 트뤼도 치하 자유당의 경제 민족주의로 인해 두 정당의 전통적인 입장은 역전되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멀로니는 캐나다-미국 자유 무역 협정을 쟁점으로 1988년 선거에서 승리했다.
멀로니는 또한 1982년 캐나다의 다른 주와 달리 퀘벡이 개정된 헌법을 지지하도록 캐나다 헌법을 개혁하겠다고 퀘벡인들에게 약속했다. 이를 위해 멀로니는 퀘벡에게 더 큰 자율성을 가진 연방 캐나다 내에서 별개의 사회적 지위를 부여하겠다고 약속했다.
진보보수당은 신자유주의로 전환했지만, 신자유주의를 옹호한 다른 정당들과 달리 사회 진보 정책을 유지했다. 멀로니와 정부는 당시 환경 정책 고문이자 현재 캐나다 녹색당 대표인 엘리자베스 메이의 도움을 받아 적극적인 환경 의제를 추진했다. 멀로니와 미국 정부 관계자들은 산성비에 대한 조치를 놓고 논쟁을 벌였다. 결국 멀로니는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을 설득하여 산성비를 줄이기 위한 조약을 체결하게 했다.
4. 역대 당 대표
캐나다/정치사에 있어서, 1942년 존 브래컨이 당 대표로 선출되면서 캐나다 보수당에서 당명을 변경하면서 "진보보수당"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2]
역대 당 대표
대수 | 초상 | 이름 | 재임 기간 | 지역구 |
---|---|---|---|---|
1 | ![]() | 존 브래컨 | 1942년 12월 11일 ~ 1948년 7월 20일 | 매니토바 네파와 |
2 | ![]() | 조지 드루 | 1948년 10월 2일 ~ 1956년 11월 29일 | 온타리오 칼튼 |
대행 | 윌리엄 얼 로 | 1956년 11월 29일 ~ 1956년 12월 14일 | 온타리오 더퍼린-심코 | |
3 | ![]() | 존 디펜베이커 | 1956년 12월 14일 ~ 1967년 9월 9일 | 서스캐처원 프린스 앨버트 |
4 | -- | 로버트 스탠필드 | 1967년 9월 9일 ~ 1976년 2월 22일 | 노바스코샤 핼리팩스 |
5 | ![]() | 조 클라크 | 1976년 2월 22일 ~ 1983년 2월 19일 | 앨버타 록키 마운틴→옐로헤드 |
대행 | 에릭 닐센 | 1983년 2월 19일 ~ 1983년 6월 11일 | 유콘 | |
6 | ![]() | 브라이언 멀로니 | 1983년 6월 11일 ~ 1993년 6월 13일 | 노바스코샤 센트럴 노바 ↓ 퀘벡 마니쿠아강→샤를부아 |
7 | -- | 킴 캠벨 | 1993년 6월 13일 ~ 1993년 12월 13일 | |
8 | 장 샤레 | 1993년 12월 14일 ~ 1998년 4월 2일 | ||
9 | 조 클라크 | 1998년 11월 14일 ~ 2003년 5월 31일 | ||
10 | 100px | 피터 맥케이 | 2003년 5월 31일 ~ 2003년 12월 7일 |
4. 1. 보수당 시대 (1867-1942)
존 A. 맥도널드 경의 지휘 아래 보수당은 1867년 연방 결성 당시 캐나다 최초의 집권당이 되었다.[1] 연방 보수당은 캐나다의 첫 70년 중 40년 이상을 통치했다.- 초대: '''존 알렉산더 맥도널드''' (1867년 7월 1일 ~ 1891년 6월 6일)
- 제2대: '''존 애보트''' (1891년 6월 16일 ~ 1892년 11월 24일)
- 제3대: '''존 톰슨''' (1892년 12월 5일 ~ 1894년 12월 12일)
- 제4대: '''매켄지 보웰''' (1894년 12월 21일 ~ 1896년 4월 27일)
- 제5대: '''찰스 터퍼''' (1896년 5월 1일 ~ 1901년 2월 5일)
- 제6대: '''로버트 보든''' (1901년 2월 6일 ~ 1920년 7월 9일)
- 제7대: '''아서 미엔''' (1920년 7월 10일 ~ 1926년 9월 24일)
- 제8대: '''리처드 베드퍼드 베넷''' (1927년 10월 12일 ~ 1938년 7월 6일)
- 제9대: 로버트 매니언 (1938년 7월 7일 ~ 1940년 5월 13일)
- 제10대: 아서 미엔 (1941년 11월 12일 ~ 1942년 12월 9일)
캐나다 연방 초기에 당은 경제 개발에 대한 중상주의적 접근 방식을 지지했다.[1] 즉, 지역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높은 수입 장벽을 유지하면서 수출 주도형 산업화를 추구했다. 당은 군주제를 지지했으며 대영 제국 내에서 큰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지지했다. 일부 프랑스계 캐나다인들은 이를 문화 동화 정책을 지지하는 것으로 보았다.
4. 2. 진보보수당 시대 (1942-2003)
1942년, 매니토바 주 총리였던 존 브래컨이 연방 보수당 대표가 되면서 당명을 "진보보수당"으로 변경했다.[2] 브래컨은 당명이 "진보"를 포함하는 조건으로 대표직을 수락했다. 그러나 이전 진보당 지지자들은 캐나다 자유당이나 협동 연방 연맹을 계속 지지했고, 브래컨의 대표직은 1948년에 끝났다.이후 당은 조지 드루(1948~1956), 존 디펜베이커(1956~1967), 로버트 스탠필드(1967~1976)를 거쳐 조 클라크(1976~1983)가 대표를 맡았다. 클라크는 1979년 선거에서 승리하여 피에르 트뤼도의 자유당 정부를 무너뜨리고 16년간의 자유당 통치를 종식시켰다. 40세 생일 전날 취임한 클라크는 캐나다 역사상 최연소 총리가 되었다. 그러나 소수 정부였기 때문에 임기가 짧았고, 1979년 예산안에 대한 불신임 결의로 패배했다.
1983년, 브라이언 멀로니가 당 대표가 되었고, 1984년 선거에서 211석이라는 기록적인 승리를 거두며 총리가 되었다. 멀로니는 퀘벡 민족주의자들의 지지를 얻어 1988년 선거에서도 승리했다. 멀로니 정부는 캐나다-미국 자유 무역 협정 체결, 캐나다 헌법 개정 시도(미치 호수 협정, 샬럿타운 협정) 등의 정책을 추진했다.
그러나 1990년대 초, 캐나다의 경기 침체, 높은 실업률, 재정 적자, 재화 및 용역세 도입, 정부 부패 스캔들 등으로 인해 1993년 선거에서 참패했다. 특히 퀘벡 민족주의자들의 이탈과 서부 캐나다에서 캐나다 개혁당의 부상은 보수당의 몰락을 가속화했다.
킴 캠벨이 멀로니의 뒤를 이어 당 대표와 총리가 되었지만, 1993년 선거에서 하원 의석 2석만을 얻는 참담한 결과를 낳았다. 이후 장 샤레가 당을 이끌며 1997년 선거에서 20석을 회복했지만, 예전의 위상을 되찾지는 못했다.
2000년 선거에서 조 클라크가 다시 대표로 복귀하여 12석을 얻었으나, 캐나다 연합과의 표 분산으로 인해 자유당을 이기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2003년, 피터 맥케이가 당 대표가 된 후, 캐나다 연합과의 합당을 추진하여 2003년 12월 7일, 새로운 캐나다 보수당이 결성되면서 진보보수당은 공식적으로 해산되었다.[2]
역대 당 대표
대수 | 이름 | 재임 기간 | 지역구 |
---|---|---|---|
11 | 존 브래컨 | 1942년 12월 11일 ~ 1948년 7월 20일 | 매니토바 |
12 | 조지 드루 | 1948년 10월 2일 ~ 1956년 11월 29일 | 온타리오 |
13 | 존 디펜베이커 | 1956년 12월 14일 ~ 1967년 9월 9일 | 서스캐처원 |
14 | 로버트 스탠필드 | 1967년 9월 9일 ~ 1976년 2월 22일 | 노바스코샤 |
15 | 조 클라크 | 1976년 2월 22일 ~ 1983년 2월 19일 | 앨버타 |
16 | 브라이언 멀로니 | 1983년 6월 11일 ~ 1993년 6월 13일 | 노바스코샤, 퀘벡 |
17 | 킴 캠벨 | 1993년 6월 13일 ~ 1993년 12월 13일 | |
18 | 장 샤레 | 1993년 12월 14일 ~ 1998년 4월 2일 | |
19 | 조 클라크 | 1998년 11월 14일 ~ 2003년 5월 31일 | |
20 | 피터 맥케이 | 2003년 5월 31일 ~ 2003년 12월 7일 |
5. 역대 선거 결과
년도 | 당선 |
---|---|
1945년 선거 | 65석 |
1949년 선거 | 41석 |
1953년 선거 | 50석 |
1957년 선거 | 109석 |
1958년 선거 | 208석 |
1962년 선거 | 114석 |
1963년 선거 | 93석 |
1965년 선거 | 95석 |
1968년 선거 | 72석 |
1972년 선거 | 107석 |
1974년 선거 | 95석 |
1979년 선거 | 136석 |
1980년 선거 | 103석 |
1984년 선거 | 211석 |
1988년 선거 | 169석 |
1993년 선거 | 2석 |
1997년 선거 | 20석 |
2000년 선거 | 12석 |
6. 평가 및 유산
캐나다 진보보수당은 1867년 연방 결성 이전부터 존재했으며, 존 A. 맥도널드 경의 지휘 아래 캐나다 최초의 집권당이 되었다. 연방 보수당은 캐나다 초기 70년 중 40년 이상을 통치했으나, 자유당에 이어 국가의 두 번째 연방 정당으로서 야당으로 더 많은 시간을 보냈다.
1942년, 존 브래컨이 당명에 "진보"를 추가하는 조건으로 연방 보수당의 지도자가 되면서 "진보보수"라는 이름을 채택했다.[3] 그러나 많은 캐나다인들은 이 정당을 "보수당"이라고 계속 불렀다.
진보보수당은 퀘벡에서 지지를 얻지 못해 어려움을 겪었다. 1917년 징병 위기는 이 문제를 더욱 악화시켰다.[3] 20세기 연방 정치에서 보수당은 프랑스계 캐나다인의 야망과 이익에 무관심한 것으로 여겨졌으며, 퀘벡에서 몇 석 이상을 확보하는 데 거의 성공하지 못했다. 예외적으로 1958년 연방 선거에서 존 디펜베이커는 퀘벡의 75석 중 50석을 차지했고, 1984년과 1988년 연방 선거에서 브라이언 멀로니는 퀘벡 민족주의자를 포함하는 선거 연합을 구축했다.
1980년대 후반, 미치 호수 협정이 실패하면서 멀로니의 광범위한 연합이 분열되었다.[3] 이 정당은 1993년 연방 선거 이후 10년간 쇠퇴를 겪었으며, 2003년 캐나다 연합과 합병하여 오늘날의 캐나다 보수당을 결성하면서 공식적으로 해산되었다.[3]
진보보수당은 정치 스펙트럼에서 중도 우파에 위치했다. 1867년부터 이 당은 개신교와 퀘벡에서는 로마 가톨릭의 사회적 가치, 영국 제국주의, 캐나다 민족주의, 그리고 헌법적 중앙집권주의와 동일시되었다.
캐나다 보수주의는 역사적으로 미국보다 영국과 유럽에서 행해졌던 것과 더 유사했다. "토리" 접근 방식은 1917년까지 당에 잘 통했지만, 캐나다 토리는 당시 자유주의자들이 옹호했던 사회 및 경제 문제에 대한 정부 개입 축소를 반대했다.
연방 자유당 경쟁자들처럼, 당은 다양한 구성원을 환영하는 "빅 텐트"로 스스로를 정의했다. 자유당과 달리, 이 텐트 안에는 오랜 파벌주의 역사가 있었다. 후년에는 관찰자들이 일반적으로 PC당의 핵심 구성원을 "레드 토리"와 "블루 토리"의 두 진영으로 분류했다.
1891년부터 당이 해산될 때까지 레드 토리는 일반적으로 당과 그 지도부의 최고위층을 장악했다. 1970년대에 등장한 신보수주의자들은 1980년대 후반에 당 내에서 수가 상당히 감소했으며, 많은 불만을 품은 사람들은 캐나다 개혁당과 같은 정당으로 흘러갔다.
6. 1. 긍정적 평가
캐나다 진보보수당은 캐나다 정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 양대 정당 중 하나였다. 이들은 경제 발전과 사회 안정을 동시에 추구하는 중도우파 정당으로서, 다양한 계층의 지지를 받았다. 특히 브라이언 멀로니 정부 시절에는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체결, 환경 보호 정책 강화 등 긍정적인 성과를 거두어 국가 발전에 기여했다.1958년과 1984년 두 차례에 걸쳐 200석 이상을 확보한 유일한 캐나다 정당이기도 하다.
6. 2. 부정적 평가
퀘벡 문제 해결에 실패하고 지역 갈등을 심화시켰다는 비판을 받는다.[3] 브라이언 멀로니 총리 시절, 미치 호수 협정이 두 주의 비준을 받지 못해 실패하면서 당의 광범위한 연합이 분열되었다. 이는 1993년 총선에서 200석 이상을 확보했던 정당이 단 2석만을 얻는 대참패로 이어졌고, 이후 10년간 쇠퇴를 겪으며 과거의 영향력을 회복하지 못했다.[3] 결국 2003년 캐나다 연합과 합병하여 캐나다 보수당을 결성하면서 해체되었다.6. 3. 유산
진보보수당의 유산은 현재의 캐나다 보수당으로 이어지고 있다. 1942년, 매니토바 주 총리였던 존 브래컨이 당명에 "진보"를 추가하는 조건으로 연방 보수당의 지도자가 되면서 "진보보수당"이라는 이름을 채택했다.[3] 2003년 12월 7일, 진보보수당은 캐나다 연합과 합병하여 오늘날의 캐나다 보수당을 결성하면서 공식적으로 해산되었다.[3]진보보수당은 1993년 연방 선거에서 하원 의석 20석 이상을 확보하지 못하는 등 쇠퇴를 겪었으나, 1958년과 1984년에는 200석 이상을 확보하기도 했다.
합당 이후에도 일부 캐나다 상원 의원들은 신당에 합류하지 않고 진보보수당 상원 의원으로 계속 활동했다.[3] 캐나다 하원에서는 조 클라크, 앙드레 바샹, 존 헤론이 진보보수당 소속 의원으로 활동했다.[3] 2016년, 상원 의원들이 "무소속"으로 지정을 변경하면서 캐나다 의회에서 진보보수당의 존재는 종식되었다.[3]
진보보수당의 정책과 이념은 캐나다 정치, 경제, 사회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당은 정치 스펙트럼에서 중도 우파에 위치했으며, 개신교와 퀘벡의 로마 가톨릭 사회적 가치, 영국 제국주의, 캐나다 민족주의, 헌법적 중앙집권주의와 동일시되었다.
참조
[1]
서적
The Essentials of Canadian History: Pre-colonization to 1867-the Beginning ...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2014-04-12
[2]
뉴스
CBC – Canada Votes 2004
http://www.cbc.ca/ca[...]
CBC News
[3]
뉴스
globeandmail.com: Mulroney called Casey in bid for Tory unity
https://www.theglobe[...]
[4]
웹사이트
MCCOY, The Hon. Elaine, Q.C., B.A., LL.B.
http://www.lop.parl.[...]
PARLINFO
2016-03-19
[5]
백과사전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https://kotobank.jp/[...]
2018-09-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