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코타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타바는 1975년 캐나다 언어학자 스타렌 펫시에 의해 개발된 인공어이다. 중립적인 인공어를 목표로, 간단한 음운 체계, 규칙적인 문법, 선험적 어휘 등을 특징으로 한다. 로마자를 사용하며, 25개의 문자와 급성 악센트를 사용한다. 코타바는 3개의 시제와 4개의 법을 가진 동사 활용, 명사의 불변성, 수사의 접두사 형태 등을 통해 언어적 특징을 나타낸다. 문학 작품 번역과 소설에 등장하며, 주기도문과 세계 인권 선언 등의 예시를 통해 코타바의 사용을 보여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제어 - 솔레솔
    솔레솔은 19세기 초 프랑수아 쉬드르가 고안한 7음계 기반의 인공어로, 소리, 기호, 색상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 가능하며 음절 조합과 어순으로 의미를 구분하는 문법 체계를 갖는다.
  • 국제어 - 인테르링구아
    인테르링구아는 굴절 없는 라틴어에서 비롯되어 알렉산더 고데에 의해 재정립되고 국제과학협회의 지원을 받아 발전한 국제 보조어이며, 로망스어군과의 유사성으로 이해하기 쉬운 특징을 가진다.
  • 인공어 - 발리리아어
    발리리아어는 드라마 왕좌의 게임에 등장하는 가상의 언어로, 고지 발리리아어와 여러 변종인 가짜 발리리아어로 나뉘며, 고지 발리리아어는 소설 세계관에서 라틴어와 유사한 지위를 가지는 학문 및 교육 언어이고, 드라마에서는 이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방언이 등장하며, 듀오링고 등을 통해 학습할 수 있다.
  • 인공어 - 인공 문자
    인공 문자는 가상 세계, 문자 없는 언어, 종교적·기술적 목적 등을 위해 만들어진 문자 체계를 의미하며, 텡과르, 클링온 문자, 한글 등이 있으며, 유니코드에 등록되기도 한다.
코타바
기본 정보
이름코타바
로마자 표기Kotava
ISO 639-3avk
계통인공어, 어휘적으로 기존의 어떤 언어와도 관련성 없음
언어 위원회코타바 언어 위원회 (Kotava Avaneda)
창시자스타렌 페체이
창시 년도1978년
사용 국가전 세계
언어 유형국제보조어, 선험적 언어
사용 지역주로 프랑스, 캐나다, 아프리카, 스페인, 폴리네시아

2. 역사

1975년 캐나다의 여행가이자 언어학자인 스타렌 페체이가 이전의 국제보조어(IAL) 프로젝트 연구를 바탕으로 코타바를 고안했다.[1] 1978년에 처음 대중에게 공개되었으며, 1988년과 1993년에 두 차례의 주요 개정이 이루어졌다.[1] 이후 언어는 안정화되어 17,000개 이상의 기본 어근 어휘를 갖게 되었다.[1] 2005년에는 언어의 미래 발전을 이끌어갈 7명의 위원회가 구성되었다.[1]

3. 언어적 특징

코타바는 선험적 언어로서, 기존의 어떤 자연어 또는 인공어와도 관련이 없다.[1] 어순은 매우 자유롭지만, 현재는 객체-주어-동사 순서를 따르는 경향이 있다.[1]

코타바는 로마자를 사용하여 표기하며, Q는 사용하지 않는다. 유일한 분음 부호는 동사의 1인칭 단수 형태에 사용되는 마지막 모음에 강세를 표시하는 acute accent이다.[1] 라틴 알파벳의 26자에서 Q를 제외한 25자가 사용된다.[1]

코타바는 불규칙한 발음이 없으며, 소리는 항상 철자에서 예측 가능하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자음IPA에서와 같이 발음되지만, ⟨c⟩는 , ⟨j⟩는 , ⟨y⟩는 로 발음된다. 모음스페인어, 스와힐리어 또는 타히티어와 같이 발음되며, 길이의 차이나 비음화는 없다. 5개의 모음(a, e, i, o, u)과 19개의 자음이 있다.

코타바의 강세 규칙은 모든 다음절 단어에 대해 규칙적이다. 단어가 종성 자음을 갖는 경우 마지막 음절(ultima)에, 단어가 마지막 모음을 갖는 경우 끝에서 두 번째 음절(penult)에 강세가 온다. 단, 동사 활용형의 1인칭은 마지막 음절에 강세가 오고 급성 악센트로 표시된다.

명사대명사는 불변화사이며, 격변화가 없다. 성이나 복수를 나타내는 접사는 없으며, 필요한 경우 입자 또는 다른 단어로 표시할 수 있다.

코타바의 문법은 인공어답게 비교적 규칙적이고 간결하다. 인칭 대명사는 단수/복수 및 1/2/3인칭으로 구분되며, 재귀 대명사와 상호 대명사도 존재한다. 소유 대명사는 인칭 대명사에 특정 접미사를 붙여 만든다. 동사는 3개의 시제 (현재, 과거, 미래)와 4개의 법 (직설법, 명령법, 조건법, 관계법)으로 활용되며, 다양한 뉘앙스를 표현할 수 있다. 1인칭 복수에는 포괄적/배타적 구분이 있다. 문법적 성은 없지만, 필요에 따라 성별을 나타내는 접미사를 붙일 수 있다. 숫자는 접두사 형태로 나타나며, 특정 속성을 나타내는 접미사를 추가할 수 있다.

3. 1. 분류

코타바는 선험적 언어로서, 기존의 어떤 자연어 또는 인공어와도 관련이 없다.[1] 어순은 매우 자유롭지만, 현재는 객체-주어-동사 순서를 따르는 경향이 있다.[1] 모든 객체와 다른 보어는 전치사로 시작해야 하며,[1] 접속사와 전치사(위치 전치사 체계)와 관련된 혁신적인 요소가 있다.[1]

3. 2. 문자

코타바는 로마자를 사용하여 표기하며, Q는 사용하지 않는다. H는 앞의 L, M, N을 구개음화하는 데 사용되었지만, 모든 경우에 Y로 대체되었다. 유일한 분음 부호는 동사의 1인칭 단수 형태에 사용되는 마지막 모음에 강세를 표시하는 acute accent이다.[1] 프랑스어와 마찬가지로 텍스트와 느낌표 또는 물음표 사이에 공백이 추가된다.[1] 라틴 알파벳의 26자에서 Q를 제외한 25자가 사용된다.[1]

3. 3. 음운

코타바는 불규칙한 발음이 없으며, 소리는 항상 철자에서 예측 가능하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자음IPA에서와 같이 발음되지만, ⟨c⟩는 , ⟨j⟩는 , ⟨y⟩는 로 발음된다.

자음(IPA 형태)은 다음과 같다.

양순음순치음치경음후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
파열음pbcolspan="2" |tdcolspan="2" |colspan="2" |kg
비음mcolspan="2" |ncolspan="2" |colspan="2" |colspan="2" |
탄음colspan="2" |colspan="2" |rcolspan="2" |colspan="2" |colspan="2" |
마찰음colspan="2" |fvszcjcolspan="2" |x
설측 접근음colspan="2" |colspan="2" |lcolspan="2" |colspan="2" |colspan="2" |
접근음colspan="2" |colspan="2" |colspan="2" |colspan="2" |ycolspan="2" |



모음스페인어, 스와힐리어 또는 타히티어와 같이 발음되며, 길이의 차이나 비음화는 없다. 5개의 모음(a, e, i, o, u)과 19개의 자음이 있다.



다섯 개의 이중 모음이 있다: ay, ey, iy (매우 드묾), oy, uy (매우 드묾).

코타바의 강세 규칙은 모든 다음절 단어에 대해 규칙적이다. 단어가 종성 자음을 갖는 경우 마지막 음절(ultima)에, 단어가 마지막 모음을 갖는 경우 끝에서 두 번째 음절(penult)에 강세가 온다. 단, 동사 활용형의 1인칭은 마지막 음절에 강세가 오고 급성 악센트로 표시된다.

3. 4. 형태론

명사대명사는 불변화사이며, 격변화가 없다. 성이나 복수를 나타내는 접사는 없으며, 필요한 경우 입자 또는 다른 단어로 표시할 수 있다. 형용사는 수식하는 명사와 일치하는 어미를 가진다는 "음성" 원칙이 코타바의 특이한 특징이다.

3. 5. 문법

코타바의 문법은 인공어답게 비교적 규칙적이고 간결한 특징을 보인다.

  • '''대명사:''' 인칭 대명사는 단수/복수 및 1/2/3인칭으로 구분되며, 재귀 대명사와 상호 대명사도 존재한다. 소유 대명사는 인칭 대명사에 특정 접미사를 붙여 만든다.
  • '''동사:''' 3개의 시제 (현재, 과거, 미래)와 4개의 법 (직설법, 명령법, 조건법, 관계법)으로 활용되며, 다양한 뉘앙스를 표현할 수 있다. 1인칭 복수에는 포괄적/배타적 구분이 있다.
  • '''명사:''' 문법적 성은 없지만, 필요에 따라 성별을 나타내는 접미사를 붙일 수 있다.
  • '''수사:''' 숫자는 접두사 형태로 나타나며, 특정 속성을 나타내는 접미사를 추가할 수 있다.

3. 5. 1. 대명사

다음은 주요 인칭 대명사이다.

단수복수
1인칭2인칭3인칭1인칭2인칭3인칭4인칭
코타바jinrininminwinsincin
한국어그/그녀/그것우리 ((포괄))너희그들우리 ((배타))



재귀 대명사는 ''int''이고 상호 대명사는 ''sint''이다. 소유 대명사는 인칭 대명사에 ''-af''를 추가하여 만든다.

그 외의 대명사로는 ''coba''(것), ''tan''(알 수 없는 사람), ''tel''(알려진 사람), ''tol''(둘 중 하나) 등이 있다.

3. 5. 2. 동사

동사는 세 개의 시제 (현재, 과거, 미래)와 네 개의 법 (직설법, 명령법, 조건법, 관계법)으로 활용된다. 또한, 목소리, 상, 양상 및 기타 뉘앙스를 위한 메커니즘이 있어 표현에 많은 미묘함을 허용한다. 동사에는 7개의 인칭이 있으며, 여기에는 포괄적이고 배타적인 1인칭 복수가 포함된다.

1인칭 단수는 동사의 표제어로 사용된다. 어근에 접미사를 붙여 인칭과 시제를 나타낸다. 다음 표는 동사 ''tí'' (있다)와 ''estú'' (먹다)를 예로 든다.

단수복수
1인칭2인칭3인칭1인칭2인칭3인칭4인칭
´-l-r-t-c-d-v

("나는 ~이다")
til
("너는 ~이다")
tir
("그/그녀/그것은 ~이다")
tit
("우리는 (포괄적) ~이다")
tic
("너희는 ~이다")
tid
("그들은 ~이다")
tiv
("우리는 (배타적) ~이다")
estú
("나는 먹는다")
estul
("너는 먹는다")
estur
("그/그녀/그것은 먹는다")
estut
("우리는 (포괄적) 먹는다")
estuc
("너희는 먹는다")
estud
("그들은 먹는다")
estuv
("우리는 (배타적) 먹는다")



다음 수정자는 동사 앞에 사용할 수 있다.

이름기능예시
en강조en estú
("나는 정말 먹는다")
rotir가능성rotir estur
("그는 아마 먹을 것이다")
me부정me estú
("나는 먹지 않는다")
men사전 사실 부정koe Paris men irubá
("나는 아직 파리에 살지 않는다")
mea사후 사실 부정koe Paris mea irubá
("나는 더 이상 파리에 살지 않는다")



과거 시제는 동사의 마지막 모음 앞에 -y- 내부 접사로 표시된다.


  • ''danká'' ("나는 노래한다") → ''dankayá'' ("나는 노래했다")


마찬가지로, 미래 시제는 -t- 내부 접사로 표시된다.

  • ''estul'' ("너는 먹는다") → ''estutul'' ("너는 먹을 것이다")

3. 5. 3. 명사

문법적 성은 존재하지 않는다. 사람이나 동물의 성별을 나타내기 위해 여성형에는 '-야'를 사용하고, 남성형에는 '-예'를 사용한다.[2]

-야-예
크라폴
("암수 모두의 사자")
크라폴야
("암사자")
크라폴예
("수사자")
아이크
("사람")
아이크야
("여자")
아이크예
("남자")


3. 5. 4. 수사

코타바에서 숫자는 급진적 접두사의 형태로 나타나며, 특정 속성을 나타내는 접미사를 사용할 수 있다.

숫자접두사
0ned-
1tan-
2tol-
3bar-
4balem-
5alub-
6tev-
7per-
8anyust-
9lerd-
10san-
100decem-
1,000decit-
10,000kun-
100,000vunt-
1,000,000celem-
1,000,000,000felem-
1012tung-
1015pung-
1018eung-
1021zung-
1024yung-



접미사는 다음과 같다.


  • -oy (기수)
  • -eaf (서수)
  • -da (년)
  • -ka (일)
  • jon- … -af (곱하기)
  • fuxe- … -af (나누기)
  • vol- (음수)


수학 기호는 다음과 같다.

  • = : dum (같음)
  • + : do (더하기)
  • - : bas (빼기)
  • × : jon (곱하기)
  • / : fuxe (나누기)

4. 문학

코타바를 사용하는 공동체에서 문학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레프 톨스토이[3], 에밀 졸라[4], 기 드 모파상[5], 옥타브 미르보[6], 알베르 카뮈[7], 몰리에르[8], 미하일 숄로호프[9],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10], 빅토르 위고[11] 등의 세계 명작 소설과 라 퐁텐, 샤를 페로, 그림 형제,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세계 각국의 전설[12] 등 수백 권의 이야기 및 기타 문학 텍스트(마키아벨리 등)가 코타바어로 번역되었다.

유라니 안데르간(Yurani Andergan)의 역사 판타지 소설 《사면체》(Les Tétraèdres, 베린투바(Verintuva) 출판)에서는 네안데르탈인이 코타바를 사용하며, 먼 후손에게 비밀리에 전수하는 언어로 등장한다. 이 소설에서 코타바는 일부 여주인공들에 의해 긴 샹송 또는 신탁으로 낭송되며, 책의 마지막 부분에 번역문이 실려 있다.[13]

5. 예시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의 "공주와 완두콩"에서 발췌:[14]

Lekeon tiyir sersikye djukurese va sersikya, va sersanyikya. Ta da vaon trasir, va tawava anamelapiyir vexe kotviele koncoba me dojeniayar ; sersikya, jontika tiyid, vexe kas tiyid sersanyikya ? Batcoba tiyir voldrikafa karolara, kotviele koncoba ok arcoba nuvelayad mekotunafa. Gabenapaf in dimdenlapiyir, va sersanyikya loeke co-djudiyir.avk

:옛날 옛적에 공주와 결혼하고 싶어하는 왕자가 있었다. 하지만 그녀는 진짜 공주여야 했다. 그는 공주를 찾기 위해 전 세계를 여행했지만,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없었다. 공주는 충분히 많았지만, 그들이 진짜인지 확인하기 어려웠다. 그들에게는 항상 뭔가 제대로 되지 않는 부분이 있었다. 그래서 그는 집으로 돌아와 슬퍼했다. 왜냐하면 그는 진짜 공주를 매우 원했기 때문이다.

주기도문:

코타바어한국어
Cinaf Gadik koe kelt tigis,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
Rinaf yolt zo tutumtar,당신의 이름이 거룩히 여김을 받으시오며,
Rinafa gazara artfir,당신의 나라가 임하시오며,
Rinafa kuranira당신의 뜻이
moe tawava lidam kelt zo askir.하늘에서와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이다.
Va vieleaf beg pu cin re zilil오늘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시고,
va kota cinafa kantara ixel우리가 우리에게 죄 지은 자를 사하여 준 것 같이
dum pu bagesik dere ixev.우리 죄를 사하여 주시고,
Ise gu zoenuca va cin me levplekul,우리를 시험에 들게 하지 마시고,
Volse gu rote va cin tunuyal.다만 악에서 구하옵소서.



세계 인권 선언:


Kot ayik sokoblir nuyaf is miltaf gu bagaliuca is rokeem. Va ova is jiluca sodir isen kottan is artan va sint beron gotegid.avk

:모든 인간은 존엄과 권리에 있어 자유롭고 평등하게 태어난다. 인간은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았으며 서로에게 형제애의 정신으로 행동해야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Kotava, the universal language of communication https://www.kotava.o[...]
[2] 서적 Kotava: Official Complete Grammar https://www.kotava.o[...] 2016-05
[3] 웹사이트 Anna Karenina Pak01 Luz01 - Wikikrenteem http://www.europalin[...] 2022-11-09
[4] 웹사이트 Germinal Luz01 - Wikikrenteem http://www.europalin[...] 2022-11-09
[5] 웹사이트 Cwekfixuya (Guy de Maupassant) Boule de Suif ! PDF ! La nature https://fr.scribd.co[...] 2022-11-09
[6] 문서 The Diary of a Chambermaid, Octave Mirbeau http://www.mirbeau.o[...] Cahiers Octave Mirbeau n°20, March 2013
[7] 웹사이트 Emudenik - Wikikrenteem http://www.europalin[...] 2022-11-09
[8] 웹사이트 NyagaceemScapin Nakileem01 Nakila01 - Wikikrenteem http://www.europalin[...] 2022-11-09
[9] 웹사이트 Don Diliodaf Bost Luz01 - Wikikrenteem http://www.europalin[...] 2022-11-09
[10] 웹사이트 The Little Prince in Kotava ! PDF https://www.scribd.c[...] 2022-11-09
[11] 웹사이트 Claude Gueux (Claude Jastrik) (Victor Hugo) Claude Gueux ! PDF ! Crime et violence ! Thriller policier https://fr.scribd.co[...] 2022-11-09
[12] 웹사이트 100 Legends of The World, in Kotava ! PDF https://www.scribd.c[...] 2022-11-09
[13] 간행물 Criticism http://www.lecanardg[...] Le Canard Gascon 2010-11
[14] 웹사이트 Sersikya dem urt - Wikikrenteem http://www.europalin[...] 2022-11-09
[15] 웹사이트 http://www.kotava.or[...]
[16] 웹사이트 コタヴァ公式文法書 http://www.kotava.or[...]
[17] 웹사이트 Request for Change to ISO 639-3 Language Code http://www-01.sil.or[...]
[18] 웹사이트 Documentation for ISO 639 identifier: avk http://www-01.sil.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