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콘스탄틴 브랑쿠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콘스탄틴 브랑쿠시는 루마니아 출신의 조각가로, 단순하면서도 본질을 추구하는 추상 조각으로 20세기 미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루마니아에서 미술 교육을 받은 후 파리로 건너가 오귀스트 로댕의 영향을 받았으나, 자신만의 독창적인 스타일을 발전시켰다. 그의 작품은 형태를 극도로 단순화하여 사물의 본질을 드러내며, 조각 받침대까지 작품의 일부로 간주하는 특징을 보인다. 대표작으로는 "공간 속의 새", "잠자는 뮤즈", "키스", "무한 기둥" 등이 있으며, 그의 작품은 미국 세관과의 소송에서 예술품으로 인정받는 등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브랑쿠시는 "신처럼 창조하고, 왕처럼 지휘하며, 노예처럼 일하라"는 말을 남겼으며, 그의 작품은 후대 조각가와 디자이너들에게 큰 영감을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르지주 출신 - 콘스탄티나 디처
    루마니아의 육상 선수 콘스탄티나 디처는 마라톤에서 2008년 베이징 올림픽 금메달, 200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동메달, 2005년 IAAF 세계 하프 마라톤 선수권 대회 우승 등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며 시카고 마라톤 우승, 런던 마라톤 3위 등을 기록했다.
  • FrenchSculptureCensus template with no id set - 에티엔 모리스 팔코네
    18세기 프랑스의 조각가 에티엔 모리스 팔코네는 르무아네의 제자가 되어 왕립 아카데미 회원이 되었고, 대리석 및 도자기 조각상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러시아에서 표트르 1세의 기마상을 제작하고 예술 이론에도 기여했지만 과장된 경향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 FrenchSculptureCensus template with no id set - 앙투안 쿠아즈보
    프랑스 조각가 앙투안 쿠아즈보는 루이 14세 시대 베르사유 및 마를리 궁전 장식에 참여했고, 왕립 아카데미 교수와 회장을 역임하며 후진을 양성했으며, 기념 조각상과 더불어 루이 14세, 장바티스트 콜베르, 쥘 마자랭 추기경 등 당대 유명인들의 흉상으로도 명성을 떨쳤다.
  • 프랑스의 사진가 - 조제프 니세포르 니에프스
    조제프 니세포르 니에프스는 프랑스의 발명가이자 사진술의 선구자로, 헬리오그래피 기술을 개발하여 사진의 역사를 열었으며,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사진인 "르 그라의 창문 밖 풍경"을 촬영했다.
  • 프랑스의 사진가 - 외젠 아제
    외젠 아제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파리의 풍경을 기록하고 예술가들에게 자료 사진을 제공하는 데 헌신한 프랑스 사진가로, 사후 초현실주의 예술가들의 재발견과 베레니스 애벗의 노력으로 20세기 사진의 거장으로 인정받았다.
콘스탄틴 브랑쿠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에드워드 스타이켄 - 브랑쿠시
에드워드 스타이켄 촬영, 1922년
출생 이름(정보 없음)
출생일1876년 2월 19일
출생지호비차, 루마니아 연합 공국
사망일1957년 3월 16일
사망지파리, 프랑스
묻힌 곳몽파르나스 묘지, 파리
국적루마니아, 프랑스 (1952년 귀화)
분야조각
훈련에콜 데 보자르
사조모더니즘, 파리파
주요 작품"무한 기둥" (1938)
"공간의 새" (1919)
"젊은 남자의 토르소" (1927–22)
"갓 태어난 아기" (1915)
"포가니 양" (1912)
"프로메테우스" (1911)
"잠자는 뮤즈" (1910)
"키스" (1908)
후원자존 퀸
수상루마니아 아카데미 회원
로마자 표기Constantin Brâncuși
발음

2. 초기 생애와 교육

콘스탄틴 브랑쿠시, ''마드모아젤 포가니의 초상 [1]'', 1912, 백색 대리석, 석회암 블록, 필라델피아 미술관, 필라델피아. 1913년 아모리 쇼에서 전시


브랑쿠시는 루마니아에서 유년시절을 보낸 후 크라이오바 예술 공예 학교를 1898년에 우등으로 졸업했다.[5]

이후 부쿠레슈티 미술 학교에 입학하여 조각을 배웠다. 그는 재능 있는 인물로 빠르게 두각을 나타냈다. 그의 해부학 선생님인 디미트리에 게로타의 지도 아래 제작된 초기 작품 중 하나는 에코르셰(근육을 드러내기 위해 피부를 제거한 남자의 조각상)인데, 1903년 루마니아 아테네움에서 전시되었다.[6] 이는 단순한 해부학적 연구를 넘어, 겉모습보다는 본질을 드러내려는 조각가의 후기 노력을 예고했다.

1904년, 파리 미술 학교에 입학하여 조각을 배우면서 오귀스트 로댕의 영향을 받았다.

2. 1. 루마니아에서의 유년 시절 (1876-1893)

1905년경 브랑쿠시


브랑쿠시는 루마니아 카르파티아 산맥 근처, 트르구 지우 인근 호비차 마을, 고르주에서 성장했는데, 이 지역은 목공예를 포함한 풍부한 민속 공예 전통으로 유명하다. 1918년에 제작된 무한 기둥과 같은 그의 후기 작품에서 이 지역의 기하학적 패턴을 볼 수 있다.[3]

그의 부모인 니콜라에 브랑쿠시와 마리아 브랑쿠시는 고된 노동으로 근근이 생계를 유지하는 가난한 농부였다. 일곱 살 때부터 콘스탄틴은 가족의 양 떼를 돌봤다. 그는 나무로 물건을 조각하는 재능을 보였고, 아버지와 형들의 괴롭힘을 피해 종종 집을 뛰쳐나갔다.

아홉 살 때, 브랑쿠시는 가장 가까운 큰 도시에서 일하기 위해 마을을 떠났다. 열한 살 때 슬라티나의 식료품점에서 일을 시작했고, 그 후 크라이오바의 공공 숙소에서 하인으로 몇 년 동안 머물렀다. 18살 때 브랑쿠시는 직장에서 찾은 재료로 손수 바이올린을 만들었다.[4] 브랑쿠시의 조각 재능에 감명받은 한 산업가는 그를 크라이오바 예술 공예 학교(''școala de arte și meserii'')에 입학시켰고, 그곳에서 목공에 대한 열정을 쏟아 1898년에 우등으로 졸업했다.[5]

2. 2. 미술 교육 (1894-1904)

브랑쿠시는 1894년부터 1898년까지 왈라키아 지방의 크라이오바에 있는 미술 공예 학교에서 미술을 배웠다. 1898년부터 1901년까지는 부쿠레슈티의 국립 미술 학교에서 미술을 배웠고, 이후 잠시 고향에서 목공 일을 했다. 1904년, 파리 미술 학교에 입학하여 조각을 배우면서 오귀스트 로댕의 영향을 받았다.

3. 파리에서의 활동과 작품 세계

브랑쿠시는 파리에서 예술가와 지식인들의 환영을 받으며 활동했다.[7] 오귀스트 로댕의 작업실을 떠난 후, "외형이 아닌, 사물의 본질"을 추구하며 추상 조각에 전념했다.[5] 조각 받침대 제작에도 독창성을 발휘했다.

프랑스, 루마니아, 미국에서 인기를 얻은 그의 작품은 1913년 살롱 데 쟁데팡당과 아모리 쇼에 전시되었다.[7] 1920년 공주 X[8] 출품으로 논란을 일으켰으나, ''마이아스트라''[13]를 기반으로 한 ''공간 속의 새'' 연작으로 명성을 이어갔다. 1938년 타르구 지우에 제1차 세계 대전 기념비를 완성했다.[25]

3. 1. 파리로의 이주와 로댕과의 만남 (1904-1907)

1903년, 브랑쿠시는 뮌헨을 거쳐 파리로 갔다. 파리에서 그는 새로운 아이디어가 넘치는 예술가와 지식인 커뮤니티의 환영을 받았다.[7] 에콜 데 보자르의 안토닌 메르시에 작업실에서 2년 동안 일했으며, 오귀스트 로댕의 작업실에 들어오라는 초대를 받았다. 저명한 로댕을 존경했지만, "큰 나무 아래에서는 아무것도 자랄 수 없다"라고 말하며 로댕의 작업실을 두 달 만에 떠났다.[5]

3. 2. 추상 조각으로의 전환 (1907-1913)

오귀스트 로댕의 작업실을 떠난 후, 브랑쿠시는 혁신적인 스타일을 발전시키기 시작했다. 그의 첫 번째 위탁 작품인 ''기도''는 묘비 기념물의 일부로, 무릎을 꿇고 십자가를 긋는 젊은 여성을 묘사했다. 이는 추상적이고 비문자적인 표현으로 나아가는 첫 번째 단계이자, "외형이 아닌, 사물의 본질, 아이디어"를 묘사하려는 그의 의지를 보여주었다.[5] 그는 또한 금속으로 주조될 점토나 석고로 모델링하는 동시대 사람들이 선호하는 방법 대신 조각을 시작했으며, 1908년까지 조각으로만 거의 독점적으로 작업했다.

그 후 몇 년 동안 그는 ''잠자는 뮤즈''와 ''키스''의 많은 버전을 만들어 형태를 기하학적이고 간결한 객체로 더욱 단순화했다.

그의 작품은 프랑스, 루마니아, 미국에서 인기를 얻었다. 존 퀸을 비롯한 수집가들이 그의 작품을 구입했고, 평론가들은 그의 작품을 칭찬했다. 1913년 브랑쿠시의 작품은 살롱 데 쟁데팡당과 미국에서 열린 최초의 현대 미술 전시회인 아모리 쇼에서 전시되었다.[7]
콘스탄틴 브랑쿠시, 1907–08, ''키스''. 1913년 아모리 쇼에서 전시되었고, 1913년 3월 25일 ''시카고 트리뷴''에 게재되었다.

3. 3. 국제적인 명성과 아모리 쇼 (1913-1920)

오귀스트 로댕의 작업실을 떠난 후, 브랑쿠시는 자신이 유명해지는 혁신적인 스타일을 발전시키기 시작했다. 그의 첫 번째 위탁 작품인 ''기도''는 묘비 기념물의 일부였다. 이 작품은 무릎을 꿇고 십자가를 긋는 젊은 여성을 묘사하며, 추상적이고 비문자적인 표현으로 나아가는 첫 번째 단계이자, "외형이 아닌, 사물의 본질, 아이디어"를 묘사하려는 그의 의지를 보여준다.[5] 그는 또한 금속으로 주조될 점토나 석고로 모델링하는 동시대 사람들이 선호하는 방법 대신 더 많은 조각을 시작했으며, 1908년까지 조각으로만 거의 독점적으로 작업했다.

그 후 몇 년 동안 그는 ''잠자는 뮤즈''와 ''키스''의 여러 버전을 만들어 형태를 기하학적이고 간결한 객체로 더욱 단순화했다.

그의 작품은 프랑스, 루마니아, 미국에서 인기를 얻었다. 존 퀸을 비롯한 수집가들이 그의 작품을 구입했고, 평론가들은 그의 작품을 칭찬했다. 1913년 브랑쿠시의 작품은 살롱 데 쟁데팡당과 미국에서 열린 최초의 현대 미술 전시회인 아모리 쇼에서 전시되었다.

브랑쿠시의 파리 작업실, 1920년, 에드워드 스타이켄의 사진


1920년, 그는 공주 X[8]가 살롱에 출품되면서 악명 높은 명성을 얻었다. 이 크고 빛나는 청동 조각품의 남근적인 외형은 살롱을 스캔들로 만들었고, 브랑쿠시가 이것이 단지 여성성의 본질을 표현하려는 의도였다고 설명했음에도 불구하고, 전시회에서 철거되었다. ''공주 X''는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남동생의 직계 후손인 마리 보나파르트 공주로 밝혀졌다. 이 조각은 일부 사람들에 의해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도움을 받아 음핵 오르가즘을 달성하려는 평생의 탐구와 음경에 대한 그녀의 집착을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9][10][11][12]

3. 4. '공간 속의 새'와 예술적 절정 (1920-1938)

1920년, 공주 X[8]가 살롱에 출품되면서 큰 명성을 얻었다. 이 크고 빛나는 청동 조각품의 남근적인 외형은 살롱을 스캔들로 만들었고, 브랑쿠시가 이것이 단지 여성성의 본질을 표현하려는 의도였다고 설명했음에도 불구하고, 전시회에서 철거되었다. ''공주 X''는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남동생의 직계 후손인 마리 보나파르트 공주로 밝혀졌다. 이 조각은 일부 사람들에 의해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도움을 받아 음핵 오르가즘을 달성하려는 평생의 탐구와 음경에 대한 그녀의 집착을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9][10][11][12]

이 무렵, 브랑쿠시는 조각품 자체에 중요하다고 여겼기 때문에 그의 조각품의 받침대를 매우 신중하고 독창적으로 제작하기 시작했다.

그의 주요 조각품 그룹 중 하나는 "공간 속의 새"였다. — 비행 중인 새를 나타내는 단순한 추상적 형태. 이 작품은 그의 초기 ''마이아스트라'' 시리즈를 기반으로 한다.[13] 루마니아 민속에서 마이아스트라는 미래를 예언하고 맹인을 치료하는 아름다운 황금 새이다. 그 후 20년 동안 브랑쿠시는 대리석이나 청동으로 여러 버전의 "공간 속의 새"를 만들었다. 아테나 타차 스피어의 책 ''브랑쿠시의 새''는 초기 ''마이아스트라''에서 10대 후반의 ''황금 새'', 1920년대 초에 등장하여 브랑쿠시가 평생 동안 발전시킨 ''공간 속의 새''에 이르기까지 36가지 버전과 그 발전 과정을 처음으로 정리했다.

이 버전 중 하나는 1926년 사진작가 에드워드 스타이켄이 그것을 구입하여 미국으로 배송하면서 큰 논란을 일으켰다. 세관은 "새"를 예술 작품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산업 품목으로 수입에 대한 관세를 부과했다. 오랜 법원 절차를 거쳐 이 평가는 뒤집혔고, 따라서 새의 지위는 면세 예술 작품으로 확인되었다.[14][15] 판결은 '아름다운', '대칭적인', '장식적인' 예술이라고 부르는 예술에 대한 판사 와이트의 개인적인 감상에 어느 정도 영향을 받았다.[16][17] 이 판결은 또한 "예술"이 자연의 사실적인 표현을 포함할 필요가 없으며, 이 경우 "비행"과 같은 추상적인 개념을 단순히 표현하는 것이 합법적이라는 중요한 원칙을 확립했다.[18][19]

260px


그의 작품은 그가 생애 동안 여러 번 방문했던 미국에서 점점 더 인기를 얻었다. 1933년 세계적인 명성은 그에게 인도 인도르마하라자인 예시반트 라오 홀카르를 위한 묵상 사원인 구원의 사원 건설을 위임했다. 홀카르는 이전에 세 개의 "공간 속의 새"(청동, 흑백 대리석)를 위임했지만, 브랑쿠시는 계획을 완료하고 건설을 시작하기 위해 1937년에 인도를 방문했을 때, 마하라자는 부재 중이었고, 그의 아내 마하라니 마가렛 홀카르에 대한 오마주가 될 이 프로젝트에 대한 관심을 잃었다고 한다.[21] 그녀는 그가 돌아왔을 때 사망했다.[22] 세 마리의 새 중 청동 새는 캘리포니아주 패서디나의 노턴 사이먼 미술관 소장품이며,[23] 두 개의 대리석 새는 현재 호주 캔버라에 있는 호주 국립 미술관의 영구 소장품이다.[24]

1938년, 그는 어린 시절을 보낸 타르구 지우에 제1차 세계 대전 기념비를 완성했다. ''침묵의 식탁'', ''키스의 문'', ''무한 기둥''은 1916년 중앙 강국의 군대로부터 타르구 지우를 방어한 루마니아인들의 용기와 희생을 기념한다. 이 앙상블의 복원은 세계 기념물 기금에 의해 주도되었고 2004년에 완료되었다.

3. 5. 타르구 지우 조각 앙상블 (1938)

1938년, 브랑쿠시는 어린 시절을 보낸 타르구 지우에 제1차 세계 대전 기념비를 완성했다.[25] ''침묵의 식탁'', ''키스의 문'', ''무한 기둥''은 1916년 중앙 강국의 군대로부터 타르구 지우를 방어한 루마니아인들의 용기와 희생을 기념한다. 타르구 지우 앙상블은 그의 예술 경력의 정점을 보여준다. 이 앙상블의 복원은 세계 기념물 기금에 의해 주도되었고 2004년에 완료되었다.

4. 말년과 유산

콘스탄틴 브랑쿠시는 1957년 3월 16일 81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파리의 몽파르나스 묘지에 묻혔다. 이 묘지에는 브랑쿠시가 사망한 예술가들을 위해 조각한 조상들도 전시되어 있다.[26]

500 루마니아 레우 루마니아 지폐(1991–1992년 발행)에 있는 콘스탄틴 브랑쿠시


사망 당시 브랑쿠시는 사진 1200점과 조각 215점을 남겼다. 그는 자신의 작업실이 사망 당시와 같은 모습으로 재건축될 것을 조건으로 자신의 컬렉션 일부를 프랑스 국가에 유증했다. 그의 스튜디오를 재건한 곳은 퐁피두 센터 근처에 있으며, 일반에 공개되어 있다. 브랑쿠시의 스튜디오는 1975년에 문을 연 말뫼 콘스트할 설계에 클라스 안셸름에게 영감을 주었다.[39]

브랑쿠시의 ''공간 속의 새'' 조각은 에즈라 파운드의 ''칸토스''에 영감을 주었으며,[41] 1962년 조지 올든은 이 작품을 클리오 상 조각상 디자인의 영감으로 사용했다.[42]

1971년 11월, 그의 출생 마을인 호비차에 브랑쿠시 기념관(Casa memorială Constantin Brâncușiro)이 고르지 카운티 박물관의 분관으로 설립되었다. 브랑쿠시는 1990년에 사후에 루마니아 학술원 회원으로 선출되었으며,[43] 2011년 구글은 그의 135번째 생일을 기념하는 두들을 제작했다.[44]

브랑쿠시의 작품은 루마니아 국립 미술관, 크라이오바 미술관, 현대 미술관(뉴욕시), 필라델피아 미술관 등 전 세계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45] 콘스탄틴 브랑쿠시 대학교와 부쿠레슈티의 지하철역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015년, 루마니아 의회는 2월 19일을 "브랑쿠시의 날"로 선포했다.[46]

4. 1. 은둔과 회고전 (1939-1957)

브랑쿠시는 단순한 옷차림을 했는데, 이는 그의 루마니아 농민 배경을 반영한 것이었다. 그의 작업실은 고향 지역의 농가와 흡사했다. 커다란 바위판이 테이블 역할을 했고, 고향인 올테니아의 전통 가옥에서 볼 수 있는 원시적인 벽난로가 있었으며, 나머지 가구는 그가 나무로 직접 만들었다. 브랑쿠시는 손님들에게 대접할 전통 루마니아 음식을 직접 요리하곤 했다.[26]

브랑쿠시는 과학에서 음악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관심사를 가지고 있었으며, 바이올린을 연주했다. 그는 종종 향수병을 느끼면서 오래된 루마니아 민요를 불렀다. 공산주의가 들어선 후, 고향 루마니아로 영구적으로 돌아가지 않았지만, 8번 방문했다.[27]

브랑쿠시(왼쪽)와 앙리피에르 로셰, 에릭 사티, 잔 로버트 포스터가 1923년 골프를 치는 모습


그의 친구들로는 아메데오 모딜리아니, 에즈라 파운드, 앙리 피에르 로셰, 기욤 아폴리네르, 루이즈 부르주아, 파블로 피카소, 만 레이, 마르셀 뒤샹, 앙리 루소, 페기 구겐하임, 트리스탕 차라, 페르낭 레제 등 파리에 있던 예술가와 지식인들이 있었다. 그는 루마니아 출신인 로마니 마리의 오랜 친구였으며,[28] 이사무 노구치에게 그녀의 그리니치 빌리지 카페를 소개하기도 했다.[29]

파리의 아방가르드에 둘러싸여 있었지만, 브랑쿠시는 루마니아와의 연락을 끊지 않았으며, 뱅자맹 퐁단, 게오르게 에네스쿠, 테오도르 팔라디, 카밀 레수, 니콜라에 더래스쿠, 파나이트 이스트라티, 트라이안 부이아, 외젠 이오네스코, 에밀 시오란, 나탈리아 두미트레스쿠, 파울 첼란 등 파리에 거주하는 루마니아 예술가 및 지식인들과 친구를 맺었다.[30] 미르체아 엘리아데도 브랑쿠시에 대해 글을 썼다.[31]

브랑쿠시는 특히 루마니아 신화, 민담, 전통 예술(그의 작품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에 특별한 관심을 가졌지만, 아프리카와 지중해 예술에도 관심을 가졌다.[32]

재능 있는 수리공이었던 그는 직접 축음기를 만들었고, 대부분의 가구, 식기, 출입구를 만들었다. 그의 세계관은 "본질적인 것을 덧없는 것과 구별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으며, 플라톤, 노자, 밀라레파의 영향을 받았다. 그는 자크 바코가 티베트어에서 프랑스어로 번역한 최초의 책인 Le poete tibetain Milarepa: ses crimes, ses épreuves, son Nirvana [33]의 사본을 침대 곁에 두었다고 한다.[34] 그는 자신이 루마니아의 카르파티아 산맥 출신이었고, 종종 자신이 밀라레파의 환생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밀라레파의 산악 생활과 깊이 동일시했다.[35] 그는 성자 같은 [36] 이상주의자이자 금욕주의자에 가까웠으며, 그의 작업실을 방문객들이 깊은 영적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곳으로 만들었다. 그러나 1910년대와 1920년대에는 쾌락주의자이자 보헤미안 서클에서 유쾌한 사람으로 알려졌다. 그는 담배, 좋은 와인, 그리고 여성들과의 교제를 즐겼다. 그는 뉴질랜드 피아니스트 베라 무어와의 사이에서 존 무어라는 아들을 두었지만, 아들을 자신의 아들로 인정하지 않았다.[5][37][38]

4. 2. 죽음과 유산 (1957)

브랑쿠시는 1957년 3월 16일 81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파리의 몽파르나스 묘지에 묻혔다. 이 묘지에는 브랑쿠시가 사망한 예술가들을 위해 조각한 조상들도 전시되어 있다.[26]

사망 당시 브랑쿠시는 사진 1200점과 조각 215점을 남겼다. 그는 자신의 작업실이 사망 당시와 같은 모습으로 재건축될 것을 조건으로 자신의 컬렉션의 일부를 프랑스 국가에 유증했다. 그의 스튜디오를 재건한 곳은 퐁피두 센터 근처에 있으며, 일반에 공개되어 있다. 브랑쿠시의 스튜디오는 1975년에 문을 연 말뫼 콘스트할의 설계에 스웨덴 건축가 클라스 안셸름에게 영감을 주었다.[39]

1957년 9월, 아프리카계 미국인 조각가 리처드 헌트는 브랑쿠시의 스튜디오를 보기 위해 시카고에서 파리로 여행을 왔다. 헌트의 방문은 22세의 이 젊은 예술가에게 지속적인 인상을 남겼는데, 브랑쿠시의 예술적 영향과 조각에서 생물 형태의 추상에 대한 탐구뿐만 아니라 헌트가 자신의 삶의 대부분을 살아가는 방식을 통해서였다. 브랑쿠시처럼 헌트는 자신의 예술 작품과 자신의 작업에 사용되는 도구에 둘러싸인 채 자신의 스튜디오에서 평생을 보냈다.[40]

브랑쿠시의 ''공간 속의 새'' 조각은 모더니스트 시인 에즈라 파운드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특히 20세기에 쓰여진 그의 후기 작품 ''칸토스''에 영감을 주었다. 문학 평론가 루시 제퍼리는 브랑쿠시의 조각 형태가 에즈라 파운드에게 미친 영향을 강조하며 파운드의 ''칸토 CXVII 이하, 815''를 분석했다. 제퍼리는 텍스트를 면밀히 분석하고 브랑쿠시가 자신의 창작 과정에 대해 한 언급을 직접 인용하여 파운드와 브랑쿠시의 조각 과정과 그 결과로 나타난 스타일이 가벼움과 무게, 단순함과 복잡성, 편안함과 고투 사이의 모호성과 긴장감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강조했다. 제퍼리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전체적인 예술 작품을 향한 그들의 추진력에도 불구하고, 브랑쿠시와 파운드 모두, [앨버트] 보이메의 표현을 빌리자면, 그들의 예술을 그것이 속한 물질적 또는 사회적 맥락으로부터 "해방"시킬 수 없었다.'[41] 제퍼리는 이 논문에서 브랑쿠시의 작품을 조각가 앙리 고디에-브르제스카, 사진 작가 맨 레이, 작가 미나 로이, 사무엘 베케트, 피터 러셀과 연관 지어 맥락화했다.

1962년, 조지 올든은 브랑쿠시의 ''공간 속의 새''를 클리오 상 조각상 디자인의 영감으로 사용했다.[42]

1971년 11월, 브랑쿠시 기념관(Casa memorială Constantin Brâncușiro)은 그의 출생 마을인 호비차에 고르지 카운티 박물관(Muzeul Județean Gorj „Alexandru Ștefulescu”ro)의 분관으로 설립되었다.

브랑쿠시는 1990년에 사후에 루마니아 학술원의 회원으로 선출되었다.[43]

구글은 2011년에 그의 135번째 생일을 7개의 그의 작품으로 구성된 두들로 기념했다.[44]

브랑쿠시의 작품은 전 세계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루마니아에서는 루마니아 국립 미술관과 크라이오바 미술관에, 미국에서는 현대 미술관 (뉴욕시)과 필라델피아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전자는 미국에서 가장 큰 브랑쿠시 조각 컬렉션을 소장하고 있다.[45]

콘스탄틴 브랑쿠시 대학교 (터르구 지우)와 부쿠레슈티의 지하철역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015년, 루마니아 의회는 2월 19일을 "브랑쿠시의 날"로 선포했으며, 이는 루마니아의 근무일 공휴일이다.[46]

미국 영화 감독 믹 데이비스는 브랑쿠시에 관한 전기 영화 ''조각가''를 제작할 계획이며, 영국 감독 피터 그리너웨이는 2017년에 브랑쿠시가 부쿠레슈티에서 파리까지 여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영화 ''파리로 가는 길''을 제작 중이라고 밝혔다.

5. 작품의 특징과 영향

브랑쿠시는 마르셀 뒤샹, 만 레이 등과 같은 예술가들과 친분을 맺으며 소박한 인품으로 존경받았다. 뒤샹은 뉴욕에서 브랑쿠시의 작품을 판매하며 생활했고, 만 레이에게 사진술을 배운 브랑쿠시는 자신의 아틀리에에 암실을 만들어 작품을 사진으로 기록했다. 이소무 노구치는 파리에서 브랑쿠시의 조수로 일하며 추상 조각가로서의 방향을 찾았다.

그는 "create like god, command like king, work like slave" ("신처럼 창조하고, 왕처럼 지휘하며, 노예처럼 일하라")라는 명언을 남겼다.

1991년부터 1994년까지 발행된 500 루마니아 레우 지폐에는 그의 초상화가 사용되었다.

5. 1. 형태의 단순화와 본질의 추구

브랑쿠시의 작품은 추상화가 진전되어, 대표작인 《신생아》나 《공간의 새》에서는 유아의 머리나 날아오르려는 새가 거의 단순한 달걀형이나 프로펠러 형태에 이르고 있다. 하지만 그의 작품은 묘사 대상의 본질을 파악하여 그것을 효과적으로 단순한 형태로 옮기는 것이며, 대상의 형태에서 완전히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47]

1926년 작품 판매를 위해 《공간의 새》를 미국에 수출했을 때, 세관에서 미술품으로 간주되지 않고 공업 제품으로 간주되어 높은 관세가 부과되었다. 이로 인해 구매자와 세관이 재판에서 다투었고, 결국 구매자가 승소하는 사건이 발생했다.[47]

《공간의 새》는 1920년대부터 시작된 연작이다. 1925년에 나무, 돌, 대리석으로 제작된 작품 중 하나는 높이가 약 약 182.88cm이며, 나무 받침대 위에 깃털이 꼿꼿하게 서 있는 형태이다. 이와 유사한 모델들이 브랑쿠시에 의해 청동과 같은 재료로 제작되어 전시되기도 했다.

《잠자는 뮤즈 I》 역시 여러 버전이 있는데, 1909년부터 1910년 사이에 제작된 대리석 작품은 높이가 약 17.14cm이다. 이 작품은 몸통 없이 머리만 표현했으며, 머리카락, 코, 입술, 감은 눈과 같은 특징을 나타내는 조형이 있다. Adams는 『서양 미술사』에서 이 조각에 대해 "추상적이고 곡선적인 특징과 부드러운 윤곽이 우아한 인상을 준다"라고 말한다. 이러한 효과를 만들어내는 특징들은 특히 눈의 모양과 입의 형태에서 뚜렷하게 드러난다.

브랑쿠시의 독창적인 작품은 후대의 현대 조각, 회화, 디자인 등에 막대한 영향을 주었다. 특히 대표작이기도 한 《무한 기둥》 시리즈는 단순한 유닛의 반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인이 친구인 만 레이에게 이야기한 바에 따르면, 어디에서 절단해도 무한한 기둥으로서의 특성을 잃지 않는다고 한다. 이 사상은 칼 안드레 등의 미니멀 아트에 강한 영향을 주었다.

5. 2. 재료의 특성과 받침대의 중요성

브랑쿠시는 매우 요소가 절제된, 언뜻 보면 미니멀한 작풍을 가졌다. 또한 조각 등이 놓이는 받침대도 작품으로 함께 제작한다. 그의 작품은 추상화가 진전되어, 대표작인 『신생아』나 『공간의 새』에서는 유아의 머리나 날아오려는 가 거의 단순한 달걀형이나 프로펠러 형태에까지 이르고 있다. 하지만 그의 작품은 묘사 대상물의 본질을 파악하여 그것을 효과적으로 단순한 형태로 옮기는 것이며, 대상물의 형태에서 완전히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2018년 5월, 대리석 받침대에 올려진 광택 처리된 청동 조각인 세련된 아가씨(1932)(낸시 커나드 초상)가 크리스티 뉴욕에서 수수료 포함 7100만달러에 판매되어 작가의 작품 중 세계 최고 경매가를 기록했다.[48]

5. 3. 후대에 미친 영향

브랑쿠시는 현대 조각, 회화, 디자인 등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그의 대표작인 『무한 기둥』 시리즈는 단순한 유닛을 반복하는 구성으로, 칼 안드레 등 미니멀 아트 작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브랑쿠시가 친구 만 레이에게 말했듯이, 이 기둥은 어느 부분을 잘라도 무한한 기둥의 특성을 그대로 유지한다.[48]

브랑쿠시의 작품은 추상 미술의 발전을 보여준다. 대표작 『신생아』나 『공간의 새』에서는 유아의 머리나 날아오르는 의 모습이 단순한 달걀형이나 프로펠러 형태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그의 작품은 묘사 대상의 본질을 포착하여 단순화한 것이지, 대상의 형태에서 완전히 벗어난 것은 아니다.[48]

1926년 『공간의 새』를 미국에 판매하려 할 때, 세관에서는 이 작품을 미술품이 아닌 공업 제품으로 간주하여 높은 관세를 부과했다. 이 때문에 구매자와 세관 사이에 재판이 벌어졌고, 결국 구매자가 승소했다.[48]

소박한 성품의 브랑쿠시는 여러 예술가들에게 존경받았으며, 마르셀 뒤샹, 만 레이와도 친하게 지냈다.[48] 뒤샹은 뉴욕에서 브랑쿠시의 작품을 판매하며 생계를 유지하기도 했다. 브랑쿠시는 만 레이에게 사진술을 배워 자신의 아틀리에에 암실을 만들고 작품 사진을 찍는 데 열중했다. 이소무 노구치는 파리에서 브랑쿠시의 조수로 일하며 추상 조각가로서의 방향을 찾았다.[48]

브랑쿠시의 작품 ''마담 L.R.''은 2009년에 29185000EUR (37200000USD)에 판매되어, 경매에 나온 조각품 중 최고가를 기록했다.[47] 2018년 5월, 대리석 받침대 위에 놓인 광택 청동 조각 ''세련된 아가씨''(1932)(''낸시 커나드 초상'')는 크리스티 뉴욕에서 수수료를 포함하여 71000000USD에 판매되어, 작가의 작품 중 세계 최고 경매가를 경신했다.[48]

그는 "create like god, command like king, work like slave" ("신처럼 창조하고, 왕처럼 지휘하며, 노예처럼 일하라")라는 명언을 남겼다.[48]

1991년부터 1994년까지 발행된 500 루마니아 레우 지폐에는 그의 초상화가 사용되었다.

6. 브랑쿠시와 한국

콘스탄틴 브랑쿠시는 한국과 직접적인 관계는 없지만, 그의 작품 세계는 한국의 현대 조각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브랑쿠시의 단순함과 본질 추구는 한국의 전통 미학과도 맞닿아 있어, 한국 미술계에서 그의 작품에 대한 관심이 높다.

7. 대표작


  • 키스
  • 공간의 새
  • 무한주 시리즈
  • 각추형(角錐形)의 요소가 마치 무한히 연결되어 하늘로 뻗어 나가는 듯한 기둥 모양의 조각이다.[55] 브랑쿠시의 조국 루마니아의 민간 전승에 기반한 작품이다. 루마니아 출신의 종교학자 미르체아 엘리아데는 "브랑쿠시와 신화"라는 에세이에서 이 작품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 잠자는 뮤즈

참조

[1] 웹사이트 African Influences in Modern Art https://www.metmuseu[...] 2021-02-09
[2] 웹사이트 MoMA, ''Constantin Brancusi'', The Collection, Sanda Miller, Grove Art Online, 2009 Oxford University Press http://www.moma.org/[...]
[3] 웹사이트 How Constantin Brancusi Brazenly Redefined Sculpture https://www.artsy.ne[...] 2018-07-20
[4] 웹사이트 Profile: Constantin Brancusi http://www.theguardi[...] 2004-01-03
[5] 웹사이트 Constantin Brancusi http://www.brain-jui[...] 2002
[6] 논문 The Beginnings of Brancusi
[7] 웹사이트 Metropolitan Museum of Art website http://www.metmuseum[...]
[8] 웹사이트 Philadelphia Museum of Art, ''Princess X'' http://www.philamuse[...]
[9] 서적 Princess Marie Bonaparte, ''De la Sexualité de la Femme'', Grove Press, 1962 https://books.google[...]
[10] 웹사이트 ''Marie Bonaparte'', Actions culturelle et pédagogique, Commémorations nationales, recueil 2012, Sciences et techniques, Archives de France http://www.archivesd[...]
[11] 서적 Ryudolph Maurice Loewenstein, ed; Schur, Max, ed; Princess Marie Bonaparte, 1882–1962, ''Drives, affects, behavior'',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https://archive.org/[...]
[12] 서적 Rrose is a rrose is a rrose : gender performance in photography iarchive:rroseisr00b[...] Solomon R. Guggenheim Museum, New York, N.Y.
[13] 웹사이트 ''Măiastra'' http://www.guggenhei[...]
[14] 웹사이트 Force Metal ezine http://www.clubmoral[...]
[15] 서적 Duchamp: A Biography Henry Holt and Company, Inc
[16] 웹사이트 When Abstract Art Went on Trial: Brancusi v. United States https://shellielewis[...] 2012-07-14
[17] 판례 Brancusi v. United States
[18] 논문 Modernism on Trial: C Brancusi v United States (1928)
[19] 웹사이트 The Controversies of Brancusi http://www.artinsoci[...]
[20] 웹사이트 Walt Kuhn scrapbook of press clippings documenting the Armory Show, vol. 2, 1913, Page 135 http://www.aaa.si.ed[...]
[21] 웹사이트 Exhibitions https://www.prahladb[...] 2023-01-12
[22] 서적 La collection l'Atelier Brancusi Editions du Centre Pompidou
[23] 웹사이트 Bird in Space https://www.nortonsi[...]
[24] 웹사이트 Australian art https://nga.gov.au/c[...]
[25] 웹사이트 Constantin Brâncuși https://www.theartst[...] 2022-08-18
[26] 서적 Sandqvist
[27] 서적 Dosarul Brâncuși Editura Dacia
[28] 서적 Romany Marie: The Queen of Greenwich Village Butler Books
[29] 웹사이트 Before Buckyballs http://www.haberarts[...]
[30] 서적 Sandqvist
[31] 서적 Symbolism, the Sacred, and the Arts http://archive.org/d[...] Crossroad
[32] 서적 Sandqvist
[33] 서적 Le poète Tibétain Milarépa: ses crimes, ses épreuves, son Nirvana Bossard
[34] 서적 La collection l'Atelier Brancusi Editions du Centre Pompidou
[35] 서적 La collection l'Atelier Brancusi Editions du Centre Pompidou
[36] 서적 Brancusi et le psaume de la création Beauchesne 2003
[37] 웹사이트 Constantin Brancusi (1876–1957) http://www.christies[...] Christie's
[38] 웹사이트 Bonhams : Alfred Wallis (1855–1942) Two boats 10 x 14 cm. (4 x 5 1/2 in.) http://www.bonhams.c[...] 2016-08-14
[39] 웹사이트 About Malmö Konsthall https://web.archive.[...] Malmö Konsthall 2012-03-09
[40] 서적 Richard Hunt Gregory R. Miller & Co 2022
[41] 학술지 Ezra Pound and Constantin Brancusi: sculptural form and the struggle to 'make it cohere' 2020-07-02
[42] 웹사이트 AIGA.org http://www.aiga.org/[...]
[43] 웹사이트 Comunicat 06.03.2001 – Anunt an Brancusi (Communique 06.03.2001 – Ad Brancusi Year) http://www.acad.ro/c[...] The Romanian Academy 2001-03-06
[44] 뉴스 Constantin Brancusi doodle: Which sculptures make up the Google Doodle? https://www.mirror.c[...] 2011-02-09
[45] 웹사이트 Hymn to Flight https://www.wsj.com/[...] Wall St Journal 2011-02-25
[46] 웹사이트 Legea pentru declararea Zilei Brâncuşi ca sărbătoare naţională a fost promulgată de Iohannis http://www.mediafax.[...] Mediafax 2015-11-27
[47] 웹사이트 The Yves Saint Laurent and Pierre Bergé collection: A bruised beau monde binges https://web.archive.[...] Culturekiosque 2009-02-24
[48] 뉴스 A Malevich and a Bronze by Brancusi Set Auction Highs for the Artists https://www.nytimes.[...] 2018-05-16
[49] 웹사이트 Sculptura pe Internet https://web.archive.[...]
[50] 간행물 Propos de Brancusi 1957-12
[51] 웹사이트 Jurnal American – 21 Septembrie, altă zi la New York http://www.centrul-c[...] Centrul Cultural Pitești
[52] 웹사이트 Brancusi – De la Maiastra la Pasare in Vazduh (II) http://www.observato[...] Observator Cultural
[53] 웹사이트 Princess X http://www.philamuse[...] Philadelphia Museum of Art
[54] 웹사이트 Distinguished Air, Charles Demuth (1930) http://collection.wh[...]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55] 서적 現代アートとは何か 河出書房新社 2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