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쿠마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마리는 네팔에서 숭배되는 살아있는 여신으로, 초경 전의 어린 소녀가 선발되어 신성한 존재로 여겨진다. 힌두교 경전에 따르면 여신은 모든 여성 생명체 안에 존재하며, 쿠마리는 이러한 여신의 화신으로 숭배받는다. 쿠마리는 엄격한 선발 과정을 거쳐야 하며, 샤크야 카스트 출신이어야 하고, 신체적 결함이 없어야 하며, 다양한 시험을 통과해야 한다. 왕실 쿠마리는 궁궐에서 의례적인 삶을 살며, 축복과 예언의 대상으로 여겨진다. 쿠마리의 삶은 인권 문제와 관련되어 비판을 받기도 하며, 퇴임 후에는 평범한 삶으로 돌아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팔의 불교 - 룸비니
    룸비니는 네팔에 위치한 석가모니 부처의 탄생지로, 아쇼카 왕의 기둥 비문과 마야데비 사원 발굴 조사로 역사적 중요성이 부각되었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국제적인 불교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지만, 탄생지에 대한 고고학적 증거에 대한 논쟁도 존재한다.
  • 불교와 어린이 - 사미 (불교)
    사미는 불교에서 어린 출가자를 뜻하는 용어로, 십계를 지키며 수행 생활을 하고, 일정 기간이 지나면 비구가 될 수 있으며, 여성 수행자는 사미니라고 불린다.
  • 불교와 어린이 - 귀자모신
    귀자모신은 원래 아이를 잡아먹는 야차였으나 부처의 가르침으로 아이와 순산을 보호하는 불교의 수호신이 되었으며, 일본에서는 키시모진으로 불리며 법화경의 수호신으로 숭배받는다.
  • 네팔의 문화 - 홀리
    홀리는 인도 아대륙에서 봄의 시작을 기념하는 힌두교의 전통 축제로, 힌두교인과 비힌두교인이 색색의 물과 가루를 뿌리며 악에 대한 선의 승리를 기념하고 깨진 관계를 회복하는 문화 축제이다.
  • 네팔의 문화 - 란자나 문자
    란자나 문자는 1100년경 브라흐미 문자에서 파생되어 네팔에서 기원했으며, 네와르족이 네와르어를 표기하고 대승 불교 및 금강승 사찰에서 널리 사용했던 문자로서, 데바나가리 문자와 유사성을 보인다.
쿠마리
개요
2011년 행렬 중인 파탄의 쿠마리, 차니라 바즈라차리아
2011년 행렬 중인 파탄의 쿠마리, 차니라 바즈라차리아
유형힌두교, 불교
성별여성
민족네와르족
지역카트만두 계곡
네와르어कुमारी (쿠마리)
설명
쿠마리네와르족 전통에서 신성한 여성 에너지 또는 힘의 발현

2. 철학과 경전

어린 소녀로서의 여신 숭배는 창조 전체에 퍼져 있는 신성한 의식의 숭배를 나타낸다. 최고의 여신은 자신의 자궁에서 이 전체 우주를 드러냈다고 여겨지기 때문에, 동물과 무생물 모두에 동등하게 존재한다. 우상 숭배는 무생물을 통해 최고의 존재를 숭배하고 인식하는 것을 나타내는 반면, 인간 숭배는 의식적인 존재 안에서 동일한 최고의 존재를 존경하고 인식하는 것을 나타낸다.[4]

샤크타 경전인 ''데비 마하트먄'' 또는 ''찬디''에서 여신은 이 우주에 있는 모든 여성 생명체 안에 거주한다고 선언한 것으로 되어 있다. 쿠마리의 전체 의식은 이 구절에 기반을 두고 있다. 그러나 여신을 숭배할 때, 본질적인 순수성과 순결 때문에 성숙한 여성보다 어린 소녀만이 선택된다.[4]

''지냐나르나바 루드라야말라'' 탄트라와 같은 힌두 경전에서는 쿠마리의 나이에 따라 이름을 지정한다.

나이 (세)이름
1산드히야
2사라스와티
3트리담무르티
4칼리카
5수바가
6파르바티/우마
7말리니
8쿠브지카
9칼라산다르바
10아파라지타
11루드라니
12바이라비
13마할락슈미
14피타나이카
15크셰트라갸
16암비카



네팔에서는 쿠마리는 하루 동안만 숭배되며, 이러한 이름은 의식이 진행되는 동안, 종종 몇 시간 동안만 지정된다. 일반적으로 초경 때문에 16세가 넘으면 쿠마리가 될 수 없다. 붕가마티에서는 쿠마리는 첫 번째 젖니가 빠질 때까지 통치한다.[4]

쿠마리 푸자의 주요 목표는 모든 인간, 주로 여성에게 있는 잠재적인 신성을 깨닫는 것이다. 힌두교 영적 수행자는 인류의 보편적인 의식을 본다.

2. 1. 나이에 따른 쿠마리의 이름

3. 네팔에서의 역사

네팔에서 살아있는 쿠마리를 숭배하는 것은 비교적 최근인 17세기부터 시작되었지만, 쿠마리 푸자(Kumari-Puja), 즉 처녀 숭배의 전통은 훨씬 오래전부터 존재해왔다.[6] 네팔에서 2,300년 이상 처녀 숭배가 이루어졌다는 증거가 있으며, 6세기에 네팔에 자리 잡은 것으로 보인다.[6] 13세기에는 쿠마리의 선출, 장식, 숭배를 묘사한 기록이 있다.

현재의 쿠마리 전통이 시작된 과정을 설명하는 여러 전설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전설은 말라 왕조(12세기~17세기)의 마지막 네팔 왕인 자야프라카시 말라 왕의 이야기를 포함한다.[6] 가장 유명한 전설에 따르면, 어느 날 밤 왕이 트리파사(tripasa)라는 주사위 게임을 하고 있을 때, 왕과 그의 친구인 탈레주 여신이 그의 방에 나타났다. 여신은 매일 밤 게임을 하러 왔고, 그 대가로 왕은 그들의 만남에 대해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기로 했다.

어느 날 밤, 왕비는 왕이 누구를 자주 만나는지 알아내기 위해 그의 방을 따라갔다. 왕비는 탈레주 여신을 보았고, 여신은 화가 났다. 여신은 왕에게 다시 자신을 보고 싶거나 자신의 나라를 보호받고 싶다면 탈레주 여신이 라트나왈리의 뉴아르(Newar) 샤크야(Shakya) 공동체의 어린 소녀로 환생했을 것이므로 그곳에서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자신의 수호 여신과 화해하기를 바란 자야프라카시 말라 왕은 탈레주 여신이 깃든 어린 소녀를 찾아 궁궐을 나섰다.

탈레주 여신의 실종에 대한 또 다른 이야기가 있다. 어떤 사람들은 여신이 트라이록야 말라 왕을 매일 밤 인간의 모습으로 찾아왔다고 믿는다. 다른 전설적인 이야기와 마찬가지로, 왕과 여신은 나라의 안녕에 대해 논의하면서 트리파사(주사위) 게임을 했다. 그러나 어느 날 밤, 트라이록야 말라 왕이 탈레주 여신에게 성적인 접근을 시도했다. 그 결과, 여신은 분노하여 궁궐을 방문하지 않았다. 후회한 왕은 여신의 귀환을 간청하며 숭배했다. 마침내 여신은 샤크야 가문의 처녀의 몸에 나타나기로 동의했다.[6]

오늘날에도 어머니가 붉은 뱀(serpent)을 꿈꾸는 것은 자신의 딸이 왕실 쿠마리의 자리에 오르는 징조로 여겨진다.[6] 그리고 매년 네팔 왕은 인드라 자트라(Indra Jatra) 축제에서 왕실 쿠마리의 축복을 받는다. 2008년 네팔이 세계에서 가장 젊은 공화국 중 하나가 되면서 이 전통은 변화했다.

이러한 전설과 다른 전설의 변형에서는 자야프라카시 말라 왕이 아닌 그의 12세기 조상인 궁캄 데브 왕을 주인공으로 지칭한다.

세 번째 변형된 전설은 자야프라카시 말라 왕의 통치 기간 동안 한 어린 소녀가 여신 두르가(Durga)에게 빙의되었다는 두려움 때문에 도시에서 추방되었다는 이야기다. 왕비는 어린 소녀의 운명을 알고 분노하여 왕에게 소녀를 데려와 두르가의 살아있는 화신으로 임명하라고 주장했다.

3. 1. 자야프라카시 말라 왕과 탈레주 여신 전설

네팔에서 살아있는 쿠마리를 숭배하는 것은 비교적 최근인 17세기부터 시작되었지만, 쿠마리 푸자(Kumari-Puja), 즉 처녀 숭배의 전통은 훨씬 오래전부터 존재해왔다.[6] 네팔에서 2,300년 이상 처녀 숭배가 이루어졌다는 증거가 있으며, 6세기에 네팔에 자리 잡은 것으로 보인다.[6] 13세기에는 쿠마리의 선출, 장식, 숭배를 묘사한 기록이 있다.

현재의 쿠마리 전통이 시작된 과정을 설명하는 여러 전설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전설은 말라 왕조(12세기~17세기)의 마지막 네팔 왕인 자야프라카시 말라 왕의 이야기를 포함한다.[6] 가장 유명한 전설에 따르면, 어느 날 밤 왕이 트리파사(tripasa)라는 주사위 게임을 하고 있을 때, 왕과 그의 친구인 탈레주 여신이 그의 방에 나타났다. 여신은 매일 밤 게임을 하러 왔고, 그 대가로 왕은 그들의 만남에 대해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기로 했다.

어느 날 밤, 왕비는 왕이 누구를 자주 만나는지 알아내기 위해 그의 방을 따라갔다. 왕비는 탈레주 여신을 보았고, 여신은 화가 났다. 여신은 왕에게 다시 자신을 보고 싶거나 자신의 나라를 보호받고 싶다면 탈레주 여신이 라트나왈리의 뉴아르(Newar) 샤크야(Shakya) 공동체의 어린 소녀로 환생했을 것이므로 그곳에서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자신의 수호 여신과 화해하기를 바란 자야프라카시 말라 왕은 탈레주 여신이 깃든 어린 소녀를 찾아 궁궐을 나섰다.

탈레주 여신의 실종에 대한 또 다른 이야기가 있다. 어떤 사람들은 여신이 트라이록야 말라 왕을 매일 밤 인간의 모습으로 찾아왔다고 믿는다. 다른 전설적인 이야기와 마찬가지로, 왕과 여신은 나라의 안녕에 대해 논의하면서 트리파사(주사위) 게임을 했다. 그러나 어느 날 밤, 트라이록야 말라 왕이 탈레주 여신에게 성적인 접근을 시도했다. 그 결과, 여신은 분노하여 궁궐을 방문하지 않았다. 후회한 왕은 여신의 귀환을 간청하며 숭배했다. 마침내 여신은 샤크야 가문의 처녀의 몸에 나타나기로 동의했다.[6]

오늘날에도 어머니가 붉은 뱀(serpent)을 꿈꾸는 것은 자신의 딸이 왕실 쿠마리의 자리에 오르는 징조로 여겨진다.[6] 그리고 매년 네팔 왕은 인드라 자트라(Indra Jatra) 축제에서 왕실 쿠마리의 축복을 받는다. 2008년 네팔이 세계에서 가장 젊은 공화국 중 하나가 되면서 이 전통은 변화했다.

이러한 전설과 다른 전설의 변형에서는 자야프라카시 말라 왕이 아닌 그의 12세기 조상인 궁캄 데브 왕을 주인공으로 지칭한다.

세 번째 변형된 전설은 자야프라카시 말라 왕의 통치 기간 동안 한 어린 소녀가 여신 두르가(Durga)에게 빙의되었다는 두려움 때문에 도시에서 추방되었다는 이야기다. 왕비는 어린 소녀의 운명을 알고 분노하여 왕에게 소녀를 데려와 두르가의 살아있는 화신으로 임명하라고 주장했다.

3. 2. 트라이록야 말라 왕과 탈레주 여신 전설

네팔에서 살아있는 쿠마리를 숭배하는 것은 비교적 최근인 17세기부터 시작되었지만, 처녀 숭배 전통은 훨씬 오래전부터 존재해왔다.[6] 네팔에서 2,300년 이상 처녀 숭배가 이루어졌다는 증거가 있으며, 6세기에 네팔에 자리 잡은 것으로 보인다.[6] 13세기에는 쿠마리의 선출, 장식, 숭배를 묘사한 기록이 있다.[6]

현재의 쿠마리 전통이 시작된 과정을 설명하는 여러 전설이 있는데, 대부분 말라 왕조(12세기~17세기)의 마지막 네팔 왕인 자야프라카시 말라 왕의 이야기를 포함한다.[6] 가장 유명한 전설에 따르면, 어느 날 밤 왕이 트리파사라는 주사위 게임을 하고 있을 때, 왕과 그의 친구인 탈레주 여신이 그의 방에 나타났다.[6] 여신은 매일 밤 게임을 하러 왔고, 그 대가로 왕은 그들의 만남에 대해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기로 했다.[6]

어느 날 밤, 왕비는 왕이 누구를 자주 만나는지 알아내기 위해 그의 방을 따라갔다.[6] 왕비는 탈레주 여신을 보았고, 여신은 화가 났다.[6] 여신은 왕에게 다시 자신을 보고 싶거나 자신의 나라를 보호받고 싶다면 탈레주 여신이 라트나왈리의 뉴아르(Newar) 샤크야(Shakya) 공동체의 어린 소녀로 환생했을 것이므로 그곳에서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6] 자신의 수호 여신과 화해하기를 바란 자야프라카시 말라 왕은 탈레주 여신이 깃든 어린 소녀를 찾아 궁궐을 나섰다.[6]

탈레주 여신의 실종에 대한 또 다른 이야기에 따르면, 여신은 트라이록야 말라 왕을 매일 밤 인간의 모습으로 찾아왔다.[6] 다른 전설적인 이야기와 마찬가지로, 왕과 여신은 나라의 안녕에 대해 논의하면서 트리파사(주사위) 게임을 했다.[6] 그러나 어느 날 밤, 트라이록야 말라 왕이 탈레주 여신에게 성적인 접근을 시도했다.[6] 그 결과, 여신은 분노하여 궁궐을 방문하지 않았다.[6] 후회한 왕은 여신의 귀환을 간청하며 숭배했다.[6] 마침내 여신은 샤크야 가문의 처녀의 몸에 나타나기로 동의했다.[6]

오늘날에도 어머니가 붉은 뱀을 꿈꾸는 것은 자신의 딸이 왕실 쿠마리의 자리에 오르는 징조로 여겨진다.[6] 그리고 매년 네팔 왕은 인드라 자트라 축제에서 왕실 쿠마리의 축복을 받는다.[6] 2008년 네팔이 세계에서 가장 젊은 공화국 중 하나가 되면서 이 전통은 변화했다.[6]

이러한 전설과 다른 전설의 변형에서는 자야프라카시 말라 왕이 아닌 그의 12세기 조상인 궁캄 데브 왕을 주인공으로 지칭하기도 한다.[6]

세 번째 변형된 전설은 자야프라카시 말라 왕의 통치 기간 동안 한 어린 소녀가 여신 두르가에게 빙의되었다는 두려움 때문에 도시에서 추방되었다는 이야기다. 왕비는 어린 소녀의 운명을 알고 분노하여 왕에게 소녀를 데려와 두르가의 살아있는 화신으로 임명하라고 주장했다.

4. 선발 과정

쿠마리는 초경 전의 어린 소녀 중에서 선발되며, 많은 조건이 요구된다. 이는 티베트 불교의 활불인 달라이 라마나 카르마파 등이 선정되는 과정과 유사하다.[11] 가문은 중요하며, 네와르족의 불교도 승려, 금세공사 카스트인 샤크야(Shakya, 석가모니의 뜻[11]) 출신이어야 한다.

탈레주가 기존 쿠마리의 자리를 떠나면 후계자를 찾기 위한 격렬한 활동이 시작된다. 선발 과정은 5명의 고위 불교 바즈라차르야(Vajracharya) 사제인 판치 부다(Panch Buddha), 바다 구루주(Bada Guruju) 또는 최고 왕실 사제, 아차자우(Achajau), 탈레주 사제, 그리고 왕실 점성가(astrologer)에 의해 진행된다. 적격 후보자를 알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국왕과 다른 종교 지도자들에게도 수색이 진행 중임을 알린다.

적격한 소녀는 건강이 매우 좋아야 하며, 출혈을 한 적이 없거나 질병에 걸린 적이 없어야 하고, 결점이 없어야 하며, 아직 이가 빠진 적이 없어야 한다. 이러한 기본적인 적격 요건을 통과한 소녀들은 여신의 "바티스 락샤나스(battis lakshanas)" 또는 "32가지 완벽함"에 대해 조사받는다.

'''32가지 완벽함 (바티스 락샤나스)'''

32가지 조건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 소라 껍데기 같은 목
  • 벵갈보리수(Banyan tree) 같은 몸
  • 암소 같은 속눈썹
  • 사슴 같은 허벅지
  • 사자 같은 가슴
  • 오리처럼 부드럽고 맑은 목소리


이 외에도 머리카락과 눈은 매우 검어야 하며, 손과 발이 작고 예뻐야 하고, 생식기는 작고 안으로 들어가 있어야 하며, 이는 20개여야 한다.

  • 건강해야 한다.
  • 모든 이가 빠지지 않아야 한다.
  • 보리수나무와 같은 몸
  • 의 새끼와 같은 속눈썹
  • 사자와 같은 가슴
  • 사슴과 같은 다리
  • 오리처럼 부드럽고 맑은 목소리
  • 검은 머리카락과 눈


또한, 신체적으로 상처나 장애가 없어야 한다.

'''시험'''

소녀는 또한 평온함과 두려움이 없는 모습을 관찰하고, 그녀의 별자리(horoscope)를 검사하여 국왕의 별자리와 상호 보완적인지 확인한다. 그녀는 매년 국왕의 정통성을 확인해야 하므로 갈등이 없어야 한다. 그녀의 가족도 경건함과 국왕에 대한 헌신을 확인하기 위해 조사받는다.

국가와 국왕과의 점성술적 상성이 좋고, 이 모든 조건을 충족한 소녀가 쿠마리가 된다.

사제들이 후보자를 선택하면, 그녀는 실제로 두르가(Durga)의 살아있는 그릇이 되는 데 필요한 자질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더욱 엄격한 시험을 거쳐야 한다. 가장 큰 시험은 다샤인(Dashain)으로도 알려진 힌두교 축제 비자야 다샤미(Vijaya Dashami) 기간에 있다. 칼라라트리(Kalaratri) 또는 "검은 밤"에 108마리의 물소와 염소가 칼리(Kali) 여신에게 희생된다. 젊은 후보자는 탈레주 사원으로 데려가 마당으로 내보내지는데, 그곳에서 촛불로 짐승의 잘린 머리가 비추어지고 가면을 쓴 사람들이 춤을 춘다. 후보자가 진정으로 탈레주의 자질을 가지고 있다면 이 경험 중에 두려움을 보이지 않는다. 만약 두려움을 보이면 다른 후보자가 와서 같은 것을 시도한다.

다음 시험에서 살아있는 여신은 의식적으로 도살된 염소와 물소의 머리들 사이에 있는 방에서 밤을 보내야 하며, 두려움을 보여서는 안 된다. 두려움이 없는 후보자는 그녀 안에 거주할 여신을 특징짓는 평온함과 두려움이 없음을 증명한 것이다. 다른 모든 시험을 통과한 후, 마지막 시험은 그녀 앞에 놓인 여러 물건들 중에서 이전 쿠마리의 개인 소지품을 고를 수 있어야 한다. 만약 그녀가 그렇게 할 수 있다면, 그녀가 선택받은 자라는 데에 더 이상 의심의 여지가 없다. 동물의 머리가 늘어선 어두운 방에 가두어져 견디는 것도 필요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알려진 의식과 심사 과정과 반대되는 주장도 있다. 전 왕실 쿠마리 라슈밀라 샤크야(Rashmila Shakya)는 그녀의 자서전[7] "여신에서 필멸자로"에서 이것이 선발 과정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고 오히려 왕실 쿠마리가 매년 거치는 의식이며, 가면을 쓰고 그녀를 겁주려고 춤추는 남자는 없고, 무서운 방 시험에서 기껏해야 12개 정도의 동물 머리가 있다고 말한다. 그녀는 또한 각 쿠마리의 필요한 신체 검사가 친밀하거나 엄격하지 않다고 설명한다.

쿠마리 데비(카트만두, 2007년)

4. 1. 32가지 완벽함 (바티스 락샤나스)

쿠마리는 초경 전의 어린 소녀 중에서 선발되며, 많은 조건이 요구된다. 이는 티베트 불교의 활불인 달라이 라마나 카르마파 등이 선정되는 과정과 유사하다.

가문은 중요하며, 네와르족의 불교도 승려, 금세공사 카스트인 샤크야(Shakya, 석가모니의 뜻) 출신이어야 한다.

탈레주가 기존 쿠마리의 자리를 떠나면 후계자를 찾기 위한 격렬한 활동이 시작된다. 선발 과정은 5명의 고위 불교 바즈라차르야(Vajracharya) 사제인 판치 부다(Panch Buddha), 바다 구루주(Bada Guruju) 또는 최고 왕실 사제, 아차자우(Achajau), 탈레주 사제, 그리고 왕실 점성가(astrologer)에 의해 진행된다. 적격 후보자를 알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국왕과 다른 종교 지도자들에게도 수색이 진행 중임을 알린다.

적격한 소녀는 건강이 매우 좋아야 하며, 출혈을 한 적이 없거나 질병에 걸린 적이 없어야 하고, 결점이 없어야 하며, 아직 이가 빠진 적이 없어야 한다. 이러한 기본적인 적격 요건을 통과한 소녀들은 여신의 "바티스 락샤나스(battis lakshanas)" 또는 "32가지 완벽함"에 대해 조사받는다. 그중 일부는 시적으로 다음과 같이 나열된다.

  • 소라 껍데기 같은 목
  • 벵갈보리수(Banyan tree) 같은 몸
  • 암소 같은 속눈썹
  • 사슴 같은 허벅지
  • 사자 같은 가슴
  • 오리처럼 부드럽고 맑은 목소리


이 외에도 머리카락과 눈은 매우 검어야 하며, 손과 발이 작고 예뻐야 하고, 생식기는 작고 안으로 들어가 있어야 하며, 이는 20개여야 한다.

다음은 32가지나 되는 조건 중 일부이다.

  • 건강해야 한다.
  • 모든 이가 빠지지 않아야 한다.
  • 보리수나무와 같은 몸
  • 의 새끼와 같은 속눈썹
  • 사자와 같은 가슴
  • 사슴과 같은 다리
  • 오리처럼 부드럽고 맑은 목소리
  • 검은 머리카락과 눈


또한, 신체적으로 상처나 장애가 없어야 한다.

소녀는 또한 평온함과 두려움이 없는 모습을 관찰하고, 그녀의 별자리(horoscope)를 검사하여 국왕의 별자리와 상호 보완적인지 확인한다. 그녀는 매년 국왕의 정통성을 확인해야 하므로 갈등이 없어야 한다. 그녀의 가족도 경건함과 국왕에 대한 헌신을 확인하기 위해 조사받는다.

국가와 국왕과의 점성술적 상성이 좋고, 이 모든 조건을 충족한 소녀가 쿠마리가 된다.

사제들이 후보자를 선택하면, 그녀는 실제로 두르가(Durga)의 살아있는 그릇이 되는 데 필요한 자질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더욱 엄격한 시험을 거쳐야 한다. 가장 큰 시험은 다샤인(Dashain)으로도 알려진 힌두교 축제 비자야 다샤미(Vijaya Dashami) 기간에 있다. 칼라라트리(Kalaratri) 또는 "검은 밤"에 108마리의 물소와 염소가 칼리(Kali) 여신에게 희생된다. 젊은 후보자는 탈레주 사원으로 데려가 마당으로 내보내지는데, 그곳에서 촛불로 짐승의 잘린 머리가 비추어지고 가면을 쓴 사람들이 춤을 춘다. 후보자가 진정으로 탈레주의 자질을 가지고 있다면 이 경험 중에 두려움을 보이지 않는다. 만약 두려움을 보이면 다른 후보자가 와서 같은 것을 시도한다.

다음 시험에서 살아있는 여신은 의식적으로 도살된 염소와 물소의 머리들 사이에 있는 방에서 밤을 보내야 하며, 두려움을 보여서는 안 된다. 두려움이 없는 후보자는 그녀 안에 거주할 여신을 특징짓는 평온함과 두려움이 없음을 증명한 것이다. 다른 모든 시험을 통과한 후, 마지막 시험은 그녀 앞에 놓인 여러 물건들 중에서 이전 쿠마리의 개인 소지품을 고를 수 있어야 한다. 만약 그녀가 그렇게 할 수 있다면, 그녀가 선택받은 자라는 데에 더 이상 의심의 여지가 없다. 동물의 머리가 늘어선 어두운 방에 가두어져 견디는 것도 필요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알려진 의식과 심사 과정과 반대되는 주장도 있다. 전 왕실 쿠마리 라슈밀라 샤크야(Rashmila Shakya)는 그녀의 자서전[7] "여신에서 필멸자로"에서 이것이 선발 과정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고 오히려 왕실 쿠마리가 매년 거치는 의식이며, 가면을 쓰고 그녀를 겁주려고 춤추는 남자는 없고, 무서운 방 시험에서 기껏해야 12개 정도의 동물 머리가 있다고 말한다. 그녀는 또한 각 쿠마리의 필요한 신체 검사가 친밀하거나 엄격하지 않다고 설명한다.

4. 2. 시험

쿠마리는 초경 전의 어린 소녀 중에서 선발되며, 여러 조건이 요구된다.[11] 이는 티베트 불교의 활불인 달라이 라마나 카르마파 등이 선정되는 과정과 유사하다. 후보자는 네와르(Newar) 샤크야(Shakya) 카스트 출신으로, 건강 상태, 외모, 별자리 등 다양한 요소를 검증받는다.[11]

선발 과정은 5명의 고위 불교 바즈라차르야(Vajracharya) 사제, 왕실 최고 사제, 아차자우(Achajau), 탈레주 사제, 왕실 점성가(astrologer)에 의해 진행된다. 국왕과 다른 종교 지도자들에게도 수색이 진행 중임을 알린다.

적격한 소녀들은 은세공사와 금세공사 계층인 네와르족의 불교도 승려, 금세공사 카스트인 샤크야(석가모니의 뜻[11]) 출신이어야 한다. 소녀는 건강이 매우 좋아야 하며, 출혈이나 질병의 경험이 없어야 하고, 결점이 없어야 하며, 아직 이가 빠진 적이 없어야 한다. 이러한 기본적인 적격 요건을 통과한 소녀들은 "바티스 락샤나스(battis lakshanas)" 또는 "32가지 완벽함"에 대해 조사받는다. 그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이 외에도 머리카락과 눈은 매우 검어야 하며, 손과 발이 작고 예뻐야 하고, 생식기는 작고 안으로 들어가 있어야 하며, 이는 20개여야 한다. 또한, 신체적으로 상처나 장애가 없어야 한다.

소녀의 별자리는 국왕의 별자리와 상호 보완적인지 확인하며, 가족도 경건함과 국왕에 대한 헌신을 확인하기 위해 조사받는다.

사제들이 후보자를 선택하면, 두르가(Durga)의 살아있는 그릇이 되는 데 필요한 자질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엄격한 시험을 거친다. 가장 큰 시험은 다샤인(Dashain)으로도 알려진 힌두교 축제 비자야 다샤미(Vijaya Dashami) 기간에 있다. 칼라라트리(Kalaratri) 또는 "검은 밤"에 108마리의 물소와 염소가 칼리(Kali) 여신에게 희생된다. 젊은 후보자는 탈레주 사원으로 데려가 짐승의 잘린 머리가 촛불로 비추어지고 가면을 쓴 사람들이 춤을 추는 마당으로 내보내진다. 후보자가 두려움을 보이지 않으면, 다른 후보자가 와서 같은 것을 시도한다. 다음 시험에서 살아있는 여신은 의식적으로 도살된 염소와 물소의 머리들 사이에 있는 방에서 밤을 보내야 하며, 두려움을 보여서는 안 된다.

다른 모든 시험을 통과한 후, 마지막 시험은 그녀 앞에 놓인 여러 물건들 중에서 이전 쿠마리의 개인 소지품을 고를 수 있어야 한다. 만약 그녀가 그렇게 할 수 있다면, 그녀가 선택받은 자라는 데에 더 이상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전 왕실 쿠마리 라슈밀라 샤크야(Rashmila Shakya)는 자서전에서 이러한 의식과 심사 과정에 대해 반박하며, 가면을 쓰고 춤추는 남자는 없고, 무서운 방 시험에서 기껏해야 12개 정도의 동물 머리가 있다고 주장한다.[7]

5. 왕실 쿠마리의 삶

선택된 소녀가 탄트라 정화 의식을 완료하고 하얀 천 위를 걸어 쿠마리 가르(Kumari Ghar) 사원으로 들어가 왕좌에 오르면, 그녀의 삶은 완전히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된다. 그녀는 의례적인 행사가 아니면 궁궐을 나서지 않을 것이다. 가족들은 드물게, 그리고 공식적인 자리에서만 방문할 것이다. 그녀의 놀이 친구들은 대개 그녀의 보호자 자녀들인 그녀의 카스트 출신 네와르족 아이들 중에서 제한된 범위에서 선택될 것이다. 그녀는 항상 빨강과 금색 옷을 입고, 머리를 상투로 틀고, 특별한 통찰력의 상징으로 이마에 ''아그니 착슈''(agni chakshu, "불의 눈")를 그리게 될 것이다.

왕실 쿠마리의 새로운 삶은 그녀가 익숙했던 삶과는 크게 다르다. 그녀의 삶은 이제 물질적인 어려움으로부터 자유롭지만, 의례적인 의무를 수행해야 한다. 명령을 받는 것은 아니지만, 여신에게 어울리는 행동을 해야 한다. 그녀는 선발 과정에서 올바른 자질을 보여주었고, 그녀의 지속적인 평온함은 가장 중요하다. 성질이 사나운 여신은 그녀에게 기도하는 사람들에게 불길한 징조를 예고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쿠마리가 두바르 광장을 가로질러 걷는 것은 여신이 그녀의 몸에서 떠날 때까지 그녀의 발이 땅을 밟는 마지막 순간이다. 이제부터 그녀가 궁궐 밖으로 나갈 때는 황금 가마에 실려 이동하게 된다. 그녀의 발은 그녀의 모든 것처럼 이제 신성하다. 간청하는 사람들은 그녀의 발을 만져서 고난과 질병으로부터 구원을 받기를 바랄 것이다. 국왕 자신도 매년 그녀의 축복을 구하러 올 때 그녀의 발에 입맞출 것이다. 그녀는 절대 신발을 신지 않을 것이다. 발을 가린다면 빨간 스타킹으로 가릴 것이다.

쿠마리의 힘은 너무 강력하여 그녀를 잠깐만 보는 것만으로도 행운을 가져다준다고 여겨진다. 수많은 사람들이 쿠마리 궁궐의 쿠마리 초크(Kumari Chowk, 안뜰)에 있는 쿠마리의 창문 아래에서 그녀가 3층의 창살 창문을 지나쳐 아래를 내려다볼 것을 기다린다. 그녀의 드문 등장은 단 몇 초 동안 지속되지만, 그럴 때마다 안뜰의 분위기는 헌신과 경외심으로 가득 차 있다.

더 운이 좋은, 또는 더 유력한 간청자들은 그녀가 금박을 입힌 사자 왕좌에 앉아 있는 방에서 쿠마리를 방문한다. 그녀를 방문하는 사람들 중 상당수는 쿠마리가 그러한 질병에 대한 특별한 힘을 가지고 있다고 믿기 때문에 혈액이나 생리 장애로 고통받는 사람들이다. 관료와 정부 관리들도 그녀를 방문한다. 간청자들은 관례적으로 쿠마리에게 선물과 음식을 바치는데, 쿠마리는 침묵 속에서 그것을 받는다. 도착하면 그녀는 헌신의 행위로 발을 만지거나 입맞추도록 한다. 이러한 알현 동안 쿠마리는 면밀히 관찰되고, 그녀의 행동은 다음과 같이 간청자의 삶에 대한 예언으로 해석된다.


  • 울음이나 큰 소리로 웃음: 심각한 질병이나 죽음
  • 울거나 눈을 비빔: 임박한 죽음
  • 떨림: 투옥
  • 손뼉침: 국왕을 두려워할 이유
  • 음식 제물을 집어먹음: 재정적 손실


쿠마리가 알현 내내 침묵하고 무표정을 유지하면, 그녀의 신자들은 기뻐하며 떠난다. 이것은 그들의 소원이 이루어졌다는 신호이다.

많은 사람들이 쿠마리의 필요를 돌본다. 이들은 쿠마리미(Kumarimi)로 알려져 있으며 후원자에 의해 이끌어진다. 그들의 일은 매우 어렵다. 그들은 쿠마리의 모든 필요와 욕구를 돌보고 의례적인 의무에 대한 지시를 해야 한다. 그들은 직접 쿠마리에게 무엇을 하라고 명령할 수는 없지만, 그녀의 삶을 인도해야 한다. 그들은 그녀를 목욕시키고, 옷을 입히고, 화장을 해주는 일뿐만 아니라 방문객을 위한 준비와 의례적인 행사를 위한 준비를 담당한다.

전통적으로 쿠마리는 전지전능하다고 널리 여겨졌기 때문에 교육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현대화는 그녀가 필멸의 삶으로 돌아온 후 교육을 받아야 할 필요성을 만들었다. 쿠마리들은 이제 공립학교에 다닐 수 있으며 다른 학생들과 다름없는 교실 생활을 할 수 있다. 바크타푸르(Bhaktapur)의 쿠마리와 같이 많은 쿠마리들이 학교에 다니는 반면, 카트만두(Kathmandu)의 주요 쿠마리와 같이 다른 쿠마리들은 개인 교사를 통해 교육을 받는다.

마찬가지로, 그녀의 제한된 놀이 친구들은 그녀를 존경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그녀의 모든 소원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그들은 그녀가 원하는 것을 무엇이든 그녀에게 내주고, 어떤 게임을 할지 또는 어떤 활동을 할지 그녀의 뜻에 따르는 법을 배워야 한다.

쿠마리 사원(クマリの館)을 나서는 쿠마리


쿠마리 사원(クマリの館)

5. 1. 쿠마리의 힘과 징조

쿠마리의 힘은 매우 강력하여 그녀를 잠깐만 보는 것만으로도 행운을 가져다준다고 여겨진다. 많은 사람들이 쿠마리 궁궐의 쿠마리 초크(Kumari Chowk, 안뜰)에 있는 쿠마리의 창문 아래에서 그녀가 3층의 창살 창문을 지나쳐 아래를 내려다볼 것을 기다린다. 그녀의 드문 등장은 단 몇 초 동안 지속되지만, 그럴 때마다 안뜰의 분위기는 헌신과 경외심으로 가득 찬다.

더 운이 좋은, 또는 더 유력한 간청자들은 그녀가 금박을 입힌 사자 왕좌에 앉아 있는 방에서 쿠마리를 방문한다. 그녀를 방문하는 사람들 중 상당수는 쿠마리가 그러한 질병에 대한 특별한 힘을 가지고 있다고 믿기 때문에 혈액이나 생리 장애로 고통받는 사람들이다. 관료와 정부 관리들도 그녀를 방문한다. 간청자들은 관례적으로 쿠마리에게 선물과 음식을 바치는데, 쿠마리는 침묵 속에서 그것을 받는다. 도착하면 그녀는 헌신의 행위로 발을 만지거나 입맞추도록 한다. 이러한 알현 동안 쿠마리는 면밀히 관찰되고, 그녀의 행동은 간청자의 삶에 대한 예언으로 해석된다.

쿠마리가 두바르 광장을 가로질러 걷는 것은 여신이 그녀의 몸에서 떠날 때까지 그녀의 발이 땅을 밟는 마지막 순간이다. 이제부터 그녀가 궁궐 밖으로 나갈 때는 황금 가마에 실려 이동하게 된다. 그녀의 발은 그녀의 모든 것처럼 이제 신성하다. 간청하는 사람들은 그녀의 발을 만져서 고난과 질병으로부터 구원을 받기를 바랄 것이다. 국왕 자신도 매년 그녀의 축복을 구하러 올 때 그녀의 발에 입맞출 것이다.

쿠마리의 행동에 따른 징조는 다음과 같다:

쿠마리의 행동징조의 의미
울음이나 큰 소리로 웃음심각한 질병이나 죽음
울거나 눈을 비빔임박한 죽음
떨림투옥
손뼉침국왕을 두려워할 이유
음식 제물을 집어먹음재정적 손실



쿠마리가 알현 내내 침묵하고 무표정을 유지하면, 그녀의 신자들은 기뻐하며 떠난다. 이것은 그들의 소원이 이루어졌다는 신호이다.

6. 쿠마리 목록



왕실 쿠마리 - 도시: 카트만두
이름고향쿠마리 재임 기간도시
히라 마이야 샤키야워투1922년–1923년카트만두
치니 쇼바 샤키야*라간1923년–1931년카트만두
찬드라 데비 샤키야*아손추카1931년–1933년카트만두
딜 쿠마리 샤키야라간1933년–1942년카트만두
나니 쇼바 샤키야옴바할1942년–1949년카트만두
카요 마주 샤키야*콰히티1949년–1955년카트만두
하르샤 락슈미 샤키야나갈1955년–1961년카트만두
나니 마주 샤키야나갈1961년–1969년카트만두
수니나 샤키야옴바할1969년–1978년카트만두
아니타 샤키야시카무바할1978년–1984년카트만두
라시밀라 샤키야콰히티1984년–1991년카트만두
아미타 샤키야아산바할1991년–2001년카트만두
프리티 샤키야이툼바할2001년–2008년카트만두
마티나 샤키야이툼바할2008년–2017년카트만두
트리슈나 샤키야옴바할2017년–카트만두



쿠마리 - 도시: 파탄
이름고향쿠마리 재임 기간도시
다나 쿠마리 바자라차리아파탄1954년–1984년파탄
수미카 바자라차리아파탄1994년-2001년파탄
차니라 바자라차리아파탄2001년–2010년파탄
사미타 바자라차리아파탄2010년–2014년파탄
우니카 바자라차리아파탄2014년–2018년파탄
니히라 바자라차리아파탄2018년–파탄



쿠마리 - 지역: 붕가마티
이름고향쿠마리 재임 기간도시
강가 바자라차리아붕가마티1996년–1997년붕가마티
자무나 바자라차리아붕가마티1997년–1998년붕가마티
라슈미 바자라차리아붕가마티1998년–2001년붕가마티
소피야 바자라차리아붕가마티2007년–2011년붕가마티
디야 바자라차리아붕가마티2011년–2014년붕가마티
스미티 바자라차리아붕가마티2014년–2015년붕가마티
킨잘 바자라차리아붕가마티2015년–2018년붕가마티
크리파 바자라차리아붕가마티2018년–2022년붕가마티
유비카 바자라차리아붕가마티2022년–붕가마티



2007년 3월 카트만두 외곽의 지역 쿠마리가 무단으로 미국에 건너간 일로 쿠마리의 지위에서 해임되었다.[14]

7. 퇴임과 그 이후

2008년 7월 3일, 사자니 샤키야는 미국을 방문하여 실버스프링 시내의 미국 영화 연구소/디스커버리 채널 다큐멘터리 영화제인 실버독스에서 영화 《살아있는 여신》의 개봉 행사에 참석한 후, 박타푸르의 쿠마리 직위에서 해임되었다.[8] 장로들은 이 방문으로 그녀의 순수함이 더럽혀졌다고 판단했다.[8] 몇 주 후, 사자니 샤키야의 고향 사찰 당국은 이전 발표를 번복하고, 여행 중 저질렀을지도 모르는 죄를 없애기 위한 "정화" 의식을 치르려는 그녀의 의지 때문에 그녀의 칭호를 박탈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9]

쿠마리는 몇 년에서 10년 정도 역할을 수행한 후 초경이나 유치 교체 등의 출혈이 있을 때 퇴임하며, 퇴위 의식을 마친 후 친가로 돌아가 평범한 소녀로서 생활하게 된다. 퇴임한 쿠마리에게는 매달 7,500네팔 루피의 연금이 지급된다.[12]

“전 쿠마리 여성은 행복해질 수 없다” 또는 “전 쿠마리 소녀와 맺어진 남성은 요절하기 쉽다” 와 같은 속설이 네팔에서 오랫동안 믿어져 왔으나, 1991년까지 7년간 로열 쿠마리를 역임한 라슈밀라 샤키아는 자서전 "from goddess to mortal"에서 그러한 신비성을 부정하고 있다.[13]

2002년NHK의 프로그램 ‘아시아 인간 거리’에서 쿠마리의 이후 삶을 추적한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이 제작되었고(라슈밀라 씨의 예), 2018년에는 NHK의 프로그램 ‘소녀가 신이 될 때’에서 2017년 신구 쿠마리 교체를 거쳐 쿠마리 신앙과 네팔 사람들의 현재를 소개하는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이 방송되었다.

2007년 3월 카트만두 외곽의 지역 쿠마리가 무단으로 미국에 건너간 일로 쿠마리의 지위에서 해임되었다.[14]

8. 인권 문제

2008년 7월 3일, 사자니 샤키야는 미국을 방문하여 영화 《살아있는 여신》 개봉 행사에 참석한 후, 박타푸르의 쿠마리 직위에서 해임될 뻔했으나, "정화" 의식을 치르겠다는 의지 덕분에 칭호를 유지했다.[8][9]

사회로부터 고립된 쿠마리의 상황은 아동 학대 및 감금에 해당한다는 비판이 인권 단체로부터 제기되었다.[15] 2006년 네팔 대법원은 쿠마리 전통의 인권 침해 여부에 대한 조사를 정부에 명령했고, 2008년 8월 18일, 쿠마리에게 교육, 행동, 식사의 자유 등이 인정되어야 한다는 판결을 내렸다.[15]

네팔 공산당(모택동주의파)는 과거 쿠마리 제도의 폐지를 주장했지만, 현재는 존속을 용인하고 있다.[11] 쿠마리의 시종을 맡아온 보호자는 쿠마리가 사람들의 신앙을 모으고 있기 때문에 전통이 계속되고 있으며, 시대에 맞춰 변화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설명했다.[11]

9. 대중문화 속 쿠마리


  • 대한민국의 인터넷 만화 《시타를 위하여》에서 여자 주인공은 네팔의 쿠마리였다.[10]
  • 2015년 10월 25일 방영된 CBS 드라마 시리즈 ''매덤 세크리터리''(시즌 2, 에피소드 4)의 "Waiting for Taleju" 에피소드에서 쿠마리가 등장한다. 이 에피소드에서 허구의 미국 국무장관인 엘리자베스 맥코드는 2015년 네팔 지진 이후 미국의 재난 구호 기금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될 거래에 대한 지지를 얻고자 쿠마리를 만난다.
  • 다이애나 위니 존스의 소설 ''크리스토퍼 찬트의 삶''에서 살아있는 아셰스(Living Asheth)라는 등장인물은 주인공이 방문하는 세계 중 하나에서 여신으로 숭배받는 어린 소녀이며, 여신의 화신으로서 엄격한 의례적 순결의 규칙에 따라 살아야 한다는 점에서 쿠마리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 넷플릭스의 리미티드 시리즈 ''더 서펀트'' 4화에서 모니크는 사원 밖에서 쿠마리 소녀를 본다.
  • 2016년 인도 영화 ''카슈모라''에서 랏나 마하데비(나얀타라의 배역)의 환생은 쿠마리처럼 차려입은 소녀로 묘사된다.
  • 게임 ''파 크라이 4''에는 타룬 마타라(Tarun Matara)라는 신화가 있는데, 이는 쿠마리 전통에서 크게 영감을 받았다.
  • 『처녀신 소녀가 신이 될 때』 우에시마 케이지 저, 슈에이샤, 2014년
  • 『신의 처녀 쿠마리』 비자이 말라 저, 테라다 시즈코 역, 신주쿠쇼보, 1994년
  • 만화『꽃귀신』(하나오니) 오마 레이 원작, 타카오 코우코 그림, 아키타 서점 – 퇴임 후에도 힘을 유지하는 전직 쿠마리 출신의 미소녀 모델 카마키야 하나코가 주인공으로, 칼리의 환생이라고 설정되어 있다.
  • 만화『최종전쟁 시리즈』 야마다 미네코
  • 소설『MOTHER2』 쿠미 사오리 저, 신초문고 – 작품에 등장하는 람마 왕국(주인공 일행 중 한 명인 푸의 조국)은 네팔 근처가 모델이며, 푸가 쿠마리 풍습에 대해 이야기하는 장면이 있다. 푸는 특별한 때에만 선택되는 "남자아이 쿠마리"이며, 일행의 임무를 알게 된 순간 "나는 람마의 쿠마리이고 네스(주인공)는 지구의 쿠마리다"라고 말한다.
  • 『신들의 시』"신이라 불린 소녀 - 인간과 신의 사이" (TBS) 1999년 1월 31일
  • 『아시아 인간 거리』"신이었던 여자 - 네팔 카트만두" (NHK 종합) 2002년
  • 『아시아 고도 이야기』"제4집 여신과 함께 사는 하늘의 도시" (NHK 종합) 2002년 4월 21일
  • 일본화 작품 「쿠마리─The Living Goddess─」(F50호)는 일본화가 후지타 진(後藤仁)의 대표작 중 하나이다.[16]

참조

[1] 뉴스 Goddess status may violate girls' rights, says court https://www.telegrap[...] 2018-07-08
[2] 사진 Living Goddesses of Nepal – Photo Gallery https://web.archive.[...]
[3] 간행물 Patron Deity: Taleju Bhawani http://ecs.com.np/fe[...] ECS NEPAL 2020-12-16
[4] 웹사이트 Becoming a Kumari was a dream come true https://medium.com/s[...] 2020-10-07
[5] 웹사이트 Michaels WebSite https://www.michael-[...] 2020-10-07
[6] 웹사이트 Deepak Shimkhada: The Future of Nepal's "Living" Goddess: Is Her Death Necessary? http://www.asianart.[...]
[7] 서적 From Goddess to Mortal Vajra Publications
[8] 뉴스 'Goddess' sacked for visiting US http://news.bbc.co.u[...] BBC News 2007-07-03
[9] 뉴스 Nepalese 'goddess' is reinstated http://news.bbc.co.u[...] BBC News 2008-07-19
[10] 웹툰 For the Sake of Sita http://www.webtoons.[...]
[11] 뉴스 【世界発2018】神宿る少女「クマリ」変容 ネパール「人権侵害」批判受け/親元離れ生活■勉強より儀礼■外出は年数回/経験者「大変だった」 最近は…両親と面会■個別授業も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18-10-18
[12] 문서 2010年7月より。それまでは月6,000ルピーだった。
[13] 서적 世界を動かす聖者たち 平凡社
[14] 뉴스 ネパールの生き神「クマリ」の少女、渡米で地位をはく奪 https://www.afpbb.co[...] AFPBBニュース 2007-07-19
[15] 블로그 ネパール評論2008年8月19日 http://nepalreview.s[...]
[16] 웹사이트 後藤仁公式ホームページ「後藤 仁(GOTO JIN)のアトリエ」 https://gotojin.web.[...]
[17] 웹사이트 http://www.dailymai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