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쿠샨-사산 왕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샨-사산 왕국은 사산 제국이 쿠샨 제국 영토를 점령하면서 성립된 왕국으로, 서기 230년경 아르다시르 1세 치세에 박트리아로 통치권을 확장하며 시작되었다. 이 왕국은 현재의 파키스탄 서부 지역까지 세력을 확장했으며, 쿠샨 제국의 간다라와 박트리아 지역을 잃게 했다. 쿠샨-사산 왕국은 호르미즈드 1세 쿠샨샤 시기에 반란을 시도했지만 실패했고, 샤푸르 2세 시대에는 사산 제국이 직접 통치하는 지역과 쿠샨샤가 통치하는 지역으로 나뉘었다. 이후 키다라족의 침입으로 사산 제국의 지배는 종식되었다. 쿠샨-사산 왕국은 마니교의 전파와 시바 신앙의 영향을 받았으며, 동전과 예술 작품을 통해 그 문화를 보여준다. 주요 통치자로는 아르다시르 1세 쿠샨샤, 페로즈 1세 쿠샨샤, 호르미즈드 1세 쿠샨샤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쿠샨 제국 - 간다라
    간다라는 카불 강에서 인더스 강까지, 페샤와르 계곡을 중심으로 한 고대 지역으로, 다양한 세력의 지배를 받았으며 간다라 미술과 대승 불교, 카로슈티 문자로 유명하다.
  • 아프가니스탄의 고대사 - 마우리아 제국
    마우리아 제국은 찬드라굽타 마우리아가 건국하여 아소카 대제 때 최전성기를 누렸으나 쇠퇴하여 숭가 제국에 의해 멸망한 고대 인도 제국으로, 중앙집권적 통치, 불교 전파, 헬레니즘 교류 등의 특징을 가지며 인도 문화와 역사에 큰 영향을 남겼다.
  • 아프가니스탄의 고대사 - 그리스-박트리아 왕국
    그리스-박트리아 왕국은 기원전 250년경 디오도토스 1세가 셀레우코스 제국으로부터 독립하여 건국한 헬레니즘 왕국으로, 아프가니스탄 북부를 중심으로 번성하며 헬레니즘 문화와 동방 문화가 융합된 독특한 문화를 꽃피웠으나 유목 민족의 침입 등으로 멸망했다.
쿠샨-사산 왕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일반 명칭쿠샤노-사산 왕국
고유 명칭Kushanshahr
시대후기 고대
정치 체제봉건 군주제
수도발흐
공용어중세 페르시아어
박트리아어
종교불교
조로아스터교
힌두교
건국기원후 230년경
멸망기원후 365년경
현재 국가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쿠샤노-사산 왕국의 지도
쿠샤노-사산 왕국의 영역 지도
역사
시작기원후 230년경
종료기원후 365년경
이전쿠샨 제국
파라타라자스
이후키다라족
언어
공용어팔라비어
박트리아어
통치
통계
년도기원후 230년경
화폐

2. 역사

사산 제국파르티아 제국을 무너뜨리고 박트리아 지역으로 세력을 확장하면서 쿠샨-사산 왕국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아르다시르 1세와 그의 아들 샤푸르 1세쿠샨 제국의 서쪽 영토를 점령하고, 쿠샨샤라는 칭호를 가진 사산 귀족들을 통치자로 임명했다. 쿠샨-사산 왕국은 간다라 지역을 중심으로 인더스 강 서쪽까지 진출했지만, 탁실라에서는 이들의 동전이 거의 발견되지 않아 인더스 강을 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24]

호르미즈드 1세 쿠샨샤는 바흐람 2세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키고 "쿠샨샤한샤"라는 칭호를 사용하며 독자적인 세력을 구축하려 했으나 실패했다.[21][25][26] 이후 샤푸르 2세 시기에 사산 제국의 영향력이 다시 강화되었고, 키다라족이 침입할 때까지 쿠샨-사산 왕국에 대한 통치를 유지했다.[24]

2. 1. 쿠샨-사산 왕조의 성립

사산 제국파르티아에 승리한 직후인 230년경 아르다시르 1세의 통치 기간 동안 박트리아로 그들의 통치권을 확장했고, 그의 아들 샤푸르 1세(240–270)의 통치 기간 동안 그들의 제국의 동쪽 지역을 파키스탄 서부로 확장했다. 이로 인해 쿠샨 제국간다라박트리아를 비롯한 서쪽의 영토를 잃게 되었다. 인더스강 바로 너머의 탁실라에서는 쿠샨-사산 왕조의 동전이 거의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쿠샨-사산 왕국이 가장 멀리 진출한 곳은 간다라로 추정된다.[24]

쿠샨 양식의 쿠샤노-사산 통치자 호르미즈드 1세 쿠샨샤(서기 277-286년경)의 초상화


호르미즈드 1세 쿠샨샤 시기 쿠샨-사산 왕국은 사산 제국의 동시대 황제 바흐람 2세에 대한 반란을 주도한 것으로 보이지만, 이 반란은 실패했다.[21] 파네기리키 라티니에 따르면, 바흐람 2세에 대항하여 어떤 오르미스(Ormisdas)의 반란이 있었고, 오르미스는 사키스 사람들(시스탄)의 지원을 받았다.[25] 호르미즈드 1세 쿠샨샤는 "쿠샨샤한샤"("쿠샨 왕들의 왕")라는 제목의 동전을 발행했는데,[26] 이는 사산 제국의 통치를 무시한 것으로 추정된다.[21]

325년경, 샤푸르 2세는 사산 제국의 남부를 직접 통치했고, 북부에서는 쿠샨샤들이 그들의 통치를 유지했다. 타실라 시에서 인더스 너머의 사산 동전의 중요한 발견은 샤푸르 2세 (재위 309-379)와 샤푸르 3세(재위 383-388)의 통치 때 시작되는데, 이는 사산 제국의 지배력이 인더스를 넘어 확장된 것이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가 기술한 350년에서 358년 사이의 "샤푸르 2세와 키오니아인, 쿠샨족과의 전쟁의 결과"임을 암시한다.[24] 사산 제국은 키다라 1세가 이끄는 키다라족이 쿠샨-사산 왕국을 정복할 때까지 이 지역에 대한 통치를 유지했다.[24]

2. 2. 호르미즈드 1세 쿠샨샤의 반란

사산 제국바흐람 2세에 대항하여 호르미즈드 1세 쿠샨샤가 반란을 주도했지만 실패했다.[21] ''라틴 찬가''에 따르면, 바흐람 2세에 대항한 오르미스(Ormisdas)의 반란에는 시스탄(사키스) 사람들의 지원이 있었다.[25] 호르미즈드 1세 쿠샨샤는 "쿠샨샤한샤"("쿠샨 왕들의 왕")라는 칭호가 새겨진 동전을 발행했는데,[26] 이는 사산 제국의 통치를 무시한 것으로 추정된다.[21]

2. 3. 샤푸르 2세의 통치와 키다라족의 침입

325년경, 샤푸르 2세사산 제국 남부를 직접 통치했고, 북부에서는 쿠샨샤들이 통치를 유지했다. 탁실라 시에서 인더스 강 너머의 사산 동전이 발견되기 시작한 것은 샤푸르 2세 (재위 309-379)와 샤푸르 3세 (재위 383-388)의 통치 시기부터인데, 이는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가 기술한 350년에서 358년 사이의 "샤푸르 2세와 키오니아인, 쿠샨족과의 전쟁"의 결과로 사산 제국의 지배력이 인더스 강 너머로 확장되었음을 보여준다.[24] 사산 제국은 키다라 1세가 이끄는 키다라족이 쿠샨-사산 왕국을 정복할 때까지 이 지역에 대한 통치를 유지했다.[24]

2. 4. 에프탈과 사산 제국의 재흥기



410년부터 박트리아간다라 지역은 에프탈의 침략을 받았으며, 이들은 잠시 쿠샨-사산 왕조를 대체했다. 에프탈은 인도-에프탈로 알려지게 되었다.[4]

558년 돌궐 서쪽의 실점밀과 사산 왕조의 호스로 1세가 공동으로 에프탈을 공격하기 시작했고, 565년 연합군에 의해 에프탈이 타도될 때까지 인도-에프탈의 통치가 이어졌다. 이후 사산 왕조의 왕족이 다시 이 지역에 지배를 확립했다.

3. 종교

쿠샨-사산 왕국 시대에는 마니교시바파 등 다양한 종교가 공존했다. 마니교는 창시자 마니사산 제국의 동쪽 확장에 따라 간다라불교 문화에 영향을 받아 전파되었으며, 윤회 사상과 승려, 신도 구조 등에서 불교의 영향을 받았다. 또한 시바난디를 묘사한 동전이 발견되어 시바파의 강한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다.[27]

3. 1. 마니교의 전파

마니교의 창시자인 예언자 마니(210-276)는 동쪽으로 확장하는 사산 제국을 따라갔고, 이 과정에서 간다라 지역에 융성하던 불교 문화를 접했다. 마니는 여러 종교화가 마니의 것으로 보이는 지역인 바미안을 방문했으며, 한동안 바미안에 살면서 사람들을 가르친 것으로 추정된다. 마니는 또한 240년 또는 241년에 오늘날의 파키스탄에 있는 인더스 계곡 지역으로 이동해 불교 왕인 인도의 투란 샤를 개종시켰다고 전해진다.[27]

쿠샨-사산 왕국 시기에, 다양한 불교의 영향이 마니교에 스며든 것으로 보인다. 리처드 폴츠는, "마니의 종교적 사상 형성에는 불교의 영향이 컸다. 영혼의 이동은 마니교의 신앙이 되었고, 이들을 지지하는 남녀 승려('선출자')와 평신도('듣는 사람')로 나뉘는 마니교 공동체의 사분면 구조는 불교의 승가에 기반을 둔 것으로 보인다."고 그의 저서 《실크 로드의 종교들》에 적었다.[27]

3. 2. 시바 신앙

''앞면:'' 특징적인 머리 장식을 한 바흐람.
''뒷면:'' 쿠샨 스타일의 시바난디.]]

시바난디를 묘사한 동전이 발견되어 시바파의 강한 영향을 보여준다.

4. 동전

쿠사노-사산 왕조는 브라흐미 문자, 팔라비어 또는 박트리아어로 적힌 문구와 함께 다양한 동전을 주조했는데, 이 동전들은 때로는 쿠샨 제국의 동전에서, 때로는 사산 제국의 동전에서 영감을 받았다. 동전 앞면에는 보통 정교한 머리 장식을 한 통치자가 묘사되어 있으며, 뒷면에는 조로아스터교의 불 제단이나 황소 난디를 가진 시바가 묘사되어 있다.[28]

인도-사산 주화.


금 인도-사산 주화.

5. 예술

쿠샨-사산 왕국은 은 식기와 사산 왕조의 황제들이 사냥을 하거나 정의를 집행하는 모습을 묘사한 직물과 같은 상품을 거래했다.[29]

5. 1. 타문화로의 영향

사산 제국의 예술은 쿠샨 예술에 영향을 주었으며, 이러한 영향은 남아시아 북서부에서 수 세기 동안 계속되었다. 쿠샨-사산 왕국의 예술에 속하는 것으로 보이는 접시들이 중국의 북위 시기 무덤에서도 발견되었는데, 예를 들면 서기 504년 펑허투의 무덤에서 발견된 멧돼지 사냥을 묘사한 접시들이 있다.[36]



인도-사산 왕조는 사산 제국의 황제가 사냥을 하거나 정의를 집행하는 모습을 묘사한 제품이나 직물과 같은 상품을 교역했다.

6. 주요 통치자

통치자재위 기간
아르다시르 1세 쿠샨샤230년–245년
페로즈 1세 쿠샨샤245년–275년
호르미즈드 1세 쿠샨샤275년–300년
호르미즈드 2세 쿠샨샤300년–303년
페로즈 2세 쿠샨샤303년–330년
바흐람 쿠샨샤330년–365년


  • 샤푸르 2세 (사산 왕조의 왕, "사칸샤"): 325년경
  • 바흐람 1세, 2세, 3세 "쿠샨샤" (325년경 - 350년경; 에프탈의 침입까지 존속)
  • 페로즈 3세 "쿠샨샤" (350년경 - 360년경; 간다라를 지배)

참조

[1] 학술지 From the Kushans to the Western Turks https://www.academia[...]
[2]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e Age of Attil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3] 서적 Sasanian Seals and Sealings https://books.google[...] Peeters Publishers 2007
[4] 서적 Taxila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1965
[5]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ume 3 https://books.google[...]
[6] 웹사이트 Encyclopedia Iranica http://www.iranicaon[...]
[7] 웹사이트 CNG Coins https://www.cngcoins[...]
[8] 서적 Religions of the Silk Road Palgrave Macmillan 2010
[9] 웹사이트 CNG Coins https://www.cngcoins[...]
[10] 웹사이트 Metropolitan Museum of Art https://www.metmuseu[...]
[11] 서적 Exegisti Monumenta: Festschrift in Honour of Nicholas Sims-Williams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12] 웹사이트 Plate British Museum https://www.britishm[...]
[13] 서적 Peerless Images: Persian Painting and Its Sources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02-01
[14] 웹인용 Encyclopaedia Iranica https://www.iranicao[...]
[15] 학술지 An Iranian Silver Vessel from the Tomb of Feng Hetu https://www.jstor.or[...] 1990
[16] 서적 China: Dawn of a Golden Age, 200-750 AD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4
[17] 웹사이트 Seal British Museum https://www.britishm[...]
[18] 서적 Kushano-Sasanian Coins https://books.google[...] Government of India central publication branch
[19] 학술지 South Asia Bulletin: Volume 27, Issue 2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2007
[20] 서적 From the Kushans to the Western Turks https://www.academia[...]
[2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ume 3 https://books.google[...]
[22]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e Age of Attil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23] 서적 Sasanian Seals and Sealings https://books.google[...] Peeters Publishers 2007
[24] 서적 Taxila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1965
[25] 웹사이트 Encyclopedia Iranica http://www.iranicaon[...]
[26] 웹사이트 CNG Coins https://www.cngcoins[...]
[27] 서적 Religions of the Silk Road Palgrave Macmillan 2010
[28] 웹사이트 CNG Coins https://www.cngcoins[...]
[29] 웹인용 Metropolitan Museum of Art https://www.metmuseu[...]
[30] 서적 Exegisti Monumenta: Festschrift in Honour of Nicholas Sims-Williams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31] 웹인용 Plate British Museum https://www.britishm[...]
[32] 서적 Peerless Images: Persian Painting and Its Sources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33] 웹인용 Encyclopaedia Iranica https://www.iranicao[...]
[34] 저널 An Iranian Silver Vessel from the Tomb of Feng Hetu https://www.jstor.or[...] 1990
[35] 서적 China: Dawn of a Golden Age, 200-750 AD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4
[36] 웹인용 Encyclopaedia Iranica https://www.iranicao[...]
[37] 웹인용 Seal British Museum https://www.britishm[...]
[38] 서적 Kushano-Sasanian Coins https://books.google[...] Government of India central publication branch
[39] 간행물 South Asia Bulletin: Volume 27, Issue 2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2007
[40] 서적 The Buddhist Caves at Aurangabad: Transformations in Art and Religion https://books.google[...] BRILL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