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라비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팔라비어는 역사적으로 중세 페르시아어를 지칭하는 용어이며, 사산 제국 시대의 문어 페르시아어를 의미한다. 팔라비 문자로 기록되었으며, 아람 문자에서 파생되었다. 팔라비 문자는 모음 표기의 어려움, 아람어 단어의 사용 등으로 인해 실제 발음을 파악하기 어려워, 마니교 문헌을 통해 발음을 재구하기도 한다. 문법은 굴절이 줄어들고 분석적인 특징을 보이며, 현대 페르시아어의 직접적인 조상이다. 어휘는 파르티아어, 아베스타어, 아랍어 등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현대 페르시아어와 음운, 어휘, 표기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팔라비어 | |
---|---|
언어 정보 | |
이름 | 중세 페르시아어 |
로마자 표기 | Jungse P'ereshia-eo |
자기 이름 | 팔라비 |
사용 지역 | 사산 제국(224–651) |
민족 | 페르시아인 |
사용 시기 | 9세기 초기 신 페르시아어로 진화; 이후 조로아스터교 사제가 해석 및 종교 교육에만 사용 |
언어 분류 | |
어족 | 인도유럽어족 |
어파 | 인도이란어파 |
어군 | 이란어군 |
하위 어군 | 서이란어군 |
세부 어군 | 남서이란어군 |
조상 언어 | 고대 페르시아어 |
문자 체계 | |
문자 | 팔라비 문자, 마니 문자, 아베스타 문자, 파젠드 문자 |
언어 코드 | |
ISO 639-1 | pal |
ISO 639-2 | pal |
ISO 639-3 | pal |
ISO 639-3 (세분화) | lc1: pal ld1: 조로아스터교 중세 페르시아어 ("팔라비") lc2: xmn ld2: 마니교 중세 페르시아어 (마니 문자) |
Glottolog | pahl1241 |
Lingua | 58-AAC-ca |
2. 언어 명칭
중세 페르시아어는 역사적으로 "팔라비어"라고 불려왔다.[7][8] "팔라비" 또는 "파흘라브"는 "파르티아"가 변형된 것으로, 본래 파르티아어를 지칭하는 말이었다.[2][7] 그러나 아르사케스 왕조의 언어에 대한 지식이 잊히면서 "팔라비어"는 막연히 고어를 가리키게 되었고, 사산 제국 시대의 문어 페르시아어를 의미하게 되었다.[7] 마니교 문헌에서는 "팔라비어"가 본래의 파르티아어 의미로 사용된다.
중세 페르시아어는 아람 문자에서 파생된 팔라비 문자(:en:Pahlavi scripts)로 기록되었다.[58] 팔라비 문자는 원래 셈어파 언어를 위해 고안되었기 때문에, 이란어파에 속하는 중세 페르시아어를 표기하는 데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었다.
"팔라비어"라는 명칭은 팔라비 왕조와의 연상 때문에 피하는 경우도 있다. "중세 페르시아어"라고 불리기도 하지만, 역사 구분으로서의 중세와는 다르므로 적절한 명칭이라고 보기 어렵다.
영어 문서에서는 '팔레비'라는 용어가 문자뿐만 아니라 언어를 지칭하는 사산 왕조 이후 시대를 반영하여, 중세 페르시아어의 ISO 639 언어 코드가 'pal'이라고 설명한다.
3. 문자
이러한 이유로, 팔라비어의 실제 발음을 알기 위해선 보다 표음적으로 쓰여진 마니교 중세 페르시아어 문헌을 참고하는 경우가 많다.[58] 마니교 중세 페르시아어 문헌은 팔라비 문자보다 표음성이 높아, 중세 페르시아어의 실제 발음을 재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마니교 문자에서는 팔라비 문자에서 나타나는 문자 병합 현상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와 를 구별할 수 있는 특수 문자 (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와 와 를 구별할 수 있는 특수 문자, , , 에 대한 고유한 지정, – 및 – 쌍 사이의 일관된 구별도 있었다.[62][63]
이란의 이슬람 정복 이후 팔라비 문자에 대한 지식이 감소하면서, 조로아스터교는 종교 텍스트를 아베스타 문자를 사용하는 파잔드등의 다른 문자로 기록하기도 했다.[58]
3. 1. 팔라비 문자의 종류
팔라비 문자는 아케메네스 제국의 사무국에서 사용된 아람 문자에서 파생된 자음 문자이다.[58] 자음 문자의 전형적인 특징처럼 단어 형태에서 주로 자음을 표현한다. 그러나 이 문자를 다른 자음 문자와 구별하는 점은 이종어, 더 구체적으로는 아람어를 사용한다는 점이다. 즉, 아람어로 쓰여졌지만(때로는 후기에 왜곡되기도 함) 중세 페르시아어로 발음되는 단어이다. 예를 들어, ''LY'' (아람어 'to me')는 ''man'' 'me, I'를 나타낸다. 이들은 《부크 팔라비》에서 약 1,000개 정도 사용되었다. 또한, 철자법은 매우 보수적이어서 사산 왕조 시대의 발음을 표현했다.[58]
팔라비 문자의 주요 하위 변종은 다음과 같다.
이란의 이슬람 정복 이후 팔라비에 대한 지식이 감소했기 때문에, 조로아스터교는 때때로 종교 텍스트를 다른, 더 접근하기 쉽거나 모호하지 않은 문자로 옮겨 적었다. 한 가지 방법은 아베스타 문자를 사용하는 것으로, 이는 '''파잔드'''로 알려진 관행이었다.[58]
3. 2. 마니교 문자
예언자 마니가 중세 페르시아어를 쓰기 위해 도입한 자음 문자이다.[58] 마니는 이 문자를 사용하여 알려진 책 《샤부르간》을 썼으며, 중세 페르시아어로 쓰기 위해 9세기까지 마니교도들이 사용했고, 다른 다양한 이란어에서도 더 오래 사용했다.[58] 팔라비 문자와 달리, 마니교 문자는 3세기 중세 페르시아어의 발음을 명확하게 표현하고, 다른 문자와 소리를 명확하게 구별하는 규칙적이고 모호하지 않은 음성 문자이므로 현대 언어학자들에게 귀중한 증거를 제공한다.[58]
팔라비 문자는 아람 문자에서 파생되었지만, 원래 이란어 표기를 상정하고 있지 않아 여러 불확정성이 존재했다. 이러한 이유로 팔라비어의 실제 발음을 알기 위해서는 마니교 문자로 쓰여진 중세 페르시아어 문헌을 참고하는 경우가 많다.[58] 마니교 문자에서는 팔라비 문자에서 나타나는 문자 병합 현상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와 를 구별할 수 있는 특수 문자 (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와 와 를 구별할 수 있는 특수 문자, , , 에 대한 고유한 지정, – 및 – 쌍 사이의 일관된 구별도 있었다.[62][63]
파흘라비어의 표기에는 아람 문자의 변형인 파흘라비 문자를 사용하지만, 아람 문자는 원래 셈어용 문자이며, 이란어의 표기를 상정하고 있지 않은 데다, 이 시대의 문자이므로 다음과 같은 다양한 문제점이 있어 해독이 매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해독이 어려워, 팔라비어의 실제 발음을 알기 위해 같은 아람 계열 문자이면서 더 표음적으로 쓰인 마니교 중기 페르시아어 문헌과의 비교를 통한 재건이 이루어지고 있다.
4. 음운
4. 1. 모음
중세 페르시아어의 모음은 다음과 같다.[18]
단모음 /e/와 /o/가 음소인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19][20] 이들은 페르시아어의 후대 형태에서 고유한 지속성을 갖지 않고 최소 대립쌍도 발견되지 않기 때문이다. /e/의 경우 다음 음절에 /n/, 치찰음 또는 전설 모음이 존재하는 경우, /o/의 경우 다음 음절에 순음 자음 또는 모음 /u/가 존재하는 경우 등 특정 조건에서 이전의 /a/로부터 발생한 것으로 여겨진다.[22] 장모음 /eː/와 /oː/는 고대 페르시아어의 이중 모음 /ai/와 /aw/에서 발달했기 때문에 중세 페르시아어에서 처음 나타났다.[23]
4. 2. 자음
중세 페르시아어의 자음 음소는 다음과 같다.[24]colspan="2" | | 순음 | 치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비음 | m | n | ||||
파열음/ 파찰음 | 무성음 | p | t | t͡ʃ | k | |
유성음 | b | d | d͡ʒ | ɡ | ||
마찰음 | 무성음 | f | s (θ) [초기] | ʃ | x (xw) | h |
유성음 | z | (ʒ) | (ɣ) | |||
전동음 | r | |||||
설측음 | l | |||||
반모음 | j | w |
초기 아르사크 왕조 시대(서기 3세기까지)와 사산 왕조 시대(서기 3세기 – 7세기)의 중세 페르시아어는 발음상 차이가 있는데, 두 시대의 전환기에 유성음 뒤의 자음 약화 과정이 발생했기 때문이다.[25]
모음 다음에 오는 유성 파열음은 반모음이 되었다.[26][27]
이러한 변화는 매우 초기에 일어났을 가능성이 있지만, 팔라비 문자에는 고대 발음 또는 과도기적 발음이 종종 반영되기도 한다.
모음뿐만 아니라 다른 유성음 다음에 오는 무성 파열음과 파찰음은 유성음이 되었다.[26][27]
- /p/ > /b/, /t/ > /d/, /k/ > /ɡ/, /t͡ʃ/ > /d͡ʒ/
이 과정은 사산 팔라비 시대 이전에 일어나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되며, 팔라비 문자에는 일반적으로 반영되지 않는다.
후기 중세 페르시아어(3세기 이후)의 일부 단계에서 자음 /b/, /d/, /ɡ/는 모음 다음에 마찰 자음 이음 β, ð, [ɣ]를 갖는 것으로 보인다.[26][30][31][32] /ɡ/의 경우 별도의 음소 /ɣ/도 있었던 것으로 보여 다소 논쟁의 여지가 있다.[33] 유사한 발전이 /d͡ʒ/에도 영향을 미쳐 마찰음 [ʒ]으로 약화되었을 뿐만 아니라 탈경구개음화되어 [z]로 바뀌었다. 고대 페르시아어 /d͡ʒ/와 /ʒ/는 모든 위치에서 [z]를 생성했다. 파열음의 스피란트화와 달리, 이 변화는 사산 시대에 대해 논란의 여지 없이 인정된다.[26][34]
무성 파열음과 파찰음의 약화는 팔라비 문자에 대체로 표현되지 않았으며,[35] 아르사크 시대의 음가를 계속 반영하지만, 사산 시대의 텍스트에서 더 음성적인 마니교 문자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변화의 결과로, 무성 파열음과 파찰음 /p/, /t/, /k/, /t͡ʃ/는 모음 다음에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대부분 쌍자음일 때 약화로부터 보호되었고(예: ''waččag'', sp. ''wck'' '아이'), 다른 음운 변화로 인해 발생했다.[39]
아르사크 시대와 사산 시대 발음의 또 다른 차이점은 아르사크 단어의 첫 /j/가 사산 /d͡ʒ/를 생성했다는 것이다(팔라비 문자에 반영되지 않은 또 다른 변화).[40] 이 소리는 아마도 /ʒ/ 단계를 거쳤을 것이며, 마니교 텍스트가 인도아리아어 /d͡ʒ/를 식별하지 않고 고유한 소리에 대한 문자를 사용하는 대신 전자에 대한 별도의 기호를 도입했기 때문에 매우 후기 중세 페르시아어까지 계속되었을 것이다.[41]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어 첫 /j/는 아베스타어에서 온 학술 차용어에서 유지/재도입되었다.[28]
또한, 중세 페르시아어의 일부 형태는 파르티아 제국의 영향으로 인해 ''n'' 다음에 (/d͡ʒ/ 또는 /t͡ʃ/에서 파생된) ''ǰ''를 일반적으로 ''z''로 약화되지 않고 보존한 것으로 보인다. 이 발음은 책 팔라비어에는 반영되었지만 마니교 텍스트에는 반영되지 않았다.
자음을 판단할 때, /θ/는 아르사크 시대에 파르티아어에서 차용된 특정 단어에서 /r/ 전에 발음되었을 수 있다(원래 단어와 달리, 이는 일반적으로 이전의 '*θ'에 대해 /h/를, 특히 클러스터 '*θr'에 대해 /s/를 가짐). 그러나 사산 시대에는 /h/로 대체되었다.
음소 /ɣ/ (/ɡ/의 후기 이음과 반대)는 드물며 아베스타어와 파르티아어에서 온 학술 차용어에서 거의 발생한다(예: ''moγ'' (팔라비어 ''mgw'' 또는 ''mwg'' '마기인'), ''maγ'' (팔라비어 ''mγ'') '구멍, 구덩이').[41][30][46][47]
/ʒ/는 차용어에서 주변 음소로 기능했을 수도 있다.[39]
/l/ 또한 상대적으로 드물었고, 특히 마니교 텍스트에서 그러했는데,[41][39] 대부분 원시 이란어 *rd, *rz 및 더 드물게 *r에서 비롯되었다.[48] 또한 고대 페르시아어 /rθ/와 /rs/의 반사로 /hl/ 조합이 발생했다(예: '팔라비어'와 '파르티아어'라는 단어 참조).[49]
/xw/는 음소로 볼 수 있으며[50][51] 단순히 /x/와 /w/의 조합으로 볼 수 있다.[20][30] 일반적으로 /x/, /xw/ 및 /ɣ/는 연구개음으로 간주된다. 덜 일반적인 견해는 /x/와 /ɣ/가 자음의 일종인 구개수음이었다는 것이다.[52]
대부분의 학자들은 /w/가 여전히 순음 접근음으로 간주하지만,[51][20][30][21] 소수의 학자들은 이를 유성 순음 마찰음 /v/으로 간주한다.[53][54]
/s/와 파열음(/sp-/, /st-/, /sk-/)의 초기 클러스터는 마니교 중세 페르시아어 텍스트 시기에 보조 모음 /i/를 얻었다.
강세는 마지막 음절에 있었다.[41][55] 이는 고대 페르시아어 강세 후 음절이 단절되었기 때문이다.[51]
5. 문법
구어 페르시아어에서 중세 페르시아어로의 전환 과정에서 무강세 단어 말음절의 생략으로 인해 많은 문법적 어미가 사라졌다. 그 결과, 고대 페르시아어의 굴절어 문법에 비해 중세 페르시아어는 훨씬 더 분석어 유형에 속하며, 굴절이 상대적으로 적고, 대신 구문적 수단(특히 전치사와 우회 표현 사용)을 통해 문법적 의미가 널리 표현된다.[93]
==== 명사 ====
고대 페르시아어의 굴절 체계는 단순화되어, 격 구분이 거의 사라졌다.[94][95][91][96] 초기 중세 페르시아어에서는 주격과 사격의 구분이 있었으나, 이마저도 점차 사라져 단수와 복수의 구분만 남게 되었다.[102]
명사의 수는 단수와 복수로 구분되며, 복수형 어미는 '-ān'이 일반적이다.[98] 예외적으로 '-īn', '-ūn'이 사용되기도 했으나, '-ān'으로 통일되는 경향을 보였다.[98][100] 후기에는 무생물 명사에 '-īhā' (마니교에서는 '-īhān')가 사용되어 '개별 복수'를 나타내기도 했지만, '-ān'이 더 일반적이었다.[103][104][105][106]
단수 | 기본 복수 | 개별 복수 |
---|---|---|
mard-∅( GBRA) | mard-ān( RAʾn) | kо̄f-īhā( kwpyhʾ) |
소유격은 소유자가 피소유 명사 앞에 위치하거나, 관계 입자 'ī'를 사용하여 표현한다.[107][108][109] 격 구분이 사라진 후에는 명사 병치 또는 관계 입자 'ī'를 사용한 구문이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dūdag sālār'( 'dwtk
부정성은 명사에 ''ē(w)''('1' 또는 ''HD'로 표기) '하나'를 부착하여 표현할 수 있다. ''mard-ēw'' (''GBRA-1'') '어떤 남자'와 같이 사용된다.[110]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 소유격, 전치사구, 종속절 등은 관계 입자 ''ī'' (비문 및 시편 팔라비어에서는 ''ZY-'', 서적 팔라비어에서는 대명사 부착어를 제외하고 ''Y'', 마니교에서는 ''īg'', sp. '' ʿyg'')로 도입되었다.[156][157] 이는 에자페의 전신이다. 예를 들어 ''kunišn ī nēk'' (''kwnšn
5. 1. 명사
고대 페르시아어의 굴절 체계는 단순화되어, 격 구분이 거의 사라졌다.[94][95][91][96] 초기 중세 페르시아어에서는 주격과 사격의 구분이 있었으나, 이마저도 점차 사라져 단수와 복수의 구분만 남게 되었다.[102]명사의 수는 단수와 복수로 구분되며, 복수형 어미는 '-ān'이 일반적이다.[98] 예외적으로 '-īn', '-ūn'이 사용되기도 했으나, '-ān'으로 통일되는 경향을 보였다.[98][100] 후기에는 무생물 명사에 '-īhā' (마니교에서는 '-īhān')가 사용되어 '개별 복수'를 나타내기도 했지만, '-ān'이 더 일반적이었다.[103][104][105][106]
단수 | 기본 복수 | 개별 복수 |
---|---|---|
mard-∅( GBRA) | mard-ān( RAʾn) | kо̄f-īhā( kwpyhʾ) |
소유격은 소유자가 피소유 명사 앞에 위치하거나, 관계 입자 'ī'를 사용하여 표현한다.[107][108][109] 격 구분이 사라진 후에는 명사 병치 또는 관계 입자 'ī'를 사용한 구문이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dūdag sālār'( 'dwtk
부정성은 명사에 ''ē(w)''('1' 또는 ''HD'로 표기) '하나'를 부착하여 표현할 수 있다. ''mard-ēw'' (''GBRA-1'') '어떤 남자'와 같이 사용된다.[110]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 소유격, 전치사구, 종속절 등은 관계 입자 ''ī'' (비문 및 시편 팔라비어에서는 ''ZY-'', 서적 팔라비어에서는 대명사 부착어를 제외하고 ''Y'', 마니교에서는 ''īg'', sp. '' ʿyg'')로 도입되었다.[156][157] 이는 에자페의 전신이다. 예를 들어 ''kunišn ī nēk'' (''kwnšn
5. 2. 형용사
5. 3. 대명사
5. 4. 동사
팔라비어 동사는 두 개의 어간, 즉 현재 어간과 과거 어간을 갖는다.[163][164] 과거 어간은 일반적으로 '-d' 또는 '-t'(각각 유성 및 무성 자음 뒤)로 끝난다. 때로는 이것이 어간의 유일한 차이점이다. 이는 '''-š'''로 끝나는 어근(''ku'''š''''' – ''kuš'''t''''', sp. ''NKSWN-'', '죽이다')에서 흔하며, 예를 들어 동사 ''xwardan'' (''OŠTENtn동사의 의미와 아람어 | 현재 어간 | 과거 어간 |
---|---|---|
하다(OBYDWN-) | kun- | kard- |
떠나다(OZLWN-) | šaw- | šud- |
지탱하다(YBLWN-) | bar- | burd- |
두 어간의 마지막 자음 사이의 몇 가지 일반적인 교체 패턴은 다음과 같다.[165][166]
동사의 의미와 아람어 | 현재 어간 | 과거 어간 |
---|---|---|
-z- | -xt | |
'달리다, 흐르다' | 예: ēz'- | ēxt' |
-s-, -z-, -y-, -h- | -št, -st | |
원하다(BOYHWN-) | 예: wāh'- | was't |
-t-, -d-, -n-, -h- | -st | |
묶다(ASLWN-) | 예: and'- | ast' |
-w- | -ft | |
말하다(YMRRWN-) | 예: ōw'- | uft' |
다른 주목할만한 교체는 ''wa'''rd'''-'' – ''wa'''št''''' '돌리다', ''dā'''r'''-'' – ''dā'''št''''' (''YHSNN-'') '잡다', ''nim'''āy'''-'' – ''nim'''ūd''''' '보이다', ''za'''n'''-'' – ''za'''d''''' (''MHYTWN-'') '치다'에서 볼 수 있다.
일부 동사는 단순히 접미사를 추가하여 과거 어간을 파생하기도 하는데, 이는 자음 -''t''/''d''만으로 구성되지 않는다. 가장 흔하게는 ''-īd'' (''-yt'
동사의 의미와 아람어 | 현재 어간 | 과거 어간 |
---|---|---|
'일하다' | warz- | arzīd' |
서다(YKOYMWN-) | est- | stād' |
보이다(MDMEN-) | sah- | ahist' |
''-īd'' 및 ''-ist'' 형태의 과거 어간은 지명 동사, 접미사 ''-īh-''의 수동태 및 사동태에 전형적이다.[167]
몇몇 어간 쌍은 명백히 보충적이다.[168]
동사의 의미와 아람어 | 현재 어간 | 과거 어간 |
---|---|---|
보다(HZYTWN-) | wēn- | dīd |
오다(YATWN-) | āy- | āmad |
또 다른 형태의 보충은 '있다, 존재하다'는 의미의 동사에서 발견되는데, 현재 시제에서는 어간 ''h-'' (철자 ''HWE-'')를 사용하지만, 과거 시제에서는 동사 ''būdan'' '되다, 있다'의 형태를 사용하며, 이는 현재 어간 ''baw-'' (종종 단순히 ''b-''로 축약됨)와 과거 어간 ''būd'' (철자 ''YHWWN-'')를 갖는다.[121]
동사의 앞에 나타나 동사의 양상적 의미를 수정할 수 있는 두 개의 입자가 있는데, 비록 그 사용이 필수는 아니지만, 양상적 의미를 수정할 수 있다(겉보기에는 반대 방식으로).
그 중 하나는 팔라비어로 ''be''(''BRA'')로, 마니교에서는 ''ba''(''bʾ'')로 나타난다. 그 초기의 의미는 방향성을 띠었으며 특히 출발점을 나타내는, 즉 '떨어져, 밖으로'의 의미였다. 이는 비문 팔라비어와 시편 팔라비어, 마니교에서도 마찬가지라고 하지만,[200] 서적 팔라비어에서는 다른 의미도 나타나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것은 덜 명확하고 더 논쟁의 여지가 있다. 과거 또는 미래에 '''완료상'''을 표현한다고 주장되어 왔다.[201][202] 예를 들어, ''mard ī šahr ka-š kas pad pusīh be padīrēd''(''GBRA y štr
다른 입자는 ''hamē''(''hmʾy'')로, 원래는 '항상'을 의미하는 부사와 동일하다. 이것은 '''미완료상'''을, 더 구체적으로는 지속상 또는 반복상을 표현한다. ''kanīzag pad sar ī čāh būd ud ... čahārpāyān rāy āb hamē dād''(''knyck
6. 어휘
중세 페르시아어에는 아람어에서 실제로 차용된 단어가 많지 않다.[276] 예외는 페쉬타를 비교적 직역한 중세 페르시아어 시편인데, 여기에는 시리아어에서 온 'purkānā' ('구원')와 같은 신학 관련 차용어가 상당수 포함되어 있다.[277]
팔라비어는 마니교보다 파르티아어에서 차용된 형태가 더 많은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팔라비어 'zamestān' (''zmstʾn
아베스타어 | 팔라비어 | 대략적인 번역 |
---|---|---|
aṣ̌awwan (cf. 고대 페르시아어 artāvan) | ahlaw, sp. hlwb (하지만 ardā, sp. ʾltʾy는 수식어) | '정의로운' |
daēnā | dēn, sp. yn | '종교' |
frauuaṣ̌i- | frawahr, sp. plwʾhl fraward, sp. lwlt | '프라바시; 불멸의 영혼/수호 천사' |
gaēθiia- | gētīy / gētīg, sp. gytyd, late gytyk, 마니교 gytyg; 하지만 참고: gēhān, sp. yhʾn '세상(필멸의 세상)' | '물질적인' |
gāθā | gāh (gʾs) | '가타, 찬가' |
mainiiu- | mēnōy / mēnōg, sp. mynwd, late mynwk, 마니교 mynwg | 영, '영적인' |
7. 주요 문헌
팔라비 문자로 쓰여진 중세 페르시아어 문헌은 조로아스터교와 관련된 것이 많으며, 페르시아의 이슬람 정복 이전 사산 왕조(224년~650년경) 시대의 전통과 규정을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14] 현존하는 필사본은 대부분 14세기 복사본이지만, 가장 초창기 텍스트는 사산 왕조 말기(6~7세기)에 기록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전 구전 전통을 성문화한 것이다.[15]
주요 문헌은 다음과 같다.
- 분다히슌 (7세기 이후)
- 데엔 카르드 (10세기 경)
- 메노그-이 흐라드
이 외에도 마니교 종교 저작물, 신학 텍스트, 설교 및 찬송가 등에 사용된 ''마니교 중세 페르시아어''(3~9세기, 아마도 13세기)와 투르판을 포함한 중앙아시아의 많은 지역과 심지어 남인도의 지역에서 2천년대 초까지 사용된 동방 교회의 중세 페르시아어(팔라비 시편)가 있다.[16]
8. 다른 언어와의 관계
현대 페르시아어는 중세 페르시아어에서 직접적으로 발전하였다.[290][291][292] 중세 페르시아어는 다른 이란어군 언어, 특히 파르티아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영어에 페르시아어 차용어로 존재 하는 단어들 중 상당수는 중세 페르시아어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고전 아랍어 어휘에도 중세 페르시아어에서 차용된 단어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차용어에서 아랍어에 생소한 이란어 자음인 ''g'', ''č'', ''p'', ''ž''는 각각 ''q/k'', ''j'', ''š'', ''f/b'', ''s/z''로 대체되었다. 접미사 ''-ik/-ig''와 ''-ak/-ag''의 정확한 아랍어 표기는 차용 시기를 추정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
중세 페르시아어 | 영어 | 기타 언어 | 가능한 아랍어 차용어 | 영어 | |||||||||||||||||||||||||||||||||||||||||||||||||||||||
---|---|---|---|---|---|---|---|---|---|---|---|---|---|---|---|---|---|---|---|---|---|---|---|---|---|---|---|---|---|---|---|---|---|---|---|---|---|---|---|---|---|---|---|---|---|---|---|---|---|---|---|---|---|---|---|---|---|---|---|
Srat[290] | 거리 | 라틴어 strata 거리, 웨일스어 srat 평원; 인도유럽어족 어근 stere- 펼치다, 확장하다, 뻗다 (아베스타어 star-, 라틴어 sternere, 고대 교회 슬라브어 stira) | Sirāt (صراط) | 길 | |||||||||||||||||||||||||||||||||||||||||||||||||||||||
Burg[290] | 탑 | 게르만어 burg 성 또는 '요새' | Burj (برج) | 탑 | |||||||||||||||||||||||||||||||||||||||||||||||||||||||
Tāk[293] | 아치, 볼트, 창 | 아나톨리아어 터키어와 표준 아제르바이잔어로 차용되어 taqča '작은 창, 틈새' | Tāq (طاق) | 아치 | |||||||||||||||||||||||||||||||||||||||||||||||||||||||
Nav-xudā | 선장, 선장 | 인도유럽어족 어근 *nau-; 라틴어 navigia와 동족 | Nāxu𝛿ā (''{{llang|ar|نوخذة|} | }'')||선장
중세 페르시아어 | 현대 페르시아어 | 영어 | 비고 |
---|---|---|---|
Asēm | Āhan (آهن) | 철 | 쿠르드어 Āsin (آسِن), 독일어 Eisen |
Brād,Brādar | Barādar (برادر) | 형제 | 고대 슬라브어 brat(r)u, 리투아니아어 brolis, 라틴어: frāter |
Duxtar | Duxtar (دختر) | 딸 | 고트어 dauhtar, 고대 프러시아어 duckti |
Pidar | Pidar (پدر) | 아버지 | 라틴어: pater (이탈리아어 padre), 고대 고지 독일어 fater |
Rōz | Rōz (روز) | 날 | 아르메니아어 lois 빛, 라틴어: lux 빛, 스페인어 luz '빛' |
Šagr, Šēr | Šēr (شیر) | 사자 | |
Sāl | Sāl (سال) | 해 | 아르메니아어 sārd 태양, 독일어 Sonne, 러시아어 солнце |
Stārag, Star | Sitāra (ستاره) | 별 | 라틴어: stella, 고대 영어: steorra |
Xwāh(ar) | Xwāhar (خواهر) | 자매 | 아르메니아어: khoyr, 쿠르드어:xwah,xweng,xwişk |
일부 모음의 변화로 인해 현대 페르시아어에는 여러 동음이의어가 생겼다. 예를 들어 "우유"와 "사자"를 뜻하는 중세 페르시아어 'šir'와 'šer'는 현대 페르시아어에서 모두 'šir'로 발음된다.
중세 페르시아어 | 현대 페르시아어 | 고대 페르시아어 | 영어 |
---|---|---|---|
Artaxšēr | Ardašir | Artaxšaça | 아르타크세르크세스 |
Pāpak | Bābak | 파바그 | |
Husraw, Xusraw | Khosrow | 호스로스 | |
참조
[1]
논문
Iranian Elements in Arabic: The State of Research
[2]
서적
A Concise Pahlavi Dictionary
OUP
[3]
논문
Linguistic Contacts between Arabic and Other Languages
[4]
간행물
Mitteliranisch
Brill
[5]
간행물
The Seleucid, Parthian and Sassanian Perio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간행물
The Seleucid, Parthian and Sassanian Perio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간행물
Middle Persian Literature
Brill
[8]
간행물
Encyclopedia Iranica
(online edition)
[9]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Persian Linguistics
OUP
[10]
논문
The Evolution of Ergativity in the Iranian Languages
https://revije.ff.un[...]
[11]
논문
Ergativity in Middle Persian
[12]
컨퍼런스
Areal developments in the history of Iranic: West vs. East
https://societasling[...]
[13]
웹사이트
Omniglot.com's page on Middle Persian scripts
http://www.omniglot.[...]
[14]
문서
Sundermann, Werner. 1989. Mittelpersisch. P. 141. In Compendium Linguarum Iranicarum (ed. Rüdiger Schmitt).
[15]
웹사이트
Linguist List – Description of Pehlevi
http://linguistlist.[...]
Eastern Michigan University
2007-05-14
[16]
문서
Sundermann, Werner. 1989. Mittelpersisch. P. 138. In Compendium Linguarum Iranicarum (ed. Rüdiger Schmitt).
[17]
문서
Sundermann, Werner. 1989. Mittelpersisch. P. 143. In Compendium Linguarum Iranicarum (ed. Rüdiger Schmitt).
[18]
문서
Based on Maggi & Orsatti 2014: 20, Sundermann 1989: 144,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19–20, Расторгуева 1966: 27, MacKenzie 1986: xi-xvm Skjærvø 2009: 200, Skjærvø 2007: 7
[19]
문서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19–20, MacKenzie 1986: xi–xv, Skjærvø 2007: 7, Skjærvø 2009: 200
[20]
문서
Sundermann 1989: 144
[21]
문서
Skjærvø 2009: 200
[22]
문서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29–29
[23]
문서
Maggi & Orsatti 2014: 20
[24]
문서
Based on Maggi & Orsatti 2014: 20, Sundermann 1989: 144,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21, Расторгуева 1966: 27, MacKenzie 1986: xv, Skjærvø 2009: 200, Skjærvø 2007: 7
[25]
문서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21, 29–35, Расторгуева 1966: 28; also Sundermann (1989 :143) referring to its non-reflection in the script.
[26]
문서
Maggi & Orsatti 2018: 19
[27]
문서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21, 29–35
[28]
문서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45
[29]
문서
Skjærvø 2007: 173
[30]
문서
MacKenzie 1986: xv
[31]
문서
Sundermann 1989: 144–145
[32]
문서
But note the absence of such a claim in Skjærvø (2009: 200–201).
[33]
문서
Cf.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21, 33–34, Sundermann 1989: 144, as against Расторгуева 1966: 28, Maggi & Orsatti 2018: 19, MacKenzie 1986: xv
[34]
문서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34, 40
[35]
문서
Расторгуева 1966: 24
[36]
서적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37]
서적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38]
서적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39]
서적
Skjærvø 2009
[40]
서적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41]
서적
Sundermann 1989
[42]
서적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43]
서적
Расторгуева 1966
[44]
서적
Skjærvø 2009
[45]
서적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46]
서적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47]
서적
Skjærvø 2007
[48]
서적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49]
서적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50]
서적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51]
서적
Maggi & Orsatti 2018
[52]
서적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53]
서적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54]
서적
Расторгуева 1966
[55]
서적
Расторгуева 1966
[56]
서적
Skjærvø 2009
[57]
서적
Cited in Skjærvø 2009
[58]
서적
Sundermann 1989
[59]
서적
MacKenzie 1986
[60]
서적
Sundermann 1989
[61]
서적
Sundermann 1989
[62]
서적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63]
서적
Skjærvø 2009
[64]
서적
MacKenzie 1986
[65]
서적
Sundermann 1989
[66]
서적
Skjærvø 2007
[67]
서적
Skjærvø 2007
[68]
서적
MacKenzie 1986
[69]
간행물
The Pahlavi Psalter arranged according to units of the text; glossary and index
http://turfan.bbaw.d[...]
2012
[70]
웹사이트
Welcome to Encyclopaedia Iranica
https://iranicaonlin[...]
[71]
문헌
Расторгуева 1966
[72]
문헌
Sundermann 1989
[73]
문헌
Skjærvø 2009
[74]
문헌
MacKenzie 1986
[75]
문헌
Skjærvø 2007
[76]
문헌
Skjærvø 2007
[77]
문헌
MacKenzie 1986
[78]
문헌
MacKenzie 1986
[79]
문헌
Sundemann 1989
[80]
문헌
MacKenzie 1986
[81]
문헌
Skjærvø 2007
[82]
문헌
MacKenzie 1986
[83]
문헌
Skjærvø 2009
[84]
문헌
Skjærvø 2007
[85]
문헌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86]
문헌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87]
문헌
Skjærvø 2007
[88]
문헌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89]
문헌
Skjærvø 2007
[90]
문헌
Skjærvø 2007
[91]
문헌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92]
문헌
Sundermann 1989
[93]
문헌
Maggi & Orsatti 2014
[94]
문헌
Maggi & Orsatti 2014
[95]
문헌
Sundermann 1989
[96]
문헌
Skjærvø 2007
[97]
문헌
[98]
문헌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99]
문헌
Skjærvø 2009
[100]
문헌
Skjærvø 2007
[101]
문헌
Skjærvø 2007
[102]
문헌
Maggi & Orsatti 2014
[103]
문헌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104]
문헌
Skjærvø 2007
[105]
문헌
Skjærvø 2009
[106]
논문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107]
논문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108]
논문
Skjærvø
2007
[109]
논문
Skjærvø
2007
[110]
논문
Skjærvø
2007
[111]
논문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112]
논문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113]
논문
Sundermann
1989
[114]
논문
Расторгуева
1966
[115]
논문
Skjærvø
2007
[116]
논문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117]
논문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118]
논문
Skjærvø
2007
[119]
논문
Skjærvø
2007
[120]
논문
Skjærvø
2007
[121]
논문
Skjærvø
2007
[122]
논문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123]
논문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124]
논문
Skjærvø
2007
[125]
논문
Sundermann
1989
[126]
논문
Расторгуева
1966
[127]
논문
Расторгуева
1966
[128]
논문
Расторгуева
1966
[129]
논문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130]
논문
Расторгуева
1966
[131]
논문
Skjærvø
2007
[132]
논문
Расторгуева
1966
[133]
논문
Skjærvø
2007
[134]
논문
Sundermann
1989
[135]
논문
Skjærvø
2009
[136]
논문
Расторгуева
1966
[137]
논문
Skjærvø
2009
[138]
논문
Skjærvø
2007
[139]
논문
Skjærvø
2007
[140]
논문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141]
서적
Sundermann 1989
[142]
서적
Sundermann 1989
[143]
서적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144]
서적
Skjærvø 2007
[145]
서적
Skjærvø 2007
[146]
서적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147]
서적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148]
서적
Skjærvø 2007
[149]
서적
MacKenzie 1981
[150]
서적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151]
서적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152]
서적
Skjærvø 2007
[153]
서적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154]
서적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155]
서적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156]
서적
Maggi & Orsatti 2014
[157]
서적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158]
서적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159]
서적
Skjærvø 2007
[160]
서적
Skjærvø 2007
[161]
서적
MacKenzie 1986
[162]
서적
Maggi & Orsatti 2014
[163]
서적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164]
서적
Расторгуева 1966
[165]
서적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166]
서적
Расторгуева 1966
[167]
서적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168]
서적
Расторгуева 1966
[169]
서적
Maggi & Orsatti 2014
[170]
서적
Sundermann 1989
[171]
서적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172]
서적
Skjærvø 2009
[173]
서적
Skjærvø 2007
[174]
서적
Skjærvø 2009
[175]
서적
Skjærvø 2007, 2009
[176]
문헌
Skjærvø 2009: 217
[177]
문헌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121–122
[178]
문헌
Skjærvø 2007: 68, 70, 2009: 229, 234
[179]
문헌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110
[180]
문헌
Skjærvø 2009: 226
[181]
문헌
Skjærvø 2007: 11, 26
[182]
문헌
Skjærvø 2009: 216–217
[183]
문헌
Skjærvø 2009: 229
[184]
웹사이트
Ferrer Losilla, Juan José. 2013. Las desinencias verbales en Iranio Medio Occidental, p. 66, 67, 318, 328, 370
https://orbi.ulg.ac.[...]
[185]
문헌
Skjærvø 2009: 227
[186]
문헌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113–117
[187]
문헌
Skjærvø 2009: 229, 170
[188]
문헌
Skjærvø 1997: 164–165, 170
[189]
문헌
Skjærvø 1997: 165–167
[190]
문헌
There are, however, some cases of a formally identical construction with modal meaning: ''šōy nē guft ēstēd...'' (''šwd LA YMRRWNt' YKOYMWNyt''') 'the husband ought not to say', see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116; unless the form in ''-t'' here is actually a short infinitive (see the section on the infinitive below).
[191]
문헌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117
[192]
문헌
Skjærvø 2007: 71, Skjærvø 2009: 227
[193]
문헌
Maggi & Orsatti 2014: 26
[194]
문헌
Skjærvø 2007: 158–162. Cf. Sundermann 1989: 152–153,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111–113
[195]
문헌
Skjærvø 1997: 169
[196]
문헌
Sundermann 1989: 152
[197]
문헌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125–128
[198]
문헌
Skjærvø 1997: 104
[199]
문헌
Skjærvø 1997: 121
[200]
문헌
Sundermann 1989: 154
[201]
문헌
Skjærvø 1997: 25
[202]
문헌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118–119
[203]
문헌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130–131
[204]
문헌
Skjærvø 1997: 120–122
[205]
문헌
Расторгуева 1966: 117
[206]
문헌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129
[207]
문헌
Расторгуева 1966: 115
[208]
문헌
Skjærvø 2009: 245
[209]
문헌
Skjærvø 2009: 215
[210]
문헌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73
[211]
문헌
Skjærvø 2009
[212]
문헌
Skjærvø 1997
[213]
문헌
Skjærvø 1997
[214]
문헌
Sundemann 1989
[215]
문헌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216]
문헌
Skjærvø 2009
[217]
문헌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218]
문헌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219]
문헌
Skjærvø 2009
[220]
문헌
Skjærvø 2007
[221]
문헌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222]
서적
Dictionary of Manichaean Middle Persian and Parthian
2004
[223]
문헌
Skjærvø 2009
[224]
문헌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225]
문헌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226]
문헌
Skjærvø 2007
[227]
문헌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228]
문헌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229]
문헌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230]
문헌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231]
문헌
Skjærvø 2007
[232]
문헌
Skjærvø 2007
[233]
문헌
Расторгуева 1966
[234]
문헌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235]
문헌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236]
문헌
Skjærvø 2007
[237]
문헌
Skjærvø 2009
[238]
문헌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239]
문헌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240]
문헌
Skjærvø 2007
[241]
문헌
Skjærvø 2007
[242]
문헌
Skjærvø 2007
[243]
문헌
Skjærvø 2007
[244]
문헌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245]
문헌
Skjærvø 2009
[246]
서적
Skjærvø 2009
[247]
서적
Skjærvø 2009
[248]
서적
Maggi & Orsatti 2014
[249]
서적
Sundermann 1989
[250]
서적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251]
서적
Sundermann 1989
[252]
서적
Skjærvø 2009
[253]
서적
Skjærvø 2009
[254]
서적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255]
서적
Расторгуева 1966
[256]
서적
Skjærvø 2007
[257]
서적
Skjærvø 2009
[258]
서적
Skjærvø 2007
[259]
서적
Skjærvø 2007
[260]
서적
MacKenzie 1986
[261]
서적
Skjærvø 2009
[262]
서적
Расторгуева 1966
[263]
서적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264]
서적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265]
서적
Skjærvø 2007
[266]
서적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267]
서적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268]
서적
Skjærvø 2007
[269]
서적
Skjærvø 2007
[270]
서적
MacKenzie 1986
[271]
서적
Skjærvø 2009
[272]
서적
Skjærvø 2009
[273]
서적
Skjærvø 2009
[274]
서적
Расторгуева & Молчанова 1981
[275]
서적
Skjærvø 2009
[276]
서적
Sundermann 1989
[277]
간행물
Christian Literature in the Middle Iranian Languages
[278]
서적
MacKenzie 1986
[279]
문서
Transliteration and transcription from A Geographical Handbook of Pahlavi Inscriptions of Fars Province by Farhad Solat, translation based on Sprengling, Martin, 1953, Third Century Iran, Sapor and Kartir, with modifications in both based on [https://titus.uni-frankfurt.de/personal/tjuegel/kirdir.pdf Jügel, Thomas Konkordanz der Kirdīr-Inschriften Kapitel 1 (Stand April 2010)]
[280]
웹사이트
Transliteration and transcription from Manichaean Reader (arr. by texts), M_7981_I = b_I Recto
https://titus.fkidg1[...]
2021-09-28
[281]
간행물
The Pahlavi Psalter arranged according to units of the text; glossary and index by D. Durkin-Meisterernst, 2012
http://turfan.bbaw.d[...]
[282]
간행물
TITUS, Ardā Virāz Nāmag
https://titus.uni-fr[...]
[283]
문서
See Skjærvø (2007: 18, 19), Чунакова (2001: 96) for the plural form
[284]
간행물
TITUS edition
https://titus.fkidg1[...]
[285]
간행물
TITUS edition
https://titus.uni-fr[...]
[286]
서적
Pahlavi Script and Language (Arsacid and Sassanid)
Balkh
[287]
서적
A Concise Pahlavi Dictionary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288]
서적
The Story of Iran. First Book: Beginning of Time to Dormancy of Mount Damavand
[289]
서적
Encyclopedia of linguistics
New York: Fitzroy Dearborn
[290]
서적
A Concise Pahlavi Dictiona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91]
웹사이트
ARABIC LANGUAGE ii. Iranian loanwords in Arabic
http://www.iranicaon[...]
1986-12-15
[292]
서적
Dictionary of Pahlavi Ideograms
Balkh
[293]
논문
Persian Loanwords in Anatolian Turkish
[294]
웹인용
Linguist List - Description of Pehlevi
http://linguistlist.[...]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