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자유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자유로는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파주시를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자동차 전용도로이다. 1990년 착공하여 1992년에 일부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의 확장 공사를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가양대교 북단에서 시작하여 이산포 분기점을 거쳐 파주시 자유 나들목까지 총 49.976km 구간을 운행하며, 주요 시설물로는 나들목, 분기점, 교량 등이 있다. 또한, 자유로는 교통량이 많은 도로로, 자유로 귀신에 대한 도시전설로도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주시의 도로 - 통일로
    통일로는 서울역에서 판문점까지 이어지는 서울과 경기 북부의 주요 간선도로로, 서울특별시도 제21호선, 국도 제1호선, 지방도 제360호선, 파주시도 제29호선 등을 포함하며,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운영되고 다수의 부속도로가 연결되어 있다.
  • 파주시의 도로 - 평택파주고속도로
    평택파주고속도로는 경기도 평택시에서 파주시를 잇는 총 연장 117.9km의 고속국도 제17호선으로, 평택화성고속도로와 수원문산고속도로의 통합으로 지정되었으며 단계적으로 개통되어 현재는 파주시 월롱면까지 개통되었고, 구간별 차로 수와 제한속도가 다르며 광명-서울 구간은 2026년 개통 예정이다.
  • 서울 마포구의 교통 - 국도 제1호선
    국도 제1호선은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연결되는 일반 국도로, 조선 시대부터 주요 도로로 이용되었으며, 여러 차례의 변화를 거쳐 현재 광주광역시,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서울특별시 등을 경유하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 서울 마포구의 교통 - 가양대교
    가양대교는 1994년 착공하여 2002년 준공된 다리이며, 난지도와 가양동·등촌동을 잇는 다리 건설 계획으로 시작되어 지역 주민들의 명칭 변경 요구에 따라 가양대교로 명명되었다.
  • 고양시의 도로 - 통일로
    통일로는 서울역에서 판문점까지 이어지는 서울과 경기 북부의 주요 간선도로로, 서울특별시도 제21호선, 국도 제1호선, 지방도 제360호선, 파주시도 제29호선 등을 포함하며,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운영되고 다수의 부속도로가 연결되어 있다.
  • 고양시의 도로 - 평택파주고속도로
    평택파주고속도로는 경기도 평택시에서 파주시를 잇는 총 연장 117.9km의 고속국도 제17호선으로, 평택화성고속도로와 수원문산고속도로의 통합으로 지정되었으며 단계적으로 개통되어 현재는 파주시 월롱면까지 개통되었고, 구간별 차로 수와 제한속도가 다르며 광명-서울 구간은 2026년 개통 예정이다.
자유로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도로 이름자유로
다른 이름자유로 자동차 도로
관리정보 없음
총 연장49.967km
개통1992년
기점20px 가양대교, 마포구, 서울특별시
종점[[File:Korea National Route No.1.svg|20px]] 자유 나들목, 파주시, 경기도
노선 정보
노선 종류일반 국도, 도시고속화도로
노선 번호국도 제77호선의 일부
개통 연도1992년 8월 15일 (신행주대교 ~ 오두산 통일전망대)
1994년 9월 (임진각 ~ 오두산 통일전망대)
주요 경유지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주요 교차 도로강변북로
국도 제1호선 (통일로)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3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지방도 제356호선
지방도 제358호선
지방도 제360호선
지방도 제363호선
평택파주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연결 도로20px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File:Korea Expressway No.130.svg|20px]] 인천공항고속도로
[[File:Korea Expressway No.17.svg|20px]] 수원-문산고속도로
[[File:Korea National Route No.39.svg|20px]] 국도 제39호선 (대한민국)
[[File:Korea National Route No.37.svg|20px]] 국도 제37호선 (대한민국)
과거 지방도 정보 (폐지)
지방도 노선명행주대교 ~ 자유의 다리 선
지방도 노선 번호지방도 제315호선
총 연장46.6km
기점경기도 고양군 지도읍 행주외리
주요 경유지경기도 고양군
경기도 파주군
종점경기도 파주군 문산읍 마정리
기타
관련 항목제2자유로

2. 역사

1990년 5월 19일, '''지방도 제315호선 행주대교 ~ 자유다리선'''으로 46.6km 구간 노선이 신설되었다.[4] 같은 해 10월 자유로가 착공되었다. 1992년 8월 15일에는 신행주대교 - 오두산 통일전망대 29km 구간이 완공되었고, 1994년 9월에는 오두산 통일전망대 - 임진각(17.5km) 구간이 완공되었다. 1993년 12월 20일에는 지방도 제315호선 고양시 행주외동 ~ 파주시 탄현면 성동리 28.2km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5] 1996년 7월 15일에는 지방도 제315호선 파주시 탄현면 성동리 ~ 문산읍 마정리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으며,[6] 1996년 7월 19일에는 지방도 제315호선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으로 승격되었다.

1997년 1월 20일, 서울시계 ~ 행주 분기점(고양시 덕양구 덕은동 ~ 행주동) 4.7km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고,[7] 1997년 5월 6일에는 행주 분기점 ~ 이산포 나들목(고양시 덕양구 행주동 ~ 일산구 송포동) 10.76km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8] 1997년 11월 3일에는 김포대교 완공으로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신평 나들목(현.자유로 나들목)이 개통되었다. 이후 강변북로 가양대교 북단 ~ 행주 분기점(행주대교 북단) 구간이 자유로로 편입되면서 자유로강변북로의 시점이 가양대교 북단으로 변경되었다. 2000년에는 신행주대교 (제2교) 완공으로 행주 분기점(행주대교 북단)이 개통되었고, 2000년 11월 21일에는 방화대교와 함께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개통으로 인해 북로 분기점이 개통되었다.

2007년 12월 31일에는 일산대교 완공으로 이산포 나들목이 이산포 분기점으로 변경되었으며, 2008년 11월 17일에는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에서 '''국도 제77호선'''으로 승격되었다. 2020년 11월 7일에는 평택파주고속도로 개통으로 인해 남고양 나들목, 내포 나들목이 개통되었다.

2. 1. 자유로 건설 이전

1990년 5월 19일, 지방도 제315호선 행주대교 ~ 자유다리선으로 46.6km 구간 노선이 신설되었다.[4] 같은 해 10월 자유로가 착공되었다. 1992년 8월 15일에는 신행주대교 - 오두산 통일전망대 29km 구간이 완공되었고,[4] 1994년 9월에는 오두산 통일전망대 - 임진각(17.5km) 구간이 완공되었다. 1993년 12월 20일에는 지방도 제315호선 고양시 행주외동 ~ 파주시 탄현면 성동리 28.2km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5] 1996년 7월 15일에는 지방도 제315호선 파주시 탄현면 성동리 ~ 문산읍 마정리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으며,[6] 1996년 7월 19일에는 지방도 제315호선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으로 승격되었다.

1997년 1월 20일, 서울시계 ~ 행주 분기점(고양시 덕양구 덕은동 ~ 행주동) 4.7km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고,[7] 5월 6일에는 행주 분기점 ~ 이산포 나들목(고양시 덕양구 행주동 ~ 일산구 송포동) 10.76km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8] 1997년 11월 3일에는 김포대교 완공으로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신평 나들목(현.자유로 나들목)이 개통되었다. 이후 강변북로 가양대교 북단 ~ 행주 분기점(행주대교 북단) 구간이 자유로로 편입되면서 자유로와 강변북로의 시점이 가양대교 북단으로 변경되었다. 2000년에는 신행주대교 (제2교) 완공으로 행주 분기점(행주대교 북단)이 개통되었고, 11월 21일에는 방화대교와 함께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개통으로 인해 북로 분기점이 개통되었다.

2007년 12월 31일에는 일산대교 완공으로 이산포 나들목이 이산포 분기점으로 변경되었으며, 2008년 11월 17일에는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에서 국도 제77호선으로 승격되었다. 2020년 11월 7일에는 평택파주고속도로 개통으로 인해 남고양 나들목, 내포 나들목이 개통되었다.

2. 2. 자유로 건설 및 확장

자유로는 1990년 5월 19일 지방도 제315호선 행주대교 ~ 자유다리선으로 46.6km 구간 노선이 신설되면서[4] 같은 해 10월 착공되었다.[4] 1992년 8월 15일 신행주대교 - 오두산 통일전망대 29km 구간이 완공되었고,[4] 1994년 9월에는 임진각 - 오두산 통일전망대(17.5km) 구간이 완공되었다.[4]

1993년 12월 20일 지방도 제315호선 고양시 행주외동 ~ 파주시 탄현면 성동리 28.2km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으며,[5] 1996년 7월 15일에는 지방도 제315호선 파주시 탄현면 성동리 ~ 문산읍 마정리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6] 1996년 7월 19일에는 지방도 제315호선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으로 승격되었다.[4]

1997년 1월 20일 서울시계 ~ 행주 분기점(고양시 덕양구 덕은동 ~ 행주동) 4.7km 구간, 1997년 5월 6일 행주 분기점 ~ 이산포 나들목(고양시 덕양구 행주동 ~ 일산구 송포동) 10.76km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7][8] 1997년 11월 3일 김포대교 완공으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신평 나들목(현.자유로 나들목)이 개통되었다.[4]

이후 강변북로 가양대교 북단 ~ 행주 분기점(행주대교 북단) 구간이 자유로에 편입되면서 자유로와 강변북로의 시점이 가양대교 북단으로 변경되었다. 2000년에는 신행주대교 (제2교) 완공으로 행주 분기점(행주대교 북단)이 개통되었고, 같은 해 11월 21일에는 방화대교와 함께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개통으로 북로 분기점이 개통되었다.[4]

2007년 12월 31일 일산대교 완공으로 이산포 나들목이 이산포 분기점으로 변경되었고, 2008년 11월 17일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에서 국도 제77호선으로 승격되었다.[4] 2020년 11월 7일 평택파주고속도로 개통으로 남고양 나들목, 내포 나들목이 개통되었다.

3. 구성

고양시



차로 수는 문산 나들목부터 당동 나들목까지는 왕복 4차로, 당동 나들목부터 낙하 나들목까지는 왕복 6차로, 낙하 나들목에서 이산포 분기점까지는 왕복 8차로, 가양대교부터 이산포 분기점까지는 왕복 10차로로 구성되어 있다.

총 연장은 49.976km이다.

자동차 전용도로이므로 최고 제한 속도는 90 km/h이다.

3. 1. 차로 수

문산 나들목부터 당동 나들목까지는 왕복 4차로, 당동 나들목부터 낙하 나들목까지는 왕복 6차로, 낙하 나들목에서 이산포 분기점까지는 왕복 8차로, 가양대교부터 이산포 분기점까지는 왕복 10차로로 구성되어 있다.

3. 2. 총 연장

자유로의 총 연장은 49.976km이다.

3. 3. 제한 속도

자동차 전용도로이므로 최고 제한 속도는 90 km/h이다.

4. 주요 시설물

화곡로(화곡로)고속도로 시작 지점마포구서울(서울특별시)5남고양 요금소남고양나들목南高陽나들목수원문산고속도로
(지선)고양시경기도1북로 분기점
(방화대교)북로분기점北路分岐點수원문산고속도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IC행주 요금소행주나들목幸州나들목행주로 (행주로)서울 방향만 이용 가능JC행주 분기점
(행주대교)행주분기점幸州分岐點국도 39호선
KTX 행신역JC자유로 분기점
(김포대교)자유로분기점自由路分岐點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20px
IC장항 요금소장항나들목獐項나들목백마로 (백마로)
일산호수공원IC킨텍스 요금소킨텍스나들목KINTEX나들목킨텍스로 (킨텍스로)
킨텍스(KINTEX)JC이산포 분기점
(일산대교)이산포분기점二山浦分岐點국지도 98호선
고양종합운동장
대화역IC구산 요금소구산나들목九山나들목국지도 356호선IC장월 요금소장월나들목長月나들목국지도 358호선
파주출판도시IC문발 요금소문발나들목文發나들목국지도 56호선파주시IC성동 요금소성동나들목城洞나들목국지도 360호선IC낙하 요금소낙하나들목洛下나들목국지도 366호선IC내포 요금소내포나들목內浦나들목수원문산고속도로 IC당동 요금소당동나들목堂洞나들목국도 37호선 IC임진각 요금소임진각나들목任津閣나들목임진각
임진각역IC자유 요금소자유나들목自由나들목국도 1호선
(통일로)
판문점
개성공업지구
통일로


4. 1. 나들목 및 분기점

화곡로서울특별시마포구상암동IC남고양평택파주고속도로고양시덕양구대덕동상행 진입 불가
하행 진출 불가IS육갑문대덕로JC북로 분기점평택파주고속도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상행 평택파주고속도로(파주방향) 진출 불가
하행 진출 불가IC행주로행주동상행 진입 불가JC행주 분기점국도 제39호선
(개화동로)
국가지원지방도 제78호선
(호국로)IC자유로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능곡동IS신평길상행 진출만 가능IC장항백마로일산동구장항동IC킨텍스킨텍스로하행 진출 불가일산서구송포동JC이산포 분기점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고양대로)IC구산지방도 제356호선
(송산로)가좌동하행 진출 불가IC장월지방도 제358호선
(동서대로)
문발로BR장월교rowspan=2|rowspan=2|파주시교하동IC문발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파주로)IS문발로상행 진입만 가능BR송촌대교rowspan=2|rowspan=2|탄현면IS필승로상행 진출만 가능IC성동지방도 제360호선
(평화로)IC낙하지방도 제363호선
(엘지로)IS(내포리)지방도 제359호선
(방촌로)문산읍IC내포평택파주고속도로BR문산대교IC당동국도 제37호선
(율곡로)BR마정육교IC임진각임진각로하행 진출입만 가능IC자유국도 제1호선
(통일로)종점

4. 2. 교통량

국토교통부의 2017년 교통량 조사에 따르면, 자유로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교통량이 많은 도로인 가양대교 ~ 장항IC 구간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구간의 차로수는 10차선이다.[9]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하남-퇴계원 구간은 두 번째로 통행량이 많은 구간이다.[9]

5. 자유로 귀신

자유로는 사라지는 히치하이커의 변형인 자유로 귀신으로도 유명하다.[1] 이 지역은 잦은 안개로 인해 자동차 사고율이 높다.[1] 이야기에 따르면, 선글라스를 쓴 여자가 종종 길가에서 목격된다고 한다.[1] 자세히 보면, 이른바 선글라스는 사실 여자의 훼손된 눈이라는 것이 드러난다.[1] 또 다른 이야기 버전에서는 한 운전자가 귀신을 태우고, 귀신은 운전자에게 묘지로 가라고 하거나 운전자가 목적지에 도착하면 사라진다.[1]

참조

[1] Youtube Ghost Stories on Jayuro Highway | the Dark Side of Seoul Podcast - YouTube https://www.youtube.[...] 2020-07-29
[2] 법률 대통령령 제21125호 국가지원지방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2008-11-17
[3] 법률 대통령령 제21124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2008-11-17
[4] 간행물 경기도공고 제159호 http://www.gg.go.kr/[...] 1990-05-19
[5] 간행물 경기도공고 제466호 http://www.gg.go.kr/[...] 1993-12-20
[6] 간행물 경기도공고 제1996-218호 http://www.gg.go.kr/[...] 1996-07-15
[7] 간행물 고양시공고 제1997-3호 http://www.gg.go.kr/[...] 1997-01-20
[8] 간행물 고양시공고 제1997-116호 http://www.gg.go.kr/[...] 1997-05-06
[9] 뉴스 교통량 10월 최고치, 자유로 가장 붐벼 http://www.molit.go.[...]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