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유로는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파주시를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자동차 전용도로이다. 1990년 착공하여 1992년에 일부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의 확장 공사를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가양대교 북단에서 시작하여 이산포 분기점을 거쳐 파주시 자유 나들목까지 총 49.976km 구간을 운행하며, 주요 시설물로는 나들목, 분기점, 교량 등이 있다. 또한, 자유로는 교통량이 많은 도로로, 자유로 귀신에 대한 도시전설로도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주시의 도로 - 통일로
통일로는 서울역에서 판문점까지 이어지는 서울과 경기 북부의 주요 간선도로로, 서울특별시도 제21호선, 국도 제1호선, 지방도 제360호선, 파주시도 제29호선 등을 포함하며,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운영되고 다수의 부속도로가 연결되어 있다. - 파주시의 도로 - 평택파주고속도로
평택파주고속도로는 경기도 평택시에서 파주시를 잇는 총 연장 117.9km의 고속국도 제17호선으로, 평택화성고속도로와 수원문산고속도로의 통합으로 지정되었으며 단계적으로 개통되어 현재는 파주시 월롱면까지 개통되었고, 구간별 차로 수와 제한속도가 다르며 광명-서울 구간은 2026년 개통 예정이다. - 서울 마포구의 교통 - 국도 제1호선
국도 제1호선은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연결되는 일반 국도로, 조선 시대부터 주요 도로로 이용되었으며, 여러 차례의 변화를 거쳐 현재 광주광역시,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서울특별시 등을 경유하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 서울 마포구의 교통 - 가양대교
가양대교는 1994년 착공하여 2002년 준공된 다리이며, 난지도와 가양동·등촌동을 잇는 다리 건설 계획으로 시작되어 지역 주민들의 명칭 변경 요구에 따라 가양대교로 명명되었다. - 고양시의 도로 - 통일로
통일로는 서울역에서 판문점까지 이어지는 서울과 경기 북부의 주요 간선도로로, 서울특별시도 제21호선, 국도 제1호선, 지방도 제360호선, 파주시도 제29호선 등을 포함하며,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운영되고 다수의 부속도로가 연결되어 있다. - 고양시의 도로 - 평택파주고속도로
평택파주고속도로는 경기도 평택시에서 파주시를 잇는 총 연장 117.9km의 고속국도 제17호선으로, 평택화성고속도로와 수원문산고속도로의 통합으로 지정되었으며 단계적으로 개통되어 현재는 파주시 월롱면까지 개통되었고, 구간별 차로 수와 제한속도가 다르며 광명-서울 구간은 2026년 개통 예정이다.
자유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도로 이름 | 자유로 |
다른 이름 | 자유로 자동차 도로 |
관리 | 정보 없음 |
총 연장 | 49.967km |
개통 | 1992년 |
기점 | 20px 가양대교, 마포구, 서울특별시 |
종점 | [[File:Korea National Route No.1.svg|20px]] 자유 나들목, 파주시, 경기도 |
노선 정보 | |
노선 종류 | 일반 국도, 도시고속화도로 |
노선 번호 | 국도 제77호선의 일부 |
개통 연도 | 1992년 8월 15일 (신행주대교 ~ 오두산 통일전망대) 1994년 9월 (임진각 ~ 오두산 통일전망대) |
주요 경유지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
주요 교차 도로 | 강변북로 국도 제1호선 (통일로)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3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지방도 제356호선 지방도 제358호선 지방도 제360호선 지방도 제363호선 평택파주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
연결 도로 | 20px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File:Korea Expressway No.130.svg|20px]] 인천공항고속도로 [[File:Korea Expressway No.17.svg|20px]] 수원-문산고속도로 [[File:Korea National Route No.39.svg|20px]] 국도 제39호선 (대한민국) [[File:Korea National Route No.37.svg|20px]] 국도 제37호선 (대한민국) |
과거 지방도 정보 (폐지) | |
지방도 노선명 | 행주대교 ~ 자유의 다리 선 |
지방도 노선 번호 | 지방도 제315호선 |
총 연장 | 46.6km |
기점 | 경기도 고양군 지도읍 행주외리 |
주요 경유지 | 경기도 고양군 경기도 파주군 |
종점 | 경기도 파주군 문산읍 마정리 |
기타 | |
관련 항목 | 제2자유로 |
2. 역사
1990년 5월 19일, '''지방도 제315호선 행주대교 ~ 자유다리선'''으로 46.6km 구간 노선이 신설되었다.[4] 같은 해 10월 자유로가 착공되었다. 1992년 8월 15일에는 신행주대교 - 오두산 통일전망대 29km 구간이 완공되었고, 1994년 9월에는 오두산 통일전망대 - 임진각(17.5km) 구간이 완공되었다. 1993년 12월 20일에는 지방도 제315호선 고양시 행주외동 ~ 파주시 탄현면 성동리 28.2km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5] 1996년 7월 15일에는 지방도 제315호선 파주시 탄현면 성동리 ~ 문산읍 마정리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으며,[6] 1996년 7월 19일에는 지방도 제315호선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으로 승격되었다.
1997년 1월 20일, 서울시계 ~ 행주 분기점(고양시 덕양구 덕은동 ~ 행주동) 4.7km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고,[7] 1997년 5월 6일에는 행주 분기점 ~ 이산포 나들목(고양시 덕양구 행주동 ~ 일산구 송포동) 10.76km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8] 1997년 11월 3일에는 김포대교 완공으로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신평 나들목(현.자유로 나들목)이 개통되었다. 이후 강변북로 가양대교 북단 ~ 행주 분기점(행주대교 북단) 구간이 자유로로 편입되면서 자유로와 강변북로의 시점이 가양대교 북단으로 변경되었다. 2000년에는 신행주대교 (제2교) 완공으로 행주 분기점(행주대교 북단)이 개통되었고, 2000년 11월 21일에는 방화대교와 함께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개통으로 인해 북로 분기점이 개통되었다.
2007년 12월 31일에는 일산대교 완공으로 이산포 나들목이 이산포 분기점으로 변경되었으며, 2008년 11월 17일에는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에서 '''국도 제77호선'''으로 승격되었다. 2020년 11월 7일에는 평택파주고속도로 개통으로 인해 남고양 나들목, 내포 나들목이 개통되었다.
2. 1. 자유로 건설 이전
1990년 5월 19일, 지방도 제315호선 행주대교 ~ 자유다리선으로 46.6km 구간 노선이 신설되었다.[4] 같은 해 10월 자유로가 착공되었다. 1992년 8월 15일에는 신행주대교 - 오두산 통일전망대 29km 구간이 완공되었고,[4] 1994년 9월에는 오두산 통일전망대 - 임진각(17.5km) 구간이 완공되었다. 1993년 12월 20일에는 지방도 제315호선 고양시 행주외동 ~ 파주시 탄현면 성동리 28.2km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5] 1996년 7월 15일에는 지방도 제315호선 파주시 탄현면 성동리 ~ 문산읍 마정리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으며,[6] 1996년 7월 19일에는 지방도 제315호선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으로 승격되었다.1997년 1월 20일, 서울시계 ~ 행주 분기점(고양시 덕양구 덕은동 ~ 행주동) 4.7km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고,[7] 5월 6일에는 행주 분기점 ~ 이산포 나들목(고양시 덕양구 행주동 ~ 일산구 송포동) 10.76km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8] 1997년 11월 3일에는 김포대교 완공으로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신평 나들목(현.자유로 나들목)이 개통되었다. 이후 강변북로 가양대교 북단 ~ 행주 분기점(행주대교 북단) 구간이 자유로로 편입되면서 자유로와 강변북로의 시점이 가양대교 북단으로 변경되었다. 2000년에는 신행주대교 (제2교) 완공으로 행주 분기점(행주대교 북단)이 개통되었고, 11월 21일에는 방화대교와 함께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개통으로 인해 북로 분기점이 개통되었다.
2007년 12월 31일에는 일산대교 완공으로 이산포 나들목이 이산포 분기점으로 변경되었으며, 2008년 11월 17일에는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에서 국도 제77호선으로 승격되었다. 2020년 11월 7일에는 평택파주고속도로 개통으로 인해 남고양 나들목, 내포 나들목이 개통되었다.
2. 2. 자유로 건설 및 확장
자유로는 1990년 5월 19일 지방도 제315호선 행주대교 ~ 자유다리선으로 46.6km 구간 노선이 신설되면서[4] 같은 해 10월 착공되었다.[4] 1992년 8월 15일 신행주대교 - 오두산 통일전망대 29km 구간이 완공되었고,[4] 1994년 9월에는 임진각 - 오두산 통일전망대(17.5km) 구간이 완공되었다.[4]1993년 12월 20일 지방도 제315호선 고양시 행주외동 ~ 파주시 탄현면 성동리 28.2km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으며,[5] 1996년 7월 15일에는 지방도 제315호선 파주시 탄현면 성동리 ~ 문산읍 마정리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6] 1996년 7월 19일에는 지방도 제315호선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으로 승격되었다.[4]
1997년 1월 20일 서울시계 ~ 행주 분기점(고양시 덕양구 덕은동 ~ 행주동) 4.7km 구간, 1997년 5월 6일 행주 분기점 ~ 이산포 나들목(고양시 덕양구 행주동 ~ 일산구 송포동) 10.76km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7][8] 1997년 11월 3일 김포대교 완공으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신평 나들목(현.자유로 나들목)이 개통되었다.[4]
이후 강변북로 가양대교 북단 ~ 행주 분기점(행주대교 북단) 구간이 자유로에 편입되면서 자유로와 강변북로의 시점이 가양대교 북단으로 변경되었다. 2000년에는 신행주대교 (제2교) 완공으로 행주 분기점(행주대교 북단)이 개통되었고, 같은 해 11월 21일에는 방화대교와 함께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개통으로 북로 분기점이 개통되었다.[4]
2007년 12월 31일 일산대교 완공으로 이산포 나들목이 이산포 분기점으로 변경되었고, 2008년 11월 17일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에서 국도 제77호선으로 승격되었다.[4] 2020년 11월 7일 평택파주고속도로 개통으로 남고양 나들목, 내포 나들목이 개통되었다.
3. 구성
차로 수는 문산 나들목부터 당동 나들목까지는 왕복 4차로, 당동 나들목부터 낙하 나들목까지는 왕복 6차로, 낙하 나들목에서 이산포 분기점까지는 왕복 8차로, 가양대교부터 이산포 분기점까지는 왕복 10차로로 구성되어 있다.
총 연장은 49.976km이다.
자동차 전용도로이므로 최고 제한 속도는 90 km/h이다.
3. 1. 차로 수
문산 나들목부터 당동 나들목까지는 왕복 4차로, 당동 나들목부터 낙하 나들목까지는 왕복 6차로, 낙하 나들목에서 이산포 분기점까지는 왕복 8차로, 가양대교부터 이산포 분기점까지는 왕복 10차로로 구성되어 있다.3. 2. 총 연장
자유로의 총 연장은 49.976km이다.3. 3. 제한 속도
자동차 전용도로이므로 최고 제한 속도는 90 km/h이다.4. 주요 시설물
화곡로(화곡로)
(지선)
(방화대교)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행주대교)
KTX 행신역
(김포대교)
일산호수공원
킨텍스(KINTEX)
(일산대교)
고양종합운동장
대화역
파주출판도시
임진각역
(통일로)
판문점
개성공업지구
통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