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란도 2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란도 2세는 1452년 아라곤 왕국의 소스델레이카톨리코에서 태어났으며, 아라곤의 후안 2세와 후아나 엔리케스의 아들이다. 그는 카스티야의 이사벨 1세와 결혼하여 카스티야의 명예왕이 되었고, 1479년 아버지의 뒤를 이어 아라곤의 왕이 되면서 카스티야와 아라곤은 동군 연합을 이루었다. 페란도 2세는 그라나다 토후국을 정복하고, 유대인 추방령을 발효했으며,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대륙 탐험을 지원했다. 그는 이탈리아 전쟁에 참여하여 나폴리 왕국을 얻었으며, 1512년에는 나바라 왕국을 점령하여 카스티야에 병합했다. 페란도 2세는 1516년 사망했으며, 스페인 통일과 왕권 강화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티아고 기사단 - 마르틴 코르테스 엘 메스티소
에르난 코르테스와 말린체 사이에서 태어난 마르틴 코르테스 엘 메스티소는 누에바 에스파냐에서 태어나 스페인에서 성장하며 상속 분쟁과 음모 연루, 추방, 반란 가담 등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다. - 산티아고 기사단 - 파르마 공작 카를로 2세
부르봉-파르마 가문 출신인 파르마 공작 카를로 2세는 에트루리아 왕국의 왕, 루카 공국의 공작을 거쳐 파르마 공작으로 즉위했으나, 자유주의적 성향과 변덕스러운 성격으로 정치적 혼란을 겪고 퇴위 후 프랑스에서 생을 마감했다. - 스페인의 기독교사 - 산티아고 기사단
산티아고 기사단은 레콩키스타 시대 스페인에서 성 야고보를 수호성인으로 삼아 설립된 군사 기사단으로, 붉은 십자가를 상징으로 사용하고 온건한 규칙을 채택하여 확장했으며, 1499년까지 독자 운영 후 스페인 왕관에 병합되었으나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 스페인의 기독교사 - 레콩키스타
레콩키스타는 8세기 초 이슬람 세력에 대항하여 기독교 세력이 이베리아 반도에서 영토를 회복한 과정으로, 종교적, 문화적 의미를 지닌 이념으로 발전하여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역사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마요르카의 군주 - 마르틴 (아라곤)
마르틴 1세는 1396년부터 1410년까지 아라곤 왕국을 통치하며 왕실 권력 강화, 귀족 갈등 억제, 산적 소탕에 힘썼고 아비뇽 교황을 지지했으며 사르데냐 지배력을 강화했으나, 후계자 없이 사망하여 카스페 타협으로 왕위 계승자가 결정되었다. - 마요르카의 군주 - 페란도 1세
페란도 1세는 카스티야 왕 후안 1세의 아들이자 아라곤 왕으로, 카스티야 왕위는 거절하고 조카 후안 2세의 섭정을 했으며, 그라나다를 정복하고 교회 대분열 종식에 기여했다.
페란도 2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가톨릭 스페인 군주 |
재위 | 아라곤 왕, 발렌시아 왕, 사르데냐 왕, 마요르카 왕, 바르셀로나 백작 1479년 1월 20일 – 1516년 1월 23일 |
선임자 | 후안 2세 |
후임자 | 후아나 1세 |
재위1 | 카스티야 왕, 레온 왕 (배우자 자격) (페르난도 5세) 1475년 1월 15일 – 1504년 11월 26일 |
선임자1 | 이사벨 1세 |
후임자1 | 후아나 1세 |
섭정1 | 이사벨 1세 |
재위2 | 시칠리아 왕 1468년 – 1516년 1월 23일 |
선임자2 | 후안 1세 |
후임자2 | 후아나 1세 |
재위3 | 나폴리 왕 (페르난도 3세) 1504년 3월 31일 – 1516년 1월 23일 |
선임자3 | 루이 2세 |
후임자3 | 후아나 3세 |
재위4 | 나바라 왕 (페르난도 1세) 1512년 8월 24일 – 1516년 1월 23일 |
선임자4 | 후안 3세, 카탈리나 1세 |
후임자4 | 후아나 3세 |
공동 군주 | 이사벨 1세 |
출생일 | 1452년 3월 10일 |
출생지 | 소스, 아라곤 왕국 |
사망일 | 1516년 1월 23일 (63세) |
사망지 | 마드리갈레호, 에스트레마두라 지방, 카스티야 연합왕국 |
매장지 | 그라나다 왕실 예배당 |
배우자 | 이사벨 1세 (1469년 10월 19일 결혼, 1504년 11월 26일 사망) 제르멘 드 푸아 (1506년 3월 22일 결혼) |
자녀 | 포르투갈 여왕 이사벨 후안 왕자 카스티야와 아라곤의 여왕 후아나 포르투갈 여왕 마리아 잉글랜드 여왕 캐서린 사라고사 대주교이자 아라곤 부왕 알론소 (사생아) |
가문 | 트라스타마라 |
아버지 | 후안 2세 |
어머니 | 후아나 엔리케스 |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 |
![]() |
2. 생애
페르난도 2세는 1452년 3월 10일 아라곤 왕국의 소스델레이카톨리코에서 아라곤의 후안 2세와 그의 두 번째 부인 후아나 엔리케스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후안 2세는 트라스타마라 왕가의 방계 가문 출신이었다.[3]
2. 1. 지위와 권력 획득
페란도는 아라곤 왕국 소스델레이카톨리코의 사다 궁전에서 후안 2세와 그의 둘째 부인 후아나 엔리케스의 아들로 태어났다.[30] 1469년 10월 19일, 카스티야 레온 왕국 바야돌리드에서 카스티야의 군주 엔리케 4세의 이복 여동생이자 후계자인 이사벨 1세와 혼인했다.[4] 이사벨은 트라스타마라 종가의 문주였으며, 페란도는 조부 페란도 1세가 카스티야 연합왕국의 왕 후안 1세의 막내아들이었으므로 트라스타마라가의 방계였다. 즉, 이 둘은 육촌간이었다. 그들은 대등한 사이(Tanto monta)라는 모토 아래에서 권력을 공유한다는 완벽한 부부재산계약을 맺고 혼인했다.1474년에 이사벨이 사망한 이복 형제의 뒤를 이어 카스티야의 여왕으로 즉위하면서 페란도는 카스티야의 명예왕(jure uxoris)이 되었다.[4][5] 두 젊은 군주 부부는 엔리케 4세의 딸이라고 알려진 후아나 라 벨트라네하와의 내전에 돌입했으나, 신속하게 이를 종결시켰다.[31] 1479년에 페란도가 아라곤의 군주인 아버지의 뒤를 이으면서, 카스티야 왕국과 아라곤 왕국의 여러 영토들은 동군연합이 되었다. 8세기 이래로 처음인 이 동군 연합은 히스파니아라는 옛 명칭에서 뿌리를 둔 에스파냐(스페인)라고 칭해지는 단일 정치 단위를 형성했다.
이들 지역은 단일 단위로서 관리되지 않고, 같은 군주를 두는 분리된 정치 단위였다.[6] (아라곤과 카스티야의 스페인으로의 법적 통합은 1707년-1715년 펠리페 5세 재위 시기에 이루어진다).[32] 1494년, 토르데시야스 조약은 정복과 식민지 목적으로 유럽 너머 포르투갈과 카스티야 (스페인) 사이의 전 세계를 나누었다.


2. 2. 레콩키스타 완료와 종교 정책
페르난도 2세와 이사벨 1세의 공동 통치 기간 동안, 이베리아 반도에 마지막으로 남아있던 이슬람 세력인 그라나다 토후국을 1492년에 정복하면서 레콩키스타가 완료되었다.[4][7] 같은 해 1월, 그라나다 왕국을 멸망시키며 약 800년에 걸친 레콩키스타를 종결지었다. 1496년에는 로마 교황 알렉산데르 6세로부터 이 업적을 인정받아 페르난도 2세와 이사벨 1세는 "가톨릭 군주" 칭호를 받았다.1492년은 레콩키스타 완료 외에도 중요한 사건들이 있었다. 같은 해 3월, 페르난도 2세와 이사벨 1세는 알함브라 칙령을 발표하여 모든 유대인에게 세례를 받고 기독교로 개종하거나, 나라를 떠날 것을 명령했다.[8] 이 칙령으로 무데하르 무어인(이슬람교도)과 콘베르소 마라노 유대인은 잔류할 수 있었지만, 개종하지 않은 유대인들은 카스티야와 아라곤에서 추방되었다. 대부분의 유대인은 개종하거나 오스만 제국으로 이주했다.
2. 3. 강제 개종
페르난도 2세는 1502년에 알함브라 칙령으로 무데하르 이슬람교도들에게 부여된 종교적 자유를 묵살하고, 카스티야와 아라곤의 모든 이슬람교도들에게 가톨릭으로 개종하여 콘베르소 모리스코가 되거나, 아니면 추방당하도록 강요했다.[36][37][38][39][40] 무어식 건축 양식을 다룰 줄 알았던 무데하르 장인들과 같은 일부 이슬람교도들은 잔류했다. 이는 스페인 종교 재판관들이 스페인의 콘베르소 마라노 유대인들에게도 시행했던 방식이기도 했다.
2. 4. 이탈리아 전쟁과 대외 관계
페르난도 2세의 생애 후반부는 이탈리아 지배권을 두고 프랑스 왕국의 역대 왕들과 분쟁을 벌인 이탈리아 전쟁으로 대부분 채워졌다. 1494년, 프랑스 국왕 샤를 8세가 이탈리아를 침공하여 페르난도의 사촌이자 의붓 조카인 나폴리 왕국의 알폰소 2세를 나폴리 왕국에서 몰아냈다. 페르난도는 다양한 이탈리아 공국들과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막시밀리안 1세와 동맹을 맺어 1496년까지 프랑스군을 몰아내고 알폰소의 아들인 나폴리 국왕 페르디난도 2세를 나폴리 왕위에 앉혔다.[10]1500년, 페르디난도 2세가 사망하고 그의 삼촌 나폴리의 프레데릭이 즉위한 후, 페르난도는 샤를 8세의 계승자 루이 12세와 협정을 맺었다. 루이 12세는 밀라노 공국에 대한 자신의 주장을 성공적으로 관철한 직후였으며, 나폴리를 분할하기로 합의했다. 프랑스는 캄파니아와 아브루치를 포함한 나폴리를, 페르난도는 풀리아와 칼라브리아를 차지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 협정은 곧 무너졌고, 그 후 몇 년 동안 페르난도의 뛰어난 장군 곤살로 페르난데스 데 코르도바가 프랑스로부터 나폴리를 탈환하기 위해 싸워 1504년에 마침내 성공했다.[10]
페르난도 부부는 그라나다 전쟁 이후 쉴 틈도 없이 왕궁을 바르셀로나로 옮기고, 대 프랑스전에 돌입했다. 1493년 평화 조약이 성립되어 프랑스는 피레네 산맥 북쪽으로 철수했다. 그러나 이 평화가 일시적일 것임을 쉽게 예측할 수 있었기에, 다른 강대국과의 혼인 정책을 펼쳤다.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막시밀리안 1세의 딸 마르그리트를 장남 후안의 부인으로, 같은 황제의 아들 필리프를 차녀 후아나의 사위로, 또한 잉글랜드 왕 헨리 7세의 장남 아서 왕세자를 넷째 딸 카탈리나의 사위로 삼아, 스페인, 오스트리아와 네덜란드, 잉글랜드의 프랑스 포위망을 형성했다. 프랑스는 1494년부터 이탈리아 전쟁을 시작했지만, 1504년에 체결된 조약에 의해 프랑스는 나폴리 왕위를 포기하고, 페르난도가 나폴리 왕을 겸하게 되었다(나폴리 왕 '''페르디난도 3세''').[10]
2. 5. 이사벨 사후
1504년 11월, 카스티야 여왕이었던 부인 이사벨이 사망하면서, 페르난도는 카스티야 왕의 지위를 잃었다. 카스티야 왕위는 후아나가 계승했다. 후아나는 남편 필리프 1세와 함께 플랑드르에 있었기에, 페르난도는 이사벨의 유언에 따라 카스티야의 섭정이 되었다.1506년에 후아나가 카스티야로 귀국하여 즉위하자, 페르난도는 카스티야를 떠나 나폴리로 향했다. 그러나 약 4개월 후, 필리프 1세가 급사했다. 후아나의 정신 상태는 극도로 불안정해졌고, 카스티야 귀족들은 권력 투쟁을 벌였다. 페르난도는 다시 섭정이 되어 정무를 대행하게 되었다.
페르난도는 아라곤의 왕위 계승자가 탄생하기를 기대하며, 1505년 제르멘 드 푸아와 재혼했다. 이듬해 아들이 태어났지만 요절했다.
1511년 10월, 페르난도는 교황 율리오 2세가 제창한 신성 동맹에 참여했다. 1512년에는 나바라 왕국을 점령하여 카스티야에 병합했다. 그 결과, 이베리아 반도는 스페인과 포르투갈 왕국 두 나라만 남게 되었다. 나바라 왕 후안 3세와 여왕 카탈리나는 프랑스로 도망쳤고, 페르난도 사후에 옛 영토의 일부를 되찾았으나, 1593년까지 존속한 후 사실상 프랑스에 병합되었다.
3. 유산과 상속
페르난도와 이사벨은 동등한 조건으로 효과적인 주권을 확립했으며, 혼전 계약을 통해 서로를 지원했다. 그들의 통치 아래 스페인은 통일되었고, 왕권은 중앙 집권화되었다. 레콩키스타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으며, 강력한 군사력과 법적 틀이 마련되었다. 또한,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대륙 발견은 스페인을 최초의 현대 세계 강국으로 이끌었다.
페르난도와 이사벨은 결혼을 통해 포르투갈, 합스부르크 오스트리아, 부르고뉴와 동맹을 맺었다. 맏딸 이사벨은 포르투갈의 마누엘 1세와, 맏아들 후안은 오스트리아의 마르가레테와 결혼했다. 그러나 자녀들의 사망과 이사벨의 죽음으로 상속 계획이 변경되어, 페르난도는 둘째 딸 후아나의 남편인 합스부르크의 필리페에게 카스티야 통치를 양도해야 했다.[18]
1502년, 아라곤 코르테스는 사라고사에서, 발렌시아 왕국과 카탈루냐 공국 의회는 바르셀로나에서 후아나에게 충성을 맹세했다. 그러나 사라고사의 대주교 알론소 데 아라곤은 이 맹세가 무효이며, 상속법은 국왕과 코르테스의 공식적인 입법을 통해서만 변경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19][20]
1516년 페르난도 2세가 사망하자, 딸 후아나가 아라곤 왕관을 상속받았고, 손자 카를이 총독(섭정)이 되었다.[21] 막시밀리안 1세와 교황 레오 10세의 지지로, 카를 1세는 어머니와 함께 카스티야와 아라곤의 국왕으로 선포되었다. 카스티야의 섭정 히메네스 데 시스네로스 추기경은 이를 받아들였고, 카스티야와 아라곤 코르테스는 카를에게 경의를 표했다.[22][23]
페르난도의 손자이자 후계자인 카를은 스페인 영토뿐만 아니라 오스트리아와 부르고뉴 영토를 상속받아 유럽에서 가장 강력한 통치자가 되었다. 아메리카 대륙 등의 발견과 정복을 통해 진정한 최초의 글로벌 제국을 건설했다.
페르난도 2세는 후아나 여왕의 장남 카를을 후계자로 지명하고 1516년 사망했다. 플랑드르에서 태어나 스페인어를 이해하지 못했던 카를 왕자와 달리, 그의 동생 페르디난트 왕자는 스페인에서 태어나 할아버지 페르난도 2세의 양육을 받았기에, 아라곤 귀족과 민중은 동생을 새 국왕으로 원했다.
그러나 합스부르크 가문의 정책에 따라, 스페인과 합스부르크 간의 전쟁은 피할 수 없었다. 페르난도 2세는 딸 후아나를 정식 후계자로 기대했지만, 후아나가 안 될 경우 자신의 적자를 원했으나 이루어지지 않았다.
카를은 아라곤 왕위를 계승하고, 카스티야 왕위도 어머니 후아나와의 공동 통치 형태로 획득하여, '''스페인 국왕 카를로스 1세'''로 불리게 되었다. 1519년 신성 로마 황제로 선출되어 카를 5세라고도 불린다.
페르디난트 왕자는 로마 왕을 거쳐 신성 로마 황제가 되었고, 오스트리아를 상속받았다. 혼인을 통해 보헤미아, 헝가리 등을 획득하여 합스부르크 제국을 형성했고,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가문(합스부르크-로트링겐 가문)의 조상이 되었다. 페르디난트라는 이름은 오스트리아 계에서 계승되었다.
4. 자녀
Aldonça Roig d'Ivorra|알돈사 로이그 디보라ca와의 사이에서 낳은 자녀는 다음과 같다.
호아나 니콜라우아와의 사이에서 낳은 자녀는 다음과 같다.
토다 데 라레라와의 사이에서 낳은 자녀는 다음과 같다.
- 마리아 에스페란사 데 아라곤(? – 1543년) : 산타마리아 라 레알 데 라스 우엘가스 수도원의 수녀원장이었다.
베아트리스 데 페레이라와의 사이에서 낳은 자녀는 다음과 같다.
- 마리아 블랑카 데 아라곤(? – 1550년) : 마드리갈 데 라스 알타스 토레스의 수녀였다.
이사벨 1세와의 사이에서 낳은 자녀는 다음과 같다.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이사벨 | 1470년 | 1498년 | 포르투갈 왕자 아폰수와 초혼, 사별 후 마누엘 1세와 재혼. 미겔 다 파스 출산 중 사망. |
아들 (이름 미상) | 1475년 5월 31일 | 1475년 5월 31일 | 세브레로스에서 유산. |
후안 | 1478년 | 1497년 | 오스트리아의 마르게리타와 혼인. 결핵으로 사망. 마르가리타와의 사이에서 가진 아이는 유산. |
후아나 1세 | 1479년 | 1555년 | 펠리페 1세와 혼인. 카를로스 1세의 어머니. 토르데시야스에 감금됨. |
마리아 | 1482년 | 1517년 | 마누엘 1세와 혼인. 주앙 3세, 엔히크 1세의 어머니. |
딸 (이름 미상) | 1482년 7월 1일 | 1482년 7월 1일 | 마리아의 쌍둥이 자매. 새벽에 태어나 사산. |
카탈리나 | 1485년 | 1536년 | 아서 튜더와 초혼, 사별 후 헨리 8세와 재혼. 메리 1세의 어머니. |
제르멘 드 푸아와의 사이에서 낳은 자녀는 다음과 같다.
- 히로나 공작 후안 : 1509년 5월 3일에 태어났으나 몇 시간 만에 사망했다.
5. 가계도
배우자 | 자녀 |
---|---|
이사벨 1세 (1469년 10월 19일 결혼) | |
푸아의 제르멘 (1505년 10월 19일 결혼) | |
알돈사 루이즈 디보라 이 알레마니 | |
호아나 니콜라우아 | |
토다 데 라레아 | |
베아트리스 페레이라 |
페르난도 2세의 아버지는 후안 2세이며, 어머니는 후아나 엔리케스이다. 이복 형제로는 카를로스가, 이복 누이로는 블랑카와 레오노르가, 동복 여동생으로는 후아나가 있다.
페르난도 2세의 첫 번째 부인인 이사벨 1세는 트라스타마라 왕가의 재종고모이며, 두 번째 부인 제르멘 드 푸아는 이복 누이 레오노르의 손녀로, 종손녀에 해당한다.
6. 문장
; 카스티야의 군주 (이사벨 1세와 함께)
; 설명
카스티야, 레온의 문장과 아라곤, 아라곤령 시칠리아의 문장들을 4분의 1씩 나눈 형태이며, 시칠리아의 호엔슈타우펜가의 상징인 검은수리를 아라곤의 문장에 최종적으로 합쳤다.[56]
; 아라곤의 군주
; 바스코의 영주
참조
[1]
서적
Monarchs of Spain
[2]
서적
Monarchs of Spain
ABC Clio
[3]
서적
The Spain of the Catholic Monarchs 1474–1520
Blackwell Publishers Inc
[4]
뉴스
To seize power in Spain, Queen Isabella had to play it smart: Bold, strategic, and steady, Isabella of Castile navigated an unlikely rise to the throne and ushered in a golden age for Spain
https://www.national[...]
National Geographic History Magazine
2019-03-28
[5]
서적
The Spain of the Catholic Monarchs 1474–1520
Blackwell Publishers Inc
[6]
서적
The Spain of the Catholic Monarchs 1474–1520
Blackwell Publishers Inc
[7]
서적
A History of Medieval Spain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8]
서적
The Inquisition: A History
McFarland and Company, Inc.
[9]
서적
Cultures in Conflict: Christians, Muslims and Jews in the Age of Discovery
Oxfo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Columbus then and now: a life reexamined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1]
서적
Byzantium: The Decline and Fall
[12]
웹사이트
Blasón de Aragón
http://www.derechoar[...]
Zaragoza, Diputación General de Aragón
[13]
서적
The Spain of the Catholic Monarchs
[14]
서적
Memoria del Segundo Congreso Venezolano de Historia, del 18 al 23 de noviembre de 1974
https://books.google[...]
Academia Nacional de la Historia (Venezuela)
[15]
서적
La intitulación diplomática de los Reyes Católicos: un programa político y una lección de historia
http://www.ucm.es/ce[...]
III Jornadas Científicas sobre Documentación en época de los Reyes Católicos
[16]
간행물
Estudio documental de la moneda castellana de Carlos I fabricada en los Países Bajos (1517)
L. Külső hivatkozáso[...]
[17]
서적
The Spain of the Catholic Monarchs
[18]
서적
Imperial Spain 1469–1716
Penguin Books
[19]
웹사이트
Estudio documental de la moneda castellana de Carlos I fabricada en los Países Bajos (1517); José María de Francisco Olmos
http://www.ucm.es/BU[...]
2012-02-05
[20]
웹사이트
Estudio documental de la moneda castellana de Juana la Loca fabricada en los Países Bajos (1505–1506); José María de Francisco Olmos
http://www.ucm.es/BU[...]
2012-01-14
[21]
웹사이트
Estudio documental de la moneda castellana de Carlos I fabricada en los Países Bajos (1517); José María de Francisco Olmos
http://www.ucm.es/BU[...]
2012-02-05
[22]
웹사이트
Historia general de España
https://books.google[...]
[23]
웹사이트
Fueros, observancias y actos de corte del Reino de Aragón
http://saavedrafajar[...]
2008-06-10
[24]
웹사이트
Arquitectura de Medina de Pomar (Burgos)
https://core.ac.uk/d[...]
CORE
2024-06-14
[25]
뉴스
Se vende castillo donde vivió Juana 'la Loca' por 15 millones de euros
https://www.elnorted[...]
2024-06-14
[26]
서적
El escudo de España
https://books.google[...]
Real Academia Matritense de Heráldica y Genealogía; Ediciones Hidalguia
[27]
웹사이트
Ferdinand II king of Spain
https://www.britanni[...]
[28]
서적
カタルーニャを知る事典
平凡社
[29]
문서
[30]
서적
The Spain of the Catholic Monarchs 1474–1520
Blackwell Publishers Inc
[31]
서적
The Spain of the Catholic Monarchs 1474–1520
Blackwell Publishers Inc
[32]
서적
The Spain of the Catholic Monarchs 1474–1520
Blackwell Publishers Inc
[33]
서적
A History of Medieval Spain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34]
서적
Cultures in Conflict: Christians, Muslims and Jews in the Age of Discovery
Oxford University Press
[35]
서적
The Inquisition: A History
McFarland and Company, Inc.
[36]
웹사이트
Who are the Sephardim?
http://www.jewishgen[...]
[37]
간행물
El Almirantazgo de Castilla hasta las Capitulaciones de Santa Fe
[38]
서적
Seder Eliyahu Zuta
Hebrew University, Jerusalem
1975
[39]
간행물
Die Ahnen der Dona Leonor Alvarez de Toledo, Grossfuerstin von Toskana
1968
[40]
간행물
Dona Margarita de Cardona, Mutter des ersten Fuersten von Dietrichstein
1970
[41]
서적
Columbus then and now: a life reexamined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997
[42]
논문
Estudio documental de la moneda castellana de Carlos I fabricada en los Países Bajos (1517)
2003
[43]
서적
해적의 세계사
AK커뮤니케이션즈
[44]
서적
Imperial Spain 1469–1716
Penguin Books
2002
[45]
웹사이트
Estudio documental de la moneda castellana de Carlos I fabricada en los Países Bajos (1517)
http://www.ucm.es/BU[...]
2012-02-05
[46]
웹사이트
Estudio documental de la moneda castellana de Juana la Loca fabricada en los Países Bajos (1505–1506)
http://www.ucm.es/BU[...]
2012-01-14
[47]
웹사이트
Estudio documental de la moneda castellana de Carlos I fabricada en los Países Bajos (1517)
http://www.ucm.es/BU[...]
2012-02-05
[48]
웹사이트
Fueros, observancias y actos de corte del Reino de Aragón
http://saavedrafajar[...]
1866
[49]
서적
Historia general de España
https://books.google[...]
1861
[50]
문서
장 드 나르본 자작의 딸. 루이 12세의 조카이자 나바라 여왕 레오노르 (나바라)|레오노르 1세의 손녀, 나바라 여왕 카탈리나 (나바라)|카탈리나 1세의 사촌 동생
[51]
문서
es:Juana de Mendoza
[52]
문서
es:Diego Fernández de Córdoba (1355-1435)
[53]
문서
es:Inés de Ayala
[54]
문서
es:Pedro González de Mendoza
[55]
문서
es:Pedro Suárez de Toledo
[56]
서적
El escudo de España
https://books.google[...]
Madrid, Real Academia Matritense de Heráldica y Genealogía; Ediciones Hidalguia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