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알베르 르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랑스알베르 르네는 1934년 세이셸에서 태어났으며, 영국에서 법학을 공부하고 변호사로 활동했다. 그는 사회주의 정당인 세이셸 인민 통합당을 설립하여 영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위해 활동했고, 1977년 쿠데타로 대통령이 되었다. 이후 일당 독재 체제를 구축하고 사회주의 정책을 추진하며 장기간 집권했다. 르네는 2004년 대통령직에서 사임했으며, 2019년 사망했다. 그의 재임 기간 동안 세이셸은 경제적으로 발전했지만, 인권 침해와 독재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이셸의 총리 - 제임스 만참
제임스 만참은 세이셸의 초대 대통령이자 세이셸 민주당 창당자로, 식민지 수상과 대통령을 역임하며 관광 산업 발전에 기여했으나 쿠데타로 축출되었고, 귀국 후에는 저술 및 국제 평화 증진 활동을 펼치며 여러 상을 수상했다.
프랑스알베르 르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순서 | 제2대 세이셸 대통령 |
임기 시작 | 1977년 6월 5일 |
임기 종료 | 2004년 7월 14일 |
부통령 | 제임스 미셸 (1996–2004년) |
전임자 | 제임스 만참 |
후임자 | 제임스 미셸 |
순서2 | 제2대 세이셸의 총리 |
임기 시작2 | 1976년 6월 29일 |
임기 종료2 | 1977년 6월 5일 |
대통령2 | 제임스 만참 |
전임자2 | 제임스 만참 |
후임자2 | 직위 폐지 |
출생일 | 1934년 11월 16일 |
출생지 | 빅토리아, 세이셸 식민지 |
사망일 | 2019년 2월 27일 |
사망지 | 마에섬, 세이셸 |
정당 | 세이셸 인민 진보 전선 |
배우자 | 카렌 핸들리 (1956년) 제바 아담 (1974년) 사라 자르카니 (1992년) |
직업 | 변호사, 정치인 |
모교 | 킹스 칼리지 런던 |
![]() | |
정치 경력 | |
소속 정당 변천사 | 세이셸 인민 연합 (SPUP) → 세이셸 인민 진보 전선 (SPPF) → 인민당 (PL) |
주요 사건 | 1977년 쿠데타 1981년 쿠데타 미수 SIROP 꽃이 피는 작전 |
민주화 과정 | |
1992년 국민투표 | 1992년 헌법 국민투표 |
1993년 국민투표 | 1993년 헌법 국민투표 |
선거 참여 | |
의회 선거 참여 | 1967년 1970년 1974년 |
총선 참여 | 1979년 |
의회 선거 참여 | 1983년 1987년 |
헌법 위원회 선거 참여 | 1992년 |
의회 선거 참여 | 2002년 |
사회주의 세이셸 | |
정부 형태 | 사회주의 세이셸 |
사후 정보 | |
사임 및 이후 | 사임 및 이후의 삶 |
2. 초기 생애 및 교육
프랑스알베르 르네는 1934년 11월 16일 마헤 섬의 빅토리아에서 농장 관리자이자 행정관인 아버지 프라이스 르네와 재봉사인 어머니 루이사 모건 르네 사이에서 태어났지만, 어린 시절은 파콰르에서 보냈다. 유럽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소박한 가정 환경 때문에 상류층에 속하지는 않았다. 5살이 되던 해 가족은 마헤의 빅토리아로 돌아왔고, 르네는 성 요셉 수녀원과 성 루이 칼리지에서 교육을 받았다. 르네는 장학금 덕분에 마헤의 빅토리아에 있는 마리스트 형제회의 성 루이 칼리지에서 중등 교육을 받을 수 있었다.
프랑스알베르 르네는 1964년 세이셸 인민 연합당(SPUP)을 창설하며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1] 이는 2009년 인민당으로 개칭되어 현재까지 세이셸의 유력 정당 중 하나이다.
1952년, 17세의 르네는 스위스 발레주의 생 모리스 카푸친 신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할 수 있는 장학금을 받았다. 1954년, 1학년을 마친 후 영국 사우스햄튼의 세인트 메리 칼리지에서 법학을 공부하기 위해 옮겼고, 나중에 킹스 칼리지 런던에서 대학 교육을 마쳤다. 1957년 킹스 칼리지 런던에서 변호사 자격을 취득하여 1961년까지 활동했으며 미들 템플에 입회했다. 해외에 있는 동안 클레멘트 애틀리와 휴 게이츠켈이 이끌던 노동당 정치에 깊이 관여했다. 이러한 경험은 경제에 대한 국가 개입과 로마 가톨릭교회와 같은 보수 세력과의 유대를 선호하는 온건한 사회주의 이념을 채택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 르네는 원래 사제가 되는 것이 목표였으나, 나중에 자신의 정책을 비판한 지역 교회 지도자들을 비난하기도 했다. 1962년부터 1964년까지 런던 정치경제 대학교에서 경제학을 공부했다.
3. 정치 경력
르네는 킹스 칼리지 런던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변호사로 활동했으며, 영국 유학 중 영국 노동당의 영향을 받아 사회주의자가 되었다. 그는 가톨릭 교회와의 협력을 바탕으로 한 강력한 통제 경제를 지향했다.[1]
1976년 세이셸 독립 후, 르네는 제임스 맨참 초대 대통령 아래에서 총리를 맡았다.[1] 그러나 1977년 쿠데타로 맨참을 축출하고 대통령에 취임, 소련식 일당 독재 체제를 구축했다.[15]
1991년 소련 붕괴 등 국제 정세 변화와 국내외 압력으로 르네는 복수 정당제를 도입하고 민주화 개혁을 추진했다.[19] 1993년 다당제 선거에서 승리 후, 1998년과 2001년 재선되었으나, 2004년 건강 문제로 사임하고 제임스 미셸 부통령에게 대통령직을 승계했다.[11]
3. 1. 초기 정치 활동 (1964-1977)
1964년, 연합 세이셸(US)의 전신인 세이셸 인민 연합당(SPUP)이 창설되었다. 프랑스알베르 르네는 창립 멤버로서 사회주의와 영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위해 노력했다. 같은 해, 런던에서 훈련받은 변호사 제임스 맨참의 세이셸 민주당(SDP)은 보수주의자, 사업가, 플랜테이션 소유주들을 대표하며 영국과의 더 긴밀한 통합을 원했다.[1] 1965년 식민지 입법부에 자신의 당 동료들과 함께 선출된 그는 자치 정부와 독립을 위해 적극적으로 싸웠다.[1] 1966년 선거에서 SDP가 승리했다.[1] 1970년 세이셸은 새로운 헌법, 보편적인 성인 선거권, 선출된 다수를 가진 통치 위원회를 획득했다.[1]
1970년 3월, 런던에서 열린 헌법 회의에서 제임스 맨참의 SDP는 영국과의 더 긴밀한 통합을, 프랑스알베르 르네의 SPUP는 독립을 옹호했다.[1] 1970년 11월, 새 헌법이 발효된 가운데 치러진 선거에서 맨참이 수석 장관이 되었다.[1] 1974년 4월에 치러진 추가 선거에서는 두 정당 모두 독립을 위해 노력했다.[1] 1975년, 르네는 식민지 정부에서 연립 정부의 공공 사업 및 토지 개발부 장관이 되었으며, 여기에는 민주당(DP) 대표자들도 포함되었다.[1] 영국과의 협상을 통해 세이셸은 1976년 6월 29일 독립 영연방 내 공화국이 되었다.[1] 새롭게 기사 작위를 받은 제임스 맨참이 초대 대통령이 되었고, 르네는 총리가 되었다.[1] 이러한 협상으로 1965년 11월 세이셸에서 분리되어 영국령 인도양 지역(BIOT)의 일부를 형성했던 알다브라, 파콰르, 데 로셰스 섬이 독립과 함께 세이셸로 반환되었다.[1]
3. 2. 쿠데타와 일당 독재 (1977-1991)
1977년 쿠데타로 제임스 만참 대통령이 실각하고 르네가 대통령에 취임하면서, 세이셸은 소련형 사회주의에 기반한 일당 독재 체제로 전환되었다.[15] 르네는 디에고 가르시아 섬에 대한 미군 기지 건설에 반대하는 등 반서방 노선을 강화했다.[16]
1979년 새 헌법이 공포되면서 세이셸은 '''제2공화국'''[15]으로 불리는 일당 독재 시대로 접어들었다. 같은 해, 케냐 주재 미국 외교관의 지원을 받은 만참 지지자들의 쿠데타 계획이 있었으나, 르네 정권에 의해 사전에 방지되었다. 이 쿠데타 계획에는 프랑스도 관여한 것으로 밝혀졌다.[17]
1981년11월 25일에는 아파르트헤이트 시대의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지원을 받은 세력에 의한 쿠데타 계획이 발생했지만, 탄자니아 군대의 지원으로 진압에 성공했다.[18]
1977년 6월 4일부터 5일까지, 제임스 만참 대통령이 런던에서 열린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즉위 25주년 기념 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해외에 나가 있던 사이, 르네의 탄자니아 훈련을 받은 지지자 60~200명이 쿠데타를 일으켜 르네를 대통령으로 추대했다. 르네는 쿠데타에 관여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지만, 진실, 화해 및 국가 통합 위원회[3] 청문회에서 계획 및 실행에 참여했음을 인정하면서 그의 주장에 의문이 제기되었다.
반군은 마헤 섬의 전략적 요충지를 장악했다. 중앙 경찰서는 거의 총격전 없이 점령되었으나, 무기고가 있던 몽 플뢰리 경찰서에서는 총격전이 벌어져 3명이 사망했다. 음모자들은 세이셸 경찰을 지원해 온 6명의 영국군 장교를 체포했다. 이 장교들과 그들의 가족, 그리고 세이셸 최고 법원의 수석 판사인 에이든 오브라이언 퀸은 유럽으로 이송되었고, 섬에는 통행 금지령이 내려졌다.
르네는 세 가지 조건, 즉 정치적 개인의 안전 보장, 국제 협정 유지, 1978년 선거 계획(결국 1979년 선거가 치러짐) 하에 대통령직을 수락했다. 이후 대통령으로 선서하고 새 정부를 구성한 르네는 자신이 소련식 공산주의자가 아니라 "인도양 사회주의자"이자 "사회주의 범아프리카주의자"라고 선언했다.[4]
1978년 세이셸 인민 진보 전선(SPPF)으로 개명된 르네의 정당은 1979년부터 1991년까지 유일한 합법 정당이었으며, 주로 탄자니아, 알제리, 리비아, 동독의 자금으로 운영되었다. 모든 정치 활동은 세이셸 인민 진보 전선의 통치하에 이루어졌으며, 대통령은 17세 이상의 모든 세이셸 시민의 찬반 투표로 선출되었다. 대통령은 거의 무제한적인 행정 권력을 누렸으며, 자신만의 내각과 국회의장을 임명했다. 르네 또는 그의 정부에 대한 비판은 용납되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5] 때문에 그는 1979년, 1984년, 1989년 선거에서 유일한 대통령 후보로 출마해 90% 이상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1980년대에는 정부 출범 2년 반 만에 세 차례를 포함하여 1981년, 1982년, 1986년, 1987년 등 수많은 쿠데타 시도가 좌절되었다.
몇 번의 쿠데타 위기에도 불구하고, 르네는 대통령 선거에서 순조롭게 재선되었다. 동구권 국가와의 관계를 중시하고, 이들 국가로부터의 지원은 권력 기반을 강화했다. 그러나 1980년대 말부터의 동유럽 혁명과 1991년의 소련 붕괴는 세이셸의 중요한 지원처를 잃게 만들었고, 르네 정권의 권력에도 그림자가 드리우기 시작했다.
1991년, 르네가 이끄는 SPPF는 일당 독재의 포기와 복수 정당제의 부활을 발표[19]했다.
3. 3. 민주화와 다당제 도입 (1991-2004)
1990년대 초, 르네 행정부는 국가의 주요 대외 원조국들의 압력에 직면하여 보다 민주적인 통치로의 전환을 시작했다. 베를린 장벽 붕괴와 소련 해체 이후, 1991년 12월 4일, 세이셸 인민 진보 전선(SPPF)의 특별 의회에서 야당, 프랑스, 영국 등의 압력으로 르네 대통령은 약 16년간의 일당 통치 이후 다당제 정부로의 복귀를 발표했다.[19] 1991년 12월 27일, 세이셸 헌법이 개정되어 정당 등록이 허용되었다. 세이셸로 귀국한 망명자 중에는 1992년 4월에 돌아와 자신의 정당인 민주당(DP)을 부활시킨 제임스 만참도 있었다. 그 달 말까지 8개의 정당이 과도기 과정의 첫 번째 단계인 1992년 7월 23일부터 26일까지 열린 헌법 위원회 선거에 참여하기 위해 등록했다.
헌법 위원회는 SPPF에서 14명, DP에서 8명 등 22명의 선출된 위원으로 구성되었다. 위원회는 1992년 8월 27일에 활동을 시작했으며, 르네 대통령과 만참 모두 새로운 민주 헌법에 대한 국민 화해와 합의를 촉구했다. 새로운 헌법 초안은 1992년에 유권자의 60%를 확보하는 데 실패했지만, 수정된 버전은 1993년에 승인되었다. 1993년 5월 7일에 합의된 초안이 결정되었고, 6월 15일부터 18일까지 국민 투표가 실시되었다. 초안은 유권자의 73.9%의 찬성과 24.1%의 반대로 승인되었다.
새 헌법에 따라 1974년 이후 처음으로 열린 1993년 다당제 대통령 및 입법 선거는 1993년 7월 23일부터 26일까지 치러졌으며, 르네 대통령의 압도적인 승리로 끝났다. SPPF, DP, 그리고 파티 세셀와를 포함한 세 개의 소규모 정당의 연합인 연합 야당(UO)이 선거에 참여했다. 다른 두 개의 소규모 야당은 DP와 합류했다. 모든 참여 정당과 국제 참관 단체는 결과를 "자유롭고 공정하다"고 인정했다.
1998년 3월 20일부터 22일까지 열린 대통령 선거에는 SPPF의 프랑스알베르 르네, DP의 제임스 만참, 웨이벌 람칼라완 세 명의 후보가 출마했다. 르네 대통령과 그의 SPPF는 압승을 거두었다. 대통령의 선거 인기는 1993년 59.5%에서 1998년 66.6%로 급증했으며, SPPF는 1998년 국민 의회 선거에서 총 투표수의 61.7%를 얻었고, 이는 1993년의 56.5%에 비해 증가한 수치였다. 1999년, 만참은 중도 자유주의 세이셸 국민당(SNP)으로 당적을 옮겼고, 2002년 의회 선거에서 42%의 득표율로 SPPF에 패배하며 주요 야당으로 부상했다. 2004년 국정 연설에서 프랑스알베르 르네는 "여러분께서 우리 섬들을 걸어 다니시면서, 제가 세이셸 노동자로서 제 의무를 다했음을 깨달으시리라 믿습니다"라고 말했다.[11]
새 헌법에서는 대통령의 임기를 3기로 제한했지만, 르네는 이미 제2공화국 시대에 3선(1979년, 1984년, 1989년)을 역임했다. 그러나 신 헌법 제정 및 제3공화국으로의 이행에 따라 그동안의 임기는 초기화되었고, 1993년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된 르네의 임기는 1기로 간주되었다. 그 후, 1998년과 2001년 대통령 선거에서도 당선되었지만, 고령이었고, 2004년에 건강상의 이유로 사임했다. 후임으로는 SPPF의 제임스 미셸 부통령이 승격되었다. 이로써, 1977년 이래 장기간에 걸친 르네 정권은 막을 내렸다.
4. 대통령직 사임과 그 이후
2004년 2월 24일, 르네는 1996년부터 재임해 온 오랜 측근이자 동지였던 부통령 제임스 알릭스 미셸(2016년까지 재임)에게 권력을 넘겨주겠다고 발표했다. 그는 7월 14일에 사임했으며, 이후 인민진보전선의 지도자로 남아 그 단체로부터 후원자이자 창립자로 존경받았다.[12] 미셸은 2006년 대통령 선거에서 SNP 대표 람칼라완을 상대로 53.5%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그러나 르네의 정치적 영향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약화되었고, 그 결과 그의 정당은 2016년 국회의원 선거에서 야당에게 패배했다.
2004년 사임 이후, 많은 사람들은 르네가 여전히 강력한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다고 믿었다. 그러나 가족들은 그의 후임자가 자리를 굳힌 후 르네를 "버렸으며", 그와 거의 대화하지 않거나 조언을 구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르네는 영국 역사가 케빈 실링턴 박사가 저술한 ''“알베르 르네 – 현대 세이셸의 아버지”''를 지지했다. 2014년에 출판된 이 전기는 그의 초기 정치 활동과 식민주의에 맞선 투쟁을 분석한다.
새 헌법에서는 대통령의 임기를 3기로 제한했지만, 르네는 이미 제2공화국 시대에 3선(1979년, 1984년, 1989년)을 역임했다. 그러나 신 헌법 제정 및 제3공화국으로의 이행에 따라 그동안의 임기는 초기화되었고, 1993년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된 르네의 임기는 1기로 간주되었다. 그 후, 1998년과 2001년 대통령 선거에서도 당선을 거듭했지만, 고령이었고, 2004년에 건강상의 이유로 사임했다. 후임으로는 SPPF의 제임스 미셸 부통령이 승격되었다. 이로써, 1977년 이래 장기간에 걸친 르네 정권은 막을 내렸다.
2019년 2월 27일, 세이셸 마헤의 한 병원에서 호흡 부전으로 8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전 대통령은 2월 12일 호흡기 문제로 밝혀지지 않은 질병으로 입원했었다.
르네 정부에서 장관을 역임한 돌로르 에르네스타는 "대통령은 독립을 위한 투쟁을 이끈 진정한 지도자로 기억될 것입니다. 저는 또한 그가 오늘날 우리가 아는 새로운 세이셸의 발전을 위한 훌륭한 비전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기억할 것입니다. 그는 진정으로 그의 조국을 사랑했기 때문입니다"라고 말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르네의 사망에 애도를 표하며 그가 중국-세이셸 우호 관계 증진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고 밝혔다.
5. 외교 관계
인도와의 외교 관계는 세이셸이 1976년 독립한 이후부터 존재해왔다. 1987년부터 인도의 상주 고등 판무관이 빅토리아에 주재해 왔으며, 세이셸은 2008년 뉴델리에 상주 공관을 개설했다. 양국 관계는 우호적이고 돈독하며, 정기적인 고위급 상호 방문이 이루어졌다. 인도의 총리 인디라 간디와 대통령 R. 벤카타라만과 프라티바 파틸이 세이셸을 방문했으며, 세이셸의 르네, 미셸, 포르가 인도를 국빈 방문했다.[1]
1986년, 세이셸은 약 60만달러 상당의 말레이시아 제품을 직접 수입했지만, 싱가포르를 통한 간접 무역으로 700만달러 상당을 구매했다. 이는 싱가포르 항구를 이용하지 않고 말레이시아 제품을 얻기 위해 말레이시아와의 직접 무역을 모색한 결과이다. 1988년에는 문화, 교육, 스포츠 및 정보 분야의 협력을 증진하기 위한 협정이 체결되었다.[1]
5. 1. 중국과의 관계
중화인민공화국과의 외교 관계는 1976년 6월 30일에 수립되었다. 중국은 1977년부터 세이셸에 레 마멜 종합 기술 학교 건설 및 주택 사업 개발 등의 지원을 포함한 외교 원조를 제공하기 시작했다.[1] 2002년, 중국은 1480000USD 상당의 물품을 수출한 반면 세이셸로부터는 100000USD만을 수입했다.[1]5. 2. 북한과의 관계
프랑스알베르 르네 통치 기간 동안, 사회주의적이고 비동맹 노선을 추구하던 세이셸 정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세이셸은 북한으로부터 상당한 개발 원조를 받았다. 협력의 상당 부분은 군사적인 것이었다. 1980년에는 북한 군인들이 세이셸에 주둔하기도 했다.[4] 1983년에는 세이셸군을 지원하기 위해 55명의 북한 교관과 통역관을 파견하기도 했다.[4]르네는 재임 기간 동안 여러 차례 평양을 방문하여 김일성을 만났다.[4] 1988년 회담에서 그는 한반도 통일을 지지하며 고려민주연방공화국 구상에 찬사를 보냈다.[4] 그 방문 마지막 날, 두 나라는 경제 협력 조약을 체결했다.[4]
5. 3. 소련과의 관계
소련과 세이셸의 외교 관계는 세이셸이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다음 날 수립되었다. 1980년 2월 15일, 소련과 세이셸은 빅토리아에서 "상선 항해에 관한 협정"을 체결했다.[16] 르네 정부는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을 지지했다. 1987년, 선데이 타임스는 익명의 미국 정보 장교를 인용하여, 소련이 1986년 10월 ''이반 로고프''호에 해군 보병 50명을 상륙시켰다고 보도했다. 이는 르네에 대한 암살 시도가 실패한 지 한 달 후의 일이었다. 1999년에는 두 나라 사이에 관광 분야 협력에 관한 협정이 체결되었다.[16]5. 4. 미국과의 관계
1963년, 미국 공군 추적 기지가 마헤섬에 건설되어 운영되면서 세이셸에서 미국의 공식적인 존재가 시작되었다. 미 공군 추적 기지 시설은 세이셸 정부로부터 임대된 토지에 위치해 있었으며, 연간 450만달러의 임대료를 지불했다. 기지 인원은 공군 군인 5명 (장교 2명, 하사관 3명), 로랄 코퍼레이션 및 존슨 인스트루먼트 직원 65명, 그리고 세이셸 직원 150명으로 구성되었다. 미 공군 추적 기지는 1996년 9월 30일에 공식적으로 폐쇄되었다.[15]평화 봉사단 자원 봉사자들은 1974년부터 1995년까지 세이셸에서 봉사했다. 1976년 5월에 미국 영사관이 개설되었고, 같은 해 6월 세이셸의 독립 이후 대사관으로 승격되었다. 그 후 대사관은 1996년 8월에 폐쇄되었고, 미국은 같은 해 9월 2일에 세이셸 거주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영사 대행사를 개설했다. 이 대행사는 모리셔스 포트루이스에 있는 미국 대사관의 감독을 받는다. 모리셔스 주재 미국 대사도 세이셸을 겸임한다.[15]
1977년 쿠데타로 집권한 르네는 소련형 사회주의에 기반한 일당 독재 체제를 구축하면서, 디에고 가르시아 섬에 대한 미군 기지 건설에 반대하는 등 반서방 노선을 강화했다.[16]
1979년에는 케냐 주재 미국 외교관의 지원을 받은 쿠데타 계획이 있었으나, 르네 정권에 의해 사전에 방지되었다.[17]
6. 유산 및 평가
2018년까지 르네는 존경받는 국민적 인물이자 자비로운 독재자의 전형으로 묘사되었다.[13] 그의 통치 아래 세이셸은 인간 개발 지수 기준으로 아프리카에서 가장 발전된 국가 중 하나가 되었고, 아프리카 대륙에서 가장 높은 1인당 국내 총생산을 달성했다.
그러나 2018년 진실 화해 및 국민 통합 위원회(TRNUC[14]) 설립 이후, 르네와 그의 정당에 대한 비판적인 재평가가 이루어졌다. 청문회를 통해 고문 피해자들과 실종, 암살, 재판 없는 구금 피해자 가족들의 증언, 그리고 국가와 개인에 대한 금융 범죄 및 약탈 증거가 공개되었다. 르네는 런던에서 반체제 인사였던 제라드 호로의 죽음에 연루되었다는 비판을 받는다. 1977년 쿠데타 이후, 많은 국민들이 정치적 박해와 새 정부의 정책, 그리고 소련, 탄자니아, 북한과의 협력에 대한 두려움으로 영국과 남아프리카로 망명했다. 1977년에서 1984년 사이에 4천 명의 세이셸 국민들이 나라를 떠났고, 1979년부터 1989년까지는 연간 약 1천 명(국가 인구의 1% 이상)이 이민을 떠났다.
르네는 국립 청소년 봉사단 운영에 대한 국제적인 압력에 직면했다. 이 단체는 중등 교육 시스템 지원자들에게 의무적으로 졸업을 요구했으며, 전통적인 교육 과정 외에 정치 교육과 준군사 훈련, 그리고 비판자들에 따르면 이데올로기적 주입을 포함했다. 이 요구 사항은 다당제 통치로 전환된 후 폐지되었고, 조직은 결국 완전히 폐지되었다. 르네 정권에 대한 비판자들은 그의 재임 기간 동안의 부패와 연고주의를 지적한다.
정치적으로는 일당 독재를 펼치고 자유를 제한했지만, 르네의 장기 집권은 한편으로는 정치적 혼란을 막는 역할도 했다. 또한 인도양의 섬나라라는 입지를 활용하여 리조트 개발을 중심으로 관광업을 진흥시켰다. 그 결과 세이셸 경제는 고도로 성장하여, 아프리카 53개국 중 최상위권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을 기록했다. 인구 10만 명이 채 안 되는 소국 세이셸을 경제 성장 궤도에 올려놓은 공적은 크다.
또한 교육·후생·환경 정책에도 크게 힘썼으며, 영아 사망률이나 문맹률 등의 수치도 개선되었고, 유엔 개발 계획(UNDP)이 매년 발표하는 인간 개발 지수(HDI)에서도 세이셸은 선진국 다음의 위치에 있다.
경제적으로 성과를 거두는 한편, 체제 비판자들에 대해서는 르네 정권 및 SPPF에 의한 조직적인 고문이 행해졌다고 하며, 인권이 침해되었다는 비판이 있다. 그 결과, 제3공화국 성립까지 체제 비판자들은 영국이나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망명을 해야 했다.
7. 사생활
르네는 1956년 영국인 캐런 핸들리와 결혼하여 딸 한 명을 두었다. 핸들리는 1977년 쿠데타에 관해 "르네는 내 잉글랜드 루턴의 반 독립 주택에서 공산주의 혁명을 계획했다"고 언급했다.[1] 1975년 프랑스알베르는 게바 사비 아담과 결혼했으나, 이 관계는 1992년 이혼으로 끝났다.[1] 그는 1992년, 자신보다 25살 연하인 사라 자르카니와 세 번째 결혼하여 세 딸을 두었다.[1] 자녀들과 함께 그보다 오래 살았다.[1] 르네는 수많은 정부(情婦)를 두었는데, 이에 대해 그는 간단히 "나는 항상 낚시를 취미로 삼았다"고 말했다.[1]
참조
[1]
서적
Economic development in a small island economy: a study of the Seychelles Marketing Board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International
1992-02-28
[2]
웹사이트
France Albert Rene, former President of Seychelles, dies at age 83
http://www.seychelle[...]
[3]
웹사이트
TRNUC
http://www.trnuc.sc/[...]
2020-11-03
[4]
서적
The Seychelles Affair
https://books.google[...]
Bantam Press
1986
[5]
웹사이트
60. Seychelles (1976–present)
http://uca.edu/polit[...]
2017-12-28
[6]
웹사이트
Seychelles
https://presidential[...]
2017-12-28
[7]
서적
Chiefs of State and Cabinet members of foreign governments / National Foreign Assessment Center. Aug-Dec 1983.
https://hdl.handle.n[...]
[8]
서적
Chiefs of State and Cabinet members of foreign governments / National Foreign Assessment Center. Jan-Oct 1989.
https://hdl.handle.n[...]
[9]
서적
The Secret History of the American Empire: Economic Hitmen, Jackals, and the Truth About Global Corruption
Dutton
2007
[10]
서적
Killing Hope: U.S. Military and C.I.A. Interventions since World War II
Common Courage Press
2004
[11]
뉴스
The kingmaker president of Seychelles
https://brams.ge/new[...]
[12]
웹사이트
afrol News – Seychellois President to step down
http://www.afrol.com[...]
2017-12-28
[13]
웹사이트
Why Uhuru should be a 'benevolent' dictator to protect his legacy
https://www.standard[...]
2018-02-15
[14]
웹사이트
Truth Reconciliation and National Unity Commission
http://www.trnuc.sc/[...]
2020-11-03
[15]
웹사이트
SPPF History of the Party
http://www.sppf.sc/l[...]
[16]
뉴스
John Perkins on "The Secret History of the American Empire: Economic Hit Men, Jackals, and the Truth about Global Corruption"
http://www.democracy[...]
Democracy Now
2007-06-05
[17]
서적
Killing Hope: U.S. Military and C.I.A. Interventions since World War II
Common Courage Press
2004
[18]
뉴스
Timeline: Seychelles
http://news.bbc.co.u[...]
BBC
[19]
웹사이트
Background Note: Seychelles
http://www.state.gov[...]
[20]
뉴스
Seychelles 'kingmaker' ex-president dies at 83
https://af.reuters.c[...]
2019-0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