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랑스 해병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랑스 해병대는 프랑스 육군의 병과 중 하나로, 해외 주둔을 전문으로 하며 다양한 전문 분야를 포괄한다. 1622년 창설된 일반 해상 회사에서 기원하여, 식민지 부대를 거쳐 1961년 "Troupes de marine"이라는 명칭을 되찾았다. 프랑스 해병대는 현재 육군의 다른 부서와는 별개의 부대를 형성하며, 보병, 기갑, 공수 부대 등 다양한 특수 부대로 구성되어 있다. 해병대는 "마르수앵"과 "비고르"라는 별칭으로 불리며, 닻을 상징으로 형제애, 적응력, 군사적 휴머니즘을 핵심 가치로 삼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프랑스 해병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해병대 휘장
해병대 휘장
명칭해병대
현지 명칭"" (프랑스어)
창설1622년
소속 국가프랑스
군 종류프랑스 육군
병과해병대
역할상륙전
원정전
공수 부대
특수 작전 가능
규모17,000명 이상 (2022년)
현재 지휘관"군종신부 (Father of the Marine Corps)" 대장 폴 제즈
별칭"" (돌고래)
"" (고둥)
표어"" (그리고 하느님의 이름으로, 식민지 만세!)
색상빨간색과 파란색
군가"" (해병대 보병 찬가)
기념일바제유 (8월 31일 - 9월 1일)
약칭TDM
해병대 베레모 휘장
해병대의 베레모 배지
참전
주요 전투라 로셸 공성전 (1627-1628)
프랑스-스페인 전쟁
프랑스-네덜란드 전쟁
9년 전쟁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
조지 왕 전쟁
7년 전쟁
프렌치-인디언 전쟁
미국 독립 전쟁
프랑스 혁명 전쟁
나폴레옹 전쟁
제1차 프랑스-멕시코 전쟁
프랑스-모로코 전쟁
크림 전쟁
제2차 아편 전쟁
코친차이나 원정
제2차 프랑스-멕시코 전쟁
보불전쟁
청불 전쟁
통킹 원정
제2차 마다가스카르 원정
의화단 운동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인도차이나 전쟁
수에즈 위기
레바논 내전 (1975-1990)
레바논에 주둔한 유엔 임시군 (1978–현재)
레바논 다국적군 (1982-1984)
걸프 전쟁
보스니아 전쟁
코소보 전쟁
테러와의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2021)
제1차 코트디부아르 내전
제2차 코트디부아르 내전
말리 전쟁
세르발 작전 (2013-2014)
바르칸 작전 (2014-2022)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내전
상가리스 작전 (2013-2016)
주요 지휘관
주요 지휘관조제프 갈리에니 장군
마르셀 비게아르 장군
자크 테스타르 드 몽티니

2. 역사

7년 전쟁 동안 해상 자유 부대의 군인.


해군 부대프랑스어(Troupes de marine)는 이전에는 식민지 부대프랑스어(Troupes coloniales)로 알려졌으며, 프랑스 해군 해군 부대프랑스어(Troupes de la marine)가 그 기원이다. 프랑스 식민지는 해군부프랑스어(Ministère de la Marine) (영국 해군성에 해당)의 통제를 받았고, 해병대는 식민지를 방어했다.

17세기 추기경 리슐리외는 1622년에 Compagnies Ordinaires de la Mer|콩파니 오르디네르 드 라 메르프랑스어 (일반 해상 회사)를 창설했다. 이들은 왕립 해군 함선에 탑승하여 해군 포병으로 복무하고 적 함선 나포에 참여했으며, 해항 경비 임무도 맡았다. 18세기에 이들은 Compagnies Franches de la Marine|콩파니 프랑슈 드 라 마린프랑스어 (프랑슈 해병 중대)를 구성하여 주로 누벨 프랑스|Nouvelle France|누벨 프랑스프랑스어로 퍼져나갔다. 닻은 프랑스 해군과의 연관성 때문에 이 부대의 공식 상징이 되었다.

1670년대, 해군 국무장관 콜베르와 전쟁 국무장관 루부아 후작은 해군 부대 조직을 크게 변화시켰다. 해군의 4개 연대는 라 마린 국무부에서 라 게르 국무부로 이관되었으나, 해군 부대|Troupes de marine|해군 부대프랑스어라는 명칭은 유지되었다. 프랑스 혁명 기간 동안 라 마린, 로열-마린, 로열-브쎄, 아미랄 연대|Régiment de l'Amiral|아미랄 연대프랑스어(재세례명 베르망두아 연대|Régiment de Vermandois|베르망두아 연대프랑스어) 연대는 프랑스 육군에 최종 통합되었다.[1]

17세기 말, 해군 부대는 군항 경비 보병 부대, 해안 포병 운용 포병 부대, 해군 포병 훈련 및 행정 부대 등으로 재편되었다. 1690년 창설된 Compagnies franches de la Marine|자유 해병대프랑스어는 군항과 해안선 경비를, 1692년 창설된 Corps d'artillerie de Marine|해병 포병대프랑스어는 해안 포병 훈련 및 운용을 담당했다. 이들은 1761년에 해산되었다.[1]

1769년, Corps royal d'artillerie et d'infanterie de Marine|왕립 해군 포병 및 보병 부대프랑스어가 창설되어 보병과 해군 포병 부대가 잠시 통합되었다. 1772년 Corps royal de la Marine|왕립 해병대프랑스어로 개칭된 이 부대는 8개 연대로 조직되어 주요 항구에 배치되었으나, 1774년 해체되었다. 같은 해, 왕립 해병대의 보병 부대인 Corps royal d'infanterie de la marine|왕립 해군 보병 부대프랑스어와 포병 부대인 Artillerie de Marine|해군 포병프랑스어가 창설되어 각각 3개 사단으로 조직되었다. 이들은 1786년에 해체되었다.

1786년 이후, 해병대 부대는 몇몇 단기 보병 연대(1792-1794)를 제외하고는 주로 포병 부대로 축소되었다. 이 부대들은 프랑스 혁명 전쟁과 모든 나폴레옹 전쟁에서 프랑스를 위해 싸웠다.

19세기에 프랑스 식민지가 확장되면서, 프랑스 해군과 해병대는 동남아시아, 태평양, 서아프리카 등지에서 함께 활약했다. troupes de marine프랑스어(해병대)는 아시아, 아프리카, 아메리카 식민지에서 프랑스의 영향력을 지키는 임무를 맡았다.

1890년 식민부(Ministry of Colonies)가 해군부(Ministère de la Marine)에서 분리되면서, 식민지에서만 복무하는 해병대|troupes de Marine프랑스어의 소속 문제가 제기되었다. 1900년 7월 7일 법령에 따라 군대는 전쟁부|Département de la Guerre프랑스어 산하에 배치되어 프랑스 육군의 일부로 재편입되었다. 이들은 해군 유산을 상기시키기 위해 닻 배지를 유지하면서 식민지군(Troupes coloniales)|식민지군프랑스어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다.[7]

식민지군프랑스어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인도차이나 전쟁, 알제리 전쟁에서 활약했다.[7]

프랑스가 식민지에서 철수하면서, 1958년 12월 1일 Troupes d' Outre-Mer프랑스어(해외 군대)라는 명칭이 Troupes Coloniales프랑스어(식민지 군대)를 대체했다. 1961년 5월 4일, "Troupes de marine"(해병대)라는 명칭이 다시 채택되었다. 해병대는 프랑스의 Forces d'Intervention프랑스어(개입 부대)의 주요 구성 요소가 되었다.

2016년 리옹 기차역에서 경계 근무를 서는 "마르수앵"

2. 1. Ancien Régime

추기경 리슐리외는 1622년에 Compagnies Ordinaires de la Mer|콩파니 오르디네르 드 라 메르프랑스어 (일반 해상 회사)를 창설했다. 이들은 왕립 해군 함선에 탑승하여 해군 포병으로 복무하고 적 함선 나포에 참여했으며, 해항 경비 임무도 맡았다. 해군 함포병은 Troupes de la marine|트루프 드 라 마린프랑스어 (해병대)의 핵심이었으며, 해병 포병 장교의 명령에 따라 해군 함포를 이동 및 장착했다. 18세기에 이들은 Compagnies Franches de la Marine|콩파니 프랑슈 드 라 마린프랑스어 (프랑슈 해병 중대)를 구성하여 주로 누벨 프랑스|Nouvelle France|누벨 프랑스프랑스어로 퍼져나갔다. 닻은 프랑스 해군과의 연관성 때문에 이 부대의 공식 상징이 되었다.

1670년대, 해군 국무장관 콜베르와 전쟁 국무장관 루부아 후작은 해군 부대 조직을 크게 변화시켰다. 해군의 4개 연대는 라 마린 국무부에서 라 게르 국무부로 이관되었으나, 해군 부대|Troupes de marine|해군 부대프랑스어라는 명칭은 유지되었다. 프랑스 혁명 기간 동안 라 마린, 로열-마린, 로열-브쎄, 아미랄 연대|Régiment de l'Amiral|아미랄 연대프랑스어(재세례명 베르망두아 연대|Régiment de Vermandois|베르망두아 연대프랑스어) 연대는 프랑스 육군에 최종 통합되었다.[1]

17세기 말, 해군 부대는 군항 경비 보병 부대, 해안 포병 운용 포병 부대, 해군 포병 훈련 및 행정 부대 등으로 재편되었다. 1690년 창설된 Compagnies franches de la Marine|자유 해병대프랑스어는 군항과 해안선 경비를, 1692년 창설된 Corps d'artillerie de Marine|해병 포병대프랑스어는 해안 포병 훈련 및 운용을 담당했다. 이들은 1761년에 해산되었다.[1]

1769년, Corps royal d'artillerie et d'infanterie de Marine|왕립 해군 포병 및 보병 부대프랑스어가 창설되어 보병과 해군 포병 부대가 잠시 통합되었다. 1772년 Corps royal de la Marine|왕립 해병대프랑스어로 개칭된 이 부대는 8개 연대로 조직되어 주요 항구에 배치되었으나, 1774년 해체되었다. 같은 해, 왕립 해병대의 보병 부대인 Corps royal d'infanterie de la marine|왕립 해군 보병 부대프랑스어와 포병 부대인 Artillerie de Marine|해군 포병프랑스어가 창설되어 각각 3개 사단으로 조직되었다. 이들은 1786년에 해체되었다.

2. 1. 1. 기원

추기경 리슐리외가 1622년에 창설한 Compagnies Ordinaires de la Mer|콩파니 오르디네르 드 라 메르프랑스어 (일반 해상 회사)는 왕립 해군 함선에 탑승하여 해군 포병으로 복무하고 적 함선 나포에 참여하는 데 사용되었다. 또한 다양한 해항을 경비하는 임무도 맡았다. 해병 포병의 수는 보병 해병(사수 및 척탄병)에 비해 제한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해군 함포병은 Troupes de la marine|트루프 드 라 마린프랑스어의 결정적인 요인이 되었으며, 해당 해병 포병 장교의 명령에 따라 해군 함포를 이동시키고 장착하는 역할을 했다. 18세기에 그들은 Compagnies Franches de la Marine|콩파니 프랑슈 드 라 마린프랑스어을 구성했는데, 이들은 주로 누벨 프랑스|Nouvelle France프랑스어로 퍼져나갔다. 특히, 이 해병들은 유럽에서 모집되었으며, 현지 환경에 대한 뛰어난 지식을 가진 해병 장교들이 현장에서 모집했다. 그 이후 닻은 프랑스 해군과의 이전 연관성 때문에 이 부대의 공식적인 상징이 되었다.

2. 1. 2. 일반 해상 회사와 해병대 (1622–1673)

추기경 리슐리외가 1622년에 창설한 Compagnies Ordinaires de la Mer|Compagnies Ordinaires de la Mer|일반 해상 회사프랑스어는 왕립 해군 함선에 탑승하여 해군 포병으로 복무하고 적 함선 나포에 참여했으며, 해항 경비 임무도 맡았다. 해군 함포병은 Troupes de la marine|Troupes de la marine|해병대프랑스어의 결정적인 요인이 되었으며, 해병 포병 장교의 명령에 따라 해군 함포를 이동 및 장착했다. 18세기에 이들은 Compagnies Franches de la Marine|Compagnies Franches de la Marine|프랑슈 해병 중대프랑스어를 구성하여 주로 누벨 프랑스|Nouvelle France|누벨 프랑스프랑스어로 퍼져나갔다. 닻은 프랑스 해군과의 연관성 때문에 이 부대의 공식 상징이 되었다.[1]

콜베르가 설립한 Régiment Royal–La Marine|Régiment Royal–La Marine|왕립 해병 연대프랑스어와 Régiment de Vermandois|Régiment de Vermandois|프랑스 해군 제독 연대프랑스어의 별도 부대는 덩케르크, 르아브르, 브레스트, 로슈포르, 툴롱에 주둔했다. 이들은 파란색 페이싱이 달린 미색/회색 제복을 착용했다.[1]

1670년대는 콜베르 장관과 루부아 후작 장관이 각각 해군 국무장관과 전쟁 국무장관으로서 새로운 부대 조직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해군의 4개 연대는 라 마린 국무부에서 라 게르 국무부로 이관되었으나, 해군 부대|Troupes de marine|해군 부대프랑스어라는 명칭은 유지되었다. 프랑스 혁명 기간 동안 라 마린, 로열-마린, 로열-브쎄, 아미랄 연대|Régiment de l'Amiral|아미랄 연대프랑스어(재세례명 베르망두아 연대|Régiment de Vermandois|베르망두아 연대프랑스어) 연대는 프랑스 육군에 최종적으로 통합되어 1791년에 각각 제11, 60, 43, 61 드 리뉴 연대가 되었다.[1]

로열 해군은 1671년에 196척의 군함을 보유한 강력한 전력이었다. 콜베르는 대형 군함 ()의 승무원의 일부를 구성할 "경비병" 100개 중대를 창설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이들은 1673년 루부아에 의해 프랑스 육군으로 전출되었다. 이때부터 해군 및 해병 장교들은 각 함선에 대해 별도로 승무원과 해병대를 모집해야 했다. "해상 징발"과 유사한, 다양한 항구에서 «레베» (선별적 징병) 시스템을 사용하여 함선을 운용했으나, 이 시스템은 빠르게 한계에 도달했다. 신병들은 종종 규율과 경험이 부족했고, 첫 항해 후에 해고되거나 탈영하여 몇 달 동안의 훈련을 낭비했다. 1682년까지 프랑스 해군에는 경험이 풍부한 선원과 병사들이 심각하게 부족했다.[1]

2. 1. 3. 자유 해병대 회사와 해병 포병대 (1690–1761)

17세기 말, 해군 부대는 재편되었다. 여기에는 군항 경비를 담당하는 보병 부대(1671년 창설된 감시병 회사, compagnies de soldats-gardiens프랑스어), 해안 포병 운용을 담당하는 포병 부대(1689년 창설된 폭탄병 회사, compagnies de bombardiers프랑스어), 해군 포병 훈련(1689년 창설된 견습 포병 회사, compagnies d'apprentis-cannoniers프랑스어) 및 해군 포병 행정(1631년 창설된 포병 위원, Commissaires d'artillerie프랑스어)이 포함되었다.

  • Compagnies franches de la Marine프랑스어 (자유 해병대): 1690년에 창설되었다. 각 회사는 군항과 인접 해안선을 경비하는 임무를 맡았다. 1695년부터 각 회사는 주요 항구(브레스트, 로슈포르, 툴롱)를 중심으로 대대 단위로 조직되었다. 이 해병대와 대대는 1761년에 해산되었다.
  • Corps d'artillerie de Marine프랑스어 (해병 포병대): 해안 포병의 훈련 및 운용을 감독하기 위해 1692년에 창설되었다. 이 부대는 1761년에 해산되었다.

2. 1. 4. 왕립 해병대 (1769–1786)

1769년, 보병과 해군 포병 부대가 잠시 단일 해병대로 통합되었다. 동시에 일부 식민지 부대가 창설되었으며, 이들은 포병 및 보병 부대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직되었다.[1]

  • 1769년에 Corps royal d'artillerie et d'infanterie de Marine|왕립 해군 포병 및 보병 부대프랑스어가 창설되었다.[1] 1772년에는 Corps royal de la Marine|왕립 해병대프랑스어로 이름이 변경되었다.[1] 이 부대는 8개 연대로 조직되어 바욘, 보르도, 브레스트, 르아브르, 마르세유, 로슈포르, 생말로, 툴롱 등의 항구를 중심으로 배치되었다.[1] 이 부대는 해군 개혁을 단행한 앙투안 드 사르틴의 지침에 따라 1774년에 해체되었다.[1]
  • 1774년, 왕립 해병대의 보병 부대로 Corps royal d'infanterie de la marine|왕립 해군 보병 부대프랑스어가 창설되어 브레스트, 로슈포르, 툴롱의 3개 ''사단''으로 조직되었다.[1] 1782년에 Corps royal de la Marine|왕립 해병대프랑스어로 이름이 바뀌었지만, 여전히 보병 부대로 유지되었다.[1] 이 부대는 1786년에 해체되었다.[1]
  • 1774년, 왕립 해병대의 포병 부대로 Artillerie de Marine|해군 포병프랑스어가 창설되어 브레스트, 로슈포르, 툴롱의 3개 ''사단''으로 조직되었다.[1] 해군 포병은 해군 함선에 탑승하여 복무하고 해안 포대를 운용하는 임무를 맡았으며, 지휘관은 해군 장교였다.[1] 이 부대는 1786년에 해체되었다.[1]
  • 식민지 연대:[1]
  • 1766년 창설된 "Cap"은 제106 보병 연대로 변경[1]
  • 1772년 창설된 "Pondichéry"는 제107 보병 연대로 변경[1]
  • 1772년 창설된 "Martinique et Guadeloupe"는 제109 보병 연대로 변경[1]
  • 1773년 창설된 "Port-au-Prince"는 제110 보병 연대로 변경[1]

2. 2. 프랑스 혁명과 제1제정 (1786–1816)

1786년 이후, 해병대 부대는 몇몇 단기 보병 연대(1792-1794)를 제외하고는 주로 포병 부대로 축소되었다.

  • Corps royal de cannoniers-matelots|코르 루아얄 드 카노니에-마틀로|왕립 해군-포병대프랑스어는 1786년 1월 1일에 창설되었다. 이 부대는 이전의 해병대(해상 및 수륙 양용 전투를 전문으로 하는 군인)가 수행하던 임무에 해군을 투입하려는 초기 시도였다. 이 해군 포병대는 1792년에 폐지되었고, 그 임무는 새로운 해병대 부대로 이전되었다.
  • Corps d'artillerie et d'infanterie de marine|코르 다르티예리 에 댕팡트리 드 마린|해병 포병 및 보병 군단프랑스어은 1792년에 창설되었다. 이 군단은 4개의 보병 연대, 2개의 포병 연대, 2개의 공병대 및 2개의 훈련대로 구성되었다. 보병 부대는 1794년 육군으로 이관되었다.
  • Corps d'artillerie de marine|코르 다르티예리 드 마린|해병 포병 군단프랑스어은 1794년 포병 및 보병 군단의 포병 부대로 창설되었다. 7개의 반여단으로 편성되었으며 1803년에는 4개의 연대로 재편성되었다. 이 군단은 나폴레옹 1세의 대관식(1804)에서 "황실(Impérial)"이라는 명칭을 얻었고, 루이 18세의 복귀(1814 및 1815)에서 "왕립(Royal)"이라는 명칭을 얻었다.


이 부대들은 프랑스 혁명 전쟁과 모든 나폴레옹 전쟁에서 프랑스를 위해 싸웠다.

2. 3. 19세기

19세기에 프랑스 식민지가 확장되면서, 프랑스 해군과 해병대는 동남아시아, 태평양, 서아프리카 등지에서 함께 활약했다. troupes de marine프랑스어(해병대)는 아시아, 아프리카, 아메리카 식민지에서 프랑스의 영향력을 지키는 임무를 맡았다.

혁명기인 1792년, troupes de marine프랑스어(해병대)는 재편성되었고, 해군 함선과의 구분이 뚜렷해졌다. 나폴레옹 시대에는 주로 정규 보병으로 활용되었다. 왕정복고 시기인 1818년에서 1822년 사이에는 황실 근위대 해산 이후 재편성의 일환으로 별도의 해병 포병(Artillerie de Marine프랑스어) 부대와 해병 보병(Infanterie de Marine프랑스어) 부대가 창설되었다. 이 두 부대는 각각 «빅스(bigors)»와 «마르수앵(marsouins)»으로 불렸다. 1831년부터 이들은 해군 함선 복무를 중단하고 육군 장비와 무기만 사용했으며, 프랑스 식민지 영토에서 육상 복무와 프랑스 본토의 대형 해군 항구 및 기지 방어를 담당했다.

7월 왕정 시기에는 해병대가 다양한 식민지 및 외부 작전을 수행하면서 1846년에 재활 및 증강되었다. 1848년 혁명으로 규모가 크게 감소하기도 했지만, 크림 전쟁의 세바스토폴 공방전에서 함대의 해군 함선 장비와 함께 능력을 발휘했다. 샤를 리고 드 제누이 제독의 지휘 아래 해군 함선에서 중포병(공성 포병 구성)을 하역하는 것을 돕기도 했다.

1855년부터 해병대는 제2 프랑스 제국의 원정에서 능력을 입증했다. 1870년에는 해병 포병과 보병이 청색 사단으로 재편성되었다. 이 부대는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이후 프랑스의 두 번째 식민 제국 건설에 참여했다.

프랑스 해군은 해군 부대에서 해병 보병 분견대를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 1856년에 해군 소총병대(Fusiliers Marins)를 창설했다. 해군 소총병대프랑스어는 초기에는 특별 보병 훈련을 받은 수병, 상사, 해군 장교로 구성되어 함선에 "해병" 분견대를 구성하고 소규모 상륙 작전을 수행했다. 이들은 영어권 국가와 달리 해군 계급을 사용했다.

2. 3. 1. 해병 보병 및 해병 포병 연대 (1816–1900)

1816년 2월 21일 루이 18세의 왕명에 따라 해병 보병대프랑스어(L'infanterie de marine)가 재설립되면서 2개 연대가 승인되었다. 1838년에 3개 연대, 1854년에 4개 연대로 증가했다. 제1연대는 셰르부르, 제2연대는 브레스트, 제3연대는 로슈포르, 제4연대는 툴롱에 각각 주둔했다. 1890년에는 해병 보병대프랑스어가 8개 연대로 증강되었다. 1793년에 창설된 해병 포병대프랑스어(L'artillerie de marine)는 1814년에 단일 연대로 편성되었고, 1893년 7월 8일에 두 번째 연대가 추가되었다.

이 시기에 해병 보병대와 해병 포병대는 발트해의 보마르순 (1854), 아조프해와 크림 반도 (1855–56), 중국의 키호아 (1860), 멕시코의 푸에블라 전투 (1863) 등에서 전투를 치렀다. 이들의 가장 유명한 전투는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에서 벌어진 바제유 (1870)이다.

해병대프랑스어(Troupes de marine)는 청불 전쟁 (1884년 8월~1885년 4월)과 그에 앞선 통킹 (베트남 북부)에서의 선전포고 없는 적대 행위 기간 동안 전투를 벌였다. 1883년 6월에서 1886년 4월 사이에 통킹 원정군에는 여러 해병 보병 대대와 해병 포병대가 포함되었다. 이들은 선떠이 작전 (1883년 12월), 박닌 작전 (1884년 3월), 흥화 점령 (1884년 4월), 박레 매복 (1884년 6월), 기륭 작전 (1884년 10월~1885년 6월), 유옥 전투 (1884년 11월), 누이보 전투 (1885년 1월), 랑선 작전 (1885년 2월), 펑후 제도 작전 (1885년 3월)에 참전했다. 1885년 3월, 앙주-로랑 지오반넬리 중령의 제1여단에 속한 두 해병 보병 대대는 호아목 전투에서 중국군 참호를 공격하다가 많은 사상자를 냈다. 호아목에서 프랑스의 승리는 뚜옌꽝 포위전을 해소했으며, 이후 뚜옌꽝에서 매년 기념식을 거행하여 포위된 프랑스 수비대를 대표하는 프랑스 외인 부대 병사와 구원 부대를 대표하는 해병 보병이 구원군의 상륙 기념일에 무기를 정중하게 제시했다.

2. 4. 식민지 부대로의 전환

1890년 식민부(Ministry of Colonies)가 해군부(Ministère de la Marine)에서 분리되면서, 식민지에서만 복무하는 해병대|troupes de Marine프랑스어의 소속 문제가 제기되었다. 1900년 7월 7일 법령에 따라 군대는 전쟁부|Département de la Guerre프랑스어 산하에 배치되어 프랑스 육군의 일부로 재편입되었다. 이들은 해군 유산을 상기시키기 위해 닻 배지를 유지하면서 식민지군(Troupes coloniales)|식민지군프랑스어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다.

2. 4. 1. 식민지 부대 (1900–1958)

1890년 식민부(Ministry of Colonies)가 해군부(Ministère de la Marine)에서 분리되면서, 식민지에서만 복무하는 해병대|troupes de Marine프랑스어의 소속 문제가 제기되었다. 1900년 7월 7일 법령에 따라 군대는 전쟁부|Département de la Guerre프랑스어 산하에 배치되어 프랑스 육군의 일부로 재편입되었다. 이들은 해군 유산을 상기시키기 위해 닻 배지를 유지하면서 식민지군(Troupes coloniales)|식민지군프랑스어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다.[7]

식민지군프랑스어은 유럽인으로 구성된 본국 프랑스의 식민지군과 현지에서 모집된 원주민 군대로 구성되었다. 본국 식민지군은 5년 복무 계약에 자원한 정규군으로, 북아프리카 이외의 프랑스 식민지에 배치되었다. 이들은 백인|blanches프랑스어 부대에서 복무하거나, 원주민 군대의 모집, 훈련, 지휘를 담당했다.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에 현지 모집 부대가 추가되면서 유럽인과 원주민 군인의 비율은 점차 감소했다.

식민지 전쟁과 유럽 전쟁에 필요한 훈련 및 장비의 차이, 그리고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 식민지 간의 복무 조건 차이는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그러나 식민지군은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인도차이나 전쟁, 알제리 전쟁에서 성공적으로 활용되었다.[7]

1900년 재편 이후 해군 포병 건설국은 식민지 포병의 필수적인 부분이 되었다. 1909년에는 식민지 포병 장교들이 해군 포병 기술자로 전출되었고, 이 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해군 기술단과 합병되었다.

1905년, 식민지군프랑스어의 병력은 장교 2,123명과 기타 병 26,581명이었다. 식민지에 유지된 병력은 장교 1,743명, 유럽 군인 21,516명, 현지 군인 47,868명이었다.[7]

육군으로 이관될 무렵 부대 명칭은 "해병(Marine)"에서 "식민지(Colonial)"로 변경되었지만, Fusiliers-Marins프랑스어는 프랑스 해군의 일부로 남았다. Troupes Coloniale|식민지군프랑스어은 수륙 양용 상륙 작전에 투입되기도 했는데, 이는 해군 항구 근처나 식민지 주둔지에 주둔하는 부대를 즉시 사용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8] 제1차 세계 대전갈리폴리 전역다르다넬스 해협에서, 동방 원정군은 2/3 이상 Troupes Coloniale|식민지군프랑스어으로 구성되었다.[9]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태평양 해병 보병 대대(BIMP)는 "해병(Marine)" 명칭을 포함한 식민지 부대였다. Troupes Coloniale|식민지군프랑스어의 두 개 사단은 미국에 의해 수륙 양용 전술 훈련을 받았으며 코르시카와 엘바에서 상륙 작전을 수행했다. 이 두 사단은 드라군 작전의 후속 부대로 프랑스 남부에 상륙했다.

Troupes coloniales|식민지군프랑스어은 두 세계 대전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프랑스군에서 가장 많은 훈장을 받은 연대기는 모로코 식민지 보병 연대 (RICM)와 제2 해병 보병 연대 2e RIMa의 연대기이다. 1945년 이후 탈식민지 전쟁은 식민지 군대를 인도차이나, 알제리, 마다가스카르에 투입시켰다.

2. 5. 식민지 부대의 종식과 해병대의 재창설

프랑스가 식민지에서 철수하면서, 1958년 12월 1일 Troupes d' Outre-Mer프랑스어(해외 군대)라는 명칭이 Troupes Coloniales프랑스어(식민지 군대)를 대체했다. 1961년 5월 4일, 역사적인 명칭인 "Troupes de marine"(해병대)가 다시 채택되었다. 해병대는 프랑스의 Forces d'Intervention프랑스어(개입 부대)의 주요 구성 요소가 되었다.

해외 주둔 경험과 Force d'Intervention프랑스어에서의 역할 덕분에, Troupes de marine프랑스어는 대부분 자원 입대한 정규병으로 구성되었으며, 징집병은 법적으로 해외 근무에서 면제되었다. 프랑스 육군이 전문화된 소규모 부대로 전환되면서 여단을 최대 규모로 편성하기로 결정했고, 1999년 7월 1일 9e Division d'Infanterie de Marine프랑스어 (9e DIMa)는 제9경장갑 해병 여단(프랑스) (9e Brigade Légère Blindée de Marine프랑스어, 9e BLBMa)으로 축소되었고, 2016년에 제9해병 보병 여단(9ème Brigade d'Infanterie de Marine프랑스어, 9e BIMa)으로 다시 변경되었다.

Troupes de marine프랑스어는 프랑스 육군의 "armes프랑스어" (병과) 중 하나이며, 해외 배치라는 특기를 가지고 있다.

2. 5. 1. 해병대 (1958–현재)

프랑스가 식민지에서 손을 떼면서, 1958년 12월 1일 Troupes d' Outre-Mer프랑스어(해외 군대)라는 명칭이 Troupes Coloniales프랑스어(식민지 군대)를 대체했다. 1961년 5월 4일, 역사적인 명칭인 "Troupes de marine"(해병대)가 모든 Troupes Coloniales프랑스어에 대해 다시 채택되었다. 해병대는 프랑스의 Forces d'Intervention프랑스어(개입 부대)의 주요 구성 요소가 되었다. 1963년 7월, Troupes de marine프랑스어의 제9해병 보병 여단(9e BIMa)이 프랑스의 Force d'Intervention프랑스어을 구성했다. 이 부대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엘바섬에 성공적인 수륙 양용 공격을 수행한 제9식민지 보병 사단(9e DIC)의 휘장을 사용했다. Troupes de marine프랑스어는 해외에 남아 Forces d'outre mer프랑스어(해외 군대)의 일부가 되었다. 1964년, Force d'Intervention프랑스어은 두 개의 공수 여단과 하나의 기동 여단을 추가하여 확장되었고, 1971년 제11공수 사단이 된 제11 Division d'Intervention프랑스어(개입 사단)을 구성했다. Troupes de marine프랑스어는 1976년 이 사단에서 분리되어 별도의 개입 부대를 구성했고, 9e Brigade d'Infanterie de Marine프랑스어는 1976년 1월 1일에 확장되어 9e Division d'Infanterie de Marine프랑스어(9e DIMa)을 형성했다. 이 사단은 1983년 Force d'Action Rapide (FAR)(신속대응군)으로 명칭이 변경된 Force d'Intervention의 수륙 양용 구성 요소였다.

해외 유산과 Force d'Intervention프랑스어에서의 사용 때문에, Troupes de marine프랑스어는 대부분 자원 입대한 정규병이었으며, 징집병은 법적으로 해외 근무에서 면제되었다. 프랑스 육군이 더 작은 전문 부대로 전환되면서 여단을 최대 부대로 만들기로 결정했고, 9e Division d'Infanterie de Marine프랑스어는 1999년 7월 1일에 규모가 축소되어 제9경장갑 해병 여단(프랑스)(9e Brigade Légère Blindée de Marine프랑스어)이 되었고, 2016년에는 제9해병 보병 여단(9ème Brigade d'Infanterie de Marine프랑스어)으로 다시 변경되었다.

Troupes de marine프랑스어는 프랑스 육군의 "armes프랑스어" (병과) 중 하나이며, 다른 병과 (포병, 기병, 통신, 장갑, 공수 부대)와 관련된 전문 분야를 포함하지만, 해외 배치라는 특기를 가지고 있다.

3. 별칭

프랑스 해병대 병사들은 프랑스어로 marsouins|마르수앵프랑스어(상괭이)이라고 불리는데, 이는 상괭이처럼 선원이 아니면서도 배를 따라다니기 때문이다.

해병대 포병들은 bigors|비고르프랑스어라고 불린다. 이 별명의 기원은 논란이 있는데, 배에 대포를 싣기 위해 내려진 명령인 bigue dehors|비그 되오흐프랑스어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 또한, 이들의 강인함과 전투에서 위치를 이탈하려 하지 않는 점, 또는 이들의 임무가 해안의 바위에 붙어 있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bigorneau|비고르노프랑스어(고둥)에서 유래했을 수도 있다.

마르수앵과 비고르는 프랑스 육군의 다른 부대를 비핀(biffins, 넝마주이의 속어)이라고 부른다. 이 명칭은 19세기에 해군과 해병 보병 및 포병들이 자신들의 말쑥한 외모를 자랑하며, 육군 병사들이 그에 비해 초라하다고 비난하면서 시작되었다. 외인부대는 이 별명에서 제외되는데, 이는 마르수앵과 외인부대원 간의 특별한 관계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4. 제복

현대 해병대프랑스어의 제복은 다른 프랑스 육군 부대와 동일하다. 상황에 따라 밝은 베이지색, 평범한 녹색, 숲 또는 사막 위장을 착용한다. 특징적인 요소는 짙은 파란색 베레모에 부착된 금속 닻 배지이다. 해병대 공수부대는 빨간 베레모를 착용하며, 이들의 배지는 금속 닻과 공수 부대의 은색 날개가 합쳐진 것이다. 이 배지는 베레모나 케피 앞면에 수놓는다.

현대 정복에는 짙은 파란색 케피, 노란색 술 장식 어깨 견장(공식 색상 이름은 수선화), 네이비색 넥타이(목에 두르는 스카프)가 포함된다. 붉은 허리 는 아프리카와 인도차이나에서 식민지 복무를 했던 특정 부대에서 착용하기도 한다.

역사적으로 제복은 빨간 파이핑이 달린 파란색 케피, 이중 여밈 네이비색 튜닉, 밝은 파란색 바지, 노란색 어깨 견장으로 구성되었다. 1914년까지 모든 계급에서 착용했던 이 파란색 제복은 1930년 일반 병력에게 다시 지급되었으며, 현재도 군악대가 착용한다. 이 전통적인 제복은 1870년 보불 전쟁에 참전한 해병대프랑스어 부대에 "푸른 사단"이라는 별명을 안겨주었다. 피스 헬멧은 식민지 시대에 해외에서 착용되었으며, 상황에 따라 파란색, 카키색 또는 흰색 제복을 착용했다. 1960년대 초반까지 빨간 파이핑과 닻 배지가 달린 짙은 파란색 칼로프랑스어(군용/사이드 캡)는 해병대프랑스어의 일반적인 특징이었다.

4. 1. 케피와 전통 견장

현대 해병대의 제복은 다른 프랑스 육군 부대와 동일하다(상황에 따라 밝은 베이지색, 평범한 녹색, 숲 또는 사막 위장). 특징적인 요소는 짙은 파란색 베레모에 부착된 금속 닻 배지이다. 해병대 공수부대는 빨간 베레모를 착용하며, 이들의 배지는 금속 닻과 공수 부대의 은색 날개의 복합체이다. 이는 베레모나 케피 앞면에 수놓아 착용한다.

현대 정복에는 짙은 파란색 케피, 노란색 술 장식 어깨 견장(공식 색상 이름은 수선화) 및 네이비색 넥타이(목에 두르는 스카프)가 포함된다. 붉은 허리 는 아프리카와 인도차이나에서 식민지 복무를 했던 특정 부대에서 착용하기도 한다.

현대적인 케피는 엄숙한 의식에서 신병에게 수여된다. 다른 모자가 규정되지 않은 경우 장교와 부사관이 착용한다. 케피는 전체적으로 짙은 남색이며, 매우 어두워서 종종 검은색으로 오인되기도 한다. 빨간색(사병 및 병장) 또는 금색(부사관 및 장교) 트리밍이 있다. 모든 케피에는 해병대의 닻 문장이 표시되어 있다. 케피를 착용하지 않을 때는 닻이 항상 보이도록 배치해야 한다.

해병대(TDM)에서 사용하는 "전통적인" 견장은 장교와 부사관에게는 금색이며, 그 외 계급에게는 "수선화" 노란색 양모로 만들어진다. 이 색상과 패턴은 프랑스 본토의 경보병 부대의 역사적인 견장에서 유래되었다.

4. 2. 금색 박차

해병대 "기갑" 부대(과거에는 말을 사용했거나 현재는 장갑차를 사용하는 부대) 장교는 특정 행사에서 금색 박차를 착용할 수 있는 특권을 갖는다. 이는 은색 박차를 착용하는 일반적인 프랑스 기병대 관행과는 다르다. 전설에 따르면, 빅토리아 여왕(영국)은 나폴레옹 3세 황제에게 해병대에게 이 특권을 요청했는데, 이는 발라클라바 전투(1854년)에서 해병대 보병이 영국군을 멸망으로부터 구출한 것을 기리기 위한 것이었다고 한다.[1]

해병대 병장 및 상사 계급 배지

4. 3. 검

장교 및 선임 부사관은 특별한 경우 정복의 일부로 검을 착용할 수 있다. 이 검은 다른 육군 부대의 곡선형 검과는 달리 일자형 칼날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영국 해병대 및 나머지 영국군의 검과 유사하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이 검은 매우 드물게 사용된다.

4. 4. 붉은 베레모

해병대 공수 연대(제1 RPIMa, 제2 RPIMa, 제3 RPIMa, 제8 RPIMa)는 특수 부대 연대인 제1 RPIMa를 제외하고 닻과 날개 문장이 있는 빨간색 베레모를 착용하며, 병사들은 자주색 베레모를 착용한다.[1]

빨간색 베레모는 1944년 8월 SAS의 프랑스 자유 공수부대원에게 처음 소개되었다.[1] 1944년 11월 11일 제2 RCP에서 열린 사열식에서 이 연대는 처음으로 SAS의 문장이 있는 이 베레모를 착용했으나, 당시 이 공수부대원들은 공군에 소속되어 있었다.[1] 인도차이나에서 보병 대도시 SAS 반여단은 이 관행을 유지했으며, 1948년 제1 SAS 공수 반여단에 의해 재채택되었다.[1] 1952년 장 드 라트르 드 타시니 장군에 의해 인도차이나의 모든 공수부대원의 표준 제복 머리 장식으로 공식적으로 도입된 빨간색 베레모(외인부대 제외)는 1957년 프랑스 육군의 모든 공중부대의 규범이 되었다.[1] 외인부대 공수부대원은 전통적인 녹색 베레모를 유지하고, 2015년에 자주색 베레모로 전환한 제1 RPIMa도 포함되었다.[1]

5. 전통

"신의 이름으로, 식민지인 만세!"라는 표현은 유명한 선교사 샤를 드 푸코가 식민지 군대에 의해 구조되었을 때 "신의 이름으로, 위대한 식민지인 만세!"라고 외친 데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1] 해병대를 기념하는 연례 행사는 8월 31일과 9월 1일에 열리는데, 이는 청색 사단의 기념일이다.[1] 8월 31일에는 모든 해병대 부대의 분견대가 프레쥐에서 열병하는데, 이곳에는 해병대 박물관이 있다.[1] 9월 1일에는 참전 용사들이 아르덴의 바제이유에서 기념식을 거행한다.[1]

6. 금색 닻

닻은 고대부터 해군의 상징이었으며, 18세기 말부터 프랑스 해군 수병들의 제복에 등장했다. 해병대와 포병 부대도 이 휘장을 동시에 채택했으며, 이는 현대 해병대|해병대프랑스어의 상징으로 남아있다.

연도내용
1772년왕실 칙령에 따라 해병 연대를 포함한 프랑스 왕립 해군의 제복에 항구 닻 휘장이 부착되었다.
1900년육군으로 전속되면서 식민지 보병이 닻을 사용하게 되었다.
1916년식민지 군대는 불타는 수류탄 위에 닻 휘장을 채택했다(후자는 정예 부대의 전통적인 구별 표시였다).
1919년식민지 군대의 모든 장교는 케피에 금색 닻을 착용했다.
1920년닻이 케이블과 얽혀 식민지 군대의 일반적인 휘장이 되었다.
1933년식민지 포병 포수는 더 이상 수류탄 휘장을 착용하지 않았다.
1935년식민지 군대 참모 장교가 착용한 완장에 닻 휘장이 단독으로 나타났다.
1939년닻은 더 이상 케이블과 함께 착용하지 않았다.
1945년닻은 식민지 군대의 모든 속성(모자 및 제복 포함)에 착용하도록 공식적으로 승인되었다.
1953년CT에 대한 "전통적인" 닻 디자인 승인.
1962년금색 닻 휘장이 특유 부대 휘장으로 부대에 의해 규제되는 TDM 베레모 도입.
1985년"전통적인" 닻은 이제 깃발과 기수에 휘장으로 사용할 수 있다.


7. 현재 부대

해병대(Troupes de marine)의 본부는 해외 및 외무 특수 참모부(프랑스어: État-major spécialisé pour l'outre-mer et l'étranger, EMSOME)이며, 이 부대는 해외 외인 부대의 부대도 지휘한다. EMSOME을 지휘하는 장군은 "해병대의 아버지"(le Père de l'Arme des TDM)라는 별명으로 불린다.[1]

해병대는 육군의 다른 부서와 구별되는 다양한 특수 부대를 포함한다.

현재 프랑스 해병대 부대 구성
특수 부대부대위치
보병
기갑 기병
공수 보병
포병
공병
합동 병과


7. 1. 다른 부대에 위탁된 전통을 가진 이전 부대


  • 4e régiment d'infanterie de Marine(4eRIMa)프랑스어 : 마요트의 군 복무 적응 대대이다.
  • 제11 해병 보병 연대프랑스어 :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의 군 복무 적응 연대이다.
  • 제67 해병 보병 연대프랑스어 : 고립된 인력의 수송 및 관리 부대이다.
  • 제5 해병 보병 연대프랑스어 : 가이아나의 제4 군 복무 적응 연대이다.
  • 제7 해병 포병 연대프랑스어 : 레위니옹의 제3 군 복무 적응 연대이다.
  • 제10 해병 포병 연대프랑스어 : 과들루프의 제2 군 복무 적응 연대이다.
  • 제41 해병 포병 연대프랑스어 : 누벨칼레도니의 군 복무 적응 연대이다.

7. 2. 기타 과거 낙하산 해병 부대


  • 대대 및 식민지 공수 부대 (B.C.C.P, G.C.C.P & B.P.C)
  • 제5 해병 공수 연대|제5 해병 공수 연대|5e RPIMa프랑스어
  • 제6 해병 공수 연대|제6 해병 공수 연대|6e RPIMa프랑스어
  • 제7 해병 공수 연대|제7 해병 공수 연대|7e RPIMa프랑스어

8. 군가

이 노래는 행진곡에 맞춰 빠른 속도로 불린다.

: 전투나 폭풍 속에서,

: 남성 합창단의 후렴구(반복)

: 우리의 영혼은 항상 위험에 대비되어 있고,

: 용감하고 번개 같은 총을 가지고 있습니다.

: 쇠와 같은 남자들은 어떤 것도 지치지 않고,

: 우리는 죽음을 정면으로 바라봅니다.

: 으르렁거리는 폭풍이나 거친 싸움 속에서. 앞으로!

: 해병대원을 만들기 위해서는

: 가슴 속에

: 뱃사람의 마음과 군인의 마음이 필요합니다.

: 종종 무더운 지역에서,

: 이빨을 드러낸 호랑이나 사자

: 열병이나 탄환에 의한 살상

: 우리의 대대를 궤멸시킵니다.

: 그래서 조국에게,

: 우리는 고통으로 일그러진 모습을 봅니다.

: 최후의 노력으로 우리의 전선을 돌립니다. 앞으로!

: 그리고 우리는 만장일치로 후회합니다.

: 친애하는 프랑스여, 오 숭고한 국가여!

: 이것은 당신에게 바칠 단 하나의 생명이 있음을 의미합니다.



: 해군에서 자랑스러운 군인이 되십시오,

: 당신의 승리의 나팔을 사랑하십시오

: 그리고 당신의 얼굴은 빛나는 광택으로 빛납니다,

: 위대한 업적의 찬란함.

: 보스포루스 해협에서 마르티니크까지,

: 세네갈에서 태평양까지

: 우리는 당신의 깃발 색깔이 빛나는 것을 봅니다. 앞으로!

: 영광이 당신을 그 날개 아래로 데려갔고,

: 항상 충실한 명예를 위해,

루이 15세 시대의 해병대 제2연대 박물관에 전시된 해병대 제복


: 당신은 전투에서 죽거나 승리하여 돌아옵니다.

: 크림 전쟁의 모든 전투에서,

: 우리도 참여했습니다

: 화염 속의 말라코프,

: 우리는 벽을 기어올랐습니다.

: 우리의 제복을 보는 순간,

: 불이나 칼이 변형시키더라도,

: 적은 창백해졌고, 여러 번 물러섰습니다. 앞으로!

: 그리고 우리의 이마에서 빛나는 것은,

: 우리는 세 겹의 왕관을 볼 수 있습니다

: 포도르, 잉커먼, 알마의 월계관.

: 프로이센프랑스를 침략했을 때,

: 우리에 대해 분노를 터뜨렸고,

: 그의 탄환과 그의 창에

: 우리는 우리의 마음으로 맞섰습니다.

: 그리고 전투가 포효했을 때,

: 파편에 의해 부상을 입은 우리의 이마는,

: 피투성이였지만 굴하지 않고, 승리자에게 도전했습니다. 앞으로!

: 바제유, 클루즈, 뇌빌에서,

: 10만 명과 싸울 때,

: 성공이 우리를 배신했지만 우리는 명예를 지켰습니다.

해병대 부대 마르수앵


: 끊임없이 어떤 싸움에도 대비합니다;

: 우리 주요 항구의 용감한 군인들,

: 어떤 것도 당신을 죽일 수 없습니다.

: 당신은 당신의 죽음을 얼마나 중요하게 여깁니까

: 당신은 중국인, 카나카를 굴복시킵니다.

: 마다가스카르에서, 당신은 안남통킹에서 굴복시킵니다. 앞으로!

: 또한 하늘 아래 돔에서

: 여전히 후광에 합류합니다.

: 쏜-테이와 누메아, 타마타브와 베이징

: 어느 날이 올 것입니다, 소중한 희망이여,

: 나팔의 열렬한 외침이,

: 우리 프랑스에 닿을 것이고,

: 복수자들... 그리고 우리는 할 것입니다.

: 그러니 우리에게, 오 얼마나 즐거운 일인가!

: 우리는 어린 자매들을 줄 것입니다,

: 예나, 아우어슈테트, 슈테틴의 승리를 위해. 앞으로!

: 네, 우리는 성전을 사랑합니다

: 영웅들의 피, 우리의 아버지들을 위해,

: 우리의 피는 불타오르고, 헛되이 흐르지 않습니다.

9. 해병대의 가치

해병대는 단일 상징인 전통적인 금색 닻을 중심으로 뭉쳐지며, 복무하는 이들에게 다음과 같은 주요 특징을 가진 독특한 스타일을 나타낸다.[1]


  • 동료 간의 단순하고 따뜻한 인간 관계를 통해 유지되는 총기 정신의 형제애[1]
  • 역사와 반복되는 작전 경험의 진정한 생활 방식으로, 가장 이례적인 상황에 적응하는 능력[1]
  • "군사적 휴머니즘"은 가장 다양한 인구와 접촉하여 신뢰를 얻는 능력을 포함하여 타인의 문화를 영속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다문화주의 전통에 의해 구현된 군사적 휴머니즘은 오늘날 해외 및 외국 부대 전문 본부(État-major spécialisé pour l’outre-mer et l’étranger)가 이어가고 있다.[1]


이러한 높은 정체성 가치는 프랑스 해외 영토와 해외 모두에서 복무하는 마르수앵(Marsouin)과 비고르(Bigord)의 헌신에 의미를 부여하며 해병대의 자연적인 소명을 항상 기반으로 한다.[1]

참조

[1] 웹사이트 Armée de terre - Les Troupes de Marine en 1990 Revue n° 509 Mai 1990 - p. 189-190 https://www.defnat.c[...] 1990-05
[2] 웹사이트 Les troupes de marine tout en haut du générique du film "En avant" https://lignesdedefe[...] 2012-11-12
[3] 웹사이트 Armée de terre - Les Troupes de Marine en 1990 Revue n° 509 Mai 1990 - p. 189-190 https://www.defnat.c[...] 1990-05
[4] 웹사이트 Troupes de marine https://www.defense.[...] 2023-02-17
[5] 웹사이트 Les troupes de marine tout en haut du générique du film "En avant" https://lignesdedefe[...] 2012-11-12
[6] 웹사이트 Les troupes de marine tout en haut du générique du film "En avant" https://www.academie[...] 2022-11-14
[7] 서적 Les armées du XXe Siècle, supplement illustré http://vinny03.perso[...] Le Petit Journal Militaire, Maritime, Colonial 1905
[8] 서적 Les Troupes de Marine 1622–1984
[9] 웹사이트 Artillerie et expédition d'Orient https://forum.pages1[...] 2020-07-05
[10] 웹사이트 Unités composant les troupes de marine http://www.defense.g[...] french governmen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