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피라항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라항어는 브라질의 아마존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음소 수가 적고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가지고 있어 언어학 연구의 중요한 대상이다. 이 언어는 모음 3개와 자음 7~10개로 이루어진 매우 단순한 음운 체계를 가지며, '밝음'과 '어두움' 외에 색깔을 나타내는 단어가 없는 등 어휘적 특징을 보인다. 문장 구조는 SOV 어순을 기본으로 하며, 재귀적 내포가 제한적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어 언어 보편성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언어 상대주의 관점에서 수 개념의 부재와 같은 특징들은 언어와 사고의 관계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라질의 언어 - 브라질 포르투갈어
    브라질 포르투갈어는 브라질의 공식 언어이자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포르투갈어 변종으로,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특징을 지니며, 유럽 포르투갈어와 차이가 있지만 철자법 개혁으로 표기법 차이는 줄었고, 브라질 문화적 영향력 확대로 다른 언어에 영향을 주고 있다.
  • 브라질의 언어 - 투피어족
    투피어족은 남아메리카에 분포하며, 브라질 해안 지역에서 16세기부터 사용되었고, 링구아 제랄을 통해 표준어로 사용되었으며, 서투피 제어와 동투피 제어로 나뉜다.
  • 고립어 (비교언어학) - 아이누어
    아이누어는 일본 홋카이도와 주변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언어로, 일본어 교육 강화와 차별로 사용 인구가 감소하여 멸종 위기에 처했으나, 부흥 운동과 언어 보존 노력으로 학습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홋카이도 방언만 남아 있고 교착어의 특징과 복잡한 음운 체계를 가진다.
  • 고립어 (비교언어학) - 마푸체어
    마푸체어는 남아메리카 마푸체족이 사용하는 고립어 또는 미분류 언어로, 다양한 방언과 포합어 및 교착어적 문법 특징을 가지며, 라틴 문자로 표기하고 언어 보존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피라항어
개요
언어 이름피라항어
고유 이름xapaitíiso
사용 국가브라질
사용 지역마이시 강
사용 민족피라항족
사용자 수250–380명 (2009년)
언어학적 정보
언어 계통무라어족
문자 체계라틴 문자
언어 코드
ISO 639-3myp
Glottologpira1253
Glottolog (이름)피라항어
기타
언어 생존력취약

2. 역사

피라항어는 무라 소어족에 속하지만[21], 이 어족의 다른 언어들은 포르투갈어의 확산으로 인해 지난 수 세기 동안 소멸되었기 때문에 현재는 이 어족에서 유일하게 남아있는 언어이다. 근연 관계에 있을 가능성이 있는 언어로는 Matanawi language|마타나우이어영어가 있다.

피라항족은 아마존강의 지류 중 하나인 마이시강을 따라 있는 4개의 마을에 살고 있다. 1700년대 경, 금을 찾으러 온 포르투갈인과 접촉한 적이 있으나, 외부의 영향을 거부하며 살아왔다. 그러나 1950년대에 홍역이 유행하여 전도사를 받아들이게 되었다.

3. 음운론

피라항어는 알려진 언어 중 음운의 개수가 가장 적은 언어 중 하나로 여겨진다. 를 의 이음으로 보고, 성조를 제외하면 음운은 10개이다.

대니얼 에버렛은 가 음운이 될 정도로 안정되어 있지 않으며, 의 이음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렇게 되면 대립되는 닿소리는 모두 일곱 개가 된다.

피라항어는 음운론적으로 가장 단순한 언어 중 하나로, 로토카스어(뉴기니) 및 레이크스 플레인 언어 (오보쿠이타이어 등)와 유사하다. 피라항어는 음소가 10개에 불과하며, 로토카스어보다 1개 적거나, 여성의 경우 9개에 불과하다는 주장이 있지만, 이는 를 기저 표현 로 분석하고 여성의 화법에서 /h/가 항상 /s/로 대체된다는 점을 전제로 한다.

"10음소" 주장은 피라항어의 성조를 고려하지 않은 것으로, 최소한 두 개의 성조가 음소적이며, 이 경우 음소는 12개까지 늘어난다. 셸던(Sheldon, 1988)은 고(¹), 중(²), 저(³)의 세 가지 성조를 주장하기도 한다.[28]

피라항어와 로토카스어처럼 음소 목록이 작고 변이음적 변동이 큰 언어의 경우, 언어학자에 따라 음운론적 체계의 본질에 대한 생각이 매우 다를 수 있다.

3. 1. 음소 목록

피라항어는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 가장 적은 음소 체계를 가진 언어 중 하나이며, 이에 따라 매우 광범위한 이음 변이를 보인다. 그중에는 매우 드문 및 라는 소리도 있다.

"10음소" 주장은 피라항어의 성조를 고려하지 않은 것으로, 최소한 두 개의 성조가 음소적이며, 이 경우 음소는 12개까지 늘어난다. 셸던(Sheldon, 1988)은 고(¹), 중(²), 저(³)의 세 가지 성조를 주장하기도 한다.[28]

피라항어와 로토카스어와 같이 극히 소규모이며, 또한 이음의 폭이 넓은 언어의 음소 목록을 작성하는 경우에는, 그 음운 조직의 특성상 연구자에 따라 상당히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3. 1. 1. 자음

피라항어는 가장 음운의 개수가 적은 언어 가운데 하나로 알려져 있다. 성조를 제외하고 를 의 이음으로 간주하면, 음운은 10개이다.



각 음운은 다양한 이음을 가진다.


  • 모음은 /h/나 /ʔ/ 뒤에서 비음화한다.
  • - 휴지 뒤에서 비음 으로, 뒤에서 전동음 로 소리낸다.
  • - 휴지 뒤에서 비음 으로 소리낸다. 는 설측 치경-설순 이중 탄음으로 피라항어 이외의 언어에서 보고된 바 없다. 혀가 윗잇몸에 부딪힌 뒤 아랫입술에 부딪히며 나는 소리이다. 그러나 이 소리는 특정한 종류의 화행에서만 나타나는 것으로, 일반적인 말소리는 아니라고 할 수 있다.
  • - 여자가 말할 때, 앞에 오는 는 로 소리낸다.
  • - 남자가 말할 때, 낱말 처음에 오는 와 는 서로 바꿀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몇몇 낱말에서 와 를 바꾸어서 말한다. 몇몇 낱말에서 와 는 와 의 이음이다.


대니얼 에버렛은 가 음운이 될 정도로 안정되어 있지 않으며, 의 이음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렇게 되면 대립되는 닿소리는 모두 일곱 개가 된다.

피라항어는 알려진 언어 중 음운론적으로 가장 단순한 언어 중 하나로, 로토카스어(뉴기니) 및 레이크스 플레인 언어 (오보쿠이타이어 등)와 유사하다. 피라항어는 음소가 10개에 불과하며, 로토카스어보다 1개 적거나, 여성의 경우 9개에 불과하다는 주장이 있지만, 이는 를 기저 표현 로 분석하고 여성의 화법에서 /h/가 항상 /s/로 대체된다는 점을 전제로 한다.

분절 음소는 다음과 같다.


  • 는 로 표기된다.[2]
  • 에버렛은 가 시퀀스 의 변이음이라고 주장한다.[3]
  • 여성은 때때로 를 로 대체한다.


피라항어 자음과 예시 단어
음소단어
pibaóí|수달myp
rowspan="2"|taahoasi|모래myp
tii|잔류물myp
kaaxai|마코 앵무새myp
kaaxai|마코 앵무새myp
rowspan="2"|xísoobái|아래 (명사)myp
처음boopai|목구멍, 목myp
rowspan="3"|xopóogií|잉가 (과일)myp
처음gáatahaí|캔 (명사)myp
(아래 참조)toogixi|괭이myp
rowspan="2"|sahaxai|해서는 안 된다myp
xísiisí|지방 (명사)myp
xáapahai|새 화살myp


3. 1. 2. 모음

피라항어 모음
전설후설
고모음rowspan="2" |
저모음



각 모음은 /h/나 /ʔ/ 뒤에서 비음화하는 이음(異音)을 가진다.

3. 2. 음소배열론

CV, VV, CVV 구조의 음절이 가능하다.[1] 강세는 단어의 마지막 3개 음절 중에서 가장 무거운 음절에 오며, 가장 무거운 음절이 여럿 있을 경우 그 중 가장 나중 음절에 온다.

피라항어는 알려진 언어 중 음운론적으로 가장 단순한 언어 중 하나로, 로토카스어(뉴기니) 및 레이크스 플레인 언어(오보쿠이타이어 등)와 유사하다. 피라항어는 음소가 10개에 불과하며, 로토카스어보다 1개 적거나, 여성의 경우 9개에 불과하다는 주장이 있지만, 이는 [k]를 기저 표현 /hi/로 분석하고 여성의 화법에서 /h/가 항상 /s/로 대체된다는 점을 전제로 한다. Ian Maddieson|이언 매디슨영어은 피라항어 자료를 연구하면서 [k]가 실제로 이 언어에서 특이한 분포를 보인다는 것을 발견했다.

"10음소" 주장은 또한 피라항어의 성조 (언어학)를 고려하지 않는데, 적어도 두 개의 성조가 음소적이며(양음 부호로 표시되고 다니엘 에버렛에서는 표시되지 않거나 억음 부호로 표시됨), 음소의 수를 최소 12개로 늘린다. 셸던(Sheldon, 1988)은 고(¹), 중(²) 및 저(³)의 세 가지 성조를 주장한다.

피라항어와 로토카스어처럼 음소 목록이 작고 변이음적 변동이 큰 언어의 경우, 언어학자에 따라 음운론적 체계의 본질에 대한 생각이 매우 다를 수 있다.

3. 3. 성조

하인리히스(Heinrichs, 1964)와 셸던(Sheldon, 1974)은 피라항어에 음운적으로 3개의 평성조(¹=고조, ²=중조, ³=저조)가 있다고 분석한다.[1] 반면 에버렛(Everett, 1986)은 음운적으로 고조·저조 2개의 성조가 있다고 분석하며, 음성적으로 고·중·저·저저(lowered low영어) 4개의 성조가 나타난다고 한다.[1] 그의 피라항어 표기법에서는 고조를 양음 부호(á, í, ó)로 표기하고 저조는 따로 표기하지 않는다(a, i, o).[1]

3. 4. 억양

평서문의 억양은 문장 끝에서 음높이가 올라간다.[1] 의문문의 억양은 평서문과 차이가 없는 경우가 많고, 차이가 있다면 의문문은 평서문에 비해 문장 끝에서 음높이가 더 높이 올라간다는 것 정도이다. 감탄문은 생생한 표현이나 흥분을 나타낼 때 쓰이는데, 문장 중간에서 억양이 아주 낮아졌다가 평서문에 비해 아주 빠르게 높아진다.[2]

3. 5. 형태음운론적 과정

피라항어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형태음운론적 과정이 있다.[1]

  • 명사-형용사 및 명사-동사 경계에서 수의적으로 탈락이 일어난다.
  • * 형용사와 동사의 어두 는 명사, 대명사, 후치사, 수식사 뒤에 올 때 수의적으로 탈락한다. 느리게 말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탈락하지 않는다.
  • * 이렇게 가 탈락된 경우, 그 앞에 오는 명사의 어말 모음이 탈락한다.
  • ** 단, 명사가 ( 또는 ) + ( 또는 )로 끝나는 경우, 가 남고 또는 가 탈락한다.


xisai-tai+(x)ogiixisaitaogii
chin-hairbig‘큰 수염’



kahaí+(x)aip-ikahiaipi
arrowmake-‘화살을 만들다’


  • 동사 내부에서 형태소 경계를 사이에 두고 두 자음이 연달아 올 수 없다. 따라서 충돌을 피하기 위해 중간에 모음이 삽입된다.
  • * 두 자음 중 하나라도 중 하나라면 가 삽입된다.
  • * 그렇지 않다면 가 삽입된다.


xogaísog+saíxogaí sogisaí
fieldwant‘밭을 원하다’


  • 희구법 형태소 -sog가 모음 뒤에 오면 가 탈락해 -og가 된다.

4. 어휘

피라항어에는 포르투갈어에서 차용된 어휘가 일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컵'을 뜻하는 kóópomyp포르투갈어 copopt에서 왔고, '직업'을 뜻하는 bikagogiamyp포르투갈어 mercadoriapt('상품'이라는 뜻)에서 왔다.[29]

4. 1. 친족 용어

baíximyp (màíʔì)는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며, 영어의 "parent"와 유사하지만 피라항어에는 성별을 구분하는 단어가 없다. 피라항어는 생물학적 형제자매 이상의 친족 관계는 구분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16]

4. 2. 수사

hóimyp와 hoímyp라는 단어가 '하나'와 '둘'을 뜻하는지, 아니면 '적은 양'과 '더 많은 양'을 뜻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 대니얼 에버렛은 1986년에는 전자의 주장을 펼쳤으나, 2005년에는 후자의 주장을 지지했다.[30][31]

Frank et al. (2008)은 4명의 피라항어 화자를 대상으로 두 가지 실험을 진행했다.[32] 첫 번째 실험에서는 탁자 위에 실뭉치를 하나씩 놓으면서 개수를 물었고, 두 번째 실험에서는 실뭉치를 하나씩 치우면서 개수를 물었다. 실험 결과, 피라항어 화자들은 실뭉치 개수에 따라 다르게 반응했다. 연구자들은 이 결과가 hóimyp와 hoímyp가 '하나', '둘'과 같은 절대적인 수 개념보다는 '적다', '더 적다'와 같은 상대적인 양 개념을 나타낼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지었다.

피라항어에는 명사는 물론이고 대명사에도 단수와 복수의 구분이 없다.

4. 3. 색깔

피라항어에는 독자적인 색상 용어가 없다는 주장이 있는데, 이는 '밝음'과 '어두움'에 대한 특정 단어만 가지고 있는 몇 안 되는 문화 중 하나라는 것이다.[5] 다니엘 에버렛(Daniel Everett)의 박사 학위 논문에 수록된 피라항어 어휘집에는 색상 단어 목록이 포함되어 있지만, 에버렛(2006)은 이 어휘집에 나열된 항목이 실제 단어가 아니라 "(~과 같은) 피"와 같이 묘사적인 구문("빨강"에 해당)이라고 말한다.[6]

5. 문법

피라항어는 교착어로, 문법적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많은 접사를 사용한다. 존재나 동등함을 나타내는 'to be' 동사조차도 피라항어에서는 접미사이다. 예를 들어, 피라항어 문장 "there is a 패커 there"는 단 두 단어만 사용하며, 결합사는 "패커"에 붙는 접미사이다.

káixihíxao-xaagá gáihí|패커-존재한다|거기에myp

피라항어는 영어 문법에는 없는 범주인 증거성을 전달하는 접미사를 사용한다. 그러한 접미사 중 하나인 -xáagahámyp는 화자가 실제로 해당 사건을 관찰했음을 의미한다.


  • saimyp 접미사는 영어의 '-ing'처럼 동사를 명사로 바꾼다.


다른 동사 접미사는 정황 증거로부터 추론되거나, 소문에 근거한 행동을 나타낸다. 영어와 달리, 피라항어 화자는 정보 출처를 명시해야 한다. 모호하게 말할 수 없다. 또한 행동을 하고자 하는 욕구, 행동을 완료하는 데의 좌절감 또는 심지어 행동을 시작하는 데의 좌절감을 나타내는 동사 접미사도 있다.

또한 많은 수의 동사 상이 있다: 완료상 (완료) vs. 미완료상 (미완료), 유한적 (목표 달성) vs. 무한적, 지속, 반복, 시작. 그러나 이러한 복잡성에도 불구하고 타동성의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동일한 동사인 xobaimyp는 '보다' 또는 '알다'를 의미할 수 있으며, xoabmyp는 '죽다' 또는 '죽이다'를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동사는 동사의 논항과 문법적 일치가 없는 무표지이다.[7]

ti xíbogi ti-baí|나는 우유를 마신다|나는 정말 우유를 마신다.myp

ti gí kapiigaxiítoii hoa-í|내가 너에게 연필을 준다|내가 너에게 연필을 준다.myp

피라항어에서 -saimyp를 사용하여 한 절을 다른 절에 집어넣는다는 주장에 대해, 에버렛은 내포절이 명사화 접미사 '-sai'를 받는다고 주장했으나, 이후 입장을 바꾸어 병렬 구문(parataxis)의 사례이며 내포가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8] 시간, 조건절은 주절 앞에 온다. 시간절은 '-so'로 표시되며, 자음 뒤에서는 '-ao'로 실현되어 '~할 때', '~하는 동안', '~하고 나서' 등의 뜻을 나타낸다. 조건절은 '-saí'로 표시된다.

구분표시예시의미
시간절-so (-ao)xaxái xab-óp-ai-so아아이가 돌아올 때
조건절-saípaió hi ab-όp-ai-saí파이오가 돌아오면



피라항어에는 동사 어근에 다양한 의미를 더하는 접미사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접미사들은 특정한 순서로 배열되며, 이를 통해 복잡한 의미를 표현한다.

피라항어 동사의 굴절 접사 순서는 다음과 같다.[7]

번호접사 종류접사설명
1동사 어근동사 어근
2포합다른 동사 어근과의 합성
3행위의 지속-ab
4-ap
5행위의 실현-áo
6-ái
7행위의 구분-b
8-p
9희구법-sog
10부정-hiab
11-sahaxaí
12계속-xiig
13의문-xóxóí
14-xaoaxái
15-hoaxái
16기동상-hoag
17-hói
18지시-i
19-a
20반복-ta
21확실성-áti
22-haí
23-há
24좌절된 행동-ábagaí
25-ábai
26강화-baí
27강조-koí
28조건/시간 명사화-so
29-sai ~ -saí
30-si
31증거성-híai
32-xáagahá
33-sibiga
34결과-taío



피라항어에는 시제를 나타내는 문법적 수단이 따로 없지만 을 나타내는 수단은 발달해 있다.


  • 완망상: 접미사 -b는 완망상을 나타낸다. 완수상 -áo 등 다른 상 접사와 함께 나타나기도 한다.
  • 미완망상: 접미사 -p는 미완망상을 나타낸다. 미완수상 -ái와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 완수상: 접미사 -áo는 동작이 실현되거나 완수되었음을 나타낸다. -b와 함께 쓰여 과거의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 미완수상: 접미사 -ái는 동작이 아직 실현되거나 완수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

hikoab-ái-p-á
3die
“그는 죽을 것이다.”


  • 계속상: 접미사 -xiig는 계속상(continuative aspect영어)을 나타낸다.


:

hixopáoho-ái-p-iig-á
3work
“그는 일하고 있었다/일하고 있게 될 것이다.”


  • 반복상: 접미사 -ta는 동작의 반복 또는 재발을 나타낸다.


:

hikohoi-tá-há
3eat
“그는 또 먹고 있다.”


  • 기동상: 접미사 -hói는 대략 동작이 시작됨을 나타내고, -hoag는 상태가 시작됨을 나타낸다. -hoag는 상태동사에만 쓰이는 것은 아니고, 새로운 상태나 동작으로의 전환이 완료되었음을 함의하는 듯하다.


:

tisoxóáxait-á-hói
1alreadysleep-(?)
“나는 이미 잠들고 있다.”



:

hisoxóáxait-á-hóág-á
3alreadysleep-(?)
“그는 이미 잠자기 시작했다.”


  • 근접상: 접미사 -i는 발화 시점에서 가까운 시간 내에 일어났거나 일어날 일, 또는 발화 시점에 화자와 비교적 “유관한” 일을 나타낸다.
  • 원격상: 접미사 -a는 발화 시점으로부터 먼 시점에 일어났거나 일어날 일, 또는 발화 시점에 화자와 덜 유관한 일을 나타낸다.
  • 지속상: 접미사 -ab은 주어의 행위 참여가 지속됨을 나타낸다. 계속상 -xiig와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 단속상: 접미사 -ap은 비지속적, 비진행적 동작을 나타낸다.


서법적 의미를 나타내는 접미사로는 다음이 있다.

  • 확실성: 접미사 -há는 완전한 확실성을 나타낸다. -i로 끝나는 접미사 뒤에서는 -hi로 실현되고, h가 탈락하면 모음 -i와 -a 뒤에서 각각 -i, -a로 실현된다. 접미사 -haí는 비교적 확실함을 나타낸다. -áti는 불확실성을 나타내며, 명령문에서 가장 흔히 쓰인다.
  • 희구법: 접미사 -sog는 주어의 희망을 나타낸다.


:

gogíisotikobai-sog-a-baí
1see
“이게 뭐지? 나는 (그것을) 보고 싶다.”



:

koxoogiáikabatiíkap-i-sog-όxόíhix
Xoogiáitapirshoot
“이봐 오오기아이, 맥을 쏘고 싶어?”



피라항어에는 증거성을 나타내는 접미사들도 있다. -xáagahá는 화자가 직접 본 사건을 나타낸다.

:

hoagaixóaihipáxaikaopáp-i-sai-xáagahá
Hoagaixóai3[species of fish]catch.by.mouth
“호아가이오아이가 파아이 물고기를 잡고 있다.” (화자가 직접 봐서 아는 사실)



접미사 -sibiga는 (과거 또는 미래의) 사건의 발생을 화자가 추론했음을 나타낸다. -sibiga는 다른 동사 접미사와 함께 쓰이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

kaogiáixísibá-bo-í-sibiga
Kaogiáianimalfish-come
“카오기아이는 낚시하러 갔을 것이다.” (화자의 추론)



접미사 -híai는 다른 사람에게 전해들은 것에 기반한 결론이나, 어떠한 상황에 대한 평가를 나타낸다. 전해들은 내용을 나타내는 경우 일반적으로 명사화 접미사 -sai에 뒤따른다.

:

gahióhixabaip-i-sai-híaipíxáixíga
airplane3sitnowreally
“비행기가 바로 지금 착륙한다고 한다.” (다른 사람들의 말에 따르면)



그 밖의 접사로는 다음이 있다. 결과 접미사 -taío는 어떤 행위가 다른 행위의 결과로 일어났음을 나타낸다.

:

hibaáb-aokaob-ap-á-taío
3sick-see
“그가 아플 때면 그는 (의사를) 본다.”



강화 접미사 -baí와 강조 접미사 -koí는 어떤 동작이 일반적인 것보다 강하게 수행됨을 표시하거나, 말하는 내용을 강조하는 데 쓰인다. -baí는 동작동사에만 붙을 수 있지만 -koí는 수식사 등 동사가 아닌 단어에도 붙을 수 있다. -baí가 붙은 동사에 다시 -koí가 붙을 수도 있다.

:

tigíxaixog-i-baí-koí
12want
“나는 너를 정말 많이 좋아한다.”



마지막으로 접미사 -ábagaí는 시작이 좌절된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내고, -ábai는 시작되었지만 완료되지 못한 동작을 나타낸다.

:

hikoho-áo-b-ábagaí
3thingeat
“그는 그것을 거의 먹을(먹기 시작할) 뻔했다.”



:

hibaitigiísiisib-áo-b-ábai
3[species of fish]animalarrow
“그는 물고기를 거의 화살로 맞힐 뻔했다.” (화살을 쏘았으나, 맞히지는 못함)



피라항어에서는 최대 3개의 동사 어근이 합쳐져 하나의 어간처럼 행동하기도 한다. 이러한 과정은 매우 생산적이다. 굴절접사는 동사 어근 사이에 끼어들지 않고, 어근들이 합쳐진 어간 뒤에 온다. 어근과 어근 사이에서 형태음운론적 변화가 일어나기도 하는데, 가장 흔한 것은 자음 충돌을 막기 위한 모음 삽입(주로 )이다.

:

xiga+hoag
가지다+오다
“가져오다”



:

xig+ab+op
가지다+돌다+가다
“가지고 돌아가다”



Sheldon (1988)에 따르면, 피라항어 동사는 8개의 주요 접미사 슬롯과 몇 개의 하위 슬롯을 가지고 있다.


  • '''Slot A'''
  • 강조
  • Ø
  • '''Slot B'''
  • 사동/불완료
  • 사동/완료
  • 시작/불완료
  • 시작/완료
  • 미래/어딘가
  • 미래/다른 곳
  • 과거
  • Ø
  • '''Slot C'''
  • 부정/희망 + '''C1'''
  • '''Slot C1'''
  • 예방
  • 의견
  • 가능 Ø
  • 긍정/희망
  • 부정/직설법 + '''C2'''
  • 긍정/직설법 Ø + '''C2'''
  • '''Slot C2'''
  • 선언
  • 확률/확실
  • 확률/불확실/시작
  • 확률/불확실/실행
  • 확률/불확실/완료
  • 상태
  • 의문1/진행
  • 의문2/진행
  • 의문1
  • 의문2
  • Ø
  • '''Slot D'''
  • 지속
  • 반복
  • Ø
  • '''Slot E'''
  • 즉시
  • 의도
  • Ø
  • '''Slot F'''
  • 지속
  • Ø
  • '''Slot G'''
  • 소망
  • Ø
  • '''Slot H'''
  • 인과
  • 결론
  • 강조/반복 + '''H1'''
  • 강조 + '''H1'''
  • 반복 + '''H1'''
  • Ø + '''H1'''
  • '''Slot H1'''
  • 현재
  • 과거
  • 즉시과거


이러한 접미사는 상황에 따라 몇 가지 음운 변화를 겪는다. 예를 들어, 지속은 자음 뒤에서로 축약된다.

또한 삽입음 모음은 두 접미사 사이에 필요한 경우 자음 군을 피하기 위해 삽입된다. 모음은 (, 또는 앞이나 뒤) 또는 (다른 경우)이다.

반대로, 두 형태소의 결합으로 이중 모음이 생성되면 (성조 무시), 낮은 성조의 모음이 억제된다.

자세한 내용은 Sheldon의 1988년 논문을 참조하십시오.

피라항어에는 판정의문문을 나타내는 여러 표지가 있다. 그러나 문맥에 의해 의문문임이 분명한 경우에는 표지 없이 억양만으로도 의문문임을 나타낼 수 있다. 의문문의 억양은 평서문과 거의 같지만, 억양의 저점과 고점이 평서문의 그것에 비해 더욱 낮고 높다.[1]

불변화사 híx는 가장 중립적인 의미의 표지이다. 절의 맨 오른쪽에 온다. 피라항어에서 유일하게 나타나는 CVC 구조의 음절이기도 하다.[1]

xiíbait-áo-p-ihíx
clothwash-telic|기점qah-imperf|미완료qah-prox|근칭qahinter|의문qah
“옷을 씻을 거니?”



접미사 -xóxói 또한 중립적인 의미의 표지이며 가장 흔한 의문 표지이다. 일반적으로 híx와 함께 쓰인다.[2]

kohoixog-i-hiab-iig-όxόí(hix)
Kohoiwant-ep|삽입qah-neg|부정qah-cont|계속qah-inter|의문qah(inter|의문qah)
“코호이는 그것을 원하지 않니?”



hoaxái는 의존형태소 또는 독립형태소로 쓰이며, 존재나 소유에 관한 의문문에 쓰인다. 역시 híx와 함께 쓰일 수 있다.[2]

hixao-hoaxáitiobáhai
3possn|소유qah-inter|의문qahchild
“그는 아이가 있니?”



xiísoxógióhoaxái(híx)
treemuch.timeinter|의문qah(inter|의문qah)
“옛날에도 나무들이 있었니?”



접미사 -xaoaxái는 질문의 대답에 대해 화자의 통제력이 없음을 나타낸다. 특히 간접 명령문에 쓰여 요청을 보다 정중하게 만드는 데 쓰인다.[3]

koxoogiáixigí-xaoaxáititaísixig-a-áti
voc|호격qahXoogiáiassoc|연관qah-inter|의문qah12axetake-remote|원칭qah-uncert|불확실qah
“이봐 오오기아이, 내가 네 도끼를 가져가도 괜찮을까?”



káo는 동사 앞에 오는 독립형태소이며, 과거 사건에 대한 질문에만 쓰인다.[4]

xikáoxiíbait-áo-p-íhix
3fem|3인칭 여성qahinter|의문qahclothwash-telic|기점qah-imperf|미완료qah-prox|근칭qahinter|의문qah
“그녀가 옷을 빨았니?”



내용의문문은 의문사 kaoí ‘누구, 누구의’ 아니면 형태소 go wh|의문qah를 넣어 만든다. go는 자유변이형 so를 가지며, 뒤에 ó loc|처격qah, xigí assoc|연관qah, gíiso dem|지시qah, giíso man|방식qah이 올 수 있다. híx와 함께 쓰일 수 있다.

higoxigíxog-i(híx)
3wh|의문qahassoc|연관qahwant-prox|근칭qah(inter|의문qah)
“그는 무엇을 원하니?”



gahiógogíisoxab-óp-ai
airplanewh|의문qahdem|지시qahturn-go-atelic|비기점qah
“비행기가 언제 돌아오니?”



kaoíxisigíai(híx)
who|누구qah3.nonhuman|3인칭 비인간qahassoc|연관qahbe(inter|의문qah)
“저건 누구 거니?”



직접 명령문은 ‘명령대명사’의 사용 여부에 따라 발화수반력이 강해지거나 약해진다. 2인칭 명령대명사 'gói'의 사용은 화자가 청자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지위에 있거나, 무뚝뚝한 태도로 명령하거나, 농담을 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1인칭 명령대명사 'kaxáo'도 비슷하게 사용되나, 명령문이 아닌 청유문을 만든다. 명령문에는 거의 항상 '-áti'가 쓰인다. 부정 명령, 즉 금지에는 동사 접미사 '-sahaí'가 쓰인다.[1]

예시는 다음과 같다.

kaisáoxig-a-áti
boxbring-
“상자를 가져와라.”



góixab-áti
stay-
“그대로 있어라!”



일반적인 부정문은 부정 접미사 '-hiab'으로 나타낸다.[1] '-hiab'의 자유형인 'hiaba'는 문장 성분을 부정하는 데 쓰인다.[1]

xigihíhiaba
manneg
“그건 남자가 아니다.”



피라항어에서 관계절을 만드는 데 쓰이는 전략은 공백(gapping) 전략과 비축약(non-reduction) 전략이 있다. 관계화될 수 있는 성분은 주어와 직접목적어이고, 두 성분 모두 공백과 비축약 전략을 통해 관계화 가능하다. 관계절에서는 두 형태소 hix와 sigíai ‘같은’이 일종의 보문소로 쓰이는 것으로 보인다.[1]

다음은 관계절의 예시이다.


  • “치코가 너에게 판 물건이 다 떨어졌니?”


xiab-áo-b-óxóíhixchicohi(go-ó)gíxaiho-áo-b-isigíai
thingrun.out-telic-perf-inter영어int영어Chico3wh-obl영어2sell-telic-perf-prox영어same


  • “나는 네가 방금 보여준 것과 같은 그물침대를 원한다.”


tibaósaápisiog-abagaígíxaigo-óbaósaápisibig-áo-b-í-ixaisigíai
1hammockwant-frust.init영어2wh-obl영어hammockshow-telic-perf-prox-complete.cert영어be(?)same


5. 1. 문장 구조

피라항어의 문장 구조는 크게 타동사절, 자동사절, 계사절, 동치절로 나눌 수 있다. 피라항어의 기본 어순은 SOV형이다. 간접목적어나 사격어 등 부수적인 문장 성분은 주어와 목적어 사이에 놓일 수 있다.[7]

타동사절에는 목적어가 명시적으로 나타나거나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타동사절의 무표적 어순은 SOV이다.

tixíbogiti-baí
1우유마시다
“나는 정말 우유를 마신다.”



이 문장에서 주어와 목적어의 순서를 바꾸어 xíbogi와 ti 사이에 휴지를 두지 않고 말하면 “우유가 나를 마신다”라는 뜻이 된다. 둘 사이에 휴지를 두고 말하면 xíbogi는 주제어로 해석된다.

xíbogi,titi-baí
우유1마시다
“우유를 나는 많이 마신다.”



SOV가 기본 어순이라는 점은 SOV 어순의 절이 텍스트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고, 그 외의 어순은 주제화, 강조, 보충설명, 기타 이해를 돕기 위한 이동 등 유표적인 형식이라는 데서도 알 수 있다.[7]

hixoho-i-hiab-a-hátotohoi
33먹다totohoi
“그는 그것들을 먹지 않는다, 그러니까, 토토호이(새의 일종)를.”



주어나 목적어나 둘 모두가 동사 뒤에 나타날 수 있다. 두 성분이 모두 주제화되는 경우 그 중 가장 왼쪽에 있는 것이 주어와 관계되고 가장 오른쪽에 있는 것이 목적어와 관계되는 것으로 해석된다.[7]

자동사절에는 목적어가 나타날 수 없다. 동사 xoab은 자동사 “죽다”나 타동사 “죽이다” 양쪽으로 쓰일 수 있는데, 다른 동사들은 그렇지 않다. 자동사문의 기본 어순은 SV이지만 VS 어순도 가능하다.[7]

gahióoxabo-óp-aipixái-xíga
비행기돌다지금
“비행기가 지금 돌아온다.”



계사절과 동치절의 차이는, 계사절에는 xaagá “갖다/-이다”, xiigá “일시적으로 갖다/-이다”, xai “-이다/하다” 따위의 동사적 성분이 있다는 점이다.[7]

hoáoíibaábihixaagá
산탄총나쁘다3이다
“산탄총이 상태가 나쁘다.”



kaisáohoíhixai
상자3이다
“상자가 두 개 있다.”



tibaábixiigá
1나쁘다이다
“내가 아프다.”



계사절은 소유를 표현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유형의 절에서는 접사 xao-가 소유를 표시하는 것으로 보인다.

tipoogahaixaíbáixao-xaagá
1낚시용 화살많다가지다
“나는 낚시용 화살이 많이 있다.”



위 문장이 피소유자에 초점을 맞췄다면 소유자에 초점을 맞추는 구문은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xipoógihoàoiihixaagá
Xipoógi산탄총3이다
“그것은 이포오기의 산탄총이다.”



동치절은 소유, 동일성 등을 포함한 묘사의 기능을 가진다. 동치절의 보충어가 될 수 있는 성분은 수식어, 명사, 또다른 동치절이 있다.[7]

piiboi-baí-sobigíbiixi
오다부드럽다
“비가 많이 오면 땅이 부드러워진다.”



kohoibiíhaihikaiíigáihi
Kohoibiíhai3저것
“저것은 코호이비이하이의 집이다.”



xaooihixapisibigai
외국인3굵다
“그 이방인은 팔이 굵다(힘이 세다).”



피라항어의 절은 일반적으로 주어, 목적어, 동사 등 필수 성분으로만 이루어진다.[7] 그러나 시간 표현, 조건, 간접목적어, 불변화사 등 필수적이지 않은 성분도 포함될 수 있다. 이런 성분을 통틀어 사격 목적어(oblique object)라 하며, 피라항어 문법은 이러한 성분들의 세세한 유형을 구분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사격 목적어는 주어와 바로 뒤에 온다. 그러나 그 길이가 5~6음절을 초과할 경우 동사 뒤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다.[7]

tikaí-oxahá-p-i-tá
1가다
“나는 집에 간다.”



poiba-áo-p-i-haikaháíxíóí-hió
화살촉깎다
“(그는) 칼로 화살촉을 깎는다.”



사격 성분의 표지로는 도구격 의미의 -hió, -oá, -xai와 처격 및 일반적 사격 의미의 -ó가 있다.

동사를 제외한 문장 성분은 생략될 수 있다. 어떤 성분이 생략될 수 있으려면 맥락으로부터 “복구 가능”해야 한다. 즉 앞선 문장에 등장했어야 한다. 또, 등위접속된 성분들 간에 겹치는 부분은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한해 동사도 생략될 수 있다.[7]

xogiágaóxísixohoa-í-haíkabatiíxipóihiípí-o
모두동물찾다여자또한
“모두가 을 찾아다닐 것이다. 여자들도 (맥을 찾아다닐 것이다).”



피라항어는 교착어로, 문법적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많은 접사를 사용한다. 존재나 동등함을 나타내는 'to be' 동사조차도 피라항어에서는 접미사이다. 예를 들어, 피라항어 문장 "there is a 패커 there"는 단 두 단어만 사용하며, 결합사는 "패커"에 붙는 접미사이다.

káixihíxao-xaagá gáihí|패커-존재한다|거기에myp

피라항어는 또한 영어 문법에는 없는 범주인 증거성을 전달하는 접미사를 사용한다. 그러한 접미사 중 하나인 -xáagahámyp는 화자가 실제로 해당 사건을 관찰했음을 의미한다.

(-sai 접미사는 영어의 '-ing'처럼 동사를 명사로 바꾼다.)

다른 동사 접미사는 정황 증거로부터 추론되거나, 소문에 근거한 행동을 나타낸다. 영어와 달리, 피라항어 화자는 정보 출처를 명시해야 한다. 모호하게 말할 수 없다. 또한 행동을 하고자 하는 욕구, 행동을 완료하는 데의 좌절감 또는 심지어 행동을 시작하는 데의 좌절감을 나타내는 동사 접미사도 있다.

또한 많은 수의 동사 상이 있다: 완료상 (완료) vs. 미완료상 (미완료), 유한적 (목표 달성) vs. 무한적, 지속, 반복, 시작. 그러나 이러한 복잡성에도 불구하고 타동성의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동일한 동사인 xobaimyp는 '보다' 또는 '알다'를 의미할 수 있으며, xoabmyp는 '죽다' 또는 '죽이다'를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동사는 동사의 논항과 문법적 일치가 없는 무표지이다.[7]

ti xíbogi ti-baí|나는 우유를 마신다|나는 정말 우유를 마신다.myp

ti gí kapiigaxiítoii hoa-í|내가 너에게 연필을 준다|내가 너에게 연필을 준다.myp

5. 2. 대명사

Evans (1986)에 따르면 피라항어의 자유형 인칭대명사는 timyp (1인칭), gíxaimyp (2인칭), hiapióxiomyp (3인칭)이 있다. 복수형은 따로 없으며, hiapióxiomyp는 단수와 복수 의미 모두로 쓰인다. 1인칭과 2인칭 복수는 "나와 너", "나와 그", "너와 그"처럼 우언적으로 나타낸다.

의존형 인칭대명사는 timyp (1인칭), gímyp/gíxamyp (2인칭), himyp (3인칭), (xi)myp (3인칭 여성), (xís)myp (3인칭 비인간)이 있다.[1] ximyp는 himyp의 음운론적 변이형일 가능성이 있고, xísmyp는 명사 xísimyp "짐승"의 변이형일 가능성이 있어 별도의 대명사인지 불확실하다.[1]

Sheldon (1988)은 다음과 같은 대명사 목록을 제시했다.[2]

피라항어
ti³myp
gi¹xai³myp
hi³myp그 (인간 남성)
myp그녀 (인간 여성)
i¹kmyp그것, 그것들 (뭍짐승)
si³myp그것, 그것들 (물짐승)
myp그것, 그것들 (무정물)
ti³a¹ti³so³myp우리
gi¹xa³i¹ti³so³myp너희
hi³ai¹ti³so³myp그들 (인간?)



Everett (1986)은 마지막 세 항목이 잘못되었으며, 불변화사 xaítisomyp로 분석된다고 보았다.[3] 또한 Sheldon (1988)이 제시한 다른 대명사들 중 일부는 어말 음소가 탈락한 명사라고 보았으며, ximyp가 여성만을 지칭하는 것은 맞지만 himyp는 남성과 여성 모두 지칭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3]

소유대명사는 따로 없다. 의존형 인칭대명사가 "나의, 너의, 그의"와 같은 의미를 나타내고, 자유형 인칭대명사가 "나의 것, 너의 것, 그의 것"과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4]

5. 3. 소유격 구문

소유격 구문은 (소유자 명사구)-(대명사)-피소유자 어순이다. 괄호에 들어간 성분 중 적어도 하나는 나타나야 한다.[1]

파이타hixitóhoi
파이타3고환
“파이타의 고환”



tikaiíi
1
“내 집”


5. 4. 후치사

피라항어에는 위치, 연관 등 다양한 의미를 나타내는 후치사가 있다. 후치사는 -ó나 -xio와 결합하기도 하고 단독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후치사는 신체부위 명사에서 유래한다. 아래 두 번째 예문에서처럼, 후치사에 -ó가 붙는 경우 후치사의 목적어에도 -ó가 붙는 경우가 많다.[1]

명사에 붙어 위치나 방향의 뜻을 나타내는 접사로는 -ó loc/obl|처격/사격bor와 -xio dir|방향bor가 있다. -xio는 단독으로 쓰이지 않고, -ó가 붙은 어간 뒤에만 붙는다.[1]

  • xoí ‘정글’
  • xoí-ó ‘정글에서’
  • xoí-ó-xio ‘정글로’


xisigíhiíxagaoako-ó
meatcanoein(stomach)-loc|처격bor
“고기는 카누 안에 있다.”



góikaií-óxahoa-óxab-áti
2imp|2인칭 명령법borhouse-loc|처격borside-loc|처격borstay-uncert|불확실bor
“집 옆에 있어라.”


5. 5. 수식사

modifier영어에 따르면 피라항어에는 형용사와 부사의 뚜렷한 구분이 없고, 명사를 수식하는 단어가 대체로 동사도 수식할 수 있다고 한다. 따라서 이들을 수식사라는 하나의 품사로 친다. 소유자가 명사 앞에 오는 것과 반대로 수식사는 명사 뒤에 온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명사구에 수식사는 최대 2개까지 붙을 수 있다.[1]

piixaibogi
waterfast
“빠른 물”



수식사가 동사를 꾸밀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최대 하나가 올 수 있다.[2]

hixaibogisitop-í
3faststand-
“그는 빨리 일어섰다.”



수식사는 다른 단어의 수식을 받을 수 없지만, 강조 접미사 -xi나 -koí가 붙어 의미가 강조될 수 있다.[3]

5. 6. 동사

피라항어는 교착어로, 접사를 붙여서 말을 만든다. 피라항어 동사에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굴절 접사가 붙는다.[7]

번호접사 종류접사설명
1동사 어근동사 어근
2포합다른 동사 어근과의 합성
3행위의 지속-ab
4-ap
5행위의 실현-áo
6-ái
7행위의 구분-b
8-p
9희구법-sog
10부정-hiab
11-sahaxaí
12계속-xiig
13의문-xóxóí
14-xaoaxái
15-hoaxái
16기동상-hoag
17-hói
18지시-i
19-a
20반복-ta
21확실성-áti
22-haí
23-há
24좌절된 행동-ábagaí
25-ábai
26강화-baí
27강조-koí
28조건/시간 명사화-so
29-sai ~ -saí
30-si
31증거성-híai
32-xáagahá
33-sibiga
34결과-taío



피라항어에는 시제를 나타내는 문법적 수단이 따로 없지만 을 나타내는 수단은 발달해 있다.


  • 완망상: 접미사 -b는 완망상을 나타낸다. 완수상 -áo 등 다른 상 접사와 함께 나타나기도 한다.
  • 미완망상: 접미사 -p는 미완망상을 나타낸다. 미완수상 -ái와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 완수상: 접미사 -áo는 동작이 실현되거나 완수되었음을 나타낸다. -b와 함께 쓰여 과거의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 미완수상: 접미사 -ái는 동작이 아직 실현되거나 완수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

hikoab-ái-p-á
3die
“그는 죽을 것이다.”


  • 계속상: 접미사 -xiig는 계속상(continuative aspect영어)을 나타낸다.


:

hixopáoho-ái-p-iig-á
3work
“그는 일하고 있었다/일하고 있게 될 것이다.”


  • 반복상: 접미사 -ta는 동작의 반복 또는 재발을 나타낸다.


:

hikohoi-tá-há
3eat
“그는 또 먹고 있다.”


  • 기동상: 접미사 -hói는 대략 동작이 시작됨을 나타내고, -hoag는 상태가 시작됨을 나타낸다. -hoag는 상태동사에만 쓰이는 것은 아니고, 새로운 상태나 동작으로의 전환이 완료되었음을 함의하는 듯하다.


:

tisoxóáxait-á-hói
1alreadysleep-(?)
“나는 이미 잠들고 있다.”



:

hisoxóáxait-á-hóág-á
3alreadysleep-(?)
“그는 이미 잠자기 시작했다.”


  • 근접상: 접미사 -i는 발화 시점에서 가까운 시간 내에 일어났거나 일어날 일, 또는 발화 시점에 화자와 비교적 “유관한” 일을 나타낸다.
  • 원격상: 접미사 -a는 발화 시점으로부터 먼 시점에 일어났거나 일어날 일, 또는 발화 시점에 화자와 덜 유관한 일을 나타낸다.
  • 지속상: 접미사 -ab은 주어의 행위 참여가 지속됨을 나타낸다. 계속상 -xiig와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 단속상: 접미사 -ap은 비지속적, 비진행적 동작을 나타낸다.


서법적 의미를 나타내는 접미사로는 다음이 있다.

  • 확실성: 접미사 -há는 완전한 확실성을 나타낸다. -i로 끝나는 접미사 뒤에서는 -hi로 실현되고, h가 탈락하면 모음 -i와 -a 뒤에서 각각 -i, -a로 실현된다. 접미사 -haí는 비교적 확실함을 나타낸다. -áti는 불확실성을 나타내며, 명령문에서 가장 흔히 쓰인다.
  • 희구법: 접미사 -sog는 주어의 희망을 나타낸다.


:

gogíisotikobai-sog-a-baí
1see
“이게 뭐지? 나는 (그것을) 보고 싶다.”



:

koxoogiáikabatiíkap-i-sog-όxόíhix
Xoogiáitapirshoot
“이봐 오오기아이, 맥을 쏘고 싶어?”



피라항어에는 증거성을 나타내는 접미사들도 있다. -xáagahá는 화자가 직접 본 사건을 나타낸다.

:

hoagaixóaihipáxaikaopáp-i-sai-xáagahá
Hoagaixóai3[species of fish]catch.by.mouth
“호아가이오아이가 파아이 물고기를 잡고 있다.” (화자가 직접 봐서 아는 사실)



접미사 -sibiga는 (과거 또는 미래의) 사건의 발생을 화자가 추론했음을 나타낸다. -sibiga는 다른 동사 접미사와 함께 쓰이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

kaogiáixísibá-bo-í-sibiga
Kaogiáianimalfish-come
“카오기아이는 낚시하러 갔을 것이다.” (화자의 추론)



접미사 -híai는 다른 사람에게 전해들은 것에 기반한 결론이나, 어떠한 상황에 대한 평가를 나타낸다. 전해들은 내용을 나타내는 경우 일반적으로 명사화 접미사 -sai에 뒤따른다.

:

gahióhixabaip-i-sai-híaipíxáixíga
airplane3sitnowreally
“비행기가 바로 지금 착륙한다고 한다.” (다른 사람들의 말에 따르면)



그 밖의 접사로는 다음이 있다. 결과 접미사 -taío는 어떤 행위가 다른 행위의 결과로 일어났음을 나타낸다.

:

hibaáb-aokaob-ap-á-taío
3sick-see
“그가 아플 때면 그는 (의사를) 본다.”



강화 접미사 -baí와 강조 접미사 -koí는 어떤 동작이 일반적인 것보다 강하게 수행됨을 표시하거나, 말하는 내용을 강조하는 데 쓰인다. -baí는 동작동사에만 붙을 수 있지만 -koí는 수식사 등 동사가 아닌 단어에도 붙을 수 있다. -baí가 붙은 동사에 다시 -koí가 붙을 수도 있다.

:

tigíxaixog-i-baí-koí
12want
“나는 너를 정말 많이 좋아한다.”



마지막으로 접미사 -ábagaí는 시작이 좌절된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내고, -ábai는 시작되었지만 완료되지 못한 동작을 나타낸다.

:

hikoho-áo-b-ábagaí
3thingeat
“그는 그것을 거의 먹을(먹기 시작할) 뻔했다.”



:

hibaitigiísiisib-áo-b-ábai
3[species of fish]animalarrow
“그는 물고기를 거의 화살로 맞힐 뻔했다.” (화살을 쏘았으나, 맞히지는 못함)



피라항어에서는 최대 3개의 동사 어근이 합쳐져 하나의 어간처럼 행동하기도 한다. 이러한 과정은 매우 생산적이다. 굴절접사는 동사 어근 사이에 끼어들지 않고, 어근들이 합쳐진 어간 뒤에 온다. 어근과 어근 사이에서 형태음운론적 변화가 일어나기도 하는데, 가장 흔한 것은 자음 충돌을 막기 위한 모음 삽입(주로 )이다.

:

xiga+hoag
가지다+오다
“가져오다”



:

xig+ab+op
가지다+돌다+가다
“가지고 돌아가다”



Sheldon (1988)에 따르면, 피라항어 동사는 8개의 주요 접미사 슬롯과 몇 개의 하위 슬롯을 가지고 있다.


  • '''Slot A'''
  • * 강조
  • * Ø
  • '''Slot B'''
  • * 사동/불완료
  • * 사동/완료
  • * 시작/불완료
  • * 시작/완료
  • * 미래/어딘가
  • * 미래/다른 곳
  • * 과거
  • * Ø
  • '''Slot C'''
  • * 부정/희망 + '''C1'''
  • ** '''Slot C1'''

예방
의견
가능 Ø

  • * 긍정/희망
  • * 부정/직설법 + '''C2'''
  • * 긍정/직설법 Ø + '''C2'''
  • ** '''Slot C2'''

선언
확률/확실
확률/불확실/시작
확률/불확실/실행
확률/불확실/완료
상태
의문1/진행
의문2/진행
의문1
의문2
Ø

  • '''Slot D'''
  • * 지속
  • * 반복
  • * Ø
  • '''Slot E'''
  • * 즉시
  • * 의도
  • * Ø
  • '''Slot F'''
  • * 지속
  • * Ø
  • '''Slot G'''
  • * 소망
  • * Ø
  • '''Slot H'''
  • * 인과
  • * 결론
  • * 강조/반복 + '''H1'''
  • * 강조 + '''H1'''
  • * 반복 + '''H1'''
  • * Ø + '''H1'''
  • ** '''Slot H1'''

현재
과거
즉시과거

이러한 접미사는 상황에 따라 몇 가지 음운 변화를 겪는다. 예를 들어, 지속 는 자음 뒤에서 로 축약된다.

또한 삽입음 모음은 두 접미사 사이에 필요한 경우 자음 군을 피하기 위해 삽입된다. 모음은 (, 또는 앞이나 뒤) 또는 (다른 경우)이다.

반대로, 두 형태소의 결합으로 이중 모음이 생성되면 (성조 무시), 낮은 성조의 모음이 억제된다.

자세한 내용은 Sheldon의 1988년 논문을 참조하십시오.

5. 7. 의문문

피라항어에는 판정의문문을 나타내는 여러 표지가 있다. 그러나 문맥에 의해 의문문임이 분명한 경우에는 표지 없이 억양만으로도 의문문임을 나타낼 수 있다. 의문문의 억양은 평서문과 거의 같지만, 억양의 저점과 고점이 평서문의 그것에 비해 더욱 낮고 높다.[1]

불변화사 híx는 가장 중립적인 의미의 표지이다. 절의 맨 오른쪽에 온다. 피라항어에서 유일하게 나타나는 CVC 구조의 음절이기도 하다.[1]

xiíbait-áo-p-ihíx
clothwash-telic|기점qah-imperf|미완료qah-prox|근칭qahinter|의문qah
“옷을 씻을 거니?”



접미사 -xóxói 또한 중립적인 의미의 표지이며 가장 흔한 의문 표지이다. 일반적으로 híx와 함께 쓰인다.[2]

kohoixog-i-hiab-iig-όxόí(hix)
Kohoiwant-ep|삽입qah-neg|부정qah-cont|계속qah-inter|의문qah(inter|의문qah)
“코호이는 그것을 원하지 않니?”



hoaxái는 의존형태소 또는 독립형태소로 쓰이며, 존재나 소유에 관한 의문문에 쓰인다. 역시 híx와 함께 쓰일 수 있다.[2]

hixao-hoaxáitiobáhai
3possn|소유qah-inter|의문qahchild
“그는 아이가 있니?”



xiísoxógióhoaxái(híx)
treemuch.timeinter|의문qah(inter|의문qah)
“옛날에도 나무들이 있었니?”



접미사 -xaoaxái는 질문의 대답에 대해 화자의 통제력이 없음을 나타낸다. 특히 간접 명령문에 쓰여 요청을 보다 정중하게 만드는 데 쓰인다.[3]

koxoogiáixigí-xaoaxáititaísixig-a-áti
voc|호격qahXoogiáiassoc|연관qah-inter|의문qah12axetake-remote|원칭qah-uncert|불확실qah
“이봐 오오기아이, 내가 네 도끼를 가져가도 괜찮을까?”



káo는 동사 앞에 오는 독립형태소이며, 과거 사건에 대한 질문에만 쓰인다.[4]

xikáoxiíbait-áo-p-íhix
3fem|3인칭 여성qahinter|의문qahclothwash-telic|기점qah-imperf|미완료qah-prox|근칭qahinter|의문qah
“그녀가 옷을 빨았니?”



내용의문문은 의문사 kaoí ‘누구, 누구의’ 아니면 형태소 go wh|의문qah를 넣어 만든다. go는 자유변이형 so를 가지며, 뒤에 ó loc|처격qah, xigí assoc|연관qah, gíiso dem|지시qah, giíso man|방식qah이 올 수 있다. híx와 함께 쓰일 수 있다.

higoxigíxog-i(híx)
3wh|의문qahassoc|연관qahwant-prox|근칭qah(inter|의문qah)
“그는 무엇을 원하니?”



gahiógogíisoxab-óp-ai
airplanewh|의문qahdem|지시qahturn-go-atelic|비기점qah
“비행기가 언제 돌아오니?”



kaoíxisigíai(híx)
who|누구qah3.nonhuman|3인칭 비인간qahassoc|연관qahbe(inter|의문qah)
“저건 누구 거니?”


5. 8. 명령문

직접 명령문은 ‘명령대명사’의 사용 여부에 따라 발화수반력이 강해지거나 약해진다. 2인칭 명령대명사 'gói'의 사용은 화자가 청자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지위에 있거나, 무뚝뚝한 태도로 명령하거나, 농담을 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1인칭 명령대명사 'kaxáo'도 비슷하게 사용되나, 명령문이 아닌 청유문을 만든다. 명령문에는 거의 항상 '-áti'가 쓰인다. 부정 명령, 즉 금지에는 동사 접미사 '-sahaí'가 쓰인다.[1]

예시는 다음과 같다.

kaisáoxig-a-áti
boxbring-
“상자를 가져와라.”



góixab-áti
stay-
“그대로 있어라!”


5. 9. 부정문

일반적인 부정문은 부정 접미사 '-hiab'으로 나타낸다.[1] '-hiab'의 자유형인 'hiaba'는 문장 성분을 부정하는 데 쓰인다.[1]

xigihíhiaba
manneg
“그건 남자가 아니다.”

[1]

5. 10. 종속절

피라항어에서 -saimyp를 사용하여 한 절을 다른 절에 집어넣는다는 주장에 대해, 에버렛은 내포절이 명사화 접미사 '-sai'를 받는다고 주장했으나, 이후 입장을 바꾸어 병렬 구문(parataxis)의 사례이며 내포가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8] 시간, 조건절은 주절 앞에 온다. 시간절은 '-so'로 표시되며, 자음 뒤에서는 '-ao'로 실현되어 '~할 때', '~하는 동안', '~하고 나서' 등의 뜻을 나타낸다. 조건절은 '-saí'로 표시된다.

구분표시예시의미
시간절-so (-ao)xaxái xab-óp-ai-so아아이가 돌아올 때
조건절-saípaió hi ab-όp-ai-saí파이오가 돌아오면


5. 11. 관계절

피라항어에서 관계절을 만드는 데 쓰이는 전략은 공백(gapping) 전략과 비축약(non-reduction) 전략이 있다. 관계화될 수 있는 성분은 주어와 직접목적어이고, 두 성분 모두 공백과 비축약 전략을 통해 관계화 가능하다. 관계절에서는 두 형태소 hix와 sigíai ‘같은’이 일종의 보문소로 쓰이는 것으로 보인다.[1]

다음은 관계절의 예시이다.

  • “치코가 너에게 판 물건이 다 떨어졌니?”


xiab-áo-b-óxóíhixchicohi(go-ó)gíxaiho-áo-b-isigíai
thingrun.out-telic-perf-inter영어int영어Chico3wh-obl영어2sell-telic-perf-prox영어same


  • “나는 네가 방금 보여준 것과 같은 그물침대를 원한다.”


tibaósaápisiog-abagaígíxaigo-óbaósaápisibig-áo-b-í-ixaisigíai
1hammockwant-frust.init영어2wh-obl영어hammockshow-telic-perf-prox-complete.cert영어be(?)same


6. 이례적 특징

대니얼 에버렛은 20편이 넘는 논문과 한 권의 책을 통해 피라항어에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특징이 있다고 주장했다.


  • 알려진 언어 중 음소가 가장 적은 언어 중 하나이며, 그 결과 와 처럼 극히 드문 소리를 포함해 넓은 범위의 변이음이 나타난다.
  • 극히 제한된 문장 구조를 가지고 있어, “메리는 존이 헨리가 해고됐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처럼 재귀적 내포가 허용되지 않는다.
  • ‘밝다’와 ‘어둡다’ 외에 색깔을 나타내는 추상적 어휘가 없다.
  • 인칭대명사 전부를 투피어족 기반 공용어인 녜엥아투어에서 빌려온 것으로 보인다.
  • 피라항어는 휘파람이나 콧노래나 음악을 통해서도 말해질 수 있다.


에버렛은 피라항어에 재귀가 없다는 주장이 사실이라면 현대 촘스키주의 언어학의 기본적 가정이 반박된다고 주장한다. 이 주장은 많은 언어학자들의 반대에 부딪혔다. 그들은 에버렛 스스로가 피라항어에 재귀가 있다고 관찰했음을 지적하는데, 에버렛은 이것이 과거 피라항어에 대한 자신의 이해 부족에서 기인한 오류라고 대답했다.[37][43][44] 촘스키를 비롯한 몇몇 언어학자들은 피라항어에 재귀가 없다는 게 사실이라 할지라도 촘스키주의 언어학에 끼치는 영향은 없다고 주장했다.[46]

에버렛에 따르면, 피라항어에는 셈하는 데 필요한 수사도 없고, “오래된 아름다운 빛바랜 푸른 치마”처럼 재귀적으로 수식을 반복할 수도 없고, “아이의 친구의 어머니의 집”처럼 재귀적으로 소유 표현을 반복할 수도 없다. 따라서 피라항어 문장의 길이는 끝없이 늘어날 수 없고 길이 제한이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에버렛에 따르면 피라항어에서는 “존의 형제의 집”처럼 말할 수 없고, “존은 형제가 있다. 그 형제는 집이 있다.”처럼 두 문장으로 말해야 한다.[45]

이후 에버렛은 입장을 바꾸어, 피라항어에서는 한 단계의 내포도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그의 현재 입장에 따르면 이런 예문에서 내포절로 해석한 단어들은 사실 독립된 문장을 이룬다.

에버렛에 따르면, 피라항어가 내포 없는 유한한 언어라는 사실은 노엄 촘스키 등이 주장하는 보편문법의 개념에 중대한 문제를 제기한다. 보편문법이 존재한다면 모든 인간 언어는 재귀적인 문법 구조를 가져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촘스키는 재귀가 언어에 사용될 수 있는 선천적인 인지적 능력이기는 하지만 특정한 언어에서 재귀가 나타날 수도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46]

피라항어에 재귀가 없다는 에버렛의 주장은 다른 언어학자들의 거센 반박을 받았다.[37] 이들은 -sai 구문을 내포로 해석하는 에버렛 스스로의 이전 연구에 제시된 데이터와 논증에 주목했다. 이에 대해 에버렛은 과거에 피라항어에 대한 자신의 이해가 불완전했고 이론적으로 편향되어 있었다고 답했다.

피라항어는 알려진 언어 중 음운론적으로 가장 단순한 언어 중 하나이다. 피라항어는 음소가 10개에 불과하며, 여성의 경우 9개에 불과하다는 주장이 있지만, 이는 를 기저 표현 로 분석하고 여성의 화법에서 /h/가 항상 /s/로 대체된다는 점을 전제로 한다.

에버렛(2005)은 피라항 문화가 인간 문화 중 가장 단순한 친족 체계를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16] 단어 baíximyp (발음 )는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에 사용되며, 생물학적 형제자매 이상의 관계는 구분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1986년 에버렛에 따르면, 피라항어에는 '하나'(hóimyp)와 '둘'(hoímyp)을 나타내는 단어가 있으며, 이들은 성조로만 구별된다. 그러나 2005년 분석에서 에버렛은 피라항어에는 숫자를 나타내는 단어가 전혀 없으며, hóimyp와 hoímyp는 실제로는 "소량"과 "더 많은 양"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피라항어에는 독자적인 색상 용어가 없다는 주장도 있는데, 이는 '밝음'과 '어두움'에 대한 특정 단어만 가지고 있는 몇 안 되는 문화 중 하나라는 것이다.[5]

7. 피라항어와 언어 상대주의

언어 상대주의에 따르면 한 사람이 사용하는 언어와 그가 세상을 인식하는 방식 사이에 관계가 있다고 한다. Frank et al. (2008)의 연구에 따르면 피라항인은 자기 앞에 놓인 물체의 정확한 개수를 알아보고 같은 수의 물체와 짝지을 능력이 있지만, 물체를 보여준 뒤 시야에서 숨기면 그 개수를 기억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8]

피라항족은 다른 집단과의 거래에서 속임당하는 일을 걱정해서 대니얼 에버렛에게 기본적인 산수를 가르쳐 달라고 부탁했다. 8개월 동안 매일 에버렛에게 산수를 배웠지만 진전이 없었고, 결국 자신들에게는 배울 능력이 없다는 결론을 내리고 공부를 그만뒀다. 피라항족 가운데 10까지 세거나 심지어 1 + 1을 계산할 줄 알게 된 사람은 한 명도 없었다.[49]

에버렛에 따르면 피라항족이 숫자를 세지 못하는 데는 두 가지 문화적 이유가 있다. 우선, 피라항족은 수렵채집형 유목민으로서 셈할 대상이 없으므로 셈을 연습할 필요가 없다. 다음으로, 피라항족에게는 현재 너머의 것을 일반화하지 않는다는 문화적 제약이 있으므로 수사가 존재할 수 없다. 즉, 셈하는 능력과 수사의 부재가 모두 같은 이유로 설명된다. 일부 학자들에 따르면 수사와 셈하는 능력은 언어적 재귀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에, 재귀가 없는 피라항어를 사용하는 피라항족은 숫자를 셀 수 없다고 한다.[17] 그러나 에버렛은 피라항족이 숫자를 셀 인지 능력이 없다고 주장하지는 않는다.

8. 다른 언어에 대한 지식

에버렛은 피라항어 화자 대부분이 단일 언어 구사자이며, 포르투갈어 단어를 몇 개 알 뿐이라고 주장한다.[50] 그러나 18개월 넘게 피라항족과 같이 살았던 인류학자 마르코 안토니오 곤칼베스는 "남자들은 대부분 포르투갈어를 알아듣지만, 모두가 포르투갈어로 말을 하지는 못한다. 여자들은 포르투갈어를 별로 알아듣지 못하고 결코 포르투갈어로 말하는 법이 없다. 남자들은 그 지역의 다른 사람들과 대화할 수 있도록 피라항어, 포르투갈어, 그리고 아마존의 공용어인 녜엥가투어 어휘가 섞인 접촉 ‘언어’를 만들어냈다."라고 하였다.[50]

에버렛은 피라항족이 포르투갈어를 말할 때는 아주 초보적인 포르투갈어 어휘를 피라항어 문법에 얹어 말하며 특정한 주제 이외에는 포르투갈어로 말하지 못하기 때문에 단일 언어 구사자들이 맞다고 주장했다. 이는 아주 제한된 어휘로 아주 좁은 범위의 주제에 관해 말할 수 있다는 뜻이므로 곤살베스의 말과도 모순되지 않는다.[51] 곤살베스는 피라항족이 포르투갈어로 하는 이야기들을 통째로 인용하지만, 에버렛(2009)은 이것이 피라항족의 말을 그대로 받아 적은 것이 아니라 피라항족의 피진 포르투갈어를 느슨하게 의역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맨체스터 대학교의 자넷 사켈은 피라항어 화자의 포르투갈어 사용을 연구했다. 피라항어-포르투갈어 이중 언어 사용에 대한 연구는 진행 중이며, 피라항어 화자들의 문법적 능력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51]

참조

[1] 서적 Amazonian Languages: Language Isolates Walter de Gruyter 2023
[2] 서적 Handbook of Amazonian Languages https://www.degruyte[...] De Gruyter Mouton 1986-07-01
[3] 서적 Don't Sleep, there are Snakes https://archive.org/[...] Pantheon Books
[4] AV media The Grammar of Happiness http://www.smithsoni[...] Smithsonian Channel 2012
[5] 웹사이트 Linguistics and English Language http://ling.man.ac.u[...]
[6] 웹사이트 Cultural Constraints on Grammar in Pirahã: A Reply to Nevins, Pesetsky, and Rodrigues http://ling.auf.net/[...] LingBuzz 2007-03
[7] 웹사이트 Pirahã http://wals.info/lan[...]
[8] 웹사이트 Recursion and Human Thought: Why the Pirahã Don't Have Numbers http://www.edge.org/[...]
[9] 뉴스 Noam Chomsky https://www.independ[...] 2006-08-28
[10] 웹사이트 Experimental evidence for complex syntax in Pirahã http://ling.auf.net/[...] 2010-09
[11] 뉴스 The Interpreter http://www.newyorker[...] 2007-04-16
[12] 간행물 Pirahã Exceptionality: A Reassessment 2009-06
[13] 간행물 Pirahã Culture and Grammar: A Response to Some Criticisms 2009-06
[14] 간행물 Evidence and argumentation: A reply to Everett (2009) 2009-09
[15] 간행물 Number as a cognitive technology: Evidence from Pirahã language and cognition http://www.sciencedi[...] 2008-09
[16] 간행물 Cultural Constraints on Grammar and Cognition in Pirahã http://www.pnglangua[...]
[17] 간행물 Exact and Approximate Arithmetic in an Amazonian Indigene Group https://www.jstor.or[...] 2004
[18] 웹사이트 Encyclopedia — Indigenous Peoples of Brazil http://www.socioambi[...]
[19] 간행물 Review of Daniel Everett: How language began http://jan.ucc.nau.e[...]
[20] 간행물 Acquiring complexity: The Portuguese of some Pirahã men https://uwe-reposito[...] 2012-01-01
[21] 서적 言語学大辞典 三省堂 1992
[22] 문서 Piraha Exceptionality:a Reassessment http://ling.auf.net/[...] 2009
[23] 웹사이트 RECURSION AND HUMAN THOUGHT https://www.edge.org[...] Edge.org
[24] 기타
[25] 뉴스 The Interpreter http://www.newyorker[...] 2007-04-16
[26] 간행물 Pirahã Culture and Grammar:a Response to some criticism 2009
[27] 간행물 Evidence and Argumentation:a Reply to Everett (2009) 2009
[28] 문서 Os sufixos verbais Mura-Pirahã SIL International 1988
[29] 기타
[30] 서적 Piraha Mouton de Gruyter 1986
[31] 문서 Cultural Constraints on Grammar and Cognition in Pirahã:Another Look at the Design Features of Human Language 2005
[32] 문서 Number as a Cognitive Technology:Evidence from Pirahã Language and Cognition http://langcog.stanf[...] 2008
[33] 문서 Cultural Constraints on Grammar and Cognition in Pirahã http://www.pnglangua[...] 2005
[34] 웹사이트 Encyclopedia — Indigenous Peoples of Brazil https://web.archive.[...] 2008-05-21
[35] 간행물 Pirahã Culture and Grammar:A Response to Some Criticism http://www.llc.ilstu[...] 2009
[36] 문서 チョムスキー自身が何度も方向修正を繰り返したため(21世紀では、1990年代に提唱された minimalist program([[:en:Minimalist program]])が主流である)。
[37] 저널 Pirahã Exceptionality: A Reassessment 2009-06
[38] 논문 Number as a cognitive technology: Evidence from Pirahã language and cognition https://archive.toda[...] 2008-09
[39] 영상 The Grammar of Happiness http://www.smithsoni[...] Smithsonian Channel 2012
[40] 웹인용 Linguistics and English Language http://ling.man.ac.u[...]
[41] 웹인용 CULTURAL CONSTRAINTS ON GRAMMAR IN PIRAHÃ: A Reply to Nevins, Pesetsky, and Rodrigues http://ling.auf.net/[...] LingBuzz 2007
[42] 뉴스 The Interpreter http://www.newyorker[...] The New Yorker 2007-04-16
[43] 저널 Pirahã Culture and Grammar: A Response to Some Criticisms https://semanticscho[...] 2009-06
[44] 저널 Evidence and argumentation: A reply to Everett (2009) 2009-09
[45] 웹인용 Recursion and Human Thought: Why the Pirahã Don't Have Numbers http://www.edge.org/[...] 2020-08-07
[46] 뉴스 Noam Chomsky https://www.independ[...] 2006-08-28
[47] 웹인용 Experimental evidence for complex syntax in Pirahã http://ling.auf.net/[...]
[48] 논문 Number as a cognitive technology: Evidence from Pirahã language and cognition https://archive.toda[...] 2008-09
[49] 문서 Cultural Constraints on Grammar and Cognition in Pirahã https://web.archive.[...] 2005
[50] 웹인용 Encyclopedia — Indigenous Peoples of Brazil http://www.socioambi[...]
[51] 문서 Review of Daniel Everett: How language began http://jan.ucc.nau.e[...] 2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