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만 (성경 인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만은 에스더기에 등장하는 아각 사람 하맛다의 아들로, 페르시아 왕 아하수에로의 신하이다. 하만은 유대인 모르드개가 자신에게 경배하지 않자, 페르시아 제국 내 모든 유대인을 죽이려 음모를 꾸몄다. 이 음모는 유대인 에스더 여왕에 의해 좌절되었고, 하만은 자신이 모르드개를 매달기 위해 세운 교수대에 처형당했다. 하만의 이름은 페르시아어에서 유래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유대교에서는 악의 상징으로 여겨져 푸림절에 그의 패배를 기념한다. 꾸란에서는 파라오와 관련된 인물로 등장하며, 문학 작품 및 대중문화에서도 악역으로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말렉 - 아각
아각은 아말렉 왕의 칭호이자 고대 이스라엘과 아말렉 민족 간 갈등을 상징하는 성경 속 인물로, 사울에 의해 포로로 잡혔다가 사무엘에게 죽임 당했으며, 에스델기에 등장하는 하만과 관련된 원한의 배경이 되었다. - 모살범 - 바라바
바라바는 4개의 정경 복음서에 모두 등장하는 인물로, 유월절에 죄수를 석방하는 관습에 따라 예수 대신 군중의 선택으로 풀려났으며, 그의 이름이 '예수 바라바'로 기록된 사본이 존재하고 역사적 실존 여부와 이야기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논쟁이 있다. - 모살범 - 헤로데 1세
헤로데 1세는 로마의 지원으로 하스몬 왕조를 무너뜨리고 유대의 왕이 되어 경제적 기반을 확충하고 영토를 확장했으나, 폭압적인 통치와 유아 학살 사건으로 비판받는 인물이다.
하만 (성경 인물) | |
---|---|
성경 속 정보 | |
이름 | 하만 |
출신 | 아각 사람 |
직위 | 아하수에로 왕의 대신 |
주요 사건 | 모르드개를 처형하려다 자신이 처형됨 |
인물 배경 | |
소속 | 페르시아 제국 |
역할 | 아하수에로 왕의 대신 |
적대 인물 | 모르드개와 유대인 전체 |
가족 관계 | |
아버지 | 므다다 |
아내 | 세레스 |
자녀 | 열 아들 (이름은 성경에 기록됨) |
성경 속 이야기 | |
주요 내용 | 하만은 아하수에로 왕의 총애를 받아 모든 사람이 그에게 절해야 했으나, 모르드개는 절하지 않았다. 이에 분노한 하만은 모르드개뿐 아니라 모든 유대인을 죽이기로 결심하고 왕의 허락을 받아 유대인 학살 계획을 세운다. 그러나 모르드개의 사촌 에스더 왕후가 왕에게 간청하여 하만의 음모를 폭로하고, 하만은 자신이 모르드개를 매달려고 준비했던 장대에 대신 매달려 죽게 된다. |
추가 정보 | |
아각 사람 | 사무엘상 15장에 등장하는 아말렉 왕 아각의 후손으로 추정됨 |
관련 절기 | 부림절 (하만의 몰락을 기념하는 유대인 절기) |
2. 어원 및 이름의 의미
하만이라는 이름은 그리스 역사가들이 기록한 페르시아 이름 '오마네스'(𐎡𐎶𐎴𐎡𐏁|Imānišpeo)와 동일시되어 왔다.[4] 이 이름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어원들이 제안되었다. "훌륭한"을 의미하는 페르시아어(이름 사전에서는 일반적으로 "장엄한"으로 표기)와 관련이 있거나,[4][5] 신성한 음료 하오마와 관련이 있거나,[4] "좋은 생각"을 의미하는 페르시아 이름 보후만과 관련이 있다는 주장이 있다. 19세기 성경 비평가 젠센은 이 이름을 엘람의 신 훔반과 관련지었지만, 후대 학자들은 이 견해를 기각했다. 조로아스터교의 파괴적인 영인 아흐리만 또한 어원으로 제안되었다. 호스헨더는 하만이 고유명사가 아닌 사제 칭호라고 주장한다.
2. 1. 페르시아어 기원설
이 이름은 그리스 역사가들이 기록한 페르시아 이름 '오마네스'(𐎡𐎶𐎴𐎡𐏁|Imānišpeo)와 동일시되어 왔다.[4] 이 이름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어원들이 제안되었다. 이 이름은 "훌륭한"을 의미하는 페르시아어 단어(이름 사전에서는 일반적으로 "장엄한"으로 표기)와 관련이 있거나,[4][5] 신성한 음료 하오마와 관련이 있거나,[4] "좋은 생각"을 의미하는 페르시아 이름 보후만과 관련이 있다. 19세기 성경 비평가 젠센은 이 이름을 엘람의 신 훔반과 관련지었지만, 후대 학자들은 이 견해를 기각했다. 조로아스터교의 파괴의 영인 아흐리만 또한 어원으로 제안되었다. 호스헨더는 하만이 고유명사가 아닌 사제 칭호라고 주장한다.2. 2. 엘람어 및 기타 기원설
이 이름은 그리스 역사가들이 기록한 페르시아 이름 ''오마네스''(𐎡𐎶𐎴𐎡𐏁|Imānišpeo)와 동일시되어 왔다.[4] 이 이름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어원들이 제안되었다. 이 이름은 "훌륭한"을 의미하는 페르시아어 단어(이름 사전에서는 일반적으로 "장엄한"으로 표기)와 관련이 있거나,[4][5] 신성한 음료 하오마와 관련이 있거나,[4] "좋은 생각"을 의미하는 페르시아 이름 보후만과 관련이 있다고 한다. 19세기 성경 비평가 젠센은 이 이름을 엘람의 신 훔반과 관련지었지만, 후대 학자들은 이 견해를 기각했다. 조로아스터교의 파괴의 영인 아흐리만 또한 어원으로 제안되었다. 호스헨더는 하만이 고유명사가 아닌 사제 칭호라고 주장한다.3. 성경 속 하만 (에스더기)
에스더기에 따르면, 하만은 아각 사람 하맛다의 아들이었다. 하만이 아하수에로 왕의 주요 대신으로 임명된 후, 왕의 모든 신하들은 하만에게 경배해야 했지만 모르드개는 거부했다. 이에 분노한 하만은 모르드개의 유대인 신분을 알고 아하수에로에게 허락을 받아 페르시아 제국에 있는 모든 유대인을 죽이려 했다.[6]
이 음모는 왕의 부인이자 유대인이었던 에스더에 의해 좌절되었다. 에스더는 왕과 하만을 두 번의 연회에 초대했고, 두 번째 연회에서 하만이 자신과 다른 유대인들을 죽이려 한다고 왕에게 알렸다. 왕은 격분했고, 방을 나갔다 돌아온 후 하만이 에스더의 침대에 엎드려 자비를 구하는 것을 보고 이를 성적인 접근으로 해석하여 더욱 분노했다.[7]
왕의 명령에 따라, 하만은 원래 자신이 모르드개를 매달기 위해 아내 세레스의 조언을 받아 50큐빗 높이로 만든 교수대에 매달렸다.[8] 하만의 아들 10명의 시체도 유대인과의 전투에서 죽은 후 매달렸다.[9] 유대인들은 자위로 약 75,000명의 적을 죽였다.[10]
수사의 지리적 위치를 통해, 하만의 집은 평평한 지역에 있었고 왕궁은 도시보다 약 15m 높은 언덕에 있었다. 하만의 계획대로였다면, 높은 교수대를 통해 왕궁에서 식사하면서 모르드개의 시체를 볼 수 있었을 것이다.[11]
3. 1. 하만의 음모 (3:1-5:14)
하만은 크게 분노하며, 모르드개가 유대인이라는 사실을 알아내자, 모르드개와 유대인 전부를 제거할 좋은 기회라고 생각했다. 유대인을 멸할 날을 결정하기 위하여 제비(부르)를 뽑았다. 하만은 왕의 총애를 받는 입장을 이용하여, 유대인이 법을 지키지 않는다고 고발하고, 조서를 내려 그들을 멸할 것을 요청했다. 하만은 살인청부 자금으로 은 를 기부하고 왕은 승낙했다. 왕의 반지로 인을 친 조서가 제국 전체에 보내지며, 아달(아다르)월 13일이 유대인을 말살시킬 날로 정해졌다. 이 법을 듣게 되자 모르드개와 유대인 모두는 베옷을 입고 재를 무릅쓰고 애곡했다. “금식하며 곡읍하며 부르짖”는 일이 있었다.[50]에스더는 모르드개로부터 유대인의 곤경에 관한 소식을 듣고 처음에는 중재하기를 꺼렸다. 부름을 받지 않고 왕 앞에 나아가는 것은 사형에 해당하는 죄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모르드개는 여호와의 능력에 대한 믿음을 나타내면서, 만일 에스더가 그들을 저버리면 에스더는 어차피 죽을 것이며, ‘유대인은 다른 데로 말미암아’ 구출을 받을 것이라고 확신했다. 더욱이 에스더가 왕후가 된 것은 바로 “이 때를 위함”이 아니겠는가?[51]
문제를 깨달은 에스더는 생명을 건 모험을 하기로 동의하며 수산에 있는 모든 유대인에게 그와 더불어 3일 간 금식할 것을 요청했다. 그 후에 에스더는 왕후의 예복을 입고 왕 앞에 나타났다. 에스더는 왕의 목전에서 은총을 얻어, 왕은 금홀을 베풀어 그의 생명을 구해 주었다. 에스더는 왕과 하만을 연회에 초대했다. 연회 도중에 왕은 “나라의 절반이라 할지라도” 허락하겠노라고 다짐하면서 그의 소청을 말하라고 재촉했다. 이에 에스더는 다음날 연회에 그 두 사람을 또 초대했다.[52]
하만은 즐거운 마음으로 나갔다. 그러나 대궐 문에 있는 모르드개는 여전히 하만에게 경의를 표하거나 떨지 않았다. 하만의 즐거움은 분노로 변했다. 그의 아내와 친구들은 그에게 50규빗 (22.3m) 높이의 기둥을 세우고 왕으로부터 모르드개를 그 위에 달라는 명령을 받아내라고 제안했다. 하만은 즉시 기둥을 세우게 했다.

에스더기에 묘사된 바와 같이, 하만은 아각 사람 하맛다의 아들이었다. 하만이 아하수에로 왕의 주요 대신으로 임명된 후, 왕의 모든 신하들은 하만에게 경배해야 했지만 모르드개는 거부했다. 이에 분노한 하만은 모르드개의 유대인 신분을 알고 아하수에로에게 허락을 받아 페르시아 제국에 있는 모든 유대인을 죽이려 했다.[6]
이 음모는 왕의 최근 부인이자 유대인이었던 에스더 여왕에 의해 좌절되었다. 에스더는 하만과 왕을 두 번의 연회에 초대했다. 두 번째 연회에서 그녀는 하만이 자신(과 다른 유대인들)을 죽이려 한다고 왕에게 알렸다. 이것은 왕을 격분하게 했고, 잠시 방을 나갔다 돌아온 후 하만이 에스더의 침대에 엎드려 에스더에게 자비를 구하려 한 것을 발견했을 때, 왕은 이를 성적인 접근으로 해석하여 더욱 분노했다.[7]
왕의 명령에 따라, 하만은 원래 하만 자신이 모르드개를 매달기 위해 아내 세레스의 조언을 받아 50규빗 높이의 교수대에 매달렸다.[8] 하만의 아들 10명의 시체도 유대인과의 전투에서 죽은 후 매달렸다.[9] 유대인들은 또한 자위로 약 75,000명의 적을 죽였다.[10]
이처럼 높이가 유난히 높은 교수대의 명백한 목적은 수사의 지리적 위치를 통해 이해할 수 있다. 하만의 집(교수대가 있던 곳)은 수사(평평한 지역)에 있었을 것이고, 왕궁과 궁전은 도시보다 약 15m 높은 언덕에 위치해 있었다. 하만이 계획대로 되었다면, 이처럼 높은 교수대를 통해 왕궁에서 식사하면서 모르드개의 시체를 볼 수 있었을 것이다.[11]
3. 2. 하만의 최후 (6:1-7:10)
그날 밤에 왕은 잠을 이루지 못하고 역대 일기를 가져오게 하여 읽다가, 자기의 생명을 구해준 모르드개에게 상을 주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왕은 누가 뜰에 있느냐고 묻고, 모르드개를 처형하기 위한 왕의 인가를 요청하기 위해 온 하만에게 왕이 존귀케 하기를 기뻐하는 사람에게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묻는다. 하만은 왕이 자기를 염두에 두고 있다고 생각하고 매우 관대한 계획을 말한다. 그러나 왕은 “유다 사람 모르드개에게” 그렇게 하라고 명령한다.[53] 하만은 굴욕을 느끼지만 모르드개에게 왕처럼 호화롭게 옷을 입히고, 왕의 말에 태워 도시 광장을 두루 다니게 한다. 비탄에 잠긴 하만은 집으로 돌아가고, 그의 아내나 친구들도 위로하지 못한다.이후 하만이 왕과 에스더와 함께 연회에 참석했을 때, 왕후는 자기와 자기 백성이 팔려 진멸당하게 되었다는 사실을 밝힌다. 에스더는 “대적과 원수는 이 악한 하만이니이다”라고 말한다.[54] 왕은 분노하여 뜰로 나가고, 하만은 왕후에게 목숨을 구걸한다. 왕은 돌아와서 하만이 왕후의 걸상 위에 엎드려 있는 것을 보고 더욱 분노하여, 하만이 모르드개를 달려고 만든 바로 그 기둥에 하만을 달도록 명령한다.
에스더기에 따르면, 하만은 아각 사람 하맛다의 아들이었다. 하만이 아하수에로 왕의 주요 대신으로 임명된 후, 왕의 모든 신하들은 하만에게 경배해야 했지만 모르드개는 거부했다. 이에 분노한 하만은 모르드개의 유대인 신분을 알고 아하수에로에게 허락을 받아 페르시아 제국에 있는 모든 유대인을 죽이려 했다.[6]
이 음모는 왕의 부인이자 유대인이었던 에스더에 의해 좌절되었다. 에스더는 하만과 왕을 두 번의 연회에 초대했고, 두 번째 연회에서 하만이 자신과 다른 유대인들을 죽이려 한다고 왕에게 알렸다. 왕은 격분했고, 방을 나갔다 돌아온 후 하만이 에스더의 침대에 엎드려 자비를 구하는 것을 보고 이를 성적인 접근으로 해석하여 더욱 분노했다.[7]
왕의 명령에 따라, 하만은 원래 자신이 모르드개를 매달기 위해 아내 세레스의 조언을 받아 50큐빗 높이로 만든 교수대에 매달렸다.[8] 하만의 아들 10명의 시체도 유대인과의 전투에서 죽은 후 매달렸다.[9] 유대인들은 자위로 약 75,000명의 적을 죽였다.[10]
수사의 지리적 위치를 통해, 하만의 집은 평평한 지역에 있었고 왕궁은 도시보다 약 15m 높은 언덕에 있었다. 하만의 계획대로였다면, 높은 교수대를 통해 왕궁에서 식사하면서 모르드개의 시체를 볼 수 있었을 것이다.[11]
4. 성경 외 자료
미드라쉬와 타르굼 쉐니 등 랍비 문학에서 하만은 악의 전형이자 유대인 박해자로 묘사된다. 하난 바 라바에 따르면, 하만의 어머니는 네하르데아 집안의 족장으로 추정되는 ʿÔrebtî (ʿÔrǝbtāʾ '암까마귀')의 후손인 ʾĂmatlaʾy였다.[12][13] 하만은 페르시아 유대인들을 몰살시키려 시도하여 그들의 최대의 적이 되었으며, 많은 탈무드 전설의 중심이 되었다.
꾸란에서 하만(هامان|Hāmānar)은 출애굽기의 파라오와 관련된 인물로 언급된다. 여러 자료에 따르면 "하만"은 이집트어 "Ha-Amana"의 아랍어화된 형태이다.[20][21] 하만은 꾸란 전체에 걸쳐 여섯 번 등장하며, 신이 모세를 파라오와 하만에게 보내 유일신교를 전파하고 이스라엘 백성을 보호하도록 했다.
요세푸스는 저서 『유대 고대사』에서 70인역 에스더기와 현재는 남아 있지 않은 다른 그리스 및 유대 자료를 바탕으로 하만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에스더기 (칠십인역)으로 알려진 에스더기의 그리스어 버전은 하만을 "마케도니아인"으로 언급하며 페르시아의 "이방인"으로 묘사한다.[29]
셉투아진타와 불가타 성경에서 하만의 처형은 모호하게 묘사되며, 매달기와 십자가형 둘 다를 연상시킨다. 미켈란젤로는 시스티나 성당 천장에 하만의 처형을 프레스코로 묘사했는데, 전형적인 가톨릭 교회의 예수의 십자가형 묘사와 유사한 방식으로 십자가에 매달린 모습이다.
에스더기의 하만 처형에 대한 묘사는 영어 성경 번역본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존 위클리프 성경은 "tre"(나무)와 "iebat"(교수대)를 모두 언급한 반면, 마일스 커버데일은 "galowe"(교수대)를, 제네바 성경은 "tree"(나무)를 사용했지만, 킹 제임스 성경은 "gallows"(교수대)와 "hang"(매달다)을 사용했다.
4. 1. 미드라쉬
하난 바 라바에 따르면, 하만의 어머니는 주요한 네하르데아 집안의 족장으로 보이는 ʿÔrebtî (또는 ʿÔrǝbtāʾ '암까마귀')의 후손인 ʾĂmatlaʾy였다.[12][13]TgEsth1과 TgEsth3은 그를 "하메다다의 아들 하만, 아말렉의 아들 아각의 후손"이라고 부른다. 타르굼 쉐니는 하만의 계보를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하맘메다다의 아들 아각 사람 하만, 아다|아다he의 아들, 비즈나|비즈나he의 아들, 아플리투스|아플리투스he의 아들, Dios의 아들, 조심, 조세프|조심, 조세프he의 아들, Peros의 아들, 함단|함단he의 아들, 탈룐|탈룐he의 아들, 아트니소모스|아트니소모스he의 아들, 하룸|하룸he의 아들, Harsum의 아들, Shegar의 아들, 게나르|게나르he의 아들, Parmashta의 아들, Vaizatha의 아들, 아각의 아들, Sumqar의 아들, 아말렉의 아들, 에서의 아들 엘리바스의 첩의 아들".[14][15] 아각은 사울 왕 시대에 예언자 사무엘에 의해 처형되었고, 아말렉은 수백 년 전에 살았으므로, 그 사이에 몇 세대가 생략된 것으로 보인다. 미드라쉬 아바 고리온에 따르면, 하만은 또한 "처벌을 받게 될 운명"이었기 때문에 므무간이라고 불렸다.[16]
랍비 전통에서 하만은 악의 전형이자 유대인 박해자로 여겨진다. 그는 페르시아 유대인들을 몰살시키려 시도했고, 그로 인해 그들의 최악의 적이 되었으며, 당연히 많은 탈무드 전설의 중심이 되었다. 한때 극도로 가난했던 그는 모르드개에게 노예로 팔렸다.[17] 그는 케파르 카르줌에서 22년 동안 이발사였다.[18] 하만은 의복에 우상 숭배 이미지를 수놓았고, 그래서 왕의 명령에 따라 그에게 절하는 사람들은 또한 그 이미지에도 절했다.[19]
하만은 또한 점성가였으며, 유대인 학살 시기를 정하려 할 때, 먼저 그 목적에 가장 길한 요일이 무엇인지 점술을 쳤다.[3] 그러나 각 요일은 유대인에게 유리한 어떤 영향 아래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3] 그 후 그는 달을 정하려 했지만, 각 달에도 동일한 사실을 발견했다. 즉, 니산은 과월절 희생 때문에 유대인에게 유리했고, 이아르는 작은 과월절 때문에 유리했다.[3] 그러나 그는 아다르에 이르자 그 별자리가 물고기자리임을 알고 "이제 나는 서로 삼키는 물고기처럼 그들을 삼킬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에스더 라바 7; 타르굼 쉐니 3).[3]
하만에게는 365명의 조언자가 있었지만, 그의 아내 제레스의 조언만큼 좋은 것은 없었다.[3] 그녀는 하만이 모르드개를 위해 교수대를 세우도록 유도했는데, 이것이 그가 그의 적을 이길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확신시켰다. 왜냐하면 지금까지 의로운 자들은 다른 모든 종류의 죽음에서 항상 구출되었기 때문이다.[3] 하만 자신이 교수대에 매달릴 것을 하나님이 미리 보셨으므로, 그는 죽음의 도구로 봉사할 나무를 요청하셨다. 각 나무는 그것이 어떤 거룩한 목적에 사용된다고 선언하면서 하만의 부정한 몸에 의해 더럽혀지는 것을 거부했다. 오직 가시나무만이 변명을 찾을 수 없었고, 따라서 교수대를 위해 스스로를 제공했다 (에스더 라바 9; 미드라쉬 아바 고리온 7 (Buber, Wilna, 1886년 편집); 타르굼 쉐니에서는 이 이야기가 다소 다르게 서술되어 있다).
타르굼 쉐니에 따르면, 그는 예언자 다니엘을 죽였는데, 다니엘은 아하수에로의 통치 시대까지 살았다 (에스더에 대한 타르굼 쉐이니, 4, 11).
4. 2. 쿠란
꾸란(이슬람교의 주요 경전)에서 '''하만'''(هامان|Hāmānar)은 출애굽기의 파라오와 관련된 인물로 언급된다. 이슬람은 서기 610년에 시작되었다. 맥컬리프의 꾸란 백과사전(McAuliffe's Encyclopaedia of the Qurʾān)을 비롯한 여러 자료에 따르면 "하만"은 이집트어 "Ha-Amana"의 아랍어화된 형태라고 한다.[20][21] 무하마드 아사드는 그의 저서 "[꾸란의 메시지]"(The Message of The Qur'an)에서 하만이 아문 대제사장 hm.ntr 칭호의 첫 글자를 줄여 쓴 Ha-Amen이라고 주장했다.[22]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꾸란에 나오는 하만이 이름이 아닌 이집트 칭호이며, 성경 속 인물과 같다는 이론에 동의하지 않는다.[23][24]하만은 꾸란 전체에 걸쳐 여섯 번 등장하며,[25] 네 번은 파라오와 함께, 두 번은 단독으로 등장한다.[26] 여기서 신은 모세를 파라오, 하만, 그리고 그들의 백성들에게 보내 유일신교를 전파하고, 하만과 파라오가 고통을 주고 있던 이스라엘 백성을 보호하도록 했다. 파라오는 모세를 마법사이자 거짓말쟁이라고 칭하며, 모세가 섬기는 신을 숭배하라는 요청을 거부하고 이스라엘 아이들을 풀어주기를 거부했다. 파라오는 하만에게 구운 벽돌로 높은 탑을 건설하여 파라오가 올라가 모세의 신을 볼 수 있도록 지시했다. 파라오, 하만, 그리고 그들의 전차를 탄 군대는 도망치는 이스라엘 아이들을 뒤쫓다가 갈라진 물이 그들을 덮치면서 홍해에서 익사했다. 죽음의 순간과 완전한 파멸 속에서 파라오가 신에게 복종하는 것은 거부되었지만, 그의 시체는 후세를 위한 교훈으로 남겨졌고 미라로 만들어졌다.[27]
4. 3. 요세푸스
요세푸스는 자신의 저서인 『유대 고대사』에서 하만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요세푸스의 이야기는 70인역 에스더기와 현재는 남아 있지 않은 다른 그리스 및 유대 출처에서 가져온 것이다.4. 4. 70인역 (셉투아진타)
에스더기 (칠십인역)으로 알려진 에스더기의 그리스어 버전은 하만을 다음과 같이 독특하게 묘사한다.[28]- 하만은 "마케도니아인"으로 언급되며 페르시아의 "이방인"으로 묘사된다.[29] 이러한 특징은 그를 외부인이며 진정한 페르시아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낸다.
- 하만은 페르시아의 주권을 마케도니아인에게 넘기려 음모를 꾸몄다고 비난받는 반면, 유대인들은 왕에 의해 "충성스러운 페르시아인"으로 불린다.[30] 이는 하만을 불충하고 페르시아에 대항하는 음모를 꾸미는 자로 묘사한다.
- 다양한 구절에서 하만은 "아각 사람"(아말렉 사람),[31] "곡 사람"(저주받은 도시 곡에서 유래), "에부게이오스"(설명되지 않은 용어),[32] 그리고 "부게안"으로 불린다.[33] 이러한 꼬리표는 하만을 외국인이자 적으로 더욱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
- 이 텍스트는 하만이 하나님의 멸망 명령을 받은 악의 전형인 성경 속 아말렉 사람들을 대표한다고 시사한다.[34] 따라서 하만은 하나님의 왕국의 최종 종말론적 승리 때까지 유대인들이 모든 세대에서 맞서 싸워야 하는 악을 상징한다.[35]
4. 5. 불가타 성경
셉투아진타와 마찬가지로 하만의 처형은 모호하며, 매달기와 십자가형 둘 다를 연상시킨다. 셉투아진타에서 ''xylon''(ξύλον|xulon|나무grc)으로 묘사된 50큐빗짜리 물체는 "lignum|나무la"라고 모호하게 언급된다. 또한, 에스테르기 7장 10절의 불가타 번역은 하만의 운명을 설명하면서 십자가형에서 가로대를 설명하기 위해 다른 곳에서 사용된 patibulumla을 언급한다: suspensus est itaque Aman in patibulo quod paraverat Mardocheo|lit=그러므로 하만은 모르드개를 위해 준비한 ''patibulum''에 매달렸다|label=없음la.[36] 시스티나 성당 천장 구석에는 미켈란젤로가 그린 하만의 처형에 대한 프레스코 묘사가 있다. 하만은 전형적인 가톨릭 교회의 예수의 십자가형 묘사와 유사한 방식으로 십자가에 매달려 있으며, 다리는 벌어져 있고 장치는 50큐빗보다 짧은 자연적인 나무와 유사하다.
4. 6. 영어 번역
에스더기의 하만 처형에 대한 묘사는 영어 성경 번역본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존 위클리프 성경은 "tre"(나무)와 "iebat"(교수대)를 모두 언급한 반면, 마일스 커버데일은 "galowe"(교수대)를 선호했다.[36] 제네바 성경은 "tree"(나무)를 사용했지만, 킹 제임스 성경은 "gallows"(교수대)와 "hang"(매달다)을 가장 일반적인 번역으로 확립했고, 두에-레임스 성경은 나중에 "gibbet"(교수대)를 사용했다.[36] 영의 문자적 번역은 "tree"(나무)와 "hang"(매달다)을 사용했다. 신 국제 버전, 공동 영어 성경, 새로운 생명의 번역은 모두 ויתלו|비탈루he에 대해 "impale"(말뚝에 꿰다)를, העץ|하에츠he에 대해 "pole"(기둥)을 사용한다.[37][38]5. 신으로서의 하만
야콥 호스칸더는 하만과 그의 아버지 하메다다의 이름이 스트라본에 의해 제라시에 있는 아나히타와 함께 숭배받는 '오마누스'와 '아나다투스'로 언급되었다고 주장했다. 호스칸더는 만약 연관성이 정확하다면 하만이 고유 명사가 아닌 제사장 칭호일 수 있다고 제안한다.[39] 스트라본의 이름은 페르시아 텍스트에서는 신으로 나타나지 않지만, 탈무드[39]와 요세푸스[40]는 에스더 3:2에서 신하들이 하만에게 굴복하는 묘사를 숭배로 해석한다(다른 학자들은 "오마누스"가 보후 마나를 가리킨다고 추정한다).[41][42][43]
6. 푸림절 전통
유대교의 푸림 축제는 유대인의 구원과 하만의 패배에 대한 이야기를 기념한다. 그 날, 에스더서를 공개적으로 낭독하며 하만의 이름이 언급될 때마다 많은 소음과 소동이 일어난다. 다양한 소음기(''그라거'')를 사용하여 메길라를 낭독하는 동안 하만의 이름을 "지움"으로써 하만을 경멸하는 감정을 표현한다. 하멘타셴|hamentashenyi('하만의 주머니'를 뜻하는 이디시어, 히브리어로는 אזני המן|ozney Hamanhe, '하만의 귀'로 알려짐)이라는 과자를 이 날 전통적으로 먹는다.[44][45]
7. 문학과 대중문화
단테의 《신곡》을 비롯하여 마거릿 미첼의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애거사 크리스티의 ''스타일스 저택의 비밀'', 피터 경 소설 ''나인 테일러즈'' 등 여러 소설에서 하만이 언급되었다. 또한, ''아라비안 나이트의 스쿠비 두!'', ''사우스 파크'' 에피소드 "Jewbilee", 영화 ''왕과 함께한 하룻밤'', 어린이 애니메이션 ''가장 위대한 모험: 성경 이야기'', ''VeggieTales'' 등 다양한 영상 매체에서도 하만이 등장한다.[46][4]
7. 1. 단테의 신곡
단테의 《신곡》 연옥 17곡 시작 부분에 하만이 처형되는 순간이 등장한다. 이 이미지는 단테-순례자라는 인물에게 주어진 자발적인 환상의 형태로 나타나며, 그 목적은 하만의 고발자들인 아하수에로, 에스더, 모르드개를 의로운 분노의 상징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이 신성한 영감으로 만들어진 환상에서, 허구의 단테는 하만을 "''un crucifisso''" 즉 십자가형을 겪는 사람으로 본다.[46]7. 2. 소설
마거릿 미첼의 소설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1936)에서 레트 버틀러가 감옥에서 교수형을 당할 위기에 처했을 때 하만이 언급된다.[4]애거사 크리스티의 소설 ''스타일스 저택의 비밀''에서 살인 사건을 조사하는 푸아로가 "그를 하만만큼 높이 매달겠다"고 말하는 장면에서 하만이 언급된다.[4]
피터 경 소설 ''나인 테일러즈''에서 피터 경은 희생자 제프리 디콘이 종을 울리는 과정에서 실수로 죽었다는 사실을 밝히면서, 그의 살인자들이 이미 "하만보다 훨씬 높이" 매달려 있다고 선언한다.[4]
7. 3. 영상 매체
하만은 1994년 텔레비전 영화 ''아라비안 나이트의 스쿠비 두!''의 "알리야-딘" 부분에서 술탄의 악한 재상으로 묘사된다.1999년 ''사우스 파크'' 에피소드 "Jewbilee"의 주요 적대자로 등장하며, 여기서는 유대인들을 다시 지배하기 위해 인간 세상으로 재진입을 시도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제임스 칼리스가 미국 장편 영화 ''왕과 함께한 하룻밤(2006)''에서 이 캐릭터를 연기했다.
하만의 성경 이야기를 다룬 미국의 어린이 텔레비전 애니메이션으로는, Werner Klemperer가 목소리를 연기한 시리즈 ''가장 위대한 모험: 성경 이야기''(1985-1992)의 "에스더 여왕" 에피소드와 컴퓨터로 제작된 시리즈 ''VeggieTales''(2000)의 "여왕이 된 소녀 에스더" 에피소드에서 "Mr. Lunt"가 그를 연기한 것이 있다.
참조
[1]
논문
The Book of Esther in the Light of History
https://archive.org/[...]
1918
[2]
웹사이트
Esther 3 Cambridge Bible for Schools and Colleges
https://biblehub.com[...]
[3]
간행물
HAMAN THE AGAGITE
http://www.jewishenc[...]
2017-02-13
[4]
문서
Encyclopaedia Judaica CD-ROM Edition 1.0 1997, Haman
[5]
서적
The Book of Esther between Judaism and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Esther 3
https://www.sefaria.[...]
[7]
웹사이트
Esther 7:2
https://www.sefaria.[...]
[8]
웹사이트
Esther 7:9
https://www.sefaria.[...]
[9]
웹사이트
Esther 9:6
https://www.sefaria.[...]
[10]
웹사이트
Esther 9:16
https://www.sefaria.[...]
[11]
문서
Purim and the Persian Empire
[12]
문서
Bava Batra 91a, Ein Yaakov
[13]
문서
Qiddushin 70b
[14]
웹사이트
The Comprehensive Aramaic Lexicon
http://cal.huc.edu/s[...]
2021-03-01
[15]
서적
A Critical and Exegetical Commentary on the Book of Esther
https://books.google[...]
Charles Scribner
1908
[16]
웹사이트
Memuchan is Haman: Explaining a Classic Purim Medrash
https://dafaleph.com[...]
2016-03-24
[17]
문서
Megillah 15a
[18]
문서
Megillah 16a
[19]
문서
Esther Rabbah
[20]
문서
Hāmān
[21]
서적
The Message of the Qur'ān
https://quran-archiv[...]
Dar al-Andalus
1980
[22]
서적
The Message of the Qur'ān
https://quran-archiv[...]
Dar al-Andalus
1980
[23]
문서
Veiling Esther, Unveiling Her Story: The Reception of a Biblical Book in Islamic Lands
Oxford University Press
[24]
문서
The Qur'an and the Bible: Text and commentary
Yale University Press
[25]
서적
The A to Z of Prophets in Islam and Judaism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21-09-23
[26]
웹사이트
Search Quran – Search haman in Quran القران الكريم in English translation by Mohsin Khan – all words
https://www.searchtr[...]
[27]
웹사이트
Quran, Surah 10:92, note: the phrases 'we will save you' (nunajjīka نُنَجِّيكَ) & 'that you may be' (litakūna لِتَكُونَ) are all written (addressed to) in the second person singular, thus grammatically speaking there is one person addressed, namely Pharaoh, as evident in the preceding verses (Surah 10:90–91)
http://corpus.quran.[...]
[28]
웹사이트
HAMAN IN THE BOOK OF ESTHER
[29]
문서
Esther 16:10
[30]
문서
Esther 8:12-14
[31]
문서
Esther 3:1, 8:3, 9:10, 9:24
[32]
문서
Esther 9:24 (Codex Sinaiticus)
[33]
문서
Additions to Esther 12:6
[34]
문서
Exodus 17:8-16, Numbers 24:7, Deuteronomy 25:17-19, 1 Samuel 15, 1 Chronicles 4:42-43
[35]
문서
Midrash Shoḥer Tov 9:10
[36]
웹사이트
Esther 7:9–10, Apostolic Polyglot Bible English
https://studybible.i[...]
2020-04-05
[37]
웹사이트
Compare translations Esther 7:9
https://www.biblestu[...]
2020-04-05
[38]
웹사이트
Compare translations Esther 7:10
https://www.biblestu[...]
2020-04-05
[39]
웹사이트
Sanhedrin 61b
https://www.sefaria.[...]
2021-02-17
[40]
웹사이트
Josephus: Antiquities of the Jews, Book XI
https://penelope.uch[...]
2021-02-17
[41]
서적
Text, Theology, and Trowel: New Investigations in the Biblical World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42]
서적
Handbuch der Orientalistik: Der Nahe und der Mittlere Osten
https://books.google[...]
Brill
1991
[43]
서적
Zoroastrian Theology: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Present Day
https://books.google[...]
s.l.
1914
[44]
서적
Esther
Doubleday
1971
[45]
간행물
Esther, Book of
Doubleday
1992
[46]
문서
Divina Commedia
[47]
성경
에스더서 3장 1절
[48]
성경
에스더서 3장 1절
[49]
성경
에스더서 7장 9절 - 10절
[50]
성경
에스더서 4장 3절
[51]
성경
에스더서 4장 14절
[52]
성경
에스더서 5장 6절
[53]
성경
에스더서 6장 10절
[54]
성경
에스더서 7장 6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