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플로그룹 C (Y-DNA)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플로그룹 C (Y-DNA)는 현생 인류가 아프리카를 벗어나 동아시아, 오세아니아, 아메리카 대륙으로 이동하면서 기원한 Y 염색체 하플로그룹이다. 하플로그룹 C는 약 6만 년 전에 하플로그룹 CT에서 파생되었으며, 중앙아시아 또는 동남아시아에서 기원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하플로그룹은 시베리아, 동아시아 일부, 오세아니아, 아메리카 대륙의 인구에서 주로 발견되며, 하위 계통으로는 C1, C2 등이 있다. 하플로그룹 C는 다양한 지역과 인종 집단에서 발견되며, 특히 몽골인과 아메리카 원주민에게서 높은 빈도로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류 Y-DNA 하플로그룹 - 하플로그룹 K (Y-DNA)
    하플로그룹 K는 약 47,000~50,000년 전 중동 또는 중앙아시아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정되는 Y-염색체 DNA 하플로그룹으로, 하위 계통인 L, T, NO, M, S, P 등을 통해 유라시아, 오세아니아, 아메리카 대륙 등 전 세계에 분포한다.
  • 인류 Y-DNA 하플로그룹 - Y염색체 아담
    Y염색체 아담은 현존하는 모든 인류의 부계 혈통을 따라 올라갈 때 만나는 가장 최근의 공통 조상을 지칭하는 비유적인 용어이며, 단 한 명의 남성이 아닌 Y염색체에 돌연변이가 발생하기 이전의 남성 집단을 의미한다.
하플로그룹 C (Y-DNA)
개요
명칭하플로그룹 C (Y-DNA)
다른 명칭Haplogroup C-M130
기원
기원 시기53,000년 전
기원 장소서남아시아, 아프리카에서 기원
조상CF
자손C1 F3393/Z1426 (이전 CxC3)
C2 (이전 C3*) M217
주요 변이M130/RPS4Y711, P184, P255, P260
분포
하플로그룹 C (Y-DNA) 분포 (2017)
하플로그룹 C (Y-DNA) 분포 (2017)
하플로그룹 C의 확산 경로
하플로그룹 C의 확산 경로

2. 기원

하플로그룹 C-M130은 현생 인류가 아프리카를 벗어나 서남아시아에서 동쪽으로 퍼져나가면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남아시아, 동아시아, 오세아니아에 점차 정착하면서 기원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시베리아를 통과하는 북부 경로와 인도와 동남아시아 해안을 따라 중국으로 이동했다는 남부 경로 가설이 존재한다.[2] 최초로 SNP 돌연변이 M168이 발생하여 현대 하플로그룹 CT가 생겨난 직후에 나타난 것으로 보이며, 여기에서 하플로그룹 CF가 파생되었고, 이어서 하플로그룹 C가 파생되었다. 이는 약 6만 년 전에 일어난 일이다.[2]

카자흐스탄, 몽골, 러시아 극동, 폴리네시아, 특정 호주 원주민 집단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나며, 한국만주족에서도 중간 빈도로 나타난다. 따라서 중앙아시아 또는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기원했거나, 가장 오랜 기간 진화가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동아시아로의 확산은 약 4만 년 전에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2]

하플로그룹 D-M174는 하플로그룹 C-M130보다 하플로그룹 E와 더 밀접하며, 이 둘의 지리적 분포는 완전히 다르다. 하플로그룹 C-M130은 카자흐인, 몽골인, 일부 아메리카 원주민, 만주족 사이에서 높은 빈도로 발견된다. 또한 한국인, 러시아 극동의 원주민, 특정 호주 원주민 집단에서 중간 빈도로 발견되며, 아시아와 오세아니아 전역에서 중간 빈도로 발견된다. 반면 하플로그룹 D는 티베트인, 일본인, 안다만 섬 원주민 사이에서만 높은 빈도로 발견되며, 인도나 아메리카 또는 오세아니아 원주민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6]

사키타니 등의 연구에 따르면, 하플로그룹 C-M130은 중앙아시아에서 기원하여 유라시아와 호주의 일부 지역으로 퍼져나갔다. C-M130은 동부 유라시아의 수렵 채집인과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유럽의 고대 표본에서도 발견된 것으로 추정된다.[7]

2. 1. 이주 경로

현생 인류가 아프리카를 벗어나 서남아시아에서 동쪽으로 퍼져나가 남아시아, 동아시아, 오세아니아에 점차 정착하면서 하플로그룹 C-M130이 기원했을 가능성이 높다. 이와 관련한 이주 경로는 여러 가설이 존재한다. 시베리아를 통과하는 북부 경로를 지지하는 연구가 대부분이지만, 하플로그룹 C의 보균자가 인도와 동남아시아 해안을 따라 중국으로 이동했다는 남부 경로 가설을 지지하는 연구도 있다.[2]

하플로그룹 C-M130은 최초로 SNP 돌연변이 M168이 발생하여 현대 하플로그룹 CT가 생겨난 직후에 나타난 것으로 보이며, 여기에서 하플로그룹 CF가 파생되었고, 이어서 하플로그룹 C가 파생되었다. 이는 최소 6만 년 전에 일어난 일이며, 동아시아로의 확산은 약 4만 년 전에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2]

C-M130을 보유한 남성은 약 6,000~8,000년 전에 아메리카 대륙으로 이주했으며, 나데네어족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북아메리카 북서 태평양 해안으로 이주하면서 전파되었다고 여겨진다.

사키타니 미쓰루는 현생 인류가 아프리카를 떠난 후 남쪽, 북쪽, 서쪽의 3방향으로 확산되었으며, Y 염색체 하플로그룹 C의 하위 계통은 각각 나뉘어 별도의 경로를 진행했다고 주장한다.[72]

  • 남쪽 경로: C1b2 (C-B477)
  • 북쪽 경로: C2 (C-M217), C1a1 (C-M8)
  • 서쪽 경로: C1a2 (C-V20/V184)

3. 분포

하플로그룹 C-M130의 분포는 주로 시베리아, 동아시아 일부, 오세아니아 및 아메리카 대륙의 인구에서 나타난다.[2] 많은 돌연변이가 축적되면서, 지역적으로 중요한 하위 분기들이 확인되었다. 남아시아, 중앙아시아, 서남아시아, 인도, 네팔,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아라비아, 북부 중국, 유럽 등에서도 낮은 빈도로 검출되었다.[2][10]

2002년 이전 학술 문헌의 Y 염색체 계통수 명명 체계는 7개나 되어 혼란을 야기했다. 2002년 주요 연구 그룹들이 Y 염색체 컨소시엄(YCC)을 결성하여 단일 새 트리를 만들었다.

YCC 2002/2008 (약칭)(α)(β)(γ)(δ)(ε)(ζ)(η)YCC 2002 (전체)YCC 2005 (전체)YCC 2008 (전체)YCC 2010r (전체)ISOGG 2006ISOGG 2007ISOGG 2008ISOGG 2009ISOGG 2010ISOGG 2011ISOGG 2012
C-M21610V1F16Eu6H1C*CCCCCCCCC
C-M810V1F19Eu6H1CC1C1C1C1C1C1C1C1C1C1
C-M3810V1F16Eu6H1CC2*C2C2C2C2C2C2C2C2C2
C-P3310V1F18Eu6H1CC2aC2aC2a1C2a1C2aC2aC2a1C2a1C2a1제거됨제거됨
C-P4410V1F17Eu6H1CC3*C3C3C3C3C3C3C3C3C3
C-M9310V1F17Eu6H1CC3aC3aC3aC3aC3aC3aC3aC3aC3a1
C-M20810V1F17Eu6H1CC3bC2bC2aC2aC2bC2bC2aC2aC2aC2a
C-M21036V1F17Eu6H1CC3cC2cC4aC4aC4bC4bC4aC4aC4aC4a
C (C-M130)C1 (C-F3393)C1a (C-CTS11043)C1a1 (C-M8)C1a2 (C-V20/V184)C1a2a (C-V182)C1a2a1 (C-V222)C1a2a2 (C-Y11325/Z29329)C1a2b (C-Z38888)C1b (C-F1370)C1b1C1b1aC1b1a1C1b1a1a (C-M356)C1b1a1b (C-Z16582)C1b1a2 (C-B65)C1b1b (C-B68)C1b2 (C-B477)C1b2a (C-M38)C1b2b (C-M347)C2 (C-M217)C2a (C-L1373)C2b (C-F1067)


3. 1. 지역별 분포

하플로그룹 C-M130은 아프리카를 벗어나 동쪽으로 이동한 인류가 남아시아, 동아시아, 오세아니아에 정착하면서 기원했을 가능성이 높다. 시베리아를 통과하는 북부 경로와 인도와 동남아시아 해안을 따라 중국으로 이동했다는 남부 경로 가설이 존재한다.[2]

하플로그룹 C-M130은 SNP 돌연변이 M168 발생 이후 하플로그룹 CT, 하플로그룹 CF를 거쳐 파생되었으며, 이는 약 6만 년 전에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카자흐스탄, 몽골, 러시아 극동, 폴리네시아, 호주 원주민, 한국, 만주족 등에서 나타나며, 중앙아시아 또는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기원했거나 오랜 기간 진화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동아시아로의 확산은 약 4만 년 전에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2]

C-M130을 보유한 남성은 약 6,000~8,000년 전에 아메리카 대륙으로 이주했으며, 나데네어족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북아메리카 북서 태평양 해안으로 이주하면서 전파되었다고 여겨진다.

하플로그룹 D-M174는 하플로그룹 E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C-M130과 D-M174의 지리적 분포는 다르다. 하플로그룹 C-M130의 다양한 하위 유형은 카자흐인, 몽골인, 아메리카 원주민, 만주족, 한국인, 러시아 극동 원주민, 호주 원주민 등에서 발견된다. 일본의 후기 조몬인과 일부 구석기 시대 및 신석기 시대 유럽인 사이에서 하플로그룹 C 보균자는 C1a, C1b 및 C1a2를 보유했다. 하플로그룹 D는 티베트인, 일본인, 안다만 섬 원주민 사이에서만 높은 빈도로 발견되며, 인도나 아메리카 또는 오세아니아 원주민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6]

하플로그룹 C-M130은 중앙아시아에서 기원하여 유라시아와 호주의 일부 지역으로 퍼져나갔으며, 동부 유라시아의 수렵 채집인과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유럽의 고대 표본에서도 발견된다.[7]



하플로그룹 C-M130은 시베리아, 동아시아 일부, 오세아니아 및 아메리카 대륙의 인구에 주로 분포한다.

원주민 호주인 남성의 최대 46%가 기저 C* (C-M130*), C1b2b* (C-M347*) 또는 C1b2b1 (C-M210)을 보유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13]

낮은 수준의 C-M130*은 인도 아대륙, 스리랑카, 동남아시아[10], 유럽 (스페인 카탈루냐 가롯사 출신 Llach 성씨 남성)[15] 등에서 발견된다.

기저 C1a* (CTS11043)는 구석기 시대 유럽인 (오리냐크 문화 시대)인 GoyetQ116-1과 Pestera Muerii2에서 발견되었다.[16] C1b는 러시아에서 발견된 34,000년 전의 선사 시대 유물인 "코스텐키 14"에서 확인되었다.[17]

하플로그룹 C2 (M217)는 중앙 유럽과 터키에서 콜롬비아, 베네수엘라와유까지, 알래스카의 아타바스칸어족부터 베트남, 말레이 제도까지 뻗어 있다. 동유럽에서는 낮은 농도로 발견되며, 부랴트족, 다우르족, 하자라족, 이텔멘족, 칼미크족, 코랴크족, 만주족, 몽골인, 오로첸족, 시베족에서 높은 빈도로 발견된다. 퉁구스족, 한국인, 아이누족, 니브흐족, 알타이족, 투바족, 우즈베크족, 한족, 투자족, 하니족, 후이족에게서 중간 분포를 보인다.[18][30][19][32][35][20][21] 아메리카 원주민에게서 발견되는 하플로그룹 C-M130의 유일한 변종이며, 나데네어족 인구에서 가장 높은 빈도에 도달한다.

다른 하위 분기는 특정 인구에 특화되어 있으며, 매우 낮은 빈도로 나타난다.

C-M130의 지정되지 않은 사례는 다음과 같다.

  • 필리핀 소수 민족, 아넘 랜드, 누사 틍가라, 수마트라, 파푸아뉴기니 해안, 몰루카스, 자바, 피지 등에서 C-M130(xM38, 390.1del, M217)이 발견되었다.[39]
  • 인도네시아 동누사틍가라주와 동티모르 인구에서 C-RPS4Y (현재 C-RPS4Y711) (xM38) Y-DNA가 매우 흔하다.[40]
  • 중앙 인도네시아의 대부분 인구에서 C-RPS4Y (현재 C-RPS4Y711) (xM38, M217) Y-DNA가 비교적 높은 빈도로 발생한다.[41]
  • 중국 중남부 바마의 야오족, 북서부 중국의 후이족위구르족, 중국 동북부의 헤제족 및 에벤키족에서 C-RPS4Y711(xM8, M217) Y-DNA가 발견되었다.[18]
  • 원주민 호주인, 야오족, 투자족, 미크로네시아인, 동부 인도네시아인, 서부 인도네시아인, 스리랑카인, 말레이인, 인도인, 파푸아뉴기니인, 먀오족, 위구르족 표본에서 C-RPS4Y711(xM8, M38, M217)이 발견되었다.[30]
  • 광시 뮬라오족, 닝샤 후이족, 광시 야오족, 후베이 투자족, 구이저우 수이족, 신장 시베족, 광시 좡족, 구이저우 부이족, 구이저우 한족, 윈난 한족 표본에서 C-M130(xM8, M38, M217, M347, M356, P55) Y-DNA가 발견되었다.[3]
  • 아프가니스탄 쿤두즈의 파슈툰족, 아프가니스탄 바미안의 하자라족 표본에서 C-M130(xC2-PK2/M386, C1b1a1-M356)이 발견되었다.[42]
  • 중국 쓰촨성 단바현의 호르파 치앙족, 중국 쓰촨성 신룽현의 캄 티베트족 표본에서 C-M130(xM105, M38, M217, M347, M356)이 발견되었다.[43]
  • 네팔 카트만두 일반 인구 표본에서 "C-M216" (C-M130 – (xM8, M38, M217, M210, M356)과 동의어)이 발견되었다.[44]


2002년 이전 학술 문헌의 Y 염색체 계통수 명명 체계는 7개나 되어 혼란을 야기했다. 2002년 주요 연구 그룹들이 Y 염색체 컨소시엄(YCC)을 결성하여 단일 새 트리를 만들었다.

YCC 2002/2008 (약칭)(α)(β)(γ)(δ)(ε)(ζ)(η)YCC 2002 (전체)YCC 2005 (전체)YCC 2008 (전체)YCC 2010r (전체)ISOGG 2006ISOGG 2007ISOGG 2008ISOGG 2009ISOGG 2010ISOGG 2011ISOGG 2012
C-M21610V1F16Eu6H1CC*CCCCCCCCC
C-M810V1F19Eu6H1CC1C1C1C1C1C1C1C1C1C1
C-M3810V1F16Eu6H1CC2*C2C2C2C2C2C2C2C2C2
C-P3310V1F18Eu6H1CC2aC2aC2a1C2a1C2aC2aC2a1C2a1C2a1제거됨제거됨
C-P4410V1F17Eu6H1CC3*C3C3C3C3C3C3C3C3C3
C-M9310V1F17Eu6H1CC3aC3aC3aC3aC3aC3aC3aC3aC3aC3a1
C-M20810V1F17Eu6H1CC3bC2bC2aC2aC2bC2bC2aC2aC2aC2a
C-M21036V1F17Eu6H1CC3cC2cC4aC4aC4bC4bC4aC4aC4aC4a
C (C-M130)C1 (C-F3393)C1a (C-CTS11043)C1a1 (C-M8)C1a2 (C-V20/V184)C1a2a (C-V182)C1a2a1 (C-V222)C1a2a2 (C-Y11325/Z29329)C1a2b (C-Z38888)C1b (C-F1370)C1b1C1b1aC1b1a1C1b1a1a (C-M356)C1b1a1b (C-Z16582)C1b1a2 (C-B65)C1b1b (C-B68)C1b2 (C-B477)C1b2a (C-M38)C1b2b (C-M347)C2 (C-M217)C2a (C-L1373)C2b (C-F1067)



주로 일본(약 5% ~ 6%), 특히 오키나와현(평균 약 9%, 4.4% ~ 16.7%)에서 관찰되는 C1a1 (C-M8)은 한국, 조선 및 중국에서도 드물게 발견된다.[73][74][75]

유럽[76], 알제리[77], 아르메니아인[78], 네팔[79]에서 약간 발견되는 C1a2 (C-V20/V184)는 유럽 최고층, 크로마뇽인의 유형이다.

C1a2a (C-V182)의 하위 그룹은 다음과 같다.


  • C1a2a1 (C-V222): 영국(에식스, 스코틀랜드, 북아일랜드), 이탈리아(칼라브리아주크로토네현), 그리스, 헝가리, 우크라이나(리비우주)
  • C1a2a2 (C-Y11325/Z29329): 스페인(발렌시아주카스테욘현), 폴란드(포토카르파츠주)
  • C1a2b (C-Z38888): 알제리, 아르메니아인


C1b (C-F1370)의 하위 그룹은 다음과 같다.

C2 (C-M217)의 하위 그룹은 다음과 같다.

4. 하위 계통

Haplogroup C-M130영어의 하위 계통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C* (M130/Page51/RPS4Y711, M216)'''

  • * '''C1 (F3393)'''

  • ** '''C1a (CTS11043)'''

'''C1a1 (M8)'''
* '''C1a1a (P121)'''
** '''C1a1a1 (CTS6678)'''
** '''C1a1a2 (Z1356)'''
'''C1a2 (V20)''' (이전 C6)
* '''C1a2a (V222)'''
* '''C1a2b (Z29329)'''

  • ** '''C1b (F1370)'''

'''C1b1 (K281)'''
* '''C1b1a (B66/Z16458)'''
** '''C1b1a1 (M356)''' (이전 C5)
** '''C1b1a2 (B65)'''
'''C1b2 (B477/Z31885)'''
* '''C1b2a (M38)''' (이전 C2)
** '''C1b2a1 (M208)'''
*** '''C1b2a1a (P33)'''
*** '''C1b2a1b (P54)'''
* '''C1b2b (M347)''' (이전 C4)
** '''C1b2b1 (M210)'''

  • * '''C2 (M217)''' (이전 C3)

  • ** '''C2a (M93)'''

  • ** '''C2b (L1373, F1396)'''

'''C2b1'''
* '''C2b1a'''
** '''C2b1a1'''
*** '''C2b1a1a (P39)'''
*** '''C2b1a2 (M48)''' (이전 C3c)

  • ** '''C2c (C-F1067)'''

'''C2c1 (F2613/Z1338)'''
* '''C2c1a (Z1300)'''
** '''C2c1a1'''
*** '''C2c1a1a'''
'''C2c1a1a1 (M407)'''

  • '''''기타, 분류되지 않은 하위 계통''''':

  • ** '''C-P343''': C1a1 (M8), C1b2a (M38), C1b1a1 (M356) (이전 C5), C1b2b (M347) (이전 C4), C2 (M217) (이전 C3) 외, 다른 분기와의 관계는 아직 검증되지 않았다.[83]

  • ** '''C-P55''': C1b2a (M38) 외, 다른 분기들과의 관계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84]


(위의 계통수는 ISOGG 2015 계통수, YCC 2008 계통수 그리고 이후 출판된 연구를 기준으로 한다.[85][86])

5. 계보



'''C* (M130/Page51/RPS4Y711, M216)'''


  • '''C1 (F3393)'''
  • * '''C1a (CTS11043)'''
  • ** '''C1a1 M8'''

'''C1a1a P121'''
* '''C1a1a1 CTS6678'''
* '''C1a1a2 Z1356'''

  • ** '''C1a2 (전 C6) V20'''

'''C1a2a V222'''
'''C1a2b Z29329'''

  • * '''C1b F1370'''
  • ** '''C1b1 K281'''

'''C1b1a B66/Z16458'''
* '''C1b1a1 (전 C5) M356'''
* '''C1b1a2 B65'''

  • ** '''C1b2 B477/Z31885'''

'''C1b2a (전 C2) M38'''
* '''C1b2a1 M208'''
** '''C1b2a1a P33'''
** '''C1b2a1b P54'''
'''C1b2b (전 C4) M347'''
* '''C1b2b1 M210'''

  • '''C2 (전 C3) M217'''
  • * '''C2a M93'''
  • * '''C2b L1373, F1396'''
  • ** '''C2b1'''

'''C2b1a'''
* '''C2b1a1'''
** '''C2b1a1a P39'''
* '''C2b1a2 (전 C3c) M48'''

  • * '''C2c C-F1067'''
  • ** '''C2c1 F2613/Z1338'''

'''C2c1a Z1300'''
* '''C2c1a1'''
** '''C2c1a1a'''
*** '''C2c1a1a1 M407'''

  • '''기타, 분류되지 않은 하위 계통'''
  • * '''C-P343''': C1a1 (M8), C1b2a (M38), C1b1a1 (전 C5; M356), C1b2b (전 C4; M347), 그리고 C2 (ex-C3; M217)의 밖이나, 다른 분기와의 관계는 아직 검사되지 않았다.[83]
  • * '''C-P55''': C1b2a (M38)의 밖이나, 다른 분기들과의 관계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84]


(위의 계통수는 ISOGG 2015 계통수, YCC 2008 계통수 그리고 이후 출판된 연구를 기준으로 한다.[85][86])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인류 Y-염색체 DNA (Y-DNA) 하플로그룹 계보'''

|-

! Y-염색체 아담

|-

| A

|-

|

A1bA1a-T



|-

|

A1aA2-T



|-

|

A2A3BT



|-

|



|-

|

DECF



|-

|



|-

|

GHIJK



|-

|

IJK



|-

|

IJLTK(xLT)



|-

|

I1I2J1J2LTMNOPS



|-

|



|-

|

O1O2R1R2



|-

|

O1aO1bR1aR1b



|-

|

O1b1O1b2



|-

|인구에 따른 Y 염색체 하플로그룹 · 역사적 인물들의 하플로그룹 목록

|}

6. 저명한 인물

청나라 황실인 아이신 교로 씨족은 하플로그룹 C3b1a3a2-F8951에 속하는데, 이는 C3*-스타 클러스터(현재 C3b1a3a1-F3796)의 형제 분파이다.[45]

참조

[1] 서적 DNA・考古・言語の学際研究が示す新・日本列島史 勉誠出版 2009
[2] 논문 Global distribution of Y-chromosome haplogroup C-M130 reveals the prehistoric migration routes of African exodus and early settlement in East Asia 2010-07
[3] 문서
[4] 웹사이트 ISOGG 2018 Y-DNA Haplogroup C http://www.isogg.org[...]
[5] 서적 DNA・考古・言語の学際研究が示す新・日本列島史 勉誠出版 2009
[6] 서적 DNA・考古・言語の学際研究が示す新・日本列島史 勉誠出版 2009
[7] 서적 DNA・考古・言語の学際研究が示す新・日本列島史 勉誠出版 2009
[8] 논문 Isolation, contact and social behavior shaped genetic diversity in West Timor
[9] 논문 Unexpected NRY Chromosome Variation in Northern Island Melanesia
[10] 웹사이트 Y-DNA Haplogroup C and its Subclades – 2015 http://www.isogg.org[...] 2015-09-15
[11] 논문 New binary polymorphisms reshape and increase resolution of the human Y chromosomal haplogroup tree http://www.genome.or[...]
[12] 논문 Inferring human history in East Asia from Y chromosomes
[13] 논문 Antiquity and diversity of aboriginal Australian Y-chromosomes
[14] 논문 Revealing the prehistoric settlement of Australia by Y chromosome and mtDNA analysis 2007-05
[15] 웹사이트 Cognoms Catalans, n.d., Resultat http://cognoms.upf.e[...] 2015-09-15
[16] 논문 The genetic history of Ice Age Europe
[17] 논문 Genomic structure in Europeans dating back at least 36,200 years http://www2.zoo.cam.[...]
[18] 논문 Male demography in East Asia: a north-south contrast in human population expansion times 2006-04
[19] 논문 Genetic origins of the Ainu inferred from combined DNA analyses of maternal and paternal lineages
[20] 논문 The Eurasian heartland: A continental perspective on Y-chromosome diversity 2001-08
[21] 논문 Genetic evidence for the Mongolian ancestry of Kalmyks 2005-12
[22] 논문 Molecular Dissection of the Basal Clades in the Human Y Chromosome Phylogenetic Tree
[23] 웹사이트 Dienekes' Anthropology Blog: Brown-skinned, blue-eyed, Y-haplogroup C-bearing European hunter-gatherer from Spain (Olalde et al. 2014) http://dienekes.blog[...] 2014-01-26
[24] 간행물 http://biorxiv.org/c[...] 2022-03
[25] 논문 The genetic history of Ice Age Europe
[26] 논문 Mitochondrial and Y-chromosome diversity of the Tharus (Nepal): a reservoir of genetic variation
[27] 논문 Y-chromosome diversity characterizes the Gulf of Oman
[28] 논문 Saudi Arabian Y-Chromosome diversity and its relationship with nearby regions
[29] 논문 New binary polymorphisms reshape and increase resolution of the human Y chromosomal haplogroup tree
[30] 논문 Dual origins of the Japanese: common ground for hunter-gatherer and farmer Y chromosomes
[31] 논문 A Polynesian motif on the Y chromosome: population structure in remote Oceania 2007-10
[32] 논문 Polarity and temporality of high-resolution y-chromosome distributions in India identify both indigenous and exogenous expansions and reveal minor genetic influence of Central Asian pastoralists 2006-02
[33] 논문 Y chromosome sequence variation and the history of human populations 2000-11
[34] 논문 High-resolution SNPs and microsatellite haplotypes point to a single, recent entry of Native American Y chromosomes into the Americas 2004-01
[35] 논문 The dual origin and Siberian affinities of Native American Y chromosomes 2002-01
[36] 논문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prehistoric migrations in Siberia: genetic variation and the origins of Yakuts 2006-10
[37] 논문 "[The origin of Yakuts: analysis of Y-chromosome haplotypes]"
[38] 논문 "Phylogeography of the Y-chromosome haplogroup C in northern Eurasia." 2010
[39] 논문 "Melanesian and Asian Origins of Polynesians: mtDNA and Y Chromosome Gradients Across the Pacific." 2006
[40] 논문 Genetic Admixture History of Eastern Indonesia as Revealed by Y-Chromosome and Mitochondrial DNA Analysis
[41] 논문 Major East–West Division Underlies Y Chromosome Stratification across Indonesia
[42] 웹사이트 Afghan Hindu Kush: Where Eurasian Sub-Continent Gene Flows Converge http://www.plosone.o[...] 2013
[43] 논문 "Genetic Structure of Qiangic Populations Residing in the Western Sichuan Corridor."
[44] 논문 The Himalayas as a Directional Barrier to Gene Flow
[45] 논문 Genetic trail for the early migrations of Aisin Gioro, the imperial house of the Qing dynasty. 2017
[46] 논문 Seeing the wood for the trees: a minimal reference phylogeny for the human Y chromosome
[47] 웹사이트 Y-DNA Haplogroup Tree 2015 http://www.isogg.org[...] International Society of Genetic Genealogy (ISOGG; 2015) 2015-02-01
[48] 문서 Haplogroup A0-T is also known as A-L1085 (and previously as A0'1'2'3'4).
[49] 문서 Haplogroup A1 is also known as A1'2'3'4.
[50] 문서 F-Y27277, sometimes known as F2'4, is both the parent clade of F2 and F4 and a child of F-M89.
[51] 문서 Haplogroup LT (L298/P326) is also known as Haplogroup K1.
[52] 문서 Between 2002 and 2008, Haplogroup T-M184 was known as "Haplogroup K2". That name has since been re-assigned to Haplogroup K2|K-M526, the sibling of Haplogroup LT.
[53] 문서 Haplogroup K2b (M1221/P331/PF5911) is also known as Haplogroup MPS.
[54] 문서 Haplogroup K2b1 (P397/P399) is also known as Haplogroup MS, but has a broader and more complex internal structure.
[55] 문서 Haplogroup P (P295) is also klnown as K2b2.
[56] 웹사이트 K-M2313*, which as yet has no phylogenetic name, has been documented in two living individuals, who have ethnic ties to India and South East Asia. In addition, K-Y28299, which appears to be a primary branch of K-M2313, has been found in three living individuals from India. https://www.yfull.co[...]
[57] 문서 Haplogroup S, as of 2017, is also known as K2b1a. (Previously the name Haplogroup S was assigned to K2b1a4.)
[58] 문서 Haplogroup M, as of 2017, is also known as K2b1b. (Previously the name Haplogroup M was assigned to K2b1d.)
[59] 논문 Seeing the wood for the trees: a minimal reference phylogeny for the human Y chromosome
[60] 웹사이트 Y-DNA Haplogroup Tree 2015 http://www.isogg.org[...] International Society of Genetic Genealogy (ISOGG; 2015) 2015-02-01
[61] 문서 Haplogroup A0-T is also known as A-L1085 (and previously as A0'1'2'3'4).
[62] 문서 Haplogroup A1 is also known as A1'2'3'4.
[63] 문서 F-Y27277, sometimes known as F2'4, is both the parent clade of F2 and F4 and a child of F-M89.
[64] 문서 Haplogroup LT (L298/P326) is also known as Haplogroup K1.
[65] 문서 Between 2002 and 2008, Haplogroup T-M184 was known as "Haplogroup K2". That name has since been re-assigned to Haplogroup K2|K-M526, the sibling of Haplogroup LT.
[66] 문서 Haplogroup K2b (M1221/P331/PF5911) is also known as Haplogroup MPS.
[67] 문서 Haplogroup K2b1 (P397/P399) is also known as Haplogroup MS, but has a broader and more complex internal structure.
[68] 문서 Haplogroup P (P295) is also klnown as K2b2.
[69] 웹사이트 K-M2313*, which as yet has no phylogenetic name, has been documented in two living individuals, who have ethnic ties to India and South East Asia. In addition, K-Y28299, which appears to be a primary branch of K-M2313, has been found in three living individuals from India. https://www.yfull.co[...]
[70] 문서 Haplogroup S, as of 2017, is also known as K2b1a. (Previously the name Haplogroup S was assigned to K2b1a4.)
[71] 기타
[72] 서적 DNA・考古・言語の学際研究が示す新・日本列島史 勉誠出版 2009
[73] 논문 Dual origins of the Japanese: common ground for hunter-gatherer and farmer Y chromosomes 2006
[74] 논문 A study of the geographic distribution of Y chromosomal and mitochondrial DNA haplogroups in Japanese population by Super Science High School Consortium (SSH). 2016
[75] 웹사이트 YFull Haplogroup YTree v5.05 https://www.yfull.co[...] 2017-07-30
[76] 논문 Molecular Dissection of the Basal Clades in the Human Y Chromosome Phylogenetic Tree 2012
[77] 웹사이트 ISOGG Y-DNA Haplogroup C and its Subclades - 2017 https://isogg.org/tr[...] 2017-08-26
[78] 웹사이트 YFull Haplogroup YTree v5.05 https://www.yfull.co[...] 2017-07-30
[79] 논문 The Y-Chromosome Tree Bursts into Leaf: 13,000 High-Confidence SNPs Covering the Majority of Known Clades. 2014-12-02
[80] 논문 The Himalayas as a Directional Barrier to Gene Flow 2007
[81] 논문 Revealing the prehistoric settlement of Australia by Y chromosome and mtDNA analysis 2007-05
[82] 논문 Male demography in East Asia: a north-south contrast in human population expansion times 2006-04
[83] 저널 Isolation, contact and social behavior shaped genetic diversity in West Timor
[84] 저널 Unexpected NRY Chromosome Variation in Northern Island Melanesia https://archive.org/[...]
[85] 웹사이트 Y-DNA Haplogroup C and its Subclades – 2015 http://www.isogg.org[...] 2015-09-15
[86] 저널 New binary polymorphisms reshape and increase resolution of the human Y chromosomal haplogroup tree http://www.genome.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