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일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일전은 대한민국과 일본 간의 스포츠 경기를 통칭하며, 양국은 역사적 배경과 사회문화적 요인으로 인해 스포츠에서 치열한 경쟁 의식을 보인다. 축구, 야구, 배구, 유도 등 다양한 종목에서 한일전이 펼쳐지며, 특히 축구는 1988년 AFC 아시안컵부터 2016년 AFC U-23 축구 선수권 대회까지 굵직한 대회를 통해 경쟁해왔다. 야구는 1991년 한일 프로야구 슈퍼게임 이후 2009년 WBC 결승전까지 팽팽한 대결을 이어왔고, 배구, 유도, 피겨스케이팅, 컬링 등에서도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며 스포츠 외적으로도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포츠 라이벌리 - 디 애시스
    디 애시스는 1882년 잉글랜드가 호주에 패배한 후 잉글랜드 크리켓 팀이 재를 되찾겠다는 결의에서 시작된 잉글랜드와 호주 간의 크리켓 경기를 지칭하며, 작은 항아리에 담긴 크리켓 테두리의 재에서 유래되어 두 나라 간의 오랜 라이벌 관계를 상징한다.
  • 한일전 - 한일 클럽 챔피언십
    한일 클럽 챔피언십은 일본 시리즈 우승팀과 한국 시리즈 우승팀이 클럽 대항전으로 맞붙는 대회로, 2009년과 2010년 일본 야구 기구 주최로 두 차례 개최되었으며, 총 상금 2,500만 엔이 걸려 있었다.
  • 한일전 - 한일 W리그 챔피언십
    한일 W리그 챔피언십은 한국과 일본 여자 프로 농구 리그 챔피언 간의 농구 대회이며, 2002년 시작하여 2008년까지 한국 팀이 전승을 거두었으나 중단되었다가 2017년 부활하여 국제농구연맹 규칙에 따라 진행된다.
  • 지역적 경쟁 - 노예주와 자유주
    미국 역사에서 노예주와 자유주는 노예제 존폐를 기준으로 나뉜 주들을 지칭하며, 이들의 갈등은 여러 타협과 분쟁, 남북전쟁을 거쳐 미국 헌법 수정 제13조에 의해 노예제가 폐지될 때까지 미국의 정치, 사회적 지형을 규정했다.
  • 지역적 경쟁 - 미니애폴리스-세인트폴
    미니애폴리스-세인트폴은 미네소타 주의 주요 도시권으로, 미시시피 강 유역을 따라 성장하여 서비스, 첨단 기술, 금융 등 다양한 산업을 기반으로 미국에서 13번째로 큰 경제 규모를 갖춘 곳이다.
한일전
개요
주제대한민국과 일본 간의 스포츠 라이벌 관계
주요 스포츠축구
야구
농구
배구
기타 스포츠
역사적 배경
역사적 요인일제강점기
한국 전쟁
냉전
정치적 긴장
사회문화적 요인민족주의
문화적 차이
언론의 역할
주요 경기 및 사건
축구한일전 (축구)
월드컵
올림픽
야구한일전 (야구)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올림픽
기타 스포츠농구, 배구, e스포츠 등
특징
감정적 강도높은 경쟁 의식과 감정적 반응
정치적, 사회적 의미단순한 스포츠 경기를 넘어 민족적 자존심과 관련된 문제로 확대
미디어의 역할경쟁을 부추기고 과장하는 경향
영향
스포츠 발전양국 스포츠의 경쟁력 향상에 기여
국가 이미지국가 이미지 제고 및 외교 관계에 영향
사회 통합긍정적, 부정적 영향 모두 존재
기타
관련 용어닛칸센 (일본어), 한일전 (한국어)

2. 의미와 상징성

대한민국은 일본 제국의 강점하에 있었던 역사적 상징성 때문에 일본과의 경기에 대한 강한 집념과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일본은 원래 대한민국과의 경기에 대한 집착을 그리 보이지 않았으나 FIFA 월드컵, 올림픽 등의 세계적인 대회에서 대한민국이 일본을 누르고 선전하게 되자 대한민국에 대한 경쟁 의식이 높아졌고 이때부터 대한민국과의 스포츠 경기에 큰 관심을 보인다. 이렇듯 양국은 서로를 만났을 때 승리에 대한 열망이 크다.

2. 1. 역사적 배경

대한민국은 일본 제국의 강점하에 있었던 역사적 배경 때문에 일본과의 경기에 대한 강한 집념과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일본은 초기에는 대한민국과의 경기에 대한 집착을 보이지 않았으나, 2002년 FIFA 월드컵 등의 세계적인 대회에서 대한민국이 일본을 누르고 선전하게 되자 경쟁 의식이 높아졌다. 이후 일본은 대한민국과의 스포츠 경기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렇듯 대한민국과 일본은 서로를 만났을 때 승리에 대한 열망이 크다.

2. 2. 사회문화적 배경



일본 제국의 강점하에 있었던 대한민국은 이러한 역사적 상징성 때문에 일본과의 경기에 대한 강한 집념과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일본은 원래 대한민국과의 경기에 대한 집착을 그리 보이지 않았으나 FIFA 월드컵, 올림픽 등의 세계적인 대회에서 대한민국이 일본을 누르고 선전하게 되자 대한민국에 대한 경쟁 의식이 높아졌고 이때부터 대한민국과의 스포츠 경기에 큰 관심을 보인다. 이렇듯 양국은 서로를 만났을 때 승리에 대한 열망이 크다.

3. 스포츠

3. 1. 축구

1988년 AFC 아시안컵 조별리그 A조에서 대한민국은 황선홍김주성의 연속골로 일본을 2-0으로 꺾었다.

1994 히로시마 8강전에서는 대한민국이 일본에 3-2로 승리했다. 대한민국은 유상철의 골과 황선홍의 두 골(페널티킥 포함)로, 미우라 가즈요시이하라 마사미가 골을 넣은 일본을 이겼다.

2002 부산 여자 축구 경기에서는 일본이 사와 호마레의 골로 대한민국을 1-0으로 이겼다.

2003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16강전에서는 일본이 연장전 끝에 사카타의 두 골로 최성국이 골을 넣은 대한민국을 2-1로 꺾었다.

2007년 AFC 아시안컵 3,4위전에서는 대한민국과 일본이 0-0으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대한민국이 6-5로 승리했다.

2010 트리니다드 토바고 결승전에서는 대한민국과 일본이 3-3으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대한민국이 5-4로 승리하여 우승을 차지했다. 대한민국은 이정은, 김아름, 이소담이 골을 넣었고, 일본은 나오모토 히카루, 다나카 요코, 가토 지카가 득점했다.

2011년 AFC 아시안컵 준결승전에서는 일본과 대한민국이 2-2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일본이 3-0으로 승리했다. 일본은 마에다호소가이가 득점했고, 대한민국은 기성용(페널티킥)과 황재원이 골을 넣었다.

2012 런던 남자 축구 동메달 결정전에서는 카디프 대첩이 벌어져, 대한민국이 박주영구자철의 골로 일본을 2-0으로 꺾고 동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대한민국 축구 역사상 첫 올림픽 메달이었다.

2012 도쿄 8강전에서는 일본이 사이바타의 두 골과 다나카의 골로 전은하가 득점한 대한민국을 3-1로 이겼다.

2016년 AFC U-23 축구 선수권 대회 결승전에서는 일본이 대한민국에 3-2로 승리했다. 대한민국은 권창훈진성욱이 골을 넣었지만, 일본의 아사노 (2골)와 야지마에게 실점하며 패배했다.

3. 1. 1. 주요 대회 기록

1988년 AFC 아시안컵 조별리그 A조에서 대한민국은 황선홍김주성의 연속골로 일본을 2-0으로 꺾었다.

1994 히로시마 8강전에서는 대한민국이 일본에 3-2로 승리했다. 대한민국은 유상철의 골과 황선홍의 두 골(페널티킥 포함)로, 미우라 가즈요시이하라 마사미가 골을 넣은 일본을 이겼다.

2002 부산 여자 축구 경기에서는 일본이 사와 호마레의 골로 대한민국을 1-0으로 이겼다.

2003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16강전에서는 일본이 연장전 끝에 사카타의 두 골로 최성국이 골을 넣은 대한민국을 2-1로 꺾었다.

2007년 AFC 아시안컵 3,4위전에서는 대한민국과 일본이 0-0으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대한민국이 6-5로 승리했다.

2010 트리니다드 토바고 결승전에서는 대한민국과 일본이 3-3으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대한민국이 5-4로 승리하여 우승을 차지했다. 대한민국은 이정은, 김아름, 이소담이 골을 넣었고, 일본은 나오모토 히카루, 다나카 요코, 가토 지카가 득점했다.

2011년 AFC 아시안컵 준결승전에서는 일본과 대한민국이 2-2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일본이 3-0으로 승리했다. 일본은 마에다호소가이가 득점했고, 대한민국은 기성용(페널티킥)과 황재원이 골을 넣었다.

2012 런던 남자 축구 동메달 결정전에서는 카디프 대첩이 벌어져, 대한민국이 박주영구자철의 골로 일본을 2-0으로 꺾고 동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대한민국 축구 역사상 첫 올림픽 메달이었다.

2012 도쿄 8강전에서는 일본이 사이바타의 두 골과 다나카의 골로 전은하가 득점한 대한민국을 3-1로 이겼다.

2016년 AFC U-23 축구 선수권 대회 결승전에서는 일본이 대한민국에 3-2로 승리했다. 대한민국은 권창훈진성욱이 골을 넣었지만, 일본의 아사노 (2골)와 야지마에게 실점하며 패배했다.

3. 2. 야구

제1회 한일 프로야구 슈퍼게임 (1991년)

경기날짜 및 장소홈팀점수원정팀승리투수패전투수세이브투수홈런
제1경기11월 2일 도쿄 돔NPB(일본프로야구)8:3KBO(한국프로야구)시바타박동희NPB: 아키야마(5회 솔로), 오치아이(5회 솔로)
KBO: 김성한(8회 솔로)
제2경기11월 3일 요코하마 스타디움KBO(한국프로야구)2:8NPB(일본프로야구)미야모토윤학길NPB: 히로사와(2회 솔로/7회 2점)
제3경기11월 4일 고시엔 구장NPB(일본프로야구)5:10KBO(한국프로야구)송진우사사키선동열KBO: 이정훈(1회 솔로), 김성한(4회 솔로)
제4경기11월 6일 후지이데라 구장KBO(한국프로야구)7:1NPB(일본프로야구)한용덕가사이박동희KBO: 김성한(4회 솔로)
제5경기11월 9일 나가라가와 구장NPB(일본프로야구)0:8KBO(한국프로야구)송진우야마모토KBO: 장종훈(6회 솔로)
제6경기11월 10일 나고야 구장KBO(한국프로야구)1:2NPB(일본프로야구)사사오카김용수모리타NPB: 노무라(8회 솔로)



2002 부산 아시안 게임 (10월 6일, 사직야구장)

0:'''9''' '''''' (승: 송진우, 패: 카즈히로 센바, 홈런: 김동주)

2006 도하 아시안 게임 (12월 2일, 도하)

7:'''10''' '''''' (승: 히데도 이스무라, 패: 오승환, 홈런: 이대호, 조노 히사요시, 다카시 요시우라, 야수유키 사이고)

2008 베이징 올림픽

경기날짜 및 장소홈팀점수원정팀승리투수패전투수세이브투수홈런
예선 제16경기8월 16일 19:00 우커송 야구장3:5윤석민이와세 히토키정대현: 이대호 (7회 2점)
: 아라이 다카히로 (6회 2점)
준결승전 (제29경기)8월 22일 10:30 우커송 야구장6:2김광현이와세 히토키: 이승엽(8회 2점)



2009 WBC

경기날짜 및 장소홈팀점수원정팀승리투수패전투수세이브투수홈런
A조 제4경기3월 7일 19:00 도쿄 돔2:14마쓰자카 다이스케김광현: 무라타 슈이치(2회 3점), 조지마 겐지(6회 2점)
: 김태균(1회 2점)
A조 제6경기3월 9일 18:30 도쿄 돔0:1봉중근이와쿠마임창용
1조 제4경기3월 17일 20:00 펫코 파크4:1봉중근다르빗슈 유임창용
1조 제6경기3월 19일 18:00 펫코 파크2:6와쿠이 히데아키오승환: 우치카와 세이이치(2회 1점)
: 이범호(7회 1점)
결승전3월 23일 18:00 다저 스타디움3:5다르빗슈 유임창용: 추신수(5회 1점)


3. 2. 1. 주요 대회 기록


경기날짜 및 장소홈팀점수원정팀승리투수패전투수세이브투수홈런
제1경기11월 2일 도쿄 돔NPB(일본프로야구)8:3KBO(한국프로야구)시바타박동희NPB: 아키야마(5회 솔로), 오치아이(5회 솔로)
KBO: 김성한(8회 솔로)
제2경기11월 3일 요코하마 스타디움KBO(한국프로야구)2:8NPB(일본프로야구)미야모토윤학길NPB: 히로사와(2회 솔로/7회 2점)
제3경기11월 4일 고시엔 구장NPB(일본프로야구)5:10KBO(한국프로야구)송진우사사키선동열KBO: 이정훈(1회 솔로), 김성한(4회 솔로)
제4경기11월 6일 후지이데라 구장KBO(한국프로야구)7:1NPB(일본프로야구)한용덕가사이박동희KBO: 김성한(4회 솔로)
제5경기11월 9일 나가라가와 구장NPB(일본프로야구)0:8KBO(한국프로야구)송진우야마모토KBO: 장종훈(6회 솔로)
제6경기11월 10일 나고야 구장KBO(한국프로야구)1:2NPB(일본프로야구)사사오카김용수모리타NPB: 노무라(8회 솔로)


0:'''9''' '''''' (승: 송진우, 패: 카즈히로 센바, 홈런: 김동주)
7:'''10''' '''''' (승: 히데도 이스무라, 패: 오승환, 홈런: 이대호, 조노 히사요시, 다카시 요시우라, 야수유키 사이고)

경기날짜 및 장소홈팀점수원정팀승리투수패전투수세이브투수홈런
예선 제16경기8월 16일 19:00 우커송 야구장3:5윤석민이와세 히토키정대현: 이대호 (7회 2점)
: 아라이 다카히로 (6회 2점)
준결승전 (제29경기)8월 22일 10:30 우커송 야구장6:2김광현이와세 히토키: 이승엽(8회 2점)


경기날짜 및 장소홈팀점수원정팀승리투수패전투수세이브투수홈런
A조 제4경기3월 7일 19:00 도쿄 돔2:14마쓰자카 다이스케김광현: 무라타 슈이치(2회 3점), 조지마 겐지(6회 2점)
: 김태균(1회 2점)
A조 제6경기3월 9일 18:30 도쿄 돔0:1봉중근이와쿠마임창용
1조 제4경기3월 17일 20:00 펫코 파크4:1봉중근다르빗슈 유임창용
1조 제6경기3월 19일 18:00 펫코 파크2:6와쿠이 히데아키오승환: 우치카와 세이이치(2회 1점)
: 이범호(7회 1점)
결승전3월 23일 18:00 다저 스타디움3:5다르빗슈 유임창용: 추신수(5회 1점)


3. 3. 배구

2012년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대 일본 여자 배구 경기


;2012 런던 동메달 결정전

날짜경기1세트2세트3세트4세트5세트스코어
8월 11일 대한민국 VS 일본22-2524-2621-2567-76
7월 30일대한민국



2020 도쿄 올림픽 A조 예선

3. 3. 1. 주요 대회 기록

wikitext

;2012 런던 동메달 결정전

날짜경기1세트2세트3세트4세트5세트스코어
8월 11일 대한민국 VS 일본22-2524-2621-2567-76
7월 30일대한민국



2020 도쿄 올림픽 A조 예선

3. 4. 기타 종목

한국과 일본은 유도에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아시아에서 두 국가가 강세를 보였다.[1][2][3]

남자 하프-라이트급에서는 2012년 올림픽 8강전에서 일본의 에비누마 마사시와 대한민국의 조준호가 맞붙으면서 라이벌 관계가 시작되었다. 심판 판정은 처음에는 조준호에게 유리하게 나왔지만, 번복되어 에비누마에게 승리가 돌아갔다. 이는 올림픽 유도 역사상 가장 논란이 많은 경기 중 하나이다.[4] 에비누마는 2011년부터 2014년까지 3번의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며 이 체급을 지배했으나, 대한민국의 안바울이 2015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면서 그의 연승 행진을 끊었다.

남자 라이트급에서는 왕기춘2007년2009년에서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며 한국이 이 체급을 지배했다. 2010년에는 일본의 아키모토 히로유키가 왕기춘을 제치고 세계 챔피언이 되면서 일본이 남자 라이트급을 지배하는 새로운 시대가 열렸다. 이후, 동료 선수인 나카야 리키오노 쇼헤이가 번갈아 가며 지배했는데, 나카야는 2011년과 2014년에서 우승했고, 오노는 2013년과 2015년에서 우승했다. 다가오는 2016년 올림픽에서는 새롭게 라이벌 관계를 형성한 오노와 일본계 한국인 안창림이 금메달의 유력한 후보로 여겨지고 있다.[5]

남자 미들급은 일본의 하프-미들급과 함께 약점으로 꼽히는 체급 중 하나였는데, 지난 10년간 대한민국이 우위를 점하며 이규원 (2009)과 곽동한 (2015년) 두 명의 세계 챔피언과 올림픽 챔피언 송대남을 배출했다. 최근 일본의 최고 성적은 니시야마 다이키가 은메달을 획득한 2010년과 2011년이었다. 오늘날 곽동한은 니시야마 (3-3), 베이커 마슈 (베이커 2-1 우세), 요시다 유야 (1-1) 등 여러 일본 미들급 선수들과 라이벌 관계를 형성했으며, 2016년 올림픽에서 이들과 맞붙을 가능성이 높다.[6]

단체전에서는 일본과 대한민국이 2015년 세계 선수권 대회 결승에서 만나 유도 최강국 자리를 놓고 경쟁을 벌였다. 에비누마, 현 세계 챔피언 나가세 타카노리, 오지타니 타케시의 승리로 일본은 두 번째 단체전 금메달을 차지했고, 한국은 5년 만에 출전한 단체전에서 은메달에 만족해야 했다.

피겨 스케이팅에서는 김연아아사다 마오가 대표적인 라이벌 관계를 형성했다.

선수나이종목//합계
점수순위점수순위점수순위
김연아1990년 9월 5일여자 싱글78.501150.061228.5616px
아사다 마오1990년 9월 25일여자 싱글
73.78
2
131.72
2
205.50
16px



컬링에서는 2014년 동계 올림픽 여자 예선 2차전에서 대한민국 (김지선)이 일본 (오가사와라)을 12-7로 이겼다. 2018년 동계 올림픽 여자 예선 3차전에서는 일본 (후지사와)이 대한민국 (김은정)을 7-5로 이겼으나, 준결승전에서는 대한민국이 일본을 8-7로 이겼다.

4. e스포츠 및 기타 분야

4. 1. e스포츠

4. 2. 문화 콘텐츠

5.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Olympics: Judo quarterfinal ends in controversy http://www.nzherald.[...]
[2] 웹사이트 Overturned Judo Result Called A 'Farce' And Parody https://www.npr.org/[...]
[3] 웹사이트 Olympics: Farcical scenes in Japan-Korea judo quarter-final https://web.archive.[...]
[4] 웹사이트 South Korea gears up for another Top 10 finish in Rio http://armenpress.am[...]
[5] 웹사이트 IJF World Rankings for Olympic Qualification 2016: Men's -90kg https://web.archive.[...]
[6] 웹사이트 JAPANESE MEN DEFEAT KOREAN BY 3-2 IN WORLD TEAM FINAL http://www.judoinsi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