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경비안전본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양경비안전본부는 대한민국의 해상 안전 및 치안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1953년 해양경찰대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명칭과 소속 기관의 변경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2014년 국민안전처 산하로 개편되었으며, 2017년 해양수산부 산하 해양경찰청으로 개편되었다. 주요 조직으로는 해양경찰청(본청)과 지방해양경찰청 및 해양경찰서가 있으며, 다양한 함정과 항공기를 운용한다. 해양경비안전본부 대원의 계급은 간부, 비간부(직원), 의무경찰로 구분되며, 의무경찰은 2023년 6월 4일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안경비대 - 일본 해상보안청
일본 해상보안청은 국토교통성 소속의 준군사 기관으로 해상 안전과 치안 유지를 담당하며, 해상법 집행, 수색 및 구조, 재난 대응, 수로 및 해양 조사, 해상 교통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 해안경비대 - 남조선해안경비대
남조선해안경비대는 1945년 미군정청에 의해 해방병단으로 창설되어 1946년 해안경비대로 승격된 대한민국 해군의 전신으로, 주요 해안 도시에 기지를 두고 미국과 일본 해군 잔여 함정을 운용하며 해안 방위 임무를 수행하다 1948년 대한민국 해군으로 개편되었으며 손원일이 초대 지휘관을 역임했다. - 2017년 폐지 - 알누스라 전선
알누스라 전선은 시리아 내전 중 활동한 수니파 이슬람주의 무장 단체로, 알카에다와의 연관성을 부인하다가 알카에다 시리아 지부로 인정받았고, ISIL과의 갈등 후 자바트 파타 알샴으로 조직명을 변경, 알카에다와 관계 단절을 선언했으나 완전한 결별은 아니었으며, 2017년 하야트 타흐리르 알샴 결성 후 테러 조직으로 지정되어 전쟁범죄 혐의를 받았다. - 2017년 폐지 - 대한민국 미래창조과학부
대한민국 미래창조과학부는 과학기술, 정보 통신, 방송 통신 등의 업무를 관장했던 중앙행정기관으로, 과학기술처, 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를 거쳐 2013년 출범하여 2017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대한민국 해양경찰청 - 평택해양경찰서
평택해양경찰서는 서해지방해양경찰청 소속으로 여러 부서와 파출소, 출장소를 관할하며 해상 치안 유지, 해양 사고 구조 및 예방, 해양 환경 보호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이다. - 대한민국 해양경찰청 - 해양경찰연구센터
해양경찰연구센터는 해양경찰청 소속 기관으로, 해양 안전 확보와 효율적인 경비를 위한 연구 개발을 수행하며, 장비 개발, 해양 오염 분석, 정책 개발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센터장이 이를 총괄한다.
해양경비안전본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2. 명칭
2005년, 해양경찰의 영문 명칭이 기존의 'POLICE' (Korea National Maritime Police Agency)에서 'Korea Coast Guard'로 변경되었다. 이는 과거 해무청 시절 잠시 사용되었던 용어로, 여러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특히 신분 변화와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다.
김영삼 정부 시절, 해양수산부 장관은 각 지방해운항만청과 해양경찰청을 통합하여 해양안전청을 설립하고, 해양경찰의 수사·정보 기능을 육상경찰로 이관하려 했다. 그러나 당시 해양경찰관들의 거센 반발로 인해 이 계획은 철회되었다.[1]
노무현 정부 시절, 최낙정 해양수산부 장관은 해양경찰 인사권을 경찰청으로부터 독립시키겠다고 주장하며 신분 변화를 암시했다. 이로 인해 파동이 커졌고, 경찰 신분 유지를 원하던 직원들의 거센 반발과 최낙정 장관의 연이은 발언 파동으로 장관직에서 물러나면서 이 문제는 일단락되었다.[1]
이승재 해양경찰청장 시절, 해양경찰청의 영문 명칭이 'Maritime Police'에서 'Coast Guard'로 변경되었다. 당시 직원들의 거센 반발로 인해, 대외적으로는 'Coast Guard', 대내적으로는 'Police'를 병행하도록 지시하여 1000톤급 이상 선박에만 'Coast Guard'로 도색을 변경했다. 당시 해양경찰청은 "기존 영문명에 대한 외국인들의 인지도가 낮아 위상을 정립하기 위해 변경한 것"이라며, "이것이 바뀌었다고 해서 해양경찰관의 신분이나 사법권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라고 밝혔다. 그러나 일선 경찰의 반발은 심했으며, 그 이유는 사법권 축소 우려와 과거 두 차례 시도되었던 경찰공무원에서 공안직 공무원으로의 신분 변경에 대한 우려 때문이었다.[1]
3. 연혁
4. 조직
해양경비안전본부의 조직은 크게 본청과 지방해양경찰청으로 나뉜다. 본청은 해양경비안전조정관, 해양경비안전국, 해양오염방제국, 해양장비기술국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방해양경찰청은 중부지방해양경찰청, 서해지방해양경찰청, 동해지방해양경찰청, 남해지방해양경찰청, 제주지방해양경찰청으로 나뉘어 전국을 5개 권역으로 관할하며, 각 지방청 아래에는 해양경찰서가 소속되어 있다.
4. 1. 해양경찰청 (본청)
- 해양경비안전조정관
- 해양경비안전국
- 해양경비안전총괄과
- 해양경비과
- 해상안전과
- 해양수색구조과
- 수상레저과
- 해상수사정보과
- 해양오염방제국
- 방제기획과
- 기동방제과
- 해양오염예방과
- 해양장비기술국
- 해양장비기획과
- 해양장비관리과
- 해양항공과
- 해양정보통신과
- 해상교통관제과
4. 2. 지방해양경찰청 및 해양경찰서
각 지방해양경찰청에는 다음 해양경찰서들이 소속되어 있다.
5. 장비
해양경비안전본부는 함정과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해상 경비, 수색 및 구조, 해양 오염 방제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한다.
=== 함정 ===
해양경비안전본부의 함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서를 참고.
=== 항공기 ===
종류 | 기종 | 대수 | 비고 |
---|---|---|---|
고정익기 | CL-604 챌린저 | 1대 | |
고정익기 | C-212 | 1대 | |
고정익기 | CN-235-110M | 4대 | |
회전익기 | 카모프 Ka-32 | 8대 | |
회전익기 | 벨 412 | 1대 | |
회전익기 | AS-565 | 5대 | 1대 추락(가거도) |
회전익기 | AW-139 | 2대 | 1대 추락(제주) |
회전익기 | S-92A | 1대 |
5. 1. 함정
함급 | 함명 | 소속 |
---|---|---|
5000톤급 | 5002함(이청호함) | 서귀포해양경비안전서 |
5001함(삼봉호) | 동해해양경비안전서 | |
3000톤급 (태평양급 경비함) | 3015함(태평양15호) | 목포해양경비안전서 |
3013함(태평양13호) | 군산해양경비안전서 | |
3012함(주작함) | 제주해양경비안전서 | |
3011함(바다로) | 해양경비안전교육원 훈련함 | |
3010함(태평양10호) | 군산해양경비안전서 | |
3009함(태평양9호) | 목포해양경비안전서 | |
3008함(태평양8호) | 서해5도특별경비단 | |
3007함(태평양7호) | 동해해양경비안전서 | |
3006함(태평양6호) | 서귀포해양경비안전서 | |
3005함(태평양5호) | 서해5도특별경비단 | |
3003함(태평양3호) | 서귀포해양경비안전서 | |
3002함(태평양2호) | 제주해양경비안전서 | |
3001함(태평양1호) | 부산해양경비안전서 | |
1500톤급 (제민급 경비함) | 1513함(제민13호) | 동해 |
1512함(제민12호) | 동해 | |
1511함(제민11호) | 동해 | |
1510함(제민10호) | 포항 | |
1509함(제민9호) | 목포 | |
1508함(제민8호) | 목포 | |
1507함(제민7호) | 태안 | |
1506함(제민6호) | 태안 | |
1505함(제민5호) | 제주 | |
1503함(제민3호) | 부산 | |
1502함(제민2호) | 태안 | |
1501함(제민1호) | 부산 | |
1000톤급 (한강급 경비함) | 1010함(한강10호) | 목포 |
1009함(한강9호) | 울산 | |
1008함(한강8호) | 포항 | |
1007함(한강7호) | 목포 | |
1006함(한강6호) | 통영 | |
1005함(한강5호) | 통영 | |
1003함(한강3호) | 포항 | |
1002함(한강2호) | 서해 | |
1001함(한강1호) | 군산 | |
500톤급 (태극급 경비함) | 517함(태극17호) | 여수 |
516함(태극16호) | 평택 | |
515함(태극15호) | 서해 | |
513함(태극13호) | 서해 | |
512함(태극12호) | 통영 | |
511함(태극11호) | 서해 | |
510함(태극10호) | 속초 | |
509함(태극9호) | 속초 | |
508함(태극8호) | 여수 | |
507함(태극7호) | 포항 | |
506함(태극6호) | 서귀포 | |
505함(태극5호) | 속초 | |
503함(태극3호) | 서해 | |
502함(태극2호) | 서해 | |
501함(태극1호) | 서해 | |
300톤급 (해우리급 경비함) | 300함(해우리30호) ~ 303함(해우리33호) | 1세대 |
305함(해우리35호) ~ 307함(해우리37호) | 2세대 | |
308함(해우리8호) ~ 323함(해우리23호) | 3세대 | |
250톤급 (해우리급 경비함) | 251함(해우리1호) ~ 277함(해우리27호) | 퇴역 |
278함(해우리28호), 279함(해우리29호) | 완도 | |
100톤급(해누리) | 101정~131정 | ||
50톤급(P정) | | ||
30톤급(형사기동정) | | ||
소방정 | 소방1호정, 울산 | ||
방제정 | 방제1호정~방제22호정 | ||
예인정(T정) | T-01정 | 정비창 |
T-02정 | 정비창 | |
T-03정 | 동해 | |
T-05정 | 제주 | |
T-06정 | 서귀포 | |
T-07정 | 인천 | |
T-08정 | 목포 | |
호퍼크래프트(수륙양용정, H정) | H-01정~H-09정 | ||
순찰정(S정, M정) | S-01정~S-107정 |
5. 2. 항공기
종류 | 기종 | 대수 | 비고 |
---|---|---|---|
고정익기 | CL-604 챌린저 | 1대 | |
고정익기 | C-212 | 1대 | |
고정익기 | CN-235-110M | 4대 | |
회전익기 | 카모프 Ka-32 | 8대 | |
회전익기 | 벨 412 | 1대 | |
회전익기 | AS-565 | 5대 | 1대 추락(가거도) |
회전익기 | AW-139 | 2대 | 1대 추락(제주) |
회전익기 | S-92A | 1대 |
6. 계급
해양경비안전본부 대원의 계급은 간부, 비간부(직원), 의무경찰로 구분된다. 의무경찰은 2023년 6월 4일에 폐지되었다.[10]
참조
[1]
뉴스
해경, 종합해양행정기관 거듭나길
http://news.itimes.c[...]
인천일보
2013-09-09
[2]
법령
해양경찰대편성령
대통령령
1953-12-14
[3]
법령
해양경찰대편성령
대통령령
1953-12-14
[4]
법령
해양경찰대직제
각령
1963-02-05
[5]
법령
경찰청과그소속기관직제
대통령령
1991-07-23
[6]
법령
정부조직법
법률
1996-08-08
[7]
뉴스
해양경찰청직(치안정감)은 옷 벗는 자리?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1-11-24
[8]
법령
정부조직법
법률
2008-02-29
[9]
법령
정부조직법
법률
2013-03-23
[10]
뉴스
내년 병 월급 15% 인상…상병 10만 원 돌파
http://news.kbs.co.k[...]
KBS
2012-1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