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행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행상은 고대부터 존재해 온 상업 형태로,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이름과 형태로 나타났다. 고대에는 야외 시장과 더불어 농촌 지역의 유통을 담당했고, 중세 유럽에서는 지리적으로 고립된 지역 사회에 상품을 공급하며 무역 경로를 연결하는 역할을 했다. 동아시아에서는 일본의 전국 시대와 에도 시대를 거치며 다양한 상품을 취급하는 행상이 등장했으며, 근대에는 산업 생산자를 위한 이동 판매 대리인 역할을 수행하기도 했다. 현대 사회에서도 행상은 교통이 불편한 지역이나 전통 시장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법적 규제를 받기도 한다. 행상은 예술 작품의 소재로도 자주 등장하며, 문학 작품에서도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된다.

2. 역사

행상은 고대부터 존재해 온 상업 형태로,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이름과 형태로 나타났다. 이 단어는 1225년부터 영어로 사용되었으며, 걸어서 다니는 소규모 상인을 지칭하는 프랑스어 ''pied'', 라틴어 ''pes, pedis'' ("발")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3]

영국 법에 따르면, 행상은 "말이나 짐을 싣거나 끄는 다른 짐승 없이, 걸어서 다니며 거래하고 마을에서 마을로 또는 다른 사람의 집으로 다니면서 판매하거나 판매를 위해 노출하기 위해 즉시 인도될 상품을 운반하거나, 자신의 수공예 기술을 판매하거나 제공하는 모든 호커, 행상, 소규모 상인, 땜장이, 금속 주조업자, 의자 수리공 또는 기타 사람"으로 정의된다.[4][5] 행상은 노점상과 달리 고정된 장소가 아니라 이동하면서 거래를 하며, 고객에게 직접 접근한다. 판매를 위해 잠시 멈출 수는 있지만, 오랫동안 같은 장소에 머무르는 것은 금지된다.

행상인들은 가가호호 방문, 거리, 야외 시장, 박람회 등에서 상품을 판매했다. 운송 수단으로는 짐을 직접 들고 다니거나, 마차나 짐마차를 이용하거나, 즉석에서 만든 운반 장치를 사용했다. 19세기 미국에서는 이탈리아인, 그리스인, 유대인 등 이민자 공동체에서 행상을 직업으로 삼는 경우가 많았다.[11]

행상은 실크로드를 오가며 물품을 융통하는 상인들처럼, 장사의 기원이라고 할 수 있는 판매 방법이다. 이들은 목숨을 걸고 산을 넘고 사막을 건너 흩어져 있는 마을에 물품을 전달하기도 했다.

세계적으로 보아도 이러한 업태는 다수 존재하며, 도시의 시장에서 구입한 물품을 마을 등을 순회하는 형태로 팔러 다닌 상인 등의 예는 고대와 현재에 널려 있다.

운반은 현대에는 등에 짊어지고 전철 등의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자전거, 오토바이, 리어카, 또는 경트럭 등의 자동차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중세[41]부터 쇼와 시대 중반까지의 일본에서도 지게를 지고, 그 양쪽 끝에 팔 물건을 매달아 운반하는 일이 있었다. 판매 장소는 노상, 빈터, 공원의 한 구석을 빌리거나, 호별 방문을 한다.

현대에도 동남아시아 국가들에서 많이 보이는, 어깨에 건 막대에 상품을 매달아 팔러 다니는 행상인 (베트남 호치민)

2. 1. 고대 및 중세

고대에는 행상인들이 여러 이름으로 불렸는데, 아랍인, 행상인, 채소 상인(영어), 상인(중세 영어), 떠돌이 상인(huckster), 이동 판매인, 길거리 판매인 등이 있었다.[7] 정치 철학자 존 스튜어트 밀은 "사회의 자원이 상점의 설립을 허용하기 전에도, [소비자]의 수요 공급은 보름에 한 번 나타날 수 있는 '행상인'의 손에 전적으로 맡겨졌고, 1년에 한 번만 열리는 박람회보다 선호되었다."라고 썼다.[8]

버터 마켓 입구의 리본 판매상, J.J. 에크호트의 판화, 1884년


일반적으로 행상인들은 가가호호 방문하거나 거리를 돌아다니며, 야외 시장이나 박람회와 같은 공식적인 거래 장소 주변에서 장사를 했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는 야외 시장이 도시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했고, 행상인들은 농촌이나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고객에게 상품을 판매하여 유통의 빈틈을 메웠다.[9]

칸 알-투자르: '아랍 박람회에서, 행상인들은 유혹적인 천 조각을 풀고, 보석상은 장신구를 꺼내놓고, 재단사는 기성복을, 구두 수선공은 거친 털 샌들부터 노란색과 붉은 모로코 부츠까지 재고를 내놓는다. 마부도 도구, 못, 납작한 철제 신발을 가지고 와서 몇 시간 동안 번창하는 사업을 하고, 안장 제작자도 거친 자루와 화려하게 장식된 천을 가지고 온다.'


성경에서는 '행상인'이라는 용어를 이익을 위해 하나님의 말씀을 전파하는 사람들을 묘사하는 데 사용했다. 외경에는 "상인은 잘못을 저지르지 않기 어렵고, 떠돌이 상인은 죄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집회서 26:29)라는 구절이 있다.

중세 유럽에서 시장 도시가 번성하면서 행상인들은 공식적인 경제의 주변부에서 역할을 찾았다. 이들은 지리적으로 고립된 지역 사회를 더 넓은 무역 경로와 연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5]

2. 2. 동아시아

전국 시대부터 에도 시대에 걸쳐 도야마, 교토, 오사카, 시가현 등지에서 중국·주부·호쿠리쿠에 이르는 통상로가 장거리 행상인들에 의해 확립되었다. 일반인들은 이동에 제한이 있어 각국을 통행하려면 허가가 필요했지만, 행상인들이 운반하는 짐은 주로 각국에서 생산되지 않는 생활 필수품이나 군사적으로 전용 가능한 물품이었기 때문에 비교적 이동이 자유로웠다.[43][44]

행상인들이 운반한 물품에는 약, 직물, 끈 등이 있었다. 약은 수험자들이 산에서 독자적으로 조제한 것이었고, 면직물과 면 끈 등은 훗날 닌자라고 불리는 사람들이 사는 지역에서 생산된 것이었다. 이들은 행상을 하면서 각국의 정세를 스파이하거나 자금을 얻었는데, 사나다 10 용사 등의 이야기가 여기서 비롯되었다. 닌자는 원래 밀교 수행자에서 파생된 경우가 많았으며, 물건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것 외에도 광맥이나 온천 등 자연 자원을 발견하는 일도 담당했기에 외국에서 온 기술자였을 가능성도 있다.

에도 시대에는 도시가 발달하면서 도시의 소비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상인과 직인들이 발달했고, 행상도 나타났다. 행상은 지게를 멘 형태로, 보테우리 또는 짊어지고 다니는 상인 등으로 불렸다. 이들은 어개류[45]에서 두부, 같은 식품, 의약품 등 생활 물자, 나팔꽃이나 금붕어, 풍경처럼 생활에 윤택함을 주는 물품, 심지어 큰 장롱 같은 가구까지도 취급했다. 이러한 모습은 우키요에 등에 그려져 에도 시대의 풍물시를 오늘날까지 전하고 있다.

이후 우산이나 냄비 수리, 신발 보수도 행상을 통해 서비스되었다. 당시에는 생선 등 식품 보존 수단이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구입한 후 바로 다 팔아야 했다. 따라서 가정 근처를 돌아다니며 팔거나, 행상, 아침 시장 등에서 판매하는 형태가 많았다.

스시메밀국수 같은 요리도 이동식 점포에서 판매되었는데, 이는 포장마차를 참조하면 된다. 이 무렵 에추국 (지금의 도야마현)에서 성행했던 약업은 행상을 통해 배치약을 판매하는 방식을 시작했다.

지방에서도 상품 작물 보급과 함께 농간 여업으로서 행상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행상 형태는 이후 수송 및 보존 기술이 발달하고 도시 소비가 확대됨에 따라 점차 정해진 장소에 가게를 차리는 형태로 변화했다. 한편, 메이지 시대 초기에 나타난 우유 행상(계량 판매)처럼 새로운 산업에 따른 새로운 종류의 행상도 시대와 함께 종종 발생했다(→우유병).

2. 3. 근대

18세기에는 일부 행상인들이 산업 생산자를 위해 일하며 일종의 도매상 또는 유통 중개인 역할을 했다. 영국에서 이들은 "맨체스터 맨"으로 불렸으며, 공장이나 기업가에 고용되어 상품을 판매하는 현대 판매 대리인의 전신이었다.[17]

견인마와 덮인 짐마차를 끄는 과일 행상인, 세인트 폴, c. 1928


1906년 10월 21일 ''세인트루이스 포스트-디스패치''의 마르그리트 마틴의 그림. 줄무늬 정장을 입은 '''번개 피뢰침''' 순회 판매원의 모습


미국에서는 18세기 후반에 행상인의 수가 급증했고, 이는 미국 남북 전쟁 직전 수십 년 동안 최고조에 달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19세기 들어 산업 대량 생산과 화물 운송의 발전으로 인해 행상인의 수는 감소하기 시작했다. 이는 현대 소매 및 유통 네트워크의 시작을 알리는 것이었으며, 점차 여행 판매원의 필요성을 줄여나갔다. 통신 판매 카탈로그(예: 몽고메리 워드는 1872년에 시작)의 등장은 시골이나 외딴 지역의 사람들이 지역 상점이나 시장에서 구하기 어려운 물건을 얻을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을 제공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제대 군인들이 적절한 직업을 찾지 못하고 비교적 괜찮은 수입을 제공하는 행상에 의존하면서 행상인의 수가 일시적으로 급증하기도 했다.[19]

미국에서 여행 판매원은 수많은 농담의 단골 소재였다. 그러한 농담은 대개 음란하며, 작은 마을의 시골 사람, 농부, 그리고 농부의 딸을 등장인물로 하는 경우가 많았다.[20]

유럽 대부분 지역에서 행상인과 여행자는 오랫동안 부정직하거나 경범죄와 관련되어 있다는 의심을 받았다.[21][22] 15세기와 16세기에 영국 당국이 제정하고 교회가 강화한, 행상인에 의한 소규모 소매를 단속하기 위한 규정은 행상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심화시켰다. 16세기부터 행상인들은 경멸적인 시선과 자주 연관되었으며, 이러한 인식은 19세기와 20세기까지 이어졌다.[23]

현대 경제에서 새로운 유형의 행상인들은 대중에게 신뢰를 주기 위해 주로 단정한 복장을 착용한다. 이들은 특정 제품을 홍보하거나, 신제품 출시를 돕거나, 때로는 공격적인 직접 마케팅 형태로 현장에 파견된다. 몇몇 경우에는 이것이 사업의 핵심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벨기에의 개 끄는 마차(Dogcart (dog-drawn))를 이용한 우유 행상, 1890–1900년경

3. 현대의 행상

현대에도 행상은 여전히 존재하며, 특히 교통이 불편한 지역이나 전통 시장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여전히 해산물 등을 중심으로 행상이 남아 있으며, 각 지자체별 조례에 따라 규제되고 있다.[46] 운송 수단은 도보, 자전거, 오토바이, 자동차 등 다양하게 변화해 왔다. 중세[41]부터 쇼와 시대 중반까지의 일본에서도 지게를 짊어지고, 그 양쪽 끝에 팔 물건을 매달아 운반하는 일이 있었다.

현대 사회에서는 '''이동 점포''', 이동 판매 또는 무점포 판매 등의 형태로 행상의 개념이 확장되고 있다.

4. 한국의 행상

한국에서 행상은 보부상과 같이 전통적인 형태로 존재해 왔다. 보부상은 조선시대 상업 활동을 통제하고 세금 징수를 위한 목적으로 조직되었다.[27] 현대에는 노점상, 방문 판매원, 트럭 행상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노점상은 도시 미관, 교통 문제, 기존 상권과의 갈등 등 사회적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중도 진보적 관점에서는 이 문제 해결을 위해 사회적 합의와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본다. 최근에는 온라인 플랫폼 기반 배달 서비스가 급증하면서 전통적인 행상 개념이 변화하고 있다.

4. 1. 법적 규제

한국에서는 노점상, 방문 판매 등 행상 관련 법규가 존재한다.[27] 미국 등 여러 국가에서 행상인의 권리를 보호하고 열악한 상품 판매로부터 대중을 보호하기 위해 법률을 제정했다. 인도는 기획자들의 노력으로 다른 사업가들에 비해 행상인에게 더 높은 권리를 부여하는 특별법을 제정했다. 예를 들어 행상인은 자동차보다 우선 통행할 권리가 있다.

영국에서는 행상이 여전히 1871년 행상인법(Pedlars Act 1871)의 적용을 받으며, "행상인 증명서"를 규정하고 있다. 신청은 일반적으로 경찰에 한다. 20세기 후반에는 1982년 시민 정부법(Civic Government (Scotland) Act 1982)과 잉글랜드와 웨일스를 위한 1982년 지방 정부 (기타 조항) 법(Local Government (Miscellaneous Provisions) Act) 등 다른 시민 법률이 노점상 면허를 도입하면서 이러한 증명서의 사용이 드물어졌다. 2008년 현재, 행상인 증명서는 여전히 유효하며 사용되고 있지만, 여러 지방 의회는 지역 조례 또는 노점상 면허 신청과 같은 시행 메커니즘을 통해 행상인을 근절하려 노력해 왔다.

5. 예술 및 문학 속의 행상

행상은 서양과 동양 미술에서 일상생활을 묘사하는 소재로 자주 등장했다. 히에로니무스 보스의 ''방랑자''는 행상을 묘사한 대표적인 작품 중 하나로, 약 1500년에 그려졌으며 그림 속 행상인은 다른 보스 그림의 도둑과 거의 동일한 의상을 입고 있다.[29] 18세기부터 행상인과 노점상을 특징으로 하는 판화가 거리 생활 묘사에 전념하는 수많은 책에 실렸다.[30] 이러한 출판물 중 최초의 하나는 프랑스 출판물인 ''Etudes Prises Dans let Bas Peuple, Ou Les Cris de Paris'' (1737) (대략적으로 ''하층민에서 가져온 연구, 또는 파리의 외침''으로 번역됨)이었다.[31] 1757년, 이 장르의 최초의 영어 출판물은 ''오래된 사람과 젊은 사람의 마음을 즐겁게 하도록 계산된 런던의 외침; 각 주제의 상징적인 설명과 함께 깔끔하게 조각된 다양한 구리판으로 묘사''였으며,[32] ''Cries of London'' (1775)이 그 뒤를 이었다.[33]

히에로니무스 보스의 ''방랑자'', c. 1500


커피 행상인, ''Etudes Prises Dans let Bas Peuple, Ou Les Cris de Paris'', 1737의 판화


아마데오 프레지오시의 부쿠레슈티의 체리 행상인, c. 1869


폴 클라케생의 브랜디 행상인, ''Histoire de la Communauté des Distillateurs,'' 1900


보니 영은 ''원숭이와 행상인''의 테마가 유럽 전역의 중세 미술에서 비교적 흔했다는 점을 지적했다. 책과 은제품에 등장하는 이 장면은 종종 행상이 잠든 동안 원숭이 무리가 그를 털어가는 모습을 묘사한다. 이러한 이미지는 중세 사회에서 인기를 얻었을 수 있는데, 행상인이 원숭이와 동일한 많은 악덕을 공유했기 때문이다.[34]

19세기 문학에서 ''싸구려 잭''은 자주 등장하는 소재였다. 가장 유명한 예는 찰스 디킨스의 '닥터 마리골드'이며, 올 더 이어 라운드의 크리스마스 판에 실렸다. 러시아의 루보크 판화(대중 판화)도 행상인을 특징으로 한다. 일부 학자들은 '루보크'라는 용어의 기원이 '루브키'라는 단어에서 왔을 수 있다고 제안하는데, 이는 오래된 러시아의 마을에 다양한 상품을 가지고 다니는 행상인들이 일반적으로 들고 다니는 바구니의 한 종류이다.[35] ''코로베이니키''는 행상인과 소녀의 만남을 묘사하는 러시아 민요이다.

''숙녀와 행상인''(1947)은 요세파 에번 쇼샨의 미국 희곡이며 슈무엘 요세프 아그논의 이야기를 각색한 것이다. 이 이야기는 유럽 유대인의 이주와 파괴를 비유하는 것으로 생각된다.[36] 마가렛 호지스의 ''성 패트릭과 행상인''은 성 패트릭이 꿈에 나타나고 우회적인 경로를 통해 엄청난 부를 발견하는 행상인에 관한 소설이다.

''로빈 후드와 행상인''은 현재 미국 민속 센터, 의회 도서관의 컬렉션의 일부를 형성하는 발라드이다.[37]

''사계절의 상인''(1972)은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가 감독한 독일 과일 행상인에 대한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은 영화이다.[38]

배리 레빈슨이 감독하고 리처드 드레이퓨스와 대니 드비토가 출연한 장편 영화 ''틴 멘''(1987)은 1963년을 배경으로 두 명의 알루미늄 판매원이 서로 경쟁하기 위해 판매를 하기 위해 사용하는 '더러운 속임수'를 다룬 코미디이다.

6. 평가 및 전망

행상은 자본주의 시장 경제의 초기 형태로서, 사회적 약자와 소외 계층에게 생계 수단을 제공하는 긍정적인 역할을 했다. 존 스튜어트 밀은 "사회의 자원이 상점 설립을 허용하기 전에도, 소비자의 수요 공급은 보름에 한 번 나타날 수 있는 '행상인'의 손에 전적으로 맡겨졌다."라고 썼다.[8] 이들은 가가호호 방문하거나, 거리를 돌아다니거나, 야외 시장이나 박람회와 같은 곳에서 물건을 팔았다. 특히 그리스-로마 시대에는 도시 고객은 야외 시장을, 농촌이나 지리적으로 먼 고객은 행상을 이용했다.[9]

성경에서는 '행상인'이라는 단어가 이익을 위해 하나님의 말씀을 전파하는 사람들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10] 역사적으로 행상은 집시, 여행자, 예니체와 같은 유목민이나 이민자 공동체의 직업인 경우가 많았다.[11]

중세 유럽에서 행상인들은 시장 도시 주변에서 물약이나 만병통치약 등을 팔았다.[14] 이들은 고객의 집으로 직접 배달하여 시간을 절약해 주었지만, 가격은 더 비쌌다. 일부 행상인들은 여관이나 선술집에서 대리인 역할을 하기도 했다. 또한, 유럽의 산악 지역과 같이 지리적으로 고립된 지역을 더 넓은 무역 경로와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15] 18세기 영국에서는 "맨체스터 맨"이라고 불리는 행상인들이 공장이나 기업가에 고용되어 도매상이나 유통 중개인 역할을 했다.[17]

19세기 미국에서는 행상인의 수가 급증했지만, 산업 대량 생산과 화물 운송의 발달, 통신 판매 카탈로그의 등장으로 점차 감소했다.[18]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제대 군인들이 행상에 의존하면서 일시적으로 증가하기도 했다.[19]

현대 사회에서는 온라인 플랫폼과 배달 서비스의 발달로 전통적인 행상의 역할은 축소되고 있지만, 특정 지역과 계층에게는 여전히 중요한 경제 활동으로 남아있다. 넓은 의미로는 정기적으로 개최되는 시장을 돌아다니며 물품을 판매하거나, 정해진 지역을 순회하면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라우야, 칼·가위 갈이, 구두닦이와 같은 업태도 행상에 포함된다.

참조

[1] Thesaurus Words Packman and Peddler have similar meaning https://thesaurus.pl[...]
[2] 학술지 M. B. Curtis and the Making of the American Stage Jew https://www.jstor.or[...]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95-Fall
[3] University THE LANGUAGES OF FINLAND 1917–2017 https://www.ling.hel[...]
[4] 법률 The Pedlars Act 1871
[5] EB1911 Hawkers and Pedlars
[6] Wiktionary itinerant on Wiktionary https://en.wiktionar[...]
[7] 서적 Ancient and medieval marketing Routledge
[8] 서적 Principles of a Political Economy Longman 1909
[9] 서적 The Wheels of Commerce: Civilization and Capitalism, 15th to 18th Centur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2
[10] 서적 Coins, bodies, games, and gold : the politics of meaning in archaic Greec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7-09-02
[11] 웹사이트 Street Peddling http://www.encyclope[...] 2024-10-11
[12] 웹사이트 German Jews and Peddling in America https://www.immigran[...] 2024-10-11
[13] 간행물 A Jewish Peddler's Diary http://americanjewis[...] American Jewish Archives 1842-43
[14] 서적 Early modern Italy : a social history https://www.worldcat[...] Routledge 2001
[15] 학술지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Markets: A Business History Perspective 2011-Spring
[16] 기타 Tudor Documents cited in Casson, M. and Lee, J.,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Markets: A Business History Perspective," Business History Review 2011-Spring
[17] 학술지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Markets: A Business History Perspective 2011-Spring
[18] 학술지 The Tin-Peddler https://www.jstor.or[...] 1913
[19] 서적 Deaf Peddler: Confessions of an Inside Man Gallaudet University Press 2000
[20] 서적 Deaf Peddler: Confessions of an Inside Man Gallaudet University Press 2000
[21] 기타 London Labour and the London Poor
[22] 기타 The Victorian Underworld Penguin 1970
[23] 학술지 Redressing Reform Narratives: Victorian London's Street Markets and the Informal Supply Lines of Urban Modernity 2006
[24] 기타 The Autobiography of a Pedlar: John Lomas of Hollinsclough
[25] 기타 Lisistzky's story is recounted in Rubin, S.J. (ed), Writing Out Lives: Autobiographies of American Jews, 1890-1990 Jewish Publication Society
[26] 간행물 A Jewish Peddler's Diary http://americanjewis[...] American Jewish Archives 1842-43
[27] 웹사이트 Massachusetts, Consumer Affairs http://www.mass.gov/[...]
[28] Dictionary Quidnunc Definition & Meaning https://www.dictiona[...]
[29] 학술지 The Good Thief Imagined as a Peddler 1998
[30] 서적 Images of the Outcast: The Urban Poor in the Cries of London Rutgers University Press 2002
[31] 기타 Etudes Prises Dans let Bas Peuple, Ou Les Cris de Paris E. Fessard 1737
[32] 기타 The Cries of London Calculated to Entertain the Minds of Old and Young; illustrated in variety of copper plates neatly engrav'd with an emblematical description of each subject H. Roberts c.1760
[33] 기타 Cries of London I. Kirk 1757
[34] 학술지 The Monkeys & the Peddler https://www.metmuseu[...] 1968
[35] 학술지 Ivan Sytin--An Old Russia Success Story https://www.jstor.or[...] 1971
[36] 웹사이트 Gimpel the Fool & The Lady and the Peddler https://www.backstag[...] 2024-10-11
[37] 웹사이트 Robin Hood and the peddler https://www.loc.gov/[...] 2024-10-11
[38] 서적 Magill's Survey of Cinema, Foreign Language Films https://books.google[...] Salem Press 1985-06-30
[39] 문서 専用の道具と技能を必要とする作業。
[40] 문서 消費期限 / 賞味期限の長短
[41] 문서 一遍聖絵の「備前国福岡の市」には既に描かれている。
[42] 문서 イッカククジラの牙
[43] 문서 小山田ほか、p.142.
[44] 문서 、2012年9月19日閲覧。
[45] 문서 シジミやアサリのような貝も含まれる。
[46] 간행물 伊勢志摩の魚介類がテーマのラッピング車両「伊勢志摩お魚図鑑」を導入(3月3日更新) https://www.kintetsu[...] 근畿日本鉄道株式会社 2020-02-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