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라트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라트주는 역사적으로 대호라산의 일부였으며, 여러 왕조의 지배를 받다가 현대 아프가니스탄의 일부가 되었다. 19세기에는 영국과 러시아 간의 '대게임'의 중심지였으며,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이후에는 격전지가 되었다. 2000년대 초반 탈레반 정권 붕괴 이후 이스마일 칸이 주지사로 복귀했으나, 중앙 정부와의 갈등으로 해임되었다. 2011년에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로부터 안보 책임을 이양받았으며, 2023년에는 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주요 경제 활동은 농업이며, 사프란 생산이 아프가니스탄 전체의 90%를 차지한다. 헤라트 대학교가 있으며, 축구와 크리켓이 인기 있는 스포츠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가니스탄의 주 - 바다흐샨주
바다흐샨주는 아프가니스탄 북동부 힌두쿠시 산맥과 파미르 고원에 걸쳐 타지키스탄, 중국, 파키스탄과 국경을 접하며, 타지크족이 주로 거주하고 다리어를 사용하는 지역으로, 역사적으로 여러 제국의 지배를 거쳐 아프가니스탄의 일부가 되었으나 2021년 탈레반에 함락되었다. - 아프가니스탄의 주 - 판지시르주
판지시르주는 아프가니스탄 힌두쿠시 산맥의 판지시르 계곡에 위치하며,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당시 무자헤딘의 거점이었고, 2004년 신설되었으며, 타지크족이 다수를 차지하고 페르시아어를 사용하며, 7개의 구역으로 나뉘고 에메랄드와 은의 광맥으로 유명하다.
헤라트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 | |
![]() | |
유형 | 주 |
주도 | 헤라트 |
행정 | |
주지사 | 누르 모하마드 이슬람자르 |
부주지사 | 압둘 카윰 로하니 |
주요 언어 | 파슈토어, 다리어 |
시간대 | 아프가니스탄 시간 |
UTC 오프셋 | +4:30 |
우편 번호 | 30xx |
ISO 코드 | AF-HER |
지리 | |
면적 | 55,868 km² |
인구 | |
총 인구 (2021년) | 3,780,000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2. 역사
헤라트 지역은 역사적으로 대호라산의 중요한 일부였으며,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명과 제국의 흥망성쇠를 겪었다. 아케메네스 제국,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마케도니아 제국, 셀레우코스 제국, 파르티아 제국, 쿠샨 제국, 사산 제국 등 여러 고대 세력의 지배를 거쳤다.
중세에는 이슬람 세력의 확장과 함께 타히르 왕조, 사파르 왕조, 사만 왕조, 가즈나 왕조, 고르 왕조, 셀주크 제국 등 여러 왕조의 통치 하에 있었다. 13세기 몽골 제국의 침략을 받았으며, 이후 일 칸국, 카르트 왕조를 거쳐 티무르 제국 시대에 다시 번영을 누리기도 했다.
근대에는 사파비 왕조, 호타키 왕조, 아프샤르 왕조, 두라니 제국 등의 지배를 받았다. 19세기에는 영국과 러시아 제국 사이의 경쟁인 "대게임"의 영향으로 전략적 요충지가 되었으며, 페르시아의 포위 공격과 영국-페르시아 전쟁 등 외부 세력의 개입을 겪었다.
20세기 후반, 1979년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이후 헤라트는 격동의 시기를 맞이했다. 무자헤딘 사령관 이스마일 칸은 소련군과 정부군에 맞서 저항 활동을 이끌었다. 소련 철수 후 이스마일 칸은 헤라트의 강력한 지도자로 부상했으나, 1995년 탈레반에게 축출되었다. 2001년 탈레반 정권 붕괴 후 다시 주지사로 복귀했지만, 중앙 정부와의 갈등 끝에 장관직을 맡게 되었다. 이후 국제 안보 지원군(ISAF)이 주둔하며 재건 노력이 이루어졌고, 2011년에는 아프간 군에게 안보 책임이 이양되었다. 그러나 2021년 탈레반이 다시 아프가니스탄 전역을 장악하면서 헤라트 역시 탈레반의 통치 하에 들어갔다.[27]
2023년에는 두 차례의 강력한 지진이 발생하여 수천 명의 사상자와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2. 1. 고대
헤라트 지역은 고대에 인더스 문명(기원전 2200–1800년경)과 옥서스 문명(기원전 2100–1800년경)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 지역은 역사적으로 아리아라고도 불렸으며, 여러 고대 제국의 지배를 거쳤다.세력 | 지배 시기 (추정) |
---|---|
메디아 제국 | 기원전 728–550년 |
아케메네스 제국 | 기원전 550–330년 |
마케도니아 제국 (알렉산드로스 대왕) | 기원전 330–312년 |
셀레우코스 제국 | 기원전 312–150년 |
마우리아 제국 | 기원전 305–180년 |
그레코-박트리아 왕국 | 기원전 256–125년 |
파르티아 제국 | 기원전 247년 – 서기 224년 |
인도-그리스 왕국 | 기원전 180–90년 |
인도-스키타이 왕국 | 기원전 155–80?년 |
쿠샨 제국 | 기원전 135년 – 서기 248년 |
인도-파르티아 왕국 | 기원전 20년 – 서기 50?년 |
사산 제국 | 서기 230–651년 |
키다르 왕국 | 서기 320–465년 |
알촌 훈족 | 서기 380–560년 |
에프탈 제국 | 서기 410–557년 |
네자크 훈족 | 서기 484–711년 |
2. 2. 중세
헤라트 지역은 역사적으로 대호라산의 일부였다. 중세 시대에 들어서면서 이 지역은 여러 세력의 지배를 받았다. 이슬람 세력의 확장과 함께 7세기 중반 정통 칼리파조의 영향력 아래 들어갔으며, 이후 우마이야 왕조와 아바스 왕조의 통치를 받았다. 짧은 기간이지만 동쪽의 당나라의 영향력이 미치기도 했다.9세기부터는 호라산 지역을 기반으로 한 독립적인 왕조들이 등장했다. 타히르 왕조를 시작으로 사파르 왕조, 사만 왕조가 차례로 헤라트를 지배했다. 이후 10세기 후반부터는 튀르크계 왕조인 가즈나 왕조와 셀주크 제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아프가니스탄 중부 산악 지대에서 발흥한 고르 왕조 역시 이 지역을 통치했다. 13세기 초에는 호라즘 제국이 헤라트를 장악했으나, 곧이어 칭기즈 칸이 이끄는 몽골 제국의 침략을 받았다.
몽골 제국의 분열 이후 헤라트는 차가타이 칸국과 일 칸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13세기 중반부터는 카르트 왕조가 헤라트를 중심으로 자치적인 세력을 형성하기도 했다. 14세기 후반에는 티무르가 이끄는 티무르 제국이 이 지역을 정복하여 다시 한번 광대한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2. 3. 근대
헤라트 지역은 역사적으로 대호라산의 일부였으며, 근대 시기에는 사파비 왕조, 호타키 왕조, 아프샤르 왕조, 두라니 제국, 카자르 왕조 등이 차례로 통치하였다.19세기 동안 헤라트는 영국과 러시아 사이의 경쟁인 "대게임"의 중요한 무대가 되었다. 영국은 아프가니스탄 남부 지역에 영향력을 행사하기 시작했다. 영국은 페르시아나 러시아의 영향력이 남아시아 깊숙이 확장되는 것을 막고, 영국의 인도 식민지를 보호하기 위해 1838년 페르시아의 헤라트 포위와 1856년 영국-페르시아 전쟁 당시의 도시 점령을 지원했다.
2. 4. 현대
1979년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으로 전쟁이 시작되기 전까지 헤라트 지역은 비교적 평온한 상태를 유지했다. 1980년대 소련과의 전쟁 기간 동안, 헤라트는 현지 무자헤딘 사령관 이스마일 칸이 이끄는 저항 활동의 중심지가 되었다. 그는 소련이 지원하는 아프간 정부에 맞서 싸웠으며, 이러한 게릴라전은 1989년 소련군이 아프가니스탄에서 완전히 철수할 때까지 계속되었다.소련군 철수 후, 이스마일 칸은 헤라트 주의 주지사가 되었다. 그러나 1995년 남부에서 세력을 확장한 탈레반 군대가 헤라트를 장악하면서 그는 축출되었다. 2001년 말,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으로 탈레반 정권이 무너지고 하미드 카르자이가 이끄는 임시 행정부가 수립되자, 이스마일 칸은 다시 헤라트 주지사로 복귀했다.
하지만 이스마일 칸은 곧 논란의 중심에 섰다. 그가 국민의 자유를 제한하려 한다는 비판과 함께, 군벌로서 중앙 정부로부터 독립적인 통치를 추구한다는 보도가 나왔다. 2004년에는 다른 군벌과의 충돌 과정에서 아들 미르와이스 사딕을 잃는 비극을 겪었다. 이러한 갈등 속에서 중앙 정부는 아프가니스탄 국가 안보군(ANSF)을 헤라트로 파견하여 영향력을 확대하려 했고, 이스마일 칸에게는 카불로 이동하여 장관직을 맡으라는 명령이 내려졌다. 그는 이후 광공업부 장관을 거쳐 수자원·에너지부 장관을 역임했다.
2005년부터는 국제 안보 지원군(ISAF)이 아프간 정부를 지원하기 위해 헤라트 주에 주둔하기 시작했으며, 이탈리아군이 주도적인 역할을 맡았다. 또한 다국적 지방 재건팀(PRT)이 설립되어 지역 주민들을 위한 재건 및 개발 활동을 펼쳤다. 미국은 헤라트에 영사관을 개설하고, 아프간 안보군 훈련, 학교 및 진료소 건설 등을 지원했다.
헤라트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가 아프가니스탄 정부로 안보 책임을 이양한 첫 7개 지역 중 하나였다. 2011년 7월 21일, 아프간 안보군은 NATO로부터 헤라트 주의 안보 주도권을 공식적으로 넘겨받았다.
2021년, 탈레반이 다시 공세를 강화하면서 헤라트 주의 상황은 급변했다. 7월 초, 탈레반은 이란과의 국경 지대인 이슬람 칼라를 점령했다.[13] 7월 말부터는 헤라트 시 외곽과 주변 지역에 대한 동시다발적인 공격을 감행했다.[14] 아프가니스탄군과 이스마일 칸이 이끄는 민병대가 저항했지만[15], 헤라트 국제공항이 폐쇄되고[16] 주요 거점들이 탈레반에게 넘어가기 시작했다.[15] 7월 31일에는 유엔 사무소가 공격받는 사건도 발생했다.[17] 8월 초, 탈레반은 대규모 공세를 이어갔고[18][19], 시가전이 벌어지기도 했다.[20] 일부 시민들은 정부 지지 시위를 벌였으나[20][21], 탈레반의 공세를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8월 12일, 탈레반은 정부군의 방어선을 돌파하여 헤라트 시내로 진입했고, 주요 정부 건물과 모스크를 점령했다.[26] 결국 8월 13일, 헤라트 주지사, 경찰 및 정보국장, 군단 사령관, 이스마일 칸 등 주요 인사들이 탈레반에 항복했다.[27] 2021년 기준으로 누르 무하마드 이슬람자르(Noor Muhammad Islamjar)가 주지사를 맡고 있다.
헤라트 주는 혹독한 기상 조건으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2008년 1월에는 강력한 한파로 인해 137명이 사망하고 약 1만 마리의 가축이 폐사하는 피해가 발생했다.[12] 2023년에는 두 차례의 큰 지진이 헤라트를 강타했다. 규모 6.3의 본진과 강력한 여진으로 인해 2,800명 이상이 사망하고 수천 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이는 1998년 이후 아프가니스탄에서 발생한 최악의 지진으로 기록되었다. 불과 일주일 뒤 규모 6.3의 세 번째 지진이 다시 발생하여 추가적인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3. 경제
헤라트주는 아프가니스탄 사프란 생산량의 90%를 차지하며, 2014년 기준으로 1200만달러 규모의 산업을 형성하고 있다.[5] 2015년 세계 은행은 사프란 재배가 헤라트주 농부들에게 꾸준한 수입원을 제공하고, 남녀 모두에게 일자리를 창출하며 양귀비 재배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고 평가했다.[5]
이란 및 투르크메니스탄과의 국경을 맞대고 있으며 헤라트 국제공항이 위치하여, 이를 통한 무역은 헤라트주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6]
헤라트주는 도시화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인구의 약 75%가 농촌 지역에 거주한다.[7] 이로 인해 경제 활동은 주로 농업 및 원예 생산에 크게 의존하며, 주요 생산품으로는 사프란, 양탄자, 커민, 대리석, 동물 가죽, 양모 등이 있다.[6][7] 2011년 기준으로 이러한 농업 및 원예 분야가 전체 경제 활동의 약 82%를 차지했다.[7] 그 외에는 대리석 가공 및 경공업이 나머지 경제 활동을 구성한다.[7]
4. 보건
깨끗한 식수를 사용하는 가구의 비율은 2005년 31%에서 2011년 28%로 감소했다.[8] 숙련된 출산 도우미의 도움을 받은 출생 비율은 2005년 24%에서 2011년 25%로 증가했다.[8]
5. 교육
전반적인 문맹률(6세 이상)은 2005년 36%에서 2011년 25%로 감소했다.[8] 전체 순 등록률(6~13세)은 2005년 55%에서 2011년 52%로 감소했다.[8] 헤라트 대학교는 2014년 기준으로 10,000명 이상의 학생, 14개 학부, 45개 학과를 보유한 아프가니스탄에서 두 번째로 큰 대학교이다.
6. 인구
2020년 기준으로 헤라트주의 총 인구는 약 2,187,169명이며, 이들 중 대다수는 농촌 지역에 거주한다.[2] 아프가니스탄 농촌 재건 개발부에 따르면, 헤라트 인구의 약 77%는 농촌 지역에, 23%는 도시 지역에 거주한다. 인구의 성비는 남성과 여성이 각각 약 50%를 차지한다. 다리어와 파슈토어는 전체 인구의 98%와 마을의 97.7%에서 사용되는 주요 언어이며, 나머지 인구는 투르크멘어와 우즈베크어를 사용한다.[9]
미국 평화 연구소의 보고서에 따르면 헤라트의 주요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 해당 보고서에서는 헤라트의 파슈툰족 중 45%가 페르시아어(다리어)를 사용한다고 언급하기도 했다.[9]
민족 | 인구 비율 | 주요 거주 지역 |
---|---|---|
파슈툰족 | 45% | 헤라트시의 남부, 동남부, 서부, 북서부 도시 및 주변 지역 |
타지크족 | 26% | 헤라트시 및 주변 지역 |
에마크족 | 27% | 동부 및 북동부 도시 |
기타 소수 민족 | 2% | - |
헤라트주에는 계절에 따라 이동하는 쿠치족(유목민)도 거주한다. 겨울에는 전체 쿠치 인구의 4.1%에 해당하는 98,506명이 166개 지역 사회에 나뉘어 헤라트에 머문다. 이들 중 약 75%는 단거리 부분 이주를 하고, 12%는 장거리 부분 이주를 하며, 13%는 정착 생활을 한다. 단거리 이주 쿠치의 주요 여름 거주지는 헤라트주의 쿠쉬키 상기, 파르시, 아드레칸, 쿠쉬크 코나, 쿠쉬크 로바드, 파슈툰 자르군, 신단드, 구자라, 치슈트 샤리프, 오베, 코히스탄, 카루크 지역 등이다. 장거리 이주 쿠치는 주로 완전 이주형이며, 이들의 여름 거주지는 고르주에 있다. 여름철 헤라트주의 쿠치 인구는 112,311명으로 추산된다.[9]
주민은 아프가니스탄인 외에 몽골계 민족인 모굴족도 거주한다.
기상 조건이 가혹하여 2008년 1월에는 심각한 한파로 인해 137명이 사망하고 가축 약 1만 마리가 폐사하는 피해가 발생하기도 했다.[12]
7. 스포츠
축구는 헤라트주에서 인기 있는 스포츠이며, 최근 몇 년 동안 크리켓 또한 인기를 얻고 있다. 헤라트주는 국내 대회에서 헤라트주 크리켓팀으로 대표된다. 아프가니스탄의 전통 스포츠인 부즈카시와 기타 여러 스포츠도 이 지역에서 행해진다.
8. 저명한 인물
- 아바스 1세 - 사파비 왕조의 통치자
- 술탄 후세인 미르자 바이카라 - 헤라트의 티무르 왕조 통치자
- 미르와이스 호타크 - 호타크 왕조의 창시자
- 이스마일 칸 - 자미아트 이슬라미의 타지크 사령관
- 아흐마드 샤 두라니 - 두라니 왕조의 창시자
- 알리시르 나보이 - 시인, 작가, 정치가, 언어학자, 신비주의자, 화가
- 파라마르즈 타마나
- 자블론 시민토프
9. 미래
2012년 12월, 아프가니스탄과 이탈리아는 헤라트주의 인프라 프로젝트를 위한 1.5억유로의 연성 대출 시설을 포함하는 "장기 협정"을 체결했다. 2014년에는 헤라트 국제공항의 개선을 위해 약 3200만달러 규모의 첫 번째 연성 대출에 대한 협정이 체결되었다. 2016년에는 아프가니스탄과 이탈리아 사이에 헤라트와 치스트-에 샤리프 사이의 155km 도로 건설을 위한 약 1억달러 규모의 두 번째 연성 대출 협정이 체결되었다. 이탈리아는 또한 헤라트와 이란의 마슈하드 사이의 철도 연결을 완료하기 위해 약 7000만달러 규모의 세 번째 연성 대출 가능성을 평가하기로 합의했다. 아시아 개발 은행(Asian Development Bank)은 또한 헤라트와 투르크메니스탄 간의 철도 연결 건설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시행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د هرات ولايت نوي والي او مرستیال والي معرفي او دندې یې پيل کړې – الاماره پښتو
http://alemarah1.org[...]
[2]
웹사이트
Estimated Population of Afghanistan 2021–22
https://www.nsia.gov[...]
National Statistic and Information Authority (NSIA)
2021-04-01
[3]
웹사이트
The Best Attractions In Herat Province
https://www.destimap[...]
2023-10-08
[4]
뉴스
Afghanistan hit by 6.3 magnitude earthquake - its third in days
https://news.sky.com[...]
2023-10-15
[5]
웹사이트
Saffron: A Major Source of Income and an Alternative to Poppy
https://www.worldban[...]
2019-08-13
[6]
웹사이트
Herat trade on the up and up
http://atimes.com/at[...]
2012-04-16
[7]
웹사이트
Herat Economic Corridor Could Catalyze Growth in Western Afghanistan
https://dai-global-d[...]
2014-08-27
[8]
웹사이트
Herat
https://www.cimicweb[...]
2014-05-31
[9]
웹사이트
B. Demography and Population
http://www.mrrd-nabd[...]
Afghanistan's Ministry of Rural Rehabilitation and Development
[10]
웹사이트
Estimated Population of Afghanistan 2021-22
https://www.nsia.gov[...]
National Statistic and Information Authority (NSIA)
2021-04-01
[11]
웹사이트
2006年公式推計
http://www.cso.gov.a[...]
2006-01-01
[12]
뉴스
アフガニスタン15年ぶりの大寒波、死者数320人以上
https://www.afpbb.co[...]
AFP
2021-01-22
[13]
뉴스
タリバン、国境の要所複数を制圧と アフガニスタン
https://www.bbc.com/[...]
[14]
웹사이트
Taliban Attacks Repelled in Herat City, Karokh: Officials
https://tolonews.com[...]
[15]
웹사이트
Taliban Gets Closer to Herat City as Clashes Intensify
https://tolonews.com[...]
[16]
웹사이트
Flights Canceled at Herat Airport as Clashes Enter 2nd Day
https://tolonews.com[...]
[17]
뉴스
国連事務所攻撃、1人死亡=アフガニスタン西部
https://www.afpbb.co[...]
[18]
웹사이트
Taliban Attack Pushed Back in Herat: Governor
https://tolonews.com[...]
[19]
웹사이트
Clashes Intensify in Herat as Reinforcements Arrive
https://tolonews.com[...]
[20]
웹사이트
Heratis March against Taliban, Support Afghan Forces
https://tolonews.com[...]
[21]
웹사이트
Cries of 'Allahu Akbar' in Support of ANDSF Spread Across Nation
https://tolonews.com[...]
[22]
웹사이트
AFGHANISTAN Guzara District, Hirat Province
https://afghanag.ucd[...]
캘리포니아대학교 데이비스캠퍼스
[23]
웹사이트
Heavy Clashes Still Ongoing in Herat City
https://tolonews.com[...]
[24]
웹사이트
Taliban Attacks on Herat City Pushed Back: Officials
https://tolonews.com[...]
[25]
웹사이트
Taliban Attacks in Herat and Badghis Pushed Back: Officials
https://tolonews.com[...]
[26]
뉴스
Taliban take Kandahar, Herat in major Afghanistan offensive
https://apnews.com/a[...]
2021-08-12
[27]
웹사이트
Taliban Seize Herat City in Western Afghanistan
https://tolonews.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