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염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염기구는 특정 염증 반응, 특히 알레르기 반응에 관여하는 백혈구의 일종이다. 혈액 응고를 막는 헤파린, 혈관 확장제인 히스타민 등을 포함하며, 기생충 감염이나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나는 부위에 많이 존재한다. 호염기구는 IgE 항체에 결합하는 수용체를 가지고 있어 알레르기 반응의 중증도에 영향을 미치며, T 세포의 행동을 조절하고 후천 면역을 극대화하는 역할도 한다. 호염기구는 골수에서 생성되며, 과립을 통해 히스타민, 세로토닌, 헤파린 등을 분비한다. 호염기구 감소증과 증가증은 드물게 나타나며, 알레르기 진단에 활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백혈구 - 과립구
과립구는 골수에서 생성되어 식세포 작용과 독성 물질 방출을 통해 면역 반응에 기여하며, 호중구, 호산구, 호염기구, 비만 세포로 분류된다. - 백혈구 - 호중구
호중구는 혈액 내에서 가장 풍부한 백혈구로서 세균 감염에 대한 신속한 면역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식세포 작용, 탈과립, 호중구 세포외덫 형성 등의 항미생물 작용을 수행하고 염증 반응을 조절하며 사이토카인을 분비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호염기구 | |
---|---|
일반 정보 | |
![]() | |
![]() | |
시스템 | 면역계 |
2. 기능
호염기구는 특정 종류의 염증 반응, 특히 알레르기 증상을 유발하는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26] 이 세포는 항응고 작용을 하는 헤파린을 함유하여 혈액이 너무 빨리 응고되는 것을 막고,[8] 혈관을 확장시키는 히스타민을 분비하여 조직으로의 혈류를 증가시킨다.[8] 이러한 물질들은 세포 내 과립에 저장되어 있다가 특정 자극에 의해 방출된다.
호염기구는 진드기와 같은 외부 기생충 감염 부위에서 높은 수치로 발견되기도 하며, 호산구와 마찬가지로 기생충 감염과 알레르기 반응 모두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26] 세포 표면에는 IgE 항체와 결합하는 수용체가 존재하며,[20][21] 이를 통해 특정 항원에 반응하여 과립 속 물질을 방출한다.
최근 연구에서는 호염기구가 T 세포의 활동을 조절하고 후천 면역 반응의 강도를 조절하는 데 관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었다.[27][10] 그러나 호염기구의 정확한 기능과 생체 내 역할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가 진행 중이다.
2. 1. 알레르기 반응
호염기구는 특정 종류의 염증 반응, 특히 알레르기 증상을 유발하는 반응에 관여한다.[26]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나는 조직에서 발견되며, 반응의 중증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9]
호염기구의 세포 표면에는 IgE에 결합하는 단백질 수용체(FcεRI)가 존재한다.[20][21] IgE는 거대 기생충에 대한 방어 및 알레르기와 관련된 면역글로불린이다. 결합된 IgE 항체는 호염기구가 꽃가루 단백질이나 기생충 항원과 같은 특정 환경 물질에 선택적으로 반응하게 한다.[26] IgE가 결합한 항원에 반응하면, 호염기구는 세포 내 과립을 방출한다.
이 과립 속에는 다양한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혈관확장제인 히스타민은 조직으로의 혈류를 증가시키며,[8] 알레르기 반응 시 방출되어 아나필락시스 쇼크, 두드러기, 기관지 천식 등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 된다. 또한 항응고제인 헤파린을 함유하여 혈액이 너무 빨리 응고되는 것을 막는다.[8] 그 외에도 세로토닌과 같은 Vasoactive amine|혈관작용 아민영어, 세포 부착 분자인 히알루론산 등이 들어있다.
호산구와 마찬가지로 호염기구는 기생충 감염, 특히 진드기와 같은 외부 기생충 감염 부위에서 높은 수치로 발견되며,[9] 기생충 감염과 알레르기 반응 모두에서 역할을 한다.[26]
최근 연구에 따르면 호염기구는 T 세포의 행동을 조절하고 후천 면역 반응의 크기를 조절하는 데 기여할 수도 있다.[27][10] 또한 IgE 의존성 만성 알레르기 증상에서 염증 유도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22] 그 외 생체 면역 기능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정확한 역할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가 진행 중이다.
2. 2. 기생충 감염
호염기구는 기생충, 특히 진드기와 같은 외부 기생충 감염 부위에서 높은 수치로 발견될 수 있다.[26] 호산구와 마찬가지로 호염기구는 기생충 감염과 알레르기 반응 모두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9]호염기구의 세포 표면에는 IgE와 결합하는 단백질 수용체(FcεRI)가 존재한다.[20][21] IgE는 주로 대형 기생충에 대한 방어 및 알레르기 반응에 관여하는 면역글로불린이다. 호염기구에 결합된 IgE 항체가 기생충 항원과 같은 특정 물질을 인식하면, 호염기구는 세포 내 과립을 방출하여 반응한다.
이 과립 안에는 히스타민, 세로토닌과 같은 혈관작용 아민, 항응고 작용을 하는 헤파린[8], 세포 부착 분자인 히알루론산 등이 포함되어 있다. 히스타민은 혈관을 확장시켜 감염 부위로의 혈류를 증가시키고, 헤파린은 혈액 응고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과정은 기생충 감염에 대한 면역 반응의 일부로 작용한다.
최근 연구에서는 호염기구가 T세포의 기능을 조절하고 이차 면역 반응의 강도를 조절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었다.[27][10] 이는 쥐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이다.
2. 3. 기타 면역 반응
호염기구는 다양한 종류의 염증 반응, 특히 알레르기 증상을 유발하는 반응에 관여한다.[26] 호염기구는 항응고제인 헤파린[8]을 함유하고 있어 혈액이 너무 빨리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며, 혈관 확장제인 히스타민을 함유하여 조직으로의 혈류를 촉진한다.
호염기구는 진드기와 같은 [https://www.sciencedirect.com/topics/biochemistry-genetics-and-molecular-biology/ectoparasite 외부 기생충] 감염 부위에서 비정상적으로 높은 수치로 발견될 수 있다. 호산구와 마찬가지로, 호염기구는 기생충 감염과 알레르기 모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9][26]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나는 조직에서 발견되며 반응의 심각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호염기구의 세포 표면에는 IgE에 결합하는 단백질 수용체(FcεRI)가 존재한다.[20][21] IgE는 주로 거대 기생충 방어 및 알레르기와 관련된 면역글로불린이다. 세포에 결합된 IgE 항체는 환경 물질(예: 꽃가루 단백질 또는 기생충 항원)에 대한 선택적인 반응을 가능하게 하며, IgE가 결합한 항원에 반응하여 세포 내 과립을 방출한다.
호염기구의 과립 속에는 히스타민, 세로토닌 등의 혈관작용 아민, 헤파린, 히알루론산 등이 포함되어 있다. 알레르기 반응 시에는 이 과립에서 히스타민이 방출되어 아나필락시스 쇼크, 두드러기, 기관지 천식과 같은 증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IgE 의존성 만성 알레르기 증상에서 염증 유도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22]
최근 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호염기구가 T 세포의 행동을 조절하고 후천 면역 반응의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었다.[10][27]
호염기구의 기능은 CD200에 의해 억제될 수 있다. 헤르페스바이러스-6, 헤르페스바이러스-7, 헤르페스바이러스-8은 CD200 상동체를 생성하여 호염기구의 기능을 억제하는데, 이는 호염기구가 이러한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 반응에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11] CD200 수용체가 다른 순환 백혈구보다 호염기구에서 더 자주 발현된다는 연구 결과는 이러한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 반응에서 호염기구의 역할을 더욱 뒷받침한다.[12]
그 외에도 생체의 면역 기능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호염기구의 뚜렷한 존재 의의는 아직 연구 중에 있다.
3. 분비
호염기구는 골수에서 생성되어 성숙하는 백혈구의 일종이다.[30][13] 호염기구가 활성화되면 세포 안에 있던 과립 속 물질들을 세포 밖으로 방출하는 탈과립 과정을 통해 다양한 화학 물질을 분비한다.[13]
미리 생성되어 과립 안에 저장되어 있던 물질로는 히스타민, 프로테오글라이칸(주로 헤파린과 콘드로이틴), 단백질가수분해효소(엘라스테이스와 라이소포스포라이페이스 등), 그리고 세로토닌과 같은 Vasoactive amine|혈관작용 아민eng 등이 있다.[30][13] 이 외에도 활성화될 때 새로 합성하여 분비하는 물질도 있는데, 대표적으로 지질 매개체인 류코트라이엔(특히 LTD-4)과 몇몇 종류의 사이토카인이 있다.[30][13] 과립 속에는 헤파린과 같은 혈액 응고 억제 물질이나 히알루론산 같은 세포 부착 관련 당단백질도 포함되어 있다.
이렇게 분비된 물질들은 주로 염증 반응과 알레르기 반응에 관여한다.[13] 예를 들어, 히스타민은 알레르기 반응 시 방출되어 아나필락시스 쇼크, 두드러기, 기관지 천식과 같은 증상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 물질 중 하나이다. 호염기구는 특히 기생충(주로 외부 기생충) 감염 부위에 많이 모이며, 감염 및 알레르기 반응 모두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호염기구의 표면에는 IgE 항체와 결합할 수 있는 고친화성 수용체(FcεRI)가 존재한다.[20][21] 이 수용체에 IgE 항체가 결합한 상태에서 특정 항원과 만나면 호염기구가 활성화되어 탈과립이 일어나고, 위에서 언급한 다양한 물질들이 분비된다. 이러한 기전 때문에 호염기구는 IgE 의존성 만성 알레르기 증상을 유발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22]
3. 1. 인터류킨-4 (IL-4)
호염기구는 사이토카인의 일종인 인터루킨 4(IL-4)를 분비하는 주요 세포 중 하나이다.[30] 최근 연구에 따르면, 호염기구는 T 세포보다 더 중요한 IL-4 공급원일 수 있다.[13] IL-4는 알레르기 발생 및 면역계의 IgE 항체 생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중요한 사이토카인으로 여겨진다.[13][30] 호염기구가 활성화되어 탈과립을 통해 히스타민, 프로테오글라이칸, 단백질가수분해효소 등 다양한 물질을 방출할 때[30][13], 저장되어 있거나 새로 생성된 IL-4도 함께 분비되어 면역 반응, 특히 알레르기 반응 조절에 기여한다.3. 2. 호염기구 활성화 검사 (BAT)
호염기구가 과립을 방출하는 현상은 체외 환경에서 유세포분석이나 호염기구 활성화시험(Basophil Activation Test, BAT)을 통해 연구할 수 있다. 특히 호염기구 활성화시험(BAT)은 조영제와 같은 특정 약물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 여부를 진단하는 데 사용된다.[31]4. 구조
호염기구는 염색 시 세포질 내의 큰 과립 때문에 세포 핵이 현미경으로 잘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염색하지 않은 경우에는 핵이 보이며, 보통 두 개의 엽을 가지고 있다.[7] 또 다른 과립구인 비만 세포는 외형과 기능이 유사하다. 두 세포 모두 자극을 받으면 세포에서 분비되는 화학 물질인 히스타민을 저장한다. 하지만 이들은 서로 다른 조혈 경로에서 유래하며, 비만 세포는 보통 혈류에서 순환하지 않고 결합 조직에 위치한다. 모든 순환 과립구와 마찬가지로, 호염기구는 필요에 따라 혈액에서 조직으로 동원될 수 있다.
5. 면역표현형
호염기구는 특정 면역표현형을 통해 식별될 수 있으며, 이는 사람과 생쥐에서 유사하게 나타난다.[28][17] 이러한 면역표현형은 호염기구의 기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초를 제공한다. 상세한 표면 마커 목록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호염기구는 다양한 염증 반응, 특히 알레르기 반응 유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기생충 감염 부위에서 호염기구가 많이 발견되며, 이는 감염 대응과 알레르기 반응 모두에 관여함을 시사한다. 세포 표면에는 IgE에 결합하는 수용체(FcεRI)가 존재하며[20][21], 이 수용체에 결합된 IgE가 특정 항원에 반응하면 세포 내부의 과립을 방출한다.
호염기구의 과립에는 히스타민, 세로토닌과 같은 Vasoactive amine|혈관작용 아민영어, 혈액 응고를 억제하는 헤파린, 세포 부착에 관여하는 히알루론산 등이 포함되어 있다. 알레르기 반응 시 방출되는 히스타민은 아나필락시스 쇼크, 두드러기, 기관지 천식 등의 증상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또한, 호염기구는 IgE 의존적인 만성 알레르기 염증 반응에서도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22]
이 외에도 호염기구는 생체 면역 기능에 다양하게 관여할 것으로 생각되지만, 그 정확한 역할과 중요성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가 진행 중이다.
5. 1. 추가적인 표면 마커
사람과 생쥐의 호염기구는 공통된 면역표현형을 공유한다. 이 표현형에는 FcεRI+, CD123, CD49b(DX-5)+, CD69+, Thy-1.2+, 2B4+, CD11bdull, CD117(c-kit)–, CD24–, CD19–, CD80–, CD14–, CD23–, Ly49c–, CD122–, CD11c–, Gr-1–, NK1.1–, B220–, CD3–, γδTCR–, αβTCR–, α4 및 β4-인테그린 음성 등이 포함된다.[28][17]또한, 최근 연구에서는 호염기구를 CD13, CD44, CD54, CD63, CD69, CD107a, CD123, CD164, CD193/CCR3, CD203c, TLR-4, FcεRI 양성인 세포 집단으로 정의할 수 있다고 제안되었다.[29][17] 호염기구가 활성화될 경우, CD13, CD107a, CD164와 같은 일부 표면 마커의 발현이 증가하며, CD63 및 외부 효소인 CD203c 등은 세포 표면으로 노출된다.[29][17]
6. 임상적 의의
(내용 없음)
6. 1. 호염기구 감소증
호염기구 감소증은 호염구 수가 낮은 상태이지만, 정상 호염기구 수가 원래 적기 때문에 알아내기가 쉽지 않다. 자가면역성 두드러기 환자에게 호염기구 감소증이 나타난다는 보고가 있다.[32]6. 2. 호염기구 증가증
호염기구 증가증은 드물게 나타나며, 특정한 백혈병이나 림프종과 같은 질환에서 관찰될 수 있다.6. 3. 알레르기 진단
호염기구는 정맥혈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어, 알레르기 진단에 유용하게 활용된다. 의심되는 알레르겐으로 자극했을 때, 호염기구 표면의 활성화 마커(CD63, CD203c 등)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여 IgE 매개 알레르기 반응 여부를 판단하는 좋은 지표 세포가 된다.[18]이러한 원리를 이용한 호염기구 활성화 검사(Basophil Activation Test, BAT)는 병력 청취, 피부 검사, 특이 IgE 검사 등 기존의 방법으로 명확한 진단이 어려운 경우, IgE 매개 알레르기를 확인하는 데 도움을 준다. 최근에는 BAT가 성공적인 알레르겐 면역 요법(탈감작 치료)을 모니터링하는 데에도 사용되고 있다. 이를 통해 치료 후 일시적인 증상 완화(단기 탈감작)와 알레르겐에 대한 지속적인 반응 없음(지속적인 무반응) 상태를 구별할 수 있다.[19]
호염기구는 세포 표면에 IgE 항체와 결합하는 수용체(FcεRI)를 가지고 있다.[20][21] 특정 알레르겐에 대한 IgE가 이 수용체에 결합한 상태에서 다시 해당 알레르겐에 노출되면, 호염기구는 세포 내 과립을 방출한다. 이 과립에는 히스타민, 세로토닌과 같은 Vasoactive amine|혈관작용 아민eng, 혈액 응고를 억제하는 헤파린, 세포 부착에 관여하는 히알루론산 등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알레르기 반응 시 방출되는 히스타민은 아나필락시스 쇼크, 두드러기, 기관지 천식과 같은 급성 알레르기 증상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 물질이다. 또한, 호염기구는 IgE 의존적인 만성 알레르기 염증 반응에서도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22]
참조
[1]
웹사이트
Blood differential test
https://www.nlm.nih.[...]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16-04-22
[2]
서적
Encyclopedia of Life Sciences
2013
[3]
서적
Textbook Of Medical Physiology
https://books.google[...]
Elsevier
2009
[4]
논문
IgE, mast cells, basophils, and eosinophils
http://www.jacionlin[...]
2010-02
[5]
논문
Distinguishing mast cell and granulocyte differentiation at the single-cell level
2010-04
[6]
논문
The history of mast cell and basophil research - some lessons learnt from the last century
2013-09
[7]
웹사이트
Basophil
http://medcell.med.y[...]
2019-03-15
[8]
논문
Discovery and purification of heparin
https://www.nature.c[...]
2017-12-17
[9]
논문
The role of basophils in helminth infection
2009-12
[10]
논문
Basophils as APC in Th2 response in allergic inflammation and parasite infection
2010-12
[11]
논문
Down-regulation of basophil function by human CD200 and human herpesvirus-8 CD200
2005-10
[12]
논문
CD200R surface expression as a marker of murine basophil activation
2009-03
[13]
서적
Immunobiology.
https://archive.org/[...]
Garland Publishing
[14]
논문
Pilot study on basophil activation induced by contrast medium
2011-04
[15]
논문
Blood basophil numbers in chronic ordinary urticaria and healthy controls: diurnal variation, influence of loratadine and prednisolone and relationship to disease activity
2003-03
[16]
서적
Chapter 4 Basophils
[17]
논문
Mast cells and basophils: trojan horses of conventional lin- stem/progenitor cell isolates
2011-11
[18]
논문
The clinical utility of basophil activation testing in diagnosis and monitoring of allergic disease
2015-11
[19]
논문
Oral Immunotherapy and Basophil and Mast Cell Reactivity in Food Allergy
2020
[20]
논문
A review on Fc epsilon RI on human epidermal Langerhans cells
[21]
논문
5. IgE, mast cells, basophils, and eosinophils
[22]
논문
好塩基球研究のアップデート
[23]
웹사이트
대한의협 의학용어 사전
https://www.kmle.co.[...]
[24]
웹인용
Blood differential
http://www.nlm.nih.g[...]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13-02-02
[25]
서적
인체생리학
라이프사이언스
2011-03-01
[26]
논문
The role of basophils in helminth infection
2009-12
[27]
논문
Basophils as APC in Th2 response in allergic inflammation and parasite infection
2010-12
[28]
논문
Basophils beyond effector cells of allergic inflammation
[29]
논문
Mast cells and basophils: trojan horses of conventional lin- stem/progenitor cell isolates
http://www.ncbi.nlm.[...]
[30]
서적
Immunobiology.
http://www.ncbi.nlm.[...]
Garland Publishing
[31]
논문
Pilot study on basophil activation induced by contrast medium
2011-04
[32]
논문
Blood basophil numbers in chronic ordinary urticaria and healthy controls: diurnal variation, influence of loratadine and prednisolone and relationship to disease activity
https://doi.org/10.1[...]
2014-1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