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스파니아 바이티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스파니아 바이티카는 과달키비르강 유역에 위치한 로마 속주로, 오늘날 스페인 남부에 해당한다. 로마화 이전에는 이베리아 부족들이 거주했으며, 켈트 및 페니키아의 영향을 받았다. 로마 공화정 시기에 로마에 정복된 후, 농업 생산지로 번성하며 올리브유, 포도주, 가룸 등을 수출했다. 로마 제정 시대에는 '바이티카 펠릭스'로 불리며 번영했고, 트라야누스, 하드리아누스 등 로마 황제를 배출하기도 했다. 5세기에 서고트족, 8세기에는 무어인에게 점령당하며 알안달루스로 알려지게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엑스트레마두라주의 역사 - 루시타니아
루시타니아는 고대 로마 시대 이베리아 반도의 지역이자 속주로, 현재의 포르투갈 대부분과 스페인 일부를 포함하며, 로마에 저항한 루시타니아인들의 용맹함과 로마 도시 유적, 그리고 포르투갈을 지칭하는 문학적 표현과 RMS 루시타니아호의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 히스파니아 - 루시타니아
루시타니아는 고대 로마 시대 이베리아 반도의 지역이자 속주로, 현재의 포르투갈 대부분과 스페인 일부를 포함하며, 로마에 저항한 루시타니아인들의 용맹함과 로마 도시 유적, 그리고 포르투갈을 지칭하는 문학적 표현과 RMS 루시타니아호의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 히스파니아 - 히스파니아 타라코넨시스
히스파니아 타라코넨시스는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행정 개편으로 기원전 27년에 설치된 로마 제국의 속주로, 이베리아 반도 북동부에 위치하며 타라코를 중심으로 로마의 지배하에 이베리아 반도 북부 지역을 통합하는 기지 역할을 수행하며 로마화 과정을 거쳐 경제적, 문화적 발전을 이루었다. - 카스티야라만차주의 역사 - 루시타니아
루시타니아는 고대 로마 시대 이베리아 반도의 지역이자 속주로, 현재의 포르투갈 대부분과 스페인 일부를 포함하며, 로마에 저항한 루시타니아인들의 용맹함과 로마 도시 유적, 그리고 포르투갈을 지칭하는 문학적 표현과 RMS 루시타니아호의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 카스티야라만차주의 역사 - 히스파니아 타라코넨시스
히스파니아 타라코넨시스는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행정 개편으로 기원전 27년에 설치된 로마 제국의 속주로, 이베리아 반도 북동부에 위치하며 타라코를 중심으로 로마의 지배하에 이베리아 반도 북부 지역을 통합하는 기지 역할을 수행하며 로마화 과정을 거쳐 경제적, 문화적 발전을 이루었다.
히스파니아 바이티카 | |
---|---|
일반 정보 | |
원래 이름 | 히스파니아 바이티카 |
로마자 표기 | Hispania Baetica |
일반 명칭 | 히스파니아 바이티카 |
국가 | 로마 제국 |
시대 | 고대 |
수도 | 코르두바 |
존속 기간 | 기원전 14년 - 서기 5세기 |
사건 종료 | 서고트족 정복 |
이전 | |
이전 국가 1 | 히스파니아 울테리오르 |
이후 | |
이후 국가 1 | 서고트 왕국 |
지도 | |
![]() |
2. 명칭
라틴어 '바이티카(Baetica)'는 과달키비르강의 로마 명칭인 '바이티스(Baetis)'의 형용사 형태이며, 이 강 유역의 비옥한 토지가 속주의 중요한 지역 중 하나였다.[1]
3. 역사
히스파니아 바이티카는 로마 이전 시대, 공화정 시대, 제정 시대를 거쳐 이슬람 시대까지 긴 역사를 지니고 있다.3. 1. 로마 이전 시대
로마화 이전에, 훗날 바이티카가 되는 이 산악 지역은 여러 이베리아 부족들이 정착하여 살고 있었다. 켈트의 영향은 북쪽의 켈티베리아만큼 강하지 않았다. 지리학자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에 따르면, 원주민은 서쪽 과달키비르강 유역의 강력한 투르데타니인들과 해안 교역 식민지 배후지에 있는 바일로를 둔 투르둘리인들이 있었다. 투르둘리인들은 부분적으로 그리스화되었으며, 프톨레마이오스는 이들의 푸니계 주민들을 "바스툴리인"라고 칭했다. 페니키아인들의 가디라 (카디스)는 히스파니아 바이티카 해안의 섬에 있었다. 알메리아와 그라나다 지역에는 바스테타니인들이 거주했다. 남동쪽 해안에는 카르타고의 도시들, 즉 신 카르타고(오늘날 카르타헤나), 아브데라, 말라카 (말라가)가 있었고, 이곳에서 페니키아의 영향력이 퍼져나갔다.
일부 이베리아 도시들은 로마 시대에도 인도유럽어 이전 지명들을 유지했다. 그라나다는 로마인들에게 엘리베리, 일리베리스, 일리베르라고 불렸는데, 바스크어에서 "iri-berri" 또는 "ili-berri"는 여전히 "새로운 마을"이라는 뜻이다.
3. 2. 로마 공화정 시대
이베리아 반도 남부는 농업적으로 풍요로웠으며, 와인, 올리브 오일, 발효 생선 소스인 ''가룸''을 수출했다. 이 지역의 상품들은 기원전 206년 로마에 복속되기 전에도 서부 지중해 무역 경제의 일부를 형성했다.[1] 사군툼에서 바이티카 해안에서 전쟁 명분을 찾은 제2차 포에니 전쟁에서 카르타고가 패배한 후, 히스파니아는 기원전 2세기에 투르데타니족이 197년에 시작한 봉기 이후 상당한 로마화를 겪었다. 중앙 및 북동부의 켈티베리아인들도 곧 그 뒤를 따랐다. 기원전 195년에 집정관이 되어 반도를 통솔하게 된 카토 (대 카토)가 북동부와 하부 에브로 계곡의 반란을 진압했다. 그는 남쪽으로 진군하여 투르데타니족의 반란을 진압했다. 카토는 기원전 194년에 로마로 돌아갔고, 두 명의 프라에토르를 두 개의 이베리아 속주를 책임지도록 남겼다.[1] 로마 공화국 말기에 히스파니아는 갈리아와 마찬가지로 "더 가까운" 속주와 "더 먼" 속주로 나뉘었다. 갈리아에서 육로로 행군하는 경험: ''히스파니아 키테리오르''(에브로 지역)와 ''울테리오르''(과달키비르 지역). 기원전 1세기의 히스파니아에서의 전투는 주로 북부에 국한되었다.[1]
3. 3. 로마 제정 시대
기원전 14년 로마 제국의 재정비 때, 바이티카는 전직 법무관인 프로콘술이 관리하는 원로원 속주가 되었다. '바이티카 펠릭스(Baetica Felix)'라는 표현처럼, 이곳은 부유했으며, 역동적인 사회 및 경제적 중산 계층이 발달하여 해방 노예들을 흡수하고 부유한 엘리트층을 수적으로 압도했다. 로마 군단이 영구 주둔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안정적이었으며, 게미나 제7군단은 히스파니아 타라코넨시스에 주둔했다.[12]
히스파니아 바이티카는 4개의 콘벤투스(Conventus iuridicus)로 나뉘어 있었다. 이들은 순회 법원처럼 담당자가 연간 정해진 시간, 주요 장소에서 프로콘술의 감독하에 법 집행을 하는 관할 구역이었다. 4개의 콘벤투스는 Gaditanus(가데스), Cordubensis(코르도바), Astigitanus(아스티기), Hispalensis(히스팔리스)였다. 도시들이 제정 말기에 상설 법원 구역이 됨에 따라, 코벤투스는 중지되었고(유스티니아누스 법전 i.40.6), 코벤투스라는 용어는 속주에서 거주하는 로마 시민들의 단체에 적용되어 일종의 자치권을 지닌 단체를 형성하였다.
콜루멜라는 바이티카 출신으로, 로마 농업에 대한 12권 분량의 전문 서적을 쓰고 포도 재배에 해박했다. 바이티카의 올리브 농장들은 올리브유를 해안 항구에서 바다를 거쳐 게르마니아에 있는 로마 군단에 보급했다. 바이티카의 암포라는 서로마 제국 전역에서 발견되었다.
베스파시아누스 황제는 바이티카 주민들에게 라틴 시민권(''latinitas'')을 부여하여 엘리트 계층과 중산 계층의 충성을 확보했다. 트라야누스 황제는 비록 이탈리아계 혈통[1]이지만 바이티카 출신이었고, 그의 친척이자 후임자인 하드리아누스는 바이티카 가문 출신이었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의 조상은 바이티카의 우쿠비(에스페호) 출신이다.
2세기부터 아프리카 마우리족의 침입이 있었고, 막시미아누스 황제는 코르도바 근처에 궁전을 짓고 대응했다. 5세기 반달족과 알란족의 침입 이후 서고트 왕국이 들어섰다. 벨리사리우스의 아프리카 재정복 이후 아프리카 총독부의 일부가 되었다가 마우레타니아 팅기타나에 편입되었다. 바이티카의 가톨릭 주교들은 아리우스파였던 서고트 왕 레카레드와 귀족들을 개종시켰다.
3. 4. 이슬람 시대
8세기에 북아프리카의 이슬람계 베르베르인들 (무어인)이 바이티카를 정복하고 코르도바 칼리프국을 세웠다. 이 지역은 이들에게 "알안달루스"라고 알려지게 되었다.[1]
4. 총독 목록
프로콘술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
가이우스 비비우스 세레누스[2] | 20년 | 22년 |
가이우스 카이트로니우스 미치오 | 37년경 | 38년경 |
움보니우스 실리오[3] | 43년 | 44년 |
마르쿠스 울피우스 트라야누스[4] | ? | 67년 이전 |
루키우스 루쿨루스[5] | 70년대 | 70년대 |
[? 마르쿠스] 셈프로니우스 푸스쿠스[6] | 78년 | 79년 |
가이우스 코르넬리우스 갈리카누스 | 79년 | 80년 |
루키우스 안티스티우스 루스티쿠스 | 83년 | 84년 |
바에비우스 마사 | 91년 | 92년 |
갈레오 테티에누스 세베루스 마르쿠스 에풀레이우스 프로쿨루스 티베리우스 카에피오 히스포 | 95년 | 96년 |
? 갈루스 | 96년 | 97년 |
가이우스 카에킬리우스 클라시쿠스 | 97년 | 98년 |
퀸투스 바에비우스 마케르 | 100년 | 101년 |
인스타니우스 루푸스 | 101년 | 102년 |
? 루스트리키우스 브루티아누스 | 107년 이전 | 107년 이전 |
[? 티투스] 카레스티리우스 티로 | 107년 | 108년 |
에그나티우스 타우리누스 | 138년과 143년 사이 | 138년과 143년 사이 |
? 가이우스 율리우스 프로쿨루스 | 122년 | 123년 |
푸블리우스 툴리우스 바로 | 123년 | 124년 |
루키우스 플라비우스 아리아누스 | 129년 이전 | 129년 이전 |
가이우스 자볼레누스 칼비누스[7] | 138년과 143년 사이 | 138년과 143년 사이 |
아일리우스 마르키아누스 | 138년과 161년 사이 | 138년과 161년 사이 |
푸블리우스 스타티우스 파울루스 포스투무스 주니어 | 2세기 중반 | 2세기 중반 |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아눌리누스 | 170년 | 171년 |
가이우스 아우피디우스 빅토르누스 | 171년 | 171년 |
가이우스 멤미우스 피두스 율리우스 알비우스[8] | 183년 | 183년 |
카에킬리우스 에밀리아누스[8] | 215년 | 215년 |
아울루스 카에키나 타키투스[9] | 3세기 전반 | 3세기 전반 |
L. 셈프로니우스 O[...] 켈수스 [세르비]리우스 파비아누스[10] | 3세기 전반 | 3세기 전반 |
퀸투스 폼포니우스 무나트[리아누스?] 클로디아누스[11] | 3세기 전반 | 3세기 전반 |
5. 유산
바이티카는 로마 제국의 번영과 문화적 다양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였다. 현대 안달루시아 지방은 바이티카의 역사적 유산을 간직하고 있으며, 다양한 문화 유적과 전통이 남아있다.
바이티카는 부유하고 로마화가 잘 이루어져, 이탈리아의 식민지 주민과 상인들이 많이 이주해 왔다. 세네카 (장로), 세네카 (젊은이), 루칸 등 뛰어난 인물들을 배출했다.[1] 황제 트라야누스와 하드리아누스도 바이티카 출신이었다.
바이티카는 5세기에 반달족과 알란족의 침략을 겪은 후 서고트 왕국에 편입되었다. 로마 가톨릭 주교들은 지역 주민들의 지지를 바탕으로 아리우스파였던 서고트 왕 레카레드와 귀족들을 개종시키기도 했다. 바이티카는 711년 이슬람 침략 이전까지 행정 단위로 존속했다.
참조
[1]
서적
Great Leaders, Great Tyrants? Contemporary Views of World Rulers who Made History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5
[2]
문서
Annales
[3]
문서
[4]
간행물
Direct Promotions from Proconsul to Consul under the Principate
http://www.uni-koeln[...]
1991
[5]
문서
Naturalis Historia
[6]
학술지
Jahres- und Provinzialfasten der senatorischen Statthalter von 69/70 bis 138/139
1982
[6]
학술지
Jahres- und Provinzialfasten der senatorischen Statthalter von 69/70 bis 138/139
1983
[7]
서적
Konsulat und Senatorenstand unter der Antoninen
Rudolf Habelt Verlag
1977
[8]
서적
Konsuln und Konsulare in der Zeit von Commodus bis Severus Alexander
1989
[9]
간행물
Direct promotions
[10]
CIL
[11]
간행물
Direct promotions
[12]
서적
Great Leaders, Great Tyrants? Contemporary Views of World Rulers who Made History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5
[13]
간행물
Direct Promotions from Proconsul to Consul under the Principate
http://www.uni-koeln[...]
1991
[14]
문서
박물지
[15]
학술지
Jahres- und Provinzialfasten der senatorischen Statthalter von 69/70 bis 138/139
1982
[15]
학술지
Jahres- und Provinzialfasten der senatorischen Statthalter von 69/70 bis 138/139
1983
[16]
서적
Konsulat und Senatorenstand unter der Antoninen
Rudolf Habelt Verlag
1977
[17]
간행물
Direct promotions
[18]
간행물
Direct promotions
[19]
서적
Prosopographia Baetica
https://books.google[...]
Universidad de Navarra
1968
[20]
서적
Städte und Personen der Baetica
https://books.google[...]
de Gruyter
197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