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리스화는 그리스 문화의 영향력 확산을 의미하며, 특히 언어, 문화, 종교 등의 측면에서 나타난다. 이 용어는 기원전 4세기부터 아나톨리아, 유대, 파르티아 등 다양한 지역에서 일어난 헬레니즘화 과정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그리스화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이후 헬레니즘 시대에 활발히 진행되었으며, 초기 기독교의 성장에도 영향을 미쳤다. 동로마 제국에서는 정치적 그리스화가 진행되었고, 현대 그리스에서는 지명 변경과 소수 민족의 동화 과정과 관련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 국민주의 - 메갈리 이데아
메갈리 이데아는 19세기 그리스에서 비잔틴 제국 부활을 목표로 모든 그리스인을 통합하려는 민족주의적 구상이며, 그리스 독립 전쟁 이후 구체화되어 발칸 전쟁에서 영토 확장을 이루었으나 그리스-터키 전쟁에서 좌절되었고, 20세기 후반까지 그리스 외교 정책에 영향을 미쳤다. - 그리스의 사회 - 그리스의 인구
그리스의 인구는 고대부터 여러 제국의 지배와 20세기 초 인구 교환, 세계 대전, 내전 등을 겪으며 변화했고, 2001년 이후 경제 위기, 저출산, 해외 이주로 감소했으며, 수도권과 테살로니키에 집중, 고령화 심화, 출생률 감소, 청년 실업 문제가 있다. - 그리스의 역사 - 그리스 왕국
그리스 왕국은 1832년부터 1924년, 그리고 1935년부터 1973년까지 존속했던 입헌 군주국으로, 바이에른 왕가와 글뤽스부르크 왕가의 통치를 거치며 영토 확장과 경제 발전을 이루었으나, 군주제 폐지와 군사 정권 수립 등 격동의 시기를 겪었다. - 그리스의 역사 - 8월 4일 체제
8월 4일 체제는 1936년 이오아니스 메탁사스가 그리스에서 계엄령을 선포하고 헌법을 정지시켜 수립한 권위주의 정권으로, 정치적 혼란과 공산주의 확대를 배경으로 독재 체제를 구축하고 사회를 통제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붕괴되었다.
그리스화 | |
---|---|
개요 | |
정의 | 그리스 문화, 언어, 정체성이 비그리스 민족에게 확산되는 현상 |
관련 용어 | 헬레니즘 (Hellenism) 헬라스화 |
역사적 맥락 | |
기원 | 고대 그리스 |
전파 요인 | 그리스 식민지 건설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헬레니즘 시대의 문화적 교류 |
주요 영향 지역 | 소아시아 이집트 시리아 페르시아 중앙아시아 인도 |
특징 | |
언어 | 그리스어의 보급 |
문화 | 그리스 철학 그리스 종교 그리스 예술 그리스 건축 그리스 문학 |
정치 | 그리스 도시 국가 모델의 확산 |
사회 | 그리스식 교육 그리스식 생활 방식 |
영향 | |
긍정적 영향 | 문화적 융합 및 발전 새로운 예술 및 과학의 발전 국제 무역 증진 |
부정적 영향 | 기존 문화의 억압 사회적 불평등 심화 문화적 정체성 상실 |
사례 | |
유대교 | 헬레니즘 시대 유대교에 대한 영향 |
불교 | 그리스-불교 문화의 형성 |
로마 | 로마 문화에 대한 그리스 문화의 영향 |
현대적 관점 | |
문화 제국주의 | 헬레니즘을 문화 제국주의의 한 형태로 보는 관점 |
문화 교류 | 헬레니즘을 문화 교류의 한 형태로 보는 관점 |
2. 어원
"그리스화하다"를 의미하는 동사의 최초 사용례는 투키디데스가 암필로키아 아르고스인들이 암브라키아인들에 의해 언어적으로 그리스화되었다고 기록한 그리스어(ἑλληνίζειν)에서 찾아볼 수 있다.[1] 이는 이 단어가 이미 언어 이상의 무언가를 지칭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1] 유사한 단어인 '''헬레니즘'''은 동의어로 자주 사용되며, 2 마카베오기와 사도행전에서 언어 이상의 것을 분명히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지만, 그 의미가 무엇이었는지는 논쟁의 대상이다.[1]
3. 역사적 배경
기원전 4세기에는 리키아, 카리아, 피시디아의 아나톨리아 남서부 지역에서 헬레니즘화 과정이 시작되었다.[4] 터키의 시데와 아스펜도스와 같은 곳들은 이득이 될 때 그리스풍 기원 신화를 만들었다. SEG에 게재된 비문은 기원전 4세기에 아스펜도스가 아르고스와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으며, 이는 또한 아르고스 혈통을 주장한 키프로스의 니코크레온과 유사하다는 것을 보여준다.[5][6] 아르게아드 왕조와 마찬가지로, 안티고노스 왕조는 헤라클레스의 후손이라고 주장했고, 셀레우코스 왕조는 아폴로,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는 디오니소스의 후손이라고 주장했다.[7]
세우토폴리스 비문은 현대 트라키아학 연구에 매우 큰 영향을 미쳤다. 비문에는 디오니소스, 아폴로, 일부 사모트라케 신들이 언급되어 있다. 학자들은 이 비문을 초기 헬레니즘 시대에 내륙 트라키아에서 헬레니즘화가 진행되었음을 증명하는 증거로 해석했지만, 최근의 학문에서는 이에 대한 이의가 제기되었다.[8][9]
그러나 헬레니즘화는 한계가 있었다. 예를 들어, 그리스 문화의 영향을 받은 남부 시리아 지역은 대부분 셀레우코스 제국의 도시 중심지였으며, 여기에서는 고대 그리스어가 흔히 사용되었다. 반면에 시골 지역은 대부분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대부분의 주민들은 시리아어를 사용하고 그들의 고유한 전통을 고수했다.[10]
고고학적 증거만으로는 헬레니즘화에 대한 연구자들에게 불완전한 그림을 제공할 뿐이다. 특정 고고학적 발견이 그리스인, 헬레니즘화된 원주민, 단순히 그리스 양식의 물건을 소유한 원주민 또는 이러한 집단의 조합에 속하는지 여부를 확실하게 말하는 것은 종종 불가능하다. 따라서 문헌 자료도 연구자들이 고고학적 발견을 해석하는 데 사용된다.[11]
3. 1. 아나톨리아
기원전 11세기경, 청동기 시대가 끝난 직후 아나톨리아에 본격적인 그리스 정착지가 생겨나기 시작했다.[13] 그 이전 미케네 그리스 시대 할리카르나소스, 밀레토스, 콜로폰 등에 정착지가 존재했지만, 이는 산발적인 팩토리에 가까웠다.[14] 고대 그리스 시대에 접어들면서 아나톨리아의 그리스 정착은 빠른 속도로 증가했으며, 주로 그리스 도시 국가(, pólis/πόλειςgrc) 형태의 식민지가 건설되었다.[14] 기원전 8세기에서 7세기까지 그리스 본토와 아나톨리아의 헬레니즘 지역 사이에는 생선, 곡물, 목재, 금속, 노예 등을 교역하는 광범위한 무역이 이루어졌으며, 이를 통해 아나톨리아에 헬레니즘 문화, 종교, 사상이 평화롭게 전파되었다.[14]
그리스 문화의 영향은 기원전 6세기에서 4세기 사이에 느린 속도로 아나톨리아로 퍼져나갔다.[12] 리디아인들은 그리스 문화를 특히 잘 수용했고, 카리아와 리키아의 4세기 왕조, 킬리키아 평원과 파플라고니아 지역 주민들 또한 그러했다.[12] 현지인들은 그리스어를 배우는 것이 발전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했으며, 아나톨리아의 토착 도시 정착지와 마을들은 스스로 뭉쳐 그리스식 도시를 형성했다.[12] 소아시아의 지역 왕들은 그리스어를 공식 언어로 채택하고 다른 그리스 문화 형태를 모방하려 했다.[12] 리디아에서는 그리스 신들의 판테온 숭배가 행해졌고, 리디아의 왕 크로이소스는 그리스 철학자, 웅변가, 정치가들을 궁정에 초대했으며, 델포이 신탁에 자문을 구하고 아르테미스 신전 재건을 후원했다.[15][16]
기원전 4세기에는 리키아, 카리아, 피시디아 등 아나톨리아 남서부 지역에서 헬레니즘화가 시작되었다.[4] 터키의 시데와 아스펜도스 같은 곳들은 그리스풍 기원 신화를 만들었는데, 일례로 기원전 4세기에 아스펜도스는 아르고스와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다.[5][6] 아르게아드 왕조와 마찬가지로, 안티고노스 왕조는 헤라클레스의 후손이라고 주장했고, 셀레우코스 왕조는 아폴로,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는 디오니소스의 후손이라고 주장했다.[7]
헬레니즘화는 주로 도시 지역에서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며, 도시화와 동의어로 여겨질 정도였다.[17] 피시디아와 리키아에는 기원전 4세기에 헬레니즘화가 도달했지만, 내륙 지역은 기원전 1세기 로마 제국에 의해 정복되기 전까지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18] 아나톨리아 서부 해안의 이오니아인, 아이올리아인, 도리아인은 그리스 문화를 유지한 반면, 남서부 피시디아와 팜필리아 지역의 그리스인들은 현지 문화에 동화된 것으로 보인다.[19]
3. 2. 크림반도
보스포루스 왕국은 킴메르인 식민지가 헬레니즘화되면서 형성되었다.[20] 판티카파이움(현재의 케르치)은 크림반도의 초기 그리스 식민지 중 하나였다. 기원전 600년경 밀레투스에 의해 방어에 유리한 아크로폴리스 지형에 건설되었다.[20] 대부분의 학자들은 왕국의 건립 시기를 기원전 480년으로 보는데, 당시 아르케아낙티드 왕조가 판티카파이움을 장악했다. 하지만 고전 고고학자 고차 R. 체츠크라제는 스파르토키드 왕조가 통치하던 아르케아낙티드를 대체한 기원전 436년으로 왕국의 건립 시기를 잡았다.[21]
3. 3. 유대
헬레니즘 시대에 셀레우코스 제국과 프톨레마이오스 왕국 사이에 위치한 유대는 오랜 기간 전쟁과 불안정을 겪었다.[22] 기원전 198년 셀레우코스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안티오코스 4세 에피파네스가 기원전 175년에 유대 왕이 되었을 때 예루살렘은 이미 어느 정도 헬레니즘화가 진행된 상태였다.[23]
유대 엘리트들은 그리스식 이름을 사용하고, 그리스 교육 기관을 설립하는 등 헬레니즘 문화를 수용했다.[23] 대제사장 후보였던 야손과 메넬라오스 모두 그리스식 이름을 사용했다.[23] 그러나 할례 금지 및 안식일 준수 등 유대교 전통을 억압하는 정책에는 반발했다.[23]
헬레니즘식 연회에서 신들에게 헌주를 바치는 행위와 같은 몇 가지 측면은 금지되었지만, 식사에 더욱 유대교적인 특징을 부여하는 특정 요소들은 통합되었다. 성경 토론, 성가 부르기, 토라 학생들의 참석이 장려되었다. 유대교 스타일의 헬레니즘 연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벤 시라에서 찾을 수 있다. 필로의 저술에는 알렉산드리아 유대인 연회의 사치스러움에 대한 문학적 증거가 있으며, 《아리스테아스 서한》은 유대인들이 유대교의 지혜를 나눌 기회로 비유대인과 함께 식사하는 것에 대해 논의한다.[24]
3. 4. 파르티아
파르티아는 아케메네스 문화와 헬레니즘 문화를 모두 수용했다. 미트리다테스 1세의 동전에는 "친헬레네"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
3. 5. 피시디아와 팜필리아
팜필리아는 리키아와 킬리키아의 고원 사이에 위치한 평원이다. 이 지역의 그리스 정착 시기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청동기 시대 해상 무역의 일환으로 에게 해, 레반트, 키프로스 사이에서 이 지역에 도착했다는 이론과, 청동기 시대 붕괴의 혼란기에 인구 이동이 있었다는 이론이 있다.[25] 고전 시대에 팜필리아에 정착한 그리스 방언은 아르카도-키프로스와 관련이 있었다.[25]
몹수스는 아스펜도스, 파셀리스, 페르게, 실리온을 포함하여 아나톨리아 남서부의 여러 해안 도시의 전설적인 창시자이다.[25][26] 기원전 800년으로 추정되는 카라테페에서 발견된 페니키아어와 신-히타이트 루위아어의 이중 언어 비문에는 그곳의 지배 왕조가 몹수스에서 기원했다고 기록되어 있다.[19][25] 히타이트인의 문서에서도 몹수스의 이름이 언급되는데, 그는 원래 팜필리아 초기 그리스 정착민들의 문화적 전통의 일부가 된 아나톨리아 인물이었을 수 있다.[25] 선형 B 텍스트에 언급된 그는 만토와 아폴론의 후손으로 그리스 족보를 가지고 있다.[26]
수세기 동안 원주민들은 그리스 정착민들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쳤지만, 기원전 4세기 이후 이 인구는 급격히 헬레니즘화되기 시작했다.[19] 기원전 3세기와 2세기 동안, 원주민의 지역 언어는 코이네 그리스어로 대체되었고, 정착지들은 그리스 ''폴리스''의 특징을 갖기 시작했다.[19][27] 철기 시대의 파노모테이코스 I은 셀게, 테르메소스, 사갈라소스 (헬레니즘 피시디아의 세 개의 가장 두드러진 도시로 여겨짐)를 포함한 후기 지역 헬레니즘 정착지의 초기 전조일 수 있다.[19][27]
아리아누스의 저술에 따르면, 터키의 시데의 인구는 아이올리아인 키메에서 기원하며, 기원전 334년에 알렉산더 대왕이 그 도시에 도착했을 때 그리스어를 잊어버렸다. 이 지역의 독특한 문자를 증명하는 화폐와 석비가 있지만, 그 언어는 부분적으로만 해독되었다.[25][19]
3. 6. 프리기아
고르디온에서 발견된 기원전 2세기의 동전과, 버려진 헬레니즘 시대 정착지에서 나온 그리스 양식의 모조품, 현지 생산된 테라코타 조각상 및 도자기 등의 유물들이 발견되었다.[28] 비문을 보면 일부 주민들은 그리스 이름을, 다른 주민들은 아나톨리아 또는 켈트 이름을 사용했다.[28] 헬레니즘 시대 동안 많은 프리기아 숭배 대상이 헬레니즘화되었지만, 프리기아의 어머니 여신과 같은 전통적인 신들의 숭배는 지속되었다.[29] 헤르메스, 키벨레, 무세스, 튀케 숭배가 확인되었다.[28]
3. 7. 시리아
그리스 미술과 문화는 시리아에 그리스 도시가 건설되기 전부터 상업을 통해 페니키아에 전파되었다.[30] 하지만 시리아인들의 헬레니즘화는 로마령 시리아가 된 후 광범위하게 이루어졌다. 기원전 1세기의 로마 통치 하에서 헬레니즘 양식의 장례 건축, 장식 요소, 신화적 언급, 비문 등의 증거가 나타난다. 그러나 헬레니즘 시리아에 대한 증거가 부족하며, 이에 대해 대부분의 학자들은 "증거의 부재는 부재의 증거가 아니다"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다.[31][32]
3. 8. 박트리아
박트리아인들은 박트리아 (현재 아프가니스탄 북부)에 거주하던 이란계 민족이다. 이들은 그레코-박트리아 왕국 통치 기간 동안 헬레니즘화되었으며, 이후 인도-그리스 왕국의 통치 기간 동안 인도 아대륙 북서부 지역의 여러 부족들이 헬레니즘화되었다.
4. 초기 기독교
헬레니즘 시대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부터 옥타비아누스의 악티움 해전 승리까지로, 이 시기 동안 그리스 문화의 확산으로 기독교의 부상이 가능해졌다는 견해가 있다.[1]
초기 기독교의 부상에 대한 해석은, 유대교가 헬레니즘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다는 루돌프 불트만의 주장이 대표적이었으나, 마틴 헹겔은 기독교 시대 이전부터 유대교가 고도로 헬레니즘화되었다고 주장했다. 현대 학자들은 레반트 전역에 강력한 헬레니즘의 영향이 있었다고 보고 있다.
성공회 사제 맥스웰 스태니포스는 스토아 철학이 기독교에 미친 영향에 대해 언급하며, 삼위일체 교리에서 아버지, 말씀, 성령에 대한 교회의 개념이 신성한 통일성에 대한 스토아 철학의 다양한 이름에서 그 씨앗을 찾는다고 하였다.[33] 세네카는 우주를 형성하는 최고의 권력을 때로는 만물을 다스리는 신, 때로는 무형의 지혜, 때로는 성령, 때로는 운명이라고 부른다고 언급했다.[33]
5. 동로마 제국
그리스 동부는 로마 제국의 두 주요 문화 지역 중 하나였으며, 디오클레티아누스 치하인 서기 286년에 자치적인 황실에 의해 통치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로마는 제국 양쪽의 명목상 수도로 남아 있었고, 라틴어가 공용어였다. 서로마 제국이 멸망하고 로마 원로원이 서방 황제의 상징물을 서기 476년 동방 황제 제논에게 보냈을 때, 콘스탄티노폴리스(고대 그리스어로 비잔티움)는 유일한 황제의 자리로 인정받았다. 정치적 그리스화 과정이 시작되었고, 다른 개혁들 중에서도 그리스어를 공식 언어로 선포하는 결과를 낳았다.[34]
6. 현대
1909년, 그리스 정부가 임명한 위원회는 그리스 마을의 3분의 1이 비(非) 그리스 기원이기 때문에 이름을 변경해야 한다고 보고했다.[35] 현대 그리스에서 지명 변경 과정은 그리스화 과정으로 묘사되어 왔다.[35] 이는 "현대 그리스 국가 내에 거주하는 언어 소수 민족의 문화적 조화 및 교육"을 추구하는 정책, 즉 현대 그리스의 소수 민족의 그리스화와 관련하여 사용된다.[36] "그리스화"(또는 헬레니제이션)라는 용어는 또한 그리스 슬라브 방언 사용에 대한 그리스의 반대와 관련하여 사용된다.[37]
1870년, 그리스 정부는 6년 전에 그리스에 합병된 이오니아 제도의 모든 이탈리아 학교를 폐지했다. 이는 중세 시대부터 코르푸에 거주해 온 코르푸 이탈리아인 공동체의 감소로 이어졌으며, 1940년대에는 400명밖에 남지 않았다.[38]
6. 1. 아르바니테스
아르바니테스는 13세기 말과 14세기 초에 현재의 남부 그리스로 이주해 온 알바니아인 정착민의 후손이다.[39] 그리스 독립 전쟁과 그리스 내전에 참여하면서 아르바니테스 사이에서 동화가 증가했다.[39] 그들이 지역 인구와 공유했던 공통의 동방 정교회 신앙은 그들의 동화로 이어진 주요 이유 중 하나였다.[40] 동화의 다른 이유는 도시로의 대규모 내부 이주와 그에 따른 인구의 혼합이다. 아르바니테스 공동체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는 여전히 아르바니테스 사이에서 특별한 "민족" 정체성에 대한 식별 가능한 감각을 언급했지만, 저자는 '알바니아 또는 알바니아 민족에 속한다'는 감각을 확인하거나 확인하지 않았다.[41] 많은 아르바니테스는 자신들을 알바니아인이 아닌 그리스인으로 국가적, 민족적으로 동일시하기 때문에 "알바니아인"이라는 지칭을 불쾌하게 생각한다.[42] 이 때문에 아르바니테스와 다른 알바니아어 사용 인구 간의 관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달라졌다. 그리스 독립 전쟁 발발 당시 아르바니테스는 무슬림 알바니아인에 맞서 그리스 혁명가들과 함께 싸웠다.[44] 예를 들어, 아르바니테스는 1821년 트리폴리차 학살에 참여하여 무슬림 알바니아인을 학살했으며,[43] 바르두니아 지역의 일부 무슬림 알바니아어 사용자는 전쟁 후 남아 정교로 개종했다.[44] 최근 아르바니테스는 그리스 내의 최근 알바니아인 정착민에 대해 엇갈린 의견을 표명했다. 1980년대 말과 1990년대 초 아르바니테스 중 다른 사람들은 언어적 유사성 및 좌파 정치 성향으로 인해 알바니아 이민자들과 연대감을 표명했다.[45] 그리스 에피루스와 같은 다른 정교 알바니아어 사용 공동체와의 관계 또한 혼조를 보이고 있는데, 과거 그들 사이에 알바니아 무슬림 인구가 살았기 때문에 종교 문제에 관해 불신을 받고 있다.[46]오늘날 모든 사람이 그리스어에 능통하므로 단일 언어 아르바니티카 사용자는 없다. 그러나 아르바니테스는 그리스어와 아르바니티카를 구사하지만, 아르바니티카는 최근 수십 년 동안 아르바니티카 사용자의 후손 사이에서 그리스어로의 대규모 언어 전환으로 인해 소멸 상태에 있으며 결국 단일 언어 그리스어 사용자가 되었으며,[47] 아르바니티카는 거의 전적으로 구어이기 때문에 아르바니테스는 또한 알바니아에서 사용되는 표준 알바니아어와 더 이상 실질적인 연관성이 없으며, 이 형태를 글쓰기나 미디어에서 사용하지 않는다.
참조
[1]
인용
[2]
성경
[3]
성경
[4]
인용
[5]
인용
[6]
인용
[7]
인용
[8]
학술지
New Contexts for the Seuthopolis Inscription (IGBulg 3.2 1731)
2018-07-18
[9]
서적
Vasilka Gerasimova-Tomova in memoriam
https://www.academia[...]
Nacionalen Archeologičeski Inst. s Muzej
2018-07-29
[10]
인용
[11]
인용
[12]
서적
The Decline of Medieval Hellenism in Asia Minor and the Process of Islamization from the Eleventh Through the Fif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American Council of Learned Societies
[13]
문서
Classical Anatolia: The Glory of Hellenism
[14]
문서
The Oxford Handbook of Hellenic Studies
https://doi.org/10.1[...]
2024-02-21
[15]
웹사이트
La Lydie d'Alyatte et Crésus
https://ghostarchive[...]
2023-03-06
[16]
서적
Beyond the Gates of Fire: New Perspectives on the Battle of Thermopylae
https://books.google[...]
Casemate Publishers
[17]
서적
The Decline of Medieval Hellenism in Asia Minor and the Process of Islamization from the Eleventh Through the Fif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American Council of Learned Societies
[18]
인용
[19]
인용
[20]
인용
[21]
인용
[22]
인용
[23]
인용
[24]
인용
[25]
인용
[26]
서적
The Ancient Oracles: Making the Gods Speak
Yale University Press
2011
[27]
인용
[28]
서적
The Archaeology of Midas and the Phrygians: Recent Work at Gord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1-01-01
[29]
인용
[30]
인용
[31]
인용
[32]
학술발표
Narratives of Roman Syria: A Historiography of Syria as a Province of Rome
Social Science Research Network
2007-07-01
[33]
서적
Meditations
https://archive.org/[...]
Penguin Books
[34]
인용
[35]
인용
[36]
서적
[37]
서적
DENYING ETHNIC IDENTITY – The Macedonians of Greece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Helsinki
[38]
서적
[39]
서적
Ethnic Identity in Greek Antiqu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0]
서적
Manifold identities: studies on music and minoriti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Press
[41]
문서
[42]
웹사이트
GHM 1995
http://www.greekhels[...]
greekhelsinki.gr
2017-03-06
[43]
간행물
The essence of the Greek-Turkish rivalry: national narrative and identity
http://eprints.lse.a[...]
The London School of Economics and Political Science
[44]
간행물
Maniot folk culture and the ethnic mosaic in the southeast Peloponnese
[45]
서적
Blood and oranges: Immigrant labor and European markets in rural Greece
Berghahn Books
[46]
서적
On the question of methods for studying ethnic minorities' music in the case of Greece's Arvanites and Alvanoi.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Press
[47]
웹사이트
Unesco Red Book of Endangered Languages.
http://www.helsinki.[...]
[48]
서적
[49]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