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홈
search
맨위로가기
2012년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오늘의AI위키" 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 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보기/숨기기
2. 1. 종목별 메달 집계
wikitable종목 합계 사격 3 2 0 5 양궁 3 0 1 4 펜싱 2 1 3 6 유도 2 0 1 3 태권도 1 1 0 2 레슬링 1 0 0 1 체조 1 0 0 1 수영 0 2 0 2 역도 0 1 2 3 복싱 0 1 0 1 탁구 0 1 0 1 배드민턴 0 0 1 1 축구 0 0 1 1 합계 13 9 9 31
2. 2. 메달리스트
메달 이름 종목 세부 종목 날짜 15px 진종오 25px 사격남자 10m 권총 7월 28일 15px 기보배 , 이성진 , 최현주 |25px]]양궁 ||여자 단체 ||7월 29일 15px 김재범 |25px]]유도 ||남자 -81 kg ||7월 31일 15px 김장미 25px사격 여자 25m 권총 8월 1일 15px 송대남 25px유도 남자 -90 kg 8월 1일 15px 김지연 |25px]]펜싱 ||여자 사브로 개인전 ||8월 1일 15px 기보배 25px양궁 여자 개인 8월 2일 15px 오진혁 25px양궁 남자 개인 8월 3일 15px 구본길 , 김정환 , 오은석 , 원우영 25px펜싱 남자 사브르 단체전 8월 3일 15px 진종오 25px사격 남자 50m 권총 8월 5일 15px 양학선 |25px]]체조 ||남자 도마 개인 || 8월 6일 15px 김현우 |25px]]레슬링 ||남자 그레코로만형 66 kg || 8월 7일 15px 황경선 |25px]]태권도 ||여자 -67 kg || 8월 10일 |15px]] || 박태환 || |25px]]수영 ||남자 자유형 400m || 7월 28일 15px 박태환 25px수영 남자 자유형 200m 7월 30일 15px 신아람 , 최인정 , 정효정 , 최은숙 25px펜싱 여자 에페 단체전 8월 4일 15px 김민재 |25px]]역도 ||남자 -94kg || 8월 4일 15px 최영래 25px사격 남자 50m 권총 8월 5일 15px 김종현 25px사격 남자 50m 소총 3자세 8월 6일 15px 유승민 , 주세혁 , 오상은 |25px]]탁구 ||남자 단체|| 8월 8일 15px 이대훈 25px태권도 남자 -58 kg 8월 8일 15px 한순철 |25px]]복싱 ||남자 라이트급|| 8월 12일 |15px]] || 임동현 , 김법민 , 오진혁 ||25px양궁 ||남자 단체 || 7월 28일 15px 조준호 25px유도 남자 -66 kg 7월 29일 15px 최병철 25px펜싱 남자 플뢰레 개인전 7월 31일 15px 정진선 25px펜싱 남자 에페 개인전 8월 1일 15px 남현희 , 오하나 , 정길옥 , 전희숙 25px펜싱 여자 플뢰레 단체전 8월 2일 15px 이용대 , 정재성 |25px]]배드민턴 ||남자 복식 || 8월 5일 15px 장미란 25px역도 여자 +75kg 8월 5일 15px 전상균 25px역도 남자 +105kg 8월 7일 15px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25px]]축구 ||남자 || 8월 10일
2012년 하계 올림픽 메달 집계 문서를 참고하라.
종목별 메달 종목 합계 사격 3 2 0 5 양궁 3 0 1 4 펜싱 2 1 3 6 유도 2 0 1 3 태권도 1 1 0 2 체조 1 0 0 1 레슬링 1 0 0 1 수영 0 2 0 2 역도 0 1 2 3 복싱 0 1 0 1 탁구 0 1 0 1 배드민턴 0 0 1 1 축구 0 0 1 1 합계 13 9 9 31
3. 종목별 성적
주로: }}}} }}} | }}} }} }} ;자유형
선수 세부 종목 예선 (상대 /결과) 16강전 (상대 /결과) 8강전 (상대 /결과) 준결승 (상대 /결과) 결승 (상대 /결과) 최종 순위 김진철 -55 kg 부전승 유모토 신이치/湯元 進一일본어 (JPN ) 패 1-2 1 -0 2-4 0-1 진출 실패 11 이승철 -60 kg 부전승 콜먼 스캇/Coleman Scott영어 (USA ) 패 0-2 0-3 0-3 진출 실패 14
;그레코로만형
선수 세부 종목 예선 (상대 /결과) 16강전 (상대 /결과) 8강전 (상대 /결과) 준결승 (상대 /결과) 결승/순위 결정전 (상대 /결과) 최종 순위 align=center|최규진 -55 kg 부전승 윤원철 (PRK ) 승 2 -0구스타보 발라트/Gustavo Balartes (CUB ) 승 2 -1 로브샨 바이라모프/Ровшан Байрамовru (AZE ) 패 0-2 밍기얀 세메노프/Мингиян Семёновru (RUS ) 패 0-2 5 정지현 -60 kg 부전승 한서 루고네스/Hansel Lugoes (CUB ) 승 2 -0 하산 알리예프/Həsən Əliyevaz (AZE ) 패 0-2 진출 실패 8 김현우 -66 kg 호프하네스 바르데레스얀/Հովհաննես Վարդերեսյանhy (ARM ) 승 2-0 페드로 이삭 에레라/Pedro Isaac Herreraes (CUB ) 승 2-0 에드가라스 베카이티스/Edgaras Venckaitislt (LTU ) 승 2-0 스티브 게노/Steeve Guénot프랑스어 (FRA ) 승 2-1 타마스 로린츠}} (HUN ) 승 2-0 {{금메달/Lőrincz Tamáshu 김진혁 -74 kg 주라비 다투나시빌리/ზურაბ დათუნაშვილიka (GEO ) 패 0-2 진출 실패 19 이세열 -84 kg 아메르 흐루스타노비치/Amer Hrustanovićde (AUT )패 0-2 진출 실패 18
3. 1. 레슬링
(상대 /결과)16강전 (상대 /결과) 8강전 (상대 /결과) 준결승 (상대 /결과) 결승 (상대 /결과) 최종 순위 김진철 -55 kg 부전승 유모토 신이치/湯元 進一일본어 (JPN ) 패 1-2 1 -0 2-4 0-1 진출 실패 11 이승철 -60 kg 부전승 콜먼 스캇/Coleman Scott영어 (USA ) 패 0-2 0-3 0-3 진출 실패 14 ;그레코로만형
선수 세부 종목 예선 (상대 /결과) 16강전 (상대 /결과) 8강전 (상대 /결과) 준결승 (상대 /결과) 결승/순위 결정전 (상대 /결과) 최종 순위 align=center|최규진 -55 kg 부전승 윤원철 (PRK ) 승 2 -0구스타보 발라트/Gustavo Balartes (CUB ) 승 2 -1 로브샨 바이라모프/Ровшан Байрамовru (AZE ) 패 0-2 밍기얀 세메노프/Мингиян Семёновru (RUS ) 패 0-2 5 정지현 -60 kg 부전승 한서 루고네스/Hansel Lugoes (CUB ) 승 2 -0 하산 알리예프/Həsən Əliyevaz (AZE ) 패 0-2 진출 실패 8 김현우 -66 kg 호프하네스 바르데레스얀/Հովհաննես Վարդերեսյանhy (ARM ) 승 2-0 페드로 이삭 에레라/Pedro Isaac Herreraes (CUB ) 승 2-0 에드가라스 베카이티스/Edgaras Venckaitislt (LTU ) 승 2-0 스티브 게노/Steeve Guénot프랑스어 (FRA ) 승 2-1 타마스 로린츠}} (HUN ) 승 2-0 {{금메달/Lőrincz Tamáshu 김진혁 -74 kg 주라비 다투나시빌리/ზურაბ დათუნაშვილიka (GEO ) 패 0-2 진출 실패 19 이세열 -84 kg 아메르 흐루스타노비치/Amer Hrustanovićde (AUT )패 0-2 진출 실패 18
3. 1. 1. 남자
(상대 /결과)16강전 (상대 /결과) 8강전 (상대 /결과) 준결승 (상대 /결과) 결승 (상대 /결과) 최종 순위 김진철 -55 kg 부전승 유모토 신이치/湯元 進一일본어 (JPN ) 패 1-2 1 -0 2-4 0-1 진출 실패 11 이승철 -60 kg 부전승 콜먼 스캇/Coleman Scott영어 (USA ) 패 0-2 0-3 0-3 진출 실패 14 ;그레코로만형 (상대 /결과)
8강전 (상대 /결과) 준결승 (상대 /결과) 결승/순위 결정전 (상대 /결과) 최종 순위 align=center|최규진 -55 kg 부전승 윤원철 (PRK ) 승 2 -0구스타보 발라트/Gustavo Balartes (CUB ) 승 2 -1 로브샨 바이라모프/Ровшан Байрамовru (AZE ) 패 0-2 밍기얀 세메노프/Мингиян Семёновru (RUS ) 패 0-2 5 정지현 -60 kg 부전승 한서 루고네스/Hansel Lugoes (CUB ) 승 2 -0 하산 알리예프/Həsən Əliyevaz (AZE ) 패 0-2 진출 실패 8 김현우 -66 kg 호프하네스 바르데레스얀/Հովհաննես Վարդերեսյանhy (ARM ) 승 2-0 페드로 이삭 에레라/Pedro Isaac Herreraes (CUB ) 승 2-0 에드가라스 베카이티스/Edgaras Venckaitislt (LTU ) 승 2-0 스티브 게노/Steeve Guénot프랑스어 (FRA ) 승 2-1 타마스 로린츠}} (HUN ) 승 2-0 {{금메달/Lőrincz Tamáshu 김진혁 -74 kg 주라비 다투나시빌리/ზურაბ დათუნაშვილიka (GEO ) 패 0-2 진출 실패 19 이세열 -84 kg 아메르 흐루스타노비치/Amer Hrustanovićde (AUT )패 0-2 진출 실패 18
3. 1. 2. 여자
3. 2. 배구
2012년 하계 올림픽 배구 여자 부문 에서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동메달 결정전에서 일본에 패하며 아쉽게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 ;예선 B조
;8강
날짜 대한민국 세트 스코어 상대 팀 1세트 2세트 3세트 4세트 5세트 총득점 8월 7일 대한민국 ' 3 - 1 이탈리아 25–18 21–25 20–25 18–25 84–93
;준결승
날짜 대한민국 세트 스코어 상대 팀 1세트 2세트 3세트 4세트 5세트 총득점 8월 7일 대한민국 0 - 3 미국 20-25 22-25 22-25 64-75
;동메달 결정전
날짜 대한민국 세트 스코어 상대 팀 1세트 2세트 3세트 4세트 5세트 총득점 8월 11일 대한민국 0 - 3 일본 22-25 24-26 21-25 67-76
;팀 명단 감독은 김형실 감독이며, 김연경 을 비롯한 여러 선수들이 활약했으나, 일본에 패하며 아쉽게도 4위에 머물렀다.
3. 2. 1. 여자
2012년 하계 올림픽 배구 여자 부문 에서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동메달 결정전에서 일본에 패하며 아쉽게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 ;예선 B조 ;8강
날짜 대한민국 세트 스코어 상대 팀 1세트 2세트 3세트 4세트 5세트 총득점 8월 7일 대한민국 ' 3 - 1 이탈리아 25–18 21–25 20–25 18–25 84–93
;준결승
날짜 대한민국 세트 스코어 상대 팀 1세트 2세트 3세트 4세트 5세트 총득점 8월 7일 대한민국 0 - 3 미국 20-25 22-25 22-25 64-75
;동메달 결정전
날짜 대한민국 세트 스코어 상대 팀 1세트 2세트 3세트 4세트 5세트 총득점 8월 11일 대한민국 0 - 3 일본 22-25 24-26 21-25 67-76
;팀 명단 감독은 김형실 감독이며, 김연경 을 비롯한 여러 선수들이 활약했으나, 일본에 패하며 아쉽게도 4위에 머물렀다.
3. 3. 배드민턴
결과상대선수 결과 상대선수 결과 순위 상대선수 결과 상대선수 결과 상대선수 결과 상대선수 결과 순위 이현일 단식 카릴로 승 (2 - 0) 경기 없음 1 Q 예르겐센 승 (2 - 0) 천진 승 (2 - 0) 린단 패 (0 - 2) 천롱패 (1 - 2) 4 손완호 승 (2 - 0) 승 (2 - 0) 경기 없음 1 Q 패 (0 - 2)진출 실패 정재성 이용대 복식 승 (2 - 0) 승 (2 - 0) 승 (2 - 0) 1 Q 경기 없음 승 (2 - 0) 패 (1 - 2) 승 (2 - 0) align=center| 고성현 유연성 승 (2 - 1) 패 (0 -2) 패 (0 -2) 3 align=center| 진출 실패 ;여자
선수 종목 그룹/예선 16강 8강 준결승 결승/3위 결정전 상대선수 결과 상대선수 결과 상대선수 결과 순위 상대선수 결과 상대선수 결과 상대선수 결과 상대선수 결과 순위 배연주 단식 징이 티ms () 승 (2- 1) 아그네스 알레그리니it () 승 (2 - 0) 경기 없음 1 Q 왕이한() 패 (1 -2) 진출 실패 성지현 사라 크버노no () 승 (2 - 0) 입 푸이 잉 () 패 (0 - 2) 경기 없음 2 진출 실패 하정은 김민정 복식 리앤 추영어 / 레누가 비란영어 () 승 (2 - 0) 미셸 에드워즈영어 / 안나리 빌지언af () 승 (2 - 0) 멜리아나 자우하리id / 그레이시아 폴리id () 승 (2 - 1) 1 Q 실격 정경은 김하나알렉스 브루스영어 / ) 승 (2 - 0) 발레리아 소로키나ru / 니나 비슬로바ru () 승 (2 - 0) 왕 샤오리 / 유 양() 승 (2 - 0) 1 Q 실격
;혼합
선수 종목 그룹/예선 16강 8강 준결승 결승/3위 결정전 상대선수 결과 상대선수 결과 상대선수 결과 순위 상대선수 결과 상대선수 결과 상대선수 결과 상대선수 결과 순위 하정은 이용대 복식 패 (0 -2) 패 (0 -2) 승 (2- 0) 3 경기 없음 진출 실패
3. 3. 1. 남자
결과상대선수 결과 상대선수 결과 순위 상대선수 결과 상대선수 결과 상대선수 결과 상대선수 결과 순위 이현일 단식 카릴로 승 (2 - 0) colspan=2 align=center 1 Q 예르겐센 승 (2 - 0) 천진 승 (2 - 0) 린단 패 (0 - 2) 천롱패 (1 - 2) 4 손완호 승 (2 - 0) 승 (2 - 0) align=center 1 Q 패 (0 - 2)진출 실패 정재성 이용대 복식 승 (2 - 0) 승 (2 - 0) 승 (2 - 0) 1 Q align=center 승 (2 - 0) 패 (1 - 2) 승 (2 - 0) 고성현 유연성 승 (2 - 1) 패 (0 -2) 패 (0 -2) 3 align=center 진출 실패
3. 3. 2. 여자
결과상대선수 결과 상대선수 결과 순위 상대선수 결과 상대선수 결과 상대선수 결과 상대선수 결과 순위 배연주 단식 징이 티ms () 승 (2- 1) 아그네스 알레그리니it () 승 (2 - 0) align=center 1 Q 왕이한() 패 (1 -2) 진출 실패 성지연 사라 크버노no () 승 (2 - 0) 입 푸이 잉 () 패 (0 - 2) align=center 2 진출 실패 하정은 김민정 복식 리앤 추영어 / 레누가 비란영어 () 승 (2 - 0) 미셸 에드워즈영어 / 안나리 빌지언af () 승 (2 - 0) 멜리아나 자우하리id / 그레이시아 폴리id () 승 (2 - 1) 1 Q 실격 정경은 김하나알렉스 브루스영어 / ) 승 (2 - 0) 발레리아 소로키나ru / 니나 비슬로바ru () 승 (2 - 0) 왕 샤오리 / 유 양() 승 (2 - 0) 1 Q 실격
3. 3. 3. 혼합
결과상대선수 결과 상대선수 결과 순위 상대선수 결과 상대선수 결과 상대선수 결과 상대선수 결과 순위 하정은 이용대 복식 패 (0 -2) 패 (0 -2) 승 (2- 0) 3 align=center 진출 실패
3. 4. 복싱
결과상대 선수 결과 상대 선수 결과 상대 선수 결과 상대 선수 결과 순위 신종훈 플라이급 부전승 알렉산다르 알렉산드로프 (BUL )패 14–15 진출 실패 한순철 라이트급 모하메드 엘리와 (EGY )승 11–6 바즈겐 사파란츠 (BLR )승 13-13 파즐리딘 가이브나자로프 (UZB )승 16-13에발다스 페트라우스카스 (LTU )승 18-13바실 로마첸코 (UKR )패 9–192위
3. 4. 1. 남자
결과상대 선수 결과 상대 선수 결과 상대 선수 결과 상대 선수 결과 순위 신종훈 플라이급 부전승 알렉산다르 알렉산드로프 (BUL )패 14–15 진출 실패 한순철 라이트급 모하메드 엘리와 (EGY )승 11–6 바즈겐 사파란츠 (BLR )승 13-13 파즐리딘 가이브나자로프 (UZB )승 16-13에발다스 페트라우스카스 (LTU )승 18-13바실 로마첸코 (UKR )패 9–19
3. 5. 사격
대한민국은 2012년 런던 올림픽 사격 종목에 출전권을 확보했다. [10]진종오 가 사격에서 올림픽 타이틀을 방어하고 있다. ; 남자선수 종목 예선 결선 점수 순위 점수 순위 조용성 스키트 109 35 진출 실패 최영래 10m 공기 권총 569 35 진출 실패 50m 권총 569 1 661.5 한진섭 10m 공기 소총 590 32 진출 실패 50m 소총 복사 595 5 698.2 6 50m 소총 3자세 1168 9 진출 실패 진종오 10m 공기 권총 588 1 688.2 50m 권총 562 5 662.0 김대웅 25m 속사 권총 579 10 진출 실패 김학만 50m 소총 복사 594 15 진출 실패 김종현 10m 공기 소총 593 17 진출 실패 50m 소총 3자세 1171 5 1272.5
; 여자
선수 종목 예선 결선 점수 순위 점수 총점 정미라 10m 공기 소총 387 51 진출 실패 50m 소총 3자세 581 17 진출 실패 강지은 트랩 62 19 진출 실패 김병희 10m 공기 권총 381 17 진출 실패 김장미 10m 공기 권총 382 13 진출 실패 25m 권총 591 1 792.4 김경애 25m 권총 582 11 진출 실패 나윤경 10m 공기 소총 394 21 진출 실패 50m 소총 3자세 583 10 진출 실패
3. 5. 1. 남자
선수 세부 종목 예선 결선 스코어 순위 스코어 최종 순위 조용성 스키트 109 35 진출 실패 최영래 10m 공기 권총 569 35 진출 실패 50m 권총 569 1 661.5 한진섭 10m 공기 소총 590 32 진출 실패 50m 소총 복사 595 5 698.2 6 50m 소총 3자세 1168 9 진출 실패 진종오 10m 공기 권총 588 1 688.2 50m 권총 562 5 662.0 김대웅 25m 속사 권총 579 10 진출 실패 김학만 50m 소총 복사 594 15 진출 실패 김종현 10 m air rifle 593 17 진출 실패 50m 소총 3자세 1171 5 1272.5
3. 5. 2. 여자
선수 세부 종목 예선 결선 스코어 순위 스코어 최종 순위 정미라 10m 공기 소총 387 51 진출 실패 50m 소총 3자세 581 17 진출 실패 강지은 트랩 62 19 진출 실패 김장미 10m 공기 권총 382 13 진출 실패 25m 권총 591 1 792.4 김병희 10m 공기 권총 381 17 진출 실패 김경애 25m 권총 582 11 진출 실패 나윤경 10m 공기 소총 394 21 진출 실패 50m 소총 3자세 583 10 진출 실패
3. 6. 사이클
속력 (km/h)순위 상대 선수 시간 속력 (km/h) 상대 선수 시간 속력 (km/h) 상대 선수 시간 속력 (km/h) 상대 선수 시간 속력 (km/h) 상대 선수 시간 속력 (km/h) 상대 선수 시간 속력 (km/h) 상대 선수 시간 속력 (km/h) 순위 이혜진 여자 스프린트 11.405 63.130 14 패 11.608 62.026패 11.572 62.219진출 실패 이은지이혜진 여자 단체 스프린트 34.636 51.969 9 경기 없음 진출 실패
선수 종목 1라운드 패자부활전 2라운드 결승 순위 순위 순위 순위 이혜진 여자 경륜 5 6 진출 실패 17
'''단체 추발'''
선수 종목 예선 준결승 결승 시간 순위 상대 선수 결과 순위 상대 선수 결과 순위 최승우장선재 박건우박선호 남자 단체 추발 4.07.210 10 진출 실패
'''옴니움'''
선수 종목 플라잉 스타트 포인트 레이스 엘리미네이션 레이스 개인 추발 스크래치 r레이스 Time trial 최종 점수 순위 시간 순위 포인트 순위 순위 시간 순위 순위 시간 순위 조호성 남자 옴니움 13.614 12 20 10 9 4:32.382 13 8 1:04.150 8 60 11 이민혜 여자 옴니움 14.793 14 3 14 11 3:46.871 15 9 36.547 11 74 15
3. 6. 1. 도로 경기
wikitable선수 종목 시간 순위 박성백 남자 도로 완주 실패 나아름 여자 도로 3:35:56 13
3. 6. 2. 트랙 경기
속력 (km/h)순위 상대 선수 시간 속력 (km/h) 상대 선수 시간 속력 (km/h) 상대 선수 시간 속력 (km/h) 상대 선수 시간 속력 (km/h) 상대 선수 시간 속력 (km/h) 상대 선수 시간 속력 (km/h) 상대 선수 시간 속력 (km/h) 순위 이혜진 여자 스프린트 11.405 63.130 14 패 11.608 62.026패 11.572 62.219진출 실패 이은지이혜진 여자 단체 스프린트 34.636 51.969 9 colspan=4 align=center 진출 실패
선수 종목 1라운드 패자부활전 2라운드 결승 순위 순위 순위 순위 이혜진 여자 경륜 5 6 진출 실패 17
'''단체 추발'''
선수 종목 예선 준결승 결승 시간 순위 상대 선수 결과 순위 상대 선수 결과 순위 최승우장선재 박건우박선호 남자 단체 추발 4.07.210 10 진출 실패
'''옴니움'''
선수 종목 플라잉 스타트 포인트 레이스 엘리미네이션 레이스 개인 추발 스크래치 r레이스 Time trial 최종 점수 순위 시간 순위 포인트 순위 순위 시간 순위 순위 시간 순위 조호성 남자 옴니움 13.614 12 20 10 9 4:32.382 13 8 1:04.150 8 60 11 이민혜 여자 옴니움 14.793 14 3 14 11 3:46.871 15 9 36.547 11 74 15
3. 7. 수영
박태환 은 2012년 하계 올림픽에서 은메달 2개를 획득하며 한국 수영의 저력을 보여주었다. '''남자'''선수 종목 예선 준결선 결선 시간 순위 시간 순위 시간 순위 장규철 100m 접영 52.69 25 진출 실패 최규웅 200m 평영 2:13.57 25 진출 실패 정원용 200m 개인 혼영 2:03.33 32 진출 실패 400m 개인 혼영 4:23.12 28 경기 없음 진출 실패 박형주 200m 배영 2:01.50 31 진출 실패 박선관 100m 배영 55.51 36 진출 실패 박태환 200m 자유형 1:46.79 5 1:46.02 3 1:44.93 2nd영어 400m 자유형 3:46.68 4 경기 없음 3:42.06 2nd영어 1500m 자유형 14:56.89 6 경기 없음 14:50.61 4
3. 7. 1. 남자
선수 세부 종목 예선 준결선 결선 기록 순위 기록 순위 기록 최종 순위 장규철 접영 100m 52.69 25 진출 실패 최규웅 평영 200m 2:13.57 25 진출 실패 정원용 개인혼영 200m 2:03.33 32 진출 실패 개인혼영 400m 4:23.12 28 경기 없음 진출 실패 박형주 배영 200m 2:01.50 31 진출 실패 박선관 배영 100m 55.51 36 진출 실패 박태환 자유형 200m 1:46.79 5 '''Q 1:46.02 3 '''Q 1:44.93 자유형 400m 3:46.68 4 '''Q 경기 없음 3:42.06 자유형 1500m 14:56.89 6 '''Q 경기 없음 14:50.61 4
3. 7. 2. 여자
3. 8.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
대한민국은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에서 2장의 출전권을 획득했다. 박현하와 박현선은 듀엣 종목에 출전하여 테크니컬 루틴에서 86.700점, 프리 루틴 예선에서 87.460점을 얻어 합계 174.160점으로 12위를 기록하며 결선에 진출했다. 결선에서는 87.250점을 받아 최종 합계 173.950점으로 12위를 차지했다.박현하와 박현선의 듀엣 경기
3. 9. 양궁
점수상대 점수 상대 점수 상대 점수 상대 점수 상대 점수 최종 순위 임동현 개인 699 WR 1 엠마누엘레 구이디/Emanuele Guidi사모아어 (64)승 6–0 왕 쳉 팡/Wang Cheng-pang중국어 (33)승 6–4 릭 반더벤/Rick van der Vennl (16)패 1–7 진출 못함 김법민 698 2 로버트 엘더/Robert Elderfi (63)승 6–4 타룬딥 라이/Tarundeep Raihi (31)승 6–2 댄 올라루/Dan Olaruro (47)승 7–1 샤오샹 (7)패 5–6 진출 못함 오진혁 690 3 악셀 뮬러/Axel Müllerde (62)승 7–3 루이스 무릴로/Luis Eduardo Vélezes (30)승 6–4 라팔 오브로볼스키/Rafał Dobrowolskipl (14) 승 6–0 빅토르 루반/Viktor Rubanuk (43) 승 7–1 샤오샹 (7) 승 6–5 후루카와 타카하루/古川高晴일본어 (5) 승 7–1 align=center| 임동현 김법민 오진혁 단체 2087 WR 1 경기 없음 부전승 우크라이나 (9)승 227–220미국 (4)패 219–224멕시코 (7)승 224–219align=center| '''여자'''
선수 세부 종목 랭킹 라운드 64강 32강 16강 8강 준결승 결승 / 순위 결정전 점수 시드 상대 점수 상대 점수 상대 점수 상대 점수 상대 점수 상대 점수 최종 순위 최현주 개인 651 21 제시카 토마시/Jessica Tomasiit (이탈리아 ) (44)승 6–5 이리아 가르시아/Iria Garcíaes (스페인 ) (53)승 6–5 베랑제르 쉬/Bérengère Schuh프랑스어 (프랑스 ) (37)패 5–6 진출 못함 기보배 671 1 란드 알-마시하다니/Rand Al-Mashhadaniar (이라크 ) (64)승 6–0 에카테리나 티모페예바/Ekaterina Timofeyevabe (벨라루스 ) (33)승 6–2 하야카와 렌 (일본 ) (16)승 6–0크세니야 페로바/Ksenia Perovaru (러시아 ) (9)승 6–4 카투나 로릭/Khatuna Lorig영어 (미국 ) (4)승 6–2 아이다 로만/Aída Románes (멕시코 ) (9)승 6–5 align=center| 이성진 671 2 마우린 투이말리아리파노/Maureen Tuimalealiifano사모아어 (사모아 ) (63)승 6-0 크리스틴 에세부아/Kristine Esebuaka (조지아 ) (34)승 6–2 우란툰갈라그 비신디/Urantungalag Bishindeemn (몽골 ) (18)승 6-0 마리아나 아비티아/Mariana Avitiaes (멕시코 ) (10)패 2–6 진출 못함 기보배 이성진 최현주단체 1993 1 경기 없음 부전승 덴마크 (8)승 206–195일본 (5)승 221–206중국 (7)승 210–209align=center|
3. 9. 1. 남자
점수상대 점수 상대 점수 상대 점수 상대 점수 상대 점수 최종 순위 임동현 개인 699 WR 1 엠마누엘레 구이디/Emanuele Guidi사모아어 (64)승 6–0 왕 쳉 팡/Wang Cheng-pang중국어 (33)승 6–4 릭 반더벤/Rick van der Vennl (16)패 1–7 진출 못함 김법민 698 2 로버트 엘더/Robert Elderfi (63)승 6–4 타룬딥 라이/Tarundeep Raihi (31)승 6–2 댄 올라루/Dan Olaruro (47)승 7–1 샤오샹 (7)패 5–6 진출 못함 오진혁 690 3 악셀 뮬러/Axel Müllerde (62)승 7–3 루이스 무릴로/Luis Eduardo Vélezes (30)승 6–4 라팔 오브로볼스키/Rafał Dobrowolskipl (14) 승 6–0 빅토르 루반/Viktor Rubanuk (43) 승 7–1 샤오샹 (7) 승 6–5 후루카와 타카하루}} (5) 승 7–1 align=center (9)승 227–220 (4)패 219–224 (7)승 224–219
3. 9. 2. 여자
점수상대 점수 상대 점수 상대 점수 상대 점수 상대 점수 최종 순위 최현주 개인 651 21 제시카 토마시/Jessica Tomasiit (이탈리아 ) (44)승 6–5 이리아 가르시아/Iria Garcíaes (스페인 ) (53)승 6–5 베랑제르 쉬/Bérengère Schuh프랑스어 (프랑스 ) (37)패 5–6 진출 못함 기보배 671 1 란드 알-마시하다니/Rand Al-Mashhadaniar (이라크 ) (64)승 6–0 에카테리나 티모페예바/Ekaterina Timofeyevabe (벨라루스 ) (33)승 6–2 하야카와 렌 (일본 ) (16)승 6–0크세니야 페로바/Ksenia Perovaru (러시아 ) (9)승 6–4 카투나 로릭/Khatuna Lorig영어 (미국 ) (4)승 6–2 아이다 로만}} (멕시코 ) (9)승 6–5 align=center 덴마크 (8)승 206–195일본 (5)승 221–206중국 (7)승 210–209
3. 10. 역도
대한민국은 2012년 하계 올림픽 역도 종목에 남자 6명, 여자 4명의 선수를 출전시켰다. ;남자선수 세부 종목 인상 용상 총합 순위 결과 순위 결과 순위 지훈민 –62 kg 130 7 162 162 원정식 –69 kg 144 9 178 6 322 7 사재혁 –77 kg 158 3 — — 158 * 김민재 –94 kg 185 1 210 8 395 김화승 –105 kg 178 — — — 전상균 +105 kg 190 10 246 2 436
;여자올림픽 챔피언 장미란 여자 +75 kg 방어전
선수 세부 종목 인상 용상 총합 순위 결과 순위 결과 순위 양은혜 –58 kg 87 17 113 14 200 14 문유라 –69 kg 102 — — — 임지혜 –75 kg 97 9 126 10 223 10 장미란 +75 kg 125 5 164 4 289
사재혁 은 두 번째 인상 시도 중 팔꿈치 탈구로 인해 기권했다.
3. 10. 1. 남자
선수 세부 종목 인상 용상 합계 1차 시기 2차 시기 3차 시기 1차 시기 2차 시기 3차 시기 기록 순위 지훈민 62kg급 135 140 142 160 165 165 - - 원정식 69 kg급 144 147 147 178 186 187 322 7 사재혁 77kg급 158 162 - - - - - - 김민재 94kg급 178 182 185 210 220 221 395 김화승 -105 kg 178 178 178 - - - - - 전상균 +105 kg 190 200 200 246 246 259 436
3. 10. 2. 여자
wikitable선수 세부 종목 인상 용상 합계 1차 시기 2차 시기 3차 시기 1차 시기 2차 시기 3차 시기 기록 순위 양은혜 -58 kg 83 87 87 108 113 116 200 12 문유라 -69 kg 102 102 102 - - - - - 임지혜 -75 kg 97 102 103 125 126 132 223 7 장미란 +75 kg 120 125 129 158 164 170 289
3. 11. 요트
DNF 50 DSQ 28 12 17 * 188 24 조성민박건우 470 23 14 15 24 20 25 20 8 24 21 * 169 22 '''M''' = 메달 레이스; EL = 탈락 – 메달 레이스 진출 실패;
3. 11. 1. 남자
DNF 50DSQ 28 12 17 * 188 24 조성민 박건우 470 23 14 15 24 20 25 20 8 24 21 * 169 22
3. 12. 유도
경기 결과상대 선수 경기 결과 상대 선수 경기 결과 상대 선수 경기 결과 상대 선수 경기 결과 상대 선수 경기 결과 상대 선수 경기 결과 순위 최광현 -60 kg 부전승 루도빅 차마틴/Ludovic Chammartin프랑스어 (스위스 )승 0001-0000 발테리 요키넨/Valtteri Jokinenfi (핀란드 )승 0010-0000 아르센 갈스티안 (러시아 )패 0001-0001 (판정) 펠리페 키타다이 (브라질 )패 0001-0011 진출 실패 조준호 -66 kg 부전승 세르히 드레보트/Serhiy Drebotuk (우크라이나 )승 0011–0002 미르자히드 파르모노프}} (우즈베키스탄 )승 0011–0001 에비누마 마사시 (일본 )패 0001–0001 (판정)콜린 오츠 (영국 )승 0021–0002 스고이 우리아르테 (스페인 )승 0000–0001 (아르헨티나 )승 0100–0003 이반 니폰토프 (러시아 )승 0100–0001올레 비쇼프 (독일 )승 0020–0001 (아제르바이잔 )승 0011–0000 니시야마 마사시 (일본 )승 0111–0101티아고 카밀로 (브라질 )승 0112–0012 아슬레이 곤잘레스 (쿠바 )승 0101–0001 {{금메달/Elkhan Mammadovaz 황희태 -100 kg 부전승 아멜 메키치/Amel Mekićbs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승 0021–0002 아르템 블로셴코/Artem Bloshenkouk (우크라이나 )승 1001–0000 엘마르 가시모프/Elmar Gasimovaz (아제르바이잔 )승 0021–0002 투브신바야르 나단 (몽골 )패 0001–0010 헨크 그롤 (네덜란드 )패 0000–0100 5 김성민 +100 kg 부전승 토모히코 호시나/Tomohiko Hoshinatl (필리핀 )승 0100–0000 마트야즈 세라이/Matjaž Cerajsl (슬로베니아 )승 0020–0001 이하르 마카라우 (벨라루스 )승 0011–0002테디 리너 (프랑스 )패 0003-0100 하파에우 시우바 (브라질 )패 0000–01005 '''여자'''
선수 종목 64강전 32강전 16강전 8강전 준결승 패자부활전 동매달 결정전 결승 상대 선수 결과 상대 선수 결과 상대 선수 결과 상대 선수 결과 상대 선수 결과 상대 선수 결과 상대 선수 결과 상대 선수 결과 순위 정정연 -48 kg 부전승 샤를린 반 스니크/Charline Van Snick프랑스어 (벨기에 )패 0000–1000 진출 실패 김경옥 -52 kg 부전승 에리카 미란다/Érika Mirandapt (브라질 )승 1012–0001 로살바 포르치니티/Rosalba Forcinitiit (이탈리아 )패 0001–0001 진출 실패 프리실라 네토/Priscilla Gneto프랑스어 (프랑스 )패 0002–0021 진출 실패 김잔디 -57 kg 수미야 도즈렌/Sumiya Dorjsurenmn (몽골 )승 0001–0001 줄리아 퀸타발레/Giulia Quintavalleit (이탈리아 )패 0002–1011 진출 실패 정다운 -63 kg 부전승 라밀라 유수보바/Ramila Yusubovaaz (아제르바이잔 )승 1000–0000 우에노 요시에 (일본 )승 0020–0002쉬리리 (중화인민공화국 )패 0002–0011진출 실패 제브리 에망/Gévrise Émane프랑스어 (프랑스 )패 0000–0000 (판정) 진출 실패 5 황예슬 -70 kg 에리카 바르비에리/Erica Barbieriit (이탈리아 )승 0102–0001 줄리안 로브라/Juliane Robrade (스위스 )승 0011–0002 라사 스라카/Raša Srakasl (슬로베니아 )승 1000–0001 루시 드코스/Lucie Décosse프랑스어 (프랑스 )패 0000–0001 진출 실패 에디스 보쉬/Edith Boschnl (네덜란드 )패 0011–0011 (판정) 진출 실패 5 정경미 -78 kg 오가타 아카리 (일본 )패 0002–0010 진출 실패 김나영 +78 kg 부전승 굴잔 이사노바/Gulzhan Issanovakk (카자흐스탄 )패 0012–0012 (판정) 진출 실패
3. 12. 1. 남자
경기 결과상대 선수 경기 결과 상대 선수 경기 결과 상대 선수 경기 결과 상대 선수 경기 결과 상대 선수 경기 결과 상대 선수 경기 결과 순위 최광현 -60 kg align=center 승 0001-0000승 0010-0000패 0001-0001 (판정)align=center| 패 0001-0011진출 실패 조준호 -66 kg align=center 승 0011–0002승 0011–0001패 0001–0001 (판정)align=center| 승 0021–0002승 0000–0001왕기춘 -73 kg 승 0001–0000승 1001–0000승 0010–0001승 0000–0000 (판정)패 0002–0011align=center| 패 0001–01015 김재범 -81 kg align=center 승 0010–0001승 0010–0002승 0100–0003승 0100–0001승 0020–0001송대남 -90 kg 승 1001–0000승 0011–0000승 0111–0101승 0112–0012승 0101–0001황희태 -100 kg 승 0021–0002승 1001–0000승 0021–0002패 0001–0010align=center| 패 0000–01005 김성민 +100 kg 승 0100–0000승 0020–0001승 0011–0002패 0003-0100align=center| 패 0000–01005
3. 12. 2. 여자
결과상대 선수 결과 상대 선수 결과 상대 선수 결과 상대 선수 결과 상대 선수 결과 상대 선수 결과 상대 선수 결과 순위 정정연 -48 kg align=center 패 0000–1000진출 실패 김경옥 -52 kg align=center 승 1012–0001패 0001–0001진출 실패 패 0002–0021진출 실패 김잔디 -57 kg 승 0001–0001패 0002–1011진출 실패 정다운 -63 kg align=center 승 1000–0000승 0020–0002 쉬 리리패 0002–0011 align=center 패 0000–0000 (판정)진출 실패 5 황예슬 -70 kg 승 0102–0001승 0011–0002승 1000–0001패 0000–0001align=center 패 0011–0011 (판정)진출 실패 5 정경미 -78 kg 패 0002–0010진출 실패 김나영 +78 kg align=center 패 0012–0012 (판정)진출 실패
3. 13. 육상
대한민국 선수들은 다음 육상 종목에서 출전 자격을 획득했다(각 종목당 'A' 기준 최대 3명, 'B' 기준 1명). [3] [4]장신권 남자 마라톤 ;남자 ;트랙 & 도로 종목선수 종목 결선 결과 순위 장신권 마라톤 2:28:20 73 정진혁 2:38:45 82 이두행 2:17:19 32 변영준 20km 경보 1:23:26 31 김현섭 1:21:36 17 박칠성 김동영 50km 경보 3:57:33 38 박칠성 3:45:55 NR 13 임정현 3:56:34 34
;필드 종목
선수 종목 예선 결선 기록 순위 기록 순위 김덕현 세단뛰기 16.22 22 진출 실패 김유석 장대높이뛰기 — 진출 실패 정상진 창던지기 76.39 31 진출 실패
3. 13. 1. 남자
선수 세부 종목 1차 예선 2차 예선 준결선 결선 기록 순위 기록 순위 기록 순위 기록 최종 순위 변영준 20km 경보 colspan ="6" bgcolor = "wheat"| 1:23:26 31 김현섭 colspan ="6" bgcolor = "wheat"| 1:21:36 17 박칠성 colspan ="6" bgcolor = "wheat"| 완주 못함 50km 경보 colspan ="6" bgcolor = "wheat"| 3:45:55 13 임정현 colspan ="6" bgcolor = "wheat"| 3:56:34 34 김동영 colspan ="6" bgcolor = "wheat"| 3:57:33 38 장신권 마라톤 colspan ="6" bgcolor = "wheat"| 2:28:20 32 정진혁 colspan ="6" bgcolor = "wheat"| 2:38:45 73 이두행 colspan ="6" bgcolor = "wheat"| 2:17:19 82
'''필드 경기'''
선수 세부 종목 예선 결선 기록 순위 기록 최종 순위 김덕현 세단뛰기 16.22 22 진출 실패 김유석 장대높이뛰기 실격 – 진출 실패 정상진 창던지기 76.39 31 진출 실패
3. 13. 2. 여자
wikitable선수 세부 종목 1차 예선 2차 예선 준결선 결선 기록 순위 기록 순위 기록 순위 기록 최종 순위 전영은 20km 경보 colspan ="6" bgcolor = "wheat"| 실격 정해림 100m 허들 13.48 7 colspan ="2" bgcolor = "wheat"| 진출 못함 정윤희 마라톤 colspan ="6" bgcolor = "wheat"| 2:31:58 41 김성은 colspan ="6" bgcolor = "wheat"| 2:46:38 96 임경희 colspan ="6" bgcolor = "wheat"| 2:39:03 76
'''필드 경기'''
선수 종목 예선 결선 기록 순위 기록 순위 최윤희 장대높이뛰기 4.10 18 진출 못함
3. 14. 조정
김솔지 경량급 더블 스컬 7:31.98 4 7:27.95 4 경기 없음 7:44.03 14
3. 14. 1. 남자
wikitable선수 세부 종목 예선 패자부활전 준준결선 준결선 결선 기록 순위 기록 순위 기록 순위 기록 순위 기록 최종 순위 김동용 싱글 스컬 7:05.24 4 7:03.91 2 7:16.12 5 7:48.09 4 7:27.94 21
3. 14. 2. 여자
김솔지 경량급 더블 스컬 7:31.98 4 7:27.95 4 경기 없음 7:44.03 14
3. 15. 체조
선수 종목 예선 결선 결과 합계 순위 결과 합계 순위 마루 안마 링 도마 평행봉 철봉 마루 안마 링 도마 평행봉 철봉 김희훈 단체 12.933 12.100 14.166 13.700 colspan=3 진출 실패 김지훈 12.900 13.100 colspan=3 15.500 Q colspan=2 김승일 12.133 12.666 14.533 14.033 13.233 colspan=2 김수면 14.766 13.433 13.833 15.666 14.700 13.933 86.331 23 Q 양학선 14.066 13.933 16.233 Q 11.966 11.233 colspan=2 합계 41.765 38.666 41.932 47.865 42.433 42.666 265.327 12
'''개인전'''
선수 종목 결과 합계 순위 마루 안마 링 도마 평행봉 철봉 김지훈 철봉 colspan=5 15.133 15.133 8 김수면 종합 12.266 13.700 14.200 16.000 14.641 14.966 85.773 20 양학선 도마 colspan=3 16.533 colspan=2 16.533
양학선 이 대한민국 체조 사상 첫 금메달을 획득했다.
선수 종목 예선 결선 결과 합계 순위 결과 합계 순위 도마 마루 이단평행봉 평균대 도마 마루 이단평행봉 평균대 허선미 종합 13.233 13.800 12.166 11.400 50.599 48 진출 실패
3. 15. 1. 기계체조
선수 종목 예선 결선 결과 합계 순위 결과 합계 순위 마루 안마 링 도마 평행봉 철봉 마루 안마 링 도마 평행봉 철봉 김희훈 단체 12.933 12.100 14.166 13.700 colspan=3 진출 실패 김지훈 12.900 13.100 colspan=3 15.500 Q colspan=2 김승일 12.133 12.666 14.533 14.033 13.233 colspan=2 김수면 14.766 13.433 13.833 15.666 14.700 13.933 86.331 23 Q 양학선 14.066 13.933 16.233 Q 11.966 11.233 colspan=2 합계 41.765 38.666 41.932 47.865 42.433 42.666 265.327 12
'''개인전'''
선수 종목 결과 합계 순위 마루 안마 링 도마 평행봉 철봉 김지훈 철봉 colspan=5 15.133 15.133 8 김수면 종합 12.266 13.700 14.200 16.000 14.641 14.966 85.773 20 양학선 도마 colspan=3 16.533 colspan=2 16.533
선수 종목 예선 결선 결과 합계 순위 결과 합계 순위 도마 마루 이단평행봉 평균대 도마 마루 이단평행봉 평균대 허선미 종합 13.233 13.800 12.166 11.400 50.599 48 진출 실패
3. 15. 2. 리듬체조
wikitable선수 종목 예선 결선 후프 공 곤봉 리본 합계 순위 후프 공 곤봉 리본 합계 순위 손연재 개인 28.075 27.825 26.350 28.050 110.300 6 28.050 28.325 26.750 28.350 111.475 5
3. 16. 축구
'''조별 리그''' : A조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3 2 1 0 3 0 +3 7 3 1 2 0 2 1 +1 5 3 0 2 1 1 3 -2 2 3 0 1 2 2 4 -2 1
2012년 7월 26일 멕시코와의 첫 경기에서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1]2012년 7월 29일 스위스와의 두 번째 경기에서는 박주영 과 김보경 의 골로 2:1 승리를 거두었다. [2]2012년 8월 1일 가봉과의 마지막 조별 리그 경기에서는 0:0 무승부를 기록, 조 2위로 8강에 진출했다. [3] '''8강'''2012년 8월 4일 영국과의 8강전에서는 지동원 이 선제골을 넣었으나, 램지 에게 페널티킥 동점골을 허용하며 연장전까지 1:1로 비겼다. 승부차기에서 5:4로 승리하며 준결승에 진출했다. [4] '''준결승'''2012년 8월 7일 브라질과의 준결승전에서는 호물루 와 다미앙 에게 실점하며 0:3으로 패배했다. [5] '''동메달 결정전'''2012년 8월 10일 카디프 의 밀레니엄 스타디움 에서 열린 일본과의 동메달 결정전에서 박주영 과 구자철 의 연속골로 2:0 승리를 거두며 동메달을 획득했다. 이로써 대한민국 축구 역사상 최초로 올림픽 메달을 획득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6] 동메달 획득으로 선수단은 병역 의무 면제 혜택을 받았지만, 4주간의 기초 군사 훈련은 받아야 했다. [7] ; 선수 명단
번호 포지션 이름 1 GK 정성룡 2 DF 오재석 3 DF 윤석영 4 DF 김영권 5 DF 김기희 6 MF 기성용 7 MF 김보경 8 MF 백성동 9 FW 지동원 10 FW 박주영 11 MF 남태희 12 DF 황석호 13 MF 구자철 (주장)14 DF 김창수 15 MF 박종우 16 MF 정우영 17 FW 김현성 18 GK 이범영 감독 홍명보
; 최종 순위: ; 논란 박종우는 일본과의 동메달 결정전 경기 이후 독도에 대한 한국의 영유권을 주장하는 표지판을 들어 국제 축구 연맹(FIFA)에 통보된 후 시상식에 참석하지 못했고, 다른 선수들과 함께 동메달을 받지 못했다. [8] 2013년 2월 11일, 박종우는 스위스 로잔에서 열린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징계 청문회에 참석했고, IOC는 수개월 동안 받지 못했던 박종우에게 동메달을 수여하기로 결정했다.
3. 16. 1. 남자
14:30 |팀1 = |득점 = 0 : 0 |리포트 = [http://www.london2012.com/football/event/men/match=fbm400b01/index.html 리포트] |팀2 = |골1 = |골2 = |경기장 = 뉴캐슬 , 세인트 제임스 파크 |관중수 = 15,748 |심판 = 슬림 제디디 (튀니지) }} {{축구 경기 정보 |날짜 = 2012년 7월 29일 17:15 |팀1 = |득점 = 2 : 1 |리포트 = [http://www.london2012.com/football/event/men/match=fbm400b04/index.html 리포트] |팀2 = |골1 = 박주영 김보경 |골2 = |경기장 = 코번트리 , 리코 아레나 |관중수 = 30,114 |심판 = 라울 오로스코 (볼리비아) }} {{축구 경기 정보 |날짜 = 2012년 8월 1일 17:00 |팀1 = |득점 = 0 : 0 |리포트 = [http://www.london2012.com/football/event/men/match=fbm400b06/index.html 리포트] |팀2 = |골1 = |골2 = |경기장 = 런던 , 웸블리 스타디움 |관중수 = 76,927 |심판 = 파벨 크라이러베크 (체코) }} '''8강''' {{축구 경기 정보 | 날짜 = 2012년 8월 4일 19:30 | 팀1 = | 득점 = 1 : 1 (연장전 ) | 리포트 = [http://www.london2012.com/football/event/men/match=fbm400301/index.html 리포트] | 팀2 = | 골1 = 램지 | 골2 = 지동원 | 경기장 = 카디프 , 밀레니엄 스타디움 | 관중수 = 70,772 | 심판 = 윌마르 롤단 (콜롬비아) |승부차기득점 = 4 : 5 |승부차기1=램지 클레버리 도슨 긱스 스터리지 |승부차기2= 구자철 백성동 황석호 박종우 기성용 }} '''준결승''' {{축구 경기 정보 | 날짜 = 2012년 8월 7일 19:45 | 팀1 = | 득점 = 0 : 3 | 리포트 = [http://www.london2012.com/football/event/men/match=fbm400201/index.html 리포트] | 팀2 = | 골1 = | 골2 = 호물루 다미앙 | 경기장 = 맨체스터 , 올드 트래퍼드 | 관중수 = 69,389 | 심판 = 파벨 크랄로베츠 (체코) |}} '''동메달 결정전''' {{축구 경기 정보 | 날짜 = 2012년 8월 10일 19:45 | 팀1 = | 득점 = 2 : 0 | 리포트 = [http://www.london2012.com/football/event/men/match=fbm400102/index.html 리포트] | 팀2 = | 골1 = 박주영 구자철 | 골2 = | 경기장 = 카디프 , 밀레니엄 스타디움 | 관중수 = | 심판 = 랍샨 이르마토프 (우즈베키스탄) }} {{국가대표팀 명단 | 이름 = 2012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대한민국 선수 명단 | 색상 = #C21E28 | fg = white | bordercolor = #0047A0 | country = 대한민국 | team link =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 제목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comp = 2012년 하계 올림픽 동메달 | comp link = 2012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 메달그림 = | p1 = 정성룡 | p2 = 오재석 | p3 = 윤석영 | p4 = 김영권 | p5 = 김기희 | p6 = 기성용 | p7 = 김보경 | p8 = 백성동 | p9 = 지동원 | p10 = 박주영 | p11 = 남태희 | p12 = 황석호 | p13 = 구자철 (주장) | p14 = 김창수 | p15 = 박종우 | p16 = 정우영 | p17 = 김현성 | p18 = 이범영 | 감독 = 홍명보 }} 대한민국은 남자 토너먼트에 18명의 선수로 구성된 팀을 출전시켰다. 대표팀은 일본과의 동메달 결정전에서 승리하며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선수단은 병역 의무 2년 면제 혜택을 받았지만, 여전히 4주간의 기초 군사 훈련을 받아야 했다. [6] [7] ; 선수 명단번호 포지션 이름 1 GK 정성룡 2 DF 오재석 3 DF 윤석영 4 DF 김영권 5 DF 김기희 6 MF 기성용 7 MF 김보경 8 MF 백성동 9 FW 지동원 10 FW 박주영 11 MF 남태희 12 DF 황석호 13 MF 구자철 (주장)14 DF 김창수 15 MF 박종우 16 MF 정우영 17 FW 김현성 18 GK 이범영 감독 홍명보
; 최종 순위: ; 논란 박종우는 대한민국과 일본의 동메달 결정전 경기 이후 독도에 대한 한국의 영유권을 주장하는 표지판을 들어, 국제 축구 연맹(FIFA)에 통보된 후 시상식에 참석하지 못했고, 다른 선수들과 함께 동메달을 받지 못했다. [8] 2013년 2월 11일, 박종우는 스위스 로잔에서 열린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징계 청문회에 참석했다. 징계 위원회가 올림픽에서의 박종우의 행동을 검토한 후, IOC는 수개월 동안 받지 못했던 박종우에게 동메달을 수여하기로 결정했다.
3. 17. 탁구
스코어상대 선수 스코어 상대 선수 스코어 상대 선수 스코어 상대 선수 스코어 최종 순위 주세혁 단식 김혁봉 (PRK) 패 (2–4)진출 실패 오상은 프레이타스 (POR) 승 (4–0) 키시카와 (JPN) 패 (1–4) 진출 실패 주세혁 , 오상은 , 유승민 단체 경기 없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PRK) 승 (3-1) 포르투갈 (POR) 승 (3-2) 홍콩 (HKG) 승 (3-0) 중국 패'''(0-3) ;여자
선수 세부 종목 32강전 16강전 8강전 4강전 결승 / 동매달 결정전 상대 선수 스코어 상대 선수 스코어 상대 선수 스코어 상대 선수 스코어 상대 선수 스코어 최종 순위 김경아 단식 류지아 (AUT) 승 (4–1) 얀페이 센 (ESP) 승 (4–1) 펑 티안웨이 (SIN) 패 (2–4) 진출 실패 박미영 포타 (HUN) 승 (4–1) 리 샤오시아 패'''(1–4) 진출 실패 김경아, 박미영 , 석하정, 당예서 단체 경기 없음 브라질 (BRA) 승 (3-0) 홍콩 (HKG) 승 (3-0) 중국 패'''(0-3) 싱가포르 (SIN) 패 (0-3) 4
3. 17. 1. 남자
스코어상대 선수 스코어 상대 선수 스코어 상대 선수 스코어 상대 선수 스코어 최종 순위 주세혁 단식 패 (2–4) 진출 실패 오상은 승 (4–0) 패 (1–4) 진출 실패 주세혁 오상은 유승민 단체 경기 없음 승 (3-1) 승 (3-2) 승 (3-0) 중국 패 (0-3)
3. 17. 2. 여자
스코어상대 선수 스코어 상대 선수 스코어 상대 선수 스코어 상대 선수 스코어 최종 순위 김경아 단식 승 (4–1) 승 (4–1) 패 (2–4) 진출 실패 박미영 승 (4–1) 리 샤오시아 패 (1–4) 진출 실패 김경아박미영 석하정당예서 단체 colspan=1 align=center 승 (3-0) 승 (3-0) 중국 패 (0-3) 패 (0-3)4
3. 18. 태권도
결과상대 선수 결과 상대 선수 결과 상대 선수 결과 상대 선수 결과 상대 선수 결과 순위 이대훈 −58 kg 카라켓 (태국 ) 승 8-7 (연장승) 바유미 (이집트 ) 승 11-10 (연장승)데니센코 (러시아 ) 승 7-6경기 없음 보니야 (스페인 ) 패 8-17 차동민 +80 kg 트라이코비치 (슬로베니아 )승 9–4 탄르쿨루 (튀르키예 )패 1–4진출 실패 '''여자'''
3. 18. 1. 남자
결과상대 선수 결과 상대 선수 결과 상대 선수 결과 상대 선수 결과 상대 선수 결과 순위 이대훈 −58 kg 카라켓 (태국 ) 승 8-7 (연장승) 바유미 (이집트 ) 승 11-10 (연장승)데니센코 (러시아 ) 승 7-6경기 없음 보니야 (스페인 ) 패 8-17 차동민 +80 kg 트라이코비치 (슬로베니아 )승 9–4 탄르쿨루 (튀르키예 )패 1–4진출 실패
3. 18. 2. 여자
결과상대 선수 결과 상대 선수 결과 상대 선수 결과 상대 선수 결과 상대 선수 결과 순위 황경선 −67 kg 그바그비 (CIV) 승 4-1프롬 (GER) 승 8-4아니치 (SLO) 승 7-0 경기 없음 타타르 (TUR) 승 12-5이인종 +67 kg 팔라비냐 (BRA) 승 13–9그라프 (FRA) 패 4–7진출 실패 마마토바 (UZB) 승 8-1 바리시니코바 (RUS) 패 6-7진출 실패 5
3. 19. 트라이애슬론
wikitext선수 종목 수영 (1.5 km) Trans 1 사이클 (40 km) Trans 2 마라톤 (10 km) 기록 순위 허민호 남자부 18:02 0:38 59:46 0:28 35:36 1:54:30 54
3. 19. 1. 남자
선수 종목 수영 (1.5 km) Trans 1 사이클 (40 km) Trans 2 마라톤 (10 km) 기록 순위 허민호 남자부 18:02 0:38 59:46 0:28 35:36 1:54:30 54
3. 20. 펜싱
김정환 원우영 오은석 단체 사브르 colspan=3 '''여자'''
3. 20. 1. 남자
스코어상대 선수 (시드) 스코어 상대 선수 (시드) 스코어 상대 선수 (시드) 스코어 상대 선수 (시드) 스코어 상대 선수 (시드) 스코어 순위 정진선 (14)에페 개인 align=center 수코프 (19) 승 15–11 알림자노프 (3) 승 15–8 피들러 (22) 승 15–11 피아세츠키 (23) 패 13–15 켈시 (17) 승 12–11 박경두 (8)align=center 쿠다예프 (25) 패 9–15 진출 실패 최병철 (6)플뢰레 개인 align=center 주쥔 (27) 승 15–13 르 페슈 (11) 승 15–13 마젠페이 (3) 승 15–13 아부엘카셈 (7) 패 12–15 발디니 (13) 승 15–14 구본길 (4)사브르 개인 align=center 잘로미르 (29) 승 15–12 하어퉁 (20) 패 14–15 진출 실패 원우영 (8)align=center 왕 (25) 승 15–6 코발례프 (9) (RUS ) 패 11–15 진출 실패 김정환 (12)align=center 중만 (21) 패 14–15 진출 실패 구본길 (6)원우영 김정환 오은석 사브르 단체 colspan=3 align=center 독일 (3) 승 45-38 이탈리아 (7) 승 45-37 루마니아 (4) 승 45-26
3. 20. 2. 여자
스코어상대 선수 (시드) 스코어 상대 선수 (시드) 스코어 상대 선수 (시드) 스코어 상대 선수 (시드) 스코어 순위 최인정 (10)에페 개인 align=center 사스 (23) 승 15–12 베스베스 (26) (TUN) 패 11–12 진출 실패 신아람 (11)align=center 샬름 (22) (CAN ) 승 15–12 조찬스카 (6)승 14–9 머로이우 (3) 승 15–14 하이데만 (15) 패 5–6 쑨 (1) 패 11–15 4 정효정 (14)align=center 시프코바 (19) (RUS ) 패 12–15 진출 실패 최인정 (8)신아람 정효정 최은숙 에페 단체 colspan=3 align=center 루마니아 (1) 승 45-38 미국 (5) 승 45-36 중국 (3) 패 25-39 남현희 (1)플뢰레 개인 align=center 렐레이코 (32) (UKR) 승 15–9 모허메드 (16) 승 8–7 이케하타 (25) (JPN) 승 15–6 디 프란치스카 (4) (ITA ) 패 10–11 베찰리 (2) (ITA ) 패 12–13 4 전희숙 (12)align=center 스가와라 (21) (JPN) 패 13–15 진출 실패 정길옥 (22)align=center 샤나예바 (11) (RUS ) 승 15–14 키퍼 (6) (USA ) 패 13–15 진출 실패 남현희 (3)전희숙 정길옥 오하나 플뢰레 단체 colspan=3 align=center 미국 (6) 승 45–31 러시아 (2) 패 32–44 프랑스 (4) 승 45–32 김지연 (5)사브르 개인 align=center 곤살레스 (28) (MEX ) 승 15–3 마르초카 (12) (ITA ) 승 15–7 부지우카 (4) (GRE ) 승 15–12 제거니스 (1) (USA ) 승 15–13 벨리카야 (2) (RUS ) 승 15–9 이라진 (15)align=center 베니테스 (18) (VEN ) 패 9–15 진출 실패
3. 21. 필드하키
;남자 '''예선 B조'''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22x20px 네덜란드 5 5 0 0 18 7 +11 15 22x20px 독일 5 3 1 1 14 11 +3 10 22x20px 벨기에 5 2 1 2 8 7 +1 7 22x20px 대한민국 5 2 0 3 9 8 +1 6 22x20px 뉴질랜드 5 1 2 2 10 14 −4 5 22x20px 인도 5 0 0 5 6 18 −12 0
7월 30일 '''대한민국''' 2 : 0 뉴질랜드8월 2일 대한민국 0 : 1 '''독일'''8월 4일 '''벨기에''' 2 : 1 대한민국8월 5일 인도 1 : 4 '''대한민국'''8월 7일 대한민국 2 : 4 '''네덜란드''' '''7/8위 결정전'''8월 9일 '''파키스탄''' 3 : 2 대한민국
3. 21. 1. 남자
'''예선 B조'''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22x20px 네덜란드 5 5 0 0 18 7 +11 15 22x20px 독일 5 3 1 1 14 11 +3 10 22x20px 벨기에 5 2 1 2 8 7 +1 7 22x20px 대한민국 5 2 0 3 9 8 +1 6 22x20px 뉴질랜드 5 1 2 2 10 14 −4 5 22x20px 인도 5 0 0 5 6 18 −12 0
7월 30일 '''대한민국''' 2 : 0 뉴질랜드8월 2일 대한민국 0 : 1 '''독일'''8월 4일 '''벨기에''' 2 : 1 대한민국8월 5일 인도 1 : 4 '''대한민국'''8월 7일 대한민국 2 : 4 '''네덜란드''' '''7/8위 결정전'''8월 9일 '''파키스탄''' 3 : 2 대한민국
3. 21. 2. 여자
'''예선 A조'''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네덜란드 5 5 0 0 12 5 +7 15 영국 5 3 0 2 14 7 +7 9 중화인민공화국 5 2 1 2 6 3 +3 7 대한민국 5 2 0 3 9 13 −4 6 일본 5 1 1 3 4 9 −5 4 벨기에 5 0 2 3 2 10 −8 2
7월 29일 '''중화인민공화국''' 4 : 0 대한민국8월 1일 '''영국''' 5 : 3 대한민국8월 2일 '''대한민국''' 1 : 0 일본8월 4일 '''네덜란드''' 3 : 2 대한민국8월 7일 '''대한민국''' 3 : 1 벨기에 '''7/8위 결정전'''8월 8일 대한민국 1 : 4 '''독일'''
3. 22. 핸드볼
대한민국은 아시아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에서 우승하여 남자 및 여자 종목에 출전 자격을 얻었다.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크로아티아 5 5 0 0 150 109 +41 10 덴마크 5 4 0 1 124 129 −5 8 스페인 5 3 0 2 140 126 +14 6 헝가리 5 2 0 3 114 128 −14 4 세르비아 5 1 0 4 120 131 −11 2 대한민국 5 0 0 5 115 140 −25 0
3. 22. 1. 남자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크로아티아 5 5 0 0 150 109 +41 10 덴마크 5 4 0 1 124 129 −5 8 스페인 5 3 0 2 140 126 +14 6 헝가리 5 2 0 3 114 128 −14 4 세르비아 5 1 0 4 120 131 −11 2 대한민국 5 0 0 5 115 140 −25 0
3. 22. 2. 여자
'''예선 B조'''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프랑스 5 4 1 0 125 103 +22 9 대한민국 5 3 1 1 136 130 +6 7 스페인 5 3 1 1 119 114 +5 7 노르웨이 5 2 1 2 118 120 −2 5 덴마크 5 1 0 4 113 121 −8 2 스웨덴 5 0 0 5 108 131 −23 0
'''8강'''8월 7일 러시아 23 : 24 '''대한민국''' '''준결승'''8월 9일 '''노르웨이''' 31 : 25 대한민국 '''동메달 결정전''' ;팀 명단정지해 조효비 심해인 김정심 권한나 송미영 김차연 주희 강지해 유은희 우선희 김온아 최임정 류은희 문경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