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3·1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3·1절은 1919년 3·1 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발족을 기념하는 날로, 대한민국의 국경일이다. 임시정부 시기에는 독립선언일, 독립절 등으로 불렸으며, 1949년 4대 국경일로 지정되었다. 1946년 국내 최초의 3.1절 행사가 거행되었으나, 좌우익 분열로 갈등을 겪기도 했다. 6.25 전쟁 이후 3.1절 행사는 축소되었으나, 1998년부터 만세운동 재현 행사가 열리고 있다. 2019년 3.1절 100주년을 맞아 다양한 기념 행사가 개최되었으며, 3.1절 노래는 1946년 정인보가 작사하고 박태현이 작곡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3월 1일 - 2010년 한·일 삼일절 사이버 공격 사건
    2010년 한·일 삼일절 사이버 공격 사건은 2010년 3월 1일 2ch의 김연아 선수 비방, 한국인 유학생 피살 사건 관련 비하 발언에 분노한 한국 네티즌들이 2ch를 공격하면서 발생한 사건이다.
  • 대한민국의 국기 게양일 - 광복절
    광복절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기념하는 날로서, 대한민국에서는 1945년 8월 15일 일제강점기에서 벗어난 것을 기념하여 국경일 및 공휴일로 지정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국해방의 날로 기념한다.
  • 대한민국의 국기 게양일 - 한글날
    한글날은 훈민정음 반포를 기념하는 날로, 대한민국에서는 매년 10월 9일에 기념하며 한글의 독창성과 과학성을 알리고 한글 사랑 의식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기념행사가 열린다.
  • 대한민국의 국경일 - 광복절
    광복절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기념하는 날로서, 대한민국에서는 1945년 8월 15일 일제강점기에서 벗어난 것을 기념하여 국경일 및 공휴일로 지정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국해방의 날로 기념한다.
  • 대한민국의 국경일 - 한글날
    한글날은 훈민정음 반포를 기념하는 날로, 대한민국에서는 매년 10월 9일에 기념하며 한글의 독창성과 과학성을 알리고 한글 사랑 의식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기념행사가 열린다.
3·1절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삼일절
한글3·1절
한자三一節
일본어さんいちせつ (히라가나), サミルチョル (가타카나)
로마자 표기Samiljol
기념일 정보
종류국경일
날짜3월 1일
관련 기념일광복절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기념일
역사적 배경
관련 사건1919년 3월 1일부터 한반도 전역에서 일어난 독립 운동 (3·1 운동)
기념 목적3·1 운동의 정신을 기리기 위함
기타
3·1 운동 관련3·1 운동을 기념하는 국경일
기념 행사매년 기념 행사 개최
독립운동가 기념
추가 정보3.1 운동의 정신을 기리는 날
3.1절의 의미와 중요성 강조
탑골공원에서 열린 제35주년 3.1절 기념 행사
탑골공원에서 열린 제35주년 3.1절 기념 행사(1954년 3월 1일)

2. 3.1절의 역사

3·1절은 1919년 3·1 운동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발족과 함께 시작되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시기 초대 3.1절은 독립신문에서 국경일로 지정되었으며, 연해주와 만주, 미국, 심지어는 일본에서도 한인들에 의해 개최되었다.

해방 이후 1946년 보신각 앞에서 남조선대한국민대표민주의원 주최로 국내 최초의 3.1절 행사가 개최되었고, 이승만의 개회사와 김구의 경축사, 김규식의 선창 순으로 식전이 열렸으며, 1949년부터 3.1절은 4대 국경일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축 행사는 6.25 전쟁을 기점으로 사라졌으며, 5.16 군사정변과 5공화국 정권을 거치며 3.1절은 크게 천시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3·1절을 건국기념일(7월 17일), 광복절(8월 15일), 개천절(10월 3일), 한글날(10월 9일)과 함께 대한민국의 5대 국경일 중 하나로 여긴다.[1] 1948년에 제정된 대한민국헌법 전문에는 “대한민국 국민은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과 불의에 항거한 4·19 민주이념을 계승하여~”라고 명시되어 있으며,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이승만 등에 의해 설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대한민국의 전신으로 보고 있다.

일반 가정에서는 전국적으로 태극기를 게양하며,[2] 국내 각지에서 “만세운동” 재현 행사가 열린다.[3]

2. 1. 대한민국 임시정부 시기

1919년 독립선언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발족과 함께 시작되었다. 1920년 2월 임시정부 내무부 주최로 3.1독립선언 1주년 기념식 준비회를 설치하고 갖가지 행사를 준비하였다. 제1주년 3.1절은 임시정부 주최의 기념식과 교민단 주최의 3.1절대축하식, 시가행진, 기념공연 등으로 성대히 축하되었고, 당시 임시정부의 기관지였던 독립신문은 이날을 국경일로 적으며 기쁘게 맞이할 것을 동포들에게 주문했다.[6]

연해주와 만주, 미국, 심지어는 일본에서도 한인들에 의해 3.1절 행사가 개최되었는데, 이들은 기념식을 가진 뒤 브라스밴드를 앞세워 퍼레이드를 벌였고, 기념 공연과 축포, 전단 살포 등의 다채로운 행사로써 3월 1일을 경축했다.[7] 임시정부 시기 3.1절의 정식 명칭은 '''독립선언일'''이었으며, 이외에도 독립절, 혁명기념일 등의 명칭으로 불리었다.[8] 3.1절이라는 명칭은 중국의 쌍십절이나 미국 독립기념일의 별칭인 4th of July에서 따 온 것으로 추정된다. 이외에도 여러 독립운동가들의 전단과 기록에서 3.1절은 '''대한민국 건국기념일'''[9]이나 '''독립기념일'''[10] 등으로 언급되었다.

2. 2. 해방 이후

1946년 보신각 앞에서 남조선대한국민대표민주의원 주최로 국내 최초의 3.1절 행사가 성대히 거행되었다. 이승만의 개회사와 김구의 경축사, 김규식의 선창 순으로 식전이 열렸으며, 이날을 경축하기 위한 음악회와 전시회, 예술공연, 체육대회 등 다채로운 문화예술행사들이 베풀어졌다.[12] 그러나 3.1절 행사는 당대 좌익과 우익 진영 간의 분열 속에 치러졌으며, 1947년에는 동대문운동장남산에서 각각 경축 행사를 거행하던 우익과 좌익이 충돌하여 사상자가 발생하기도 했다.[13]

1949년부터 3.1절은 4대 국경일로 지정되었으며, 이때까지만 해도 '''겨레 최대의 명절'''로 인식되고 있었다.[14] 정부 주최의 경축식 이외에도 국방군의 축하 비행, 예술제, 퍼레이드, 학예회, 체육회, 연극 등 다채로운 행사가 거행되었다.[15] 그러나 대부분의 경축 행사는 6.25 전쟁을 기점으로 사라졌으며, 5.16 군사정변과 5공화국 정권을 거치며 3.1절은 크게 천시되었다.[16] 1998년 이후로는 만세운동 재현 행사가 실시되어 사실상 유일한 3.1절 행사로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3·1운동 100주년 기념식(2019년)

2. 3. 현대

대한민국에서는 3·1절을 국경일로 지정하여 태극기를 게양하고 휴일로 보내고 있다. 건국기념일(7월 17일), 광복절(8월 15일), 개천절(10월 3일), 한글날(10월 9일)과 함께 대한민국의 5대 국경일 중 하나이다.[1] 1948년에 제정된 대한민국헌법 전문에는 “대한민국 국민은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과 불의에 항거한 4·19 민주이념을 계승하여~”라고 명시되어 있으며,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이승만 등에 의해 설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대한민국의 전신으로 보고 있다.

일반 가정에서는 전국적으로 태극기를 게양하며,[2] 국내 각지에서 “만세운동” 재현 행사가 열린다.[3] 심야에는 폭주족의 과속 운행으로 경찰의 단속이 심해지기도 한다.[20]

2. 3. 1. 3.1 운동 100주년

문재인 정부2018년 7월 3일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를 발족하였다.[21][22]

2019년 3월 1일, 3.1절 100주년을 맞아 서울 광화문 광장 등 전국 각지에서 대규모 기념행사가 개최되었다. 광화문 광장에서는 정부서울청사를 비롯한 인근 건물에 대형 태극기가 내걸렸으며, 문재인 대통령을 비롯한 각계 인사와 시민 약 1만 명이 참석하였다. 국민대표 33인의 행진과 독립선언문 낭독, 독립유공자 포상이 진행되었고, 독립유공자 334명에 대한 포상에서는 유관순 열사에게 최고 등급인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됐다. 정오에는 전국에서 동시에 3·1운동 100주년을 기념하는 타종과 만세 행사가 열렸다. 서울 보신각에서 열린 타종 행사에는 강제징용 피해자인 이춘식 씨와 유관순 열사의 조카 유장부 씨 등 독립유공자 후손 12명이 참여하였다. 서울광장 일대에서는 만세 행진과 공연이 이어졌고, 시민 3,000명이 참여한 대합창 행사도 열렸다.[23]

3. 3·1절 노래

1946년 문교부 장관 안호상의 의뢰로 위당 정인보가 3·1절 노래를 작사하고, 당시 숙명여대 음악과 강사였던 작곡가 박태현이 곡을 붙였다.[17]

정인보작사하고 박태현이 곡을 붙인 이 노래는 순국선열을 기리는 노래이다. 3.1운동이 일어날 당시(1919년) 한반도인구는 2000만이 채 되지 않았는데, 노래 가사에는 “태극기 곳곳마다 3000만이 하나로”라고 되어 있어 오류를 지적하기도 한다.[19]

노래 가사는 다음과 같다.[18]

:기미년(己未年) 3월 1일 정오

:터지자 밀물 같은 대한 독립 만세

:태극기 곳곳마다 삼천만이 하나로

:이 날은 우리의 의(義)요, 생명(生命)이요 교훈(敎訓)이다

:한강(漢江)물 다시 흐르고 백두산(白頭山) 높았다

:선열(先烈)이여 이 나라를 보소서

:동포(同胞)야 이 날을 길이 빛내자

참조

[1] 웹사이트 名節、祝祭日など : Korea.net : The official website of the Republic of Korea https://japanese.kor[...] 2024-02-29
[2] 웹사이트 3·1절(三一節) https://encykorea.ak[...] 2024-02-29
[3] 뉴스 独立運動記念日 各地で4年ぶり大規模式典=韓国 https://jp.yna.co.kr[...] 2023-03-01
[4] 법률 법률 제7771호 국경일에 관한 법률
[5] 법률 군정법률 제2호 경축일공포의관한건 1946-02-21
[6] 뉴스 최초의 3.1절 기념식은 언제 어디서 열렸을까? https://news.sbs.co.[...]
[7] 논문 3·1운동 기념 의례의 창출과 변화
[8] 웹사이트 한국사데이터베이스 獨立新聞 一九二○年 三月十八日 http://db.history.go[...]
[9] 웹인용 국사편찬위원회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 2020-01-23
[10] 웹인용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 2020-01-23
[11] 웹사이트 국사편찬위원회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
[12] 뉴스 우리의 지도자·혁명투사들과 함께 맞이하는 다채로운 행사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46-03-01
[13] 논문 3월 1일의 비극
[14] 뉴스 삼일절에 제하여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49-03-01
[15] 논문 대한민국정부의 3·1절 기념의례와 3·1운동 표상화(1949~1987)
[16] 뉴스 3.1운동 정권탄생 배경따라 달라져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9-03-01
[17] 뉴스 3.1노래 작곡가 박태현씨 "애창곡되어 민족정기 되살려야" 경향신문 2011-03-01
[18] 웹사이트 '왜 위당 정인보는 선열"하"로 작사했을까?' 하는 궁금증에 대한 답 http://krdic.naver.c[...]
[19] 뉴스 신현수 작가, '시로 쓰는 한국근대사' 펴냄 http://www.news-stor[...] 뉴스스토리 2012-03-20
[20] 뉴스 초중고생 40% 3.1절 의미 잘 모른다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02-28
[21] 웹인용 # http://together100.g[...] 2018-07-29
[22] 웹인용 3·1운동ㆍ임시정부 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 '첫발' https://www.msn.com/[...] 2018-07-29
[23] 뉴스 3·1절 100주년…광장 채운 뜨거운 함성 http://www.yonhapnew[...] 2019-03-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