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4명의 경찰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4명의 경찰관'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세계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미국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가 구상한 국제 기구 창설 계획이다. 루스벨트는 국제 연맹의 한계를 극복하고 강대국 중심의 국제 질서를 선호하여, 미국, 영국, 소련, 중국을 중심으로 하는 '4명의 경찰관'이 세계 치안을 담당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 구상은 1944년 덤바턴오크스 회담과 1945년 샌프란시스코 회의를 거쳐 국제 연합(UN) 창설로 이어졌으며, 안전보장이사회의 상임이사국 체제로 구현되었다.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에는 루스벨트의 구상에 따라 미국, 영국, 소련, 중국이 포함되었고, 이후 프랑스가 추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유엔 관계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82호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82호는 1950년 북한의 대한민국 무력 침공을 규탄하며, 즉각적인 적대 행위 중단 및 38선 이북으로의 철군을 요구하고, 유엔 회원국들에게 결의 이행 지원과 북한 지원 금지를 촉구한 결의이다.
  • 영국-유엔 관계 - 국제 해사 기구
    국제 해사 기구(IMO)는 해운 안전 규제를 국제적으로 다루기 위해 1948년에 설립된 정부 간 기구이며, 해상 항행 안전, 해운 기술 향상, 해양 오염 방지, 국가 간 차별 철폐를 목표로 총회, 이사회, 위원회, 사무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 영국-유엔 관계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상임이사국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상임이사국은 중화인민공화국, 프랑스, 러시아, 영국, 미국 5개국이며,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고 상임이사국 확대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 유엔의 역사 - 중동 쿼텟
    중동 쿼텟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평화 협상을 중재하기 위해 국제 연합, 유럽 연합, 러시아, 미국 4개 기구의 주도로 결성된 상설 포럼으로, 평화 협상 노력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정책 변화를 이끌어내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 유엔의 역사 - 유엔의 확대
    유엔의 확대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 평화와 안전 유지를 목표로 1945년 51개국으로 시작한 국제 연합(UN)의 회원국이 냉전 시대와 탈식민지화, 정치적 변화를 거치며 2011년 남수단 가입으로 193개국이 된 과정을 설명한다.
4명의 경찰관
개요
명칭4명의 경찰관 구상
종류제2차 세계 대전 연합국 평화 구상
제안 시기제2차 세계 대전
제안자프랭클린 D. 루즈벨트
구상 내용
주요 내용전후 세계 평화 유지를 위한 강대국 협력 체제 구축
구성 국가미국
영국
소련
중국
역할각자의 영향권 행사
잠재적 침략자 감시 및 무장 해제
권한자국 군사력 사용 승인
다른 국가의 분쟁 개입 권한
배경
제안 배경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 연맹의 실패
미국 중심의 새로운 국제 질서 구상
루즈벨트의 구상미국, 영국, 소련, 중국 4개국 중심의 국제 협력
각국의 지역적 역할 분담
4개국 선정 이유전쟁 수행 능력
전후 세계 질서 유지 능력
전개
덤바턴오크스 회의4개국 대표 참석
국제 연합 창설 논의
얄타 회담4명의 경찰관 구상 구체화
소련의 대일 참전 결정
국제 연합 창설4명의 경찰관 구상을 바탕으로 설립
안전 보장 이사회 상임이사국 체제 확립
평가 및 영향
긍정적 평가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세계 평화 유지에 기여
국제 연합 창설의 기반 마련
비판적 평가강대국 중심의 질서 유지
약소국의 의견 무시
냉전 시대 영향미국과 소련의 대립 심화
4명의 경찰관 구상 약화
관련 인물
관련 인물프랭클린 D. 루즈벨트 (미국 대통령)
윈스턴 처칠 (영국 총리)
이오시프 스탈린 (소련 서기장)
장제스 (중국 총통)

2. 역사적 배경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은 국제 연맹을 대체할 새롭고 더 안정적인 국제 조직 창설을 위한 전후 계획을 발족했다.[12] 루스벨트는 국제 연맹의 지지자였지만, 제2차 세계 대전의 발발을 막지 못하는 비효율성으로 인해 국제 연맹에 대한 자신감을 잃었다. 그는 세계 강대국들을 규합해 지구적 평화를 보장하는 국제 기구를 창설하고, 국제 연맹 창설의 기반이 된 윌슨주의적 사고에서 벗어나고자 했다.[1] 1935년, 그는 대외정책 고문관 섬너 웰즈에게 "국제 연맹은 토론 협의체가 되어버렸고, 그것에도 가엾은 단체가 되었소!"라고 말했다.[2]

루스벨트는 국제 연맹이 너무 많은 국가들의 이익을 대표하는 것에 대해 비판했다. 그는 뱌체슬라프 몰로토프에게 "100개 이상의 다른 협의안이 있는 또 다른 국제 연맹을 상상할 수 없으며, 국제 연맹에는 너무 많은 국가들이 있으므로 그것은 실패작이었고 실패할 것"이라고 말했다.[13]

1943년 11월 테헤란 회담에서 루스벨트는 중화민국을 연합국의 주요 멤버로 끌어올릴 것을 주장했다.[14] 영국은 유럽에서의 미국의 약속을 감안하여 11월 27일에 전시 내각을 통해 중국을 대국으로 대우하는 방침을 결정했지만,[13] 소련은 1943년 10월 모스크바 외상 회의에서 모스크바 선언에 중국을 참여시키는 것에 반대했다.[13] 중국 사회과학원의 쯔중윈 전 미국 연구소장에 따르면 "중국은 어떤 기준에서도 3대국과 동등한 파트너가 아니었다. 사실 3대국에 의해 새로운 지위가 결정된 것이었다."라고 하였다.[15]

테헤란 회담 (왼쪽부터 이오시프 스탈린, 루즈벨트, 윈스턴 처칠)


카이로 회담 (왼쪽부터 장제스, 루즈벨트, 처칠)

2. 1. 국제 연맹의 한계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이전, 프랭클린 D. 루스벨트는 국제 연맹을 지지했지만, 제2차 세계 대전의 발발을 막지 못한 비효율성 때문에 국제 연맹에 대한 신뢰를 잃었다.[1] 그는 1935년 외교 정책 고문 섬너 웰즈에게 "국제 연맹은 토론 모임에 불과하며, 그것도 형편없는 모임이 되었소!"라고 말하기도 했다.[2] 루스벨트는 국제 연맹이 너무 많은 국가들의 이익을 대변한다고 비판했다.[1]

미국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고립주의 정책을 추구하며 1919년 국제 연맹 가입을 거부했다.[2] 루스벨트는 우드로 윌슨미국 상원에 국제 연맹 가입을 설득하려 노력했던 것과 같은 실수를 반복하고 싶지 않았기 때문에, 전후 국제 기구 창설 계획을 공개적으로 발표하는 것을 꺼렸다.[3]

2. 2. 루스벨트의 '4명의 경찰관' 구상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은 국제 연맹의 한계를 극복하고 전후 세계 평화를 유지하기 위한 새로운 국제기구 창설 구상을 제시했다. 루스벨트는 1935년에 이미 국제연맹에 대한 실망감을 표현하며, 강대국 중심의 새로운 국제기구 필요성을 강조했다.[4]

1941년 대서양 헌장 발표 이후, 루스벨트는 전후 국제기구 설립 구상을 구체화했다. 그는 강대국들이 '신탁 통치' 방식으로 약소국들을 관리하는 방안을 모색했다. 그러나 1941년 12월 진주만 공격 이후, 루스벨트는 미국, 영국, 소련, 중화민국을 중심으로 하는 '4명의 경찰관' 구상으로 전환했다.[4]

1942년, 루스벨트는 소련 외무장관 뱌체슬라프 몰로토프와의 회담에서 '4명의 경찰관' 구상을 처음으로 제안했다. 그는 4대 강국이 전후 세계 질서를 유지하고 다른 국가들의 무장을 억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몰로토프는 다른 국가들의 역할에 대해 질문했고, 루스벨트는 너무 많은 '경찰관'은 내부 갈등을 야기할 수 있지만, 다른 연합국들의 참여 가능성은 열어두었다.[4]

루스벨트는 '4명의 경찰관' 구상에서 중국을 주요 강대국으로 포함시켰다. 이는 중국이 소련을 견제하고, 전후 아시아에서 미국의 이익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판단 때문이었다. 그는 앤서니 이든 영국 외무장관에게 "러시아와 정책 충돌이 있을 때, 중국은 확실히 우리 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4] 그러나 윈스턴 처칠 영국 총리는 중국의 참가가 영국의 식민지 유지에 불리하게 작용할 것을 우려하여 반대했다.[4]

루스벨트의 '4명의 경찰관' 구상은 일부 자유주의 국제주의자들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했다. 그들은 4대 강국 중심의 체제가 새로운 형태의 '사국 동맹'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4]

3. '4명의 경찰관' 구상의 전개

프랭클린 D. 루스벨트는 1941년 8월 초 윈스턴 처칠과의 첫 만남에서 강대국들이 세계의 치안을 담당해야 한다는 생각을 처음으로 논의했다. 1942년 초, 루스벨트는 '4명의 경찰관'에 대한 제안을 공식적으로 언급했다. 그는 1942년 5월 29일 워싱턴을 방문한 소련 대사 뱌체슬라프 몰로토프에게 자신의 전후 계획을 설명했다. 루스벨트는 몰로토프에게 전쟁 후 세계 평화를 유지하고 적성국을 무장 해제하기 위해 미국, 영국, 소련, 중국의 4대 강국이 협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몰로토프가 다른 국가들의 역할에 대해 질문하자, 루스벨트는 너무 많은 경찰관은 내분을 야기할 수 있다고 답하면서도, 다른 연합국들의 참여 가능성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루스벨트와 몰로토프는 6월 1일 두 번째 만남에서도 '4명의 경찰관'에 대한 논의를 이어갔다. 몰로토프는 루스벨트에게 이오시프 스탈린이 '4명의 경찰관' 구상을 지지한다는 의사를 전달했다. 루스벨트는 전후 탈식민지화에 대한 논의도 제안하며, 옛 식민지들이 독립하기 전에 국제 신탁통치 하에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화민국은 '4명의 경찰관' 구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을 예정이었다. 루스벨트는 중국이 소련에 맞서 미국의 편에 설 것이라고 확신했기 때문에 중국을 강대국으로 인정하는 데 적극적이었다. 그는 영국 외무 장관 앤서니 이든에게 "러시아와 정책 충돌이 있을 때, 중국은 확실히 우리 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처칠은 아시아에서 영국의 식민지 지배에 대한 미국의 개입을 우려하여 중국을 '4명의 경찰관'에 포함시키는 것에 반대했다. 1942년 10월, 처칠은 이든에게 중화민국이 대영 제국을 해체하려는 미국의 시도에 동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든 역시 중국이 안정된 국가로 발전할 수 있을지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루스벨트는 이러한 비판에 대해 "중국은 일본의 치안을 담당하는 극동의 매우 유용한 강대국이 될 것"이라고 반박했다.

루스벨트의 '4명의 경찰관' 제안은 자유주의적 국제주의자들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했다. 그들은 유엔 회원국 간에 권력이 더 공평하게 분배되기를 원했으며, '4명의 경찰관'이 새로운 사국 동맹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3. 1. 연합국 회담과 '4명의 경찰관' 구상 논의

1943년 10월 30일 모스크바 선언(4대국 선언)을 통해,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국제 질서로서 '4명의 경찰관'을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국제 기구를 설립하는 것이 확인되었다.[12]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은 1941년 대서양 헌장 이후 전후 국제 기구 설립을 포함한 계획을 시작했으며,[13] 1942년 봄에는 소련의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외무 장관에게 미국, 영국, 그리고 아마 중국과 함께 소련이 군비를 갖춘 국가가 될 것이며, 다른 국가들은 비무장화될 것이라는 구상을 밝혔다.[13]

1943년 11월 테헤란 회담에서 루스벨트는 중화민국연합국의 주요 구성원으로 포함시킬 것을 강력히 주장했다.[14] 미국만이 중국을 지지하는 상황에서, 영국은 유럽에서의 미국의 약속을 고려하여 11월 27일에 중국을 강대국으로 대우하는 방침을 결정했다.[13] 소련은 1943년 10월 모스크바 외상 회의에서 모스크바 선언에 중국을 참여시키는 것에 반대했다.[13]

중국 사회과학원의 쯔중윈 전 미국 연구소장에 따르면, "중국은 어떤 기준에서도 3대국과 동등한 파트너가 아니었다. 사실 3대국에 의해 새로운 지위가 결정된 것이었다. 윈스턴 처칠 영국 총리와 이오시프 스탈린 소련 공산당 서기장 모두 중국을 이류 국가로 보고 대국 지위를 부여하는 것에 강하게 반대했다."[15] 그러나 루스벨트는 중국의 격상이 대일 전쟁에서 중국의 사기를 높이고, 전후 아시아에서 중국을 친미적인 강력한 존재로 만들어 소련의 패권이나 일본의 부활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계산했다. 또한 아시아 국가를 대국으로 대우하는 것은 전후 세계에서 서구 지배의 인상을 희석시키는 고려도 있었다. 처칠은 이러한 미국의 움직임을 비판했고, 스탈린은 중국의 전쟁 기여가 적음을 지적하며 더욱 강하게 반대했지만, 루스벨트는 소련에 대한 군사 원조 삭감까지 암시하며 반대를 억눌렀다.[14]

1943년 10월, 미영소 3개국 외상(코델 헐 미국 국무장관, 앤서니 이든 외무·영연방부 장관,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외무 장관)의 모스크바 외상 회의에서 스탈린은 처음으로 대일 참전 의사를 표명했다. 이를 바탕으로, 1943년 11월 22일부터 26일까지 열린 미영중 3개국 수뇌의 카이로 회담에서 루스벨트는 장제스 국민정부 주석에게 다롄을 자유항으로 양도할 것을 요청했고, 장제스는 소련이 중국과 협조하는 것을 조건으로 이에 동의했다. 1943년 11월 28일부터 12월 1일까지 열린 미영소 3개국 수뇌의 테헤란 회담에서 루스벨트는 스탈린에게 소련의 부동항으로서 다롄을 국제 자유항으로 하는 안을 제시했다. 이는 소련의 대일 참전에 대한 대가였지만, 중국을 희생하는 거래였다.[16]

미국은 유럽 및 아시아 전선에서 연합국의 승리를 위해 장제스가 이끄는 국민당군의 전선 이탈을 방지하고, 중일 전쟁에서 일본군중국 대륙에 묶어두는 방침을 추진했다. 그러나 중국은 1941년 12월 태평양 전쟁 발발로 전략적 중요성이 낮아져, 일본군을 묶어두는 수동적 역할밖에 기대할 수 없었고, 대일전에 기여하지 못했다.[17]

처칠과 루스벨트에게 국민 정부의 동향은 여전히 걱정거리였다. 소련이 소만 국경을 남하하는 시기가 사전에 국민 정부에 누설된다면, 국민당파와 옌안 공산당 사이의 균형이 무너지고, 국민 정부가 난징과의 관계 회복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었다.[18] 그렇게 된다면 일본의 지나 파견군과 남방 총군도 충칭 난징 합동 정권 하에 결집하여, 동남아시아 전체의 정세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었다.[19]

3. 2. 중국의 역할과 미국의 지원

1943년 프랭클린 루스벨트의 유엔 원래 3개 부서 스케치. 오른쪽 부서는 4명의 경찰관을 나타냅니다.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은 중화민국소련에 대항하여 미국의 편에 설 것이라고 확신했기 때문에 중국을 강대국으로 인정하는 것을 지지했다.[4] 그는 영국 외무 장관 앤서니 이든에게 "러시아와의 심각한 정책 갈등에서 [중국]은 의심할 여지 없이 우리 편에 설 것"이라고 말했다. 루스벨트는 중국 공산당이 중국 내전에서 승리하기 전이었기 때문에 공산주의 중국이 아닌 중화민국을 의미했다.[4] 그는 친미 중국이 미국, 소련, 중국이 전쟁 후 일본한국을 공동 점령하는 데 동의할 경우 미국에 유용할 것이라고 믿었다.[4]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소련 외무장관이 중국의 안정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자 루스벨트는 "우리 국가와 친구들의 총 인구가 10억 명이 넘는다"고 답했다.[4]

루스벨트는 또한 중국이 (추축국 일원이었기 때문에 일본은 포함될 수 없었으므로) 경찰관 중 하나가 될 만큼 강력한 유일한 아시아 국가라고 믿었고, 이는 인종적 경계선을 따라 새로운 세계 질서에 대한 그의 비전을 나누는 것을 피하는 데 필요했다.[5][6]

윈스턴 처칠 영국 총리는 미국이 아시아에서 영국의 식민지 재산을 훼손하려 한다고 두려워하여 루스벨트의 중국을 빅 4에 포함시키는 것에 반대했다. 1942년 10월, 처칠은 이든에게 중화민국은 "영국 해외 제국을 청산하려는 시도에서 미국의 편에 서는 게이 투표"를 대표한다고 말했다.[4] 이든은 처칠과 이 견해를 공유했고, 당시 중국 내전 중에 있던 중국이 안정된 국가로 돌아갈 수 있을지에 대한 회의적인 입장을 표명했다. 루스벨트는 처칠의 비판에 대해 이든에게 "중국은 일본을 감시하는 데 도움이 될 극동 지역에서 매우 유용한 세력이 될 수 있다"고 말하며, 중국에 더 많은 지원을 제공하는 것을 전적으로 지지한다고 말했다.[4]

1943년 11월 테헤란 회담에서 루스벨트는 중화민국을 연합국의 주요 멤버로 끌어올릴 것을 주장했다.[14] 미국만 지원하는 중국에 대해, 영국은 유럽에서의 미국의 약속을 감안하여 11월 27일에 이르러 전시 내각은 중국을 대국으로 대우하는 방침을 결정했다.[13] 소련은 1943년 10월의 모스크바 외상 회의 단계에서도 모스크바 선언에 중국을 참여시키는 것에 반대했다.[13] 중국 사회과학원의 쯔중윈 전 미국 연구소장에 따르면 "중국은 어떤 기준에서도 3대국과 동등한 파트너가 아니었다. 사실 3대국에 의해 새로운 지위가 결정된 것이었다. 처음에는 영국의 윈스턴 처칠 영국 총리도 소련의 이오시프 스탈린 소련 공산당 서기장도 중국을 이류 국가로 보고 대국의 지위를 부여하는 것에 강하게 반대했다"[15]

루스벨트는 중국의 격상이 대일 전쟁에서 중국의 사기를 높일 뿐만 아니라, 전후 아시아에서 중국을 친미적인 강력한 존재로 만들어 소련의 패권이나 일본의 부활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계산했다. 또한 아시아 국가를 대국으로 대우하는 것은 전후 세계에서 서구 지배의 인상을 희석시키는 고려도 있었다. 그러나 처칠은 미국의 이 움직임을 "중국의 진정한 중요성을 엄청나게 확대하는 이상한 격상"이라고 비판했다. 스탈린도 중국의 전쟁 기여의 적음을 지적하며 더욱 강하게 반대했다. 하지만 루스벨트는 소련에 대한 군사 원조의 삭감까지 암시하며 반대를 억눌렀다.[14]

미국은 유럽 및 아시아 전선에서 연합국의 승리를 위해, 장제스가 이끄는 국민당군의 전선 이탈을 방지하고, 중일 전쟁에서 100만 명의 일본군 지나 파견군중국 대륙에 묶어두는 방침을 추진했다. 그러나 중국은 1941년 12월 태평양 전쟁 발발로 인해 전략적 중요성이 저하되어, 일본군을 묶어두는 수동적 역할밖에 기대할 수 없었고, 대일전에 기여하지 못했다.[17]

루스벨트는 중국이 일본과의 휴전 협정·단독 강화로 연합국 전선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5억달러의 차관 지급, 불평등 조약 철폐, 중국인 이민 금지 해제, 모스크바 선언과 카이로 회담으로 상징되는 대국화 정책을 펼치고, 타이완 반환을 거래 조건으로 고무했다.[22]

3. 3. 프랑스의 지위 문제

초기 '4명의 경찰관' 구상에서 프랑스는 제외되었다. 비시 프랑스 정권이 존재했고, 미국은 샤를 드 골을 강하게 불신했기 때문이다.[24] 미국은 프랑스를 강대국으로 대우할 의사가 없었으며, 전후에도 강대국 지위를 인정하지 않는 정책을 유지했다.[25] 1941년 12월 생피에르 미클롱 점령 사건은 이러한 불신을 더욱 강화시켰다.[25]

1943년 3월 27일, 루즈벨트 미국 대통령은 앤서니 이든 영국 외무장관과의 회담에서 미국, 영국, 소련, 중국이 전후 국제기구의 실질적인 결정을 수행하고 세계 치안 유지를 책임져야 한다고 언급했다.[24] 테헤란 회담(1943년)에서 이오시프 스탈린 소련 공산당 서기장은 프랑스에 대한 불신을 드러내며 프랑스로부터 제국을 빼앗아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루즈벨트의 생각이기도 했다.[24]

그러나 윈스턴 처칠 영국 총리는 유럽의 안정을 위해 강한 프랑스가 필요하며, 프랑스의 모든 식민지를 국제 신탁통치로 이관하려는 루즈벨트의 계획에 반대했다.[24] 처칠은 드골과 프랑스를 일관되게 옹호했다. 결국 1944년 8월 21일부터 10월 9일까지 열린 덤바턴오크스 회담에서 4대 강대국과 함께 프랑스를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으로 하는 것이 합의되었다.[24]

4. 국제연합 창설과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체제



'4명의 경찰관' 구상은 1945년 샌프란시스코 회의에서 채택된 유엔 헌장을 통해 국제연합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상임이사국 체제로 구체화되었다.

1941년 8월,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은 윈스턴 처칠과의 첫 만남에서 강대국들이 세계 평화를 유지해야 한다는 생각을 밝혔다. 1942년 초, 루스벨트는 미국, 영국, 소련, 중화민국을 중심으로 하는 '4명의 경찰관' 구상을 제안했다. 그는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소련 외무장관에게 이 구상을 설명하며, 전쟁 후 이들 4개국이 협력하여 세계 질서를 유지하고 다른 국가들을 무장 해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몰로토프는 다른 국가들의 역할에 대해 질문했고, 루스벨트는 너무 많은 국가가 참여하면 분쟁이 발생할 수 있지만, 다른 연합국들의 참여 가능성은 열어두었다.

루스벨트는 중화민국소련에 맞서 미국의 편에 설 것이라고 확신하여 중화민국을 강대국으로 포함시키는 데 적극적이었다. 그는 앤서니 이든 영국 외무장관에게 "러시아와 정책 충돌이 있을 때, 중국은 확실히 우리 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윈스턴 처칠중화민국의 참여에 반대했다. 그는 중화민국대영 제국을 해체하려는 미국의 이익에 봉사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앤서니 이든 역시 중국 내전 중이었던 중화민국의 안정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그러나 루스벨트는 중화민국이 극동 지역에서 일본을 감시하는 데 유용할 것이라고 주장하며 중화민국의 참여를 관철시켰다.

1942년 새해, 연합국의 미국, 영국, 소련, 중화민국 대표들은 연합국 공동 선언에 서명했다.

1944년 4월, 미 국무부는 강대국 간의 협력을 강조하는 새로운 유엔 계획을 통과시켰다. 이에 따라 '4명의 경찰관' 국가들은 국제연합 안전보장이사회의 상임이사국이 되었고, 각 상임이사국은 거부권을 행사하여 자국의 이익에 반하는 유엔 결의안을 무효화할 수 있게 되었다.

4. 1. 덤바턴오크스 회담과 샌프란시스코 회의

덤버튼오크스 회담은 1944년 8월 미국, 영국, 소련, 중화민국 대표단이 참석하여 전후 국제연합에 대한 계획을 논의한 회담이다. 이 회담에서 국제연합 창설의 기본 원칙에 합의하고,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구성을 논의했다.

샌프란시스코 회의는 1945년에 개최되었으며, 이 회담에서 미국, 영국, 소련, 중화민국은 유일한 후원국으로 대표단의 단장들은 총회의 수장으로 인식되었다. 이 회담에서 이들 4개국과 그들의 동맹국은 유엔 헌장에 서명했다. 그 결과, 미국, 영국, 소련, 중화민국, 프랑스 5개국이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지위를 획득했다.[24]

4. 2.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의 권한과 역할

1943년 덤버튼오크스 회의에서 미국, 영국, 소련, 중화민국 대표단은 전후 국제연합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구성을 논의했다.[11]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은 국제 평화와 안전 유지에 대한 주요 책임을 지며, 거부권을 행사하여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정을 무효화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다.[11]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 질서 유지를 위해 미국, 영국, 소련, 중화민국 4개국을 중심으로 하는 '4명의 경찰관' 구상을 제안했다.[12] 이들 국가는 국제연합 안전보장이사회의 상임이사국이 되어 국제 평화와 안전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거부권을 통해 자국의 이익에 반하는 결정을 막을 수 있었다.[12]

루스벨트는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소련 외무장관과의 회담에서 "100개국이 넘는 서명국을 가진 또 다른 국제 연맹은... 실패할 것이다"라고 말하며, 강대국 중심의 국제 질서 필요성을 강조했다.[13] 그는 미국, 영국, 소련, 그리고 아마도 중국이 세계를 감시하고 침략국을 무장 해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3]

윈스턴 처칠 영국 총리는 중화민국의 참여에 반대했지만, 루스벨트는 중화민국이 소련에 맞서 미국의 편을 들 것이라고 확신하며 중화민국의 참여를 지지했다.[14] 처칠은 중화민국이 대영 제국을 청산하려는 미국의 편을 드는 '하수 투표인'을 대표할 것이라고 우려했다.[15] 그러나 루스벨트는 "중국은 일본의 치안을 담당하는 극동의 매우 유용한 강대국이 될 것이다"라고 주장하며 중화민국의 중요성을 강조했다.[15]

프랑스비시 프랑스 문제로 루스벨트의 초기 구상에서 제외되었으나, 처칠의 지속적인 옹호로 샤를 드 골 장군 아래의 프랑스가 상임이사국에 포함되었다.[24] 미국은 드골에 대한 불신으로 프랑스를 강대국으로 인정하지 않으려 했으나,[25] 결국 덤버튼오크스 회담에서 4대 강대국과 함께 프랑스를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으로 하는 데 합의했다.[24]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체제는 강대국 중심의 국제 질서를 반영하며, 국제연합의 의사 결정 과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5. 한국과 국제연합

한국은 1950년 6.25 전쟁 발발 당시 국제연합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에 따라 유엔군의 지원을 받았다. 이는 국제연합이 집단 안보 체제로서 처음으로 군사적 개입을 한 사례이다.

참조

[1] 논문 The United States and Russia in World War II: Part I https://www.jstor.or[...] Current History 1950
[2] 서적 FDR and the Creation of the U.N. https://books.google[...] Yale UP
[3] 서적 1946-47 Part 1: The United Nations. Section 1: Origin and Evolution.Chapter E: The Dumbarton Oaks Conversations https://www.unmultim[...] United Nations 2018-02-18
[4] 서적 Decisive Encounters: The Chinese Civil War, 1946–1950 https://archive.org/[...] Stanford University Press
[5] 서적 Roosevelt's lost alliances: how personal politics helped start the Cold War Princeton University Press
[6] 서적 At the president's pleasure: FDR’s leadership of wartime Sino-US relations Brill
[7] 논문 Arthur H. Vandenberg, Internationalism, and the United Nations https://www.jstor.or[...] Political Science Quarterly 1973
[8] 서적 Warren R. Austin at the U. N., 1946-1953 Kent State UP
[9] 논문 Franklin and Eleanor Roosevelt: Human Rights and the Creation of the United Nations OAH Magazine of History
[10] 논문 The contributions of Eleanor and Franklin Roosevelt to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protection for human rights Human Rights Quarterly
[11] 기타 1998
[12] 간행물 国連安保理事会「5大国制」の起源にかかわって http://www.ritsumei.[...] 立命館国際研究 2005-03
[13] 기타 2005-03
[14] 뉴스 【国連再考】(15)第2部(5)中国とフランス 大国の戦略で「勝者」扱い 古森義久 http://nippon.zaidan[...] 産経新聞 2003-09-12
[15] 뉴스 産経新聞 2003-09-12
[16] 문서 昭和天皇の終戦の聖断;連合国首脳会談から降伏調印式まで 鳥飼行博研究室
[17] 서적 連合国の太平洋戦争 アメリカはどのように日本を降伏させたか 文芸社
[18] 간행물 大東亜会議外交と東南アジア=欧米植民地の初期独立 http://www.niit.ac.j[...] 新潟工科大学研究紀要 2005-12
[19] 기타 2005-12
[20] 블로그 KNブログ 現代史についての雑文その4 絶対国防圏の崩壊
[21] 기타
[22] 웹사이트 台独聯盟台湾e広場/WUFI eopenforum 存亡の危機に瀕した台湾(上)米国は台湾に対する政策を転換すべきだ 2005年5月9日 アジア安保フォーラム幹事 宗像隆幸 http://www.wufi.org.[...]
[23] 웹사이트 書冊の山より|Web草思 第11回長谷川毅『暗闘』 http://web.soshisha.[...]
[24] 기타 2005-03
[25] 기타 2005-03
[26] 서적 Looking for the Sheriff New York Review of Books, July 16, 1998 2007-02-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