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BF 모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BF 모형은 리 군과 리 대수 위에 정의된 양자장론으로, 주접속 A와 (d-2)차 미분 형식 B 두 장으로 구성된다. 이 모형은 게이지 대칭을 가지며, 작용은 B와 A의 곡률 F의 곱의 적분으로 표현된다. 3차원 또는 4차원에서는 우주 상수 항을 추가할 수 있다. BF 모형은 양자화 과정을 거치며, 양-밀스 이론의 결합 상수가 0으로 가는 극한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초대칭을 추가하여 초대칭 BF 모형을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위튼형 위상 양자장론에 해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자장론 - 페르미-디랙 통계
    페르미-디랙 통계는 파울리 배타 원리를 따르는 페르미 입자의 통계적 분포를 설명하는 양자 통계로, 금속 내 전자 현상 등을 이해하는 데 기여하며 페르미 입자가 특정 에너지 준위를 점유할 확률을 나타낸다.
  • 양자장론 - 양자 색역학
    양자 색역학은 색 전하를 국소 대칭으로 정의한 SU(3) 게이지 군의 비아벨 게이지 이론으로, 쿼크와 글루온을 기본 입자로 하여 쿼크 사이의 강한 상호작용을 매개하며, 점근적 자유성과 색 가둠의 특징을 가지는 이론이다.
BF 모형
개요
유형위상 양자장론
관련 개념게이지 이론
코호몰로지
끈 이론
위상 부호수
상세 정보
설명디이크라프-위튼 모델 (로베르트 디이크라프, 에드워드 위튼)
슈바르츠 유형 위상 양자장론
관련 연구보손/페르미온 위상 양자 물질의 꼬임 통계 및 연결 고리 불변량 (2+1 및 3+1차원)
참고 문헌


2. 정의

BF 모형은 d차원 매끄러운 다양체 M 위에 정의된 양자장론의 한 종류이다. 이 모형은 리 군 G를 올(fiber)로 하는 주다발 PG리 대수 \mathfrak g 위의 비퇴화 쌍선형 형식 K(주로 킬링 형식의 스칼라배)를 기반으로 한다.

BF 모형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주요 장(field)으로 구성된다.



이 두 장은 모두 게이지 대칭을 가지며,[3] 특히 B미분 형식 전기역학의 퍼텐셜과 유사한 게이지 대칭성을 보인다. 모형의 기본적인 작용BA곡률 F의 쐐기곱을 적분하여 얻는다. 특정 차원(d=3,4)에서는 우주 상수 항을 추가할 수도 있다.[5]

2. 1. 기본 요소

Md차원의 매끄러운 다양체이고, 그 위에 리 군 G를 올(fiber)로 가지는 주다발 P\twoheadrightarrow M이 주어졌다고 하자. 또한, G리 대수 \mathfrak g 위에는 비퇴화 쌍선형 형식 K\colon\mathfrak g\times\mathfrak g\to\mathbb R이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이 형식은 보통 킬링 형식에 상수를 곱한 형태로 사용된다.

'''BF 모형'''은 이러한 수학적 구조 위에서 정의되는 양자장론으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종류의 장(field)으로 구성된다.

  • A: P주접속이다. 이는 물리적으로 게이지 보손에 해당한다.
  • B: M 위에 정의된, \mathfrak g값을 갖는 (d-2)미분 형식이다. 즉, B\in\Omega^{d-2}(M;\mathfrak g)이다.


이 두 장은 모두 다음과 같은 게이지 대칭을 가진다.[3]

:A\mapsto A+\mathrm d\alpha + [A,\alpha]

:B\mapsto B+[B,\alpha] + \mathrm d\Lambda+[A,\Lambda]

여기서 \alpha\mathfrak g값을 갖는 1차 미분 형식(\alpha\in\Omega^1(M;\mathfrak g))이고, \Lambda\mathfrak g값을 갖는 (d-3)차 미분 형식(\Lambda\in\Omega^{d-3}(M;\mathfrak g))이다. B의 게이지 변환은 미분 형식 전기역학에서 나타나는 퍼텐셜의 게이지 변환과 유사한 형태를 가진다.

BF 모형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S=\int_MK(B\wedge F)

여기서 F=d_AAA곡률(장세기)이다.

만약 d=3,4일 경우, 특별히 다음과 같은 “우주 상수” \lambda 항을 추가할 수 있다.[5]

:S=\int_MK(B\wedge F + \lambda B\wedge B)\qquad(d=4)

:S=\int_MK(B\wedge F + \lambda B\wedge B\wedge B)\qquad(d=3)

2. 2. 게이지 대칭

BF 모형의 두 장 AB는 모두 게이지 대칭을 가진다.[3]

  • 주접속 A의 게이지 변환은 다음과 같다.

:A\mapsto A+\mathrm d\alpha + [A,\alpha]

여기서 \alpha\in\Omega^1(M;\mathfrak g)는 리 대수 \mathfrak g에 값을 갖는 1차 미분 형식이다.

  • (d-2)차 미분 형식 B의 게이지 변환은 다음과 같다.

:B\mapsto B+[B,\alpha] + \mathrm d\Lambda+[A,\Lambda]

여기서 \alpha는 위와 같고, \Lambda\in\Omega^{d-3}(M;\mathfrak g)는 리 대수 \mathfrak g에 값을 갖는 (d-3)차 미분 형식이다. 이 변환에서 볼 수 있듯이, B미분 형식 전기역학에서 나타나는 퍼텐셜과 유사한 형태의 게이지 대칭성을 보인다.

2. 3. 작용

BF 모형의 작용 S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S=\int_MK(B\wedge F)

여기서 F=d_AA는 주접속 A곡률(장세기)이고, K는 리 대수 \mathfrak g 위의 비퇴화 쌍선형 형식이다. 즉, 작용은 B 필드와 A 필드의 곡률 F의 쐐기곱을 적분한 값이다.

시공간의 차원 d가 3 또는 4인 특별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우주 상수 \lambda 항을 추가할 수 있다.[5]

  • 4차원 (d=4) 작용:

::S=\int_MK(B\wedge F + \lambda B\wedge B)

  • 3차원 (d=3) 작용:

::S=\int_MK(B\wedge F + \lambda B\wedge B\wedge B)

3. 성질

BF 모형은 위상 양자장론의 한 종류로, 시공간의 계량과 무관한 물리적 성질을 연구하는 데 사용된다. 이 모형의 기본적인 성질은 장방정식을 통해 이해할 수 있으며, 고전적인 해는 평탄 주접속과 관련된 조건을 만족시킨다. BF 모형은 양자화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이론의 힐베르트 공간 구조가 밝혀진다. 또한, 특정 조건 하에서는 잘 알려진 양-밀스 이론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초대칭을 도입하여 이론을 확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3. 1. 장방정식

우주 상수 항이 없을 때, BF 작용의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F=0
  • d_AB=0

이 방정식에 따르면, 고전적으로 A평탄 주접속이고, B는 닫힌 미분 형식이다.

우주 상수 항을 추가하면, 4차원(d=4)에서의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변한다.

:F+2\lambda B = 0

:d_AB = 0

3. 2. 양자화

편의상 시공간을 다음과 같이 분해하여 생각한다.

:M=\mathbb R\times\Sigma

여기서 \Sigmad-1 차원의 공간이다. 이 경우, 시공간 M은 공간 \Sigma호모토피 동치 관계에 있다. 따라서 실제로는 \Sigma 위에 G-주다발 P\twoheadrightarrow\Sigma이 주어졌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 설정을 바탕으로 BF 모형의 양자화를 고려한다. 이때 위상 공간 \mathcal M_\Sigma는 다음과 같다.

:\mathcal M_\Sigma = \mathrm T^*\mathcal A^{\text{flat}}_\Sigma

여기서 \mathcal A^{\text{flat}}_\Sigma는 주다발 P\twoheadrightarrow\Sigma평탄 주접속들의 공간이다.

BF 모형에서 주접속 A_\mu^a에 대응하는 일반화 운동량BB^a_{\mu_1\dotsb\mu_{d-2}}이다. 둘 사이의 정준 교환 관계는 다음과 같다.

:\{

B^a_{\mu_1\dotso\mu_{d-2}}(x),A_{b\mu_{d-1}}(y)

\} = \delta^a_b \operatorname{vol}^\Sigma_{\mu_1\dotso\mu_{d-1}} \delta(x,y)

여기서 \operatorname{vol}^\Sigma_{\mu_1\dotso\mu_{d-1}}\Sigma부피 형식이다.

따라서 이 모형의 힐베르트 공간은 평탄 주접속 공간 위의 제곱 적분 가능한 함수 공간이다.

:\mathcal H=\operatorname L^2(\mathcal A^{\text{flat}}_\Sigma)

천-사이먼스 이론과 비교하면 중요한 차이가 있다. 3차원 천-사이먼스 이론에서는 공간 \Sigma리만 곡면 구조를 가지므로, 평탄 주접속 공간 \mathcal A^{\text{flat}}_\Sigma켈러 다양체 구조를 가진다. 천-사이먼스 이론에서 \mathcal A^{\text{flat}}_\Sigma는 그 자체가 위상 공간이며, 접속 A는 스스로의 일반화 운동량이 된다. 그러나 BF 이론에서 \mathcal A^{\text{flat}}_\Sigma는 위상 공간이 아니라 배위 공간(configuration space)이다.

3. 3. 양-밀스 이론과의 관계

BF 모형은 특정 조건 하에서 양-밀스 이론과 동일하게 간주될 수 있다.[6] 양-밀스 이론의 작용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S_\text{YM}=\int_M\frac1{g^2}K(F\wedge*F)

여기서 M은 다양체, F는 게이지 장의 곡률 형식, g^2결합 상수, *호지 쌍대 연산자, K리 대수 위의 불변 다항식(예: 킬링 형식)을 나타낸다.

이 이론에 보조장 B (리 대수 값을 가지는 2-형식)를 도입하면, 양-밀스 이론의 작용을 다음과 같이 동등하게 표현할 수 있다.

:S_\text{YM}'=\int_M(K(B\wedge F)+\frac12g^2K(B\wedge*B))

이 식에서 운동 방정식 \delta S_\text{YM}'/\delta B = 0을 풀면 F = -g^2 *B (또는 B = -g^{-2} *F)를 얻고, 이를 다시 작용에 대입하면 원래의 양-밀스 작용 S_\text{YM}을 복원할 수 있다.

이제, 결합 상수 g^2가 0으로 가는 극한(g^2\to0)을 생각해보자.

:\lim_{g^2\to0}S_\text{YM}'=\int_MK(B\wedge F)=S_{BF}

이 극한에서 양-밀스 작용은 BF 모형의 작용 S_{BF}와 같아진다. 따라서 BF 모형은 결합 상수가 0인 양-밀스 이론으로 볼 수 있다.

기하학적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호지 쌍대 * 대신 부피 형식 \omega와 내적 \langle \cdot, \cdot \rangle을 사용하여 작용을 다시 표현할 수 있다. 내적은 \langle X,Y\rangle\omega=K(X\wedge*Y) 관계를 만족한다. 이를 이용하면 수정된 양-밀스 작용은 다음과 같다.

:S_\text{YM}'=\int_M(K(B\wedge F)+\frac12g^2\omega\langle B,B\rangle)

이 식의 두 번째 항은 \omega'=g^2\omega라는 새로운 부피 형식에 의존한다. 이 \omega'를 이용해 다양체 M의 "부피"를 \operatorname{vol}(M)=\int_M\omega'=\int_Mg^2\omega로 정의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BF 모형은 g^2 \to 0 극한에 해당하므로, \omega'로 측정한 부피가 0으로 가는 극한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는 부피가 0인 다양체 위의 양-밀스 이론으로 생각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3. 4. 초대칭 BF 모형

BF 모형에 초대칭을 추가하여 '''초대칭 BF 모형'''(supersymmetric BF model영어)을 정의할 수 있다. 이는 더 이상 시바르츠형 위상 양자장론이 아니며, 대신 위튼형 위상 양자장론이다. 이 경우, 장들은 다음과 같다. 모든 장은 G딸림표현을 따른다.

  • 게이지 초장 (A,\psi): 여기서 A는 U(1) 게이지 보손이며, \psi는 벡터 페르미온이다. 이 경우 QA=\psi이다.
  • 라그랑주 승수 초장 (\chi,B): 여기서 B(d-2)차 미분 형식인 보손이며, \chi 역시 (d-2)차 미분 형식인 페르미온이다. 이 경우 Q\chi=B이다.
  • 유령 초장 (\bar\phi,\eta): Q\bar\phi=\eta이며 Q\eta=[\bar\phi,\phi]이다.


이에 따라, 작용은 다음과 같다.[7]

:S=Q\int(\chi F+\bar\phi d*\psi)=\int \left(BF+(-1)^d\chi d\psi+\eta d*\psi+\bar\phi[\psi,*\psi]-\bar\phi d*d\phi\right)

초대칭이 없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 경우 이론은 M 위의 G-평탄 주접속들의 모듈라이 공간의 특성을 계산한다.

만약 시공간이 3차원일 경우 (d=3), 이 이론은 추가로 \mathcal N_T=2 위상 초대칭을 갖는다.[7][8] 즉, 두 개의 스칼라 초전하(BRST 연산자)를 가지며, 이 둘을 섞는 SU(2) R대칭이 존재하며, 이 아래 (\chi,\psi)는 SU(2)의 2차원 기본 표현을 따른다. 이 이론은 3차원 \mathcal N=4 게이지 이론의 A-뒤틂과 같으며, 이는 도널드슨 이론을 3차원으로 축소화한 것과 같다.[7]

참조

[1] 논문 Topological Gauge Theories and Group Cohomology http://projecteuclid[...] 1990
[2] 논문 Braiding Statistics and Link Invariants of Bosonic/Fermionic Topological Quantum Matter in 2+1 and 3+1 dimensions 2017-09
[3]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supersymmetry and noncommutative structures in mathematics and physics https://archive.org/[...] Springer-Verlag 2004
[4] 저널 Schwarz type topological quantum field theories https://archive.org/[...] 2005
[5] 저널 4-dimensional ''BF'' theory with cosmological term as a topological quantum field theory https://archive.org/[...] 1996
[6] 저널 Lectures on 2d gauge theories: topological aspects and path integral techniques 1993
[7] 저널 Aspects of ''NT'' ≥ 2 topological gauge theories and D-branes
[8] 저널 Topological field theory 199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