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경남 창원방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BC경남 창원방송은 1969년 2월 1일 KBC경남방송으로 개국하여, 1971년 마산문화방송, 2011년 MBC경남으로 변경되었다. 1972년 TV방송을 시작했으며, 1980년 컬러 텔레비전 방송을 실시했다. 2011년 진주문화방송과 합병하여 MBC경남이 출범하였다. 현재 TV와 라디오 방송을 운영하며, 중부경남과 부산 일부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창원시 - 창원극동방송
창원극동방송은 1995년 개국하여 창원시와 인근 지역에 FM 98.1MHz와 FM 92.5MHz로 기독교 복음을 전하고 지역 사회를 위한 사회 공헌 활동을 하는 방송국이다. - 창원시 - 경남교통방송
경남교통방송은 경상남도 지역의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방송으로, 창원, 진주, 거창에서 FM 주파수로 방송되며,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출발! 경남대행진 등이 있고, 2013년에 개국하여 스마트폰 앱이나 TBN 한국교통방송 홈페이지를 통해 청취할 수 있다. - 대한민국의 경상남도 지상파 방송국 - 부산문화방송
부산문화방송은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동부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방송국으로, 1959년 한국문화방송 부산방송국으로 개국하여 TV 방송을 개국했으며, 언론 통폐합을 거쳐 현재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본사를 두고 있다. - 대한민국의 경상남도 지상파 방송국 - KNN
KNN은 1995년에 개국하여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된, 부산과 경상남도를 방송 권역으로 하는 지상파 민영방송이며, TV 방송과 KNN 파워FM, KNN 러브FM 라디오 채널을 운영하며,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었고, KNN타워를 신사옥으로 사용하며 지역밀착형 뉴스와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 대한민국의 부산광역시 지상파 방송국 - 부산문화방송
부산문화방송은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동부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방송국으로, 1959년 한국문화방송 부산방송국으로 개국하여 TV 방송을 개국했으며, 언론 통폐합을 거쳐 현재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본사를 두고 있다. - 대한민국의 부산광역시 지상파 방송국 - KNN
KNN은 1995년에 개국하여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된, 부산과 경상남도를 방송 권역으로 하는 지상파 민영방송이며, TV 방송과 KNN 파워FM, KNN 러브FM 라디오 채널을 운영하며,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었고, KNN타워를 신사옥으로 사용하며 지역밀착형 뉴스와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MBC경남 창원방송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한국명 | MBC경남 창원방송 |
한자 | MBC慶南 昌原放送 |
영문명 | MBC Gyeongnam Changwon Broadcadting |
약칭 | MBC경남 창원 |
구분 | 공영 방송 |
방송 영역 | 지상파 방송 |
창립일 | 1968년 8월 13일 |
개국일 | 라디오 (1969년 2월 1일) |
본사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양덕서9길 11-11 (양덕2동) |
사장 | 이우환 |
모기업 | MBC경남 |
웹사이트 | MBC경남 |
2. 연혁
1968년 6월 17일 체신부로부터 호출부호 HLAP, 출력 10㎾의 민간방송 가허가를 받았으며, 8월 13일 경남방송주식회사로 설립 등기되었다.[2] 1969년 1월 15일 첫 시험전파를 발사하고, MBC 네트웍 협의체 참가 계약을 맺었으며, 1월 29일 체신부로부터 방송국 정식허가를 취득했다.[2] 2월 1일, 출력 10㎾, 주파수 중파 990㎑, 호출부호 HLAP로 KBC경남방송이 개국하였다.[2] 7월 15일 초대 이사 사장으로 박두석이 취임하였다.[2]
1971년 9월 28일 마산문화방송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하고 호출부호를 KBC에서 MBC로 변경했다.[2] 1972년 6월 30일 경남텔레비전방송주식회사 설립 등기(초대 사장 박득옥)를 하고, 8월 30일 무선국(텔레비전 방송국) 변경 허가를 받았다.[2] 9월 20일 경남문화TV 시험방송을 시작했고,[2] 9월 30일 마산문화텔레비전방송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 등기했다.[2] 10월 5일 무선국(텔레비전방송국) 허가를 받고 경남문화TV가 문화방송의 7번째 제휴 방송국으로 창원시 불모산에서 호출부호 HLSO, 영상 출력 2.5㎾, 음성 출력 5㎾, VHF 13번으로 개국하였다.[3]
1980년 12월 22일 컬러 텔레비전 방송을 실시하였다.[1] 1983년 3월 2일 마산문화방송주식회사와 마산문화TV방송주식회사를 합병하여 '''마산문화방송(주)'''으로 변경하였다.[1] 11월 26일 음악FM 방송(현 FM4U, 출력 1kW, FM 100.5㎒)을 개국하여 당시 오전 6시부터 한밤까지 하루 18시간 동안 방송하였으며, 동시에 TV방송 출력을 5kW로 증강하였다.[1]
1996년 7월 1일 사옥을 마산합포구 서성동에서 마산회원구 양덕동으로 이전하였다.[2] 9월 10일 마산회원구 양덕동 신사옥 준공 기념식을 열었다.[3] 1999년 11월 30일 표준FM 방송을 개국하였다.(출력 3kW, FM 98.9㎒)[4]
2005년 6월 30일 디지털TV방송을 개국하였다. (물리채널 26, 가상채널 11-1, 출력 2.5kW)
2010년 7월 1일 통합 창원시 출범에 따라 마산문화방송주식회사에서 창원문화방송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하였다.[1] 2011년 8월 8일 방송통신위원회는 진주문화방송과의 합병을 승인하였으며,[2] 9월 1일 진주문화방송과 합병하여 MBC경남이 공식 출범하였으며, 창원문화방송은 창원방송으로 변경되었다.[3]
2012년 10월 4일 지상파 아날로그 TV 방송이 종료되었다.[4] 2013년 7월 17일 지상파 디지털TV방송 주파수 재배치가 완료되었고,[5] 12월 13일 표준FM 내서 중계소(주파수 96.7MHz)가 개국하였다.[6]
2021년 6월, AM 송신소를 마산합포구 가포동에서 의창구 북면 외산리로 이전하였다. 2022년 3월, 본사 기능을 진주에서 창원으로 이전하였다. 2022년 11월 8일 AM 라디오 운용을 일시 중지하고(990kHz, 10kW), FM방송으로 전환하였다. 2023년 5월 8일 AM 라디오 송출을 종료하였다.(990kHz, 10kW)[4]
2. 1. 1960년대
1968년 6월 17일 체신부로부터 호출부호 HLAP, 출력 10㎾의 민간방송 가허가를 받았다. 1968년 8월 13일 경남방송주식회사로 설립 등기되었다. 1969년 1월 15일 첫 시험전파를 발사하고, MBC 네트웍 협의체 참가 계약을 맺었다. 1969년 1월 29일 체신부로부터 방송국 정식허가를 취득했다. 1969년 2월 1일, 출력 10㎾, 주파수 중파 990㎑, 호출부호 HLAP로 KBC경남방송이 개국하였다. 1969년 7월 15일 초대 이사 사장으로 박두석이 취임하였다.[2]2. 2. 1970년대
1971년 9월 28일, 마산문화방송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하고 호출부호를 KBC에서 MBC로 변경했다.[2] 1972년 6월 30일 경남텔레비전방송주식회사 설립 등기(초대 사장 박득옥)를 하고, 8월 30일 무선국(텔레비전 방송국) 변경 허가를 받았다.[2] 9월 20일 경남문화TV 시험방송을 시작했고,[2] 9월 30일 마산문화텔레비전방송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 등기했다.[2] 10월 5일, 무선국(텔레비전방송국) 허가를 받고 경남문화TV가 문화방송의 7번째 제휴 방송국으로 창원시 불모산에서 호출부호 HLSO, 영상 출력 2.5㎾, 음성 출력 5㎾, VHF 13번으로 개국하였다.[3]1973년 10월 24일 UHF, STL 기술을 도입해 설치했고, 1974년 2월 1일 10㎾ 예비 송신기를 설치했다.[2] 1977년 1월 10일 이동 중계차 설치 및 허가를 취득했고, 2월 1일 개국 10주년을 맞았다.[2] 11월 12일 제2대 김종신 사장과 제3대 신한일 사장이 취임했다.[2] 1979년 9월 22일 일본 KRY 야마구치방송과 자매 결연을 맺었다.[2]
2. 3. 1980년대
1980년 12월 22일 컬러 텔레비전 방송을 실시하였다.[1]1983년 3월 2일 마산문화방송주식회사와 마산문화TV방송주식회사를 합병하여 '''마산문화방송(주)'''으로 변경하였다.[1]
1983년 11월 26일 음악FM 방송(현 FM4U, 출력 1kW, FM 100.5㎒)을 개국하여 당시 오전 6시부터 한밤까지 하루 18시간 동안 방송하였으며, 동시에 TV방송 출력을 5kW로 증강하였다.[1]
1987년 7월 25일 거제 중계소를 설치 완료하였다.[1]
2. 4. 1990년대
1995년 4월 18일 : 중국 산둥전시대와 자매 결연을 맺었다.[1]1996년 7월 1일 : 사옥을 마산시 서성동에서 양덕동으로 이전하였다.[2]
1996년 9월 10일 : 마산합포구 서성동에서 마산회원구 양덕동으로 신사옥 준공 기념식을 열었다.[3]
1999년 11월 30일 : 표준FM 방송을 개국하였다.(출력 3kW, FM 98.9㎒)[4]
2. 5. 2000년대
2005년 6월 30일 디지털TV방송을 개국하였다. (물리채널 26, 가상채널 11-1, 출력 2.5kW)2007년 8월 지역방송 최초로 E 스포츠 경기(경남 - STX 마스터즈)를 중계하였다.
2. 6. 2010년대
2010년 7월 1일, 통합 창원시 출범에 따라 마산문화방송주식회사에서 창원문화방송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하였다.[1] 2011년 8월 8일, 방송통신위원회는 진주문화방송과의 합병을 승인하였다.[2] 이에 따라 2011년 9월 1일, 진주문화방송과 합병하여 MBC경남이 공식 출범하였으며, 창원문화방송은 창원방송으로, 진주문화방송은 진주방송으로 변경되었다.[3]2012년 10월 4일, 지상파 아날로그 TV 방송이 종료되었다.[4] 2013년 7월 17일에는 지상파 디지털TV방송 주파수 재배치가 완료되었고,[5] 12월 13일에는 표준FM 내서 중계소(주파수 96.7MHz)가 개국하였다.[6] 2017년에는 부지 재개발로 인해 가포동 AM 송신소 송출이 일시 중단되었다.
2. 7. 2020년대
- 2021년 6월: AM 송신소를 마산합포구 가포동에서 의창구 북면 외산리로 이전하였다.
- 2022년 3월: 본사 기능을 진주에서 창원으로 이전하였다.
- 2022년 11월 8일: AM 라디오 운용을 일시 중지하고(990kHz, 10kW), FM방송으로 전환하였다.
- 2023년 5월 1일: 뉴스파다 TV, 라디오, 유튜브 동시 방송을 시작하였다.
- 2023년 5월 8일: AM 라디오 송출을 종료하였다.(990kHz, 10kW)[4]
3. TV 방송
1972년 10월 5일 경남문화TV가 개국하였고, 이후 2005년 6월 30일 디지털TV방송을 개국하였다. 중부경남과 부산 일부지역을 가시청권으로 방송하고 있다.
송신소 | 물리채널 | 출력 | 송신소 위치 |
---|---|---|---|
불모산 송신소 | CH 26 | 2.5kW | 경남 창원시 성산구 천선동 산213-8 |
내서 중계소 | CH 17 | 20W |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상곡리 산163 |
용등 중계소 | CH 35 | 5W | 경남 창원시 의창구 대산면 우암리 441 |
밀양 중계소 | CH 40 | 20W | 경남 밀양시 가곡동 산56-1 |
장승포 중계소 | CH 30 | 20W | 경남 거제시 아주동 산133-19 옥녀봉 |
거제 중계소 | CH 35 | 20W | 경남 거제시 거제면 서정리 산1-1 |
통영 중계소 | CH 46 | 20W | 경남 통영시 산양읍 남평리 산90 미륵산 |
율암 중계소 | CH 17 | 20W | 경남 김해시 |
상리 중계소 | CH 34 | 20W | 경남 고성군 상리면 무선리 산134 무이산 |
함안 중계소 | CH 39 | 90W | 경남 함안군 산인면 부봉리 산97-5 |
창녕 중계소 | CH 43 | 2W | 경남 창녕군 성산면 냉천리 |
어방산 중계소 | CH 40 | 20W | 경남 김해시 어방동 |
돗대산 중계소 | CH 45 | 20W | 경남 김해시 대동면 주동리 |
죽고리 소출력 | CH 45 | 0.05W | 경남 합천군 적중면 죽고리 |
삼가 중계소 | CH 20 | 5W | 경남 합천군 삼가면 일부리 산57 백학산 |
3. 1. 프로그램 (TV)
(현재 섹션에는 하위 섹션에서 다루는 내용 외에 추가적인 내용이 없으므로, 별도로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3. 1. 1. 보도
- MBC 뉴스투데이 경남 (월~금 아침 7:20 ~ 7:50) - 진행: 백근곤
- 930 MBC 뉴스 경남 (월~금 오전 9:35 ~ 9:45) - 진행: 이다슬
- MBC 5시 뉴스와 경제 경남 (월~금 오후 5:00 ~ 5:10) - 진행: 남두용
- MBC 뉴스데스크 경남 (월~금 저녁 8:25 ~ 8:45, 일 저녁 8:20 ~ 8:30) - 진행: 백율희 (평일), 무작위 (일)
3. 1. 2. 시사 / 교양
- 뉴스파다 (라디오, 유튜브 동시방송)
- 넘어서다
- 포커스 경남
- 전국시대
- 다큐에세이, 여기 이 사람 (여수MBC)
- 테마여행 길 (지역MBC 공동제작)
3. 1. 3. 예능 / 오락
- MBC 가요베스트
- 오 마이 싱어(여수MBC)
3. 2. 방송 송출 시설망 (TV)
호출부호한국어: HLAP-DTV가상채널한국어: 11-1
4. 라디오 방송
1969년 2월 1일에 개국하였다.[6] MBC경남 창원방송은 AM라디오 1채널과 FM라디오 2채널을 운영하며, 중부경남과 부산광역시 일부를 가청권역으로 방송하고 있다. 2023년에 AM 라디오 송출은 종료되었다.
4. 1. 프로그램 (라디오)
MBC경남 창원방송은 AM영어 라디오 채널로 표준FM과 FM4U 두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표준FM은 뉴스와 시사, 교양 프로그램을 주로 방송하며, FM4U는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한다.4. 1. 1. MBC경남 창원 표준FM
프로그램명 | 요일 | 진행자 | 시간 |
---|---|---|---|
[https://mbcgn.kr/programme/good_morning 좋은 아침] | 월~금 | 백근곤 | 30분 |
MBC 정오종합뉴스 | 이다슬 | 5분 | |
[https://mbcgn.kr/programme/happy_2pm 즐거운 오후2시] | 이다슬 | 55분 | |
[https://mbcgn.kr/programme/radionews/p/BJnx9 MBC 15시 뉴스] | 백율희 | 5분 | |
[https://mbcgn.kr/programme/radionews/p/BJnx9 MBC 17시 뉴스] | 매일 | 이다슬 (일요일 무작위) | 5분 |
MBC 뉴스네트워크 | 월~목 | 서준석 | 10분 |
뉴스파다 | 월~금 | 윤동현 | 50분 |
당신의 저녁 | 남두용 | ||
MBC경남 프로야구 | 금~일 | 오수빈 최준석, 최금강 |
4. 1. 2. MBC경남 창원 FM4U
프로그램명 | 요일 | 시간 | 진행자 |
---|---|---|---|
https://mbcgn.kr/programme/rDIUZTHZmorning_marchp4 FM아침의 행진 | 평일 | 120분 | 김재영 |
https://mbcgn.kr/programme/noon 정오의 희망곡 | 평일 | 120분 | 조복현 |
4. 2. 방송 송출 시설망 (라디오)
MBC경남 창원 표준FM | |||||
---|---|---|---|---|---|
송신소 | 주파수 | 출력 | 호출부호 | 송신소 위치 | 방송구역&비고 |
불모산 송신소 | FM 98.9㎒ | 3㎾ | HLAP-SFM | 경남 창원시 성산구 천선동 산213-8 | 창원시 일원, 거창군·함양군·산청군·창녕군·합천군·의령군·고성군·거제시·김해시·밀양시·양산시·통영시·함안군·진주시·사천시·남해군·하동군·부산광역시 일부 |
내서 중계소 | FM 96.7㎒ | - |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상곡리 산163 |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일원 | |
MBC경남 창원 FM4U | |||||
송신소 | 주파수 | 출력 | 호출부호 | 송신소 위치 | 방송구역&비고 |
불모산 송신소 | FM 100.5㎒ | 1㎾ | HLAP-FM | 경남 창원시 성산구 천선동 산213-8 | 창원시 일원, 거창군·함양군·산청군·창녕군·합천군·의령군·고성군·거제시·김해시·밀양시·양산시·통영시·함안군·진주시·사천시·남해군·하동군·부산광역시 일부 |
4. 3. 라디오 시보 멘트
FM 98.9 MHz MBC경남 창원 제1FM방송입니다. HLAP-SFMFM 100.5 MHz MBC경남 창원 제2FM방송입니다. HLAP-FM
5. 지상파DMB방송
부산문화방송, 울산문화방송과 공동으로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전 지역을 방송권역으로 하는 지상파DMB 사업자로서 운영·방송 중이다.
6. 연중 캠페인 ,방송지표
연도 | 캠페인 및 방송지표 |
---|---|
1985년 ~ 1988년 | 경남! 함께방송 사랑 경상남도청 새출발 대한민국 좋은!방송 |
1987년 ~ 1989년 | 경남사랑! 21세기 꿈나라! 좋은 방송 |
1990년 ~ 1992년 | 경남사랑! 좋은 사랑! 미래!인간 |
1993년 ~ 1995년 | 좋은 나라! 마산! 사랑 함께 방송! |
1996년 | 경남!마산 21세기 MBC 인간 경남 중심! 문화방송 |
1997년 ~ 1999년 | MBC경남 연중캠페인 : 경남사랑 ! 나라사랑 대한민국 ! 방송! |
2000년 | 경남 사랑! 아자! 함께 대한민국! |
2001년 | 2002 경남! 사랑 나라 사랑 우리 가족 함께! |
2002년 | 경남사랑 마산MBC가 앞장서겠습니다. |
2003년 | 코리아KOREA! KOREA 경남 마산을 사랑 함께! 방송! |
2004년 | 재해없는 경남 함께 만듭시다. |
2005년 | 아자 아자 경남 |
2006년 | 경남을 환경수도로 |
2007년 | 힘내라 우리경남 |
2008년 | 행복한 미래 시작은 마산MBC |
2009년 | 40년 사랑 100년 감동으로 |
2010년 | 함께하면 행복합니다 |
2011년 | 경남의 미래 함께 열어갑니다. |
2012년 | 당신이 꿈꾸는 블럭버스터 슈퍼 로케이션 |
2013년 ~ 2019년 | 경남의 문화중심 |
2020년 | 2020 새로운 기준 |
2021년 | 새로운 세상 변화의 중심 |
2022년 | 좋은 친구 |
2023년 | 다시, 형평 |
2024년 | 지역에 진심 |
7. 뉴스를 만든 사람들
보도국 | 김상헌 |
---|---|
데스크 | 윤주화, 장영 |
취재1부(창원) | 이상훈, 신은정, 문철진, 김태석, 정영민, 부정석, 이재경, 서창우, 이선영, 이민영 |
영상부(창원) | 한연호 |
카메라 기자 | 김민성, 반상현, 강건구, 강숙희, 이상헌, 김장훈, 김태현, 장성욱, 안영규, 심기수, 박경종 |
8. 아나운서
이름 | 재직 기간 | 비고 |
---|---|---|
박인숙 | 1992년 ~ 2014년 | 현 MBC경남 전략사업국장 |
김형신 | 1996년 ~ 2022년 | 현 MBC경남 채널전략팀 부장 |
오정남 | 1996년 ~ 2015년 | 현 MBC경남 사업센터장 |
정은희 | 1997년 ~ 2015년 | 현 MBC경남 라디오아나운서 팀장 |
박정희 | 2003년 ~ 2012년 | 전 MBC경남 PD, 현 경영관리부 |
배수진 | 2006년 ~ 2013년 | 현 MBC경남 편성심의부 |
김진철 | 2000년 ~ 2020년 | 현 MBC경남 제작 PD |
서수진 | 2012년 ~ 2014년 | 전 KBS 경인방송센터 아나운서 |
이은지 | ||
이윤선 | ||
윤보리 | 2014년 ~ 2015년 | 전 kbc 광주방송 아나운서, 현 YTN 앵커 |
이은민 | ||
이다솔 | 2015년 ~ 2018년 | 현 CJ오쇼핑 쇼호스트 |
김지윤 | 2015년 ~ 2018년 | 전 MBC충북 아나운서, 현 롯데홈쇼핑 쇼호스트 |
김세희 | 2016년 ~ 2019년 | 현 CJB 청주방송 기자 |
김용석 | 2016년 ~ 2019년 | 현 원주MBC 아나운서 |
김혜민 | 2018년 ~ 2021년 | 현 KNN 아나운서 |
9. 기상캐스터
박보경
10. 기타 사항
2015년부터 문화방송, 부산문화방송, 대구문화방송, 대전문화방송, 전주문화방송, 목포문화방송, 울산문화방송, MBC경남, MBC강원영동과 함께 수퍼 로케이션을 제시하고 있다.
참조
[1]
문서
MBC경남 진주방송
[2]
뉴스
경남문화TV(마산시 서성동 83)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72-09-25
[3]
뉴스
경남문화TV 10월 5일 개국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72-09-22
[4]
웹인용
MBC경남(주)
https://mbcgn.kr/boa[...]
2022-11-08
[5]
웹인용
디지털TV 방송 수신 정보 시스템
https://web.archive.[...]
2017-01-03
[6]
문서
이전이 완료되는 2021년 6월 전까지는 AM방송 청취 불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