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MMR 백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MR 백신은 홍역, 유행성 이하선염(볼거리), 풍진 예방을 위한 혼합 백신이다. 이 백신은 개별 주사보다 면역을 유도하는 데 더 효율적이며, 전 세계적인 홍역 퇴치 노력에 기여한다. MMR 백신은 피하 주사로 투여하며, 자폐증과의 연관성에 대한 논란이 있었지만, 과학적으로는 증명되지 않았다. MMRV 백신은 MMR 백신에 수두 백신을 더한 것으로, 열성 경련 발생 가능성이 MMR 백신보다 높을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볼거리 - 볼거리 백신
    볼거리 백신은 20세기 중반 군인들에게 문제가 되었던 볼거리를 예방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1967년 멈프스박스라는 최초의 효과적인 백신이 개발된 후 MMR 백신에 포함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 볼거리 - 고환염
    고환염은 세균 감염이나 바이러스로 인해 고환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혈정액, 혈뇨, 심한 통증, 고환 부종 등의 증상을 보이며, 혈액, 소변, 초음파 검사 등으로 진단하고 원인에 따라 항생제나 통증 완화제로 치료한다.
  • 약독화 백신 - 인플루엔자 백신
    인플루엔자 백신은 A형 및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질병 예방을 위해 사용되는 능동 면역 백신으로, 1918년 스페인 독감 유행 이후 개발되기 시작하여 현재는 다양한 제조 방식의 3가 또는 4가 백신이 사용되고 있으며 매년 유행하는 균주에 맞춰 재구성되지만 효능은 변동될 수 있고 부작용 가능성이 존재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약독화 백신 - 홍역 백신
    홍역 백신은 1~2회 접종으로 높은 예방 효과를 나타내며 홍역 발생 감소, 질병 예방에 기여하고 MMR 백신 형태로 전 세계에서 널리 사용된다.
  • 백신 - 코로나19 백신
    코로나19 백신은 코로나19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다양한 기술 플랫폼을 기반으로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었으나, 백신 접근성 불평등, 허위 정보, 법적 책임 문제 등 논란과 변이 바이러스 출현으로 인한 효과 감소, 부작용 등의 문제도 존재한다.
  • 백신 - 종두
    종두는 천연두 예방 접종법으로, 중국의 인두법에서 시작하여 제너의 우두법으로 발전했으며, 한국에서는 정약용의 인두법 시행과 지석영의 우두법 도입을 거쳐 정부 차원에서 장려되었다.
MMR 백신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백신 정보
종류혼합 백신
구성 성분홍역 백신
볼거리 백신
풍진 백신
약물 분류백신
상품명
상품명M-M-R II, Priorix, Tresivac, Trimovax, 기타
Drugs.com홍역, 볼거리, 풍진 바이러스 백신
MedlinePlusa601176
DailyMed IDMeasles
규제 정보
임신 위험도 (호주)B2
임신 관련 참고Drugs.com 임신 정보
ATC 코드J07BD52
법적 지위 (호주)S4
법적 지위 (영국)POM (Prescription Only Medicine, 전문의약품)
법적 지위 (미국)Rx-only (전문의약품)
법적 지위 (유럽 연합)Rx-only (전문의약품)
법적 지위 (유럽 연합) 참고M-M-RVaxPro EPAR
법적 지위전문의약품
식별 정보
CAS 등록번호1704518-68-2
ChemSpider IDNone
동의어MPR 백신

2. 의학적 사용

MMR 백신 중 하나인 Priorix


코크란 연합은 MMR 및 MMRV 백신(수두 포함)의 안전성과 효과에 대한 기존 증거들이, 홍역, 유행성 이하선염, 풍진, 수두로 인한 질병 발생 및 사망을 줄이기 위한 전 세계적인 대량 예방 접종 정책을 충분히 뒷받침한다고 결론 내렸다.[15]

MMR 혼합 백신은 세 가지 질병에 대한 면역을 한 번의 주사로 얻게 해주므로, 각각의 백신을 따로 맞는 것보다 덜 고통스럽다. 또한, 서로 다른 날짜에 세 번 병원을 방문하는 것보다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어 더 효율적이다. 영국 공중보건국은 1988년부터 개별 백신 대신 혼합 백신을 제공하면서 백신 접종률이 높아졌다고 보고했다.[22]

2. 1. 홍역



MMR 백신은 홍역, 볼거리, 풍진 세 가지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혼합 백신이지만, 볼거리를 제외하고 홍역과 풍진만을 예방하는 백신도 일부 지역에서 사용된다.[99] 코크란 연합은 MMR 및 MMRV 백신(수두 포함)의 안전성과 효과에 대한 증거가 홍역, 유행성 이하선염, 풍진, 수두로 인한 질병 발생 및 사망을 줄이기 위한 전 세계적인 대량 예방 접종 정책을 뒷받침한다고 결론지었다.[15]

MMR 혼합 백신은 세 번의 개별 주사를 맞는 것보다 덜 고통스럽고, 다른 날짜에 세 번 주사를 맞는 것보다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면역을 형성할 수 있다. 영국 공중보건국은 1988년부터 개별 백신 대신 혼합 백신을 제공하면서 백신 접종률이 높아졌다고 보고했다.[22]

1944년부터 1963년까지의 홍역 발병 건수는 연간 150,000건에서 850,000건 사이로 매우 가변적인 유행 패턴을 따랐다. 1963년 첫 홍역 백신 도입 이후 급격히 감소하여 1968년에는 25,000건 미만으로 보고되었다. 1971년과 1977년경의 발병으로 각각 75,000건과 57,000건의 사례가 발생했다. 1990년 28,000건의 발병이 있기 전까지 연간 수천 건 수준으로 안정되었다. 1990년대 초 연간 수백 건에서 2000년대에는 수십 건으로 감소했다.
미국에서 홍역 백신 도입 후 보고된 홍역 환자 수가 급격히 감소했다.


홍역 백신이 널리 사용되기 전에는 홍역 발병률이 매우 높아 감염이 "죽음과 세금만큼이나 불가피한 것"으로 여겨질 정도였다.[23] 미국에서는 1963년 백신 도입 이후 보고된 홍역 환자 수가 수십만 명에서 수만 명 수준으로 크게 줄었다. 1971년과 1977년에 발병이 있었지만, 이후 백신 접종률이 증가하면서 1980년대에는 연간 수천 건으로 감소했다. 1990년에 약 3만 건에 달하는 발병이 발생하자 예방 접종을 다시 강화하고 권장 일정에 2차 접종을 추가하게 되었다. 그 결과 1997년부터 2013년까지 미국 내 홍역 발병 건수는 매년 200건 미만으로 유지되었고, 더 이상 홍역은 미국 내 풍토병으로 간주되지 않는다.[24][25][26]

홍역 백신이 질병, 장애, 사망을 예방하는 효과는 명확하게 입증되었다. 미국에서 홍역 백신이 허가된 후 첫 20년 동안 약 5,200만 건의 홍역 발병, 17,400건의 지적 장애, 5,200건의 사망을 예방한 것으로 추산된다.[27] 또한 1999년부터 2004년까지 세계 보건 기구(WHO)와 유니세프(UNICEF)가 주도한 전 세계적인 홍역 예방 접종 강화 노력으로 약 140만 명의 홍역 사망자를 막을 수 있었다.[28] 2000년부터 2018년 사이에는 홍역 백신 접종 덕분에 전 세계적으로 홍역으로 인한 사망이 73% 감소했다.[13]

홍역은 여전히 세계 여러 지역에서 풍토병으로 남아있다. 미국에서는 2000년에 홍역 퇴치가 선언되었지만, 이를 유지하고 재발을 막기 위해서는 높은 백신 접종률을 유지하고 백신 접종을 꺼리는 사람들과의 적극적인 소통이 필수적이다.[30] 2005년 미국에서 보고된 66건의 홍역 사례 중 절반 이상은 루마니아 방문 중 홍역에 걸린 백신 미접종자 한 명으로부터 시작되었다.[29] 이 사람은 백신을 맞지 않은 어린이가 많은 지역 사회로 돌아왔고, 그 결과 발생한 집단 발병으로 34명이 감염되었는데, 대부분 어린이였고 거의 모두 백신 미접종 상태였다. 감염자 중 9%는 입원 치료를 받았으며, 이 발병을 통제하는 데 들어간 비용은 167685USD로 추산되었다. 주변 지역 사회의 높은 백신 접종률 덕분에 더 큰 규모의 유행으로 번지는 것은 막을 수 있었다.[30]

2017년에는 MMR 백신이 자폐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잘못된 정보로 인해 백신 접종률이 낮아진 미네소타주의 소말리아계 미국인 커뮤니티에서 홍역이 발생했다. 미국 질병 통제 예방 센터(CDC)는 2017년 4월까지 이 발병으로 65명의 어린이가 홍역에 걸렸다고 보고했다.[31]

2. 2. 풍진

풍진은 독일 홍역이라고도 불리며, 광범위한 예방 접종이 시행되기 전에는 매우 흔하게 발생하는 질병이었다.[32] 풍진의 가장 큰 위험은 임신 중에 발생하는데, 이때 태아가 선천성 풍진에 걸리면 심각한 선천성 결함을 가지고 태어날 수 있다.[32]

MMR 백신과 같은 예방 접종 도입 이후 미국의 풍진 발생률 변화 추이. 발생 건수가 급격히 감소했음을 보여준다.


코크란 연합(Cochrane)의 검토 결과에 따르면, MMR 백신은 풍진으로 인한 질병 발생률 및 사망률 감소에 효과적이며, 이는 풍진 예방을 위한 대량 예방 접종 정책의 중요성을 뒷받침한다.[15]

2. 3. 볼거리 (유행성이하선염)



볼거리(유행성이하선염)는 한때 매우 흔했던 바이러스 질병으로, 특히 어린 시절에 많이 발생했다. 볼거리는 사춘기가 지난 남성이 걸릴 경우, 양측 고환염이 합병증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경우에 따라 불임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33] MMR 백신은 이러한 볼거리를 예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코크란 연합(Cochrane)은 "MMR 및 MMRV 백신의 안전성과 효과에 대한 기존 증거는 홍역, 유행성 이하선염, 풍진 및 수두와 관련된 이환율 및 사망률을 줄이기 위한 전 세계적인 홍역 퇴치를 목표로 하는 현재의 대량 예방 접종 정책을 뒷받침한다"고 결론 내렸다.[15] MMR 혼합 백신은 세 번의 개별 주사를 동시에 맞는 것보다 덜 고통스럽게 면역을 유도하며, 다른 날짜에 세 번의 주사를 맞는 것보다 더 빠르고 효율적이다. 잉글랜드 공중 보건국은 1988년부터 개별적으로 접종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하는 대신 단일 혼합 백신을 제공함으로써 백신 접종률이 증가했다고 보고했다.[22]

미국에서는 1971년부터 MMR 백신 접종이 일반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현재는 개량된 혼합 백신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2005년에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홍역, 볼거리, 풍진, 수두-대상포진 4가지 질병을 예방하는 MMRV 백신(V는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varicella-zoster의 머리글자)의 접종을 인가했다.

일본에서는 1988년부터 1993년까지 MMR 예방 접종이 실시되었으나, 오사카 대학 미생물 병원 연구소에서 개발한 우라베주 볼거리 백신으로 인한 무균성 수막염 발생률이 높다는 문제가 제기되어 접종이 중단되었다. 1993년 4월, 해당 백신 제조 기업에 대한 현장 조사 결과, 세포 배양법만 승인받았음에도 불구하고 1989년 1월부터 무허가로 세포 배양법과 양막 배양법을 혼용하여 제조한 사실이 밝혀졌다. 이후 2006년 4월부터는 부작용 문제가 있었던 우라베주 볼거리 백신을 제외한 홍역・풍진 혼합 백신(MR 백신)의 예방 접종이 시작되었다. 현재 일본에서 수입 MMR 백신을 접종하려면, 국립국제의료연구센터 병원 등 약감 증명을 받은 트래블 클리닉에서 자유 진료 형태로 가능하며, 이 경우 일본의 의약품의료기기종합기구에 의한 의약품 부작용 피해 구제 제도는 적용되지 않지만, 수입 백신 부작용 피해자 보상 제도(수입 상사에 의한 보상 제도)의 대상은 된다.

세계적으로는 글락소스미스클라인의 상품명 Priorix가 유명한 MMR 백신 중 하나이다.

2. 4. 투여



MMR 백신은 피하 주사 방식으로 투여하며, 첫 번째 접종은 일반적으로 생후 12개월에 실시한다.[11] 두 번째 접종은 첫 번째 접종 후 최소 한 달이 지나면 가능하다.[72] 이 두 번째 접종은 첫 접종만으로는 홍역 면역이 형성되지 않는 소수의 사람(2~5%)에게 면역력을 갖게 하기 위한 목적이다. 미국에서는 아이들이 학교에 들어가기 전에 두 번째 접종을 하는데, 이는 시기적으로 편리하기 때문이다.[34] 홍역이 흔하게 발생하는 지역에서는 첫 접종을 생후 9개월, 두 번째 접종을 생후 15개월에 하는 것이 보통 권장된다.[7]

MMR 혼합 백신은 홍역, 유행성 이하선염, 풍진 세 가지 질병에 대한 면역을 한 번의 주사로 얻게 해준다. 이는 세 가지 백신을 각각 따로 맞는 것보다 덜 아프고, 서로 다른 날짜에 세 번 병원을 방문하는 것보다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다. 잉글랜드 공중 보건국은 1988년부터 개별 백신 대신 혼합 백신을 사용하면서 백신 접종률이 높아졌다고 보고했다.[22]

국제적인 연구 검토 기관인 코크란 연합(Cochrane)은 MMR 및 MMRV 백신의 안전성과 효과에 대한 기존 연구 결과들이, 전 세계적으로 홍역을 없애기 위한 현재의 대규모 예방 접종 정책을 충분히 뒷받침한다고 결론지었다.[15] 세계적으로는 글락소스미스클라인에서 만든 Priorix가 널리 알려진 MMR 백신 중 하나이다.

=== 국가별 사례 ===

  • '''미국''': 1971년부터 MMR 백신 접종이 보편화되었으며, 현재는 더욱 개선된 혼합 백신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2005년에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홍역, 유행성 이하선염, 풍진에 더해 수두(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까지 예방하는 4가 백신(MMRV)의 사용을 승인했다.
  • '''일본''': 1988년부터 1993년까지 MMR 백신 접종이 이루어졌으나, 오사카 대학 미생물 병원 연구소에서 개발한 우라베주의 볼거리 백신 성분 때문에 무균성 수막염 발생률이 높다는 심각한 부작용 문제가 드러나 접종이 중단되었다. 1993년 4월 현장 조사 결과, 해당 백신 제조사가 승인받은 세포 배양법 외에 허가 없이 양막 배양법을 추가하여 백신을 생산한 사실이 밝혀졌다. 이 사건 이후, 일본에서는 2006년 4월부터 문제가 된 우라베주 볼거리 백신을 제외한 홍역・풍진 혼합 백신(MR 백신) 접종을 시작했다. 현재 일본에서 수입 MMR 백신을 맞으려면, 국립국제의료연구센터 병원과 같이 특별 허가를 받은 트래블 클리닉 등에서 자유 진료(비보험 진료) 형태로 접종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일본 의약품의료기기종합기구의 의약품 부작용 피해 구제 제도는 적용되지 않지만, 수입 상사가 제공하는 별도의 피해 보상 제도는 이용할 수 있다.

3. 안전성



코크란 연합은 MMR 및 MMRV 백신의 안전성과 효과에 대한 기존 증거들이 홍역, 유행성 이하선염, 풍진, 수두로 인한 질병 부담과 사망률을 줄이기 위한 전 세계적인 예방 접종 정책을 뒷받침한다고 결론지었다.[15]

MMR 혼합 백신은 세 가지 백신을 각각 따로 맞는 것보다 접종 시 통증이 덜하며, 서로 다른 날짜에 세 번 병원을 방문하는 것보다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면역력을 얻을 수 있다. 영국 공중 보건국은 1988년부터 개별 백신 대신 혼합 백신을 제공하면서 백신 접종률이 증가했다고 보고했다.[22]

홍역 백신이 널리 사용되기 전에는 발병률이 매우 높아 감염을 피할 수 없는 것으로 여겨졌다.[23] 1963년 백신 도입 후 미국에서는 보고되는 홍역 환자 수가 수십만 명에서 수만 명 수준으로 크게 줄었다. 1971년과 1977년의 유행 이후 백신 접종률이 높아지면서 1980년대에는 연간 수천 건으로 더욱 감소했다. 1990년에 약 3만 건의 발병이 발생하자 예방 접종을 더욱 강화하고 권장 일정에 2차 접종을 추가하게 되었다. 1997년부터 2013년까지 미국에서는 매년 200건 미만의 사례만 보고되었으며, 홍역은 더 이상 미국 내 풍토병으로 간주되지 않는다.[24][25][26]

홍역 백신이 질병, 장애, 사망을 예방하는 효과는 명확히 입증되었다. 미국에서 홍역 백신이 허가된 후 첫 20년 동안 약 5,200만 건의 홍역 감염, 17,400건의 지적 장애, 5,200건의 사망을 예방한 것으로 추정된다.[27] 1999년부터 2004년까지 세계 보건 기구(WHO)와 유니세프가 주도한 예방 접종 강화 전략 덕분에 전 세계적으로 약 140만 명의 홍역 사망자를 막을 수 있었다.[28] 2000년부터 2018년 사이에는 홍역 백신 접종으로 인해 홍역 사망률이 73% 감소했다.[13]

홍역은 여전히 세계 여러 지역에서 풍토병으로 남아있다. 미국에서는 2000년에 퇴치 선언이 이루어졌지만, 발병을 막고 퇴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높은 백신 접종률을 유지하고 백신 접종을 거부하는 사람들과의 효과적인 소통이 필수적이다.[30] 2005년 미국에서 보고된 66건의 홍역 사례 중 절반 이상은 루마니아 방문 중 홍역에 걸린 백신 미접종자 한 명으로부터 시작되었다.[29] 이 사람은 백신 미접종 아동이 많은 지역 사회로 돌아왔고, 그 결과 발생한 유행으로 34명이 감염되었는데, 대부분 어린이였고 거의 모두 백신 미접종 상태였다. 감염자의 9%가 입원했으며, 유행을 통제하는 데 약 167685USD의 비용이 소요된 것으로 추산된다. 주변 지역 사회의 높은 백신 접종률 덕분에 더 큰 규모의 유행은 막을 수 있었다.[30] 2017년에는 MMR 백신이 자폐증을 유발한다는 잘못된 정보로 인해 백신 접종률이 낮아진 미네소타의 소말리아계 미국인 커뮤니티에서 홍역이 발생하여,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2017년 4월까지 65명의 어린이 환자를 기록했다.[31]

독일 홍역이라고도 불리는 풍진 역시 백신이 도입되기 전에는 매우 흔한 질병이었다. 풍진의 가장 큰 위험은 임신 중 감염될 경우 태아가 선천성 풍진 증후군에 걸려 심각한 선천성 결함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이다.[32] 볼거리 또한 과거에 흔했던 바이러스 질병으로, 특히 어린 시절에 많이 발생했다. 사춘기 이후 남성이 볼거리에 걸리면 합병증으로 양측 고환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드물게 불임으로 이어지기도 한다.[33]

MMR 백신 접종 후 드물게 심각한 약물 이상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첫 접종 후 약 10%의 어린이에게서 발열, 불쾌감, 발진이 나타날 수 있으며,[35] 3% 정도는 평균 18일간 지속되는 관절통을 경험한다.[36] 나이가 많은 여성은 관절통이나 급성 관절염, 드물게는 만성 관절염의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보인다.[37] 아나필락시스는 백신에 대한 매우 드물지만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이다.[38] 계란 알레르기가 원인 중 하나일 수 있다.[39] 2014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백신 라벨에 급성 파종성 뇌척수염(ADEM)과 횡단성 척수염이라는 두 가지 이상 반응을 추가하도록 승인했으며, 제품 설명서에 "걷기 어려움"을 포함하도록 허가했다.[40] 2012년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의 의학 연구소(IOM) 보고서에 따르면, MMR 백신의 홍역 성분은 면역력이 저하된 사람에게 홍역 봉입체 뇌염을 유발할 수 있다.[41] 일부 백신에는 항생제 네오마이신이 포함되어 있어 이 항생제에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접종해서는 안 된다.[17]

신경계 장애 보고는 매우 드물지만, 과거 사용되었던 우라베(Urabe) 균주를 포함한 MMR 백신과 무균성 수막염(바이러스성 수막염의 일종) 발생 사이에 드문 연관성이 있다는 증거가 있었다.[37][42] 영국 영국 국민 보건 서비스(NHS)는 이러한 일시적이고 경미한 바이러스성 수막염 사례 때문에 1990년대 초 우라베 균주 사용을 중단하고 제릴린(Jeryl Lynn) 균주를 사용하는 백신으로 전환했다.[43] 우라베 균주는 제조 비용이 제릴린 균주보다 훨씬 저렴하며,[44] 경미한 부작용 발생률이 다소 높지만 효능이 더 우수하여 특정 상황에서는 이점이 있을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43]

코크란 리뷰에 따르면, 위약과 비교했을 때 MMR 백신 접종은 상기도 감염을 줄이는 효과가 있었고, 과민성(irritability)은 증가했지만 다른 부작용 발생 건수는 유사했다.[15]

자연적인 홍역 감염은 종종 면역 혈소판 감소성 자반병(ITP)을 동반하며, 이는 1만~2만 건당 1건 비율로 발생한다. ITP는 자반성 발진과 출혈 경향 증가를 특징으로 하며, 어린이의 경우 대개 두 달 안에 호전된다.[15] MMR 백신 접종 후 6주 이내에 ITP가 발생하는 경우는 약 4만 명당 1명꼴로 추정된다.[15] 6세 미만 어린이에게 발생하는 ITP는 일반적으로 경미하며 장기적인 후유증은 거의 없다.[45][46]

MMR 백신과 자폐증 사이의 연관성은 수많은 연구를 통해 과학적으로 근거가 없음이 밝혀졌다. 자세한 내용은 MMR 백신과 자폐증 문서를 참조하라.

3. 1. 자폐증 관련 논란과 반박

1998년, 앤드루 웨이크필드는 의학 학술지 랜싯에 MMR 백신 접종과 자폐증 발병 사이에 연관성이 있다는 주장을 담은 논문을 발표했다.[47][78] 이 논문은 장 증상과 자폐증 또는 기타 질환을 앓고 있다고 보고된 12명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했으며, 이들은 MMR 백신 투여 후 얼마 지나지 않아 해당 증상을 보였다고 기술되었다.[47] 그러나 웨이크필드는 이 연구를 진행하면서 경쟁 관계에 있는 다른 백신을 지지하고 있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47]

웨이크필드의 논문 발표 이후 영국,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 여러 국가에서 MMR 백신 접종률이 급격히 감소했으며, 이는 홍역 감염 아동의 증가로 이어졌다.[60][78] 영국에서는 논문 발표 전 92%에 달했던 MMR 접종률이 80% 미만으로 떨어졌고, 1998년 56건이었던 홍역 발병 사례는 2008년 1348건으로 급증했으며, 이 중 2명의 사망자가 확인되었다.[61]

그러나 웨이크필드의 연구 결과는 이후 진행된 수많은 동료 심사를 거친 연구들을 통해 반박되었다. 이 연구들은 MMR 백신과 자폐증 사이에 어떠한 연관성도 발견하지 못했다.[15][58]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54][55]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산하 의학 연구소(IOM),[41][56] 영국 국민 보건 서비스(NHS),[57] 그리고 코크란 라이브러리 검토[15] 등의 기관들은 모두 MMR 백신과 자폐증 사이의 연관성을 뒷받침할 증거가 없다고 결론 내렸다.

결정적으로 웨이크필드의 연구는 심각한 과학적 부정행위로 밝혀졌다. 2010년 1월, 영국 일반의학위원회는 해당 논문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며 "부정직"하다고 판단했고, 백신과 자폐증의 관련성을 전면 부정했다.[48][79] 같은 해 2월, 『랜싯』은 웨이크필드의 논문이 조작된 허위 데이터에 기반한 과학적 부정행위라고 판단하여 논문을 공식적으로 철회했다.[49][50][80][81] 이후 웨이크필드는 연구 과정에서의 고의적인 허위 조작이 확인되어 영국 의료 등록부에서 이름이 삭제되었고, 영국 내에서의 의료 행위가 금지되는 처분을 받았다.[51][52][82] 2011년에는 『영국 의학 저널』(BMJ)이 추가 조사를 통해 해당 연구가 명백한 사기였음을 뒷받침하는 논문을 발표했다.[53][83]

일부에서는 MMR 백신을 세 번의 개별 용량으로 나누어 접종하면 부작용의 가능성이 줄어들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오히려 이러한 방식은 처음 예방 접종을 하지 않은 두 가지 질병에 감염될 기회를 증가시킬 뿐이다.[58][59]

MMR 백신과 자폐증 간의 연관성이 과학적으로 반박되었음에도, 웨이크필드 논문의 영향은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이탈리아에서는 백신 접종률 감소로 인해 홍역 발병이 3배 증가하는 등 사회적 여파가 나타났으며, 이에 이탈리아 정부는 백신 미접종자는 의무 교육을 받을 수 없도록 하는 법률을 시행하기도 했다.[84]

한편, 일본에서는 MMR 삼중 백신을 사용하지 않고, 홍역-풍진 혼합 백신과 유행성 이하선염 백신을 개별적으로 접종한다. 이러한 일본의 사례에서도 자폐증 발병률에는 아무런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이는 MMR 백신과 자폐증 발병 사이에 연관성이 없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입증한다.[62]

4. 역사

모리스 힐먼(Maurice Hilleman), MMR 백신 개발자


두 명의 작업자가 홍역 백신을 준비하기 위해 닭의 알에 구멍을 내고 있다


MMR 백신의 구성 바이러스 균주는 동물 및 인간 세포에서 증식시켜 개발되었다.[63] 예를 들어, 볼거리홍역 바이러스는 배아 상태의 알에서 배양되었다. 이 과정은 닭 세포에는 잘 적응하지만 인간 세포에는 덜 적합한 바이러스 균주를 만들어낸다. 이러한 균주를 '약독화 균주'라고 부르며, 야생 균주보다 인간 신경 세포에 대한 독성이 낮아 '신경 약독화'라고도 한다.

풍진 백신 성분인 Meruvax는 1961년에 개발된 인간 배아 폐 세포주 WI-38(Wistar Institute의 약자)을 이용하여 1967년에 개발되었다.[64][65]

예방 질병구성 백신바이러스 균주배양 배지성장 배지
홍역Attenuvax엔더스 약독화 에드몬스턴 균주[66]닭 배아 세포 배양Medium 199
볼거리Mumpsvax[67]제릴린 (B 레벨) 균주[68]
풍진Meruvax II생 약독화 풍진 바이러스의 Wistar RA 27/3 균주WI-38 인간 배아 세포주MEM (완충 염, 태아 소 혈청, 인간 혈청 알부민 및 네오마이신 등을 포함한 용액)



이 백신은 'MPR 백신'이라고도 불리는데, 여기서 'P'는 볼거리로 인해 발생하는 이하선염(Parotitis)을 의미한다.[5]

머크(Merck & Co.)에서 제조하는 MMR II 백신은 동결 건조된 형태로 제공되며 살아있는 바이러스를 포함한다. 주사하기 전에 함께 제공된 용매로 희석하여 사용한다.[69]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의 MMR 백신인 Pluserix는 Schwarz 홍역 바이러스, Jeryl Lynn 유사 볼거리 균주, RA27/3 풍진 바이러스를 포함한다.[70] Pluserix는 1999년 헝가리에 도입되었으며, 같은 해부터 머크의 MMR II 제품(Enders의 Edmonston 균주 사용)도 헝가리에서 사용되었다.[71] 약독화된 Schwarz 홍역 균주를 사용하는 GSK의 Priorix 백신은 2003년 헝가리에서 도입되었다.[71]

미국에서는 1971년부터 MMR 백신 접종이 일반적으로 시행되었으며, 현재는 개량된 혼합 백신이 사용되고 있다. 2005년에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홍역, 볼거리, 풍진에 더해 수두(수두-대상 포진 바이러스)까지 예방하는 4가 백신(MMRV)의 접종을 인가했다.

일본에서는 1988년부터 1993년까지 MMR 백신 예방 접종이 실시되었으나, 오사카 대학 미생물 병원 연구소에서 개발한 우라베주 볼거리 백신 성분으로 인해 무균성 수막염 발생률이 높다는 심각한 문제가 제기되어 접종이 중단되었다. 더욱이 1993년 4월 조사 결과, 해당 백신 제조 기업이 승인된 세포 배양법 외에 무허가로 양막 배양법을 1989년 1월부터 혼용한 사실이 드러났다. 이후 일본에서는 2006년 4월부터 문제가 된 우라베주 볼거리 백신을 제외한 홍역・풍진 혼합 백신(MR 백신) 접종을 시작했다. 일본에서 수입 MMR 백신(예: 글락소스미스클라인의 Priorix)을 접종받으려면 국립국제의료연구센터 병원 등 약감 증명을 받은 트래블 클리닉에서 자유 진료 형태로 가능하지만, 일본 의약품의료기기종합기구의 의약품 부작용 피해 구제 제도는 적용되지 않고 수입 상사가 제공하는 별도의 보상 제도 대상이 된다.

코크란 연합(Cochrane)은 MMR 및 MMRV 백신의 안전성과 효과에 대한 기존 증거들이 전 세계적인 홍역 퇴치를 목표로 하는 현재의 대량 예방 접종 정책을 충분히 뒷받침한다고 결론 내렸다.[15] MMR 혼합 백신은 세 가지 백신을 각각 따로 맞는 것보다 덜 고통스럽고, 다른 날짜에 세 번 맞는 것보다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면역을 형성할 수 있다. 잉글랜드 공중 보건국은 1988년부터 개별 백신 대신 혼합 백신을 제공하면서 백신 접종률이 증가했다고 보고했다.[22]

5. MMRV 백신



MMRV 백신은 홍역, 볼거리, 풍진수두 백신을 하나로 결합한 백신이다. 이는 여러 번의 주사를 맞아야 하는 불편함을 줄여 백신 투여를 단순화하기 위해 기존의 MMR 백신을 대체하는 방안으로 제안되었다.[72]

그러나 예비 데이터에 따르면, MMRV 백신을 접종했을 때 열성 경련 발생률이 10,000건당 9건으로 나타나, MMR 백신과 수두 백신을 각각 따로 접종했을 때의 발생률(10,000건당 4건)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국 보건 당국은 MMRV 백신 사용을 개별 주사보다 우선적으로 권장하지는 않는다.[73]

2012년에 소아과 의사와 가정의를 대상으로 실시된 한 연구[74]에서는 MMRV 백신의 열성 경련 위험 증가에 대한 인지도가 높지 않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설문 조사 결과, 가정의의 74%와 소아과 의사의 29%가 이러한 위험 증가를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다. 관련 정보를 제공받은 후에도 건강한 12~15개월 영아에게 MMRV 백신을 권장하겠다고 응답한 비율은 가정의 7%, 소아과 의사 20%에 그쳤다. MMRV 백신 접종 권고 여부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는 예방접종 자문 위원회(ACIP), 미국 가정의 학회(AAFP), 미국 소아과 학회(AAP)의 권고 사항이 꼽혔다(소아과 의사 77%, 가정의 73%).

미국에서는 2005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홍역, 볼거리, 풍진, 수두를 예방하는 4가 백신인 MMRV 백신의 사용을 인가했다.

6. 기타 백신 (MR 백신)

홍역풍진만을 예방하고 볼거리는 예방하지 못하는 백신(MR 백신)도 있다.[21][99] 2014년 기준으로 전 세계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다.[21][99]

일본에서는 1988년부터 1993년까지 MMR 백신 예방 접종을 실시했으나, 오사카 대학 미생물 병원 연구소에서 개발한 우라베(Urabe)주 볼거리 백신이 무균성 수막염 발생률을 높인다는 심각한 문제가 제기되어 접종이 중단되었다. 1993년 4월 조사 결과, 해당 백신 제조 기업은 승인된 세포 배양법 외에 1989년 1월부터 무허가로 양막 배양법을 추가하여 백신을 생산한 사실이 밝혀졌다. 이는 백신 안전 관리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리는 사건이었다. 결국 2006년 4월부터는 문제가 된 우라베주 볼거리 백신을 제외하고, 홍역・풍진 혼합 백신(MR 백신)의 예방 접종이 시작되었다. 세계적으로는 글락소스미스클라인의 Priorix와 같은 MMR 백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본에서 수입 MMR 백신을 접종받으려면 국립국제의료연구센터 병원 등 약감 증명(약사 감수 증명)을 받은 트래블 클리닉에서 자유 진료 형태로 가능하며, 이 경우 일본 의약품의료기기종합기구(PMDA)의 의약품 부작용 피해 구제 제도는 적용되지 않는다. 대신 수입 상사가 운영하는 별도의 수입 백신 부작용 피해자 보상 제도의 대상이 된다.

미국에서는 1971년부터 MMR 백신 접종이 일반적으로 시행되었으며, 지속적으로 개량된 혼합 백신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2005년에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홍역, 볼거리, 풍진에 더해 수두(varicella-zoster)까지 예방하는 4가 백신(MMRV)의 예방 접종을 인가했다.

7. 사회와 문화

일본에서는 1988년부터 1993년까지 MMR 백신 예방 접종이 실시되었으나, 특정 볼거리 백신(우라베주)으로 인한 무균성 수막염 발생률이 높다는 문제 제기로 중단되었다. 이후 해당 백신 제조사가 허가받지 않은 방법으로 백신을 제조한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 2006년 4월부터는 문제가 되었던 볼거리 백신을 제외한 홍역・풍진 혼합 백신(MR 백신) 접종이 시작되었다. 세계적으로는 글락소스미스클라인의 'Priorix'가 널리 알려진 MMR 백신 중 하나이다. 일본 내에서는 국립국제의료연구센터 병원 등 특정 기관에서 수입 MMR 백신 접종이 가능하지만, 이는 자유 진료에 해당하며 일본의 공식적인 의약품 부작용 피해 구제 제도의 적용 대상은 아니다. 대신 수입 상사가 마련한 별도의 보상 제도가 적용될 수 있다.

미국에서는 1971년부터 MMR 백신 접종이 보편화되었으며, 지속적인 개량을 거쳐 현재의 혼합 백신이 사용되고 있다. 2005년에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홍역, 볼거리, 풍진에 수두까지 예방하는 4가 백신(MMRV, V는 varicella-zoster의 머리글자) 사용을 승인했다.

MMR 백신과 관련하여 가장 큰 사회적 논란 중 하나는 1998년 영국의 의학 학술지 『더 랜싯』에 발표된 연구였다. 이 연구는 MMR 백신 접종과 자폐증 발병 사이에 연관성이 있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78] 이 발표 이후 영국, 미국, 캐나다 등 여러 국가에서 백신 접종률이 급격히 떨어졌고, 그 결과 홍역과 같은 예방 가능한 질병의 발병률이 다시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그러나 후속 연구들을 통해 MMR 백신과 자폐증 사이의 연관성은 과학적으로 근거가 없음이 밝혀졌다. 2010년 1월, 영국 General Medical Council영어(일반의료위원회)는 해당 논문에 심각한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며 백신과 자폐증의 관련성을 공식적으로 부정했다.[79] 『랜싯』 역시 해당 논문이 조작된 데이터에 기반한 과학적 부정행위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여 2010년 2월 논문을 공식 철회했다.[80][81] 논문의 주 저자인 앤드루 웨이크필드는 영국 정부로부터 의사 면허 박탈이라는 중징계를 받았다.[82] 2011년에는 웨이크필드의 연구가 단순한 오류가 아닌 의도적인 사기였음을 뒷받침하는 추가 조사 결과가 발표되기도 했다.[83]

이처럼 백신과 자폐증의 연관성은 과학적으로 완전히 부정되었지만, 한번 퍼진 잘못된 정보의 영향력은 쉽게 사라지지 않았다. 이탈리아에서는 백신 접종률 감소로 인해 홍역 발병이 3배나 증가하는 등 부정적 여파가 나타났고, 결국 정부는 백신 미접종 아동의 의무 교육 참여를 제한하는 법률을 시행하기에 이르렀다.[84]

7. 1. 종교적 문제

MMR 백신 일부 제품은 안정제돼지에서 추출한 젤라틴을 사용한다.[76] 이 때문에 돼지고기를 금기시하는 일부 종교 공동체에서는 백신 접종을 꺼리는 경우가 있으며, 이는 해당 지역 사회의 백신 접종률 감소로 이어지기도 했다.[76][75] 물론, 돼지 유래 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대체 백신도 개발되어 사용 가능하다.[76][75]

참조

[1] 웹사이트 Measles virus vaccine / mumps virus vaccine / rubella virus vaccine (M-M-R II) Use During Pregnancy https://www.drugs.co[...] 2019-10-16
[2] 웹사이트 M-M-R II- measles, mumps, and rubella virus vaccine live injection, powder, lyophilized, for suspension https://dailymed.nlm[...] 2022-05-23
[3] 웹사이트 Priorix- measles, mumps, and rubella vaccine, live kit https://dailymed.nlm[...] 2022-06-03
[4] 웹사이트 M-M-RVaxPro EPAR https://www.ema.euro[...] 2018-09-17
[5] 서적 Vaccines: Are they Worth a Shot?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8
[6] 웹사이트 Measles, Mumps, and Rubella (MMR) Vaccination: What Everyone Should Know https://www.cdc.gov/[...]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2021-01-26
[7] 간행물 Measles vaccines: WHO position paper – April 2017 2017-04
[8] 간행물 Measles vaccines: WHO position paper, April 2017 - Recommendations 2019-01
[9] 웹사이트 Core Concepts – Immunizations in Adults – Basic HIV Primary Care – National HIV CurriculumImmunizations in Adults https://www.hiv.uw.e[...] 2017-05-02
[10] 간행물 Measles, mumps, and rubella--vaccine use and strategies for elimination of measles, rubella, and congenital rubella syndrome and control of mumps: recommendations of the Advisory Committee on Immunization Practices (ACIP) https://www.cdc.gov/[...] 1998-05
[11] 웹사이트 Administering MMR Vaccine https://www.cdc.gov/[...] 2021-01-26
[12] 웹사이트 Addressing misconceptions on measles vaccination https://ecdc.europa.[...] 2014-04-15
[13] 웹사이트 Measles Fact Sheet https://www.who.int/[...] 2019-12-05
[14] 웹사이트 MMR (Measles, Mumps, and Rubella) Vaccine Information Statement https://www.cdc.gov/[...]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2021-08
[15] 간행물 Vaccines for measles, mumps, rubella, and varicella in children 2021-11
[16] 간행물 The Anti-vaccination Movement: A Regression in Modern Medicine 2018-07
[17] 간행물 Vaccine Adverse Events: Separating Myth from Reality 2017-06
[18] 간행물 Maurice R. Hilleman, PhD, DSc 2005-07
[19] 간행물 Measles 50 Years After Use of Measles Vaccine 2015-12
[20] 웹사이트 Measles: information about the disease and vaccines Questions and Answers https://www.immunize[...] 2018-11
[21] 웹사이트 Information Sheet Observed Rate of Vaccine Reactions, Measles, Mumps, and Rubella Vaccines http://fdaghana.gov.[...] 2014-05
[22] 웹사이트 Measles, mumps, rubella (MMR): use of combined vaccine instead of single vaccines https://www.gov.uk/g[...]
[23] 간행물 Modern measles 1954-09
[24] 간행물 Summary of notifiable diseases, United States, 1993 https://www.cdc.gov/[...] 1994-10
[25] 간행물 Summary of Notifiable Diseases --- United States, 2007 https://www.cdc.gov/[...] 2009-07
[26] 서적 Epidemiology and Prevention of Vaccine-Preventable Diseases https://www.cdc.gov/[...]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27] 간행물 Health impact of measles vaccination in the United States 1985-10
[28] 간행물 Progress in reducing global measles deaths, 1999-2004 https://www.cdc.gov/[...] 2006-03
[29] 간행물 Measles--United States, 2005 https://www.cdc.gov/[...] 2006-12
[30] 간행물 Implications of a 2005 measles outbreak in Indiana for sustained elimination of measles in the United States 2006-08
[31] 간행물 Measles Outbreak - Minnesota April-May 2017 https://www.cdc.gov/[...] 2017-07
[32] 웹사이트 Measles, Mumps, Rubella (MMR) Vaccine and Immunization Information https://www.immuniza[...] 2010-04-22
[33] 서적 Male infertility: a guide for the clinician https://books.google[...] Blackwell Publishing
[34] 웹사이트 MMR vaccine questions and answers https://www.cdc.gov/[...]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35] 간행물 10-minute consultation: MMR immunisation 2001-07
[36] 논문 Acute arthritis complicating rubella vaccination https://deepblue.lib[...] 2019-09-01
[37] 논문 Consequence or coincidence? The occurrence, pathogenesis and significance of autoimmune manifestations after viral vaccines 2005-06-01
[38] 논문 MMR immunisation. True anaphylaxis to MMR vaccine is extremely rare 2001-10-01
[39] 논문 Egg allergy and MMR vaccination http://openurl.ingen[...] 2003-10-01
[40] 웹사이트 Approval for label change https://www.fda.gov/[...]
[41] 서적 Adverse Effects of Vaccines National Academies Press
[42] 서적 Adverse Events Associated with Childhood Vaccines: Evidence Bearing on Causality National Academies Press 2007-08-29
[43] 논문 Withdrawal of a mumps vaccine 1994-06-01
[44] 논문 Commentary: Ongoing debate over the safety of the different mumps vaccine strains impacts mumps disease control 2002-10-01
[45] 논문 Do childhood vaccines cause thrombocytopenia? 2009-01-01
[46] 논문 MMR vaccine and idiopathic thrombocytopaenic purpura 2003-01-01
[47] 논문 Ileal-lymphoid-nodular hyperplasia, non-specific colitis, an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in children http://briandeer.com[...] 2007-09-05
[48] 뉴스 GMC brands Dr Andrew Wakefield 'dishonest, irresponsible and callous' https://www.telegrap[...] 2010-01-29
[49] 논문 Retraction—Ileal-lymphoid-nodular hyperplasia, non-specific colitis, an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in children 2010-02-01
[50] 뉴스 Lancet accepts MMR study 'false' http://news.bbc.co.u[...] 2010-02-02
[51] 웹사이트 General Medical Council, Fitness to Practise Panel Hearing, 24 May 2010, Andrew Wakefield, Determination of Serious Professional Misconduct http://www.gmc-uk.or[...] General Medical Council
[52] 뉴스 MMR row doctor Andrew Wakefield struck off register https://www.theguard[...] 2010-05-24
[53] 논문 Wakefield's article linking MMR vaccine and autism was fraudulent 2011-01-01
[54] 웹사이트 Measles, Mumps, Rubella (MMR) Vaccine https://www.cdc.gov/[...]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2018-08-24
[55] 웹사이트 Autism and Vaccines - Vaccine Safety https://www.cdc.gov/[...]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2018-08-24
[56] 서적 Immunization Safety Review National Academies Press
[57] 웹사이트 MMR (measles, mumps and rubella) vaccine https://www.nhs.uk/c[...] 2022-07-04
[58] 웹사이트 MMR: myths and truths http://www.mmrthefac[...]
[59] 논문 Measles-mumps-rubella vaccine and autistic spectrum disorder: report from the New Challenges in Childhood Immunizations Conference convened in Oak Brook, Illinois, June 12-13, 2000 2001-05-01
[59] 논문 MMR--Separate administration-has it been done? 2002-01-01
[59] 논문 MMR vaccine: review of benefits and risks 2002-01-01
[60] 뉴스 Doctors issue plea over MMR jab http://news.bbc.co.u[...] 2006-06-26
[61] 논문 Paranoia strikes deep: MMR vaccine and autism https://www.psychiat[...]
[62] 논문 No effect of MMR withdrawal on the incidence of autism: a total population study 2005-06-01
[63] 논문 Measles, mumps, rubella vaccine (Priorix; GSK-MMR): a review of its use in the prevention of measles, mumps and rubella 2003-01-01
[64] 논문 Human fibroblasts infected with rubella virus produce a growth inhibitor 1967-05-01
[65] 논문 The serial cultivation of human diploid cell strains 1961-12-01
[66] 웹사이트 Attenuvax Product Sheet http://www.merck.com[...] Merck & Co
[67] 웹사이트 MUMPSVAX (Mumps Virus Vaccine Live) Jeryl Lynn Strain http://www.merck.com[...] Merck Co.
[68] 논문 Experiences with Jeryl Lynn strain live attenuated mumps virus vaccine in a pediatric outpatient clinic 1967-11-01
[69] 웹사이트 About the Vaccine – MMR and MMRV Vaccine Composition and Dosage https://www.cdc.gov/[...]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2021-01-26
[70] 서적 Plotkin's Vaccines
[71] 저널 Application of a fast and cost-effective 'three-in-one' MMR ELISA as a tool for surveying anti-MMR humoral immunity: the Hungarian experience 2020-02-01
[72] 저널 Increasing coverage and efficiency of measles, mumps, and rubella vaccine and introducing universal varicella vaccination in Europe: a role for the combined vaccine 2007-07-01
[73] 저널 Update: recommendations from the Advisory Committee on Immunization Practices (ACIP) regarding administration of combination MMRV vaccine https://www.cdc.gov/[...] 2020-01-26
[74] 저널 Febrile seizures and measles-mumps-rubella-varicella (MMRV) vaccine: what do primary care physicians think? 2012-11-01
[75] 뉴스 'Monkey, Rat and Pig DNA': How Misinformation Is Driving the Measles Outbreak Among Ultra-Orthodox Jews https://www.nytimes.[...] 2019-04-09
[76] 웹사이트 Vaccines and porcine gelatine https://assets.publi[...] Public Health England 2015-08-01
[77] 서적 Vaccines: Are they Worth a Shot?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8
[78] 저널 Ileal-lymphoid-nodular hyperplasia, non-specific colitis, an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in children http://www.thelancet[...] 1998-02-28
[79] 뉴스 英医学誌、自閉症と新三種混合ワクチンの関係示した論文を撤回 https://www.afpbb.co[...] 프랑스통신사 2010-02-03
[80] 뉴스 Journal Retracts 1998 Paper Linking Autism to Vaccines http://www.nytimes.c[...] 2010-02-02
[81] 뉴스 Medical journal retracts study linking autism to vaccine https://edition.cnn.[...] CNN 2010-02-02
[82] 뉴스 MMR row doctor Andrew Wakefield struck off register http://www.guardian.[...] 2010-05-24
[83] 저널 Wakefield's article linking MMR vaccine and autism was fraudulent http://www.bmj.com/c[...]
[84] 뉴스 이탈리아, 예방접종을 취학의 조건에 https://www.afpbb.co[...] AFP 2017-05-20
[85] 서적 Vaccines: Are they Worth a Shot?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8
[86] 웹인용 MMR Vaccination What You Should Know Measles, Mumps, Rubella https://www.cdc.gov/[...] 2018-02-02
[87] 저널 Measles vaccines: WHO position paper – April 2017 2017-04-28
[88] 웹인용 Core Concepts - Immunizations in Adults - Basic HIV Primary Care - National HIV CurriculumImmunizations in Adults https://www.hiv.uw.e[...] 2017-05-02
[89] 저널 Measles, mumps, and rubella--vaccine use and strategies for elimination of measles, rubella, and congenital rubella syndrome and control of mumps: recommendations of the Advisory Committee on Immunization Practices (ACIP) 1998-05-22
[90] 웹인용 Top 10 myths about MMR, Top 10 truths about MMR http://www.iow.nhs.u[...]
[91] 웹인용 Addressing misconceptions on measles vaccination https://ecdc.europa.[...]
[92] 웹인용 Measles Fact Sheet #286 http://www.who.int/m[...]
[93] 웹인용 Vaccine Information Statement Measles-Mumps-Rubella https://www.cdc.gov/[...] 2018-07-11
[94] 저널 The Anti-vaccination Movement: A Regression in Modern Medicine 2018-07-03
[95] 저널 Vaccine Adverse Events: Separating Myth from Reality 2017-06-15
[96] 저널 Maurice R. Hilleman, PhD, DSc 2005-07-01
[97] 저널 Measles 50 Years After Use of Measles Vaccine 2015-12-01
[98] 웹인용 Measles: information about the disease and vaccines Questions and Answers http://www.immunize.[...]
[99] 웹인용 Information Sheet Observed Rae of Vaccine Reactions, Measles, Mumps, and Rubella Vaccines http://www.who.int/v[...] 2014-05-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