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RS-CoV-2 엡실론 변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ARS-CoV-2 엡실론 변이는 2020년 7월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처음 발견된 SARS-CoV-2의 변이 바이러스이다. 캘리포니아에서 처음 확인된 후 미국 대부분의 주와 북미, 유럽, 아시아, 호주 등 45개국에서 발견되었다. 엡실론 변이는 전파력이 약 20% 높고, 백신 및 치료제 효능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2021년 2월부터 알파 변이에 의해 경쟁에서 밀려나면서 감염 빈도가 급격히 감소하여, 4월경 사실상 소멸되었다. 2021년 5월 세계 보건 기구(WHO)는 이 변이에 '엡실론 변이'라는 이름을 부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코로나19 범유행 - 북마리아나 제도의 코로나19 범유행
북마리아나 제도의 코로나19 범유행은 2020년 3월 28일에 시작되었으며, 전염성이 높은 바이러스로 인해 사망자가 발생하고 관광객 감소로 경제 위기를 겪었으며, 랄프 토레스 주지사는 확산 방지를 위해 학교와 정부 사무실을 폐쇄하는 등의 조치를 취했다. - 미국의 코로나19 범유행 - 뉴욕 코로나19 바이러스 사태
뉴욕 코로나19 바이러스 사태는 2020년 3월 이란발 여행객으로부터 시작된 뉴욕시의 코로나19 확산과 대응을 포괄하며, 높은 감염률, 봉쇄, 병원선 투입, 학교 폐쇄, 경제 재개방, 백신 접종, 변이 확산 등 다양한 사건을 통해 뉴욕시의 경제, 사회, 공중 보건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 - SARS-CoV-2 변이주 - SARS-CoV-2 감마 변이
SARS-CoV-2 감마 변이는 2021년 1월 브라질에서 처음 발견되어 면역 회피 변이와 높은 전염성 및 치사율을 보이며 국제적 우려를 낳았으나, 백신 효과가 다양하게 나타난 후 2022년 3월 WHO에 의해 유행 종식이 선언되었다. - SARS-CoV-2 변이주 - SARS-CoV-2 베타 변이
SARS-CoV-2 베타 변이는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처음 발견되어 WHO에 의해 명명되었으며, 스파이크 단백질에 여러 돌연변이를 가져 전파력이 높고 백신 효능을 감소시키며 젊은층 감염률이 높았으나, 2022년 3월 이전 유행 변이로 분류되었다.
SARS-CoV-2 엡실론 변이 | |
---|---|
명칭 | |
변이 이름 | 엡실론 변이 |
기타 명칭 | CAL.20C B.1.429 계통 B.1.427 계통 |
바이러스학적 분류 | |
바이러스 종류 | SARS 코로나바이러스 2 |
추가 정보 | |
발견 위치 | 캘리포니아 |
최초 보고 | 2020년 12월 |
지정 기관 |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CDC): 관심 변이 (VOC) (2021년 1월 13일 ~ 2021년 6월 29일) 세계 보건 기구 (WHO): 관심 변이 (VOC) (2021년 3월 31일 ~ 2021년 7월 6일) |
유전자 변이 | S: D614G S: S13I S: W152C S: L452R |
설명 | 이 변이는 다른 변이보다 백신과 자연 감염에 의한 항체의 효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
2. 역사
2020년 7월 로스앤젤레스에서 처음 발견된 엡실론 변이는[19] 같은 해 11월 세다스-시나이 의료 센터에서 수집된 검체 샘플의 36%를 차지했으며, 2021년 1월에는 캘리포니아주에서 50%까지 증가했다.[2] 캘리포니아 대학교 등은 북부 캘리포니아 여러 카운티에서도 엡실론 변이가 검출되었다고 발표했다. 2020년 11월부터 12월까지 북부 캘리포니아에서 엡실론 변이 비율은 3%에서 25%로 상승하여, 미국 서부 해안을 중심으로 감염이 확산되었다.[21]
2021년 1월 이후, 유럽, 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등에서도 엡실론 변이가 검출되었으나,[22][23] 미국 전체에서는 알파 변이가 대부분이었다. 같은 해 2월부터 캘리포니아주에서 엡실론 변이 감염 비율은 급격히 감소했고, 4월경에는 전 세계적으로 거의 확인되지 않아 사실상 소멸했다. 이는 알파 변이의 확산과 델타 변이의 출현 때문으로 여겨진다.[24]
2. 1. 발견
2020년 7월 로스앤젤레스 세다스-시나이 의료 센터(Cedars-Sinai Medical Center) 연구원들이 엡실론 변이를 처음으로 관찰했는데, 이는 로스앤젤레스 카운티에서 COVID-19 유행이 시작된 이후 수집된 1,230개의 바이러스 샘플 중 하나에서 발견되었다.[7] 9월까지는 다시 발견되지 않다가 캘리포니아 샘플에서 재등장했지만, 11월까지 그 수는 매우 낮게 유지되었다.[8][9] 2020년 11월에는 엡실론 변이가 세다스-시나이 의료 센터에서 수집된 샘플의 36%를 차지했으며, 2021년 1월까지는 엡실론 변이가 샘플의 50%를 차지했다.[2]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대학교(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캘리포니아 공중 보건부(California Department of Public Health), 산타클라라 카운티 공중 보건부(Santa Clara County Public Health Department)의 공동 보도 자료에서[10] 이 변이가 북부 캘리포니아의 여러 카운티에서도 발견되었다고 발표했다. 2020년 11월부터 12월까지 북부 캘리포니아에서 시퀀싱된 사례에서 이 변이의 빈도는 3%에서 25%로 증가했다.[11]2. 2. 확산
2020년 7월 로스앤젤레스에서 처음 발견된 엡실론 변이는[19] 같은 해 11월 세다스-시나이 의료 센터(Cedars-Sinai Medical Center)에서 수집된 샘플의 36%를 차지했으며, 2021년 1월에는 캘리포니아주에서 채취된 샘플의 50%를 차지할 정도로 확산되었다.[2]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대학교(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등의 공동 보도 자료에 따르면 이 변이는 북부 캘리포니아의 여러 카운티에서도 발견되었으며,[10] 2020년 11월부터 12월까지 북부 캘리포니아에서 시퀀싱된 사례에서 3%에서 25%로 빈도가 증가했다.[11]엡실론 변이는 미국 서부 해안을 중심으로 확산되었으며,[21] 북미, 유럽, 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에서도 소수의 사례가 보고되었다.[8][9] 2021년 7월, GISAID에 따르면 엡실론 변이는 45개국에서 발견되었다.[12]
대한민국에서는 2021년 3월 11일부터 엡실론 변이 감염자가 확인되었으며, 5월 25일 기준 총 581명이 확인되었다. 국내 감염은 45명으로, 첫 감염자는 강원도에서 발견되었다.[31]
그러나 2021년 2월부터 전파력이 더 강한 알파 변이에 의해 경쟁에서 밀려나면서 엡실론 변이의 빈도는 급격히 감소했다.[13] 4월에는 북부 캘리포니아 일부 지역에서 비교적 자주 나타났지만, 캘리포니아 남부에서는 사실상 사라졌고 다른 지역에서는 자리를 잡지 못했다. 당시 미국 전체 사례 중 엡실론 변이는 3.2%에 불과했지만, 알파 변이는 3분의 2 이상을 차지했다. 이후 엡실론 변이는 전 세계적으로 거의 감염이 확인되지 않아 사실상 자취를 감췄다. 이는 알파 변이의 확산과 델타 변이의 출현 때문으로 여겨진다.[24]
2. 3. 소멸
2021년 2월부터 캘리포니아주에서 엡실론 변이 감염 비율이 급속히 감소했으며, 4월경에는 전 세계적으로 거의 감염이 확인되지 않아 사실상 소멸했다.[24] 바이러스 소멸 원인으로는 알파 변이가 75% 이상을 차지했던 상황에서 추가적인 대체와 델타 변이의 출현이 꼽힌다.[24]3. 특징
엡실론 변이는 5개의 주요 돌연변이를 가지며, 그중 L452R이 특히 우려되었다.[1] B.1.429는 지역에서 유행하던 이전 변이보다 전파력이 더 높을 수 있지만, 이를 확인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2]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B.1.429와 관련된 B.1.427을 "우려 변이"로 지정했다.[3][4] 2021년 5월 세계 보건 기구(WHO)는 이 변이에 '엡실론 변이'라는 이름을 부여했다.[5]
3. 1. 돌연변이
엡실론 변이는 ORF1ab 유전자 내의 I4205V와 D1183Y, 스파이크 단백질의 S-유전자 내의 S13I, W152C, L452R을 포함한 5개의 주요 돌연변이를 특징으로 한다.[1] 이 중 L452R 돌연변이는 델타 변이에서도 관찰된다.[26]3. 2. 전염성
엡실론 변이는 기존 코로나19보다 전염성이 20%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1] B.1.429는 지역에서 유행하던 이전 변이보다 전파력이 더 높을 수 있지만, 이를 확인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2]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B.1.429와 관련된 B.1.427을 "우려 변이"로 지정했으며, 이들이 바이러스 전파력이 약 20% 증가한다고 밝혔다.[3][4]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감염률이 약 20% 정도 증가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20] 또한, 이전에 바이러스에 감염된 적이 있거나,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한 사람도 감염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27][28]
3. 3. 백신 및 치료제 효과
엡실론 변이는 ORF1ab 유전자 내 I4205V 및 D1183Y, 스파이크 단백질의 S-유전자 내 S13I, W152C, L452R을 포함한 5개의 주요 돌연변이를 특징으로 하며, 그중 L452R이 특히 우려되었다.[1]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B.1.429와 관련된 B.1.427을 "우려 변이"로 지정했으며, 이들이 바이러스 전파력이 약 20% 증가하고, 중화에 "일부 치료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지만, 모든 치료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며", 식품의약국(FDA)에서 COVID-19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해 긴급 사용 승인(EUA)을 받은 치료법의 중화 능력을 감소시키며, 이전에 바이러스에 감염되었거나 백신을 접종받은 사람으로부터 수집된 혈장에 의한 중화 능력을 적당히 감소시킨다고 밝혔다.[3][4]4. 분류
엡실론 변이는 2020년 3월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B.1.427''' 계통과 '''B.1.429''' 계통으로 명명되었다.[16][25] 2021년 5월 WHO는 우려 변이(VOC) 및 주목해야 할 변이(VOI)에 그리스 문자를 사용하는 새로운 방침을 도입하면서 B.1.427/B.1.429 계통에 엡실론(ε) 라벨을 부여했다.[16][25]
4. 1. 명명
엡실론 변이는 돌연변이 5개를 특징으로 한다.[1] 2020년 3월,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B.1.427''' 계통과 '''B.1.429''' 계통으로 명명되었다.[16][25] 2021년 5월, 세계 보건 기구(WHO)는 이 변이에 '엡실론 변이'라는 이름을 부여했다.[5] WHO는 우려 변이(VOC) 및 주목해야 할 변이(VOI)에 그리스 문자를 사용하는 새로운 명명 방침을 도입하면서 2021년 5월 말, B.1.427/B.1.429 계통에 엡실론(ε)이라는 이름을 붙였다.[16][25]5. 통계
GISAID에 따르면 2021년 7월 1일 기준으로 업데이트된 국가별 엡실론 변이 사례는 다음과 같다.[30]
국가별 사례 (2021년 7월 1일 기준) | ||
---|---|---|
국가 | 확진자 수 | 마지막 보고 사례 |
미국 | 50,723 | 2021년 6월 23일 |
캐나다 | 744 | 2021년 5월 7일 |
대한민국 | 652 | 2021년 4월 26일 |
멕시코 | 474 | 2021년 6월 8일 |
아루바 | 57 | 2021년 4월 24일 |
덴마크 | 37 | 2021년 3월 22일 |
칠레 | 30 | 2021년 6월 7일 |
아르헨티나 | 28 | 2021년 5월 12일 |
영국 | 21 | 2021년 5월 10일 |
일본 | 20 | 2021년 4월 16일 |
오스트레일리아 | 20 | 2021년 4월 12일 |
코스타리카 | 12 | 2021년 5월 5일 |
독일 | 10 | 2021년 6월 8일 |
이스라엘 | 10 | 2021년 2월 25일 |
괌 | 8 | 2021년 3월 27일 |
타이완 | 8 | 2021년 1월 31일 |
과테말라 | 7 | |
프랑스 | 7 | 2021년 3월 1일 |
아일랜드 | 7 | 2021년 4월 28일 |
네덜란드 | 5 | 2021년 3월 10일 |
스페인 | 5 | 2021년 6월 3일 |
뉴질랜드 | 4 | 2020년 12월 28일 |
싱가포르 | 4 | 2021년 3월 27일 |
스위스 | 4 | 2021년 3월 1일 |
카메룬 | 3 | 2021년 2월 5일 |
과들루프 | 3 | 2021년 1월 30일 |
노르웨이 | 3 | 2021년 4월 12일 |
캄보디아 | 2 | 2021년 1월 20일 |
핀란드 | 2 | 2021년 2월 6일 |
이탈리아 | 2 | 2021년 2월 11일 |
페루 | 2 | 2021년 2월 24일 |
스웨덴 | 2 | 2021년 1월 28일 |
튀르키예 | 2 | 2021년 2월 11일 |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 2 | 2021년 3월 22일 |
콜롬비아 | 2 | 2021년 1월 8일 |
앵귈라 | 1 | 2021년 3월 19일 |
앤티가 바부다 | 1 | 2021년 4월 24일 |
바베이도스 | 1 | 2021년 4월 12일 |
벨기에 | 1 | 2021년 1월 18일 |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 1 | 2021년 1월 7일 |
퀴라소 | 1 | 2021년 3월 19일 |
인도 | 1 | 2021년 3월 2일 |
북마케도니아 | 1 | 2021년 1월 26일 |
북마리아나 제도 | 1 | 2021년 1월 16일 |
신트마르턴 | 1 | 2021년 2월 16일 |
도미니카 공화국 | 1 | |
전 세계 (46개 국가) | 총합: 52,943 | 2021년 7월 1일 기준 |
5. 1. 전 세계 발생 현황
2021년 7월 1일 기준, 전 세계 46개국에서 총 52,943건의 엡실론 변이 감염 사례가 보고되었다.[30] 이 중 가장 많은 감염 사례가 보고된 국가는 미국으로 50,723건이었다. 대한민국에서는 652건의 감염 사례가 확인되었다.[30]국가 | 확진자 수 | 마지막 보고 사례 |
---|---|---|
미국 | 50,723 | 2021년 6월 23일 |
캐나다 | 744 | 2021년 5월 7일 |
대한민국 | 652 | 2021년 4월 26일 |
멕시코 | 474 | 2021년 6월 8일 |
아루바 | 57 | 2021년 4월 24일 |
덴마크 | 37 | 2021년 3월 22일 |
칠레 | 30 | 2021년 6월 7일 |
아르헨티나 | 28 | 2021년 5월 12일 |
영국 | 21 | 2021년 5월 10일 |
일본 | 20 | 2021년 4월 16일 |
오스트레일리아 | 20 | 2021년 4월 12일 |
코스타리카 | 12 | 2021년 5월 5일 |
독일 | 10 | 2021년 6월 8일 |
이스라엘 | 10 | 2021년 2월 25일 |
괌 | 8 | 2021년 3월 27일 |
타이완 | 8 | 2021년 1월 31일 |
과테말라 | 7 | |
프랑스 | 7 | 2021년 3월 1일 |
아일랜드 | 7 | 2021년 4월 28일 |
네덜란드 | 5 | 2021년 3월 10일 |
스페인 | 5 | 2021년 6월 3일 |
뉴질랜드 | 4 | 2020년 12월 28일 |
싱가포르 | 4 | 2021년 3월 27일 |
스위스 | 4 | 2021년 3월 1일 |
카메룬 | 3 | 2021년 2월 5일 |
과들루프 | 3 | 2021년 1월 30일 |
노르웨이 | 3 | 2021년 4월 12일 |
캄보디아 | 2 | 2021년 1월 20일 |
핀란드 | 2 | 2021년 2월 6일 |
이탈리아 | 2 | 2021년 2월 11일 |
페루 | 2 | 2021년 2월 24일 |
스웨덴 | 2 | 2021년 1월 28일 |
튀르키예 | 2 | 2021년 2월 11일 |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 2 | 2021년 3월 22일 |
콜롬비아 | 2 | 2021년 1월 8일 |
앵귈라 | 1 | 2021년 3월 19일 |
앤티가 바부다 | 1 | 2021년 4월 24일 |
바베이도스 | 1 | 2021년 4월 12일 |
벨기에 | 1 | 2021년 1월 18일 |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 1 | 2021년 1월 7일 |
퀴라소 | 1 | 2021년 3월 19일 |
인도 | 1 | 2021년 3월 2일 |
북마케도니아 | 1 | 2021년 1월 26일 |
북마리아나 제도 | 1 | 2021년 1월 16일 |
신트마르턴 | 1 | 2021년 2월 16일 |
도미니카 공화국 | 1 | |
전 세계 (46개 국가) | 총합: 52,943 | 2021년 7월 1일 기준 |
5. 2. 대한민국 발생 현황
2021년 3월 11일부터 대한민국에서도 엡실론 변이 감염자가 확인되었으며, 2021년 5월 25일 기준 총 581명의 감염자가 확인되었다.[31] 이 중 국내 감염은 45명으로, 첫 감염자는 강원도에서 발견되었다.[31]대한민국 내 엡실론 변이 감염 사례는 다음과 같다.[31]
발생 위치 | 발생 기간 | 확진자 수 |
---|---|---|
강원도 강릉시 목욕탕 | 2020.12.08 ~ 2020.12.19 | 3명 |
강원도 강릉시 기타 교습실 | 2020.12.08 ~ 2020.12.22 | 1명 |
강원도 동해시 병원 | 2020.12.17 ~ 2020.12.30 | 4명 |
강원도 동해시/강릉시 병원 | 2020.12.24 ~ 2021.1.02 | 2명 |
경기도 용인시 제조업 | 2021.1.02 ~ 2021.1.21 | 1명 |
강원도 동해시 다문화센터 | 2021.1.16 ~ 2021.2.02 | 2명 |
대구광역시 동구 체육시설 | 2021.1.26 ~ 2021.2.17 | 3명 |
세종특별자치시 건설현장 | 2021.2.06 ~ 2021.2.17 | 2명 |
인천광역시 서구 가족 및 지인 | 2021.2.08 ~ 2021.2.27 | 9명 |
제주시 산후조리원 | 2021.2.10 ~ | 3명 |
경상북도 의성군 명절 가족모임 | 2021.2.14 ~ 2021.2.24 | 12명 |
참조
[1]
웹사이트
Spike Variants: Epsilon, aka B.1.427/B.1.429, and CAL.20C/S:452R
https://covdb.stanfo[...]
2021-07-03
[2]
뉴스
New California Variant May Be Driving Virus Surge There, Study Suggests
https://www.nytimes.[...]
2021-01-19
[3]
웹사이트
SARS-CoV-2 Variant Classifications and Definitions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1-04-04
[4]
간행물
Neutralization of SARS-CoV-2 Variants B.1.429 and B.1.351
2021-04
[5]
뉴스
The name game for coronavirus variants just got a little easier
https://www.statnews[...]
Helen Branswell
2021-06-28
[6]
웹사이트
Spike Variants: Epsilon variant, aka B.1.427/B.1.429
https://covdb.stanfo[...]
Stanford University Coronavirus Antiviral & Resistance Database
2021-07-05
[7]
간행물
Local COVID-19 Strain Found in Over One-Third of Los Angeles Patients
https://www.newswise[...]
Cedars Sinai Medical Center
2021-03-03
[8]
웹사이트
B.1.429
https://cov-lineages[...]
PANGO Lineages
2021-02-16
[9]
웹사이트
B.1.429 Lineage Report
https://outbreak.inf[...]
outbreak.info
2021-02-16
[10]
웹사이트
COVID-19 Variant First Found in Other Countries and States Now Seen More Frequently in California
https://www.cdph.ca.[...]
2021-01-30
[11]
웹사이트
New strains of COVID swiftly moving through the US need careful watch, scientists say
https://www.usatoday[...]
2021-01-30
[12]
웹사이트
Watching the new Epsilon variant of SARS-CoV-2
https://www.hpnonlin[...]
2021-09-12
[13]
뉴스
How the United States Beat the Variants, for Now
https://www.nytimes.[...]
2021-05-17
[14]
웹사이트
GISAID - hCov19 Variants
https://www.gisaid.o[...]
2021-07-02
[15]
간행물
Local COVID-19 Strain Found in Over One-Third of Los Angeles Patients
https://www.newswise[...]
Cedars Sinai Medical Center
2021-03-03
[16]
웹사이트
Tracking SARS-CoV-2 variants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1-10-01
[17]
웹사이트
感染・伝播性の増加や抗原性の変化が懸念される 新型コロナウイルス(SARS-CoV-2)の新規変異株について (第11報)
https://www.niid.go.[...]
国立感染症研究所
2021-08-15
[18]
웹사이트
当センターにおける新型コロナウイルス変異株のスクリーニング検査結果について(2021年10月12日更新)
http://www.tokyo-eik[...]
東京都健康安全研究センター
2021-10-13
[19]
간행물
Local COVID-19 Strain Found in Over One-Third of Los Angeles Patients
https://www.newswise[...]
Cedars Sinai Medical Center
2021-03-03
[20]
뉴스
New California Variant May Be Driving Virus Surge There, Study Suggests
https://www.nytimes.[...]
2021-01-19
[21]
웹사이트
New strains of COVID swiftly moving through the US need careful watch, scientists say
https://www.usatoday[...]
2021-01-30
[22]
웹사이트
B.1.429
https://cov-lineages[...]
PANGO Lineages
2021-02-16
[23]
웹사이트
B.1.429 Lineage Report
https://outbreak.inf[...]
outbreak.info
2021-02-16
[24]
뉴스
How the United States Beat the Variants, for Now
https://www.nytimes.[...]
2021-05-17
[25]
뉴스
新型コロナウイルス感染症の世界の状況報告
https://www.forth.go[...]
厚生労働省
2021-10-02
[26]
뉴스
New California Variant May Be Driving Virus Surge There, Study Suggests
https://www.nytimes.[...]
2021-01-19
[27]
웹사이트
SARS-CoV-2 Variant Classifications and Definitions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1-04-04
[28]
간행물
Neutralization of SARS-CoV-2 Variants B.1.429 and B.1.351
2021-04
[29]
웹인용
Spike Variants: Epsilon variant, aka B.1.427/B.1.429
https://covdb.stanfo[...]
스탠퍼드 대학교 Coronavirus Antiviral & Resistance Database
2021-07-05
[30]
웹인용
GISAID - hCov19 Variants
https://www.gisaid.o[...]
2021-07-02
[31]
문서
""
http://www.kdca.go.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