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신신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신신앙은 집안의 신들을 섬기는 한국의 전통 신앙으로, 지역에 따라 가족신앙, 가정신앙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가신신앙은 자연 발생적으로 시작되어 오랜 세월 동안 전승되어 왔으며,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가신신앙은 성주신, 삼신, 터주신, 조상신, 조왕신, 측신, 업신, 문신 등 다양한 신들을 섬기는 형태로 나타나며, 각 신들은 집안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는 역할을 한다. 안택고사와 같은 의례를 통해 가신에게 가정의 평안과 풍요를 기원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 민간신앙 - 삼신할머니
    삼신할머니는 한국 무속 신앙에서 아이의 출생과 성장을 관장하는 여신이며, 아이가 태어난 순간부터 7세까지 보호하고, 출산, 생일, 명절에 제사를 지내며, 여성 중심적인 한국 무속 신앙의 특징을 보여준다.
  • 한국 민간신앙 - 솟대
    솟대는 농촌에서 풍년을 기원하고 마을을 수호하며 경계를 나타내는 장대로, 장대 끝에 새를 올려 마을의 수호신으로 숭배되었으며, 새는 천상계와 마을 주민을 연결하는 전령으로 여겨졌다.
  • 가신신앙 - 조왕신
    조왕신은 한국 전통 신앙에서 부엌을 지키며 가정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는 신으로, 농업 사회에서 풍흉을 좌우하는 존재로 여겨져 숭배되었고, 현대에도 그 정신이 이어지고 있으며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 가신신앙 - 터주신
    터주신은 한국 전통 신앙에서 집터와 가산을 지키는 가신으로, 곡물을 담은 항아리를 숭배하며 지신밟기나 무속 신앙 의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재물과 번영을 가져다주는 신으로 숭배되었으나, 현대에는 그 가치가 재조명되는 동시에 남성 중심적 사회 구조 반영 및 미신적 요소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가신신앙
가신 신앙
《무녀도 ([[혜원 풍속도]])》 - [[신윤복]]
《무녀도 (혜원 풍속도)》 - 신윤복
특징
관련 항목가신
관련 항목한국 신화
관련 항목한국 철학
관련 항목역사적 탄압
역할 및 관행
관련 항목무 (-당)
관련 항목굿
관련 항목본풀이
관련 항목무악
관련 항목신병
신앙
관련 항목천지 창조
관련 항목산신
관련 항목멩두
관련 개념
관련 항목돌 하르방
관련 항목장승
관련 항목주화 부적
관련 항목서낭당
관련 항목솟대

2. 용어

가신을 섬기는 신앙을 가신신앙·가족신앙·가정신앙이라고 부르며, 가신의 명칭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다.[4] 연구자에 따라서도 사용하는 용어가 다른데, 김태곤과 현용준은 ‘가신신앙’을, 장주근과 박계홍은 ‘가정신앙’을 주로 사용했다. 이문웅과 김선풍은 ‘가족신앙’과 ‘가신신앙’을 함께 사용하기도 했다.[5] 현재는 ‘가신신앙’과 ‘가정신앙’이라는 용어가 많이 쓰인다.

한편, 집 안의 신들을 가리키는 다른 표현도 있다. 김광언은 가신에 해당하는 우리말로 ‘집지킴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으며,[6] 일제강점기에 활동했던 이능화는 가신을 ‘가택신(家宅神)’이라고 표현했다.[7]

3. 역사

가신신앙은 다른 민속종교와 마찬가지로 자연적으로 발생했기 때문에 언제 누구에 의해 처음 시작되었는지 정확히 알 수 없다. 오랜 세월 동안 전승되어 오면서 지방에 따라 차이가 생기고 시대에 따라 변화해 왔다.

3. 1. 영향


  • '''택일(擇日)'''[8] : 집을 새로 짓거나 마련했을 때 성주신을 모시는 과정에서 택일 풍습이 나타난다. 아무 때나 성주신을 모시는 것이 아니라, 집 주인의 나이가 27세, 37세, 47세 등과 같이 숫자 7이 들어가는 해의 10월 중에서 날짜를 선택한다. 경상도 지방에서는 집 주인의 나이가 23세, 27세, 33세 등 숫자 3이나 7이 들어가는 해 10월에 성주받이를 하기도 하지만, 전국적으로는 숫자 7이 들어가는 해에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9]

  • '''불교''' : 한국에서 조상신을 부르는 명칭은 열 가지가 넘는데, 대표적으로 ‘조상단지’, ‘신주단지’, ‘조상할매’, ‘세존’, ‘제석’ 등이 있다. 이러한 명칭들은 조상신 숭배에 풍요를 기원하는 성격과 함께 불교 및 유교적 요소가 융합되어 있음을 보여준다.[10]

  • '''무속''' : 호남 지역의 신년맞이 의례인 '안택굿'이나 가족의 복을 기원하는 '재수굿' 등은 가신신앙의 대상들이 구체적인 신격과 신체(神體)를 갖추고, 무속의 청배와 축원 형식으로 진행되는 제의 양식으로 발전한 예이다.[11]

4. 성격

가신신앙은 각 가정을 지키는 여러 가택신을 섬기는 민간 신앙이다. 주로 집안의 안녕번영을 기원하며, 가족 구성원의 건강화목을 중요하게 여긴다. 가신신앙은 여성, 특히 주부를 중심으로 전승되는 경우가 많으며,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제사의례는 복잡하지 않고 간소하게 치르는 편이며, 특별한 사제 없이 가족 구성원이 직접 주관한다. 각 신은 집안의 특정 공간(예: 안방, 부엌, 마루, 장독대)을 관장하며, 그 공간과 관련된 길흉화복에 영향을 미친다고 믿는다.

4. 1. 신체(神體)

신체(神體)는 신을 상징하는 신성한 물건을 의미한다. 민간 신앙의 특성상 소박한 물품인 경우가 많았다. 대표적인 예로는 성주단지, 조왕중발, 신주단지 등이 있다. 사람들은 신체(神體)가 잘못되면 가택신들이 노하거나 힘을 잃는다고 믿었기 때문에 신체를 매우 소중히 다루었다. 따라서 이사죽음과 같은 큰 일이 없는 한 신체(神體)를 바꾸지 않았다.

4. 2. 건궁

'건궁'은 가신신앙에서 신체(神體) 없이 관념적으로 신을 모시는 것을 의미한다.[16] '건궁터주', '건궁조왕'과 같이 사용되기도 한다.[16] 예를 들어, 경기도 남양주시의 한 사례에서는 집에 불이 나 성주의 신체가 없어지고 지금은 성주의 자리만 있는 '건궁 성주'를 모신다.[17]

5. 종류와 기능

가신(家神)의 종류는 연구자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예를 들어, 이능화(李能和)는 성주(城主), 터주, 제석(帝釋), (業), 조왕, 문신(門神)의 6종을 제시했다. 아키바 다카시(秋葉隆)는 성주, 제석, 대감(大監), 지신, 터주, 조왕, 걸립(乞粒), 수문장, 측신 등 9종으로 나누었다. 한편, 임동권(任東權)은 성주, 터주, 제석, 사창신(司倉神), 조왕, 수문신, 측신 등 8종으로 분류하기도 했다.[18]

5. 1. 성주신

건물 안에 사는 신 가운데 최고신으로 집안의 가장을 수호하는 역할을 맡는다. 보편적으로 ‘성주(城主)’, ‘성조(成造)’, ‘성주신’ 등으로 불린다.

성주신을 모시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백지를 꽃처럼 접거나 사각형으로 접어서, 그 안에 굿상에 올렸던 신장쌀을 세 수저 분량으로 넣어 봉안한다. 또한 ‘성주바탱이’ 또는 ‘성주단지’라고 불리는 옹기에 모시기도 한다.[19]

성주는 글자 그대로 '성의 주인'이라는 뜻이다. 실제 가옥의 신으로서 그는 가장 흔하고 유명한 가신 중 하나이다. 전라남도에서는 성주가 깃든다고 여겨지는 옹기인 성주독에 매년 봄에는 보리를, 가을에는 쌀을 채웠다. 그러나 전라북도에서는 사람들이 특별한 형태 없이 생각으로만 성주를 숭배하는 '뜬성주'를 모셨다. 다른 지역에서는 성주가 주로 집의 기둥에 붙여진 종이 조각에 깃든다고 믿었다. 매 생일이나 명절마다 성주를 위한 제사가 열렸고, 주부들은 이를 통해 풍요와 평화를 기원했다.

성주는 다른 가신들과 함께 숭배되었지만, 새로운 가족이 형성되거나 가족이 다른 거주지로 이사할 때에는 한동안 성주가 유일하게 숭배되는 가신이었다. 성주는 일반적으로 가신들 중 가장 위대한 존재로 여겨진다. 그에게 바쳐지는 굿은 가장 유명한 것 중 하나이며, 성주신이 가족의 맏아들을 보호한다고 믿어진다.

5. 2. 삼신

아기를 점지하는 일과 산모와 신생아를 맡아보며 수호하는 신령이다. '삼신할머니', '산신', '지양할매', '지앙'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삼신은 출산의 여신으로 여겨진다. 삼신의 실체는 집의 안채에 보관된 삼신단지라는 항아리에 깃들어 있다고 믿었다. 이 항아리에는 쌀을 채워 넣고 종이로 덮은 다음 시계 반대 방향으로 묶인 매듭으로 봉했다. 그러나 일부 가정에서는 마음속으로만 삼신을 공경하는 '긍궁삼신'을 행하기도 한다. 삼신에게는 매 축제나 생일, 그리고 출산 후 7일과 37일에 제사가 지내졌다. 임신을 했거나 출산을 한 경우에는 삼신단지가 있는 방을 밧줄로 봉하는 풍습이 있었다. 삼신 신앙은 특히 제주도에서 강하게 나타난다.[1]

5. 3. 터주신

집 터를 지키는 신으로 성주신을 도와 집안의 액운을 쫓아내고 집안을 편안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가신 신앙에서는 집이 지어진 땅의 수호신으로 여겨진다. '지신'(地神), '토주대주', '후토주임' 등으로 불리기도 하며, '땅의 여신'이라는 의미의 지신으로도 알려져 있다.

터주신의 모습에 대해 이능화는 "쌀과 벼를 볏짚 망태에 넣어 부엌 뒷벽에 마련해 놓고 비단을 사다가 토끝을 갈라 볏짚으로 신삭에 주렁주렁 달아매어 마치 국수집의 사지(絲紙)모양같이 만든다."고 묘사하였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터주신이 자리하는 곳은 집터의 뒷켠이며, 짚으로 독을 둘러 가리는 형태로 만드는 요즘의 모습과는 차이가 있다.[20]

5. 4. 조상신

집안의 어른이 죽어서 된 가택신(家宅神)으로 4대조 이상의 선영[21]을 가리키는 말로도 쓰인다. '조상대감'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조령 신앙은 조상 숭배의 형태를 띤다. 이 신앙에 대한 가장 오래된 언급은 중세 한국의 역사서인 삼국사기에 나타나며, 여기에는 김알지와 경주 김씨 가문의 첫 번째 구성원에 대한 '금궤'가 언급되어 있다. 이는 현대의 조상 숭배와 유사성을 보인다. 현대의 호남 지역에서는 한국인들이 집 안에 쌀을 채운 큰 항아리를 보관하는데, 이를 제석 오가리라고 부른다. 제석 오가리에는 쌀이 담겨 있으며, 이와 함께 더 작은 옹기인 맘 오가리가 있다. 맘 오가리에는 조상이나 쌀의 이름을 적어 놓는다. 영남 지역에서는 제석 오가리와 맘 오가리를 세존 단지 및 조상 당세기라고 부른다. 명절과 생일에는 가족들이 제석 오가리와 맘 오가리에 제사를 지낸다. 제사에서 가족들은 풍작과 번영을 기원한다. 흥미롭게도, 조령 신앙은 '조상 할매'라는 모계 사회적 존재에 기반을 둔 것으로 보인다.[1]

5. 5. 조왕신

조왕신


부엌을 관장하는 신으로 화신(火神)이나 재물신(財物神)으로도 여겨진다.

조왕신을 모시기 위해 부뚜막 중앙 정면 벽에 흙으로 작은 단을 만들고 그 위에 중발[22]을 놓는다. 이 중발 안에는 물을 담아두며, 뚜껑이 있는 경우도 있다.[23] 이 중발은 형태가 다양하며 「조왕물그릇」, 「조왕보세기」, 「조왕중발」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24]

조왕신(竈王神)은 한국 무속 신앙에서 불과 부뚜막을 관장하는 여신이다. 부뚜막의 신으로서 조왕신에게 바치는 의례는 주로 집안의 주부들이 이어왔다. 현재는 예전만큼 활발히 숭배되지는 않지만, 여전히 한국의 여러 신들 중 비교적 널리 알려진 편이다.

5. 6. 측신

뒷간에 있다고 믿어지는 신으로 대체로 여성의 이미지로 인식된다.[26] 廁神|측신한국어한국 신화에 등장하는 변소신이다.[25] '변소귀신', '각시귀신', '정낭각시'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26]

다른 집지킴이와 달리 '귀신'이라고 부르는 것을 보면, 숭배하는 신적 존재라기보다는 잡신 또는 잡귀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26] 부뚜막신과 같은 더 잘 알려진 가신들과는 달리, 측신에 대한 숭배는 가신 신앙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부분을 차지한다.[25]

뒷간은 전통적으로 집 밖에 있는 공간으로 여겨졌으며, 집안의 안택이나 고사 때 떡과 술을 부어 놓는 정도로 소극적인 의례만 행해졌다.[26] 중국처럼 양잠[25]과 관련된 뒷간신의 신앙의례는 한국에서는 보이지 않는다.[26]

5. 7. 철륭신

검은 탈을 썼으며 장독간을 지키는 신으로 뒤꼍각시, 천룡신, 철륭지신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5. 8. 업신

업신(業神)은 가정의 운세와 재물을 관장하는 신으로, 집을 지키는 가신 중 하나이다.[27] 한국 신화와 무속 신앙에서는 업신을 창고와 재물의 여신으로 여겼다. 다른 가신들이 주로 항아리, 종이 등 무생물에 깃든다고 믿는 것과 달리, 업신은 유일하게 실제 동물의 모습으로 나타난다는 특징이 있다.

대표적으로 집 구렁이나 두꺼비가 업신이 나타난 모습이라고 믿었으며, 그 외에도 족제비나 소, 개 등도 업신으로 여겨졌다. 이는 과거 한국인들이 농사에 해를 끼치는 쥐를 잡아먹는 뱀이나 족제비 같은 동물을 신성하게 여겼기 때문으로 보인다. 더 나아가 사람의 모습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었는데, 이를 '인업(人業)'이라 하며 재물운을 가져다주는 '업동이'나 '업며느리' 등으로 부르기도 했다.

5. 9. 문신

대문을 지키는 신으로, 대문을 통해 들어오는 액운과 잡귀를 물리치고 복을 가져다 준다고 여겨진다. 수문신, 문간대신, 문왕신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문신은 에 그림을 붙여 모시는 방식으로 숭배된다. 옛 신라 사람들은 처용의 그림을 벽사(辟邪, 사악한 것을 물리침)의 의미로 문에 붙여 문신을 모셨다.[28] 『면암집(勉庵集)』에는 제석날 대문 가운데 그림 대신에 ‘신도울루(神荼鬱壘)’ 네 글자를 크게 써서 붙였다는 기록이 있다.[29] 궁중에서는 신도(神荼), 울루(鬱壘), 위지(尉遲), 진숙보(秦叔寶), 갈(葛) 장군, 주(周) 장군 등을 문신(門神)으로 삼았다. 또한, 세화(歲畵)로 수성선녀(壽星仙女), 직일장군(直日將軍), 종규(鐘馗), 귀두(鬼頭) 등을 대문에 붙였다고 한다.[30]

문신(門神)은 남쪽의 제주도에서는 문전(門前)으로 알려져 있으며, 한국 무속 신앙에서 의 신이다. 문신 숭배는 제주도에서 가장 강력하며, 문전은 가장 숭배받는 신들 중 하나이다. 그러나 문신 숭배는 한반도 본토에도 존재한다.

5. 10. 기타 가신


  • '''우마신''': 농촌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소, 말 등 가축의 안녕을 돌보는 신이다. 마부신, 쇠구영신, 마대장군 등으로도 불린다.
  • '''용왕''': 가족의 건강과 장수, 풍어와 풍년, 그리고 집안의 우물을 관장하는 신이다. 우물신이라고도 한다.
  • '''칠성신''': 북쪽 하늘의 북두칠성을 신으로 모신 것이다. 주로 입신양명, 무사태평, 수명 장수를 기원했다.
  • '''농신''': 곡물의 신이다.
  • '''소삼신''': 젖소의 출산을 돕는 신이다.

6. 의례

가신신앙에서는 집안의 여러 신에게 가족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는 다양한 의례를 행한다. 이러한 의례는 주로 주부가 중심이 되어 정기적으로 또는 특별한 일이 있을 때마다 지낸다. 대표적인 의례로는 매년 또는 격년으로 집안의 평안을 위해 가신에게 지내는 안택이 있으며, 사업장 등에서 무사고와 번창을 기원하는 고사도 넓은 의미에서 가신신앙 의례의 연장선으로 볼 수 있다. 각 의례의 구체적인 방식과 의미는 지역이나 가정에 따라 조금씩 차이를 보인다.

6. 1. 안택고사

경북 울진에서 정월대보름을 맞아 성주신에게 차례를 올리는 여성


안택은 매년 또는 3년마다 음력 10월이나 정월[31]에 주부가 가정의 평안과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고 감사하는 마음으로 가신에게 지내는 가정 단위의 의례이다.[32] 이러한 제의는 가족의 평안과 행운, 재복을 기원하는 명확한 의도를 가지고 진행된다. 보통은 무당이나 당골네들이 중심이 되어 제를 올리지만, 부득이하게 무당이 없을 경우에는 주부가 직접 제주가 되어 가족끼리 지내기도 한다.

고사는 이러한 안택이 점차 변화하여, 가정뿐만 아니라 사업을 하거나 기업을 운영하는 사람들도 지내는 제사를 의미한다. 특히 어촌에서는 배를 가진 선주가 배에서 고사를 지내는 경우가 있는데, 이 역시 배에서 이루어지는 사람들의 평안을 기원한다는 점에서 안택고사의 한 형태로 볼 수 있다.[33]

6. 2. 기타 의례

(내용 없음 -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가신신앙'의 '기타 의례'에 해당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 Terms.naver.com 1996-01-05
[2] 서적 Encyclopedia of Korean Folk Beliefs: Encyclopedia of Korean Folklore and Traditional Culture Vol. II https://books.google[...] 길잡이미디어 2014-07-17
[3] 간행물 문정옥, 蝟島의 民俗 -堂祭(鎭里 및 食島), 家神信仰, 歲時風俗, 通過儀禮篇 p.64. http://www.nfm.go.kr[...]
[4] 논문 문정옥, 「한국 가신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1, p.1∼164. http://www.riss.kr/s[...]
[5] 서적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
[6] 서적 김광언, 『한국의 집지킴이』, 다락방, 2000
[7] 서적 이능화, 『계명』 19, 계명구락부, 1927
[8] 문서
[9] 한국민속대백과사전 http://folkency.nfm.[...]
[10] 학술지 장주근, 「한국 민간신앙의 조상숭배」, 『한국문화인류학』 15, 한국문화인류학회, 1983
[11] 논문 전북지역 세습무의 민족지적 연구 = An Ethnographic Study of Hereditary Shamans in Jeollabuk-do Region 김성식, 全北大學敎,[2017] http://www.riss.kr/s[...]
[12] 논문 國史館論叢 第83輯 > 日帝下 農村女性의 生活과 民間信仰(李銀順) > Ⅴ. 농촌여성의 가택신 숭배 http://db.history.go[...]
[13] 서적 최준식, 『한국의 풍속 민간 신앙』 p.83, 2005
[14] 문서
[1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진흥사업성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가신신앙(家神信仰)》 http://waks.aks.ac.k[...]
[16] 서적 장주근, 『한국의 향토신앙』, 을유문화사, 1975, p.90.
[17] 서적 가정신앙사전-1권
[18]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가신신앙》 http://encykorea.aks[...]
[19] 서적 서천군청, 《전통민속·현대문화 ● 제7편 전통문화 p.151》 https://www.seocheon[...]
[20] 논문 조선시대 양반가의 주거문화 연구 : 풍수문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sidental Culture of Yangban Family Houses in Joseon Dynasty : Focused on Culture of Feng-Shui 전우재, 서경대학교,[2018] http://www.riss.kr/s[...]
[21] 문서
[22] 문서
[23] 논문 家神信仰의 形成과 變化過程 硏究 : 全北地方의 家神信仰을 中心으로 p.15~16 박행묵,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1994] http://www.riss.kr/s[...]
[24] 논문 家神信仰의 形成과 變化過程 硏究 : 全北地方의 家神信仰을 中心으로 p.15~16 박행묵,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1994] http://www.riss.kr/s[...]
[25] 문서
[26] 우리역사넷 우리역사넷 《뒷간신》 http://contents.hist[...]
[27]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콘텐츠닷컴 《업신 - 재물을 불러주는 재복신》 http://www.cultureco[...]
[28] 학술지 정병모, 「民畵와 민간년화」, 『강좌 미술사』 7, 1995
[29] 문서
[30] 서적 이재곤 역,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서울편, 1976, p.57
[31] 문서
[32] 서적 한국민속신앙사전 《가정신앙2편》p.442
[33]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콘텐츠닷컴《안택고사와 가신》 http://cultureconte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