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순은 조선 전기의 무신으로, 황해도 신천 출신이다. 그는 군인으로서 공을 세워 관직에 올랐으며, 왜구 토벌, 이시애의 난 진압, 여진족 정벌 등 북방 지역에서의 활약으로 이름을 알렸다. 1467년 이시애의 난 진압에 참여하여 적개공신에 녹훈되었고, 건주위 토벌에도 참여하여 군공 1등에 녹훈되었다. 이후 우의정까지 올랐으나, 유자광의 모함으로 남이와 함께 옥사하여 죽음을 맞았다. 사후 복권되었으며, 시호는 장민공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68년 사망 - 세조 (조선)
세조는 조선의 제7대 왕으로서, 조카 단종을 폐위하고 왕위에 올라 왕권 강화를 위해 노력했으며, 육조직계제를 실시하고 경국대전 편찬을 시작하는 등 강력한 중앙집권 정책을 추진했다. - 1468년 사망 - 시지스몬도 판돌포 말라테스타
시지스몬도 판돌포 말라테스타는 15세기 이탈리아의 콘도티에로이자 리미니의 영주로서 용병 대장으로 활약하며 템피오 말라테스티아노를 건설했지만, 잦은 배신과 폭력적인 행적으로 교황에게 파문당하는 등 논란이 많았던 인물이며 현대에는 문학과 예술 작품을 통해 재조명된다. - 1390년 출생 - 장 뷔로
15세기 프랑스의 포병 전문가이자 군사 지도자, 행정가였던 장 뷔로는 샤를 7세 휘하에서 백년전쟁의 프랑스 승리에 기여하고 여러 공성전과 전투에서 활약했으며, 행정 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낸 인물이다. - 1390년 출생 - 존 던스터블
존 던스터블은 15세기 초 잉글랜드의 작곡가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르네상스 음악 발전에 기여했고 1453년에 사망했다. - 적개공신 - 윤필상
윤필상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세조와 성종 때 활약하며 이시애의 난 평정에 기여하고 좌의정을 거쳐 명나라를 도와 건주위 토벌에 공을 세웠으나, 무오사화를 주도하여 사림을 숙청하고 갑자사화 때 사사된 후 중종반정으로 복권되었다. - 적개공신 - 김국광
김국광은 조선 초 세조의 측근 문신으로, 《경국대전》 편찬에 기여하고 이시애의 난 토벌에 공을 세워 광산군에 봉해졌으며, 병조판서, 우의정을 역임하는 등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여 사후 불천지위의 은전을 받았다.
| 강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강순(康純) |
| 자 (이름) | 태초(太初) |
| 시호 | 장민공(莊愍公) |
| 출생 | 1390년 |
| 출생지 | 조선 충청남도 남포 |
| 사망 | 1468년 10월 27일 |
| 사망지 | 조선 한성부 |
| 경력 | |
| 복무 | 조선 |
| 복무 기간 | 1443년 ~ 1468년 10월 27일 |
| 최종 계급 | 품계: 정1품 대광보국숭록대부 |
| 최종 관직 | 오위도총부 도총관(정2품급) |
| 주요 참전 전투/전쟁 | 여진족 토벌, 이시애의 난 |
| 기타 이력 | 원종공신 2등, 정충출기포의적개공신(精忠出氣布義敵愾功臣) 1등, 신천부원군, 의정부영의정(정1품급), 시호는 장민 |
2. 생애
2. 1. 초기 생애
강순은 황해남도 신천에서 병마절도사 강진행(康鎭行)의 아들로 태어났다. 강조와 강지연의 후손으로, 신덕왕후의 친정아버지 상산부원군 증 영돈령부사 강윤성의 증손이었다. 그의 집안은 조선 왕실의 가까운 인척이었으나 무안대군, 의안대군이 제2차 왕자의 난 당시 태종 이방원의 손에 처형당했으므로 그의 가계는 사실상 몰락했었다. 그는 군인으로 훈공을 세워 정승의 반열에 올랐다.2. 2. 관료 생활
음보로 관직에 올라 여러 벼슬을 지냈다. 1443년 제주도 지대정현사로 부임하였다. 1443년과 1444년 제주도를 침략한 왜구의 선박을 발견하고 격추하고 왜구 몇 명을 생포하였다. 그 뒤 첨지중추원사, 상호군 등을 거쳐 명나라에 사은사로 다녀왔다. 1443년 회령도호부사가 되고 1450년 판군기감사, 첨지중추원사를 거쳐 평안도 조전절제사가 됐고, 1451년 황해도 조전절제사가 되었다. 1455년 12월 원종공신 2등관에 녹훈되었다. 세조 즉위 후 1456년(세조 2년) 판의주목사, 1458년 다시 첨지중추원사가 되었다가 중추원부사로 승진했다. 1459년 행첨지중추원사가 되었다가 1460년 행 상호군으로 명나라에 파견되는 사절단이 되어 연경에 다녀왔다.1460년 봄 판길주목사, 판영북진도호부사를 거쳐 그해 9월 여진족 모린위 부락을 토벌하였다. 바로 자헌대부로 승자하여 종성절제사로 부임하였다. 1461년 함길도 도절제사, 1465년 중추원사, 1466년 오위도총부 도총관이 되었다.
2. 3. 북방 정벌 및 이시애의 난 진압
1467년 이시애의 난 때 진북장군(鎭北將軍)에 임명되어 손소(孫昭), 어유소를 대동하고 함께 난을 진압하러 나가 함경도 홍원, 북청 등지에서 공을 세우고 되돌아와 적개공신에 녹훈되었다.같은 해 국경을 넘어 여진족의 소굴인 건주위를 칠 때, 서정 장군이 되어 우장군 남이, 좌장군 어유소와 함께 출전하여 여진족 지도자 이만주 부자를 죽이는 등 많은 공을 세우고 돌아왔다.
건주위 토벌에 출정하여 공을 세워 그해 12월 조선으로부터는 군공 1등(軍功一等)에 녹훈되었다. 명나라 헌종으로부터는 은 20냥과 비단을 하사 받았다. 이후로 그의 벼슬이 차차 올라 의정부우의정이 되었다.
2. 4. 모함과 죽음
1468년(세조 13년) 신천부원군으로 봉군되고 오위도총부 도총관이 되었다. 세조가 문둥병으로 세상을 떠나고 예종이 즉위한 해에 유자광의 모함으로 남이와 함께 추국을 당한 뒤 죽음을 당했다.3. 사후
유자광은 국문장에서 고문을 당한 남이와 강순을 엮었다. 강순도 국문을 당하다 남이의 거열형을 본 후 그 자신도 거열형을 당했다.
고문에 정신을 잃고 억지 자백에 응했다가 사형을 선고받는다. 형장으로 끌려가면서 강순은 "남이야! 너는 나와 무슨 원수가 졌기로 나를 끌어넣었느냐?" 하니, 남이는 "여보시오 우상! 나도 참으로 원통하오! 당신은 원상으로 내가 누명을 쓰고 죽는 것을 그대로 보고만 있을 수 있오? 그래서 우상도 같이 죽어야 싸다고 여긴 것이오!" 하고 조롱하였다. 거열형 직후 시신은 7일간 저잣거리에 효수되었다가 누군가에 의해 수습되었다.
그 뒤 충청남도 보령군 청연역 뒤쪽 배자산 아래에 안장했다가 뒤에 보령군 미산면에 이장되었고, 1818년(순조 18년)에 당시 의정부우의정 남공철의 건의로 복권되었고, 1871년(고종 때) 가서 시호가 추서된다. 시호는 장민공(莊敏公)이다.
4. 가족 관계
본가 신천 강씨 증조부는 강윤성이다.[1] 대고모는 신덕왕후이며, 대고숙은 태조이다.[1] 할아버지는 강윤부(康允富)이다.[1] 아버지는 강진행(康鎭行, ? - 1453년)이며, 어머니의 이름은 알려져 있지 않다.[1] 강진행의 첩인 서모의 이름 또한 알려져 있지 않다.[1]
처가 전주 이씨로는 부인 전주 이씨(全州李氏, ? - ?, 병조참의 이확의 딸)가 있다.[1] 강순은 전주 이씨와의 사이에서 아들 강공이(康孔伊, ? - 1468년)를 두었다.[1] 강공이의 부인, 즉 강순의 자부는 의금부(義禁府)에 특명을 받아 연좌되지 않았는데, 이는 그녀의 고모뻘 되는 친척이 명나라 영종의 후궁이었기 때문이다.[2][3] 차남은 강석손(康碩孫, ? - ?)이다.[1] 강순에게는 옥금(玉今),[4] 관음비(觀音非),[4] 부귀(富貴),[4] 중비(仲非,? - 1471년 3월 17일),[5] 춘월(春月),[4] 월비(月非)[6] 등의 첩이 있었다.
5. 평가
참조
[1]
실록
우의정 강순의 아내가 연좌로 고부 관노로 있는 아비 이확을 용서할 것을 청하다
1467-12-26
[2]
문서
영종의 아들 성화제에게는 태비가 된다.
[3]
실록
1468-10-30
[4]
실록
1469-02-03
[5]
실록
1471-03-17
[6]
실록
1469-01-13
[7]
실록
1471-03-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