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서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거서현은 백제의 멸오현에서 유래했으며, 고구려 시기에는 구성현으로 불렸다. 신라 경덕왕 때 거서현으로 개명되었고, 고려 시대에는 용구현으로 변경되어 광주목에 속했다. 조선 시대에는 처인현과 통합되어 용인현이 되었으며, 이후 용인군으로 승격되었다. 1996년 용인시로 승격되어 현재 용인시의 일부 지역을 포괄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라의 현 - 적아현
적아현은 신라 시대부터 한국전쟁 이후까지 존속했던 행정 구역으로, 시대에 따라 은정현, 은풍현 등으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풍기군에 합쳐지거나 순흥에 병합되기도 했고, 일제강점기에는 영주군과 예천군으로 나뉘었으며, 현재는 효자면, 은풍면 등으로 개칭되었고 적아현 박씨의 기원지이다. - 신라의 현 - 거사물현
거사물현은 백제 시대에 설치되어 현재의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번암면 일대로 비정되는 현으로, 마한 영역이었으나 대가야가 설치한 상기물을 백제가 점령하여 설치되었으며, 백제 멸망 후 백제 부흥 운동의 거점인 거물성이 있었고 통일신라 시대에 청웅현, 고려 시대에 거령현으로 개칭되었다. - 용인시의 역사 - 오대양 집단 자살 사건
오대양 집단 자살 사건은 1987년 8월 29일 경기도 용인군에서 사이비 종교 오대양의 교주 박순자를 포함한 신도 32명이 집단으로 사망한 사건으로, 경찰은 집단 자살로 결론지었으나 타살 의혹이 제기되었으며, 이들은 사채 문제와 신경안정제 복용, 그리고 경부 압박에 의한 교살로 사망했다. - 용인시의 역사 - 양지군
양지군은 현재의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과 안성시 고삼면 일대를 관할했던 경기도의 옛 군으로, 통일신라 시대 양량부곡에서 조선시대 양지현을 거쳐 1895년 군으로 승격되었으나 1914년 용인군에 편입되었다.
거서현 | |
---|---|
거서현 (巨黍縣) | |
구성 | 거서현 |
소속 | 멸오군 -> 구성현 |
위치 |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거진읍 일대 |
2. 유래
거서현은 원래 백제의 땅으로, 당시 이름은 멸오(滅烏)였다. '멸오'는 '말아'로 읽혔을 것으로 보이며, 이는 현대 한국어의 '마루(宗)'와 어휘적으로 연관되어 '크다'는 뜻을 지닌 것으로 여겨진다. '거서(巨黍)'는 이 '크다'는 의미를 한자로 나타낸 이름이다.
거서현 지역은 시대에 따라 명칭과 행정 구역이 여러 차례 변화하였다. 백제 시대에는 멸오현(滅烏縣)이었으나, 475년 고구려의 남침 이후 일시적으로 고구려 영토가 되어 구성현(駒城縣)이 설치되었다. 이후 성왕 때 백제가 잠시 회복했으나 신라 진흥왕에 의해 신라 영토로 편입되었다.
고구려 시대의 지명인 구성(駒城)은 '말아'의 앞 글자인 '말'을 말(馬, 駒)의 뜻으로 풀이하여 붙인 이름으로 추정된다.
멸오라는 지명 유래와 관련하여, 장수왕 대에 고구려군이 이 지역에서 백제군을 크게 격파하자 전사한 병사들의 시체에 까마귀 떼가 몰려들었기 때문에 '까마귀를 멸망시켰다'는 뜻으로 이름 붙였다는 설이 있다. 그러나 이 설은 신빙성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된다.[3][1]
한편, 중국 고전인 《사기》나 《순자》에는 '옛날의 뛰어난 활'이라는 의미로 '거서(巨黍)'라는 단어가 사용된 기록이 있다.[2]
3. 연혁
남북국 시대인 757년에는 경덕왕의 행정체제 개편으로 거서현으로 개명되고 한주의 직할 영현이 되었다. 고려 시대에는 용구현(龍駒縣)으로 다시 이름이 바뀌었으며, 광주목의 속현으로 편제되었다가 1172년에는 감무가 파견되기도 했다.
조선 1413년에는 처인현과 통합되어 용구현의 '용(龍)'자와 처인현의 '인(仁)'자를 따 '''용인현'''(龍仁縣)이 되었고, 현의 중심지는 구성에 두었다. 1895년 23부제 시행으로 군(郡)으로 승격되어 충주부 소속의 용인군이 되었으며, 이듬해 13도제 실시에 따라 경기도에 속하게 되었다.
일제강점기인 1914년에는 일제에 의한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양지군 전역과 죽산군 일부 지역(원일면, 원삼면, 근일면, 근이면, 근삼면)을 흡수하여 현재의 용인시와 비슷한 행정 구역을 갖추게 되었다. 이후 1996년 3월 도농복합시인 용인시로 승격되어 오늘에 이른다.
3. 1. 백제와 고구려
백제의 영역이었을 때는 멸오현(滅烏縣)으로 불렸다. 475년, 고구려 군이 대대적으로 남쪽으로 침공하여 백제의 수도였던 한성을 함락시킨 뒤, 일시적으로 고구려의 영토가 되었다. 이때 고구려에 의해 구성현(駒城縣)이 설치되었다.
3. 2. 신라와 통일 신라
백제 성왕대에 백제 영토로 회복되었으나, 이후 신라 진흥왕에 의해 신라 영토로 편입되었다. 남북국 시대인 757년 (경덕왕 16년)에는 행정체제 개편에 따라 거서현으로 이름이 바뀌고 한주(漢州, 광주)의 직할 영현(領縣)이 되었다.
3. 3. 고려 시대
고려 시대에 용구현(龍駒縣)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그러나 독자적인 행정 단위가 되지는 못하고 광주목의 속현이 되었다. 1172년 명종 2년에는 감무가 설치되었다.
3. 4. 조선 시대
조선왕조가 들어서 1413년 태종 13년에 처인현(處仁縣)과 통폐합되었다. 용구현의 '용(龍)'자와 처인현의 '인(仁)'자를 따서 '''용인현'''(龍仁縣)으로 개명하고 현의 치소를 구성에 두었다. 수원진관(水原鎭管) 소속으로 종 5품의 현령이 파견되었다. 조선 후기에는 면리제에 의해 16개 면으로 구획되었다.
3. 5.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
1895년 23부제 실시에 따라 행정구역이 재편되면서 현(縣) 제도가 폐지되고 군(郡)으로 승격되어 충주부 관할의 용인군이 되었다. 치소는 수여면 소학동(巢鶴洞)으로 옮겨졌다. 이듬해 13도제가 시행되면서 다시 경기도에 속하게 되었으며 4등군으로 분류되었다.
일제강점기인 1914년에는 일제의 행정구역 통폐합 정책에 따라 인근의 양지군 전 지역과 죽산군의 일부 면(원일면, 원삼면, 근일면, 근이면, 근삼면)을 병합하여 현재의 용인시와 비슷한 행정 구역을 갖추게 되었다. 이때 군청 소재지도 수여면 김량장리로 이전하였다.
3. 6. 대한민국
1996년 3월 도농복합시인 용인시로 승격되었다.
4. 행정구역 (조선 후기 이후 기준, 위치는 현재의 행정구역 명칭)
조선 후기 거서현의 행정구역은 현재 용인시의 기흥구, 수지구, 처인구 지역에 걸쳐 있었다. 각 지역에 해당했던 면(面)은 다음과 같다.
- 기흥구 지역:
- 읍내면(邑內面), 동변면(東邊面), 서변면(西邊面) (1914년 이후 읍삼면(邑三面), 1931년 이후 구성면으로 통합)
- 구흥면(駒興面), 기곡면(器谷面) (1914년 이후 기흥면으로 통합)
- 수지구 지역:
- 수진면(水眞面)
- 지내면(枝內面)
- 처인구 지역:
- 수여면(水餘面)
- 포곡면(浦谷面)
- 모현면(慕賢面)
- 상동촌면(上東村面), 하동촌면(下東村面) (現 이동읍)
- 옛 처인현 지역: 현내면(縣內面), 도촌면(道村面), 서촌면(西村面), 남촌면(南村面) (現 남사읍)
4. 1. 現 [[기흥구]]
1914년 이후 읍삼면(邑三面)으로 통합되었다가 1931년 구성면(九成面)으로 개칭된 지역은 다음과 같다.1914년 이후 기흥면(器興面)으로 통합된 지역은 다음과 같다.
4. 2. 現 [[수지구]]
4. 3. 現 [[처인구]]
- 수여면(水餘面): 구 용인읍 지역으로, 현재 처인구 동지역 중 동부동을 제외한 전역에 해당한다. 동부동은 옛 양지군에 속했다.
- 포곡면(浦谷面): 현재의 포곡읍으로 이어지고 있다.
- 모현면(慕賢面): 현재의 모현읍으로 이어지고 있다.
- 상동촌면(上東村面)과 하동촌면(下東村面): 현재의 이동읍 지역에 해당한다.
- 옛 처인현 지역 (現 남사읍):
- 현내면(縣內面): 현재 남사읍의 방아리 북부, 창리, 아곡리(衙谷), 완장리.
- 도촌면(道村面): 현재 남사읍의 봉명리 동부, 북리, 봉무리.
- 서촌면(西村面): 현재 남사읍의 봉명리 서부, 통삼리.
- 남촌면(南村面): 현재 남사읍의 방아리 남부(아리실(牙谷)), 원암리, 전궁리, 진목리.
4. 4. 現 [[이동읍]](처인구)
- 상동촌면(上東村面)
- 하동촌면(下東村面)
4. 5. 現 [[남사읍]](처인구), 옛 [[처인현]] 지역
wikitext면(面) | 현재 해당 지역 (남사읍) |
---|---|
현내면(縣內面) | 방아리 북부, 창리, 아곡리(衙谷), 완장리 |
도촌면(道村面) | 봉명리 동부, 북리, 봉무리 |
서촌면(西村面) | 봉명리 서부, 통삼리 |
남촌면(南村面) | 방아리 남부(아리실, 牙谷), 원암리, 전궁리, 진목리 |
참조
[1]
웹사이트
《향토문화대전》, 거서현
http://yongin.grandc[...]
[2]
웹사이트
巨黍
https://cidian.qianp[...]
千篇国学 · 万卷经典 / QIANP.com
2020-09-26
[3]
웹사이트
《향토문화대전》, 거서현
http://yongin.grandc[...]
2014-02-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