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건강염려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건강염려증은 의학적 이상이 없음에도 심각한 질병에 걸렸다고 믿거나 걸릴까 봐 과도하게 걱정하는 정신 질환의 일종이다. 인구의 약 5%가 겪는 흔한 증상으로, 가벼운 통증이나 질병 증상을 더 심각한 질병으로 오해하며, 6개월 이상 여러 병원을 다니며 진단을 반복하는 특징을 보인다. 건강염려증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불안 장애, 강박 장애 등 다른 심리적 장애와 동반되기도 한다. 진단 기준은 ICD-10과 DSM-IV, DSM-5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며, 인지 행동 치료(CBT)와 약물 치료를 통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박 장애 - 클로미프라민
    클로미프라민은 강박 장애 치료에 사용되는 삼환계 항우울제로,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로 작용하며 부작용과 과다 복용 시 심각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 강박 장애 - 일중독증
    일중독증은 과도한 업무 시간과 일에 대한 강박적 몰두로 가족 및 사회적 관계를 소홀히 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긍정적인 헌신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불안, 낮은 자존감, 가로시 등의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 간호 - 전문간호사제도
    전문간호사제도는 보건복지부 장관이 인정하는 13개 분야에서 전문적인 간호 지식과 기술을 갖춘 간호사를 양성하고 활용하기 위한 제도로, 자격 취득 후 의사 지도하에 진료 업무 수행 및 전문적인 간호 제공을 통해 간호의 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 간호 - 간호조무사
    간호조무사는 의료법상 의료인은 아니지만, 간호사를 보조하여 간호 및 진료 보조 업무를 수행하며, 지정된 교육 이수 후 국가시험에 합격하고 보건복지부장관의 자격 인정을 받아야 활동할 수 있다.
  • 정신의학 - 무의식의 하나님
    숨겨진 하나님과의 관계를 의미하는 '무의식의 하나님'은 빅터 프랭클이 제시한 개념으로, 그는 내담자와의 담론을 통해 영적인 무의식에 접근하고 인간의 종교성이 어려움 속에서 의미를 찾는 과정과 연결된다고 보았다.
  • 정신의학 - 분석심리학
    분석심리학은 융이 정립한 심리학 이론으로 개인 및 집단 무의식, 원형을 중심으로 심리를 탐구하며, 콤플렉스, 심리 유형론, 공시성 등의 핵심 개념을 포함하고, 꿈, 신화, 종교 등을 활용해 자기실현을 목표로 하지만 과학적 검증 어려움과 비판도 존재한다.
건강염려증
일반 정보
침대에 누워 있는 남자를 누군가가 간호하고 있다.
오노레 도미에, 상상 속의 병 (1860–1862년경)
증상심각한 질병에 걸렸거나 발병할 것에 대한 과도하고 지속적인 두려움 또는 집착; 과도한 건강 관리 추구
감별 진단공황 장애, 강박 장애, 범불안 장애
치료인지 행동 치료 (CBT)
약물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SSRI), 항우울제
예후약 1~5년 후 ~50%가 진단 기준 충족
빈도~5%
질병 이름
영어Illness anxiety disorder (아이니스 앵자이어티 디스오더)
기타 이름건강 염려증
건강 불안 (HA)
신체 증상 장애
추가 정보
사망해당 사항 없음

2. 정의

건강염려증은 정신 질환의 일종이다. 의학적 검사에서 이상이 발견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심각한 질병에 걸렸다고 믿거나, 걸릴까 봐 과도하게 걱정하는 상태를 말한다.

3. 유병률

건강염려증은 인구의 5% 정도가 겪는 것으로 추정되는 흔한 증상이다. 2016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대한민국에서는 3,817명이 병원에서 건강염려증 진단을 받았다.

연령대비율 (%)
10대3.6
20대11
30대9
40대18
50대19
60대21
70대13.7
80대 이상4


4. 증상

가볍거나 일시적인 통증, 또는 질병 증상을 더 심각한 질병으로 오해한다.[2] 의사로부터 이상이 없다는 진단을 받아도 6개월 이상 다른 병원을 찾아다니며 반복적으로 진단을 받는 경우 건강염려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미한 기침을 결핵으로 오해하거나,[14] 장에서 나는 소리를 심각한 질병의 징후로 받아들일 수 있다.[15]

건강염려증은 신체 또는 정신 상황에 대한 과도한 경계심과 부정적인 인식을 유발하는 "지각 및 인지" 장애인 신체 증폭 장애로 분류될 수 있다.[2] 어떤 사람들은 가족, 친구, 의사에게 확인하게 만드는 수많은 침투적인 생각과 신체적 감각을 가지고 있는 반면, 어떤 사람들은 질병을 연상시키는 것을 너무 두려워하여 의료 전문가를 피하기도 한다.[16] 또 다른 사람들은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에 걸렸으며 어떤 의사도 그들을 도울 수 없다고 확신하며 절망과 우울증에 시달리거나, 이 질병을 과거의 잘못에 대한 벌로 여기기도 한다.[16]

건강염려증은 종종 양극성 장애, 임상 우울증, 강박 장애(OCD), 공포증, 신체화 장애, 공황 장애와 같은 다른 심리적 장애를 동반하며, 범불안 장애 진단을 받기도 한다.[17] 건강염려증을 겪는 많은 사람들은 강박 장애와 유사한 침투적 사고와 강박적인 확인 행동을 보이지만, 질병 감염에 대한 두려움이 주된 차이점이다.[16]

건강염려증 환자는 종종 우울증과 불안으로 인한 신체 증상을 다른 질병의 징후로 오해한다. 예를 들어, 우울증 환자는 식욕 변화, 체중 변동, 피로, 성적 관심 감소 등을 경험하며,[18] 심한 불안은 빠른 심장 박동, 두근거림, 발한, 근육 긴장, 위장 불편, 현기증, 호흡 곤란 등을 유발할 수 있다.[19] 당뇨병이나 관절염과 같은 의학적 질병에 걸린 사람은 우울증과 같은 심리적 결과를 겪거나 심지어 자살을 생각하기도 한다.[20] 마찬가지로, 우울증이나 불안과 같은 심리적 문제를 가진 사람은 의학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증상을 경험하기도 한다.[21] 흔한 증상으로는 두통, 복통, 요통, 관절통, 메스꺼움, 발열, 가려움, 설사, 현기증 등이 있다.[22]

5. 원인

건강염려증에 대한 유전적 요인은 중간 정도로 추정되며, 유전율은 약 10~37%로 추정된다. 비공유 환경 요인(동일 가족 내 쌍둥이 간의 차이)은 질병에 대한 공포와 질병 확신과 같은 주요 요인의 분산을 대부분 설명한다. 반면, 공유 환경 요인(동일 가족 내 쌍둥이가 공유하는 경험)이 건강염려증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0에 가깝다.[23]

건강염려증을 유발하는 비공유 환경 요인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지만, 질병 관련 정보 노출과 같은 특정 요인은 건강 불안을 단기간 증가시키고 개별 사례에서 건강염려증에 기여하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사소한 건강 문제에 대한 과도한 집중과 어린 시절의 개인 또는 가족 구성원의 심각한 질병 또한 건강염려증의 잠재적 원인으로 연루되어 왔다. 범불안 장애와 같은 기저 불안 장애는 개인의 위험을 증가시킨다.[15]

미디어인터넷에서 다발성 경화증과 같은 심각한 질병에 관한 기사, TV 프로그램, 광고는 종종 이러한 질병을 무작위적이고, 모호하며, 다소 불가피한 것으로 묘사한다. 단기적으로, 위험에 대한 부정확한 묘사와 비특이적 증상을 심각한 질병의 징후로 식별하는 것은 질병에 대한 공포를 악화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주요 질병 발병 또는 예측된 유행병도 유사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화적 증거에 따르면 일부 개인은 심각한 의학적 진단을 경험하거나[24] 가족 구성원 또는 친구의 죽음 이후 건강염려증 환자가 된다고 한다. 마찬가지로, 질병으로 인한 부모의 조기 사망 연령에 접근할 때, 그렇지 않으면 건강하고 행복한 많은 개인들이 건강염려증의 희생자가 된다. 이러한 개인들은 부모의 죽음을 초래한 것과 동일한 질병에 걸렸다고 믿으며, 때로는 해당 증상과 함께 공황 발작을 일으키기도 한다.[15]

6. 진단

ICD-10에서는 건강염려증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A. 다음 중 하나:

::* 최소 6개월 이상 지속되는, 최소 두 가지 이상의 심각한 신체 질환이 존재한다는 지속적인 믿음 (이 중 최소 하나는 환자가 구체적으로 명명해야 함).

::* 추정되는 기형이나 외모 손상에 대한 지속적인 집착 (신체 이형 장애).

:B. 믿음과 증상에 대한 집착은 지속적인 고통을 유발하거나 일상 생활의 개인적 기능에 지장을 주며, 환자가 의료 치료나 조사를 받도록 유도한다(또는 지역 치유자로부터 동등한 도움을 받도록 한다).

:C. 증상이나 신체적 이상에 대한 적절한 신체적 원인이 없다는 의학적 조언을 지속적으로 거부한다. 단, 의료 조사 직후 또는 의료 조사 중에 최대 몇 주 동안의 짧은 기간은 예외로 한다.

:D.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제외 기준: 정신분열증 및 관련 장애(F20–F29, 특히 F22) 또는 기분 장애 (F30–F39) 중에만 발생하는 것이 아님.

DSM-IV는 건강염려증을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정의한다.[7]

:A. 신체 증상에 대한 개인의 오해를 바탕으로, 심각한 질병에 걸릴 것이라는 두려움이나, 질병에 걸렸다는 생각에 대한 집착.

:B. 적절한 의학적 평가와 안심에도 불구하고 집착이 지속된다.

:C. A 기준에 따른 믿음은 망상적 강도가 아니며 (망상 장애, 신체형) 외모에 대한 제한된 관심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신체 이형 장애).

:D. 집착은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고통이나 손상을 유발한다.

:E. 장애의 지속 기간은 최소 6개월이다.

:F. 집착은 전반적인 불안 장애, 강박 장애, 공황 장애, 주요 우울 에피소드, 분리 불안 장애 또는 다른 신체형 장애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DSM-5의 다섯 번째 버전에서는 DSM-IV의 건강염려증 기준을 충족하는 대부분의 사람이 대신 신체 증상 장애 (SSD) 또는 질병 불안 장애 (IAD)의 진단 기준을 충족한다.[9]

6. 1. 분류

건강염려증의 분류는 다른 정신 질환과의 관계에서 오랫동안 학문적 논쟁의 대상이었으며, 서로 다른 진단 시스템과 영향력 있는 출판물에 따라 크게 달랐다.[25]

DSM의 경우, 초기 버전과 두 번째 버전에서는 건강염려증을 신경증으로 분류했지만, 세 번째와 네 번째 버전에서는 신체형 장애로 분류했다. 현재 DSM(DSM-5)은 신체 증상 장애(SSD)를 "신체 증상 및 관련 장애"라는 항목 아래에, 질병 불안 장애(IAD)를 이 항목과 불안 장애로 모두 분류하고 있다.[25]

ICD-10은 DSM의 세 번째 및 네 번째 버전과 마찬가지로 건강염려증을 신체형 장애로 분류한다.[26] 그러나 ICD-11은 건강염려증을 "강박 장애 또는 관련 장애"라는 항목 아래에 분류한다.[27]

1990년대 초부터 건강염려증을 불안 장애로 간주하고, 이 상태를 "건강 불안" 또는 "건강 관련 강박 장애"라고 지칭하는 것이 점점 더 일반화되었다.[28]

7. 대처 및 치료

병원 진료나 심리적 상담을 통해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상담만으로도 신체적 신호에 대한 적절한 반응과 건강염려증에 대한 올바른 입장과 그 대안적 행동을 취하는데 효과적이다. 이러한 건강염려증은 과도하거나 예민한 경우에서 비효율적인 감정 상황으로의 이행을 야기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이유에서 인지적 불균형과 불안과의 주요한 연관성이 언급된다.

7. 1. 심리 치료

인지 행동 치료(CBT)는 약 20건의 무작위 대조 시험과 수많은 관찰 연구를 통해 건강염려증에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입증되었다.[29][30][31][32] 일반적으로 환자의 약 2/3가 치료에 반응하며, 약 50%는 치료 후 더 이상 건강 염려증을 겪지 않는 관해 상태를 보인다.[32] 치료 효과는 중간에서 큰 정도로 나타나며, 시간이 지나도 지속되는 경향을 보인다.[36][32]

건강 염려증 및 건강 불안에 대한 CBT는 대면, 개별 또는 집단 치료, 전화,[33] 자조 도서를 통한 안내된 자조 치료, 온라인 치료 플랫폼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치료자는 개별적인 신체 감각에 대한 인지 모델을 제시하고, 환자가 더 안심할 수 있는 해석을 채택하도록 돕는다. 기존 해석과 다른 해석의 장단점 및 증거를 재조사하고 논의하며, 행동 실험을 통해 안심할 수 있는 해석을 채택하도록 지원한다. 또한, 불안감에 대한 대처 방법(주의 분산 기술, 이완 등) 습득을 돕는 것도 효과적이다.

병적 불안증 치료의 목표는 신체 감각 제거가 아니라 질병에 대한 불안감이나 신념을 경감시키거나 대처 방법 습득을 지원하여 심리적 고통을 완화하는 것이다. 불안 장애의 일종인 병적 불안증에는 인지 행동 치료가 효과적이다.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와 같은 항우울제도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증거가 있으며,[37][38] 경우에 따라 건강 염려증은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인 항정신병제에 잘 반응하기도 한다.[39]

7. 2. 약물 치료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와 같은 항우울제는 건강염려증 증상 감소에 효과적일 수 있다.[37][38] 어떤 경우에는 건강 염려증이 특히 새로운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인 항정신병제에 잘 반응한다.[39]

8. 어원

"Hypochondria"는 후기 라틴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복부의 늑골 아래 부위를 가리킨다.[40] 이 단어는 고대 그리스어 ὑποχόνδριος (hypokhondrios)에서 유래되었는데, ὑπό (hypo, "아래")와 χόνδρος (khondros, 연골(흉골))에서 파생된 "갈비뼈와 배꼽 사이의 부드러운 부분"을 의미한다.[40]

고대에는 늑골 아래 부위의 내장이 우울증의 근원이며, 병적인 감정을 유발하는 증기의 근원이라고 믿었다.[41] 18세기 초까지 이 용어는 "갈비뼈 아래 부위(위 또는 소화 기관)의 불균형으로 인한 신체 질환"을 지칭했다.[42] 로버트 버튼의 ''멜랑콜리의 해부''(1621)에서는 "과도한 침"에서 "창자 소리"까지 건강염려증의 원인으로 지목했다.

이마누엘 칸트는 1798년 저서 ''실용적 관점에서의 인류학''에서 건강염려증을 언급하며, 건강염려증 환자의 질병은 특정한 신체 감각이 실제 질병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그 존재에 대한 불안감을 자극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42]

참조

[1] 서적 Hypochondriasis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2] 논문 Recommendations for the Treatment of Hypochondriac Patients
[3] 서적 Abnormal Psychology with Cases Wiley
[4] 문서 Shan-Tilly
[5] 서적 Practical Guide to the Care of the Psychiatric Patient Mosby/Elsevier
[6] 웹사이트 The ICD-10 Classification of Mental and Behavioural Disorders Clinical descriptions and diagnostic guidelines https://www.who.int/[...] Microsoft Word 2021-06-23
[7] 문서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ised, Washington, DC, APA, 2000
[8] 논문 DSM-IV hypochondriasis in primary care https://escholarship[...] 1998-05
[9] 웹사이트 DSM-5 redefines hypochondriasis - Mayo Clinic http://www.mayoclini[...]
[10]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 DSM-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11] 논문 The effects of safety behaviors on health anxiety: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2011-11
[12] 웹사이트 Illness anxiety disorder https://www.mayoclin[...] Mayo Clinic 2023-01-02
[13] 논문 All-Cause and Cause-Specific Mortality Among Individuals With Hypochondriasis https://jamanetwork.[...] 2024-01-24
[14] 서적 Psychology Macmillan 2011
[15] 서적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 2022
[16] 논문 Hypochondriasis and its relationship to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2000-09
[17] 논문 Hypochondriasis and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1992-12
[18] 웹사이트 Depression https://www.nimh.nih[...]
[19] 웹사이트 Anxiety Disorders https://www.nimh.nih[...]
[20] 웹사이트 Mental Health {{!}} ADA https://www.diabetes[...] 2019-10-10
[21] 논문 Psychiatric and Somatic Markers of Anxiety: Identification and Pharmacologic Treatment 2000-04
[22] 웹사이트 Illness Anxiety Disorder https://www.lecturio[...] 2021-06-24
[23] 논문 Genetic and environmental origins of health anxiety: a twin study
[24] 논문 The Development of Illness Anxiety Disorder in a Patient After Partial Thyroidectomy 2022-05-27
[25] 논문 The Relationship of Hypochondriasis to Anxiety, Depressive, and Somatoform Disorders 2016-03-01
[26] 논문 Hypochondriasis: Clinical Profile in a Tertiary Care Psychiatry and Neurosciences Hospital in Southern India –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2019
[27] 웹사이트 ICD-11 for Mortality and Morbidity Statistics https://icd.who.int/[...] 2023-12-30
[28] 논문 Validity and clinical utility of distinguishing between DSM-5 somatic symptom disorder and illness anxiety disorder in pathological health anxiety: Should we close the chapter? 2023-02-01
[29] 논문 Cognitive-behavioral therapy for hypochondriasis/health anxiety: a meta-analysis of treatment outcome and moderators 2014-07
[30] 논문 Psychological Treatments for Hypochondriasis: A Narrative Review 2014-02
[31] 논문 Cognitive Behaviour Therapy for Health Anxie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ttps://orca.cardiff[...] 2017-03
[32] 논문 Cognitive behavior therapy for health anxiety: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clinical efficacy and health economic outcomes https://figshare.com[...] 2019-11-02
[33] 논문 Clinical and economic outcomes of remotely delivered cognitive behaviour therapy versus treatment as usual for repeat unscheduled care users with severe health anxiety: a multicentre randomised controlled trial
[36] 논문 Sustained benefit of cognitive behaviour therapy for health anxiety in medical patients (CHAMP) over 8 years: a randomised-controlled trial https://archive.lstm[...] 2021-07
[37] 논문 Pharmacological Treatments for Hypochondriasis: A Review 2014-02
[38] 논문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Medication and Cognitive-Behavioral Therapy for Hypochondriasis 2017-08
[39] 서적 Clinical Management in Psychodermatology Springer
[40] 웹사이트 hypochondria (n.) http://www.etymonlin[...] 2015-04-14
[41] 논문 Toward a Lifestyle Medicine Approach to Illness Anxiety Disorder (Formerly Hypochondriasis) 2018-04-27
[42] 뉴스 New book tries to explain the roots of hypochondria https://www.chicagot[...] 2012-07-11
[43] 문서 DSM-IV-TR
[44] 서적 コメディカルのための専門基礎分野テキスト 精神医学 中外医学社
[45] 서적 認知行動療法の科学と実践 星和書店
[46] 서적 認知行動療法の科学と実践 星和書店
[47] 서적 認知行動療法の科学と実践 星和書店
[48] 서적 認知行動療法事典 丸善出版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