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검암서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검암서원은 1694년(숙종 20)에 조헌을 주향하고 여러 인물을 배향하여 설립된 서원이다. 1871년(고종 8)에 철폐되었으나, 1958년에 유림에 의해 다시 세워졌다. 조헌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의병장으로,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청주성을 수복했으나 금산 전투에서 전사했다. 신지익은 송시열이 행장을 찬했으며, 신응태는 송시열의 문인으로 스승의 신원을 위해 노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94년 완공된 건축물 - 포탈라궁
    포탈라궁은 티베트 라싸에 위치한 달라이 라마의 겨울 궁전이자 전통적인 거주지로, 17세기 롭상갸초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백궁과 홍궁으로 구성되어 티베트 불교의 중심지이자 역사와 문화를 상징하는 건축물로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 충청북도의 서원 - 충주 임충민공 충렬사
    충주 임충민공 충렬사는 조선 시대 임경업 장군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숙종 때 건립된 사당으로, 이괄의 난과 병자호란에서의 공을 기리며 유품과 장군 부인의 정렬비가 함께 보존되어 있다.
  • 충청북도의 서원 - 충주 팔봉서원
    충주 팔봉서원은 충청북도 충주시에 있는 서원으로, 조선 시대에 건립되어 사액을 받았으나 폐원되었다가 복원되었으며, 이자 등 네 인물을 배향하고 역사적, 교육적, 문화적 가치를 지닌다.
  • 청주시의 향토유적 - 추월정
    추월정은 조선 초 문신 이득윤이 지은 정자로, 그의 가문 배경과 당시 정치, 문화적 상황이 반영되어 조선시대 정자의 건축적 특징을 보여주는 역사 문화 관광 자원이다.
  • 청주시의 향토유적 - 청석굴
    청석굴은 충청북도 청주시에 위치한 옥화9경 중 제1경으로, 옥천 누층군으로 구성된 동굴이다.
검암서원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개요
검암서원
검암서원
이름검암서원
영문 명칭Geomam Seowon
위치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가덕면 병암2리 215-2
상세 정보
유형향토유적
지정 번호31
지정일2015년 4월 17일
소유자검암서원
관리자검암서원
면적알 수 없음
수량1동
시대알 수 없음
참고알 수 없음
웹사이트알 수 없음
문화재청알 수 없음

2. 연혁

1694년(숙종 20년)에 조헌을 주향하고, 한일휴, 지여해, 신지익, 변상회, 송국헌, 신영식, 이동형, 박문고, 연최적을 배향하여 창건되었다. 당시 원생 15명과 자모생 15명을 두었다. 이후 1871년(고종 8년)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 때 철폐되었다. 1958년에 지역 유림들이 뜻을 모아 서원을 다시 세웠으며, 이때 신응태를 추가로 배향하였다.

3. 배향 인물

검암서원은 1694년(숙종 20년) 처음 세워질 때 조헌주향(主享, 서원의 중심 인물로 모심)하고, 한일휴(韓日休), 지여해(池汝海), 신지익, 변상회(卞尙會), 송국헌(宋國憲), 신영식(申永植), 이동형(李東亨), 박문고(朴文古), 연최적(延最積)을 배향(配享, 주향 인물과 함께 모심)하였다. 이후 1871년(고종 8년)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철폐되었다가 1958년 유림들이 다시 세우면서 신응태를 추향(追享, 나중에 추가로 모심)하였다.

=== 주향 인물: 조헌 ===

'''조헌(趙憲)'''
항목내용
본관배천(白川)
여식(汝式)
중봉(重峯), 도원(陶原), 후율(後栗)
생몰년1544년 ~ 1592년
출생지경기도 김포
스승이이, 성혼



조헌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유학자이며, 임진왜란 때 활약한 의병장이다. 이이와 성혼의 문하에서 학문을 배웠다. 1567년(선조 원년) 문과에 급제한 후 여러 관직을 거치며 관리로서의 경력을 쌓았다. 특히 통진현감 시절에는 왕실 소속 노비의 잘못을 엄히 다스리다 탄핵받아 귀양을 가기도 했고, 보은현감 시절에는 선정을 베풀어 칭송받았다.

그는 불의를 보고 참지 못하는 강직한 성품의 소유자로, 여러 차례 상소를 올려 당시 정치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혁을 주장했다. 특히 정여립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이산해 등 당시 권력자들의 잘못을 비판하는 상소를 올렸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관직에서 물러난 후에는 옥천군에 후율정사(後栗精舍)를 짓고 학문 연구와 제자 양성에 힘썼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옥천에서 1,600여 명의 의병을 모아 승병장 영규와 함께 청주성을 되찾는 큰 공을 세웠다. 그러나 충청도순찰사 윤국형의 방해로 의병이 강제로 해산당하자, 남은 700여 명의 병력을 이끌고 금산으로 이동했다. 여기서 고바야카와가 이끄는 왜군과 맞서 싸우다 장렬히 전사하였다. 이 전투는 700명의 의병이 모두 순절한 비극적인 전투로, 후세 사람들은 이들을 기려 칠백의총을 세웠다.

사후 선무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고, 1734년(영조 10년)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1883년(고종 20년)에는 성균관 문묘에 배향되었으며, 옥천의 표충사(表忠祠), 배천의 문회서원(文會書院), 김포의 우저서원(牛渚書院), 금산의 성곡서원(星谷書院), 보은의 상현서원(象賢書院) 등 여러 서원에 모셔졌다. 시호는 문열(文烈)이다.

=== 배향 인물: 신지익 ===

'''신지익(申之益)'''
항목내용
본관아주(鵝洲)
순거(舜擧)
양일당(養一堂)
생몰년1588년(선조 21년) ~ 1649년(인조 27년)
주요 특징뛰어난 효행으로 정려됨 (청원 가양리 삼효각)
관련 인물신지제(종형), 신협(사촌), 신심(아들), 신응태(손자)



신지익은 학문과 행실이 뛰어났던 인물로, 특히 효행으로 널리 알려졌다. 아버지를 일찍 여의고 홀어머니를 극진히 모셨으며, 어머니가 병에 걸리자 목욕재계하고 북두칠성에 빌며 자신의 손가락을 잘라 피를 마시게 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어머니 상을 당했을 때는 슬픔에 겨워 기절하기도 했으며, 상복을 벗지 않고 예를 다했다. 이러한 효행이 알려져 사촌 신협(申鋏), 아들 신심(申鐔)과 함께 청주시 미원면 가양리 솔골에 세워진 삼효각(三孝閣)에 정려되었다. 송시열이 그의 행적을 기록한 글(행장)을 지었으며, 그의 이야기는 『삼강록』에도 실렸다.

=== 추향 인물: 신응태 ===

'''신응태(申應泰)'''
항목내용
본관아주(鵝洲)
초명응개(應漑)
길래(吉來)
용애(龍崖)
생몰년1643년(인조 21년) ~ 1728년(영조 4년)
출생지충청북도 청주시
스승송시열



신응태는 신지익의 손자로, 송시열의 문하에서 학문을 배웠다. 5세 때 아버지를 여의고 홀어머니를 극진히 봉양하였다. 여러 차례 향시에 합격했으나 과거에는 나아가지 않고 학문 연구에 전념하여 성리학역학에 깊은 조예를 보였으며, 천문과 역수(曆數)에도 밝았다.

1689년(숙종 15년) 스승 송시열이 사사되자, 그의 억울함을 풀어달라는 상소를 올리고 대궐 앞에서 시위하는 등 스승의 명예 회복을 위해 노력했다. 또한 명나라 신종 황제를 제사 지내자는 유림들의 운동에도 앞장섰다. 말년에는 후학 양성에 힘써 많은 제자를 길러냈다. 저서로는 『용애문집(龍崖文集)』 4권 1책이 있다.

=== 기타 배향 인물 ===


  • 한일휴(韓日休)
  • 지여해(池汝海)
  • 변상회(卞尙會)
  • 송국헌(宋國憲)
  • 신영식(申永植)
  • 이동형(李東亨)
  • 박문고(朴文古)
  • 연최적(延最積)

4. 건축물

현재 서원은 1958년에 다시 짓고(중건), 1960년에 고쳐 지었으며(중수), 1985년에 보수한 건물이다.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1칸 반 크기이며, 겹처마 팔작지붕을 얹은 목조 기와집 형태이다. 내부는 하나의 큰 방(통칸)으로 되어 있고 시멘트와 모르타르를 섞어 바른 벽(양회방)에 분합문을 달았으며, 앞쪽에는 툇마루(앞퇴)를 두었다. 건물에는 '충효사(忠孝祠)'라는 편액을 걸었다. 마당 앞에는 '검암서원(儉岩書院)'이라는 현판을 단 삼문을 세우고 주위에 담장을 둘렀다.

5. 향사 및 재산

검암서원에서는 매년 음력 3월 중정(中丁)에 향사를 지낸다. 이때 올리는 제품(祭品)은 7변(籩) 7두(豆)이다. 서원의 재산으로는 대지 300 1,400여이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