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계기착륙장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계기착륙장치(ILS)는 지상 기반의 계기 접근 방식 시스템으로, 항공기가 활주로에 접근하여 착륙하는 데 필요한 좌우 및 수직 유도를 제공한다. 로컬라이저, 글라이드 패스, 마커 비콘 또는 거리 측정 장비(DME)로 구성되며,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시정 불량 시에도 안전한 착륙을 가능하게 한다. ILS는 ICAO(국제 민간 항공 기구)에서 정밀도에 따라 여러 카테고리로 분류하며, 카테고리가 높을수록 악천후에서의 착륙이 가능하지만, 장비의 고장이나 한계점도 존재한다. 최근에는 GPS, 광역 보강 시스템(WAAS) 등 대체 기술의 개발로 ILS의 역할이 변화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항행 안전 시설 - 로란
    로란은 두 기지국 신호의 시간차를 측정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장거리 무선 항법 시스템이며, 로란-A, 로란-C 등으로 발전하여 사용되다가, 현재는 eLORAN 기술을 통해 정확도를 개선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 항행 안전 시설 - 관성항법장치
    관성항법장치는 가속도계와 자이로스코프를 사용하여 물체의 위치와 방향을 추적하는 기술이며, 가속도 적분, 방향 감지, IMU, 컴퓨터 등으로 구성되고, 오차 보정을 위해 GPS와 결합하여 항공기, 미사일, 자율주행차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 항공전자 - 무인 항공기
    무인 항공기는 조종사 없이 자율 또는 원격 조종으로 비행하는 동력 비행체로,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되어 군사 및 민간용으로 활용되지만 안전 및 보안 위협, 사이버 공격, 악의적 사용 가능성 등의 문제점도 존재한다.
  • 항공전자 - TACAN
    TACAN(태켄)은 항공기의 방위와 거리를 동시에 측정하는 항법 시스템으로, UHF 대역을 사용하여 VOR/DME 시스템의 기능을 통합했으며, 함선이나 차량에도 설치 가능하고, 거리 측정 기능은 민간에서 VORTAC으로 사용되지만, GPS 기술 발전으로 중요성은 감소하고 백업 시스템으로서의 역할이 유지될 전망이다.
계기착륙장치
개요
계기 착륙 시스템 작동 방식
계기 착륙 시스템 작동 방식
설명계기 착륙 시스템(Instrument Landing System, ILS)은 항공기가 악천후 속에서도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도록 돕는 지상 기반 정밀 접근 시스템이다.
작동 원리지상에서 전파 신호를 보내 항공기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활주로로 유도한다.
사용 목적특히 시야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 항공기의 안전한 착륙을 보장하는 데 필수적이다.
구성 요소
로컬라이저 (Localizer)활주로의 중심선 정보를 제공하며, 항공기가 활주로의 좌우 방향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유도한다.
글라이드 슬로프 (Glide Slope)적절한 강하 각도를 유지하도록 돕고, 항공기가 너무 높거나 낮게 접근하지 않도록 한다.
마커 비컨 (Marker Beacon)특정 지점에서의 거리 정보를 제공하며, 접근 과정에서의 위치를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최근에는 DME로 대체되는 추세)
DME (Distance Measuring Equipment)활주로까지의 정확한 거리 정보를 제공하며, 마커 비컨을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다.
작동 방식
접근 절차항공기는 ILS 신호를 따라 활주로로 접근하며, 조종사는 계기판의 지시에 따라 항공기를 조종한다.
자동 착륙일부 항공기는 ILS와 자동 조종 장치를 연동하여 완전 자동 착륙을 수행할 수 있다.
ILS 등급
CAT I시정 800m 이상 또는 활주로 가시거리 550m 이상, 결심 고도 60m (200ft) 이상.
CAT II시정 400m 이상 또는 활주로 가시거리 300m 이상, 결심 고도 30m (100ft) 이상.
CAT IIICAT IIIa: 활주로 가시거리 200m 이상, 결심 고도 없음 (또는 0).
CAT IIIb: 활주로 가시거리 50m 이상, 결심 고도 없음 (또는 0).
CAT IIIc: 활주로 가시거리 0m, 결심 고도 없음 (자동 착륙 시스템 필요).
장점
안전성악천후 속에서도 높은 수준의 안전성을 제공한다.
정밀성정밀한 유도 기능으로 정확한 착륙을 돕는다.
신뢰성오랜 기간 동안 사용되어 온 신뢰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단점
비용설치 및 유지 보수에 상당한 비용이 소요된다.
지형 제약주변 지형에 따라 설치가 제한될 수 있다.
전파 간섭전파 간섭에 취약할 수 있다.
대안
위성 항법 시스템 (GNSS)GPS나 WAAS와 같은 위성 기반 시스템이 ILS를 대체하거나 보완할 수 있다.
GBAS (Ground Based Augmentation System)지상 기반 보정 시스템으로, GNSS의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기타
관련 용어VOR
DME
NDB
참고 자료
관련 문서항공
항법
공항

2. 작동 원리

ILS 비행기


계기착륙장치(ILS)는 지상 기반의 계기 접근 방식 시스템으로, 활주로에 접근하여 착륙하는 항공기에 정밀한 좌우 및 수직 유도를 제공한다. 이는 무선 신호와 많은 경우 고강도 조명 배열을 결합하여 계기 비행 조건(IMC)과 같이 낮은 운고 또는 안개, 비, 눈보라로 인한 시정 감소 시에도 안전한 착륙을 가능하게 한다.

공항·비행장 측 시설은

# 진입 방향(가로 위치)을 나타내는 '''로컬라이저'''(LOC, LLZ영어라고도 함)

# 강하 경로(세로 위치 또는 높이)를 나타내는 '''글라이드 패스'''(GP, 글라이드 슬로프〈GS영어〉라고도 함)

# 활주로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마커 비콘'''(MB영어, 마커〈MKR영어〉라고도 함) 또는 T-DME 또는 대체 픽스

로 구성된다.[31]

위가 로컬라이저, 아래가 글라이드 패스의 전파 범위를 나타낸 그림


로컬라이저는 활주로 반대쪽 끝(활주로 중심선상)에서 약간 벗어난 서로 다른 방향으로 150Hz 및 90Hz로 변조된 전파를 발사한다. 로컬라이저의 주파수는 108.10 MHz - 111.95 MHz(50kHz 간격이지만 100kHz 부분은 홀수만 있으므로, 108.10, 108.15, 108.30, 108.35, 108.50 등이 된다)의 범위로, 공항마다, 그리고 활주로마다 다르다. 항공기 측에서는 로컬라이저용 안테나로 수신한 신호를 복조하여 150Hz와 90Hz의 성분의 강도를 비교하여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벗어난 양을 알 수 있다.

글라이드 패스는 329.30 MHz - 335.00 MHz가 사용되지만, 활주로 앞의 접지점 옆(PAPI 옆 근처)에서 상하로 다른 저주파 신호로 변조되어 있으며, 로컬라이저와 동일한 원리이다. 글라이드 패스의 주파수(후술할 T-DME의 기상 및 지상 주파수도)는 로컬라이저의 주파수와 연동되어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공항의 ILS의 주파수라고 하면 로컬라이저의 주파수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들 설비가 사용하는 주파수는 세트로 되어 있으며, 40종류의 채널이 있게 된다.

항공기 측의 수신기는 좌우·상하의 어긋남의 양을 감지하여, 조종사에게 CDI(Course Deviation Indicator, 코스 편향 지시기) 또는 CDI를 포함하는 통합 계기에 표시하여 제시한다. 또는 자동 조종 장치를 작동시킨다. 조종사 또는 자동 조종 장치가 이 차이를 없애도록 비행함으로써, 올바른 경로를 따라 진입이 가능하게 된다.

MKR영어 또는 T-DME로 활주로까지의 거리를 알 수 있다. MKR영어은 상공에 지향성이 있는 75MHz의 신호로, 항공기가 통과했을 때 활주로까지의 거리를 표시와 소리로 조종사에게 알린다. 이너 마커 (IM)·미들 마커 (MM)·아우터 마커 (OM)의 3종류가 있다. 일반적으로는 활주로 말단까지 각각 0.1nm (해리)·0.5 - 0.8nm·3.6 - 6nm이며, 이상적인 글라이드 슬로프에 항공기가 타고 있다면, 각각 접지 직전·200ft·1400ft 부근을 통과했음을 알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너 마커·미들 마커·아우터 마커는 각각, 3kHz·1.3kHz·400Hz로 변조된 신호이다. T-DME는 DME와 동일한 원리이며, 접지점까지 연속적으로 거리 측정이 가능하다. MKR영어 또는 T-DME를 이용할 수 없을 때는, 그것을 대신하는 레이더 픽스가 필요하며, 일본에서는 인정되지 않지만, 일본 국외에서는 컴퍼스 로케이터(최종 진입로의 시작 지점에 있는 NDB국) 등의 항법 시설에 의한 픽스로 대체가 가능할 경우도 있다.

비행 중에는 CDI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글래스 콕핏을 채용한 여객기 등에서는 착륙 모드 시에만 표시하고 있다.

2. 1. 빔 시스템

과거 맹목 착륙 무선 보조 장치는 주로 빔 시스템 형태를 취했다. 이 시스템은 무선 송신기와 전동 스위치를 연결하여 모스 부호 점과 대시 패턴을 생성하고, 두 개의 지향성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전송했다. 활주로 한쪽 면에는 점, 다른 쪽 면에는 대시 신호가 전송되었고, 중앙에서는 두 신호가 겹쳐 안정적인 톤(등신호)을 생성했다.[3]

항공기는 무선 수신기로 신호를 수신하여 활주로 정렬 여부를 판단했다. 조종사는 헤드폰으로 신호를 듣고, 점과 대시(모스 부호 "A" 또는 "N") 소리에 따라 위치를 조정하거나, 등신호를 통해 정확한 정렬을 확인했다. 그러나 이 방식은 조종사의 숙련도에 크게 의존했고, 시끄러운 환경에서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3]

빔 시스템의 정확도는 방위각에서 약 3도 정도로, 활주로 방향 유도에는 유용했지만 악천후 속 안전한 착륙 유도에는 충분하지 않았다. 무선 코스 빔은 측면 유도에만 사용되었고, 폭우나 안개 속 착륙에는 부적합했다. 착륙 결정은 공항에서 300m 떨어진 지점에서 내려졌다.[3]

2. 2. ILS 개념

현대의 계기착륙장치(ILS)는 변조 지수 개념을 이용하여 더 복잡한 신호 시스템과 안테나 배열을 통해 높은 정확도를 제공한다.[3]

ILS는 90Hz와 150Hz의 두 변조 신호를 반송파에 혼합하여 작동하며, "반송파 및 측파대"(CSB)와 "측파대만"(SBO) 신호를 생성한다.[4]

수평 유도를 위한 ''로컬라이저''는 활주로 끝 중앙에 위치하며, SBO 신호에 특정 위상 변화를 적용하여 활주로 좌우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4] 중심선에서는 SBO 신호가 상쇄되어 CSB 신호가 우세하며, 좌우 위치에 따라 특정 변조 신호가 우세하게 된다.[4]

로컬라이저 적용 범위의 일반적인 제한


로컬라이저의 신호는 활주로 중심선 양쪽 10도 이내에서 25해리, 양쪽 35도 이내에서 17해리까지 사용 가능하다.[5]

''글라이드 슬로프''는 로컬라이저와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하며, 활주로 옆에 위치하여 상하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4] 글라이드 슬로프는 328.6MHz와 335.4MHz 사이의 주파수를 사용하며, 로컬라이저 주파수와 쌍을 이룬다.[5][6]

항공기 수신기는 로컬라이저와 글라이드 슬로프 신호를 복조하여 직류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통해 좌우, 상하 편차를 파악한다.[4] 전압계 또는 코스 편향 지시기(CDI)를 통해 편차를 확인하고, 조종사 또는 자동 조종 장치가 이를 수정하여 올바른 경로를 유지한다.[31]

```wikitable

시설기능주파수설명
로컬라이저 (LOC, LLZ)진입 방향 (좌우 위치)108.10 MHz - 111.95 MHz활주로 반대쪽 끝에서 150Hz 및 90Hz로 변조된 전파 발사[31]
글라이드 패스 (GP, GS)강하 경로 (상하 위치)329.30 MHz - 335.00 MHz활주로 앞 접지점 옆에서 상하로 다른 저주파 신호로 변조[31]
마커 비콘 (MB, MKR)활주로까지의 거리75 MHz상공에 지향성 있는 신호, 항공기 통과 시 거리 표시 및 소리 알림[31]
T-DME활주로까지의 거리접지점까지 연속 거리 측정 가능[31]


2. 3. ILS 사용

항공기는 ILS 수신기를 통해 변조 깊이 비교를 수행하여 유도 신호를 수신한다. 신호는 자동 조종 장치로 라우팅되어 자동으로 착륙하거나, 수동 조작을 통해 착륙할 수 있다. ILS는 로컬라이저와 글라이드 슬로프 두 개의 독립적인 하위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각각 수평 및 수직 안내를 제공한다.

계기 비행 방식(IFR) 운항 중 ILS 접근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정보는 계기 착륙 절차 차트(접근 차트)에 게시된다. 차트에는 ILS 구성 요소 또는 항행 안전 시설에서 사용되는 무선 주파수와 규정된 최소 시정 요구 사항이 포함된다.

3. 구성 요소

ILS는 크게 로컬라이저, 글라이드 슬로프로 구성된다.[31]

;로컬라이저 (Localizer)

로컬라이저(LOC)는 항공기가 활주로 중심선과 일치하도록 좌우 방향을 안내하는 계기착륙장치(ILS)의 구성 요소이다.[7] 로컬라이저는 활주로 끝단에 설치되며, 일반적으로 여러 쌍의 지향성 안테나 위상 배열로 구성된다.[31]

독일 하노버 공항 27R 활주로의 로컬라이저


로컬라이저는 활주로 반대쪽 끝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150Hz 및 90Hz로 변조된 전파를 발사한다. 이 전파는 항공기의 좌우 편차를 감지하는 데 사용된다.[31] 로컬라이저의 주파수 범위는 108.10 MHz - 111.95 MHz이며, 50kHz 간격으로 설정되지만 100kHz 부분은 홀수만 사용한다. 예를 들어 108.10, 108.15, 108.30, 108.35 MHz 등이 사용된다. 각 공항과 활주로마다 주파수가 다르다.[31]

항공기는 로컬라이저 안테나로 신호를 수신하고, 복조하여 150Hz와 90Hz 신호 강도를 비교한다. 이를 통해 항공기는 활주로 중심선에서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얼마나 벗어났는지 알 수 있다.

조종사 또는 자동 조종 장치는 이 편차를 최소화하도록 항공기를 조종하여, 올바른 진입 경로를 유지한다.

;글라이드 슬로프 (Glide Slope)

글라이드 슬로프(Glide Slope, GS) 또는 글라이드 패스는 계기착륙장치의 일부로, 항공기가 착륙할 때 적절한 강하 각도를 유지하도록 돕는 장치이다. 조종사는 계기판 화면에 나타나는 바늘을 통해 활강각 지시기가 지시하는 적절한 하강각(대체로 3°)을 확인할 수 있다.[31] 항공기가 적절한 활공각보다 지나치게 낮은 고도를 비행하면, 항공기에 탑재된 지상근접경보장치는 "Glideslope"이라는 경고음을 울린다.

독일 하노버 공항 09R 활주로의 활공로 스테이션


조종사는 항공기가 수평선(지면)에서 약 3° 위로 활공로를 따라가도록 제어하여 장애물을 넘어 적절한 착지점에 활주로에 도달하도록 한다.[31] 글라이드 패스는 활주로 앞의 접지점 옆(PAPI 옆 근처)에서 상하로 다른 저주파 신호로 변조되어 있으며, 329.30 MHz - 335.00 MHz가 사용된다.[31] 글라이드 패스의 주파수는 로컬라이저의 주파수와 연동되므로, 일반적으로 공항의 ILS 주파수는 로컬라이저의 주파수를 나타낸다.

이 표시에서 조종사는 좌측으로 약간 위쪽으로 수정해야 한다.


항공기 측 수신기는 상하의 어긋남의 양을 감지하여 조종사에게 CDI(Course Deviation Indicator, 코스 편향 지시기) 또는 CDI를 포함하는 통합 계기에 표시하여 제시하거나, 자동 조종 장치를 작동시킨다.[31] 조종사 또는 자동 조종 장치는 이 차이를 없애도록 비행함으로써, 올바른 경로를 따라 진입이 가능하게 한다.

VOR 지시계 (CDI)에서 세로선은 좌우, 가로선은 상하의 흔들림을 나타낸다. HSI[32]에서는 노란색 세로선이 좌우, 좌우에 있는 노란색 화살표가 상하를 나타낸다.

;마커 비콘 (Marker Beacon)

마커 비콘(Marker Beacon)은 일부 계기착륙장치(ILS) 시설에서 75MHz의 반송 주파수로 작동하며, 항공기에게 활주로까지의 거리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31] 항공기가 마커 비콘 상공을 통과하면 조종석 계기판에 표시등이 켜지고 비콘의 신호음이 들린다.[31] 이 표시는 해당 접근 절차에 대한 문서에 게시된 활주로와의 거리 및 항공기가 ILS에 올바르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의 고도와 함께 제공되어 글라이드 슬로프의 올바른 기능을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현대적인 ILS 시설에는 마커 비콘을 보강하거나 대체하기 위해 DME가 설치되어 항공기의 활주로까지의 거리를 지속적으로 표시한다.

마커 비콘은 활주로까지의 거리를 표시와 소리로 조종사에게 알리며, 이너 마커(IM), 미들 마커(MM), 아우터 마커(OM)의 세 종류가 있다.[31] 일반적으로 활주로 말단까지 각각 0.1nm, 0.5 - 0.8nm, 3.6 - 6nm이며, 이상적인 글라이드 슬로프에 있다면 각각 접지 직전, 200ft, 1400ft 부근을 통과했음을 알 수 있다. 이너 마커, 미들 마커, 아우터 마커는 각각 3kHz, 1.3kHz, 400Hz로 변조된 신호이다.[31]

;거리 측정 장비 (DME)

거리 측정 장비(DME)는 조종사에게 활주로까지의 사선 거리 측정을 제공한다.[12] DME는 많은 ILS 시설에서 마커 비콘(MKR)을 보완하거나 대체하며, 조종사에게 ILS 글라이드 슬로프 상에서 정확한 진행 상황을 보다 정확하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해준다.[12]

ILS와 함께 사용될 때 DME는 종종 상호 활주로 문턱 중간 지점에 위치하며, 내부 지연이 수정되어 하나의 장치가 양쪽 활주로 문턱에 거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12] 마커 비콘 대신 DME가 지정된 접근 방식의 경우, 계기 접근 절차에 ''DME 필수''라고 명시되어 있으며, 접근을 시작하려면 항공기는 최소 하나의 작동하는 DME 장치 또는 GNSS (TSO-C129/ -C145/-C146을 충족하는 RNAV 시스템)를 사용하는 IFR 승인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12]

T-DME는 DME와 동일한 원리이며, 접지점까지 연속적으로 거리 측정이 가능하다.[31] MKR 또는 T-DME를 이용할 수 없을 때는, 그것을 대신하는 레이더 픽스가 필요하다.[31]

3. 1. 로컬라이저 (Localizer)

로컬라이저(LOC)는 항공기가 활주로 중심선과 일치하도록 좌우 방향을 안내하는 계기착륙장치(ILS)의 구성 요소이다.[7] 로컬라이저는 활주로 끝단에 설치되며, 일반적으로 여러 쌍의 지향성 안테나 위상 배열로 구성된다.[31]

로컬라이저는 활주로 반대쪽 끝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150Hz 및 90Hz로 변조된 전파를 발사한다. 이 전파는 항공기의 좌우 편차를 감지하는 데 사용된다.[31] 로컬라이저의 주파수 범위는 108.10 MHz - 111.95 MHz이며, 50kHz 간격으로 설정되지만 100kHz 부분은 홀수만 사용한다. 예를 들어 108.10, 108.15, 108.30, 108.35 MHz 등이 사용된다. 각 공항과 활주로마다 주파수가 다르다.[31]

항공기는 로컬라이저 안테나로 신호를 수신하고, 복조하여 150Hz와 90Hz 신호 강도를 비교한다. 이를 통해 항공기는 활주로 중심선에서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얼마나 벗어났는지 알 수 있다.

조종사 또는 자동 조종 장치는 이 편차를 최소화하도록 항공기를 조종하여, 올바른 진입 경로를 유지한다.

3. 2. 글라이드 슬로프 (Glide Slope)

글라이드 슬로프(Glide Slope, GS) 또는 활공각도계는 계기착륙장치의 일부로, 항공기가 착륙할 때 적절한 강하 각도를 유지하도록 돕는 장치이다. 조종사는 계기판 화면에 나타나는 바늘을 통해 활강각 지시기가 지시하는 적절한 하강각(대체로 3°)을 확인할 수 있다.[31] 항공기가 적절한 활공각보다 지나치게 낮은 고도를 비행하면, 항공기에 탑재된 지상근접경보장치는 "Glideslope"이라는 경고음을 울린다.

조종사는 항공기가 수평선(지면)에서 약 3° 위로 활공로를 따라가도록 제어하여 장애물을 넘어 적절한 착지점에 활주로에 도달하도록 한다.[31] 글라이드 패스는 활주로 앞의 접지점 옆(PAPI 옆 근처)에서 상하로 다른 저주파 신호로 변조되어 있으며, 329.30 MHz - 335.00 MHz가 사용된다.[31] 글라이드 패스의 주파수는 로컬라이저의 주파수와 연동되므로, 일반적으로 공항의 ILS 주파수는 로컬라이저의 주파수를 나타낸다.

항공기 측 수신기는 상하의 어긋남의 양을 감지하여 조종사에게 CDI(Course Deviation Indicator, 코스 편향 지시기) 또는 CDI를 포함하는 통합 계기에 표시하여 제시하거나, 자동 조종 장치를 작동시킨다.[31] 조종사 또는 자동 조종 장치는 이 차이를 없애도록 비행함으로써, 올바른 경로를 따라 진입이 가능하게 한다.

VOR 지시계 (CDI)에서 세로선은 좌우, 가로선은 상하의 흔들림을 나타낸다. HSI[32]에서는 노란색 세로선이 좌우, 좌우에 있는 노란색 화살표가 상하를 나타낸다.

3. 3. 마커 비콘 (Marker Beacon)

마커 비콘(Marker Beacon)은 일부 계기착륙장치(ILS) 시설에서 75MHz의 반송 주파수로 작동하며, 항공기에게 활주로까지의 거리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31] 항공기가 마커 비콘 상공을 통과하면 조종석 계기판에 표시등이 켜지고 비콘의 신호음이 들린다.[31] 이 표시는 해당 접근 절차에 대한 문서에 게시된 활주로와의 거리 및 항공기가 ILS에 올바르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의 고도와 함께 제공되어 글라이드 슬로프의 올바른 기능을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현대적인 ILS 시설에는 마커 비콘을 보강하거나 대체하기 위해 DME가 설치되어 항공기의 활주로까지의 거리를 지속적으로 표시한다.

마커 비콘은 활주로까지의 거리를 표시와 소리로 조종사에게 알리며, 이너 마커(IM), 미들 마커(MM), 아우터 마커(OM)의 세 종류가 있다.[31] 일반적으로 활주로 말단까지 각각 0.1nm, 0.5 - 0.8nm, 3.6 - 6nm이며, 이상적인 글라이드 슬로프에 있다면 각각 접지 직전, 200ft, 1400ft 부근을 통과했음을 알 수 있다. 이너 마커, 미들 마커, 아우터 마커는 각각 3kHz, 1.3kHz, 400Hz로 변조된 신호이다.[31]

3. 4. 거리 측정 장비 (DME)

거리 측정 장비(DME)는 조종사에게 활주로까지의 사선 거리 측정을 제공한다.[12] DME는 많은 ILS 시설에서 마커 비콘(MKR)을 보완하거나 대체하며, 조종사에게 ILS 글라이드 슬로프 상에서 정확한 진행 상황을 보다 정확하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해준다.[12]

ILS와 함께 사용될 때 DME는 종종 상호 활주로 문턱 중간 지점에 위치하며, 내부 지연이 수정되어 하나의 장치가 양쪽 활주로 문턱에 거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12] 마커 비콘 대신 DME가 지정된 접근 방식의 경우, 계기 접근 절차에 ''DME 필수''라고 명시되어 있으며, 접근을 시작하려면 항공기는 최소 하나의 작동하는 DME 장치 또는 GNSS (TSO-C129/ -C145/-C146을 충족하는 RNAV 시스템)를 사용하는 IFR 승인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12]

T-DME는 DME와 동일한 원리이며, 접지점까지 연속적으로 거리 측정이 가능하다.[31] MKR 또는 T-DME를 이용할 수 없을 때는, 그것을 대신하는 레이더 픽스가 필요하다.[31]

4. 접근 등화 (Approach Lighting)

접근등화 시스템

오다테노시로 공항
접근등화 시스템.]]

아우렐 블라이쿠 국제공항의 접근등화 시스템.


일부 계기착륙장치(ILS) 설치에는 중강도 또는 고강도 접근등화 시스템(ALS)이 포함되어 있다.[13] ALS는 조종사가 계기 비행에서 시계 비행으로 전환하고, 항공기를 활주로 중심선에 시각적으로 정렬하는 데 도움을 준다. 대부분 대형 공항에 설치되지만, 미국의 많은 소규모 일반 항공 공항에도 ILS 설치를 지원하고 저시정 최저치를 확보하기 위해 접근등화가 설치되어 있다. 의사 결정 고도에서 접근등화 시스템을 관찰하면, ALS가 활주로 말단 환경으로 간주되므로 활주로나 활주로 등화가 보이지 않더라도 조종사는 활주로를 향해 강하를 계속할 수 있다.

미국에서는 접근등화가 없는 ILS는 필요한 장애물 제거 표면이 장애물로부터 안전하다면 CAT I ILS 가시성 최저치를 1.2km (활주로 시정 1,219m)까지 가질 수 있다. 0.8km (활주로 시정 731m)의 가시성 최저치는 427~914m 길이의 ALS로 지원되는 CAT I ILS 접근 방식으로 가능하며, 활주로에 고강도 가장자리 등화, 터치다운 구역 및 중심선 등화, 그리고 길이가 최소 731m인 ALS가 있는 경우 0.6km 시정 549m 시정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ALS는 활주로 환경을 착륙 항공기 쪽으로 확장하여 저시정 운전을 가능하게 한다. CAT II 및 III ILS 접근 방식은 일반적으로 복잡한 고강도 접근등화 시스템을 필요로 하는 반면, 중강도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CAT I ILS 접근 방식과 쌍을 이룬다. 일부 비관제 공항에서는 조종사가 등화 시스템을 제어하여, 마이크를 குறிப்பிட்ட 횟수만큼 눌러 등화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5. 결심 고도/높이 (Decision Altitude/Height)

일단 접근 절차를 시작하면, 조종사는 로컬라이저가 지시하는 계기착륙장치(ILS) 접근 경로를 따라 활공 경로를 따라 결심 고도까지 강하한다. 결심 고도는 조종사가 착륙 환경(예: 접근로 또는 활주로 조명)에 대한 충분한 시각적 기준을 확보하여 착륙을 계속할지 여부를 결정해야 하는 고도이다. 그렇지 않으면 조종사는 복행 절차를 수행한 다음, 동일한 접근 절차를 다시 시도하거나, 다른 접근 절차를 시도하거나, 다른 공항으로 우회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조종사가 접근 절차를 계속할지 여부에 대한 결정은 활주로가 보이는지 여부, 또는 활주로가 비어 있는지 여부에 달려 있다.

CAT I 계기착륙장치에서는 기압 고도계를 사용하고, CAT II/III 계기착륙장치에서는 전파 고도계를 사용한다.

6. ILS 카테고리 (정밀도)

ICAO에서는 ILS를 설치 및 운용 정밀도에 따라 5가지 카테고리로 분류한다. 카테고리의 숫자가 커질수록 착륙 결심 고도(고 어라운드할지를 결정하는 활주로 말단으로부터의 높이)는 낮아지고, 악천후·저시정에서의 착륙이 가능해진다.

ILS의 카테고리 (정밀도)
카테고리결심 고도(DH)활주로 가시거리 (RVR)
카테고리 I (CAT I)200ft 이상550m (1800ft) 이상 또는 시정 800m 이상
카테고리 II (CAT II)100ft 이상 200ft 미만300m (1200ft) 이상
카테고리 IIIA (CAT IIIA)100ft 미만 또는 설정 없음175m (700ft) 이상
카테고리 IIIB (CAT IIIB)50ft 미만 또는 설정 없음50m (150ft) 이상, 175m (700ft) 미만
카테고리 IIIC (CAT IIIC)--



소형 항공기는 일반적으로 CAT I ILS만 사용 가능하며, 대형 항공기는 비행 통제 시스템에 의해 제어되고 비행 승무원이 감독한다. CAT I은 결심 고도에 대해 기압 고도계 표시에만 의존하는 반면, CAT II 및 CAT III 접근 방식은 전파 고도계를 사용하여 결심 고도를 결정한다.[18]

ILS는 결함 상태가 내부에서 감지되면 작동을 중단해야 한다. 높은 범주는 더 짧은 응답 시간을 요구하므로, 예를 들어 CAT I 로컬라이저는 결함 감지 후 10초 이내에, CAT III 로컬라이저는 2초 이내에 작동을 중단해야 한다.[11]

유도로 표지판은 CAT II/III로 활주로의 ILS 카테고리를 나타냅니다.


CAT III 기상 최저치는 수동 착륙을 가능하게 할 만큼 충분한 시각적 참조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자동 착륙 장치는 Category III 운항을 수행하는 데 필수적이다.[19]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안내를 사용하여 손으로 조작하는 CAT III 접근 방식에 대해 일부 운항자에게 특별 승인이 부여되기도 한다.

조종석 뷰, CAT IIIa 착륙 (자동 착륙)


일부 상업용 항공기에는 자동 착륙 시스템이 장착되어 있으며, 샤를 드 골 공항과 같은 일부 주요 공항은 자동 착륙을 통해 일년 내내 운영된다. 일부 최신 항공기에는 향상된 비행 시야 시스템이 장착되어 있다.

자동 및 HUD 착륙 시스템 모두, 장비는 설계 및 설치에 대한 특별 승인이 필요하며, 추가 유지 관리 요구 사항이 있다.

조종사 훈련 및 자격 관련 작업은 시뮬레이터에서 수행된다.

다만, 여기에는 조종사 및 항공기가 카테고리를 충족해야 한다. 고정밀도의 카테고리일수록 본 장치에 의존하여 악조건 하에서도 보다 낮은 고도까지 강하가 가능하지만, 장치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긴급 대응을 필요로 할 가능성이 있다. 항공기도 마찬가지로, 고정밀도의 카테고리에서는 구성하는 기기의 중복화에 관한 규정이 더욱 엄격해지고 있다.

CAT II 이상인 경우에는 항공기 및 조종사뿐만 아니라, 항공 회사 등이 국토교통대신의 「특별한 방식에 의한 항행」의 허가를 받아야 하며, 공항에서도 저시정 하에서의 지상 체제, LVP(Low Visibility Procedure) 체제가 발동되지 않으면 안 된다. 여기에는 본 장치의 전파를 방해하지 않도록 활주로나 안테나 부근에서의 차량의 운행을 중지하거나, 만일의 사태에 대비한 긴급 차량 (소방차, 구급차 등)의 준비를 하는 것이 포함된다.

비행장 등화 (활주로 등)도 필요 조건이며, CAT II 이상에서는 더욱 고규격의 진입등 등이 요구된다.

결심 고도(Decision Altitude; DA)는 평균 해면으로부터의 고도로 표시되지만, 이에 대해 활주로 단으로부터의 높이로 표시되는 것을 결심 고도(Decision Height; DH)라고 부른다. CAT I에서는 기압 고도계에 의한 DA를 사용하는 반면, CAT II 이상에서는 전파 고도계에 의한 DH를 사용한다. 전파 고도계를 사용하는 이유는, 저고도에서 보다 정밀한 높이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CAT III에서 DH를 설정하지 않음(= 0ft)의 경우, 경계 고도(Alert Height; AH)가 설정(많은 국가에서는 100ft)된다. DH에서는 그 높이에 도달한 시점에서 소정의 등화 또는 지상 시설이 보이는 것을 요구하지만, AH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아무것도 보이지 않아도 기상 지상의 기기류에 이상이 없으면 진입을 계속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가장 정밀도가 높은 CAT IIIc의 ILS도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DH는 설정되어 있지 않으며, 항공기 및 조종사의 조건이 갖춰지면 전혀 시야가 없어도 자동 조종 장치를 사용하여 착륙을 할 수 있다. 다만, 2007년 현재 CAT IIIc의 운용 예는 없다. 이것은 시정 없음(제로)의 조건 하에서 착륙하더라도, 그 후의 지상 주행이 극히 곤란하며, 지원 차량이나 긴급 차량 (토잉 카, 소방차, 구급차 등)도 마찬가지로 시계 불량 때문에 대응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6. 1. ICAO/FAA/JAA (EASA) 정밀 계기 접근 및 착륙

ICAO/FAA/JAA (EASA) 정밀 계기 접근 및 착륙은 결심 고도(Decision Height; DH, 착륙할지 착륙 복행(go-around)할지를 결정하는 활주로 말단으로부터의 높이)와 활주로 가시거리(RVR)에 따라 여러 카테고리로 분류된다.[14] 숫자가 커질수록 착륙 결심 고도는 낮아지고, 악천후 및 저시정에서의 착륙이 가능해진다.

ICAO/FAA/JAA (EASA) 정밀 계기 접근 및 착륙[14]
종류결심 고도활주로 가시거리 (RVR)
CAT I[15]200ft (60m) 이상550m (1,800ft) 이상 또는 시정 800m 이상
CAT II100ft (30m) 이상 200ft (60m) 미만300m (1,000ft) 이상
CAT IIIA100ft (30m) 미만 또는 설정 없음175m (700ft) 이상
CAT IIIB50ft (15m) 미만 또는 설정 없음50m (150ft) 이상, 175m (700ft) 미만
CAT IIIC제한 없음없음



소형 항공기는 일반적으로 CAT I ILS만 사용 가능하며, 대형 항공기는 비행 통제 시스템에 의해 제어되고 비행 승무원이 감독한다. CAT I은 결심 고도에 대해 고도계 표시에만 의존하는 반면, CAT II 및 CAT III 접근 방식은 전파 고도계(RA)를 사용하여 결심 고도를 결정한다.[18]

ILS는 결함 상태가 내부에서 감지되면 작동을 중단해야 한다. 높은 범주는 더 짧은 응답 시간을 요구하므로, 예를 들어 CAT I 로컬라이저는 결함 감지 후 10초 이내에, CAT III 로컬라이저는 2초 이내에 작동을 중단해야 한다.[11]

CAT III 기상 최저치는 수동 착륙을 가능하게 할 만큼 충분한 시각적 참조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자동 착륙 장치는 Category III 운항을 수행하는 데 필수적이다.[19]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안내를 사용하여 손으로 조작하는 CAT III 접근 방식에 대해 일부 운항자에게 특별 승인이 부여되기도 한다.

일부 상업용 항공기에는 자동 착륙 시스템이 장착되어 있으며, 샤를 드 골 공항과 같은 일부 주요 공항은 자동 착륙을 통해 일년 내내 운영된다. 일부 최신 항공기에는 향상된 비행 시야 시스템이 장착되어 있다.

자동 및 HUD 착륙 시스템 모두, 장비는 설계 및 설치에 대한 특별 승인이 필요하며, 추가 유지 관리 요구 사항이 있다.

조종사 훈련 및 자격 관련 작업은 시뮬레이터에서 수행된다.

ICAO에서는 ILS를 그 설치·운용 정밀도에 따라 5가지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있다.

ILS의 카테고리 (정밀도)
카테고리결심 고도(DH)활주로 가시거리 (RVR)
카테고리 I (CAT I)200ft 이상550m (1800ft) 이상 또는 시정 800m 이상
카테고리 II (CAT II)100ft 이상 200ft 미만300m (1200ft) 이상
카테고리 IIIA (CAT IIIA)100ft 미만 또는 설정 없음175m (700ft) 이상
카테고리 IIIB (CAT IIIB)50ft 미만 또는 설정 없음50m (150ft) 이상, 175m (700ft) 미만
카테고리 IIIC (CAT IIIC)--



다만, 여기에는 조종사 및 항공기가 카테고리를 충족해야 한다. 고정밀도의 카테고리일수록 본 장치에 의존하여 악조건 하에서도 보다 낮은 고도까지 강하가 가능하지만, 장치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긴급 대응을 필요로 할 가능성이 있다. 항공기도 마찬가지로, 고정밀도의 카테고리에서는 구성하는 기기의 중복화에 관한 규정이 더욱 엄격해지고 있다.

CAT II 이상인 경우에는 항공기 및 조종사뿐만 아니라, 항공 회사 등이 국토교통대신의 「특별한 방식에 의한 항행」의 허가를 받아야 하며, 공항에서도 저시정 하에서의 지상 체제, LVP(Low Visibility Procedure) 체제가 발동되지 않으면 안 된다. 여기에는 본 장치의 전파를 방해하지 않도록 활주로나 안테나 부근에서의 차량의 운행을 중지하거나, 만일의 사태에 대비한 긴급 차량 (소방차, 구급차 등)의 준비를 하는 것이 포함된다.

비행장 등화 (활주로 등)도 필요 조건이며, CAT II 이상에서는 더욱 고규격의 진입등 등이 요구된다.

결심 고도(Decision Altitude; DA)는 평균 해면으로부터의 고도로 표시되지만, 이에 대해 활주로 단으로부터의 높이로 표시되는 것을 결심 고도(Decision Height; DH)라고 부른다. CAT I에서는 기압 고도계에 의한 DA를 사용하는 반면, CAT II 이상에서는 전파 고도계에 의한 DH를 사용한다. 전파 고도계를 사용하는 이유는, 저고도에서 보다 정밀한 높이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CAT III에서 DH를 설정하지 않음(= 0ft)의 경우, 경계 고도(Alert Height; AH)가 설정(많은 국가에서는 100ft)된다. DH에서는 그 높이에 도달한 시점에서 소정의 등화 또는 지상 시설이 보이는 것을 요구하지만, AH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아무것도 보이지 않아도 기상 지상의 기기류에 이상이 없으면 진입을 계속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가장 정밀도가 높은 CAT IIIc의 ILS도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DH는 설정되어 있지 않으며, 항공기 및 조종사의 조건이 갖춰지면 전혀 시야가 없어도 자동 조종 장치를 사용하여 착륙을 할 수 있다. 다만, 2007년 현재 CAT IIIc의 운용 예는 없다. 이것은 시정 없음(제로)의 조건 하에서 착륙하더라도, 그 후의 지상 주행이 극히 곤란하며, 지원 차량이나 긴급 차량 (토잉 카, 소방차, 구급차 등)도 마찬가지로 시계 불량 때문에 대응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7. 한계점

계기착륙장치(ILS)의 로컬라이저 및 글라이드 슬로프 시스템은 복잡하기 때문에 몇 가지 제한 사항이 있다.[8] 로컬라이저 시스템은 신호 방송 구역 내의 대형 건물이나 격납고와 같은 장애물에 민감하며, 글라이드 슬로프 시스템 또한 글라이드 슬로프 안테나 앞의 지형에 의해 제한된다.[8] 지형이 경사지거나 고르지 않으면 반사로 인해 불균일한 글라이드 패스가 생성되어 원치 않는 바늘 편향이 발생할 수 있다.[8] 또한 ILS 신호는 어레이의 위치에 따라 한 방향을 가리키므로 글라이드 슬로프는 일정한 강하 각도를 가진 직선 접근만 지원한다. ILS 설치는 부지 선정 기준과 안테나 시스템의 복잡성으로 인해 비용이 많이 들 수 있다.[8]

ILS 중요 구역 및 ILS 민감 구역은 방사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한 반사를 방지하기 위해 설정된다.[8] 이러한 중요 구역의 위치로 인해 항공기가 특정 유도로를 사용할 수 없게 되어[8] 이륙 지연, 대기 시간 증가 및 항공기 간 간격 증가가 발생할 수 있다.[8]

8. 식별

로컬라이저는 1,020 Hz 모스 부호 식별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하여 계기착륙장치 시설을 식별한다. 예를 들어, 존 F. 케네디 국제공항 4R 활주로의 계기착륙장치는 식별을 위해 IJFK를 전송하는 반면, 4L 활주로는 IHIQ로 알려져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시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으며 올바른 계기착륙장치에 맞춰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글라이드 슬로프 스테이션은 식별 신호를 전송하지 않으므로 계기착륙장치 장비는 식별을 위해 로컬라이저에 의존한다.

9. 감시

계기착륙장치(ILS)는 자체 성능을 지속적으로 감시하며, 전송되는 신호의 중요한 특성을 평가한다.[11] 만약 엄격한 한계를 벗어나는 편차가 감지되면, ILS는 자동으로 작동을 중단하거나 항법 및 식별 구성 요소를 제거한다.[11] 이러한 조치는 ILS를 사용하는 항공기 계기에 '고장 플래그'를 표시하여 조종사에게 즉시 고장을 알린다.[11]

10. 로컬라이저 백 코스 (Localizer Back Course)

현대 로컬라이저 안테나는 매우 지향성이다. 그러나 구형의 덜 지향적인 안테나를 사용하면 활주로가 "로컬라이저 백 코스"라 불리는 비정밀 접근 방식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항공기는 로컬라이저 어레이의 후면에서 전송된 신호를 사용하여 착륙할 수 있다. 고도로 지향적인 안테나는 백 코스를 지원하기에 충분한 신호를 제공하지 않는다. 미국에서 백 코스 접근 방식은 일반적으로 주요 활주로의 양쪽에 ILS가 없는 소규모 공항의 Category I 시스템과 관련이 있다. 백 코스를 비행하는 조종사는 어떠한 글라이드 슬로프 표시도 무시해야 한다.

11. 대한민국에서의 운용 현황

대한민국의 1,500m 이상 제트기 운용 공항에는 대부분 ILS가 설치되어 있다.

11. 1. CAT III/II ILS 설치 공항

일본에서 가장 정밀도가 높은 CAT III 및 CAT II ILS를 설치하고 있는 공항은 다음과 같다.[34]

이러한 공항들은 안개로 시계 불량이 되는 경우가 많거나, 시계 불량 시 도착편이 지연되면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12. 오프셋 로컬라이저 (Offset Localizer)

ILS는 활주로 연장에 로컬라이저의 경로가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지형, 소음 문제나 기타 다른 문제로 인하여 이와는 다른 방향으로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오프셋 ILS는 착륙 직전에 항공기가 진입 방향을 변경하여 활주로에 정면으로 마주하도록 이용한다.[39]

구체적인 예로는 2010년부터 사용 개시된 도쿄 국제공항(하네다 공항)의 D 활주로가 있으며, 우라야스시의 리조트 시설에 대한 영향 및 지바현의 요청(우라야스 시가지 상공 비행 회피)을 고려하여 해상 측으로 2도 오프셋되어 있다.[39] 그 외 히로시마 서, 도야마, 오시마, 나하 등에서 오프셋 로컬라이저의 설치 예가 있다. 또한 이탈리아제노바 크리스토포로 콜롬보 공항(LIMJ)에서는 산악 지대를 피하기 위해, 중화민국진먼 공항(RCBS)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국경이 가깝기 때문에 각각 오프셋 ILS를 설치하고 있다.

13. ILS/로컬라이저 응용 시설

IGS(계기 유도 시스템)는 홍콩의 옛 카이탁 공항(1998년 폐항)에 설치되었던 ILS와 유사한 장비이다. 항공기는 ILS 수신 장치를 그대로 사용하여 IGS를 이용할 수 있었다. 착륙 절차는 IGS 로컬라이저와 글라이드 패스에 따라 공항 근처 산을 향해 비행한 후, 지상에 굽어져 배열된 진입등을 보고 수동으로 우측으로 47도 선회하여 활주로에 정대하는 방식이었다.[40]

LDA(로컬라이저형 방향 보조)는 로컬라이저만을 이용하여 활주로와 다른 방향에서 진입, 활주로를 시인할 수 있는 지점에서 선회하여 착륙하는 방식이다. 일본 도쿄 국제공항에는 B 활주로(활주로 22) 및 D 활주로(활주로 23) 유도를 위해 동쪽 방향의 도쿄 만을 향한 LDA가 설치되어 있다.[40] 이를 통해 해상 비행으로 시가지 소음을 줄이고, 각 활주로 진입 항공기의 안전한 좌우 간격을 확보한다(호천 시에 이용되며, 악천 시에는 통상적인 ILS 진입).[40]

14. 안테나 제원

로컬라이저는 A2A 전파 형식을 사용하며, 안테나 형식은 대수 주기형(LPDA)이다. 글라이드 패스는 코너 리플렉터 안테나를 사용한다.

15. 사고

ILS의 등장으로 기상 악화가 쉬운 지역의 비행장에도 착륙할 가능성이 증가하여, 항공사는 다이버트에 따른 비용 절감과 신규 노선 개척이 가능해졌다.

한편, 조종사는 ILS에 대응하는 자격 취득과 장비 취급 훈련이 필요해져 부담이 증가했다. 또한, ILS의 고장이나 부적절한 취급 등에 의한 사고도 발생하게 되었다. 대한항공 뉴델리 추락 사고에서는 공항의 ILS가 정비 불량이었는지가 재판에서 문제시되었다.

16. 대안

마이크로파 착륙 시스템(MLS)은 곡선 접근 방식을 허용하며, 1970년대에 계기 착륙 장치(ILS)를 대체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나 위성 항법 시스템(GNSS)의 등장으로 선호도가 떨어졌다.[25] 1980년대 미국과 유럽에서 MLS 구축 노력이 있었으나, 항공사의 투자 기피와 GNSS의 부상으로 채택되지 못했다.[26] 민간 항공용 첫 Category III MLS는 2009년 3월 히드로 공항에 설치되었으나 2017년에 서비스에서 제거되었다.[27]

기존 ILS가 작동하지 않거나 비용 효율적이지 않은 경우 트랜스폰더 착륙 시스템(TLS)을 사용할 수 있다.

광역 증강 시스템(WAAS)을 기반으로 하는 수직 유도와 함께 국부화 장치 성능(LPV)은 ILS와 유사한 최저치를 제공한다. 2008년 11월 기준으로, 미국 연방 항공청(FAA)은 Category I ILS 절차보다 더 많은 LPV 접근 방식을 발표했다.

지상 기반 증강 시스템(GBAS) (미국에서는 근거리 증강 시스템)은 GNSS 신호를 보강하여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안전 필수 시스템이다. GBAS는 CATI/II 및 III 공항, 터미널 지역 항법, 복행 유도 및 지상 운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GBAS는 단일 주파수로 공항 전체에 서비스를 제공하여, 각 활주로 끝에 별도의 주파수를 필요로 하는 ILS에 비해 이점을 가진다. GBAS CAT-I은 CAT-II/III 정밀 접근 및 착륙을 위한 필수 단계로 간주되지만, 기술적 위험으로 인해 광범위한 수용이 지연되었다. FAA는 업계와 함께 위성 신호 변형 등의 문제를 완화하는 GBAS 스테이션 프로토타입을 배치했다.

17. 미래

GPS의 발전은 항공기 접근 유도를 위한 새로운 대안을 제시한다. 미국에서는 광역 보강 시스템(WAAS)이 2007년부터 많은 지역에서 Category I 수준의 정밀 유도를 제공하고 있으며, 유럽에서는 유럽 정지 궤도 보강 서비스(EGNOS)가 2011년 3월부터 생명 안전 응용 분야에서 사용되도록 인증되었다.[28] 이에 따라 Cat I 계기착륙장치 설치는 감소할 수 있지만, 미국에서는 Cat II 또는 Cat III 시스템을 단계적으로 폐지할 계획은 없다.[29]

지역 보강 시스템(LAAS)은 Category III 최소치 이하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 중이다. 미국 연방 항공청(FAA) 지상 기반 보강 시스템(GBAS) 부서는 멤피스, 시드니, 브레멘, 스페인, 뉴어크 등에서 GBAS 지상국 인증을 진행하고 있다. 이들 국가는 GBAS 지상국을 설치하고 기술 및 운영 평가를 진행 중이다.

Honeywell과 FAA 팀은 2009년 9월 뉴어크 리버티 국제공항에서 세계 최초의 비연방 미국 LAAS Category I 시스템 설계 승인을 획득했고, 2012년 9월 28일에 운영 승인을 받았다.[30]

노르웨이에서는 D-GPS 기반 착륙 시스템인 SCAT-I가 일부 단거리 활주로 공항에서 운영되고 있다.

참조

[1] 서적 A Dictionary of Aviation Osprey 1973
[2] 웹사이트 Satellite Navigation - GPS/WAAS Approaches http://www.faa.gov/a[...]
[3] 웹사이트 History of Radio Flight Navigation Systems http://www.radarworl[...]
[4] 웹사이트 An Introduction into the Signals of ILS, DME and VOR https://www.skyradar[...] 2019-04-16
[5] 웹사이트 Instrument Landing System https://www.nordian.[...]
[6] 웹사이트 Localizer and Glide slope Frequency Pairing https://wireless2.fc[...]
[7] 웹사이트 ICAO DOC8400 Amendment 28 http://www.icao.int/[...] icao.int
[8] FAA ILS Glide Slope Critical Area Advisory https://web.archive.[...]
[9] 웹사이트 Approach chart of Kai Tak Airport runway 13 http://www.flyingtig[...] flyingtigersgroup.org
[10] 문서 Kai Tak Airport#Runway 13 approach
[11] 웹사이트 2001 Federal Radionavigation Systems http://www.navcen.us[...] 2005-11-27
[12] 웹사이트 AC90-108 https://www.faa.gov/[...] 2020-10-27
[13] FAA FAA Order 8260.3C, United States Standard for Terminal Instrument Procedures (TERPS) https://www.faa.gov/[...] 2017-05-13
[14] 웹사이트 Getting to grips with CAT II / CAT III operations https://www.skybrary[...] Airbus 2001-10
[15] 웹사이트 Navigation instrumentation – ILS https://www.ivao.aer[...] IVAO training 2017-05-31
[16] 웹사이트 Order 8400.13D http://fsims.faa.gov[...] FAA 2018-05-15
[17] 웹사이트 Aeronautical Information Manual http://publications.[...] Transport Canada 2016-03-31
[18] 간행물 Aeronautical Telecommunications, Volume 1 (Radio Navigation Aids) 2.1.1 ICAO Annex 10
[19] 웹사이트 Acceptable Means of Compliance (AMC) and Guidance Material (GM) to Part-SPA https://www.easa.eur[...] EASA 2012-10-25
[20] 문서 For example, Southwest Airlines flies HUD equipped Boeing 737 aircraft to fog-prone airports such as Sacramento International Airport|Sacramento International (KSMF), allowing flights to take off when they would otherwise be unable to do so.
[21] 웹사이트 FAA Historical Chronology: Civil Aviation and the Federal Government, 1926–1996 https://rosap.ntl.bt[...] United States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2020-10-05
[22] 뉴스 Planes Are Landing By Radio When Fog Hides The Field https://books.google[...] Popular Mechanics 1931-02
[23] 웹사이트 History of Aircraft Landing Aids http://www.centennia[...] 2010-09-28
[24] Marketwatch Instrument Landing Systems(Ils) Market Share, Size Global Regional Analysis, Key Findings, Growth Factors, Industry Demand, Key Players Profiles, Future Prospects and Forecasts to 2025 https://www.marketwa[...] 2021-09-21
[25] 뉴스 Microwave Landing System For Jets Is Demonstrated New York Times 1976-05-20
[26] 웹사이트 Annex 10 – Aeronautical Telecommunications, Volume I (Radio Navigation Aids) Amendment 81 http://www.caa.govt.[...]
[27] 웹사이트 Worlds first low-visibility microwave landing system comes into operation at Heathrow http://www.atc-netwo[...] atc-network.com 2009-03-26
[28] 웹사이트 EGNOS navigation system begins serving Europe's aircraft http://www.esa.int/e[...] 2011-03-03
[29] 웹사이트 2017 Federal Radionavigation Plan https://rosap.ntl.bt[...]
[30]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faa.gov/a[...] 2013-05-20
[31] 뉴스 航空実用辞典 http://www.jal.co.jp[...] 日本航空 2011-11-13
[32] 문서 Horizontal Situation Indicator、水平姿勢指示計。グライドパスはやや上方、ローカライザはやや右寄りを表している表示。つまり指示よりも低く左寄りを飛行している。
[33] 웹사이트 ILSの概要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9-09-22
[34] PDFlink 計器着陸装置 (ILS) のカテゴリー (CAT) IIIB化について
[35] 문서 2012年7月よりCAT-3b供用開始
[36] 문서 2009年6月4日よりカテゴリーIIIbの運用を開始したが、[[アシアナ航空162便着陸失敗事故|2015年4月のアシアナ機の事故]]による地上機器破損により暫定的にCAT-Iでの運用となり、2015年9月15日に「CAT-IIIa」が、続けて2015年9月19日から「CAT-IIIb」の運用が再開された。
[37] 문서 2011年11月17日 - 2012年9月19日はCAT IIIa、2012年9月20日よりCAT IIIb運用開始
[38] 문서 2010年2月25日にはCAT IIIのILSが必要になる濃さの霧が発生した。2015年8月20日よりCAT IIIa、2016年1月7日よりCAT IIIbへ格上げ。
[39] PDF D滑走路への進入経路の変更について https://www.pref.chi[...]
[40] PDF 羽田空港 LDA装置 http://www.toshiba.c[...]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