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려대학교의 역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려대학교의 역사는 1905년 대한제국 시대에 설립된 보성전문학교에서 시작된다. 일제강점기에는 학교가 재정난과 일제의 탄압을 겪었으며, 김성수가 학교를 인수하여 중흥을 이끌었다. 1946년에는 '고려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고 종합대학으로 승격했다. 1960년에는 4.18 의거가 발생했으며, 1970년대에는 여러 차례 휴교 사태를 겪었다. 2000년대 이후에는 해외 대학과의 교류를 확대하고 학제 개편 및 졸업 요건을 강화했으며, 2005년 개교 100주년을 기념했다. 2009년에는 의학전문대학원과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을 도입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학교의 역사 - 괴팅겐 대학교의 역사
    괴팅겐 대학교의 역사는 1737년 개교 이후 계몽주의 정신 아래 연구의 자유를 추구하며 학문 발전과 정치적 변화를 겪었고, 2차 세계대전 이후 재건되어 현재까지 학술적 성과를 이어오고 있다.
  • 고려대학교 - 중앙고등학교
    중앙고등학교는 1908년 기호학교로 시작하여 일제강점기 민족 교육을 실천하고 3.1 운동에 참여했으며, 현재는 자율형 사립고등학교로 문화재 건축물과 운동부를 운영하고 있다.
  • 고려대학교 - 중앙중학교 (서울)
    중앙중학교는 1908년 기호흥학회에 의해 설립되어 융희학교와 합병되었고, 조선교육령 개정에 따라 개칭되었으며, 6년제와 3년제 중학교를 거쳐 1964년 학교법인으로 변경된 서울특별시의 중학교이다.
고려대학교의 역사
지도
개요
교훈자유, 정의, 진리
설립일1905년 5월 5일
국가대한민국
위치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로 145 (안암동5가)
좌표37°35′27″N 127°01′54″E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역사
이전 명칭보성전문학교 (普成專門學校)
설립1905년 (보성전문학교)
승격1946년 (고려대학교)
민주화 운동4.18 의거 (1960년)
4.19 혁명
긴급조치대통령긴급조치 제7호 (1975년)
조직
총장김동원
규모연구 중심 종합대학
학부17개 단과대학
대학원20개 대학원
캠퍼스안암캠퍼스 (서울)
세종캠퍼스 (세종)
구성원교수: 1,600여명
직원: 1,200여명
학생: 37,000여명
기타
상징색진홍색
마스코트호랑이

2. 대한제국시대 및 일제강점기

1905년 이용익이 설립한 보성전문학교는 고려대학교의 전신으로,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많은 시련을 겪었다. 일제는 학교를 관립으로 만들려 압박하고, 안중근 의사 사건을 구실로 이종호에게 누명을 씌워 탄압했다.[10] 을사조약 이후 이용익의 망명과 별세로 경영난에 빠진 학교는 1910년 천도교에서 인수했으나, 3·1 운동 이후 손병희가 피검되면서 다시 어려움에 처했다.[11][12]

설립 초기부터 재정난을 겪던 학교는 1921년에야 재단법인을 설립했으나, 시설 확충으로 다시 경영난에 빠졌다.[13] 1932년 김성수가 학교를 인수하면서 새로운 전기를 맞았다.[5][15] 1934년 안암동으로 교사를 이전하고, 본관과 도서관을 건립하는 등 발전을 이루었다.[5] 1940년 이후 조선총독부창씨개명학도병 징집을 권유했으나, 보성전문학교 학생들은 이에 저항했다. 1944년에는 '경성척식경제전문학교'로 강제 개편당했으나,[11][12] 1945년 광복을 맞아 보성전문학교로 교명을 환원하였다.[22]

2. 1. 보성전문학교의 탄생 (1905년)

1905년 5월 5일, 이용익대한제국 고종황제의 재정적 후원과 '보성(普成)'이라는 교명 및 황실 문장인 '이화문(梨花紋)'을 교표로 하사받아 설립한 보성전문학교는 조선인이 세운 최초의 근대적 고등교육기관이자 고려대학교의 모태이다.[4][5]

보성전문학교는 '교육구국'을 건학 이념으로 삼았으며, 오늘날의 법학과에 해당하는 법률학전문과와 경영학과 또는 경제학과에 해당하는 이재학(理財學)전문과를 설치하고, 지금의 수송동에 위치한 교사에서 수업을 시작하였다.[6] 이재학과는 1907년 경제과, 1910년 상학과, 1944년 경제과를 거쳐 1945년 해방 이후 경상과로 개편되어 오늘날 고려대학교 경영학과와 경제학과의 모태가 되었다.[7][8] 1905년 9월에는 한성법학교 학생을 인수하였고, 1909년 3월에는 돈명의숙 및 융희학교 학생을 인수하였다.[9] 1907년 2월에는 첫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2. 2. 일제의 탄압과 손병희의 인수

1905년 5월 5일 세워진 보성전문학교는 조선인이 세운 최초의 근대적 고등교육기관으로, 고려대학교의 모태가 된다.[4] 대한제국 대장원경 이용익이 고종의 재정적 후원과 '보성'이라는 교명, 황실 문장 '이화문'을 하사받아 설립하였다.[5]

설립자 이용익, 조선의 개화파 문신


하지만 1906년 12월, 일제는 보성전문학교를 관립학교로 만들기 위해 압박을 가하고, 이종호안중근 의사 사건에 연루시켰다는 누명을 씌우는 등 탄압했다.[10] 을사늑약 이후 이용익의 망명과 별세로 학교가 경영난에 빠지자, 1910년 12월 천도교손병희가 학교를 인수하였다.[11] 1915년 4월에는 일제의 전문학교규칙 시행으로 '사립보성법률상업학교'로 교명이 격하되었다. 손병희가 3·1 운동 직후 피검되면서 학교는 다시 어려움을 겪었다.[12]

2. 3. 재정 문제와 김성수의 학교 인수

학교의 중흥자 인촌 김성수


1905년 설립 당시 보성전문학교는 자금 부족으로 재단법인을 구성하지 못하고, 황실의 지원으로 운영되었다.[13] 1910년 손병희 선생이 학교를 인수한 지 11년이 지난 1921년 12월에야 김기태, 김성수, 박원호 등 58명의 공동 명의로 '재단법인 보성전문학교' 설립을 신청[14]하고 조선총독부가 이를 인가하였다. 그러나 이후 학교 시설 확충으로 다시 경영난에 빠지게 되었다.[13]

1932년 3월, 재정난에 빠진 학교를 인촌 김성수 주도로 재단법인 중앙학원이 인수하였다.[5][15] 당시 일본 와세다대학을 졸업한 김성수 선생은 중앙중학교와 동아일보사를 경영하고 있었다.[11] 훗날 와세다 출신이 고려대의 이사장 및 초대 총장을 역임하면서 고려대와 와세다는 혈맹 관계처럼 교류가 20세기부터 대폭 증가하였다.[16]

2. 4. 안암동 교사로의 이전

1918년 9월 학생 수의 급증으로 인해 낙원동으로 교사를 이전하였고, 1922년 9월에는 송현동으로 다시 이전하였다.[17][18] 1934년 9월, 현재 위치인 안암동으로 교사를 이전하였다.[11] 본관은 1933년 9월 착공하여 1934년 9월에 준공되었으며[5], 1937년에는 도서관이 준공 및 개관되었다. 본관 건물은 듀크대학의 본관을 본떠 박동진 선생이 설계를 맡았고[18], 도서관 건물은 보성전문학교 창립 3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건립되었다. 김성수 선생은 도서관 건립을 포함한 기념사업 자금 조달을 위해 전국을 다니며 직접 모금 운동을 전개하였다.[15] 현재 본관과 중앙도서관 구관은 각각 사적 제285호와 사적 제286호로 지정되어 있다.[19][20][21]

3. 광복 이후

1947년 11월 3일 학생의 날 및 광주학생항일운동 기념일을 맞아 학생 주도로 고대신문을 창간했는데, 학생기자들이 제작 과정 전반을 담당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24] 영자신문 'The Granite Tower'는 1954년 9월 현재 YBM시사 회장직을 맡고 있는 민영빈 선생이 창간했다.[25] 1950년 10월 한국 전쟁 중 현상윤 당시 총장이 납북되었고,[11][26] 유진오 교수가 임시관리책임자를 맡았다가 1952년 제2대 총장으로 취임하였다.

1952년 12월 수물학과, 화학과, 생물학과를 창설하고 문과대학을 문리과대학으로 개편하면서 농림대학을 신설했으며, 1954년 2월 문리과대학 내 문학부와 이학부를 구분했다. 1959년 4월에는 문리과대학에 있던 정경학부를 정경대학으로 승격했다.[27] 1962년 12월에는 통계학과,[37] 1965년 3월에는 신문방송학과를 설치했는데,[38] 경희대학교와 함께 대한민국 최초의 신문방송학과로 기록되고 있다.[39][40]

고려대학교1973년 3월 일본 와세다대학과 학생·교수 교환협정을, 같은 해 6월 미국 워싱턴대학과 학술교류협정을 맺었다.[57] 이후 1991년 모스크바 대학교, 1994년 중국 푸단대학(復旦大學)·하얼빈공과대학·미국 미주리대학, 1995년 미국 워싱턴주립대학·콜로라도대학·캐나다 오타와대학·중국 시안(西安)교통대학·난징(南京)대학·저장(浙江)대학·일본 아오야마 대학(靑山學院)·메이지대학(明治大學)·주오대학(中央大學)·베트남 하노이대학·뉴질랜드 오클랜드 대학, 1996년 미국 뉴욕주립대학·중국 지린(吉林)대학·헝가리 부다페스트공과대학·오스트레일리아 모나시 대학과 학술교류협정을 맺었다.[58]

1937년 중앙도서관 구관이 개관한 데 이어, 1975년 창립 70주년 기념 중앙도서관 신관을 신축하여 1978년 3월 개관하였다.[11][59][60] 1973년 10월 서독 정부의 무상원조로 농과대학 캠퍼스가 준공되어 1977년부터 활용되었고, 1978년 5월 착공한 기숙사가 1979년 11월 준공되어 1980년 3월 개관하였다.[11]

세종캠퍼스 농심국제관


1972년 사범대학이 신설되었고,[11][61][62] 1981년 10월 행정학과가 법과대학에서 정경대학으로 소속 변경되었으며,[38] 1998년 10월 의과대학 간호학과가 간호대학으로 승격되었다.[63] 1999년 2월 법대, 의대, 사범대, 간호대를 제외한 모든 단과대학 신입생에게 1.5+2.5년 또는 2+2년 형식의 학부제를 도입했고, 같은 해 10월 미술교육과가 사범대학에서 독립하여 미술학부가 신설되었다.

1980년 1월, 당국의 수도권 인구분산 정책에 따라 8개 학과, 초기 정원 400명 규모의 조치원 분교(현 세종캠퍼스) 설립이 인가되었다.[11] 1987년 11월 조치원 캠퍼스의 정식 명칭은 서창캠퍼스로 정해졌고, 2008년 세종캠퍼스로 변경되었다.[11] 세종캠퍼스2010년 설립 30주년을 맞았다.[64][65]

3. 1. 종합대학으로의 승격 (1946년)

1946년 인촌 김성수 선생의 고안으로 한반도와 한민족을 대표하는 민족고대라는 의식을 담아 '보성전문학교'가 '고려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고, 종합대학으로 승격 인가를 받았다.[23] 정법(政法)대학, 경상(經商)대학, 문과대학을 설치하고 현상윤이 초대 총장으로 취임하였다.[11]

3. 2. 4.18 의거 (1960년)

1960년 4월 11일, 3·15 부정선거에 항거하는 마산 시위에서 실종되었던 김주열 열사의 시신이 마산 앞바다에서 발견되었다.[28][29] 이에 고려대학교 학생들은 1960년 4월 3일부터 5개 단과대학 운영위원장들을 중심으로 신입생 환영회를 가장하여 시위를 계획했다.[30]

4월 18일, 고려대학교 학생들은 '친애하는 고대생 제군! 한마디로 대학은 반항과 자유의 표상이다'로 시작하는 '4·18 선언문'을 발표하고, '마산사건의 책임자를 즉시 처단하라!' 등의 구호를 외치며 교문을 나섰다.[30][31] 이 선언문은 고대신문 편집국장 박찬세가 기초하고, 경영대 운영위원장 이세기가 낭독했다.[30]

4·18 피습사건은 4·19 혁명 발발의 도화선이 되었다.


경찰의 저지를 뚫고 국회의사당 앞까지 진출한 학생들은 유진오 총장의 격려를 받고 학교로 돌아가던 중, 종로4가에서 신도환이 이끄는 대한반공청년단 소속 폭력배들에게 피습당했다.[1][32][33] 이 사건은 4·19 혁명의 도화선이 되었다.

당시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교수였던 조지훈 선생은 1960년 5월 3일자 고대신문에 '늬들 마음을 우리가 안다 - 어느 스승의 뉘우침에서'라는 시를 발표하여 학생들의 4·18 정신을 기렸다.[30][34]

고려대학교에서는 매년 4월 18일에 4·18 의거를 기념하는 '4·18 구국대장정' 행사를 개최하여 독재에 맞섰던 선배들의 정신을 이어가고 있다.[35]

3. 3. 이공계 캠퍼스 확충과 우석대학교 의과대학 합병

1963년 12월, 문리과대학이 문과대학과 이공대학으로 분리되었고, 1977년 12월에는 이공대학의 이학부와 공학부가 각각 이과대학과 공과대학으로 승격되었다.[27][36] 이러한 변화는 1946년 고려대학교가 애기능 인근 부지를 매입하면서 시작되었다.[12]

1970년부터 시작된 장기발전계획에 따라, 1971년 12월 우석대학교 의과대학을 흡수·합병하였다.[11][41] 합병된 우석대학교 의과대학은 1928년 9월 설립된 조선여자의학강습소와 1938년 5월 개교한 경성여자의학전문학교를 모태로 하며,[42] 1979년 전라북도 완주군에 설립된 현재의 우석대학교와는 관련이 없다.[43]

이공계캠퍼스 안 애기능동산

3. 4. 반복적인 시위와 잦은 휴교 사태

1960년대와 1970년대 고려대학교는 잦은 휴교 사태를 겪었다. 1965년 9월 4일, 한일협정 반대 시위로 고려대학교연세대학교와 함께 문교부로부터 무기한 휴업 명령을 받았으며,[44] 이 조치는 9월 20일까지 이어졌다. 1971년 10월 5일에는 부정부패 처단을 요구하며 농성 중이던 고려대생이 교내에 난입한 무장 군인에게 연행되었고, 이 사건이 확대되자 10월 15일 박정희 대통령은 위수령을 발동하고 군을 투입했다. 문교부 명령으로 1971년 11월 11일까지 27일간 강제 휴교 조치되었다.[45][46] 이에 앞서 1971년 5월 16일에는 김병수 당시 학생회장 등이 교련 반대 시위를 선동한 혐의로 구속되기도 하였다.[47] 1975년 4월 7일부터 고려대학교에서 독재정권 퇴진, 유신헌법 철폐를 주장하는 격렬한 시위가 벌어지자, 4월 8일 박정희 대통령은 고려대학교만을 대상으로 대통령 긴급조치 제7호를 발동하여 고려대학교에 휴교를 명하고 교내에 군대를 진주시켰다.[2][3][48] 이는 단일 학교만을 대상으로 한 전무후무한 긴급조치였으며, 5월 13일 긴급조치 제9호와 함께 발효된 긴급조치 제8호를 통해 해제되었다.[49]

제5공화국이 들어선 이후에도 독재정권을 향한 학생들의 시위는 계속되었다. 1984년 11월 14일 연세대학교성균관대학교 학생들이 민정당 당사에 난입하는 사건이 발생했는데, 이로 인해 고려대 재학생 81명이 경찰 조사를 받았으며, 이 중 20명은 훈방 조치되었다. 이 사건으로 고려대생 7명을 포함하여 모두 19명이 구속 수감되었다.[50] 당시 문교부는 학사 징계도 병행하도록 각 대학에 지시하였으며, 김준엽 당시 총장을 비롯한 29명의 교무위원이 전원 참석하여 처벌 대책을 논의했다.[51] 학생 처벌 문제를 논의하던 중 저녁 식사 자리에서 김준엽 총장이 '제자들의 죽음 앞에서 밥이 넘어가냐'며 숟가락을 들지 않은 일화는 유명하다.[52] 1982년 제9대 고려대학교 총장에 취임한 김준엽 총장은 군부 정권의 압력에도 학생들에 대한 처벌을 최소화하는 성향으로 널리 알려졌다. 1983년 가을, 학생 수백 명이 학생회관 문을 걸어 잠그고 시위를 벌일 때 밖에서 함께 밤을 새운 일화도 전해진다.[52] 이러한 그의 성향 덕분에 국내 대학 중 가장 먼저 학도호국단이 폐지되고 총학생회가 부활하는 등의 변화가 있었다.[53] 그는 결국 군부 정권의 학생회 간부 제적 요구에 맞서다 1985년 2월 강제로 사퇴당했는데,[54] 이후 학생들은 1985년 3월에 '총장 승인권 폐지, 문교부 장관 사퇴, 총장 사퇴 결사반대' 등의 구호가 담긴 '민족고대정기(民族高大精氣) 장례식'을 거행하기도 하였다.[53][55][56]

4. 2000년대 이후

2000년대 이후 고려대학교는 국제화, 학제 개편, 100주년 기념사업 등 다양한 변화와 발전을 겪었다.

2000년부터 2006년까지 54개국 543개 대학과 학술 교류 협정을 체결하고, 2002년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교에 고려대학교 생활관을 건립하는 등 국제 교류를 확대했다.[66][67][68][69]

학제적으로는 2001년 의과대학과 의료원 통합, 국제학부 신설,[70][71] 2002년 언론학부와 정보통신대학 신설,[72] 2006년 생명과학대학 통합,[75] 2007년 조형학부로 개칭,[78] 2010년 세종캠퍼스에 약학대학 설립,[79] 미디어학부로 개칭 등 여러 변화가 있었다. 2000년2004년에는 토익과 한자능력검정시험 졸업 요건이 강화되기도 했다.[80][81][82][83] (단, 2011년 일부 학과의 경우 한자 졸업요건 폐지[84]) 또한 2004년 신입생부터 심화전공, 이중전공, 연계전공 중 하나를 의무적으로 이수해야 졸업할 수 있게 되었다.[85]

2005년 개교 100주년을 맞아 기념사업회를 중심으로 국제학술대회,[88][89] 고대 100년사 편찬,[87][90] 기념행사,[91][92] 백주년기념관 건립 등 다양한 사업이 진행되었다.[95] 특히, 1938년 완공된 대운동장을 녹지화한 중앙광장이 2002년 완공되었다.[70][96] 그러나 10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던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 명예박사 학위수여식은 학생들의 반대 시위로 인해 본관에서 진행되었고,[99][100][101] 'KU' 영문 머리글자 상표권 등록은 건국대학교와의 갈등으로 실패했다.[103]

2009년에는 의학전문대학원과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이 도입되었다. 고려대학교는 2015년부터 의학전문대학원을 폐지하고 의과대학 체제로 복귀할 예정이다.[104][105][106] 로스쿨의 경우 120명의 인원을 배정받았으나,[107] 학교 측은 이에 반발하여 예비 인가 반납을 고려하기도 했지만, 최종적으로는 2009년 개원하였다.[108][109][110][111]

2003년 어윤대 총장 취임 이후,[70] 2006년 이필상 총장이 논문 표절 의혹으로 사퇴하고[91][116][117] 한승주 총장 서리를 거쳐, 2008년 이기수 총장,[118][119] 2011년 김병철 총장이 취임하였다.[120][121] 2010년에는 여성 ROTC 설치대학으로 선정되었다.[124]

교수학습개발원은 학생들이 수업자료를 쉽게 얻고 교수와 학생 간 상호 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해 EKU(E-Learning Korea University)를 개발 및 관리하고 있다. 2004년 시범 운영 후 전체 강좌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지만, 초기에는 이용률이 낮았다.[129]

세종캠퍼스 농심국제관


세종캠퍼스2007년 한국철도대학 인수 협상이 결렬되었고,[130] 2008년 세종대학교와의 명칭 분쟁을 겪었으나,[131][132][133][134][135][136] 2011년 약학대학을 개교하였다.[79][137]

4. 1. 해외 대학과의 교류 (2000년 이후)

2000년 게이오대학(일본), 콩고디아 대학(미국)과 학술교류협정을 체결했다. 2001년에는 싱가포르 국립대학, 홍콩 시립대학, 중문(中文)대학, 고쿠시칸대학(일본), 리쓰메이칸(立命館) 아시아태평양 대학, 무사시(武藏)대학(일본), 프라이부르크 대학(독일)과 학술교류협정을 체결하였다.[66]

2002년에는 옌볜(延邊) 과학기술대학, 2003년에는 자와할랄 네루 대학(인도), 난카이(南開)대학, 우한대학(중국), 중국인민대학(中國人民大學)과 학술교류협정을 체결하였다.[66]

2004년에는 사이타마대학(일본), 도호쿠대학(일본), 브라위자야 대학(인도네시아), 빅토리아 대학, 칭화대학(중국), 중국정법대학(中國政法大學), 산둥(山東)대학(중국), 콜리마 대학(멕시코), 레이든대학(네덜란드), 요크대학(캐나다)과 학술교류협정을 체결하였다.[66]

2006년 기준으로 54개국 543개교와 교류협정이 체결되어 국제적인 학술 교류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67]

2002년 10월에는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캐나다)에 고려대학교 생활관(KU-UBC House)을 건립하여 국제 교류의 기반을 다졌다.[68][69]

4. 2. 학제 개편 및 졸업 요건 변화

2000년대 들어 고려대학교에는 여러 차례의 학제 개편이 있었다. 2001년 3월 의과대학과 의료원이 통합 운영되고 의료원은 독립채산제를 실시하였으며,[70] 같은 해 7월에는 국제학부가 신설되었다.[71] 2002년 신문방송학과가 정경대학에서 독립하여 언론학부가 신설되었고, 8월에는 컴퓨터학과가 이과대학에서 독립해 전파통신학과와 함께 정보통신대학이 신설되었다.[72] 2005년 공과대학 전자·전기공학부와 정보통신대학 전파통신공학과의 통합이 추진되었으나, 전파과 교수, 학생 및 학부모들의 반대로 마찰이 발생하였고,[73] 이 과정에서 통합에 반대하는 학부모들이 총장실을 점거하기도 하였다.[74]

2000년 이과대학 생물학과가 생명과학부로 분리된 데 이어,[36] 2003년 생명공학원과 생명과학부가 생명과학대학으로 승격 및 개편되었다.[75] 2006년 생명과학대학과 농과대학을 연원으로 하는 생명환경과학대학[76][77]이 합쳐져 현재의 생명과학대학이 되었다.[75] 2007년 3월 미술학부가 조형학부로 개칭되었고,[78] 2010년 3월 세종캠퍼스에 약학대학이 설립 인가되어 2011년 3월 신입생을 받기 시작했으며,[79] 언론학부가 미디어학부로 개칭되었다.[40]

2000년대에는 Global KU 프로젝트 등의 영향으로 졸업요건이 강화되었다. 2000년 3월 신입생부터 토익 700점 이상을 획득해야 졸업이 가능해졌으며,[80][81][82] 2004년 3월 신입생부터 한자 2급 수준의 졸업요건이 신설되었다.[80][83] (단, 2011년 일부 학과의 경우 한자 졸업요건 폐지[84]) 또한 2004년 3월 신입생부터 심화전공, 이중전공, 연계전공 중 하나를 의무적으로 이수해야 졸업할 수 있게 되었다.[85]

4. 3. 개교 100주년 기념사업 (2005년)

2005년고려대학교가 개교한 지 100주년이 되는 해로, 5월 5일 개교 100주년 기념식이 거행되었다. 2003년 출범한 '개교 100주년 기념사업회'는[86] 학술, 편찬, 행사, 모금, 건립의 5개 분과위원회를 통해 기념사업을 추진하였다.[87]

학술분과는 '한국, 100년을 향한 성찰과 전망'을 주제로 2005년 5월 23일부터 5월 25일까지 정치외교, 경제, 사회, 문화, 과학기술 5개 영역의 국제학술대회[88][89]와 8개 교내학술회의를 주관하였다.

편찬분과는 2001년 5월 신설되어 고대 100년사, 연표, 부문사, 화보집, 자료집, 고대약사 영문판, 역대총장기념사를 정리 및 집필하였다.[87][90]

행사분과는 2004년 11월 1일 KU Global Vision 선포식을 비롯한 다양한 행사를 주관하였다. 2005년에는 노벨상 수상자 연속 강연회,[91] 5월 4일 세계대학총장포럼이 개최되었고,[90][92] 9월 11일 예술의 전당에서 고려대학교 관현악단이 알렉세이 라린의 '고려대학교를 위한 찬가'를 초연했다.[93][94]

모금분과는 모금활동을, 건립분과는 백주년기념관, 타이거플라자, I-House 등을 시공했으며,[95] 이는 학교 발전 마스터플랜에 따른 것이었다.[87] 재단 계획과 맞물려 2002년 3월 중앙광장이 먼저 완공되었다.[70][96] 중앙광장은 1938년 완공 당시 아시아 최대 규모였던 대운동장을 녹화, 공원으로 조성하고 지하에 열람실과 편의시설을 갖춘 공간이다.

2004년 3월 백주년 기념 엠블렘,[86][97] 2005년 5월 30일 개교 100주년 기념 글로벌 UI가 선포되었다.[91][98]

4. 3. 1. 이건희 삼성 회장 명예박사 학위수여식 사태

2005년 5월 2일, 고려대학교 당국은 삼성그룹 이건희 회장에게 명예 철학 박사 학위를 수여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당시 문과대 학생회와 '다함께' 고대모임 소속 학생 60여 명은 이건희 회장의 명예박사 학위 수여에 반대하며 당일 오후 구호를 외치고 시위를 벌였다.[99][100] 이로 인해 수여식은 본래 예정되었던 장소가 아닌 본관 2층에서 진행되었다.[101]

이후 학교 당국은 삼성그룹에 사과문을 발표하고 시위에 참여한 학생들을 징계하려 했으나, 이 결정은 곧 취소되었다. 당시 이 사건을 두고 학생들을 비판하는 여론이 우세했으며, 안티총학 카페가 개설되기도 하였다.[102]

4. 3. 2. 영문 머리글자 상표권 등록 문제

고려대학교는 개교 100주년을 맞아 추진한 Global KU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KU'라는 영문 머리글자를 도입하고 이에 대한 독점권을 얻기 위해 상표권 등록을 시도했다. 그러나 2005년 건국대학교도 새로운 학교 마크에 'KU'를 사용하면서 문제가 발생했다. 'KU'는 일반명사로 간주되어 상표권 등록이 어렵다는 점도 난관이었다. 결국 두 학교 모두 'KU' 상표권 등록에 실패했다.[103]

4. 4. 의학전문대학원과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고려대학교는 정부의 '의·치의학전문대학원' 도입 정책에 따라 2009년부터 기존의 [http://medicine.korea.ac.kr 의과대학]을 의학전문대학원으로 일부 전환해 신입생을 선발하였다.[104] 2010년 교육과학기술부는 의·치전원 운영 성과를 평가해 의과대학과 의전원을 병행 운영하는 대학에 한하여 2015년부터 자율적인 학제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고려대학교는 2015년부터 기존의 의과대학 체제로 복귀한다는 내용의 학제계획서를 교육과학기술부에 제출하였다.[105][106] 의학전문대학원과 함께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도 도입되어 2009년부터 신입생을 받았다. 고려대학교는 로스쿨 인원으로 120명을 배정받았는데,[107] 인원 배정 발표 이후 로스쿨 배정 인원에 문제가 있다는 이유로 예비 인가 반납을 심도있게 검토하였으나[108] 인가 철회 방침을 포기하고[109] 2009년 예정대로 개원하여[110] 운영되고 있다.[111] 한편, 로스쿨 예비인가 대학 선정과 관련해서 최근 5년간 사법고시 합격자 수가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는 분석이 나오기도 하였다.[112]

4. 5. 근래의 총장 선임 및 주요 사건


  • 2003년 2월, 어윤대 박사가 제15대 총장으로 취임하였다.[70] 어윤대 총장 재임 기간 동안 고려대학교는 2005년 영국 더 타임즈가 발표한 '2005년 세계 200대 대학'에서 184위,[113] 2006년에는 150위에 오르는 성과를 기록했다.[99][114] 그러나 2006년 평가 결과에 대해서는 학교 측이 비전임 교원 수까지 포함된 수치를 제공하여 교원 수를 부풀렸다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하였다.[115]
  • 2006년 12월, 이필상이 제16대 총장으로 취임했으나,[91] 논문 표절 의혹으로 인해 취임 62일 만인 이듬해 2월 사퇴하였다.[116][117] 이후 한승주가 총장 서리를 맡았다.
  • 2008년 1월 17일, 이기수 교수가 제17대 총장으로 선임되었으며,[118][119] 2011년 3월에는 김병철 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부 교수가 제18대 총장으로 취임하였다.[120][121] 제18대 총장 선거에서는 역대 최다인 10명의 후보가 출마하였다.[122][123]
  • 2010년 9월 14일, 고려대학교숙명여대, 명지대, 충남대, 전남대, 영남대, 강원대와 함께 최초로 여성 후보생 설치대학으로 선정되었다.[124] 고려대학교에서는 첫 여성 ROTC 모집에 11명이 지원하여[125][126] 이 중 5명이 최종 합격하였다.[127][128]
  • 교수학습개발원은 학생들이 수업자료를 쉽게 얻고 교수와 학생 간 상호 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해 EKU(E-Learning Korea University)를 개발 및 관리하고 있다. 2004년 1학기 동안 영어강의와 핵심교양 수업 등에서 시범 운영 후 2학기부터 전체 강좌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지만, 초기에는 이용률이 낮아 학생들이 각기 다른 커뮤니티에서 자료를 구하는 등의 불편을 겪기도 하였다.[129]


4. 5. 1. 세종캠퍼스 관련 사건

2007년 5월, 건설교통부고려대 세종캠퍼스한국철도대학 인수 1순위 대학으로 선정하여 인수를 위한 협상을 진행했지만, 결국 결렬되었다.[130] 2008년 3월, 서창캠퍼스가 세종캠퍼스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3월 13일 명칭선포식이 열렸다.[131] 그러나 이 과정에서 세종대학교는 고려중앙학원을 상대로 2008년 3월과 6월에 유사표장 사용금지 가처분 신청[132]과 소송을 각각 제기했지만,[133] 모두 기각되거나 패소하였다.[134][135] 세종대학교 측은 '세종캠퍼스' 명칭 반대 궐기대회를 여는 등 강하게 반발하기도 하였다.[136]

참조

[1] 뉴스 다시 격발(激發)된 학생(學生)데모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60-04-19
[2] 웹인용 대통령긴급조치 제7호(1975.4.8) http://theme.archive[...] 2011-06-06
[3] 뉴스 긴급조치(緊急措置) 7호선포 http://dna.naver.com[...] 매일경제 1975-04-10
[4] 뉴스 대학 캠퍼스 안의 역사적 건물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11-03-04
[5] 웹인용 절제된 아름다움이 돋보이는 대표적인 근대 건축물 고려대학교 본관 http://www.korea.ac.[...] 2009-04-28
[6] 뉴스 나의 이력서 이원순(李元淳) 전경련(全經聯) 고문 http://dna.naver.com[...] 매일경제 1988-01-28
[7] 웹인용 글로벌 리더로 인도하는 세계 경영 내비게이터 http://www.koryo.ac.[...] 2008-01-10
[8] 웹인용 건물안내 http://biz.korea.ac.[...] 2011-07-01
[9] 웹인용 연표 http://www.korea.ac.[...] 2011-06-06
[10] 뉴스 사학(私學)의 수난(受難) 고대(高大)·연대(延大)의 발자취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65-09-04
[11] 웹인용 고려대학교 연표 https://www.korea.ac[...] 2011-06-04
[12] 뉴스 캠퍼스의 봄 (2) 고려대학편(高麗大學篇)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62-03-14
[13] 뉴스 대학재단(大學財團) 그 이면(裏面) (9) 고려중앙학원(高麗中央學院) http://dna.naver.com[...] 매일경제 1968-09-23
[14] 웹인용 ‘보성에서 고려까지’ 114년 역사의 초석을 다지다 http://www.kunews.ac[...]
[15] 뉴스 仁村(인촌)선생의 나라사랑-교육사상을 중심으로 40周忌(주기) 추념강연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95-05-21
[16] 웹인용 문희상 한국의장을 모셨을 때, 와세다 대학·스카 코이치(須賀晃一) 부총장 및, 요시노 타카시(吉野孝) 지역간 연구 기구장의 환영사를 아래에 내걸었습니다. 新学術領域研究 和解学の創成 https://www.waseda.j[...] 2024-01-15
[17] 웹인용 연표 http://www.korea.ac.[...] 2011-07-18
[18] 뉴스 한국(韓國)의 명건물(名建物) (12) 고려대학교(高麗大學校) 본관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84-12-18
[19] 뉴스 구(舊)서울대본관(本館)·중앙고(中央高)본관등 양식(洋式)건물17채 사적(史蹟)추가지정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81-06-05
[20] 뉴스 웅장…화려…고풍…절제…대학가 근대건축물 관람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7-01-13
[21] 웹인용 고려대학교중앙도서관(高麗大學校中央圖書館) http://www.cha.go.kr[...] 2011-06-04
[22] 웹인용 연표 http://www.korea.ac.[...] 2011-06-06
[23] 뉴스 건국동량(建國動梁)의새요람(搖籃)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46-05-20
[24] 웹인용 고대신문 소개 http://www.kukey.com[...] 2011-06-02
[25] 뉴스 민영빈 YBM 시사 회장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5-02-17
[26] 뉴스 「6.25」20돌 특집(特集) (4) 돌아오지 않는 사람들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70-06-25
[27] 웹인용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주요 연혁 http://libart.korea.[...] 2011-06-06
[28] 뉴스 굽이굽이 미완의 숙제 남기고 흐르는 '굴곡의 현대사'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0-01-03
[29] 뉴스 4·19의 횃불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60-04-25
[30] 웹인용 4.18 49주년, 그 꺼지지 않은 혁명의 불씨를 기억하며 http://www.korea.ac.[...] 2009-04-28
[31] 웹인용 고려대 박물관 4.18 고대생 의거 50주년 기념 특별전 http://www.korea.ac.[...] 2010-07-23
[32] 뉴스 고대생(高大生)들 데모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60-04-19
[33] 뉴스 고대(高大) 데모대(隊) 깡패단습격(團襲擊)으로 유혈소동(流血騷動)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60-04-19
[34] 뉴스 조지훈 시비(詩碑) 제막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6-09-29
[35] 뉴스 4·18 고대생 의거 50주년 기념 행사들 열려 http://news.jkn.co.k[...] 재경일보 2010-04-19
[36] 웹인용 현황 및 연혁 http://totalweb.kore[...] 2011-06-06
[37] 웹인용 연혁 http://totalweb.kore[...] 2011-06-06
[38] 웹인용 소개 및 교육목표 http://hoan.korea.ac[...] 2011-06-04
[39] 서적 한국현대사산책 인물과사상사 2004
[40] 웹인용 미디어학부 소개 http://totalweb.kore[...] 2011-06-04
[41] 뉴스 진통(陣痛) 1年9개月만의 안주(安住) 고려대(高麗大) 우석대(友石大)병합의 언저리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71-12-02
[42] 뉴스 대학재단(大學財團) 그 이면(裏面) (11) 우석(友石) 재단 http://dna.naver.com[...] 매일경제 1968-09-26
[43] 웹인용 연혁 http://www.woosuk.ac[...] 2011-07-13
[44] 뉴스 어리둥절 모두 어리둥절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65-09-04
[45] 뉴스 무거운침묵(沈默) 위수·휴업령(休業令)내려져 굳게닫힌 캠퍼스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71-10-15
[46] 뉴스 27년 만에 빛 본 1980년 ‘신동아’ 계엄검열 삭제 기사 ‘4·19에서 10·26까지 학생운동이 걸어온 발자취’ https://news.naver.c[...] 신동아 2007-04-25
[47] 뉴스 고대학생회장(高大學生會長)등 셋구속(拘束) http://dna.naver.com[...] 매일경제 1971-05-17
[48] 웹인용 高大의 문은 누구도 닫을 수 없습니다! http://www.koreapas.[...] 2011-06-06
[49] 뉴스 35日만에 門열린 고려大 校門의軍人에 "수고했오"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75-05-13
[50] 뉴스 민정당사(民正黨舍)난입 대학생19명 구속(拘束)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84-11-20
[51] 뉴스 잇단 교수(敎授)·교무회의(會議)·결론(結論)못내려 각대학(大學) 농성학생 징계 고민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84-11-20
[52] 뉴스 '마지막 광복군' 김준엽 선생의 대장정 90년 http://www.nocutnews[...] 노컷뉴스 2011-06-09
[53] 뉴스 "김준엽 전 총장은 `진정한 선비'의 전형"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1-06-07
[54] 뉴스 실천하는 지성, 시대의 스승 故 김준엽 전 총장 http://biz.heraldm.c[...] 헤럴드경제 2011-06-08
[55] 뉴스 진정한 高大魂의 부활을 꿈꾸며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02-07-19
[56] 웹인용 김준엽 전 고려대 총장 타계 http://www.korea.ac.[...] 2011-06-22
[57] 웹인용 연표 http://www.korea.ac.[...] 2011-06-06
[58] 웹인용 연표 http://www.korea.ac.[...] 2011-06-06
[59] 웹인용 도서관 연혁 https://web.archive.[...] 2011-06-06
[60] 뉴스 고대(高大) 새도서관(圖書館)개관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78-03-15
[61] 뉴스 고대(高大)에 사대신설(師大新設) 인가신청(認可申請) http://dna.naver.com[...] 매일경제 1971-12-06
[62] 웹인용 사범대학 연혁 http://educa.korea.a[...] 2011-07-01
[63] 웹인용 주요연혁 http://totalweb.kore[...] 2011-06-04
[64] 뉴스 고려대 세종캠퍼스 개교 30주년 기념식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05-27
[65] 뉴스 30년 쌓아올린 세(世)상의 종(宗)심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0-05-24
[66] 웹인용 연표 http://www.korea.ac.[...] 2011-06-06
[67] 뉴스 "고려대 글로벌化"아직도 배고프다 https://news.naver.c[...] 헤럴드경제 2006-05-26
[68] 뉴스 고려대, 캐나다 UBC에 한국학생위한 기숙사 준공 https://news.naver.c[...] 문화일보 2002-11-01
[69] 뉴스 KU-UBC House 준공식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02-10-04
[70] 웹인용 고려대학교 약사 http://www.korea.ac.[...] 2011-06-04
[71] 웹인용 The Division of International Studies https://web.archive.[...] 2011-06-04
[72] 웹인용 대학소개 https://web.archive.[...] 2011-06-04
[73] 뉴스 다시 돌아보는 2005, 갈등과 환호의 캠퍼스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7-02
[74] 뉴스 정통대 학부모, 총장실 점거해 시위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7-02
[75] 웹인용 연혁 http://ls.korea.ac.k[...] 2011-06-24
[76] 웹인용 생명과학대학의 변천사 http://www.koreapas.[...] 2011-07-01
[77] 뉴스 서경이 만난 사람 이기수 고려대학교 총장 https://web.archive.[...] 서울경제 2011-07-01
[78] 웹인용 조형학부 연혁 https://web.archive.[...] 2011-06-04
[79] 웹인용 연혁 http://korea2.ngelne[...] 2011-06-04
[80] 뉴스 빛나는 졸업장 받기 힘들다 http://biz.heraldm.c[...] 헤럴드경제 2011-06-24
[81] 뉴스 대학졸업門 갈수록 '좁은門'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11-06-24
[82] 뉴스 영어못하면 졸업하기 힘들어진다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6-15
[83] 뉴스 04학번, 한자이해능력 인증돼야 졸업한다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6-15
[84] 뉴스 한자졸업요건폐지, "단과대 자율에 맡기겠다"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6-02
[85] 뉴스 04학번 제2전공 꼭 선택해야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6-15
[86] 뉴스 내년 개교 100주년 맞는 고려대 http://www.unn.net/N[...] 한국대학신문 2011-06-24
[87] 뉴스 치밀한 준비가 본교 도약의 전환점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6-24
[88] 뉴스 고려大 100주년 국제학술회의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11-06-24
[89] 뉴스 백주년 학술대회 성황리에 마쳐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6-24
[90] 뉴스 내달 5일 100돌 고려대학교 https://web.archive.[...] 한국일보 2011-06-24
[91] 웹인용 고려대학교 약사 http://www.korea.ac.[...] 2011-06-04
[92] 뉴스 세계대학총장포럼, 성공적 개최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6-24
[93] 뉴스 ‘고려大 교향곡’ 탄생…러 라린교수 작곡, 11일 초연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11-06-24
[94] 뉴스 본교 관현악단 오는 11일 공연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6-24
[95] 뉴스 고대-국제화 프로그램 활발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11-06-24
[96] 뉴스 김병관 동아일보 명예회장 별세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11-06-02
[97] 뉴스 "색상·형태 맞춰 엠블렘 사용해 달라"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6-24
[98] 뉴스 대학가 'UI 바꾸기’ 바람 https://web.archive.[...] 서울경제 2011-06-24
[99] 뉴스 10대 사건으로 돌아본 어윤대 총장 임기 4년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6-24
[100] 뉴스 고려대 ‘이건희 회장 명박 수여’ 시위싸고 시끌 https://news.naver.c[...] 세계일보 2011-06-24
[101] 뉴스 이건희 회장 名博학위수여식 `파행` https://news.naver.c[...] 이데일리 2011-06-02
[102] 뉴스 "고대생 삼성 취업 물건너갔다" 홈피에 '학생비판론' 우세 https://news.naver.c[...] 오마이뉴스 2011-06-02
[103] 뉴스 고려대 "`KU' 상표권 등록 어떻게 안될까"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1-06-07
[104] 뉴스 본교 의학전문대학원 2009년 개원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6-07
[105] 뉴스 서울대·연대·고대, 의학전문대학원 포기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11-06-24
[106] 뉴스 2년만에 단독 의대체제로 돌아가기로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6-07
[107] 뉴스 로스쿨 예비大서울권15곳 1140명,지방10곳 860명 잠정 확정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11-06-07
[108] 뉴스 고려대, 로스쿨 반납 오늘 결정 http://mbn.mk.co.kr/[...] MBN 2011-06-07
[109] 뉴스 고려대 "로스쿨 반납 방침 거두기로" http://www.nocutnews[...] 노컷뉴스 2011-06-09
[110] 뉴스 고려대 로스쿨 "호랑이의 기상으로..." 신입생 OT 가져 http://news.lec.co.k[...] 법률저널 2011-06-07
[111] 뉴스 명예기자 리포트 '지금, 우리 로스쿨은?' 고려대 로스쿨 http://news.lec.co.k[...] 법률저널 2011-06-07
[112] 뉴스 "사시합격자 수가 `로스쿨 당락` 갈랐다"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11-06-07
[113] 뉴스 어윤대 KB금융지주 회장 http://news.mk.co.kr[...] 매일경제 2011-06-24
[114] 뉴스 자본·시장논리에 ‘상아탑 반기’…어윤대 총장 탈락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1-06-09
[115] 뉴스 ‘세계대학평가 150위’ 고려대, 교원수 부풀려 자료 냈다? http://www.hani.co.k[...] 한겨레 2011-06-24
[116] 뉴스 '논문표절 의혹' 이필상 총장 끝내 사의 표명 http://news.sbs.co.k[...] SBS 2011-06-04
[117] 뉴스 103번째 새끼호랑이들의 '개강'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6-24
[118] 뉴스 고려대 이기수 총장 취임.."法古創新정신 상기"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1-06-24
[119] 뉴스 본교 제 17대 이기수 총장 취임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6-04
[120] 뉴스 제18대 김병철 총장 취임 http://baram.khan.co[...] 경향신문 2011-06-24
[121] 뉴스 28일, 제18대 총장 취임식 열려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6-04
[122] 뉴스 고려대 차기 총장선거 역대 최다 10명 출마 http://www.etoday.co[...] 이투데이 2011-06-24
[123] 뉴스 18대 총장선거에 교수 10명 등록...본격적인 일정 시작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6-24
[124] 뉴스 여성 ROTC 설치대학,숙명여대 등 7개大 선정 http://www.fnnews.co[...] 파이낸셜뉴스 2011-06-09
[125] 뉴스 첫 여성ROTC 경쟁률..6 대 1 http://www.fnnews.co[...] 파이낸셜뉴스 2011-06-24
[126] 뉴스 여성 ROTC 모집에 11명 지원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6-09
[127] 뉴스 고려대 첫 여성 ROTC 후보생 입단 http://economy.hanko[...] 서울경제 2011-06-24
[128] 뉴스 여성 학군장교후보생 5명 선발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6-09
[129] 뉴스 준비된 EKU,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6-06
[130] 뉴스 한국철도대학 사립화사업 우선협상종결 http://korea.kr/news[...] 대한민국 정책포털 공감코리아 2011-06-04
[131] 뉴스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명칭 선포식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1-06-09
[132] 뉴스 세종대, 고려대의 '세종캠퍼스' 표장사용금지 가처분신청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1-06-09
[133] 뉴스 세종대, "세종캠퍼스 사용말라" 고대 상대 소송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1-06-09
[134] 뉴스 법원 "고려대 세종캠퍼스..표장 사용할 수 있다" http://www.fnnews.co[...] 파이낸셜뉴스 2011-06-09
[135] 뉴스 고대 '세종캠퍼스' 명칭은 도용 아냐 http://www.nocutnews[...] 노컷뉴스 2011-06-09
[136] 뉴스 세종대, 내달 2일 高大 '세종'캠퍼스 명칭 반대 궐기대회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1-06-09
[137] 뉴스 고려대 세종캠, 약대 개교선포식 개최 http://www.mt.co.kr/[...] 머니투데이 2011-06-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