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관동팔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관동팔경은 강원도 지역의 빼어난 경치를 일컫는 말로, 현재는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와 경상북도 울진군, 그리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일부 지역에 걸쳐 있는 여덟 곳의 명승지를 의미한다. 관동팔경은 시대에 따라 조금씩 차이를 보이며, 총석정, 청간정, 낙산사, 삼일포, 경포대, 죽서루, 망양정, 월송정을 포함한다. 고려 시대 안축의 《관동별곡》과 조선 시대 정철의 《관동별곡》 등 문학 작품을 통해 그 아름다움이 널리 알려졌으며, 분단 이후 북한 지역에 위치한 총석정, 삼일포, 시중대는 방문이 어려워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원특별자치도의 관광지 - 통일전망대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에 위치한 통일전망대는 북한의 모습과 군사분계선을 볼 수 있는 장소로, 통일관, 6.25전쟁체험전시관 등의 시설과 통일미륵불, 성모마리아상 등의 조형물이 있으며, 통일안보공원에서 출입신고 및 안보 교육 이수 후 방문 가능하다.
  • 한국의 팔경 - 관서팔경
    관서팔경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북 지방의 아름다운 여덟 곳으로, 인풍루, 통군정, 동림폭포, 백상루, 연광정, 강선루, 세검정, 약산동대가 있으며 역사적 의미와 독특한 아름다움을 지닌 명소이다.
  • 한국의 팔경 - 단양팔경
    단양팔경은 단양군의 뛰어난 자연 경관을 대표하는 여덟 곳의 명승지로, 기암과 절벽 등 독특한 지형적 특징을 가진 도담삼봉, 석문, 구담봉, 옥순봉, 상선암, 중선암, 하선암, 사인암으로 구성되어 남한강 유역에 위치하며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지닌다.
관동팔경
개요
종류명승지
별칭관동 8경
관동 팔경
위치강원특별자치도와 강원도 지역의 해안가
구성 요소
위치 및 명칭 (남한 기준)총석정
삼일포
청간정
낙산사
경포대
죽서루
망양정
월송정
역사
유래조선 시대에 관동 지방의 뛰어난 경치를 칭송하며 지정
위치 정보

2. 지명

관동팔경은 영동팔경(嶺東八景)이라고도 한다. 관동은 관동 지방, 즉 현재의 강원특별자치도 지역을 의미한다. ‘영동’에서 ‘영’(嶺)은 ‘대관령’을 뜻하며, ‘영동’(嶺東)이란 대관령의 동쪽 지방이라는 의미이다. 이 지역은 현재 행정구역상 다음과 같은 곳들을 포함한다.



또한, 1962년까지 강원도에 속했던 경상북도 울진군이 포함되기도 한다.

3. 관동팔경

#이미지이름위치설명
1
총석정
총석정북한 강원도 통천군정자 이름이기도 하지만, 넓게는 주상절리 바위기둥과 절벽 전체를 가리킨다. 북한의 명승지 제13호 및 천연기념물 제214호이다.
2
청간정
청간정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설악산 골짜기에서 흘러내리는 청간천과 동해 바다가 만나는 기암절벽 위 산록에 자리한 팔각지붕의 중층 누정이다. 관동팔경 중 수일경(隨一景)으로 꼽힌다.
3
낙산사 의상대
낙산사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오봉산에 있는 사찰이다. 671년(신라 문무왕 11년) 의상대사가 창건한 이후 여러 차례 중건과 복원을 거듭하였다.
4
삼일포
삼일포북한 강원도 고성군강원도 고성군에 있는 호수로, 신라 시대 화랑들이 사흘 동안 머물렀다는 전설이 있다.
5
경포대와 경포호
경포대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강릉시 중심에서 동북쪽으로 약 7km 떨어진 언덕 위에 세워진 누대이다. 경포호와 동해 바다를 조망할 수 있다.
6
겸재 정선이 그린 죽서루
죽서루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삼척시 오십천 절벽 위에 세워진 누각으로, 보물 제213호이다. 관동팔경 누정 중 유일하게 강을 끼고 있다.
7
망양정
망양정대한민국 경상북도 울진군경상북도 울진군 기성면 망양리 해안 언덕에 있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겹처마 팔작지붕 정자이다. 고려 시대에 처음 세워졌으나 허물어져, 1471년(조선 성종 2) 평해군수 채신보가 현 위치로 옮겨 세웠다.
8
월송정
월송정대한민국 경상북도 울진군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 월송리 해변에 있는 정자이다. 고려 시대 창건 후 조선 중기 관찰사 박원종이 중건했으나 소실되었고, 1933년 지역 주민들이 다시 세웠다.


3. 1. 관동팔경의 변천

관동팔경(關東八景)으로 꼽히는 명승지는 시대나 관점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 여덟 곳을 가리킨다.

경우에 따라서는 평해의 월송정 대신 흡곡시중대(흡곡의 시중대)를 포함하기도 한다.

이 중 총석정, 시중대, 삼일포는 북한의 통치 범위에 있으며, 나머지는 한국의 통치 범위에 있다. "관동(關東)"은 본래 강원도동해 연안부를 가리켰지만, 한국 전쟁 이후 행정 구역의 변경이 이루어져 망양정과 월송정이 있는 울진군경상북도에 소속되어 있다.

바다와 호수가 자아내는 백사청송의 경관이나 산의 풍경이 사랑받아, 많은 전설과 가요, 시가 생겨났다. 특히, 총석정, 삼일포, 낙산사를 노래한 안축의 『관동별곡』(고려 말기)과, 관동팔경과 금강산 일대의 산수의 아름다움을 묘사한 정철의 『관동별곡』(조선 왕조기)이 유명하다.

4. 역사와 문학 속의 관동팔경

관동팔경은 예로부터 그 아름다운 경치로 유명하여 많은 시인과 묵객들의 사랑을 받아왔다. 바다와 호수가 어우러진 백사청송의 경관이나 산의 수려한 풍경은 수많은 전설과 노래, 시의 소재가 되었다.

고려 충숙왕 17년(1330년) 안축이 지은 《관동별곡》은 관동 지역의 명승지를 노래한 초기 작품 중 하나로, 총석정, 삼일포, 낙산사 등의 절경을 담고 있다.[3] 현존하는 기록 중 관동팔경의 구체적인 목록을 처음 제시한 것은 조선 시대 삼척부사를 지낸 허목의 《죽서루기》(竹西樓記)로 알려져 있다.[4] 이후 1580년에는 송강 정철이 강원도 관찰사로 부임하여 관동팔경과 금강산 일대를 유람하고 그 빼어난 아름다움을 노래한 가사 《관동별곡》을 남겼는데, 이는 한국 문학의 백미 중 하나로 꼽힌다.

숙종은 관동팔경을 시로 읊으며 각 군마다 하나의 명승지를 두는 '1군 1경'의 기준을 세우려 하였고[5], 실학자 이중환은 《택리지》에서 일부 다른 장소를 포함시키기도 하는 등, 시대에 따라 관동팔경으로 꼽히는 장소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오늘날 통상적으로 관동팔경으로 꼽히는 경승지는 다음과 같다.



경우에 따라 월송정 대신 흡곡시중대를 포함하기도 한다.

이 중 총석정, 시중대, 삼일포분단 이후 북한의 통치 영역에 속하게 되었다. 또한, 본래 "관동(關東)"은 강원도의 동해안 지역을 지칭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망양정과 월송정이 위치한 울진군경상북도에 편입되었다. 이처럼 관동팔경은 아름다운 자연 경관뿐만 아니라, 한국의 역사와 문학, 그리고 분단의 현실까지 담고 있는 상징적인 공간이라 할 수 있다.

4. 1. 고려 시대

1330년 고려 충숙왕 17년, 안축은 44세 때 강원도존무사(江原道存撫使)로 임명되어 활동하다가 돌아오는 길에 관동지방의 뛰어난 경치와 유적, 그리고 명산물에 깊은 감명을 받았다. 이를 바탕으로 그는 유명한 《관동별곡》을 창작하였다. 이 작품은 경기체가 형식으로 쓰인 가사이며, 전체 9장으로 구성되어 그의 문집인 《근재집》(謹齋集) 2권에 전해지고 있다.[3] 안축은 이 노래에서 총석정, 삼일포, 낙산사 등 관동 지역의 아름다운 경치를 생생하게 묘사하였다.

4. 2. 조선 시대

현존하는 기록 중 관동팔경을 구체적으로 지적한 가장 오래된 것은 삼척부사였던 허목의 《죽서루기》(竹西樓記)이다. 그는 통천총석정, 고성삼일포와 해산정, 간성영랑호, 양양낙산사, 강릉경포대, 삼척의 죽서루, 평해월송정을 꼽았다.[4]

1580년 선조 13년에는 송강 정철강원도 관찰사로 부임하여, 관동팔경과 해·내·외금강 등 경치가 뛰어난 곳을 유람하며 그 감흥을 담은 가사 《관동별곡》을 지었다.

숙종(재위 1674년 ~ 1720년)은 관동팔경을 주제로 시를 읊으며, 각 군마다 하나의 명승지를 두는 '1군 1경'의 기준을 세우고자 했다. 숙종이 언급한 곳은 통천총석정, 고성삼일포, 간성의 만경대, 양양낙산사, 강릉경포대, 삼척의 죽서루, 울진의 망양정, 평해월송정으로, 총 9곳이었다. 숙종은 특히 망양정에 '관동제일루(關東第一樓)'라는 현판을 직접 써서 내리기도 했다.[5]

이 외에도 실학자 이중환(1690년 ~ 1752년)은 그의 저서 《택리지》에서 관동팔경을 언급하며, 숙종이 꼽은 만경대 대신 청간정을, 월송정 대신 흡곡시중대를 포함시키기도 했다.

참조

[1] 문서 日本の関東地方は朝鮮八道では京畿道に相当する
[2] 웹사이트 関東八景とは? http://tieba.baidu.c[...]
[3] 웹사이트 안축의 관동별곡 http://www.seelotus.[...]
[4] 웹사이트 관동팔경의 유래 http://kelc.kangwon.[...]
[5] 뉴스 동해바다가 아름다운 관동팔경 망양정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9-1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