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클레멘스 8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클레멘스 8세는 1592년부터 1605년까지 재위한 인물이다. 그는 프랑스 왕 앙리 4세와의 화해를 통해 위그노 전쟁을 종식시키고, 스페인과의 베르뱅 조약을 중재하여 평화를 정착시켰다. 또한, 불가타 성경 개정판을 발행하고, 은총 논쟁을 중재하는 등 종교적, 외교적으로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반면, 유대인에 대한 차별 정책을 강화하고, 조르다노 브루노의 화형을 주도하는 등 부정적인 면모도 보였다. 그는 1600년 성년을 선포하고, 1605년 사망하여 성 베드로 대성전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세기 교황 - 교황 알렉산데르 7세
알렉산데르 7세는 1655년부터 1667년까지 재위한 교황으로, 로마 도시 계획과 건축 사업을 추진하고 중국 전통 의례를 허용했으며 얀센주의를 비판하며 금서 목록을 발행했다. - 17세기 교황 - 교황 그레고리오 15세
그레고리오 15세는 1621년부터 1623년까지 재위한 교황으로, 콘클라베 선거 방식을 개정하고 포교성성을 설치하는 등 교황청 개혁을 추진했으며, 반종교개혁을 지원하고 여러 성인을 시성했다. - 16세기 교황 - 교황 비오 5세
교황 비오 5세는 1566년부터 1572년까지 재위하며 교회 개혁을 추진하고, 트리엔트 공의회 결정을 시행하며, 반종교 개혁 운동을 펼치고, 레판토 해전을 지원한 인물이다. - 16세기 교황 - 교황 식스토 5세
교황 식스토 5세는 프란치스코회 출신으로 1585년부터 1590년까지 재임하며 교황령 치안 확보, 재정 개혁, 로마 도시 계획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겼으나, 고대 유물 훼손, 강압적 재정 정책 등의 논란도 있는 제227대 교황이다.
교황 클레멘스 8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존칭 접두사 | 교황 |
이름 | 클레멘스 8세 |
직함 | 로마 교구장 |
![]() | |
본명 | 이폴리토 알도브란디니 |
로마자 표기 | Ippolito Aldobrandini |
출생일 | 1536년 2월 24일 |
출생지 | 파노, 마르케 주, 교황령 |
사망일 | 1605년 3월 3일 |
사망지 | 로마, 교황령 |
![]() | |
교회 경력 | |
서품 | 1580년 12월 31일 |
주교 서임 | 1592년 2월 2일 |
주교 서임자 | 알폰소 제수알도 디 콘차 |
추기경 임명 | 1585년 12월 18일 |
추기경 임명자 | 식스토 5세 |
이전 보직 | 로마 로타 감사관 (1569년) 사도좌 속사 (1585년–1592년) 산 판크라치오 푸오리 레 무라 성당 추기경 (1586년–1592년) 사도좌 고해성사원 (1586년–1592년) 교황 특사, 폴란드 (1588년–1589년) |
재임 시작 | 1592년 1월 30일 |
재임 종료 | 1605년 3월 3일 |
선임 교황 | 인노첸시오 9세 |
후임 교황 | 레오 11세 |
기타 | |
관련 인물 | 클레멘스 |
2. 생애 초기
피렌체의 명문 집안 출신으로, 1536년 2월 24일 이탈리아 파노에서 태어났다.[23] 그는 교회법학자였던 아버지를 따라 교황청 공소원의 판관이 되었다. 45세에 사제 서품을 받은 그는 12년 만에 교황이 되었다.[5] 그는 때때로 냉혹하기는 했으나 유능한 관리자였다.
1585년 교황 그레고리오 13세에 의해 산 판크라치오 성당의 사제급 추기경에 서임됐다.[24][6] 1586년 1월, 교황 식스토 5세는 그를 교황청 내사원장에 임명했으며,[24] 1588년에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 교황 특사로 파견했다.[6] 그는 30년 동안 교회 쇄신가였던 필립보 네리를 자신의 고해 신부로 모시면서 신앙생활을 하였다.[24] 알도브란디니는 비톰과 벤진 조약을 통해 폴란드 왕위를 주장했다가 패해 투옥된 오스트리아 대공 막시밀리안 3세의 석방을 위해 외교적 노력을 한 공로로 합스부르크 왕가로부터 감사를 받았다.[24][6]
그는 교회법 변호사가 되었고, 로마 로타의 심사관 (판사)이 되었다. 로마 로타는 성좌가 구성한 최고 교회 법원이다.[5]
3. 추기경
4. 교황
교황 클레멘스 8세는 1592년 1월에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학문을 좋아했던 교황은 같은 해 예수회 회원인 로베르토 벨라르미노 등이 구성한 위원회에 의해 진행되던 불가타 성경 개정판을 발행하게 했다. 이것이 "식스토-클레멘티노 판"이라고 불리는 불가타 성경으로, 20세기에 접어들 때까지 가톨릭 교회의 공식 라틴어 성경이 되었다. 교황은 동시에 선교 사업에도 힘을 쏟아 프란치스코 드 살레스의 선교 활동을 지원했다.
클레멘스 8세 재위 기간 중 가장 중요한 사건은 1593년에 오랜 협상 끝에 프랑스 왕 앙리 4세와의 화해를 성립시키고 그의 파문을 해제한 것이다. 이는 도르사 추기경의 수완에 기인하는 바가 크다. 같은 해 성 베드로 대성당 돔 정상에 십자가가 세워졌고, 1594년에 새로운 제단에서 처음으로 미사를 거행했다(건축 공사는 계속되어 헌당식은 1624년에 거행되었다).
1598년, 프랑스와 스페인 사이를 중재하여 베르뱅 조약으로 화해를 성립시켰다. 같은 해, 클레멘스 8세는 통치자 에스테 가문의 상속자 부재를 틈타 페라라를 교황령에 편입시켰는데, 이것이 교황령으로의 마지막 대규모 병합이 되었다.
1600년 2월 17일 성년을 기념하던 로마에서, 조르다노 브루노가 이단 심문을 받고 화형에 처해진 것은 교황의 경력에 큰 오점을 남겼다. 또한 전년인 1599년 베아트리체 첸치와 그 가족을 처형했을 때 로마 시민 폭동이 일어나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이 일로 시민들의 신뢰를 잃은 교황은 방에 틀어박히게 되었다.
교황 자신은 덕망있는 성직자이자 유능한 정치가라는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는 스페인에 편향된 교황청의 입장을 수정하기 위해 노력했고, 이를 성공시켰다. 또한 이 시대에 성행했던 자유 의지 논쟁에서 예수회와 도미니코회가 격렬하게 다투었지만, 교황은 결론을 내림으로써 어느 한쪽에 손을 들어주는 결과를 피했다. 1605년 동맥경화로 사망했다. 그의 시대에 주조된 많은 아름다운 메달이 지금도 남아 있다.
4. 1. 교회 문제
== 불가타 성경 개정 ==
식스토-클레멘테 불가타와 노바 불가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592년 11월, 클레멘스 8세는 클레멘테 불가타를 출판했다.[8] 이 성경은 교황 칙서 ''Cum Sacrorum'' (1592년 11월 9일)과 함께 발간되었으며,[9] 이 칙서는 이후 모든 판본이 이 판본과 동일해야 하고, 텍스트의 어떤 단어도 변경할 수 없으며, 심지어 여백에 다른 판본의 이문(異文)도 인쇄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10] 클레멘테 불가타[11] 또는 식스토-클레멘테 불가타로 알려진[11][12] 이 새로운 공식 불가타는 1979년 노바 불가타가 대체할 때까지 가톨릭교회의 공식 성경으로 사용되었다.[13]
== 은총 논쟁 중재 ==
1597년 그는 도미니코회와 예수회 사이에 벌어진 자유의지와 은총과의 상관성, 특히 조력은총이 자유에 대해서 지니는 관계에 관한 신학적 논쟁을 진정시키기 위해 은총론 토론 위원회를 발족했다.
1597년, 그는 은총론 논쟁(De Auxiliis)을 해결하기 위해 은총론 회의를 설립했는데, 이는 도미니코회와 예수회 사이의 유효 은총과 자유 의지의 역할에 관한 신학적 논쟁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었다. 논쟁은 유효 은총을 훼손하면서 자유 의지를 강조하는 몰리니즘에 대한 비난으로 기울었지만, 유럽에서 중요한 정치적, 신학적 권력뿐만 아니라 해외에도 다양한 선교 활동(남아메리카 예수회 선교, 중국 선교 등)을 펼치고 있던 예수회의 중요한 영향력과 기타 고려 사항들로 인해 교황은 예수회에 대한 공식적인 비난을 삼가했다. 1611년과 1625년에는 이 문제에 대한 논의를 금지하는 칙령이 내려졌지만, 토마스 아퀴나스에 대한 주석 출판을 통해 비공식적으로 종종 회피되었다.
== 1600년 성년 선포 ==
1600년 성년에 약 300만 명의 순례자가 로마를 방문했다.[24] 같은 해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서 열린 브레스트 시노드에서 루테니아의 성직자들과 신자들 대다수가 로마와 재일치하였다.[24]
== 시성 ==
클레멘스 8세는 폴란드의 히야친토(1594년 4월 17일)와 쿠엥카의 율리아노(1594년 10월 18일), 페냐포르트의 라이문도(1601년)를 시성했다. 그는 205명을 복자로 지정했는데, 그중 200명이 순교자 그룹이었다. 그가 복자로 지정한 주요 인물에는 카를로 보로메오가 포함된다.
4. 1. 1. 불가타 성경 개정
식스토-클레멘테 불가타와 노바 불가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592년 11월, 클레멘스 8세는 클레멘테 불가타를 출판했다.[8] 이 성경은 교황 칙서 ''Cum Sacrorum'' (1592년 11월 9일)과 함께 발간되었으며,[9] 이 칙서는 이후 모든 판본이 이 판본과 동일해야 하고, 텍스트의 어떤 단어도 변경할 수 없으며, 심지어 여백에 다른 판본의 이문(異文)도 인쇄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10] 클레멘테 불가타[11] 또는 식스토-클레멘테 불가타로 알려진[11][12] 이 새로운 공식 불가타는 1979년 노바 불가타가 대체할 때까지 가톨릭교회의 공식 성경으로 사용되었다.[13]
4. 1. 2. 은총 논쟁 중재
1597년 그는 도미니코회와 예수회 사이에 벌어진 자유의지와 은총과의 상관성, 특히 조력은총이 자유에 대해서 지니는 관계에 관한 신학적 논쟁을 진정시키기 위해 은총론 토론 위원회를 발족했다.
1597년, 그는 은총론 논쟁(De Auxiliis)을 해결하기 위해 은총론 회의를 설립했는데, 이는 도미니코회와 예수회 사이의 유효 은총과 자유 의지의 역할에 관한 신학적 논쟁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었다. 논쟁은 유효 은총을 훼손하면서 자유 의지를 강조하는 몰리니즘에 대한 비난으로 기울었지만, 유럽에서 중요한 정치적, 신학적 권력뿐만 아니라 해외에도 다양한 선교 활동(남아메리카 예수회 선교, 중국 선교 등)을 펼치고 있던 예수회의 중요한 영향력과 기타 고려 사항들로 인해 교황은 예수회에 대한 공식적인 비난을 삼가했다. 1611년과 1625년에는 이 문제에 대한 논의를 금지하는 칙령이 내려졌지만, 토마스 아퀴나스에 대한 주석 출판을 통해 비공식적으로 종종 회피되었다.
4. 1. 3. 1600년 성년 선포
1600년 성년에 약 300만 명의 순례자가 로마를 방문했다.[24] 같은 해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서 열린 브레스트 시노드에서 루테니아의 성직자들과 신자들 대다수가 로마와 재일치하였다.[24]
4. 1. 4. 시성
클레멘스 8세는 폴란드의 히야친토(1594년 4월 17일)와 쿠엥카의 율리아노(1594년 10월 18일), 페냐포르트의 라이문도(1601년)를 시성했다. 그는 205명을 복자로 지정했는데, 그중 200명이 순교자 그룹이었다. 그가 복자로 지정한 주요 인물에는 카를로 보로메오가 포함된다.
4. 2. 외교 관계
4. 2. 1. 프랑스와의 관계 개선
아르노 도사 추기경을 통한 오랜 협상 끝에 앙리 4세와 화해하여 프랑스의 복잡한 상황을 해결하였다. 앙리 4세는 1593년 7월 25일 가톨릭으로 회심하였고, 클레멘스 8세는 그의 진실성을 검토하였다. 1595년 9월 17일, 클레멘스 8세는 스페인의 불만을 무릅쓰고 앙리 4세를 용서하여 프랑스의 합법적인 왕으로 인정, 30년 간 계속된 위그노 전쟁을 끝냈다.[25]
클레멘스 8세와 앙리 4세의 우호 관계는 1597년 10월 27일 페라라 공작 알폰소 2세 데스테가 후사 없이 사망하자 교황이 에스테 가문의 소유지를 교황령으로 귀속시키기로 결정하면서 더욱 강화되었다. 스페인과 신성 로마 제국의 루돌프 2세는 사생아로 태어난 알폰소 2세의 사촌 체사레 데스테를 지지하며 교황에 반대했으나, 앙리 4세의 위협으로 원조를 제공하지 못했다. 교황군은 거의 저항 없이 페라라에 입성했다.[24]
1598년 클레멘스 8세는 외교적인 노력으로 스페인과 프랑스 사이에 베흐방 조약을 맺도록 하여 두 나라 사이의 불편한 관계를 평화롭게 해결했다. 그리고 프랑스와 사보이아 사이를 중재하여 평화 관계를 맺도록 하였다.
(, J. 폴 게티 미술관)
4. 2. 2. 스페인과 프랑스 간의 평화 중재
클레멘스 8세의 통치 중에 일어난 가장 주목할 만한 사건은 아르노 도사 추기경을 통해서 오랜 협상을 한 끝에 매우 능숙하게 프랑스 왕 앙리 4세와 화해하여 프랑스의 복잡한 상황을 해결한 것이다.[25] 앙리 4세는 1593년 7월 25일 가톨릭으로 회심하자 그의 진실성을 검토하였다. 1595년 9월 17일에 클레멘스 8세는 스페인의 불만을 무릅쓰고 앙리 4세를 용서하여 그를 프랑스의 합법적인 왕으로 인정함으로써 프랑스에서 30년 간 계속된 위그노 전쟁을 끝냈다.[25]
1598년 클레멘스 8세는 외교적인 노력으로 스페인과 프랑스 사이에 확실한 평화 조약인 베르뱅 조약을 맺도록 하는데 기여하여 두 나라 사이의 불편한 관계를 평화스럽게 해결했다. 그리고 프랑스와 사보이아 사이를 중재하여 평화 관계를 맺도록 하였다.
4. 2. 3.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는 동맹 결성
1595년 클레멘스 8세는 주로 헝가리를 전장으로 한 장기전이라고 알려진 전쟁에서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기 위해 그리스도교 유럽 군주들의 연합을 결성하는데 여생을 보냈다. 교황의 촉구로 신성 로마 제국의 루돌프 2세 황제와 트란실바니아의 바토리 지그몬드가 프라하에서 동맹 관계를 맺었다. 몰다비아의 아론 티라눌과 왈라키아의 미하이 비테아주도 그 해 말에 동맹에 참여했다. 클레멘스 8세는 인력과 자금을 루돌프 2세에게 보내 도움을 주었다.[24]
1594년, 클레멘스 8세는 주로 헝가리에서 벌어진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에 참여하기 위해 기독교 유럽 열강의 동맹을 시작했는데, 이는 "오스만 장기 전쟁"으로 알려지게 되었고 클레멘스 자신의 생애를 넘어 계속되었다. 교황의 주선으로 동맹 조약이 프라하에서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루돌프 2세와 트란실바니아의 지그문트 바토리에 의해 체결되었다. 몰다비아의 아론 보다와 왈라키아의 미하이 용감공은 그해 늦게 동맹에 합류했다. 클레멘스 8세는 황제에게 인력과 자금을 지원하는 데 귀중한 도움을 주었다.[6]
4. 3. 대내 정책
교황 클레멘스 8세는 교황령의 움브리아 주와 마르케 주에서 활동한 산적단을 진압하고 로마 귀족들의 무법 행위를 처벌하는 데 교황 식스토 5세만큼 강경한 태도를 보였다.[24] 1592년 교황좌에 오르자마자 문제를 일으킨 귀족 몇몇을 처형했다. 여기에는 고대 로마 때부터 강력한 집안의 후손이었던 트로이오 사벨리와, 오랫동안 자신을 학대한 아버지를 살해한 젊은 귀족 베아트리체 첸치도 있었다. 특히 베아트리체 첸치의 경우 많은 사람이 사면을 요청했으나, 교황은 이를 거절하고 첸치 가문의 재산을 몰수하여 자기 가문에 넘겼다.
교황 클레멘스 8세는 철학과 종교 문제에도 엄격했다. 1599년에는 하느님은 혼돈 속에서 창조되었고 그 역시 영원하지 않다고 주장한 이탈리아의 방앗간 주인 메노키오를 종교재판에 회부하여 화형에 처했다. 1600년에는 이단으로 판결되어 화형에 처해진 조르다노 브루노의 재판이 있었는데, 이 사건이 더 유명하다. 교황 클레멘스 8세는 재판의 막바지 단계에 직접 참여하여 사건을 담당한 추기경들에게 판결을 진행하도록 했다.
4. 3. 1. 산적 소탕 및 법 집행 강화
교황 클레멘스 8세는 교황 식스토 5세만큼 교황령의 움브리아 주와 마르케 주에서 활동한 산적단을 진압하고 로마 귀족들의 무법 행위를 응징하는데 강경한 태도를 보였다.[24][6] 1592년 교황좌에 오르자마자 즉시 문제를 일으켰던 몇몇 귀족들을 처형했다. 여기에는 고대 로마 때부터 강력하기로 유명한 집안의 후손이었던 트로이오 사벨리와 자신을 오랫동안 학대한 아버지를 살해한 젊은 귀족인 베아트리체 첸치가 포함되었다. 베아트리체 첸치의 경우 많은 사면 요청이 있었으나 교황은 이를 거절하고 몰수한 첸치 가문의 재산을 자기 가문에 넘겼다.
교황 클레멘스 8세는 철학 문제와 종교적 문제에 대해서도 엄격한 태도를 보였다. 1599년 그는 하느님은 혼돈 속에서 창조되었고 그 역시 영원하지 않다고 주장한 이탈리아의 방아꾼 메노키오에게 화형을 선고했다. 이보다 더 유명한 사건은 1600년 이단으로 판결되어 화형에 처해진 조르다노 브루노의 재판이었다. 교황 클레멘스 8세는 직접 재판의 막바지 단계에 자리에 나와서 해당 사건을 담당한 추기경들에게 재판을 진행하게 했다.
4. 3. 2. 이단 심문 및 종교적 탄압
클레멘스 8세는 교황 식스토 5세처럼 교황령의 움브리아 주와 마르케 주에서 활동한 산적단을 진압하고 로마 귀족들의 무법 행위를 처벌하는 데 강경한 태도를 보였다.[24][6] 1592년 교황좌에 오르자마자 문제를 일으킨 귀족 몇몇을 처형했다. 여기에는 고대 로마 때부터 강력한 집안의 후손이었던 트로이오 사벨리와, 오랫동안 자신을 학대한 아버지를 살해한 젊은 귀족 베아트리체 첸치도 있었다. 특히 베아트리체 첸치의 경우 많은 사람이 사면을 요청했으나, 교황은 이를 거절하고 첸치 가문의 재산을 몰수하여 자기 가문에 넘겼다.
클레멘스 8세는 철학과 종교 문제에도 엄격했다. 1599년에는 하느님은 혼돈 속에서 창조되었고 그 역시 영원하지 않다고 주장한 이탈리아의 방앗간 주인 메노키오를 종교재판에 회부하여 화형에 처했다. 1600년에는 이단으로 판결되어 화형에 처해진 조르다노 브루노의 재판이 있었는데, 이 사건이 더 유명하다. 교황 클레멘스 8세는 재판의 막바지 단계에 직접 참여하여 사건을 담당한 추기경들에게 판결을 진행하도록 했다.
4. 3. 3. 반유대 정책
클레멘스 8세는 자신의 영토에 거주하는 유대인에 대한 조치를 강화했다. 1592년, 교황 칙서 ''쿰 사에페 아치데레(Cum saepe accidere)''는 교황령인 아비뇽의 콩타 베네생에 있는 유대인 공동체가 신상품을 판매하는 것을 금지하여 경제적 불이익을 줬다.[14] 1593년, 칙서 ''카에카 에트 오브두라타(Caeca et Obdurata)''는 교황 비오 5세의 1569년 칙령을 재확인했는데, 이 칙령은 유대인이 로마, 안코나, 아비뇽 외의 교황령에 거주하는 것을 금지했다. 이 칙서의 주요 효과는 1586년 이후 (1569년에 추방된 후) 교황령 지역 (주로 움브리아)으로 돌아온 유대인을 추방하고, 볼로냐와 같은 도시 (1569년 이후 교황 지배 하에 편입됨)에서 유대인 공동체를 추방하는 것이었다.[14]
이 칙서는 또한 교황령 내 유대인이 고리대금에 관여하고 클레멘스 8세의 전임자들이 베푼 관대함을 이용했다고 주장하며, "그들을 어둠에서 벗어나 진정한 믿음을 알도록 하기 위해 기독교적 경건함의 관대함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여겼다"고 언급했다 (이는 ''크리스티아나 피에타스''(Christiana pietas)를 암시).[15] 며칠 후 칙서 ''쿰 헤브라에룸 말리치아''(Cum Hebraeorum malitia)''를 통해 클레멘스 8세는 탈무드의 열람도 금지했다.[16]
5. 말년과 죽음
클레멘스 8세는 통풍에 시달려 1590년대 후반부터 휠체어를 사용했으며, 인생의 말년을 대부분 침대에서 보내야 했다.[24][17] 1605년 2월 10일 갑작스럽게 병세가 악화되어, 1605년 3월 3일 자정 무렵에 선종했다.[17] 그는 신중하고 관대하며, 사업 수완과 냉혹함을 갖춘 인물이라는 평가를 받았다.[17] 클레멘스 8세는 성 베드로 대성전에 안장되었으나, 1646년 교황 바오로 5세에 의해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의 보르게세 경당에 조성한 무덤으로 이장되었다.[24][17]
클레멘스 8세는 부유층 자제들의 교육을 위해 콜레지오 클레멘티노를 설립하고, 스코틀랜드 선교사 양성을 위한 콜레지오 스코체세를 설립하는 등 로마에 교황청립 대학교를 많이 늘렸다.[6] 그의 치세는 특히 메달의 수와 아름다움으로 구별된다.[6]
6. 기타
6. 1. 커피 일화
커피 애호가들은 가톨릭 신자들 사이에서 커피가 인기를 얻게 된 것은 교황 클레멘스 8세의 영향이라고 주장한다. "사탄의 음료"라는 이유로 커피에 대한 반대가 있었고,[18] 교황의 조언자들은 교황에게 커피를 비난하도록 요청했다. 그러나 클레멘스 8세는 커피를 맛본 후 "이 사탄의 음료는 너무 맛있어서 이교도들만 사용하게 놔두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라고 선언했다.[19] 클레멘스 8세는 알코올 음료보다 커피가 백성들에게 더 유익하다고 판단하여 커피 원두에 축복을 내렸다고 한다.[20] 흔히 인용되는 해는 1600년이다. 이것이 사실인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당시에는 재미있게 여겨졌을 수 있다.[21]이 시대에 터키를 통해 커피가 유럽으로 유입되었다. 교황 본인도 커피를 좋아하여 자주 마셨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생겨났다. 어느 날 교황의 측근이 "커피는 무슬림(이슬람교도)의 음료로 악마의 것이니 금지해야 하지 않겠습니까?"라고 진언하자, 교황은 "그렇더라도 악마는 좋은 것을 마시고 있군. '''차라리 커피에 세례를 내려 우리 것으로 만들어 버리는 게 어떻겠는가……'''"라고 대답했다.
6. 2. 교육 기관 설립
참조
[1]
웹사이트
1917CIC
http://www.jgray.org[...]
2022-03-01
[2]
웹사이트
Guiding Principles of the Lay Apostolate
https://www.papalenc[...]
1957-10-05
[3]
웹사이트
The Law of the Church: A Cyclopaedia of Canon Law for English-speaking Countries
https://books.google[...]
[4]
웹사이트
Clement VIII
https://www.vatican.[...]
[5]
문서
Pastor Bonus
1988
[6]
웹사이트
Pope Clement VIII
http://www.newadvent[...]
2014-09-03
[7]
웹사이트
"Pope Clement VIII," Italian Baroque Art, Duke University
https://baroque.trin[...]
2023-09-01
[8]
서적
The Early Versions of the New Testament
Clarendon Press
[9]
웹사이트
Vulgata Clementina
http://vulsearch.sou[...]
2019-09-17
[10]
서적
A Plain Introduction to the Criticism of the New Testament
George Bell & Sons
[11]
서적
The reformation of the Bible, the Bible of the Reformation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1996
[12]
학술지
Francis Lucas 'of Bruges' and Textual Criticism of the Vulgate before and after the Sixto-Clementine (1592)
https://limo.libis.b[...]
2023-11-01
[13]
서적
The Latin New Testament: A Guide to Its Early History, Texts, and Manuscript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14]
서적
The Jews of Europe After the Black Death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5]
서적
Church, Censorship and Culture in Early Modern Ital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09-06
[16]
서적
Katholische Kirche und Juden in der Frühen Neuzeit
Karl Heinrich Rengstorf and Siegfried Kortzfleisch
[17]
서적
The Vacant See in Early Modern Rome: A Social History of the Papal Interregnum
Brill
[18]
서적
All about Coffee: A History of Coffee from the Classic Tribute to the World's Most Beloved Beverage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12
[19]
웹사이트
Drink Coffee? Off With Your Head!
https://www.npr.org/[...]
2012-01-17
[20]
웹사이트
Coffee: A Long Way From Ethiopia
http://yaleglobal.ya[...]
2002-11-05
[21]
웹사이트
Coffee Facts and Statistics
http://www.professor[...]
2010-06-08
[22]
웹사이트
Clement VIII pope
https://www.britanni[...]
[23]
웹사이트
http://w2.vatican.va[...]
[24]
웹사이트
Pope Clement VIII
http://www.newadvent[...]
2014-09-03
[25]
서적
옥스퍼드 교황사전
분도출판사
2014-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