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쪽은 고대 영어 'sūþ'에서 유래된 단어로, 정오의 태양 위치나 해가 뜨는 방향의 오른쪽과 관련되어 여러 언어에서 표현된다. 북반구에서는 온난함의 상징으로, 한국과 일본에서 남향집을 선호한다. 지리적으로는 지도에서 아래쪽을 의미하며, 나침반을 사용하여 180° 방위각으로 찾을 수 있다. 남극점은 지구 자전축의 한쪽 끝이며, 남반구에서는 남극에서 불어오는 찬 바람 때문에 "남풍이 강해서 춥다"는 표현이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글로벌 사우스, 미국 남부, 남방 원뿔,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 특정 지역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며, 카드 게임 브리지에서 한 플레이어를 지칭하는 용어로도 쓰인다.

2. 어원 및 상징

'남쪽'을 뜻하는 영어 단어 'south'는 고대 영어 'sūþ'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더 이전의 게르만 조어 '*sunþaz'("남쪽")에서 왔다. 이 단어는 태양(sun)이 파생된 것과 동일한 인도유럽 조어 어근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일부 언어에서는 남쪽을 북반구에서 정오에 태양이 있는 방향이라는 사실에서 착안하여 묘사한다.[1] 예를 들어 라틴어 meridies|la는 '정오, 남쪽'을 의미하며, 이는 medius|la('중간')와 dies|la('날')가 합쳐진 단어이다. (영어 단어 meridional|영어과 비교해 볼 수 있다.)

다른 언어에서는 해가 뜨는 방향을 기준으로 오른쪽에 있는 방향으로 남쪽을 묘사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성경 히브리어 תֵּימָן|테이만he('남쪽')은 יָמִין|야민he('오른쪽')에서 유래했으며, 아람어 תַּימנַא|타임나arc는 יָמִין|야민arc('오른쪽')에서, 시리아어 ܬܰܝܡܢܳܐ|타임나syc는 ܝܰܡܝܺܢܳܐ|야미나syc에서 유래했다. 이러한 어원은 레반트[2] 지역에서 남쪽(오른쪽)에 위치한 땅인 예멘의 이름에도 영향을 주었다.

남쪽은 때때로 알파벳 '''S'''로 축약하여 표기한다. 각도나 시각을 나타낼 때, 남쪽은 180° 또는 정오를 의미한다(북쪽을 0° 또는 360°로 기준). 지도에서는 일반적으로 남쪽이 아래쪽을 가리킨다(이 경우 북쪽은 위쪽, 동쪽은 오른쪽, 서쪽은 왼쪽을 가리킨다).

2. 1. 문화적 상징

북반구에서는 남쪽이 온난함(때로는 더위)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반면, 남극에서 불어오는 찬 바람의 영향으로 남반구(브라질, 아르헨티나 등)에서는 남풍이 불면 춥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다.

한국과 일본 등에서는 태양이 남쪽 하늘에서 가장 높이 뜨기 때문에 을 지을 때 남향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다. 하지만 다른 나라에서는 가구가 햇빛에 변색되는 등의 이유로 남향집을 꺼리기도 한다.

동아시아의 전통적인 우주관을 나타내는 사신에서는 남쪽 방향을 주작이 수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고대 중국에서는 남쪽을 가리키는 지남차를 사용하기도 했다.

그리스 신화에서는 노토스(Νότος|노토스grc)가 남풍의 신으로 등장하는데, 그는 늦여름과 가을에 폭풍을 몰고 오는 존재로 묘사되었다.

3. 지리 및 항해

''뒤집힌 아메리카(América Invertida)'', 1943년 호아킨 토레스 가르시아의 작품


일반적으로 지도에서는 아래쪽 또는 아래를 향하는 면이 남쪽을 가리킨다. 하지만 이러한 관례를 따르지 않고 지도의 위쪽이 남쪽을 향하도록 제작된 역방향 지도도 존재한다.[3] 항해 시 나침반을 이용하여 남쪽으로 이동하려면 방위각 또는 방위를 180°로 설정해야 한다. 북반구에서 열대 지방을 벗어난 지역에서는 정오 무렵 태양이 대략 남쪽에 위치한다.[4] 북반구 지역에서 태양은 일반적으로 동쪽에서 떠서 남쪽 하늘을 지나 서쪽으로 진다.

지리적인 남쪽 끝은 지구 자전축의 남쪽 끝인 남극점이다. 남극점은 남극 대륙 위에 위치한다. 이와 별개로 지구 자기장의 남쪽 극에 해당하는 남자기 남극이 있는데, 이는 지리적 남극점과는 약간 다른 위치에 있다.[5]

3. 1. 남극 탐험

노르웨이 출신의 탐험가 로알 아문센은 1911년 12월 14일, 인류 최초로 남극점에 도달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영국어니스트 섀클턴이 남극점 근처까지 도달했다가 되돌아간 이후의 일이었다.[6]

4. 남반구와 관련된 지역

글로벌 사우스는 사회적, 경제적으로 덜 발달된 지구의 남반구 지역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글로벌 노스에 속한 국가 인구의 95%는 충분한 음식과 주거 환경을 누리고 있으며, 제대로 운영되는 교육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7] 반면, 글로벌 사우스에 속한 국가 인구는 단 5%만이 이러한 기본적인 생활 여건을 보장받는다. 이들 지역은 대체로 "적절한 기술이 부족하고, 정치적 안정성이 없으며, 경제가 분열되어 있고, 외환 수입을 주로 1차 생산품 수출에 의존한다"는 특징을 보인다.[7]

남방 원뿔은 남아메리카 대륙의 최남단 지역을 가리키는 명칭으로, 지리적으로 거꾸로 된 원뿔 또는 큰 반도 모양을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아르헨티나, 칠레, 파라과이, 우루과이 전체와 브라질 남부 지역(히우그란지두술, 산타 카타리나, 파라나, 상파울루)을 포함한다. 드물게 볼리비아까지 확장하여 사용하기도 하지만, 가장 좁은 의미로는 칠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만을 지칭한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아프리카 대륙의 남쪽 끝에 위치하여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건국 당시에는 4개의 영국 식민지가 통합되어 형성되었음을 반영하여 영어 명칭을 남아프리카 연방으로 정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국명은 라틴어 Terra Australis|테라 아우스트랄리스la("남쪽 땅")에서 유래했다. 이는 고대부터 남반구에 존재할 것으로 상상했던 가상의 대륙을 지칭하던 이름이다.

남반구(브라질, 아르헨티나 등)에서는 남극에서 불어오는 차가운 바람의 영향으로 "남풍이 강해서 춥다"는 표현이 일상적으로 사용된다.

5. 기타 용도

카드 게임 브리지에서는 점수 계산을 위해 한 플레이어를 남쪽(South)이라고 부른다. 남쪽은 북쪽(North)과 짝을 이루어 동쪽(East)과 서쪽(West)에 대항하여 플레이한다.[8]

그리스 신화에서 노토스(Notos)는 남풍으로, 늦여름과 가을의 폭풍을 몰고 오는 존재로 여겨졌다.


  • 각도나 시각에서 남쪽은 180°(반 바퀴) 또는 정오를 나타낸다. 이는 북쪽을 0° 또는 360°로 기준 삼을 때이다.
  • 지도에서는 남쪽이 뒤쪽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북쪽은 앞쪽, 동쪽은 오른쪽을 가리킨다.
  • 북반구에서는 남쪽이 온난함(때로는 더위)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일본에서는 태양이 남쪽에서 가장 높이 뜨기 때문에 배치할 때 남향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다른 나라에서는 가구 변색 등의 이유로 남향을 꺼리기도 한다.
  • 사신 신앙에서 남쪽 방향은 주작이 관장하는 방위이다.
  • 고대 중국에서는 지남차를 사용하여 남쪽 방향을 가리켰다.
  • 남반구(브라질, 아르헨티나 등)에서는 남극에서 불어오는 찬 바람 때문에 남풍이 불면 춥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다.

참조

[1] 웹사이트 How to use a Compass – Compass alone https://www.learn-or[...] 2020-07-16
[2] 웹사이트 yemen {{!}} Origin and meaning of the name yemen by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s://www.etymonli[...] 2020-07-16
[3] 웹사이트 The Upsidedown Map Page http://flourish.org/[...] flourish.org 2013-12-02
[4] 웹사이트 How to use a compass http://www.learn-ori[...] Learn Orienteering 2013-12-02
[5] 웹사이트 Geomagnetism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www.ngdc.noaa[...] National Geophysical Data Center 2013-12-02
[6] 웹사이트 Roald Amundsen https://www.pbs.org/[...] Public Broadcasting Service 2013-12-02
[7] 서적 Globalization: The Politics of Global Economic Relations and International Business Carolina Academic
[8] 간행물 OEB 6 8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