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노량진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노량진동은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속하는 법정동으로, 한강을 접하고 있다. 조선 시대에는 나루터를 중심으로 촌락이 형성되었으며, 일제강점기 한강철교와 한강인도교 건설을 계기로 일본 자본가들이 택지를 조성하면서 발전했다. 1970년대 도심 학원 이전 계획에 따라 대성학원 등이 노량진으로 이전하면서 학원가가 형성되었으며, 현재는 노량진수산시장, 사육신공원, 노량진역 등이 위치해 있다. 서울 지하철 1호선서울 지하철 9호선이 지나 교통의 요지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동작구의 행정 구역 - 흑석동 (서울)
    흑석동은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위치한 법정동이자 행정동으로, 일제강점기에 경성부에 편입되어 흑석정으로 불리다 영등포구와 관악구를 거쳐 동작구에 속하게 되었으며, 중앙대학교, 중앙대학교병원 등의 시설과 흑석역이 위치하고 영화, 드라마, 만화의 배경으로 등장하기도 했다.
  • 서울 동작구의 행정 구역 - 신대방동
    신대방동은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위치한 동으로, 삼국시대부터 조선 시대를 거쳐 서울에 편입되었으며, 서울보라매초등학교, 문창초등학교, 대방중학교, 수도여자고등학교 등의 시설과 신대방역, 신대방삼거리역이 위치해 있다.
  • 서울 동작구의 법정동 - 흑석동 (서울)
    흑석동은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위치한 법정동이자 행정동으로, 일제강점기에 경성부에 편입되어 흑석정으로 불리다 영등포구와 관악구를 거쳐 동작구에 속하게 되었으며, 중앙대학교, 중앙대학교병원 등의 시설과 흑석역이 위치하고 영화, 드라마, 만화의 배경으로 등장하기도 했다.
  • 서울 동작구의 법정동 - 신대방동
    신대방동은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위치한 동으로, 삼국시대부터 조선 시대를 거쳐 서울에 편입되었으며, 서울보라매초등학교, 문창초등학교, 대방중학교, 수도여자고등학교 등의 시설과 신대방역, 신대방삼거리역이 위치해 있다.
  • 1970년 폐지 - 한남동
    한남동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하며 성동구, 이태원동, 보광동과 접하고 한강과 마주하며, 한남대로를 통해 강남과 연결되고 능터골 전설이 전해지며, 한남역, 한강진역과 한남대교, 한남대로, 소월로 등의 교통 요충지이며, 서울한남초등학교, 리움미술관, 백범김구기념관 등 교육 및 문화 시설이 위치한 지역이다.
  • 1970년 폐지 - 용산동 (서울)
    용산동은 서울 용산구의 법정동으로, 조선시대 한성부에서 일제강점기 경기도 고양군을 거쳐 경성부로 재편입되었고, 해방 후 월남민 정착으로 해방촌, 미군기지 주변으로 기지촌이 형성되었으며, 현재 국방부 청사, 국립중앙박물관 등의 주요 시설이 위치하고, 미군기지 이전과 함께 재개발 및 도시재생이 진행 중이며, 반포대교, 남산터널 등이 지나는 교통 요지이다.
노량진동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노량진동
한글 표기노량진동
한자 표기鷺梁津洞
로마자 표기 (개정 로마자 표기법)Noryangjin-dong
맥큔-라이샤워 표기Noryangjin-dong
국가대한민국
행정 구역
하위 행정 구역노량진제1동
노량진제2동
면적
전체 면적1.48 km²
인구
전체 인구45500
인구 조사 시점2001년
인구 밀도30743 명/km²
노량진제1동 정보
동 이름노량진제1동
한자 표기鷺梁津第1洞
영어 표기Noryangjin 1(il)-dong
광역시도서울특별시
시군구동작구
노량진제1동주민센터
지도Dongjak.png
면적1.58
세대14,359
세대 조사 시점2017.12.31.
인구31,844
인구 조사 시점2022년 2월
법정동노량진동
본동
47
332
동 주민센터 주소서울특별시 동작구 장승배기로28길 30
동 주민센터 홈페이지노량진1동 주민센터
노량진제2동 정보
동 이름노량진제2동
한자 표기鷺梁津第2洞
영어 표기Noryangjin 2(i)-dong
광역시도서울특별시
시군구동작구
노량진제2동주민센터
면적0.65
세대7,128
세대 조사 시점2017.12.31.
인구10,742
인구 조사 시점2022년 2월
법정동노량진동
24
157
동 주민센터 주소서울특별시 동작구 장승배기로19길 48
동 주민센터 홈페이지노량진2동 주민센터

2. 역사

노량진은 한강을 건너기 위한 나루터를 중심으로 형성된 촌락으로, 한강진, 양화진과 함께 군대가 주둔하는 진(鎭)이 설치되기도 했다. 처음에는 노도(露渡)라고 불렸으나 세종 이후로 노량(鷺梁)이라고 불린 것으로 파악된다.[3] 1414년부터 경기도 관찰사의 건의로 관리가 파견되기 시작했고, 도승의 관원이 파견되었다.[4]

1897년 한강철교, 1917년 한강인도교 건설로 1920년대1930년대에 일본 자본가들이 노량진에 진출해 택지를 조성하기 시작하였다.[5] 1934년 노량진이 경성부 행정구역 확장계획에 포함되면서 전차 노선 연장에 대한 기대감도 생겼다. 1936년 을축년 대홍수로 파괴된 한강인도교 초도식과 함께 노량진에 전차가 개통되었다.[6]

경부선 노량진역을 중심으로 일대에 상가가 발달하였고, 1974년 전철이 개통되어 강북, 강남, 영등포, 시흥, 안양 등지를 잇는 교통의 요충지가 되었다. 한강대교상도터널도 개통되었다.

1977년 사대문 안 도심 학원들을 사대문 외곽으로 이전시키는 계획이 발표되었고, 1978년 대성학원과 성지 상아탑학원이 노량진으로 옮겨졌다.[7]

2. 1. 조선시대

조선시대에 노량진은 한강을 건너기 위한 나루터를 중심으로 형성된 마을이었다. 한강진, 양화진과 함께 군대가 주둔하는 진(鎭)이 설치되기도 했다. 처음에는 노도(露渡)라고 불렸으나, 세종 이후로는 노량(鷺梁)이라고 불린 것으로 보인다.[3] 1414년부터 경기도 관찰사의 건의로 관리가 파견되기 시작했고, 도승의 관원이 파견되었다.[4]

2. 2. 일제강점기

1897년 한강철교1917년 한강인도교 건설로 1920년대1930년대 일본 자본가들이 노량진에 진출해 택지를 조성하기 시작하였다.[5] 1934년 노량진이 경성부 행정구역 확장계획에 포함되면서 전차 노선 연장에 대한 기대감도 생겼다. 1936년 을축년 대홍수로 파괴된 한강인도교 초도식과 함께 노량진에 전차가 개통되었다.[6]

2. 3. 해방 이후

(1896)→시흥군 북면
(1914)→경성부 영등포출장소
(1936)→경성부 영등포구
(1943)서울특별자유시 영등포구
(1946)→서울특별시 영등포구
(1949)→서울특별시 관악구
(1973)→서울특별시 동작구
(1980)



경부선 노량진역을 중심으로 일대에 상가가 발달하였고 1974년전철이 개통되었으며 강북지역 및 강남과 영등포, 시흥, 안양 등지를 잇는 교통의 요충지로서 한강대교상도터널이 개통되었다.

2. 4. 학원가 형성

1977년 사대문 안 도심 학원들을 사대문 외곽으로 이전시키는 계획이 발표되었고, 1978년 대성학원과 성지 상아탑학원이 노량진으로 옮겨졌다.[7] 이 둘을 위시로 노량진역 건너편 노량진로를 따라 여러 학원이 들어서 학원가가 형성되었다. 처음에는 대학 입시학원이 자리 잡았으며, 시대에 따라 다른 종류의 학원들도 들어섰다. 1970년대에는 중동 등 해외 건설 현장 파견을 위한 자격증 학원들이, 2000년대에는 공무원 임용고시 시장이 커짐에 따라 공무원 학원들이 들어섰다.[8]

3. 시설

노량진수산시장, 사육신공원, 동작구청이 노량진동에 있다. 한강대교 남단에는 서울에서 가장 오래된 노량진 상수도 수원지가 있다.

3. 1. 노량진 상수도 수원지

한강대교 남단에 있는 노량진 상수도 수원지는 서울에서 가장 오래된 상수도 수원지이다.

3. 2. 동작구청

동작구청은 노량진동에 있다.

3. 3. 노량진수산시장

노량진역 북쪽에 수산물 도매센터인 노량진수산시장이 있다.

3. 4. 사육신공원

노량진역 동쪽 언덕 위에 있는 사육신공원(지방유형문화재)은 단종 복위에 힘쓰다 목숨을 잃은 성삼문, 박팽년, 하위지, 이개, 유응부, 유성원, 김문기를 현창(顯彰)하여 모신 곳이다.[1]

4. 교통

노량진역서울 지하철 1호선서울 지하철 9호선이 지나는 환승역으로, 특히 9호선에서 승하차객 수가 가장 많다.[1] 노들역서울 지하철 9호선 역이다.[1]

4. 1. 지하철

노량진역서울 지하철 1호선서울 지하철 9호선이 지나는 역으로, 9호선에서는 승하차객 수가 가장 많다.[1] 서울 지하철 9호선 노들역이 있다.[1]

5. 법정동

다음은 노량진동의 법정동이다.[1]

참조

[1] 웹사이트 노량진동 (Noryangjin-dong 鷺梁津洞)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2008-04-17
[2] 웹사이트 Noryangjin Fisheries Wholesale Market (노량진수산물도매시장) https://english.visi[...] Korea Tourism Organization
[3] 저널 Traditional period Noryang's spatiality and Change of Yongsan https://doi.org/10.2[...] 2021-10
[4] 기록 태종실록 태종14년 12월 1일 자
[5] 뉴스 大京城候補地선보기巡禮 【二】 怒濤쓸린二村洞과 新生復興村의發展 조선일보 1933-09-30
[6] 뉴스 今日부터電車도 鷺梁津까지直通 조선일보 1936-10-23
[7] 뉴스 都心13개學院이전 경향신문 1978-03-04
[8] 서적 노량진: 삶의 환승지대 도시화의 전이지대 2022-06-2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