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량진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량진동은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속하는 법정동으로, 한강을 접하고 있다. 조선 시대에는 나루터를 중심으로 촌락이 형성되었으며, 일제강점기 한강철교와 한강인도교 건설을 계기로 일본 자본가들이 택지를 조성하면서 발전했다. 1970년대 도심 학원 이전 계획에 따라 대성학원 등이 노량진으로 이전하면서 학원가가 형성되었으며, 현재는 노량진수산시장, 사육신공원, 노량진역 등이 위치해 있다. 서울 지하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9호선이 지나 교통의 요지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동작구의 행정 구역 - 흑석동 (서울)
흑석동은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위치한 법정동이자 행정동으로, 일제강점기에 경성부에 편입되어 흑석정으로 불리다 영등포구와 관악구를 거쳐 동작구에 속하게 되었으며, 중앙대학교, 중앙대학교병원 등의 시설과 흑석역이 위치하고 영화, 드라마, 만화의 배경으로 등장하기도 했다. - 서울 동작구의 행정 구역 - 신대방동
신대방동은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위치한 동으로, 삼국시대부터 조선 시대를 거쳐 서울에 편입되었으며, 서울보라매초등학교, 문창초등학교, 대방중학교, 수도여자고등학교 등의 시설과 신대방역, 신대방삼거리역이 위치해 있다. - 서울 동작구의 법정동 - 흑석동 (서울)
흑석동은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위치한 법정동이자 행정동으로, 일제강점기에 경성부에 편입되어 흑석정으로 불리다 영등포구와 관악구를 거쳐 동작구에 속하게 되었으며, 중앙대학교, 중앙대학교병원 등의 시설과 흑석역이 위치하고 영화, 드라마, 만화의 배경으로 등장하기도 했다. - 서울 동작구의 법정동 - 신대방동
신대방동은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위치한 동으로, 삼국시대부터 조선 시대를 거쳐 서울에 편입되었으며, 서울보라매초등학교, 문창초등학교, 대방중학교, 수도여자고등학교 등의 시설과 신대방역, 신대방삼거리역이 위치해 있다. - 1970년 폐지 - 한남동
한남동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하며 성동구, 이태원동, 보광동과 접하고 한강과 마주하며, 한남대로를 통해 강남과 연결되고 능터골 전설이 전해지며, 한남역, 한강진역과 한남대교, 한남대로, 소월로 등의 교통 요충지이며, 서울한남초등학교, 리움미술관, 백범김구기념관 등 교육 및 문화 시설이 위치한 지역이다. - 1970년 폐지 - 용산동 (서울)
용산동은 서울 용산구의 법정동으로, 조선시대 한성부에서 일제강점기 경기도 고양군을 거쳐 경성부로 재편입되었고, 해방 후 월남민 정착으로 해방촌, 미군기지 주변으로 기지촌이 형성되었으며, 현재 국방부 청사, 국립중앙박물관 등의 주요 시설이 위치하고, 미군기지 이전과 함께 재개발 및 도시재생이 진행 중이며, 반포대교, 남산터널 등이 지나는 교통 요지이다.
노량진동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노량진동 |
한글 표기 | 노량진동 |
한자 표기 | 鷺梁津洞 |
로마자 표기 (개정 로마자 표기법) | Noryangjin-dong |
맥큔-라이샤워 표기 | Noryangjin-dong |
국가 | 대한민국 |
행정 구역 | |
하위 행정 구역 | 노량진제1동 노량진제2동 |
면적 | |
전체 면적 | 1.48 km² |
인구 | |
전체 인구 | 45500 |
인구 조사 시점 | 2001년 |
인구 밀도 | 30743 명/km² |
노량진제1동 정보 | |
동 이름 | 노량진제1동 |
한자 표기 | 鷺梁津第1洞 |
영어 표기 | Noryangjin 1(il)-dong |
광역시도 | 서울특별시 |
시군구 | 동작구 |
![]() | |
지도 | Dongjak.png |
면적 | 1.58 |
세대 | 14,359 |
세대 조사 시점 | 2017.12.31. |
인구 | 31,844 |
인구 조사 시점 | 2022년 2월 |
법정동 | 노량진동 본동 |
통 | 47 |
반 | 332 |
동 주민센터 주소 | 서울특별시 동작구 장승배기로28길 30 |
동 주민센터 홈페이지 | 노량진1동 주민센터 |
노량진제2동 정보 | |
동 이름 | 노량진제2동 |
한자 표기 | 鷺梁津第2洞 |
영어 표기 | Noryangjin 2(i)-dong |
광역시도 | 서울특별시 |
시군구 | 동작구 |
![]() | |
면적 | 0.65 |
세대 | 7,128 |
세대 조사 시점 | 2017.12.31. |
인구 | 10,742 |
인구 조사 시점 | 2022년 2월 |
법정동 | 노량진동 |
통 | 24 |
반 | 157 |
동 주민센터 주소 | 서울특별시 동작구 장승배기로19길 48 |
동 주민센터 홈페이지 | 노량진2동 주민센터 |
2. 역사
노량진은 한강을 건너기 위한 나루터를 중심으로 형성된 촌락으로, 한강진, 양화진과 함께 군대가 주둔하는 진(鎭)이 설치되기도 했다. 처음에는 노도(露渡)라고 불렸으나 세종 이후로 노량(鷺梁)이라고 불린 것으로 파악된다.[3] 1414년부터 경기도 관찰사의 건의로 관리가 파견되기 시작했고, 도승의 관원이 파견되었다.[4]
1897년 한강철교, 1917년 한강인도교 건설로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일본 자본가들이 노량진에 진출해 택지를 조성하기 시작하였다.[5] 1934년 노량진이 경성부 행정구역 확장계획에 포함되면서 전차 노선 연장에 대한 기대감도 생겼다. 1936년 을축년 대홍수로 파괴된 한강인도교 초도식과 함께 노량진에 전차가 개통되었다.[6]
경부선 노량진역을 중심으로 일대에 상가가 발달하였고, 1974년 전철이 개통되어 강북, 강남, 영등포, 시흥, 안양 등지를 잇는 교통의 요충지가 되었다. 한강대교와 상도터널도 개통되었다.
1977년 사대문 안 도심 학원들을 사대문 외곽으로 이전시키는 계획이 발표되었고, 1978년 대성학원과 성지 상아탑학원이 노량진으로 옮겨졌다.[7]
2. 1. 조선시대
조선시대에 노량진은 한강을 건너기 위한 나루터를 중심으로 형성된 마을이었다. 한강진, 양화진과 함께 군대가 주둔하는 진(鎭)이 설치되기도 했다. 처음에는 노도(露渡)라고 불렸으나, 세종 이후로는 노량(鷺梁)이라고 불린 것으로 보인다.[3] 1414년부터 경기도 관찰사의 건의로 관리가 파견되기 시작했고, 도승의 관원이 파견되었다.[4]2. 2. 일제강점기
1897년 한강철교와 1917년 한강인도교 건설로 1920년대와 1930년대 일본 자본가들이 노량진에 진출해 택지를 조성하기 시작하였다.[5] 1934년 노량진이 경성부 행정구역 확장계획에 포함되면서 전차 노선 연장에 대한 기대감도 생겼다. 1936년 을축년 대홍수로 파괴된 한강인도교 초도식과 함께 노량진에 전차가 개통되었다.[6]2. 3. 해방 이후
(1896)(1914)
(1936)
(1943)
(1946)
(1949)
(1973)
(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