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흥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흥군은 고구려 시대 잉벌노현으로 시작하여 신라 시대 곡양으로 불렸으며, 고려 시대 금천으로 개칭되었다. 1895년 시흥군으로 개편되었으며, 1914년 안산군, 과천군과 통합되었다. 이후 서울특별시, 안양시, 광명시, 안산시, 과천시 등으로 분리되었고, 1989년 시흥군이 폐지되어 시흥시, 군포시, 의왕시로 분리되었다. 1914년 이전 시흥군은 현재 서울 금천구, 구로구 동부, 영등포구, 관악구, 동작구 일부, 광명시, 안양시 일부를 포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시흥군 | |
---|---|
지도 | |
기본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도 | 경기도 |
설치 | 1914년 4월 1일 |
폐지 | 1989년 1월 1일 |
면적 | 153.83 km² |
위치 | 서쪽: 인천과 접경 남쪽: 화성시와 접경 동쪽: 안산시와 접경 북쪽: 부천시와 접경 |
정치 | |
군청 소재지 | 처음: 소래면 (1914년) 나중: 군자면 (1973년) |
행정 구역 | |
읍 | 소래읍 군자읍 수암읍 과천읍 |
면 | 대야면 북면 남면 동면 서면 |
교통 | |
철도 | 수원선 |
철도 역 | 군자역 달미역 야목역 수리산역 |
역사 | |
연혁 | 1914년 4월 1일: 부천군과 인천부의 일부를 통합하여 시흥군 설치 (소래면에 군청 설치) 1931년: 소래면을 소래읍으로 승격 1973년 7월 1일: 군청을 군자면으로 이전 1973년 3월 12일: 소래읍 일부, 영등포구로 편입 1979년 5월 1일: 군자면을 군자읍으로 승격 1980년 12월 1일: 수암면을 수암읍으로 승격 1983년 2월 15일: 과천면을 과천읍으로 승격 1986년 1월 1일: 과천읍이 과천시로 승격, 시흥군에서 분리 1989년 1월 1일: 시흥군 폐지, 시흥시, 군포시, 의왕시로 분리 |
2. 유래
시흥의 처음 이름은 잉벌노(仍伐奴)이고 나중에 곡양(穀壤)이 되었는데, 이 둘은 사실상 같은 표기이다. 잉벌(仍伐)과 곡(穀)은 고대에는 다 같이 "늠"으로 읽히고, 노(奴)와 양(壤)은 고대에는 "나"나 "내"로 읽혔기 때문에 순우리말로는 "늠내"가 된다. 이 늠내는 "뻗어나가는 땅"이라는 의미도 있어서 현재의 "시흥"이라는 이름과도 상통한다.[14]
시흥의 첫 이름은 잉벌노(仍伐奴)이고 나중에 곡양(穀壤)이 되었는데, 이 둘은 사실상 같은 표기이다. 잉벌(仍伐)과 곡(穀)은 고대에는 다 같이 "늠"으로 읽히고, 노(奴)와 양(壤)은 고대에는 "나"나 "내"로 읽혔기 때문에 순우리말로는 "늠내"가 된다. 이 늠내는 "뻗어나가는 땅"이라는 의미도 있어서 현재의 "시흥"이라는 이름과도 상통한다.[14]
3. 역사
고구려 시대에 현재의 서울특별시 금천구, 영등포구, 구로구, 관악구, 동작구, 광명시, 안양시 일부 지역은 잉벌노현(仍伐奴縣)이었다. 현재 시흥시 남부(현재의 안산시 지역과 함께)는 장항구현(獐項口縣)이었다가 757년 (신라 경덕왕 16년) 장구군(獐口郡)으로 개칭되었고, 940년에 안산군(安山郡)이 되었다. 시흥시 북부는 처음 미추홀(彌鄒忽)로 명명되었다가 매소홀현(買召忽縣)이 되었고 757년에 소성현(邵城縣)으로 개칭된 후 율진군(栗津郡; 지금의 과천시)의 영현(領縣)이 되었다가 1018년에 수주(樹州; 지금의 부평구)의 속현이 되었다. 1105년 숙종의 어머니인 인예왕후 이 씨의 내향(內鄕)이라 하여 경원부(慶源府)로 승격되어 수주(樹州)에서 분리되었다. 고려 인종때에 인종 왕해의 어머니인 순덕왕후 이 씨의 내향이라 하여 인주(仁州)가 되었다가 경원부와 인주군으로 차례대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1413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인주군이 인천군(仁川郡)으로 개명되었고, 1460년에 인천군이 인천도호부(仁川都護府)로 승격하였다.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행정제도 개편으로 잉벌노현은 곡양현(穀壤縣)으로 개칭되어 율진군(栗津郡)의 영현이 되었다. 1018년(고려 현종 9년) 곡양현은 수주(樹州, 현재 부평)의 속현이 되었고, 이후 금천(衿川)으로 바뀌었다.[15] 1414년(조선 태종 14년) 금천은 양천현과 통합해 금양현(衿陽縣)이 되었다가 재분할되었다. 1795년 시흥현(始興縣)으로 개칭되었고, 현령에서 현감으로 승격되었다.
1895년(고종 32년) 23부제 실시로 시흥현이 시흥군으로 승격되어 인천부 관할이 되었다가, 1년 후 13도제 실시로 경기도 시흥군이 되었다. 1911년 시흥군청이 영등포로 이전되었다. 1914년 4월 1일 일제에 의한 행정폐합으로 시흥군, 과천군, 안산군(현재 시흥시 남부 포함)이 통합되어 시흥군이 되었다.[17]
1936년 4월 1일 영등포읍 일원과 북면 일부가 경성부에 편입되었다. 1949년 8월 15일 동면 일부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편입되었고, 안양면이 안양읍으로 승격되었다. 1963년 1월 1일 동면, 신동면이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편입되었고, 화성군 일왕면을 편입하여 의왕면으로 변경하였다.
1973년 7월 1일 안양읍이 안양시로 승격하였고, 부천군 소래면(현 시흥시 북부)이 시흥군으로 편입되었다.[19] 1979년 5월 1일 서면, 남면이 소하읍, 군포읍으로 각각 승격되었다. 1980년 12월 1일 소래면, 의왕면이 소래읍, 의왕읍으로 각각 승격되었다. 군청사가 소래읍으로 이전되었다. 1981년 7월 1일 소하읍이 광명시로 승격하였다.[21]
1983년 2월 15일 화성군 반월면 일부가 의왕읍에 편입되었고, 소래읍 일부가 부천시와 광명시로 편입되었다.[22] 1986년 1월 1일 과천면이 과천시로 승격하였고, 군자면과 수암면의 일부가 화성군 반월면의 일부와 합쳐져 안산시가 신설되었다.[23]
1989년 1월 1일 의왕읍 및 군포읍이 각각 의왕시와 군포시로 승격하였고, 시흥군의 나머지 지역(소래읍·수암면·군자면)을 관할로 시흥시가 설치되어 시흥군이 폐지되었다.[24] 1995년 3월 1일 옛 시흥군 읍치에 서울특별시 금천구가 설치되었다.[25]
3. 1. 1914년 이전 시흥 (Original Siheung)
고구려 시대에는 '''잉벌노현'''(仍伐奴縣)이라고 불렸으며, 현재의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도 이곳에 속해 있었다고 한다.[26] 757년(신라 경덕왕 16년)에는 행정제도 개편으로 '''곡양현'''(穀壤縣)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율진군(栗津郡)의 영현이 되었다.[27] 1018년(고려 현종 9년)에는 수주(지금의 인천광역시 부평구 · 계양구 · 서구, 경기도 부천시 및 서울특별시 구로구의 안양천 서쪽 지역)의 속현이 되었고, 고려 시대에 '''금천'''(衿川)으로 바뀌었다.[15]
1414년(조선 태종 14년)에는 양천현과 통합하여 금양현(衿陽縣)이라고 불렀다가, 1년 만에 다시 나누었다. 1795년에는 '''시흥현'''(始興縣)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담당 관리는 현령에서 현감으로 승격되었다. 1895년에는 23부제 시행으로 현(縣) 제도가 폐지되면서 군(郡)으로 승격되었고, 인천부 관할 '''시흥군'''이 되었다가 1년 만에 13도제가 실시되면서 경기도 시흥군이 되었다.[30] 1911년까지 지금의 서울 금천구 시흥동에 군청이 있었다.
오늘날의 영등포구, 구로구 동부, 관악구, 동작구 일부, 금천구, 광명시 및 안양시 일부 지역은 고구려 때 '''잉벌노현'''(仍伐奴縣)이었던 것을[26] 신라 경덕왕 때 '''곡양'''(穀壤)[27]으로 고쳐서 율진군(栗津郡) 속현이 되었다. 고려 초에 '''금천'''(衿川, '衿'을 '黔'이라고 쓴 기록도 있다)으로 고쳤고,[15] 성종이 단련사(團練使)를 설치하였는데 목종이 폐지하였다. 현종 9년(1017년)에 수주(樹州)에 예속되었고, 명종이 비로소 감무를 설치하였다. 조선 시대에는 태종 14년(1414년)에 과천(오늘날의 동작구, 서초구, 안양시, 과천시, 군포시 지역)과 병합하여 금과현(衿果縣)을 만들었다가 두어 달 만에 혁파하고, 또 양천(오늘날의 강서구, 양천구 지역)과 병합하여 금양현(衿陽縣)으로 만들었는데 한 해 만에 혁파하였다. 태종 16년(1416년)에 '''금천현'''(衿川縣)으로 고쳐서 현감을 두었고, 세조 때에 과천과 병합했다가 얼마 못 가서 복구하였다.[28] 이후에는 금천(衿川)이라고 하였는데, 금천현은 현내면, 동면, 서면, 남면, 상북면, 하북면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동면에 상도리, 봉천리, 신림리, 난곡리, 문교리 등이, 상북면에 당산리, 양평리, 선유봉리, 하북면에 방학호리, 고사리 등이 속해 있었다.[29] 참고로 현내면은 지금의 금천구, 상북면과 하북면은 지금의 영등포구, 동면은 지금의 관악구와 동작구 일부, 남면은 지금의 광명시 서부, 서면은 지금의 광명시 동부에 해당한다. 1795년(정조 19)에 금천현이 '''시흥현'''(始興縣)으로 개칭되었다. 1895년(고종 32년) 윤 5월 1일, 23부제의 실시로 시흥현이 '''시흥군'''으로 개편되어 인천부에 속하였고,[30] 이듬해 13도제의 실시로 도(道)가 부활해 다시 경기도에 속하게 되었다.
3. 2. 1914년 이전 시흥군의 행정 구역 (Administrative districts under original Siheung County)
고구려 때 '''잉벌노현'''(仍伐奴縣)이었던 것[26]을 신라 경덕왕 때 '''곡양'''(穀壤)[27]으로 고쳐서 율진군(栗津郡) 속현이 되었다. 고려 초에 '''금천'''(衿川, '衿'을 '黔'이라고 쓴 기록도 있다)으로 고쳤고,[15] 성종이 단련사를 설치하였는데 목종이 폐지하였다. 현종 9년(1017년)에 수주(樹州)에 예속되었고, 명종 때 감무를 설치하였다. 조선 시대에는 태종 14년(1414년)에 과천(오늘날의 동작구, 서초구, 안양시, 과천시, 군포시 지역)과 병합하여 금과현(衿果縣)을 만들었다가 두어 달 만에 혁파하고, 또 양천(오늘날의 강서구, 양천구 지역)과 병합하여 금양현(衿陽縣)으로 만들었는데 한 해 만에 혁파하였다. 태종 16년(1416년)에 '''금천현'''(衿川縣)으로 고쳐서 현감을 두었고, 세조 때에 과천과 병합했다가 얼마 못 가서 복구하였다.[28] 이후 금천(衿川)이라고 하였는데, 금천현은 현내면, 동면, 서면, 남면, 상북면, 하북면으로 이루어져 있었다.[29] 1795년(정조 19)에 금천현이 '''시흥현'''(始興縣)으로 개칭되었다. 1895년(고종 32년) 윤 5월 1일, 23부제의 실시로 시흥현이 '''시흥군'''으로 개편되어 인천부에 속하였고,[30] 이듬해 13도제의 실시로 도(道)가 부활해 다시 경기도에 속하게 되었다.
1911년 4월 17일 : 시흥군 관내 동리가 통폐합되어 지금의 양평동, 당산동, 신길동, 구로동, 독산동, 시흥동, 철산동, 하안동 등의 지명이 형성되었다.[16]
1914년 이전 시흥군의 행정 구역은 다음과 같다.
면 | 현재의 행정구역 |
---|---|
군내면 (郡內面) | 금천구 시흥동(군청 소재지)과 안양시 석수동, 박달동 |
동면 (東面) | 금천구 가산동, 독산동, 관악구 대부분(현재의 남현동 제외)과 동작구 상도동 |
서면 (西面) | 광명시 동부 |
남면 (南面) | 광명시 서부 |
상북면 (上北面) | 영등포구 서부와 구로구 동부 |
하북면 (下北面) | 영등포구 동부 (영등포 중심부 포함, 여의도 제외)와 동작구 신대방동, 대방동 |
3. 3. 1914년 이후의 변천 과정과 1989년 폐지 (After 1914 and the end in 1989)
1914년 4월 1일, 일제에 의한 행정폐합으로 종전의 시흥군과 인근의 과천군, 안산군(현 시흥시 남부 포함. 월곶면·북방면·성곶면은 수원군에 편입)이 통합되어 시흥군으로 개편되었다.[17]개편 전 | 개편 후 |
---|---|
시흥군 군내면(郡內面), 동면 | 동면(東面) |
시흥군 서면, 남면(南面) | 서면(西面) |
시흥군 상북면(上北面), 하북면(下北面) | 북면(北面) |
과천군 하북면(下北面) | |
과천군 상서면(上西面), 하서면(下西面) | 서이면(西二面) |
과천군 동면(주암리 제외), 상북면(上北面) | 신동면(新東面) |
과천군 동면 주암리 | 과천면(果川面) |
과천군 군내면(郡內面) | |
과천군 남면 | 남면(南面) |
안산군 군내면(郡內面), 인화면(仁化面), 초산면(草山面) | 수암면(秀岩面) |
안산군 대월면(大月面), 마유면(馬遊面), 와리면(瓦里面) | 군자면(君子面) |
- 1917년 : 북면에서 영등포리·당산리·양평리를 분리하여 '''영등포면'''을 설치하였다.[44] (10면)
- 1931년 4월 1일 : 영등포면이 영등포읍으로 승격하였다.[45] (1읍 9면)
- 1936년 4월 1일 : 영등포읍과 북면 일부, 동면 상도리가 경성부로 편입되었다. 북면의 잔여지역인 도림리 일부, 번대방리 일부 및 구로리를 동면에 편입하였다.[46] (8면)
개편 전 | 개편 후 |
---|---|
시흥군 북면 도림리 일부(상도천 우안, 현재의 도림동·문래동)·신길리·본동리(本洞里)·노량진리·흑석리·동작리·번대방리 일부(상도천 우안) | 경성부 영등포출장소 도림정·신길정·본동정·노량진정·흑석정·동작정·번대방정 |
시흥군 영등포읍 영등포리·당산리·양평리 | 경성부 영등포출장소 영등포정·당산정·양평정 |
시흥군 동면 상도리 | 경성부 영등포출장소 상도정 |
시흥군 북면 도림리·번대방리 각 일부(상도천 좌안), 구로리 | 동면 도림리·번대방리·구로리 |
- 1941년 : 서이면(西二面)이 안양면(安養面)으로 개칭되었다.
- 1947년 11월 29일 : 시흥군청을 영등포에서 안양면으로 이전하였다.[47]
- 1949년 8월 13일 : 동면 구로리, 도림리(현재의 대림동, 신도림동), 번대방리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로 편입되었다.[48]
- 1949년 8월 14일 : 안양면이 안양읍으로 승격하였다.[49] (1읍 7면)

개편 전 | 개편 후 |
---|---|
시흥군 동면 구로리·도림리·번대방리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구로리·신도림리·번대방리 |
안양면 | 안양읍 |
- 1963년 1월 1일 : 동면과 신동면이 서울특별시 영등포구로 편입되고, 동면 안양리(현재의 석수동)와 서면 박달리(현재의 박달동)가 안양읍에 편입되고, 화성군 일왕면의 일부가 의왕면(현 의왕시)으로 개칭하여 시흥군으로 편입되었다.[50][51] (1읍 6면)
개편 전 | 개편 후 |
---|---|
시흥군 동면 시흥리·독산리·가리봉리·신림리·봉천리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관악출장소, 영등포구 시흥동 소재) 시흥동·독산동·가리봉동·신림동·봉천동 |
시흥군 신동면 서초리·방배리·잠실리·반포리·양재리·우면리·신원리·사당리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신동출장소, 영등포구 양재동 소재) 서초동·방배동·잠원동·반포동·양재동·우면동·신원동·사당동 |
동면 안양리 | 안양읍 신안양리 |
서면 박달리 | 안양읍 박달리 |
화성군 일왕면 고천리·왕곡리·이리·삼리·오전리·내손리·포일리·청계리·학의리 | 시흥군 의왕면 고천리·왕곡리·이리·삼리·오전리· 내손리·포일리·청계리·학의리 |
- 1963년 8월 28일 : 옛 시흥군 지역 중 1963년 1월 1일에 서울특별시로 편입된 지역이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구역에 편입되었다.[52]
- 1963년 9월 17일 : 시흥군 서면 중 광명리, 철산리, 하안리와 과천면 전역이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구역에 편입되었다.[53]
- 1973년 7월 1일 : 안양읍이 안양시로 승격하였고, 부천군 소래면이 시흥군으로 편입되었다.[54] (7면)
개편 전 | 개편 후 |
---|---|
시흥군 안양읍 안양리(安養里)·신안양리·박달리·비산리·일동리·이동리·호계리 | 안양시 안양동·석수동·박달동·비산동·관양동·평촌동·호계동 |
부천군 소래면 대야리·은행리·신천리·미산리·방산리·포리·안현리·매화리·도창리·금이리·무지리·과림리·계수리· 옥길리 | 시흥군 소래면 대야리·은행리·신천리·미산리·방산리·포리·안현리·매화리·도창리·금이리·무지리·과림리·계수리· 옥길리 |
- 1979년 5월 1일 : 서면이 소하읍으로, 남면이 군포읍으로 각각 승격하였다.[55] (2읍 5면)
- 1980년 12월 1일 : 의왕면이 의왕읍으로, 소래면이 소래읍으로 각각 승격하였다.[56] (4읍 3면)
- 군청사 소재지를 안양시 안양동 477(안양시 만안구 안양6동 만안평생학습센터.만안구청.만안구보건소)에서 소래읍으로 신축 이전하였다.
- 1981년 7월 1일 : 소하읍이 광명시로 승격하였다.[57] (3읍 3면)
개편 전 | 개편 후 |
---|---|
시흥군 소하읍 광명리(光明里)·철산리·하안리·소하리(所下里)·일직리·가학리·노온사리 | 광명시 광명동(光明洞)·철산동·하안동·소하동(所下洞)·일직동·가학동·노온사동 |
- 1983년 2월 15일 : 화성군 반월면 월암리와 초평리가 시흥군 의왕읍으로 편입되었고, 시흥군 소래읍 옥길2리·4리와 계수리 일부가 부천시로, 옥길1리·3리가 광명시로 편입되었다.[58]
개편 전 | 개편 후 |
---|---|
화성군 반월면 월암리·초평리 | 시흥군 의왕읍 월암리·초평리 |
시흥군 소래읍 옥길1리·3리 | 광명시 옥길동 |
시흥군 소래읍 옥길2리·4리 | 부천시 옥길동 |
시흥군 소래읍 계수리 일부 | 부천시 계수동 |
개편 전 | 개편 후 |
---|---|
시흥군 과천면 관문리, 주암리, 막계리, 갈현리, 부림리, 원문리, 문원리 | 과천시 관문동, 주암동, 막계동, 갈현동, 부림동, 원문동, 중앙동·별양동·문원동 |
시흥군 군자면 신길리·성곡리·목내리·원시리·초지리·원곡리·선부리 | 안산시 신길동·성곡동·목내동·원시동·초지동·원곡동·선부동 |
시흥군 수암면 양상리·부곡리·월피리·성포리·고잔리·와리 및 화정리 일부 | 안산시 양상동·부곡동·월피동·성포동·고잔동·와동·화정동 |
- 1989년 1월 1일 : 의왕읍 및 군포읍이 각각 의왕시와 군포시로 승격하였고, 시흥군의 나머지 지역(소래읍·수암면·군자면)을 관할로 '''시흥시'''가 설치되어 시흥군이 폐지되었다.[60]
개편 전 | 개편 후 |
---|---|
시흥군 의왕읍 고천리·왕곡리·이리·삼리·월암리·초평리·오전리·내손리·포일리·청계리·학의리 | 의왕시 고천동·왕곡동·이동·삼동·월암동·초평동·오전동·내손동·포일동·청계동·학의동 |
시흥군 군포읍 당리, 당정리, 부곡리, 산본리, 금정리 | 군포시 당동, 당정동, 부곡동, 산본동, 금정동 |
시흥군 소래읍 대야리, 계수리, 신천리, 방산리, 포리, 미산리, 은행리, 안현리, 매화리, 도창리, 금이리, 과림리, 무지리 | 시흥시 대야동, 계수동, 신천동, 방산동, 포동, 미산동, 은행동, 안현동, 매화동, 도창동, 금이동, 과림동, 무지동 |
시흥군 수암면 목감리, 조남리, 논곡리, 물왕리, 산현리, 하중리, 하상리, 광석리, 능곡리, 화정리, 수암리, 장상리, 장하리 | 시흥시 목감동, 조남동, 논곡동, 물왕동, 산현동, 하중동, 하상동, 광석동, 능곡동, 화정동, 수암동, 장상동, 장하동 |
시흥군 군자면 장현리, 장곡리, 군자리, 거모리, 월곶리, 정왕리, 죽율리 | 시흥시 장현동, 장곡동, 군자동, 거모동, 월곶동, 정왕동, 죽율동 |
4. 행정 구역
197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시흥군 지역은 서울, 인천, 부천, 수원 등 인근 도시와 연결되는 도로망이 발달한 전형적인 전원형 도시로 발전하면서 거듭 행정구역이 개편되었다. 급격한 산업화와 서울의 팽창으로 인한 인구 유입으로 안양시를 시작으로 광명시(1981년), 안산시(1986년), 과천시(1986년)가 시로 승격해 분리되었다. 1980년 소래면이 읍으로 승격되어, 시흥군은 안양시와 연계되어 발전한 동부(군포읍·의왕읍), 수인산업도로 등으로 도로교통이 발달한 서북부(소래읍), 반월공단 등 계획도시로 건설된 서남부(현 안산시)가 각각 독자적인 도시로 성장하였다.
1986년 안산시 설치 이후, 시흥군 폐지 및 시 승격 방안으로 다음 두 가지 안이 논의되었다.
- 2개(시흥·소래)시 분리안: 의왕읍 일부(내손·포일·청계·학의리)를 안양시에, 수암면 일부(수암·장상·장하·화정리)와 군자면 일부(정왕·죽율·군자·거모리)를 안산시에 편입. 군포읍과 의왕읍을 합쳐 시흥시 설치, 소래읍에 수암면과 군자면을 합쳐 소래시 설치.
- 3개(시흥·군포·의왕)시 분리안: 군포읍, 의왕읍을 각각 군포시, 의왕시로 승격. 나머지 지역(소래읍·수암면·군자면)을 시흥시로 승격.
행정관료들이 선호한 3개 시 분리·승격안이 채택되었다.[33]
1989년 1월 1일 시흥군이 폐지되고, 시흥시(소래읍·군자면·수암면 일원), 군포시(군포읍 일원), 의왕시(의왕읍 일원)가 설치되었다. 현재 시흥시 북부(옛 소래읍)는 1973년 7월 1일 부천군 폐지 후 시흥군에 편입되었고, 남부(옛 군자면·수암면)는 안산시와 밀착해 성장했기 때문에 시 승격 당시 두 지역은 교통과 생활권이 사실상 분리되어 있었고,[34] 그 영향은 현재까지도 남아 있다.
5. 교통
1899년 과천군 하북면 노량진리에 지어진 노량진역에서 제물포역을 잇는 경인선이 개통되었다. 이때 영등포역도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1901년 8월 21일 영등포역에서 경부선 착공식이 거행되었고, 1905년 개통된 경부선은 시흥군의 시흥역, 안양역, 군포역을 지나 수원역으로 이어졌다. 경부선 부설과 1911년 시흥군청의 영등포 이전으로, 영등포는 교통과 상업의 중심지로 빠르게 성장했다. 수인선 역시 시흥군을 지나갔다. 1977년에는 수인산업도로가 개통되어 시흥군과 인근 도시들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34]
6. 산업
1910년대부터 조선 피혁 주식회사, 경성 방직 회사 등의 공장들이 영등포 지역에 설립되면서 이 지역이 번잡해지기 시작했다. 영등포 지역에 공장이 집중적으로 설립된 이유는 한강과 안양천으로 둘러싸인 범람원이라 토지 매입이 쉬웠고, 경인선과 경부선 개통으로 철도교통이 편리했기 때문이다.[62]
7. 관광
참조
[1]
서적
한양: 그곳에서 살고 싶다?
(주)교학사
1997-03-10
[2]
웹사이트
평생학습>교육·문화
http://www.geumcheon[...]
[3]
웹사이트
시흥시 사이버역사관
http://history.siheu[...]
[4]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8호
1936-02-14
[5]
법률
대통령령 제159호 시·도의관할구역및구·군의명칭·위치·관할구역변경의건
1949-08-13
[6]
법률
법률 제1172호 서울특별시·도·군·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62-11-21
[7]
법률
법률 제1175호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11-21
[8]
법률
법률 제2597호 시설치와군의폐치분합에관한법률
1973-03-12
[9]
웹사이트
디지털광명문화대전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http://gwangmyeong.g[...]
[10]
법률
법률 제3425호 광명시등시설치와군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81-04-13
[11]
법률
법률 제3798호 구리시등11개시설치와군관할구역의조정및금성시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5-12-28
[12]
법률
법률 제4050호 오산시등12개시및태안군설치와군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8-12-31
[13]
웹사이트
시흥 연꽃테마파크(관곡지)와 인천 소래습지생태공원
http://korean.visitk[...]
2018-06-06
[14]
웹사이트
유래 및 연혁
http://www.siheung.g[...]
[15]
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148권, 지리지 경기 광주목 금천현
http://sillok.histor[...]
2020-09-02
[16]
법률
조선총독부 경기도고시 제9호
[17]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8]
법률
법률 제1172호
[19]
법률
법률 제2597호 시설치와군의폐치분합에관한법률
1973-03-12
[20]
법률
법률 2596호
[21]
법률
법률 제3425호 광명시등시설치와군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81-04-13
[22]
법률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01-10
[23]
법률
법률 제3798호 구리시등11개시설치와군관할구역의조정및금성시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5-12-28
[24]
법률
법률 제4050호 오산시등12개시및태안군설치와군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8-12-31
[25]
법률
법률 제4802호, 서울특별시광진구등9개자치구설치및특별시·광역시·도간관할구역변경등에관한법률
1994-12-22
[26]
기타
[27]
서적
한양: 그곳에서 살고 싶다?
(주)교학사
1997-03-10
[28]
서적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29]
서적
여지도서(輿地圖書)
1757-1765
[30]
고종실록
고종실록 32년 음력 5월 26일 칙령 제98호, 〈지방 제도의 개정에 관한 안건〔地方制度改正件〕〉
s:고종실록 32년 5월 음력 5월 [...]
[31]
웹사이트
시흥문화원 시흥시개관 시흥시유래 참조
http://www.shculture[...]
2013-10-21
[32]
뉴스
신택리지 - 역사의 정기를 이어 미래로 뻗어 가는 땅, 서울 금천구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1-08-04
[33]
간행물
시흥시의 출범과 성장 (시흥시사 4권)
http://ebook.siheung[...]
시흥시사편찬위원
2016-03-05
[34]
뉴스
건국후 최대규모 - 12개 신생시의 이모저모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8-12-05
[35]
기타
(신구대조) 조선 전도부군면리동 명칭 일람
1917
[36]
설명
[37]
설명
[38]
설명
[39]
설명
[40]
설명
[41]
설명
[42]
설명
[43]
설명
[44]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37호
1917-07-11
[45]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03호
1930-12-29
[46]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8호
1936-02-14
[47]
웹인용
시흥의 근현대
http://ebook.siheung[...]
2016-08-01
[48]
법령
대통령령 제159호 시·도의관할구역및구·군의명칭·위치·관할구역변경의건
1949-08-13
[49]
법령
대통령령 제162호 읍설치에관한건
1949-08-13
[50]
법령
법률 제1172호 서울특별시·도·군·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62-11-21
[51]
법령
법률 제1175호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11-21
[52]
법령
건설부 고시 제524호
http://theme.archive[...]
1963-08-28
[53]
법령
건설부 고시 제547호
http://theme.archive[...]
1963-09-17
[54]
법령
법률 제2597호 시설치와군의폐치분합에관한법률
1973-03-12
[55]
법령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56]
법령
대통령령 제10050호 경기도시흥군의왕읍등35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80-10-21
[57]
법령
법률 제3425호 광명시등시설치와군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81-04-13
[58]
법령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01-10
[59]
법령
법률 제3798호 구리시등11개시설치와군관할구역의조정및금성시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5-12-28
[60]
법령
법률 제4050호 오산시등12개시및태안군설치와군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8-12-31
[61]
설명
[62]
서적
한양: 그곳에서 살고 싶다?
(주)교학사
1997-03-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