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니코메디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코메디아는 기원전 712/11년에 메가라의 식민 도시 아스타코스로 건설되었으며, 비티니아 왕 니코메데스 1세에 의해 재건된 후 소아시아 북서부의 주요 도시로 성장했다. 로마 제국 시대에는 비티니아 속주의 중심 도시이자 동로마 제국의 수도였으며,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에 의해 사두정치 체제가 도입되기도 했다. 콘스탄티누스 1세가 크리소폴리스 전투에서 승리한 후에도 수도 역할을 했으나,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수도가 이전된 후에도 그 중요성을 유지했다. 1999년 이즈미트 지진으로 인해 유적이 발견되었으며, 현재 이즈미트 시 아래에 묻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니코메디아
지도
일반 정보
이름니코메디아
로마자 표기Nikomedia
그리스어Νικομήδεια
위치
국가터키
지방코자엘리 주의 이즈미트
역사
설립기원전 712-711년 (아스타코스)
재건기원전 264년 (니코메데스 1세)
중요 사건크리소폴리스 전투
기타
참고비티니아의 고대 도시

2. 역사

니코메디아는 고대 메가라인들의 식민 도시로 시작하여[26] 비티니아 왕국의 주요 도시로 발전했으며,[27] 로마 제국 시대에는 비티니아 속주의 중심지이자 한때 제국의 동방 수도이기도 했다.[5][29] 이후 비잔틴 제국의 주요 군사 거점을 거쳐[11][34]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11][34]

2. 1. 고대

기원전 712/11년 메가라의 식민지로 세워졌으며, 처음 이름은 아스타코스( Ἀστακός|아스타코스grc, '가재'라는 뜻)였다.[47][2][26] 리시마코스에 의해 파괴되었으나,[48][3][27] 기원전 264년 비티니아의 왕 니코메데스 1세가 '니코메디아'라는 이름으로 재건했다. 이후 소아시아 북서부에서 가장 주요한 도시 중 하나로 성장했다. 카르타고의 명장 한니발 바르카는 말년에 이곳에 왔으며, 인근 리비사(Libyssa, 현재 게브제의 딜리스켈레시 항구)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역사가 아리아노스가 이곳에서 태어났다.



니코메디아는 로마 제국 시대 비티니아 속주의 메트로폴리스(중심 도시)이자 수도였다. 대 플리니우스가 비티니아 총독으로 재임할 당시 트라야누스 황제에게 보낸 서한에서 여러 차례 언급된다.[5][29] 플리니우스는 서한에서 원로원 의사당, 수도교, 포럼, 키벨레 신전 등 도시의 여러 공공 건물과 큰 피해를 입힌 대화재에 대해 기록했다.[6]

286년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가 사두정치체제를 도입하면서 니코메디아를 로마 제국의 동방 수도로 삼았다.[29] 그는 은퇴 후에도 이 도시로 돌아와 말년을 보냈다. 니코메디아는 324년 리키니우스콘스탄티누스 1세에게 패배할 때까지 로마 제국 동부의 수도 지위를 유지했다. 콘스탄티누스 1세비잔티움(훗날의 콘스탄티노폴리스)을 새로운 수도로 정비하는 동안에도 니코메디아는 계속 수도 역할을 했으며, 337년 콘스탄티누스 1세는 이 도시 근교에서 사망했다.

2. 2. 로마 제국 시대

니코메디아는 로마 제국 시기 비티니아 속주의 메트로폴리스이자 중심 도시였다.[5] 대 플리니우스가 비티니아 총독으로 재임하는 동안 트라야누스 황제에게 보낸 서한에서 여러 차례 언급되는데, 그는 원로원 의사당, 수도교, 포럼, 키벨레 신전 등 도시의 공공 건물들과 도시를 휩쓴 대화재에 대해 이야기했다.[6]

286년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가 사두 정치 체제를 도입하면서 니코메디아를 로마 제국 동방의 수도로 삼았다.[31] 그는 은퇴 후에도 이 도시로 돌아와 말년을 보냈다. 니코메디아는 디오클레티아누스와 그의 부제였던 갈레리우스 치하에서 벌어진 디오클레티아누스 박해의 중심지가 되었다. 303년 2월 23일, 이교 축제인 테르미날리아일에 디오클레티아누스는 니코메디아에 새로 지어진 교회를 파괴하고, 성경을 불태우며, 귀중한 성물들을 압수하라고 명령했다.[30][7] 다음 날 그는 제국 전역의 교회에 대해 유사한 조치를 취하도록 명령하는 '기독교인에 대한 첫 번째 칙령'을 발표했다.

니코메디아 교회의 파괴는 도시 전체에 공포를 불러일으켰다. 그달 말에는 화재로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의 일부가 파괴되었고, 16일 후 또 다른 화재가 발생했다.[31][8] 화재 원인 조사가 이루어졌으나 공식적으로 기소된 세력은 없었다. 그러나 갈레리우스는 기독교인들에게 책임을 돌렸고, 두 명의 궁정 환관이 기독교인과 공모하여 화재를 일으켰다고 주장하며 처형했다. 303년 4월 말까지 6명이 추가로 처형되었다. 갈레리우스는 곧 니코메디아가 안전하지 않다고 선언하고 로마로 떠났으며, 디오클레티아누스도 곧 뒤를 따랐다.[31][8]

사두정치 체제 하의 로마 제국 지도. 교구와 4명의 사두정치제의 영향권이 표시되어 있다. 니코메디아는 동방의 아우구스투스가 된 디오클레티아누스에 의해 동부의 최고위 수도로 선택되었다.


니코메디아는 324년 크리소폴리스 전투(현재의 위스퀴다르)에서 공동 황제 리키니우스콘스탄티누스 1세에게 패배할 때까지 로마 제국 동부의 최고위 수도로 남아 있었다.[32] 콘스탄티누스 1세는 이후 6년 동안 니코메디아에 주로 거주하며 임시 수도로 사용하다가, 330년에 인근 비잔티움콘스탄티노폴리스로 개명하고 새로운 수도로 선포했다. 콘스탄티누스 1세는 337년 니코메디아 인근의 왕실 별장에서 사망했다.[32][9] 아시아의 주요 도로들이 새로운 수도로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했기 때문에, 니코메디아는 콘스탄티노폴리스 건립 이후에도 그 중요성을 유지했다.[32][9]

그러나 358년 8월 24일에 발생한 대규모 니코메디아 지진과 뒤이은 화재로 니코메디아는 광범위한 피해를 입었다. 도시는 재건되었지만 이전보다 규모가 축소되었다.[33][10] 6세기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 치하에서는 새로운 공공 건물들이 건설되며 도시가 확장되었다.[34] 수도로 이어지는 도로변에 위치한 니코메디아는 주요 군사 중심지로 남아 칼리파트에 맞선 비잔틴 제국의 원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34][11] 비문에 따르면 제국 후기에 니코메디아는 로마 식민지의 영예를 누렸다.[12]

2. 3. 중세

358년 8월 24일에 발생한 대규모 지진은 니코메디아에 광범위한 피해를 입혔고, 뒤이어 발생한 화재로 인해 참사가 마무리되었다. 니코메디아는 재건되었지만 이전보다 규모는 축소되었다.[10][33]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 치하의 6세기에는 새로운 공공 건물을 통해 도시가 확장되었다.[11][34] 수도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이어지는 도로에 위치한 이 도시는 주요 군사 중심지로 남아 칼리파트나 이슬람 세력에 맞선 비잔틴 원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11][34]

451년에 현지 주교 관할구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관할 하에 니코메디아 관구 대교구로 승격되었다.[13][35] 니코메디아 관구 대교구는 총대주교 관할구의 대교구 중에서 서열 7위를 차지했다.[14][36] 8세기에는 콘스탄티누스 5세 황제가 콘스탄티노폴리스페스트가 발생하여 746년–747년에 수도에서 물러났을 때 잠시 그곳에 궁정을 두었다.[15][37] 840년대부터 니코메디아는 ''옵티마토이'' ''테마''의 수도였다. 당시 대부분의 오래된 해안 도시가 버려졌고, 페르시아 지리학자 이븐 호르다드베는 정착지가 언덕 꼭대기 요새에 국한된 폐허로 묘사했다.[11][34]

1080년대에 이 도시는 알렉시우스 1세 콤네노스가 셀주크 투르크와의 전투에서 주요 군사 기지 역할을 했으며, 제1차 십자군제2차 십자군 모두 그곳에 주둔했다.

1204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후 제4차 십자군에 의해 잠시 라틴 제국에 점령되었다. 1206년 말, 티에리 드 로스(Thierry de Loos)는 그곳을 기지로 삼아 성 소피아 교회를 요새로 개조했다. 그러나 십자군 요새는 니케아 제국 황제 테오도르 1세 라스카리스의 끊임없는 습격을 받았고, 이 과정에서 드 로스는 니케아 병사들에게 포로로 잡혔다. 1207년 여름까지 플랑드르의 앙리 황제는 드 로스와 테오도로스 1세가 수감한 다른 포로들과 교환하기 위해 니코메디아를 철수하기로 합의했다.[16][38] 이 도시는 그 이후로 1세기 이상 비잔틴의 통제를 받았지만, 1302년 바페우스 전투에서 비잔틴이 패배한 후 부상하는 오스만 군주국의 위협을 받았다. 이 도시는 1337년에 마침내 함락되기 전에 오스만 제국에 의해 두 번 포위되고 봉쇄되었다(1304년과 1330년).[11][34]

2. 4. 오스만 제국 시대

1302년 바페우스 전투에서 비잔틴 제국이 패배한 후, 니코메디아는 새롭게 부상하는 오스만 베이릭의 위협을 받게 되었다. 도시는 1304년과 1330년 두 차례 오스만 제국에 의해 포위되고 봉쇄되었으며, 결국 1337년에 오스만 제국에 함락되었다.[11][34]

3. 주요 인물

니코메디아 출신이거나 이곳에서 활동했던 주요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 디오클레티아누스 (244년경 – 311년): 284년부터 305년까지 로마 황제였으며, 니코메디아를 동방 수도로 삼았다.
  • 아리아노스 (86/89년경 – 146/160년경): 그리스 출신의 역사가이자 철학자.
  • 성 게오르기우스 (? – 303년): 디오클레티아누스 박해 시기 순교한 기독교 성인.
  • 성 바르바라 (3세기): 기독교 순교자.
  • 성 판탈레온 (? – 305년): 기독교 순교자.
  • 니코메디아의 아드리안 (? – 306년): 기독교 순교자.
  • 니코메디아의 안티무스 (? – 303년 또는 311/312년): 니코메디아의 주교이자 순교자.
  • 니코메디아의 아르사키오스: 니코메디아의 주교.
  • 니코메디아의 케크로피오스: 니코메디아의 주교.
  • 니코메디아의 줄리아나 (? – 304년): 기독교 순교자.
  • 니코메디아의 테오펨투스 (? – 303년): 니코메디아의 주교이자 순교자.
  • 니코메디아의 테오필락투스 (? – 845년): 니코메디아의 주교. 동방 정교회 성인.
  • 미카엘 프셀로스 (1017/1078년 – 1078/1096년경): 비잔티움 제국의 작가, 철학자, 역사가.
  • 막시무스 플라누데스 (1260년경 – 1305년경): 그리스 학자, 번역가.
  • 아론 벤 엘리야 (1328/1329년 – 1369년): 카라이파 유대교 철학자.

3. 1. 고대

기원전 712년 또는 711년에 메가라의 식민지로 세워졌으며, 처음에는 아스타코스(Ἀστακός|아스타코스grc, "가재"라는 뜻)라는 이름으로 알려졌다.[47] 이후 리시마코스에 의해 파괴되었다가,[48] 기원전 264년 비티니아의 왕 니코메데스 1세가 니코메디아라는 이름으로 다시 세웠다. 이후 니코메디아는 소아시아 북서부 지역의 중요한 도시 중 하나가 되었다. 카르타고의 유명한 장군 한니발 바르카는 말년을 이곳에서 보냈으며, 인근 리비사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그리스 출신의 역사가 아리아노스가 태어난 곳이기도 하다.

로마 제국 시대에 니코메디아는 비티니아 속주의 중심 도시(메트로폴리스) 역할을 했다.

서기 286년,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는 사두정치체제를 도입하면서 니코메디아를 동로마 제국의 수도로 삼았다. 그는 황제 자리에서 물러난 후에도 이곳으로 돌아와 여생을 보냈다. 니코메디아는 324년 리키니우스콘스탄티누스 1세에게 패배할 때까지 로마 제국 동부의 수도 지위를 유지했다. 이후 콘스탄티누스 1세콘스탄티노폴리스를 새로운 수도로 정비할 때까지도 니코메디아는 중요한 도시였으며, 337년 콘스탄티누스 1세는 이곳에서 사망했다.

니코메디아는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와 그의 부제(카이사르)였던 갈레리우스 치하에서 벌어진 기독교 박해의 중심지였다. 303년 2월 23일, 로마의 전통 축제인 터미날리아가 열리던 날, 디오클레티아누스는 니코메디아에 새로 지어진 교회를 파괴하고, 성경을 불태우며, 교회의 귀중품을 압수하라고 명령했다.[7] 다음 날에는 제국 전역의 교회에 대해 비슷한 조치를 취하라는 첫 번째 칙령을 발표했다.

니코메디아 교회의 파괴는 도시 전체에 공포 분위기를 조성했다. 그달 말에는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 일부가 화재로 소실되었고, 16일 뒤 또다시 화재가 발생했다.[8] 화재 원인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졌지만 공식적인 책임자는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갈레리우스는 이 화재의 책임을 기독교인들에게 돌렸다. 그는 기독교인들이 화재를 계획했다고 주장하며 궁궐 환관 두 명을 처형했고, 303년 4월 말까지 여섯 명이 추가로 처형되었다. 이후 갈레리우스는 니코메디아가 안전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로마로 떠났고, 디오클레티아누스도 곧 뒤따랐다.[8] 이 박해 기간 동안 성 게오르기우스, 성 바르바라, 성 판탈레온, 니코메디아의 아드리안, 니코메디아의 안티무스, 니코메디아의 줄리아나를 비롯한 많은 기독교인들이 순교했다.

아리아노스


성 바르바라

3. 2. 중세


  • 니코메디아의 테오필락토스 (845년 사망): 주교. 동방 정교회에서 성인으로 인정받았다.
  • 미카엘 프셀로스 (1017년 또는 1078년 – 1078년 또는 1096년경): 비잔티움 제국의 그리스 작가, 철학자, 정치가, 역사가.
  • 막시무스 플라누데스 (1260년경 – 1305년경): 그리스 학자, 선집가(문예 평론가), 번역가, 문법학자.
  • 아론 벤 엘리야 (1328/1329-1369): 카라이파 유대교 철학자.

4. 도시 기반 시설

로마 제국 시대의 니코메디아는 국제적이고 상업적으로 번영했으며, 주요 로마 도시의 편의 시설을 두루 갖추고 있었다. 도시에는 여러 개의 수도교, 극장, 열주 거리, 포룸(광장)과 같은 공공 시설과[17][39][20][42] 데메테르 신전을 비롯하여 코모두스, 아우구스투스, 로마 여신 등 로마의 신들과 황제에게 헌정된 여러 종교 시설이 있었다.[5][29][21][43][22][44]

그러나 이 도시는 서기 253년에 고트족에게 약탈당하는 시련을 겪었다.[5][29] 이후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가 283년 니코메디아를 로마 제국 동방의 수도로 삼으면서 대대적인 복원과 건설이 이루어졌다. 그는 이곳에 거대한 궁전, 무기고, 조폐국, 그리고 새로운 조선소를 건설하여 도시의 위상을 크게 높였다.[5][29]

4. 1. 공공 시설

로마 제국 시대의 니코메디아는 국제적이고 상업적으로 번영한 도시였으며, 주요 로마 도시가 갖추어야 할 편의 시설들을 잘 갖추고 있었다. 특히 풍부한 물을 공급하는 2~3개의 수도교가 유명했는데,[17][39] 그중 하나는 헬레니즘 시대에 건설된 것이었다.[17][39] 대 플리니우스는 110년경 트라야누스 황제에게 보낸 편지에서 니코메디아인들이 기술적인 문제로 두 차례나 건설에 실패한 수도교 때문에 3,518,000 세스테르티우스를 낭비했다고 보고했다.[40] 이에 트라야누스는 플리니우스에게 수도교를 완공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막대한 자금 낭비의 배경에 있을 수 있는 공무원의 부패를 조사하도록 지시했다.[18][40]

이 외에도 극장, 헬레니즘 도시의 전형적인 특징인 열주 거리(Colonnaded street), 그리고 포룸(광장)과 같은 다른 공공 시설들이 있었다.[20][42] 트라야누스 시대에는 이 지역에 대규모 로마 군대가 주둔하기도 했다.[19][41]

4. 2. 종교 시설

니코메디아에는 여러 중요한 종교 시설이 있었다. 항구 위 언덕의 신성한 구역에는 데메테르 신전이 자리 잡고 있었다.[5][29] 또한, 니코메디아는 로마 제국의 공식적인 종교 의례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여러 로마 관련 신전을 건립했다. 코모두스 황제에게 헌정된 신전,[21][43] 아우구스투스에게 헌정된 도시의 성지,[22][44] 그리고 공화정 말기에 세워진 로마 여신에게 헌정된 신전[5][29] 등이 대표적이다.

5. 유적

니코메디아의 유적은 현대 도시 이즈미트의 지하 깊숙이 자리 잡고 있어, 인구 밀집 지역이라는 특성상 전면적인 발굴 작업에 어려움이 따른다.[29] 과거 도시화 이전에는 로마 시대의 성벽이나 수도교 일부가 남아 있었으나, 현재는 그 흔적을 찾기 쉽지 않다. 1999년 이즈미트 지진은 큰 피해를 남겼지만, 복구 과정에서 헤라클레스, 아테나, 디오클레티아누스, 콘스탄티누스 조각상 등 예상치 못한 고대 유물들이 발견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45] 이후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 터를 포함한 일부 지역에서 발굴이 이루어지고 있다.[46]

5. 1. 주요 유적

이즈미트의 니코메디아 수도교 유적


니코메디아 유적은 인구 밀도가 높은 현대 도시 이즈미트 아래에 묻혀 있어 광범위한 발굴 조사가 어렵다. 20세기 도시화가 진행되기 전에는 도시를 둘러싼 로마 시대 방어벽 일부와 니코메디아에 물을 공급했던 여러 수도교 유적을 볼 수 있었다. 그 외 주요 유적으로는 이스탄불 거리에 있는 서기 2세기 대리석 님파이움의 기초, 도시 유대인 묘지에 있는 대형 저수조, 항구 벽의 일부 등이 있다.[29]

1999년 이즈미트 지진은 도시에 큰 피해를 주었지만, 잔해를 치우는 과정에서 고대 니코메디아의 중요한 유물들이 발견되기도 했다. 헤라클레스, 아테나, 디오클레티아누스, 콘스탄티누스의 조각상을 포함한 풍부한 고대 조각상이 이때 발견되었다.[45]

지진 이후 몇 년 동안 이즈미트 지방 문화국은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으로 확인된 부지와 인근 로마 극장 등 일부 지역에서 소규모 발굴을 진행했다. 2016년 4월부터는 코자엘리 박물관의 감독 아래 궁전 터에 대한 더 광범위한 발굴이 시작되었으며, 이 유적지의 면적은 약 60000m2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46]

5. 2. 발굴 현황

니코메디아 유적은 인구 밀도가 높은 현대 도시 이즈미트 아래에 묻혀 있어, 광범위한 발굴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20세기 도시화가 진행되기 전에는 도시를 둘러싼 로마 방어벽 일부와 한때 니코메디아에 물을 공급했던 여러 수도교 유적을 볼 수 있었다.

기타 기념물로는 이스탄불 거리에 있는 서기 2세기 대리석 님파이움의 기초, 도시 유대인 묘지에 있는 대형 저수조, 항구 벽의 일부 등이 있다.[5][29]

도시 대부분에 심각한 피해를 입힌 1999년 이즈미트 지진 이후, 잔해를 치우는 과정에서 고대 니코메디아에 대한 주요 발견이 이루어졌다. 이때 헤라클레스, 아테나, 디오클레티아누스, 콘스탄티누스의 조각상을 포함한 풍부한 고대 조각상이 발견되었다.[23][45]

지진 발생 이후 몇 년 동안, 이즈미트 지방 문화국은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으로 확인된 부지와 인근 로마 극장을 포함하여 소규모 지역을 발굴했다. 2016년 4월, 코자엘리 박물관의 감독하에 궁전에 대한 더 광범위한 발굴이 시작되었으며, 이 부지는 약 60000m2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24][46]

참조

[1] 웹사이트 "Nicomedia" in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http://education.yah[...] 2012-07-03
[2] 서적 Guide to Greece By Pausanias https://archive.org/[...] Penguin
[3] 서적 The Hellenistic settlements in Europe, the islands, and Asia Minor
[4] 웹사이트 Belt Section with Medallions of Constantius II and Faustina http://art.thewalter[...] The Walters Art Museum
[5] 뉴스 Nicomedia NW Turkey http://www.perseus.t[...] Princeton University Press
[6] 문서 Epistulae
[7] 서적 Constantine & Eusebius 1981-01-01
[8] 서적 The Roman Empire: From Severus to Constantine https://archive.org/[...]
[9] 문서 Asie mineure Paris
[10] 문서 Ammianus Marcellinus
[11] 서적 Oxford Dictionary of Byzantium Oxford University Press
[12] DGRG Nicomedeia
[13] 서적 The Ecumenical Patriarchate https://books.google[...] Wildside Press LLC
[14] 웹사이트 Diocese of Nicomedia (Ottoman Period) http://www.ehw.gr/l.[...] Εγκυκλοπαίδεια Μείζονος Ελληνισμού, Μ. Ασία 2012-11-13
[15] 논문 The Politics of Despair: The Plague of 746–747 and Iconoclasm in the Byzantine Empire
[16] 서적 Joinville and Villehardouin: Chronicles of the Crusades Penguin
[17] 서적 Oratories
[18] 서적 Epistulae
[19] 서적 Epistles
[20] 서적 Epistles
[21] 서적 Roman History
[22] 서적 Roman History
[23] 뉴스 Ancient underground city in izmit excites archaeology world http://www.hurriyetd[...] Hürriyet Daily News 2016-03-04
[24] 뉴스 Ancient underground city in izmit excites archaeology world http://www.hurriyetd[...] Hürriyet Daily News 2016-03-04
[25] 웹사이트 "Nicomedia" in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http://education.yah[...]
[26] 서적 Guide to Greece By Pausanias
[27] 서적 The Hellenistic settlements in Europe, the islands, and Asia Minor
[28] 웹사이트 Belt Section with Medallions of Constantius II and Faustina http://art.thewalter[...] The Walters Art Museum 2019-04-01
[29] 논문 NICOMEDIA NW Turkey http://www.perseus.t[...] Princeton University Press
[30] 서적 Constantine & Eusebius 1981-01-01
[31] 서적 The Roman Empire: From Severus to Constantine
[32] 문서 Asie mineure Paris
[33] 문서 Ammianus Marcellinus
[34] 서적 Oxford Dictionary of Byzantium Oxford University Press
[35] 서적 The Ecumenical Patriarchate https://books.google[...] Wildside Press LLC
[36] 웹사이트 Diocese of Nicomedia (Ottoman Period) http://www.ehw.gr/l.[...] Εγκυκλοπαίδεια Μείζονος Ελληνισμού, Μ. Ασία 2012-11-13
[37] 논문 The Politics of Despair: The Plague of 746–747 and Iconoclasm in the Byzantine Empire
[38] 서적 Joinville and Villehardouin: Chronicles of the Crusades Penguin
[39] 서적 Oratories
[40] 서적 Epistulae
[41] 서적 Epistles
[42] 서적 Epistles
[43] 서적 Roman History
[44] 서적 Roman History
[45] 뉴스 Ancient underground city in izmit excites archaeology world http://www.hurriyetd[...] Hürriyet Daily News 2016-03-04
[46] 뉴스 Ancient underground city in izmit excites archaeology world http://www.hurriyetd[...] Hürriyet Daily News 2016-03-04
[47] 서적 Guide to Greece By Pausanias
[48] 서적 The Hellenistic settlements in Europe, the islands, and Asia Min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