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이보레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이보레인(B₂H₆)은 붕소와 수소로 이루어진 무색 기체로, 유기 합성, 반도체 제조, 로켓 추진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분자 구조는 D₂h 대칭을 가지며, 두 개의 붕소 원자와 네 개의 말단 수소 원자, 그리고 두 개의 브릿지 수소 원자로 구성된다. 다이보레인은 반응성이 매우 높아 다양한 화학 반응에 참여하며, 특히 하이드로붕소화 반응을 통해 알켄과 반응하여 트라이알킬보레인을 생성한다. 산업적으로는 붕소 삼플루오라이드와 수소화물을 반응시켜 합성하며, 실험실에서는 삼염화 붕소와 수소화 알루미늄 리튬 등을 이용하여 합성한다. 다이보레인은 자연 발화성, 폭발성, 독성을 지니므로 취급에 주의가 필요하며, 안전성을 위해 보란-테트라하이드로푸란 또는 보란-다이메틸설파이드와 같은 첨가물을 사용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레인 - 보레인류
    보레인류는 붕소와 수소의 화합물로, 3중심 2전자 결합과 같은 독특한 화학 구조를 가지며, 유기 합성에서 환원제로 사용되는 다이보레인 등이 있다.
  • 로켓 연료 - 붕소
    붕소는 준금속 원소로 붕사나 붕산염 형태로 존재하며 다이아몬드 다음으로 높은 경도를 지니고, 두 가지 안정 동위원소를 가지며, 높은 중성자 흡수율로 원자력 산업과 암 치료에 사용되고, 다양한 화합물 형태로 여러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며, 식물의 필수 영양소이지만 과량 섭취 시 독성을 나타낸다.
  • 로켓 연료 - 알루미늄
    알루미늄은 은백색의 가볍고 가공성이 뛰어난 금속으로, 열 및 전기 전도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합금 형태로 널리 사용되며, 보크사이트에서 추출되어 재활용 또한 활발히 이루어진다.
  • 달콤한 냄새가 나는 화학 물질 - 클로로포름
    클로로포름은 화학식 CHCl3을 갖는 무색의 휘발성 액체 유기 화합물로, 마취 효과가 있어 과거에 마취제로 사용되었으나 독성 문제로 현재는 냉매 생산, 유기 용매 등으로 사용되며, 발암 가능성과 유독 물질 생성 위험으로 취급에 주의가 필요하고 사용을 줄이는 추세이다.
  • 달콤한 냄새가 나는 화학 물질 - 벤젠
    벤젠은 6개의 탄소 원자가 정육각형으로 배열된 방향족 탄화수소로, 높은 안정성을 가지며 유기 화합물 합성에 중요하게 사용되지만 발암물질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다이보레인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다이보레인 2D 구조
다이보레인 2D 구조
다이보레인 3D 공-막대 모델
다이보레인 3D 공-막대 모델
IUPAC 명칭다이보레인(6)
다른 이름보로에테인
보론화 수소
다이보론 헥사하이드라이드
식별
CAS 등록번호19287-45-7
ChemSpider ID17215804
EINECS242-940-6
RTECSHQ9275000
ChEBI33590
UN 번호1911
UNIIBS9K982N24
PubChem12544638
SMILES[BH2]1[H][BH2][H]1
표준 InChI1S/B2H6/c1-3-2-4-1/h1-2H2
표준 InChIKeyKLDBIFITUCWVCC-UHFFFAOYSA-N
InChI1/B2H6/c1-3-2-4-1/h1-2H2
InChIKeyKLDBIFITUCWVCC-UHFFFAOYAF
속성
분자식B₂H₆
몰 질량27.67 g/mol
외관무색 기체
냄새불쾌하고 달콤한 냄새
밀도1.131 g/L
용해도반응
용해성 (다른 용매)다이글라임
다이에틸 에터
녹는점-164.85 °C
끓는점-92.49 °C
증기압39.5 atm (16.6 °C)
구조
분자 모양텍스트 참조
배위사면체 (붕소)
쌍극자 모멘트0 D
열화학
생성 엔탈피36.4 kJ/mol
엔트로피232.1 J/(mol·K)
열용량56.7 J/(mol·K)
위험성
NFPA 704H: 4
F: 4
R: 3
S: W
자동 점화 온도38 °C
폭발 한계0.8–88%
IDLH15 ppm
PELTWA 0.1 ppm (0.1 mg/m³)
RELTWA 0.1 ppm (0.1 mg/m³)
주요 위험독성
강한 인화성
물과 반응
LC5040 ppm (rat, 4 hr)
29 ppm (mouse, 4 hr)
40–80 ppm (rat, 4 hr)
159–181 ppm (rat, 15 min)
LCLo125 ppm (dog, 2 hr)
50 ppm (hamster, 8 hr)
신호어위험
외부 SDSICSC 0432
관련 화합물
관련 화합물데카보레인
BF₃

2. 구조와 결합

다이보레인(B2H6)은 두 개의 붕소(B) 원자와 여섯 개의 수소(H) 원자로 구성된 화합물이다. 분자 구조는 D2h 대칭성을 특징으로 한다.

분자 내에는 두 종류의 수소 원자가 존재한다. 네 개의 수소 원자는 각 붕소 원자에 직접 결합하여 말단 수소(terminal hydrogen)를 이루고, 나머지 두 개의 수소 원자는 두 붕소 원자 사이를 연결하는 다리 수소(bridging hydrogen) 역할을 한다.

붕소 원자와 말단 수소 원자 사이의 결합은 일반적인 2중심 2전자 공유 결합이다. 반면, 두 붕소 원자와 이를 연결하는 다리 수소 원자 사이에는 전자가 부족한 붕소의 특성으로 인해 형성되는 독특한 3중심 2전자 결합이 존재한다. 이러한 결합 방식은 다이보레인 및 관련 보란 화합물의 중요한 구조적 특징이다.

기하학적으로 볼 때, 네 개의 말단 수소 원자와 두 개의 붕소 원자는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한다. 그러나 두 개의 다리 수소 원자는 이 평면을 기준으로 각각 위쪽과 아래쪽에 자리 잡고 있다.

2. 1. 3중심 2전자 결합

다이보레인의 구조는 D2h 대칭성을 가지며, 네 개의 수소 원자는 분자 끝부분(말단)에 위치하고, 나머지 두 개의 수소 원자는 두 붕소 원자 사이를 연결하는 다리(브릿지) 역할을 한다. 말단 수소와 붕소 사이의 결합 길이(B–Hterminal)는 1.19 Å인 반면, 다리 수소와 붕소 사이의 결합 길이(B–Hbridge)는 1.33 Å이다. 이러한 길이 차이는 결합 강도의 차이를 나타내는데, 다리 결합이 말단 결합보다 상대적으로 약하다. 이 약점은 적외선 스펙트럼에서도 확인되며, 다리 결합과 말단 결합은 각각 약 2100 cm−1와 2500 cm−1에서 진동 신호를 보인다.[7]

분자 궤도 이론에 따르면, 붕소와 말단 수소 원자 사이의 결합은 일반적인 2중심 2전자 공유 결합이다. 그러나 붕소 원자와 다리 수소 원자 사이의 결합은 탄화수소 등에서 볼 수 있는 일반적인 결합과는 다르다. 각 붕소 원자는 말단 수소 원자와의 결합에 두 개의 전자를 사용하고, 남은 하나의 원자가 전자를 가진다. 다리 역할을 하는 두 개의 수소 원자는 각각 하나의 전자를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B2H2 고리는 총 네 개의 전자를 사용하여 두 개의 3중심 2전자 결합을 형성하며 유지된다. 즉, 두 개의 붕소 원자와 하나의 다리 수소 원자가 두 개의 전자를 공유하는 형태이다. 이런 형태의 결합은 마치 구부러진 모양과 같다고 하여 "바나나 결합"이라고도 불린다.

다이보레인 분자에서 말단 수소 원자 네 개와 붕소 원자 두 개는 같은 평면 위에 존재하지만, 다리 역할을 하는 두 개의 수소 원자는 이 평면의 위와 아래에 각각 위치한다.

다이보레인(B2H6)은 평면 구조의 에틸렌(C2H4)이 이중 양성자화되어 생성될 수 있는 가상의 이온 C2H62+와 등전자체 관계이다.[8] 다이보레인은 이러한 특이한 3중심 2전자 결합을 가진 여러 화합물 중 하나이다.[9] IIIA족의 다른 원소 중 갈륨(Ga)은 유사한 구조의 다이갈레인(Ga2H6)을 형성하며, 알루미늄(Al)은 중합체 형태의 ((AlH3)''n'')을 만든다. 불안정하지만 Al2H6도 고체 수소 내에서 분리되었으며, 다이보레인과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10]

2. 2. 결합 길이 및 세기

다이보레인의 구조는 D2h 대칭을 가진다. 분자 내에는 두 종류의 수소 원자가 존재하는데, 4개는 각 붕소 원자에 직접 결합한 말단(terminal) 수소이고, 나머지 2개는 두 붕소 원자 사이를 연결하는 다리(bridge) 수소이다. 말단 수소 원자 4개와 붕소 원자 2개는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지만, 다리 수소 원자 2개는 이 평면의 위아래에 놓여 있다.

결합 길이를 살펴보면, 다리 역할을 하는 B–Hbridge 결합 길이는 1.33 Å이고, 말단에 위치한 B–Hterminal 결합 길이는 1.19 Å이다. 결합 길이는 결합 세기와 관련이 있는데, 더 긴 B–Hbridge 결합이 상대적으로 약하다. 이러한 결합 세기의 차이는 적외선 스펙트럼에서도 확인된다. B–Hterminal 결합은 약 2500 cm−1에서 강한 진동 신호를 보이지만, 약한 B–Hbridge 결합은 약 2100 cm−1에서 진동 신호를 나타낸다.[7]

분자 궤도 이론으로 다이보레인의 결합을 설명하면, 붕소와 말단 수소 원자 사이의 결합은 일반적인 2중심 2전자 공유 결합이다. 하지만 붕소 원자와 다리 수소 원자 사이의 결합은 독특하다. 각 붕소 원자는 말단 수소와 결합하는 데 2개의 원자가 전자를 사용하고 나면 1개의 원자가 전자가 남는다. 두 개의 다리 수소 원자는 각각 1개의 전자를 제공한다. 이렇게 모인 총 4개의 전자(붕소 원자에서 각 1개씩, 다리 수소 원자에서 각 1개씩)는 두 개의 붕소 원자와 하나의 다리 수소 원자가 공유하는 3중심 2전자 결합 두 개를 형성하여 B2H2 고리 구조를 유지한다. 이 결합은 붕소 원자의 빈 오비탈을 활용하며, 그 모양 때문에 "바나나 결합"이라고도 불린다.

3. 성질

다이보레인은 상온에서 무색의 기체 상태로 존재하며, 불쾌하면서도 약간 단 냄새를 가진다. 반응성이 매우 높고 다재다능한 시약이다.[16]

3. 1. 반응성

122px


다이보레인은 반응성이 매우 높고 다재다능한 시약이다.[16]

발화성 물질인 다이보레인은 발열 반응을 통해 산소와 반응하여 삼산화 붕소(B2O3)와 물(H2O)을 생성한다. 산소 및 수분을 차단한 상태에서는 25°C에서 안정하지만, 습기 있는 공기 중에서는 저온에서도 자연 발화한다.

: 2 B2H6 + 6 O2 → 2 B2O3 + 6 H2O (Δ''H''r = −2035 kJ/mol = −73.47 kJ/g)

다이보레인은 과 격렬하게 반응하여 순식간에 가수 분해되며, 수소(H2)와 붕산(B(OH)3 또는 H3BO3)을 생성한다.

: B2H6 + 6 H2O → 2 B(OH)3 + 6 H2 (Δ''H''r = −466 kJ/mol = −16.82 kJ/g)

다이보레인은 알코올과 반응하여 붕산 에스테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메탄올(MeOH 또는 CH3OH)과 반응하면 수소(H2)와 트리메틸보레이트(B(OMe)3) 또는 다이메톡시보레인(HB(OCH3)2)을 생성한다.[17]

: B2H6 + 6 MeOH → 2 B(OMe)3 + 6 H2

: B2H6 + 4 CH3OH → 2 HB(OCH3)2 + 4 H2

다이보레인의 주요 반응 패턴 중 하나는 루이스 염기와의 부가물 형성이다. 종종 이러한 초기 부가물은 빠르게 다른 생성물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다이보레인과 유사하게 작용하는 보란-테트라하이드로푸란은 붕산 에스터로 분해된다. 유기 합성에서 다이메틸 설파이드와의 부가물은 중요한 시약이다. 암모니아와 다이보레인은 반응하여 소량의 암모니아 보란을 부산물로 생성하는 다이암모니아트 다이보레인(DADB)을 형성하며, 그 비율은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공기를 차단하고 100°C로 가열하면 B10H14 등, 보다 고차의 보란류를 생성한다. 에테르 등의 용매 중에서 알켄과 반응시키면, 단량체인 모노보란(BH3)으로 해리되어 알켄에 부 가 반응을 일으키는 하이드로붕소화 반응이 일어난다.

4. 합성

다이보레인(B2H6)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합성될 수 있다. 대부분의 제조 방법은 수소화물 공여체와 붕소 할로겐화물 또는 알콕사이드의 반응을 포함한다.[11] 주요 합성 방법은 크게 산업적 규모의 합성과 실험실 규모의 합성으로 나눌 수 있다. 과거에는 보로수소화물 염과 산의 반응[14] 또는 보로수소화물 염의 산화[13]를 이용한 방법도 사용되었다.

4. 1. 산업적 합성

다이보레인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를 통해 여러 합성 경로가 개발되었으며, 대부분의 제조 방법은 수소화물 공여체와 붕소 할로겐화물 또는 알콕사이드의 반응을 포함한다. 다이보레인의 산업적 합성은 주로 BF3수소화 나트륨(NaH), 수소화 리튬(LiH) 또는 수소화 알루미늄 리튬(LiAlH4)으로 환원시키는 방식을 포함한다.[11]

: 8 BF3 + 6 LiH → B2H6 + 6 LiBF4

이 반응에서 수소화 리튬을 사용할 경우, 반응물 표면에 부동태화된 테트라플루오로붕산 리튬 층이 형성되는 것을 막기 위해 매우 미세한 분말 형태여야 한다. 또한, 반응 초기에 소량의 다이보레인을 첨가하면 보로수소화 리튬이 형성되고, 이것이 다시 BF3와 반응하여 더 많은 다이보레인을 생성하는 자기촉매 반응을 유도할 수도 있다.[12]

4. 2. 실험실 합성

두 가지 주요 실험실 합성 방법은 삼염화 붕소와 수소화 알루미늄 리튬을 반응시키거나, 붕소 삼플루오라이드 에테르 용액과 보로수소화 나트륨을 반응시키는 것이다. 두 방법 모두 최대 30%의 수율을 나타낸다.

: 4 BCl3 + 3 LiAlH4 → 2 B2H6 + 3 LiAlCl4

: 4 BF3 + 3 NaBH4 → 2 B2H6 + 3 NaBF4

과거에는 보로수소화물 염을 인산이나 묽은 황산과 같은 비산화성 산과 직접 반응시켜 합성하기도 했다.

: 2 BH4 + 2 H+ → 2 H2 + B2H6

또한, 보로수소화물 염의 산화 반응도 다이보레인 합성에 이용되며, 소규모 제조에 편리하다. 예를 들어, 요오드를 산화제로 사용하는 반응은 다음과 같다.[13]

: 2 NaBH4 + I2 → 2 NaI + B2H6 + H2

다른 소규모 합성법으로는 보로수소화 칼륨과 인산을 출발 물질로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14] 염화 주석(II)를 보로수소화 나트륨과 함께 가열하면 주석 원소로 환원되면서 다이보레인이 생성되기도 한다.

: SnCl2 + 2NaBH4 → 2NaCl + Sn + B2H6 + H2

5. 반응



다이보레인은 반응성이 매우 높고 다재다능한 시약이다.[16] 발화성 물질인 다이보레인은 산소발열 반응을 통해 삼산화 붕소와 물을 생성한다.

: 2 B2H6 + 6 O2 → 2 B2O3 + 6 H2O (Δ''H''r = −2035 kJ/mol = −73.47 kJ/g)

다이보레인은 , 알코올, 루이스 염기, 알켄 등 다양한 화합물과 반응하며, 이러한 반응들은 각각의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5. 1. 물과의 반응

다이보레인은 과 격렬하게 반응하여 수소붕산을 생성한다. 이 반응은 순식간에 일어나는 가수 분해이다.

화학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 B2H6 + 6 H2O → 2 B(OH)3 + 6 H2 (Δ''H''r = −466 kJ/mol = −16.82 kJ/g)

습기가 있는 공기 중에서는 저온에서도 자연 발화할 수 있다.

5. 2. 알코올과의 반응

다이보레인(B2H6)은 알코올과 반응하여 수소(H2) 가스를 발생시키고 붕산 에스테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메탄올(MeOH)과 반응하는 경우, 반응 조건에 따라 다음과 같은 생성물이 만들어질 수 있다.

완전한 에스터화 반응을 통해 트리메틸보레이트(B(OMe)3)가 생성된다.[17]

: B2H6 + 6 MeOH → 2 B(OMe)3 + 6 H2

또는 부분적인 에스터화 반응을 통해 다이메톡시보레인(HB(OCH3)2)과 같은 다른 붕산 에스테르가 생성될 수도 있다.

: B2H6 + 4 CH3OH → 2 HB(OCH3)2 + 4 H2

이 과정에서 다이보레인의 수소 원자가 알콕사이드 그룹(-OR)으로 치환되며 수소 가스가 방출된다.

5. 3. 루이스 염기와의 반응

다이보레인의 주요 반응 중 하나는 루이스 염기와 반응하여 부가물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렇게 생성된 초기 부가물은 종종 빠르게 다른 생성물로 변하기도 한다.[1] 예를 들어, 다이보레인과 유사하게 작용하는 보란-테트라하이드로푸란 복합체(테트라하이드로푸란은 루이스 염기)는 붕산 에스터로 분해될 수 있다.[1] 유기 합성에서는 다이메틸 설파이드(루이스 염기)와의 부가물이 중요한 시약으로 사용된다.[1]

암모니아(루이스 염기)와 다이보레인이 반응하면 다이암모니아트 다이보레인(DADB)을 형성하며, 반응 조건에 따라 소량의 암모니아 보란이 부산물로 생성될 수 있다.[2]

또한, 에테르(루이스 염기)와 같은 용매 속에서 알켄과 반응시키면, 다이보레인이 단량체인 모노보란으로 해리된 후 알켄에 부가 반응하여 하이드로붕소화 반응이 일어난다.[3]

5. 4. 하이드로붕소화 반응

수소붕소화 반응에서 다이보레인은 알켄과 쉽게 반응하여 트라이알킬보레인을 형성한다. 이 반응은 유기 합성에서 중요한 반응이며, 생성된 알킬 보레이트는 알코올 등으로 쉽게 유도체화될 수 있다.

에테르와 같은 용매 안에서 다이보레인은 단량체인 모노보란으로 해리된 후 알켄에 부가 반응을 일으키는 방식으로 수소붕소화 반응이 진행된다.

초기 수소붕소화 반응 연구에는 다이보레인이 직접 사용되었지만, 위험성 때문에 현재는 더 안전하게 다룰 수 있는 보레인 다이메틸 설파이드로 대체되어 사용되고 있다.

5. 5. 기타 반응

다이보레인은 다양한 화합물과 반응한다.

  • 열분해: 다이보레인을 가열하면 수소와 다양한 붕소 수소화물 클러스터가 생성된다. 예를 들어, 오붕소화물(B5H9)은 약 200°C에서 다이보레인의 열분해를 통해 처음 제조되었다.[18][19] 이 열분해 경로는 현재 거의 사용되지 않지만, 보란 클러스터 화학 연구의 중요한 시작점이 되었다. 공기를 차단하고 100°C로 가열하면 B10H14와 같은 더 복잡한 구조의 보란 화합물이 생성된다.

  • 나트륨 아말감과의 반응: 다이보레인을 나트륨 아말감과 반응시키면 NaBH4와 Na[B3H8]이 생성된다.[17]

  • 수소화물과의 반응: 다이에틸 에테르 용매 안에서 수소화 리튬(LiH)과 반응시키면 붕수소화 리튬(LiBH4)이 형성된다.[17]

:: B2H6 + 2 LiH → 2 LiBH4

  • 할로젠화 수소와의 반응: 건조한 염화 수소(HCl) 기체 또는 브롬화 수소(HBr) 기체와 반응하여 붕소 할로하이드라이드(B2H5X)를 생성한다.[17]

:: B2H6 + HX → B2H5X + H2 (X = Cl, Br)

  • 일산화 탄소와의 반응: 470 K 온도 및 20 bar 압력 조건에서 다이보레인을 일산화 탄소(CO)와 반응시키면 보란 카르보닐(H3BCO)이 생성된다.[17]

  • 물 및 알코올과의 반응: 과 매우 빠르게 반응하여 가수 분해되며, 붕산(B(OH)3)과 수소(H2) 기체를 생성한다.

:: B2H6 + 6 H2O → 2 B(OH)3 + 6 H2

알코올(예: 메탄올 MeOH)과 반응하면 붕산 에스테르(예: B(OMe)3)와 수소를 생성한다.

:: B2H6 + 6 MeOH → 2 B(OMe)3 + 6 H2

메탄올(CH3OH)과 반응하여 HB(OCH3)2와 수소를 생성하는 반응도 있다.

:: B2H6 + 4 CH3OH → 2 HB(OCH3)2 + 4 H2

  • 알켄과의 반응 (하이드로붕소화): 에테르와 같은 용매 속에서 알켄과 반응한다. 이 반응에서 다이보레인은 단량체인 모노보란(BH3)으로 해리된 후 알켄에 부 가 반응을 일으키는데, 이를 하이드로붕소화 반응이라고 한다.

  • 안정성: 산소와 수분을 차단한 상태에서는 25°C에서 안정하지만, 습기가 있는 공기 중에서는 낮은 온도에서도 자연 발화할 수 있다.

6. 용도

다이보레인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는 중요한 화합물이다. 대표적으로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실리콘 웨이퍼에 붕소도핑(첨가)하여 p형 반도체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이 과정은 주로 화학 기상 증착(CVD) 방식을 통해 이루어진다.

또한, 유기 합성 분야에서는 환원제로 사용되며, 중합 반응의 촉매로도 활용될 수 있다. 과거에는 높은 에너지를 내는 특성 때문에 로켓 추진제로 연구되기도 했으나, 실제 사용에는 여러 제약이 따랐다. 이 외에도 다른 보란 화합물을 합성하기 위한 출발 물질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다이보레인은 인화성이 매우 높고 공기 중에서 폭발성을 가지며, 독성 또한 강하여 취급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이러한 위험성 때문에 특정 용도로의 사용이 제한되기도 한다.

6. 1. 유기 합성

다이보레인과 그 변형체는 유기 합성에서 하이드로보레이션(수소붕소화 반응)을 위한 핵심 시약이다.[20] 수소붕소화 반응에서 다이보레인은 알켄과 쉽게 반응하여 트라이알킬보레인을 형성하며, 생성된 알킬 보레이트는 알코올 등으로 쉽게 유도체화될 수 있다. 초기 수소붕소화 연구는 다이보레인을 사용했지만, 현재는 더 안전하게 취급할 수 있는 보레인 다이메틸 설파이드로 대체되었다.

또한 다이보레인은 환원제로 사용되며, 수소화 알루미늄 리튬의 반응성과 대략적으로 상호 보완적인 특성을 보인다. 이 화합물은 카복실산을 해당 알코올로 쉽게 환원시키지만, 케톤과는 반응 속도가 느리다.

6. 2. 반도체 산업

다이보레인은 반도체 재료 기체로서 중요하다. 다이보레인을 사용하면, 반도체 표면에 붕소도핑(첨가)할 수 있다. 실리콘 막 위에 붕소를 도핑하면, 전자가 부족한 영역, 즉 p형 실리콘 막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n형 실리콘 막을 형성하려면 전자가 과잉인 비소를 도핑하면 되므로, 아르신을 사용한다. 단순한 실리콘 박막 형성에는 실란(모노실란)이나 디클로로실란이 적합하다.

다이보레인을 도핑하려면 화학 기상 증착(CVD) 장치 등의 진공 챔버를 사용한다. 수소를 캐리어 (희석 가스)로 한 다이보레인을 통과시키고, 방전을 일으키는 것으로 도핑할 수 있다.

6. 3. 기타 용도

다이보레인은 산소와 반응할 때 많은 열을 내기 때문에 로켓 추진제로 시험되었다.[34] 이론적으로 완전 연소는 매우 강한 발열 반응을 일으키지만, 실제 로켓 엔진에서는 연소가 불완전하게 일어나 일산화 붕소(B2O)와 같은 물질이 생성되기도 한다. 이는 탄화수소가 불완전 연소하여 일산화 탄소(CO)를 만드는 것과 유사하다. 또한 다이보레인은 취급이 어렵고 인화성, 폭발성이 높으며 독성이 강한 물질이라는 안전 문제도 있어 로켓 추진제로는 널리 사용되지 못했다.[35][36][37]

반도체 산업에서는 다이보레인이 중요한 기체 재료로 사용된다. 특히 실리콘 반도체 표면에 붕소도핑(소량 첨가하는 과정)하여 p형 반도체를 만드는 데 사용하기 위해 연구되었다.[39] 도핑 과정은 주로 화학 기상 증착(CVD) 장치와 같은 진공 챔버 안에서 이루어진다. 수소를 운반 기체(캐리어 가스)로 사용하여 다이보레인 가스를 흘려보내고 방전을 일으키는 방식으로 실리콘 막 위에 붕소를 첨가한다.

이 외에도 다이보레인은 금속 붕소 필름을 만드는 전구체[38]중합 반응의 촉매, 환원제 등으로도 사용된다. 다른 보레인 화합물을 합성하는 재료로 쓰이기도 한다.

7. 역사

다이보레인은 19세기 금속 붕소화물을 가수분해하는 과정에서 처음 합성되었으나, 당시에는 그 구조나 성질이 자세히 분석되지 않았다. 붕소 수소화물 화학 연구의 선구자인 알프레드 스톡은 1912년부터 1936년까지 이 화합물들을 연구하며 다이보레인이 에테인과 유사한 구조를 가질 것이라고 처음으로 제안했다.[47][21] S. H. 바우어(S. H. Bauer)가 수행한 전자 회절 측정 결과는 초기에는 스톡이 제안한 구조를 지지하는 것처럼 보였다.[48][49][22][23]

그러나 다이보레인의 구조에 대한 논의는 계속되었다. 라이너스 폴링과 같은 일부 저명한 화학자들은 에테인과 유사한 구조를 지지했으며, 이로 인해 헤르만 어빙 슐레진저와 A. B. 버그(A. B. Burg)는 1940년대 초반에 발표한 중요한 리뷰 논문에서 3중심 2전자 결합의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다루지는 않았다.[24]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이 리뷰에서 다리걸친 형태의 D2h 대칭 구조에 대해 "이 구조가 다이보레인의 많은 화학적 특성을 쉽게 설명할 수 있다"고 언급하며 그 가능성을 열어두었다.[24]

결정적인 이론적 설명은 1943년 H. 크리스토퍼 롱게-히긴스가 옥스퍼드 대학교 학부생 시절에 제시했다. 그는 지도교수 R. P. 벨과 함께 발표한 논문에서 붕소 수소화물의 구조와 결합, 특히 3중심 2전자 결합의 개념을 명확하게 설명했다.[25][26] 이 이론은 이후 프라이스(W. C. Price)가 수행한 다이보레인의 적외선 분광 연구를 통해 실험적으로 확인되었다.[27] 1951년에는 K. 헤드버그(K. Hedberg)와 V. 쇼메이커(V. Schomaker)의 전자 회절 측정을 통해 다리걸친 구조가 다시 한번 확인되었다.[28]

윌리엄 넌 립스콤 주니어는 1950년대에 X선 결정학 기술을 이용하여 붕소 화합물들의 분자 구조를 더욱 정밀하게 밝혀냈고, 이들의 독특한 화학 결합을 설명하는 이론을 발전시켰다. 그는 이후 탄소와 붕소가 포함된 카보레인(carborane) 화합물 연구에도 기여했으며, 그의 제자 중에는 1981년 노벨상 수상자인 로알드 호프만도 있다. 립스콤은 "붕소 화합물의 구조 연구를 통해 화학 결합의 문제점을 밝힌 공로"를 인정받아 1976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29]

전통적으로 다이보레인은 분자를 구성하는 8개의 원자를 모두 연결하기에는 원자가 전자가 12개밖에 없어 부족하다고 여겨져 '전자 부족' 화합물로 묘사되어 왔다.[30][31] 하지만 3중심 2전자 결합을 포함하는 현대적인 결합 이론에 따르면, 다이보레인은 실제로는 6개의 결합 분자 궤도를 모두 채울 만큼의 전자를 가지고 있으므로 '전자 정밀' 화합물로 보는 것이 더 정확하다.[32]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주요 교과서에서는 여전히 '전자 부족'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33]

8. 안전성

다이보레인은 공기 중에서 스스로 불이 붙는 자연 발화성을 지닌 기체이며, 독성 또한 강한 위험 물질이다.[40] 공기 중에서 불안정하여 분해되기 쉬우며, 이 과정에서 폭발 위험이 있는 물질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위험성 때문에 대한민국에서는 관련 법규[40]를 통해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으며, 인체 노출 허용 기준치도 설정되어 있다. 흡입 시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40] 따라서 산업 현장, 특히 유기화학 분야에서는 다이보레인 대신 상대적으로 안전한 첨가물 형태의 화합물을 사용하기도 한다.[16]

8. 1. 위험성

다이보레인은 자연발화점이 38°C ~ 52°C로 낮고, 공기 중 폭발 범위가 0.8 ~ 98%로 매우 넓은 자연 발화성 기체이다.[40] 공기 중에서 매우 불안정하며, 분해 시 붕산과 폭발성이 높은 수소를 생성하기 쉽다. 이러한 위험성 때문에 대한민국의 고압가스 안전 관리법에서는 다이보레인을 모노실란, 아르신과 함께 "그 소비에 있어 재해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특별한 주의를 요하는 것으로 정령으로 정하는 종류"로 지정하고 있다.

다이보레인의 독성은 실험 쥐를 대상으로 연구된 바 있다.[40] 1일 8시간 작업 기준 허용 농도(TLV-TWA, 시간 가중 평균 허용 농도)는 0.1 ppm이다. 흡입 시 기침, 숨 가쁨, 탈력감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참고로 아르신의 허용 농도는 0.005 ppm이다.

이러한 위험성 때문에 상업적으로는, 특히 유기 화학 분야에서, 첨가물 형태인 보란-테트라하이드로푸란(보란-THF)이나 보란-다이메틸설파이드가 대신 사용되기도 한다.[16]

8. 2. 취급 시 주의사항

다이보레인은 자연 발화성 기체이며, 공기 중에서 매우 불안정하다.[16][40] 자연발화점은 38°C에서 52°C 사이로 낮고, 폭발 범위는 0.8%에서 98%로 매우 넓다. 분해될 경우 붕산과 폭발성이 높은 수소를 생성할 수 있어 취급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위험성 때문에 대한민국 고압가스 안전 관리법에서는 다이보레인을 모노실란, 아르신과 함께 "그 소비에 있어 재해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특별한 주의를 요하는 것으로 정령으로 정하는 종류"로 지정하여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다.

다이보레인의 1일 8시간 작업 기준 허용 농도는 0.1 ppm이다. 이는 TLV-TWA(시간 가중 평균 허용 농도) 기준이다. 다이보레인을 흡입하면 기침이나 숨 가쁨을 느끼고, 탈력감을 경험할 수 있다. 참고로 함께 규제되는 아르신의 허용 농도는 0.005 ppm으로 훨씬 낮다.

8. 3. 대체 물질

다이보레인은 자연적으로 불이 붙기 쉬운 기체이다. 이러한 위험성 때문에, 특히 유기화학 분야에서는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며 더 안전하게 다룰 수 있는 첨가물을 대신 사용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대체 물질로는 보란-테트라하이드로푸란(보란-THF)과 보란-다이메틸설파이드가 있다.[16]

참조

[1] 간행물 Haynes, p. 4.52.
[2] 논문 Solubility of Diborane in the Dimethyl Ether and Diethylene Glycol, in Mixtures of Sodium Borohydride and Dimethyl Ether of Diethylene Glycol, and in Ditertiary Butyl Sulfide. 1962-07
[3] 간행물 Haynes, p. 5.6.
[4] 웹사이트 DIBORANE – CAMEO Chemicals - Chemical Datasheet - Database of Hazardous Materials – NOAA https://cameochemica[...] 2022-10-26
[5] 문서 PGCH
[6] 문서 IDLH
[7] 서적 Transition Metal Hydrides
[8] 논문 Comparative ab initio Study of the Structures and Stabilities of the Ethane Dication C2H62+ and Its Silicon Analogues Si2H62+ and CSiH62+
[9] 논문 A Diborane Story
[10] 논문 The Infrared Spectrum of Al2H6 in Solid Hydrogen
[11] 서적 Handbook of Preparative Inorganic Chemistry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1963
[12] 서적 The Green Flame
[13] 문서 Boron hydrides, heteroboranes, and their metalla derivatives
[14] 서적 Diborane
[15] 논문 Utility and Applications of Borane Dimethylsulfide in Organic Synthesis. A Review
[16] 논문 The Chemistry of Diborane
[17] 서적 Inorganic Chemistry https://archive.org/[...] Pearson
[18] 서적 The Hydrides of Boron and Silicon Cornell University Press
[19] 서적 Pentaborane(9) (B5H9)
[20] 논문 Reduction of organic compounds with diborane
[21] 서적 The Hydrides of Boron and Silicon Cornell University Press
[22] 논문 The Structure of Diborane
[23] 논문 Structures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Hydrides of Boron and of their Derivatives
[24] 논문 Recent Developments in the Chemistry of the Boron Hydrides
[25] 논문 64. The Structure of the Boron Hydrides
[26] 논문 Über die Konstitution des Wassers
[27] 논문 The absorption spectrum of diborane
[28] 논문 A Reinvestigation of the Structures of Diborane and Ethane by Electron Diffraction
[29]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Chemistry 1976 http://nobelprize.or[...] Nobelprize.org 2012-02-01
[30] 논문 The structures of electron-deficient molecules https://pubs.rsc.org[...] 2020-07-15
[31] 서적 Valence theory John Wiley and Sons 1965
[32] 웹사이트 The Boranes and their relatives (Nobel lecture) https://www.nobelpri[...] Nobel Foundation 2020-07-16
[33] 서적 Inorganic Chemistry Pearson Prentice-Hall 2005
[34] 웹사이트 Stages to Saturn http://www.history.n[...] NASA Public Affairs Office 2015-11-14
[35] 서적 A preliminary experimental and analytical evaluation of diborane as a ram-jet fuel https://ntrs.nasa.go[...] National Advisory Committee for Aeronautics
[36] 서적 Theoretical Combustion Performance of Several High-Energy Fuels for Ramjet Engines http://naca.central.[...] National Advisory Committee for Aeronautics
[37] 웹사이트 LIQUID HYDROGEN AS A PROPULSION FUEL, 1945–1959. Part II: 1950–1957. Chapter 5. NACA Research on High-Energy Propellants https://history.nasa[...]
[38] 간행물
[39] 논문 A Kinetic Model for Boron and Phosphorus Doping in Silicon Epitaxy by CVD
[40] 논문 Evaluation of the Subacute Pulmonary and Testicular Inhalation Toxicity of Diborane in Rats
[41] 웹사이트 CDC - DIBORANE - International Chemical Safety Cards - NIOSH https://www.cdc.gov/[...] 2018-10-07
[42] 문서 Haynes, p. 4.52
[43] 문서 Haynes, p. 5.6
[44] 웹인용 CDC - DIBORANE - International Chemical Safety Cards - NIOSH https://www.cdc.gov/[...] 2018-10-07
[45] 문서 0183
[46] 문서 Diborane
[47] 서적 The Hydrides of Boron and Silicon Cornell University Press
[48] 저널 The Structure of Diborane
[49] 저널 Structures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Hydrides of Boron and of their Derivativ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