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단면은 고체와 평면이 교차할 때 생기는 고체의 공통 영역을 의미하며, 수학에서는 입체와 평면이 교차하여 생기는 면으로 정의된다. 단면의 모양은 절단 평면의 방향에 따라 달라지며, 다면체의 단면은 다각형이 될 수 있다. 물체의 내부를 표현하는 단면도는 제도에서 자주 사용되며, 횡단면, 종단면 등을 나타낸다. 평면과 표면의 교차 곡선인 평면 절단은 단면의 경계이며, 레벨 곡선 또는 등고선과 관련된다. 단면은 과학, 공학, 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면적 및 부피 계산에도 사용된다.
고체(3차원 물체)와 평면이 교차할 때, 평면과 고체의 공통 영역을 고체의 '''단면'''이라고 한다.[1] 이때 단면을 포함하는 평면을 '절단 평면'이라고 부를 수 있다. 단면의 모양은 절단 평면이 고체에 대해 어떤 방향을 가지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공의 모든 단면은 원반이지만,[2] 정육면체의 단면은 절단 평면과 정육면체의 관계에 따라 정사각형, 점, 삼각형, 육각형 등이 될 수 있다.
다면체의 단면은 다각형이다.
두 개의 임의 변수의 확률 밀도 함수의 단면은 절단면이 변수 중 하나의 고정된 값에 있을 때 다른 변수의 조건부 밀도 함수가 된다(절단면을 정의하는 고정된 값을 조건으로). 반대로 밀도의 고정된 값에 대해 단면을 취하면 등밀도 등고선이 된다. 정규 분포의 경우 이러한 등고선은 타원이다.
2. 정의 및 관련 개념
다면체의 단면은 다각형이다. 원뿔 곡선 (원, 타원, 포물선, 쌍곡선)은 원뿔을 다양한 각도로 잘랐을 때 나타나는 평면 절단면이다. 타원체의 중심을 지나는 단면은 타원 영역을 형성하며, 해당 평면 절단면은 타원이다. 절단면이 대칭축에 수직이면 각각 원반과 원이 된다. 일반적으로 이차 곡면의 평면 절단면은 원뿔 곡선이다.[5]
thumb
원기둥의 단면은 밑면에 평행하면 원반이고, 평행하거나 수직이 아니면 타원 영역이다(오른쪽 그림 참조). 절단면이 밑면에 수직이면 직사각형이 되거나, 원통에 접하는 경우 단일 선분이 된다. 원통의 측면을 의미하는 경우( 원통 (기하학) 참조), 평면 절단면은 절단면이 원통의 대칭축에 수직이면 원, 평행하거나 수직이 아니면 타원이다. 절단면이 축에 평행하면 한 쌍의 평행 선분(절단면이 원통에 접하는 경우 단일 선분)으로 구성된다.[6]
함수의 편미분을 시각화할 때 평면 절단면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서 를 상수로 고정하고 의 평면 절단면을 취하면 의 등고선을 에 대해서만 플롯할 수 있다. 이때 에 대한 편미분은 결과 2차원 그래프의 기울기가 된다.
차원 공간에 있는 차원 물체의 단면은 물체와 초평면( 차원 부분 공간)의 교차 부분(비어있지 않은)이다. 이 개념은 고차원 공간의 측면을 시각화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7] 예를 들어 4차원 물체가 3차원 공간을 통과하면, 4차원 물체의 3차원 단면을 보게 된다. 특히 3차원을 통과하는 4-공(초구)은 3-공으로 나타나며, 전이 동안 최대 크기까지 증가했다가 감소한다.
수학에서 입체와 평면이 교차하여 생기는 면을 단면이라 정의하며, 단면의 면적을 '''단면적'''이라고 부른다. 횡단 방향으로 절단한 것은 '''단면'''이라고 한다. 물체의 단면을 나타낸 그림을 '''단면도'''라고 하며, 횡단면도는 횡단도, 종단면도는 종단도라고 부른다. 단면도는 물체 내부를 표현하는 데 자주 사용되며, 제도에서는 전통적으로 단면 부분에 사선(크로스 해칭)을 그린다.
2. 1. 평면 절단
평면 절단은 평면과 표면의 교차 곡선이다.[3] 따라서 평면 절단은 절단 평면에서 입체의 단면의 경계이다.
3차원 공간의 표면이 두 변수의 함수, 즉 z|z영어 = f(x, y)|f(x, y)영어로 정의된 경우, 좌표 평면에 평행한 절단 평면(두 좌표 축에 의해 결정된 평면)에 의한 평면 절단은 레벨 곡선 또는 등고선이라고 한다.[4] 더 구체적으로, z|z영어 = k|k영어 형식의 방정식을 가진 절단 평면(xy|xy영어-평면에 평행한 평면)은 응용 분야에서 종종 등고선이라고 불리는 평면 절단을 생성한다.
3. 수학적 예시
원뿔 곡선 (원, 타원, 포물선, 쌍곡선)은 원뿔의 평면 절단면이다.[5]
타원체의 중심을 통과하는 모든 단면은 타원 영역을 형성하는 반면, 해당 평면 절단면은 그 표면의 타원이다. 절단면이 대칭 축에 수직일 때 각각 원반과 원으로 축소된다. 더 일반적으로 이차 곡면의 평면 절단면은 원뿔 곡선이다.[5]
thumb
두 밑면 사이에 연장된 고체 직원기둥의 단면은 단면이 원기둥의 밑면에 평행하면 원반이고, 밑면에 평행하거나 수직하지 않으면 타원 영역이다. 절단면이 밑면에 수직이면, 원통에 단순히 접선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직사각형으로 구성되며, 이 경우에는 단일 선분이다.[6]
원통이라는 용어는 고체 원통의 측면 (원통 (기하학) 참조)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 의미로 원통을 사용하는 경우, 유한 길이의 직원기둥의 평면 절단면은 절단면이 원통의 대칭 축에 수직인 경우 원이고, 그 축에 평행하거나 수직하지 않으면 타원이다. 절단면이 축에 평행하면 평면 절단면은 절단면이 원통에 접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한 쌍의 평행 선분으로 구성되며, 이 경우 평면 절단면은 단일 선분이다.
4. 여러 분야에서의 활용
경제학에서 생산 함수는 일반적으로 노동과 물적 자본인 다양한 투입량에 의해 생산될 수 있는 산출량을 지정한다. 기업 또는 사회의 생산 함수는 3차원 공간에 플롯될 수 있다. 평행한 단면을 취하면 결과는 평면 단면의 높이로 주어진 산출량 수준을 초래하는 다양한 노동 및 자본 사용 조합을 보여주는 등량곡선이 된다. 또는 생산 함수의 단면을 고정된 수준에서, 즉 평면에 평행하게 취하면, 다른 투입량의 고정된 값과 결합된 하나의 투입량의 다양한 사용 값 각각에서 얼마나 많은 산출량을 생산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2차원 그래프가 된다.
또한 경제학에서 기수적 또는 서수적 효용 함수는 두 상품의 양을 소비함으로써 얻는 소비자의 만족도를 제공한다. 주어진 높이(효용 수준)에서 효용 함수의 단면을 취하면 2차원 결과는 두 상품의 소비량의 다양한 대체 조합을 보여주는 무차별 곡선이 되며, 이 모두는 지정된 수준의 효용을 제공한다.
지질학에서, 행성의 내부 구조는 지구 단면도와 같이 행성 중심을 통과하는 행성의 단면도를 사용하여 설명된다.
해부학에서 단면은 장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
나무 줄기의 단면은 나무의 나이와 환경의 시간적 특성을 파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나이테를 보여준다.
4. 1. 과학
두 개의 임의 변수의 확률 밀도 함수의 단면은 절단면이 변수 중 하나의 고정된 값에 있을 때 다른 변수의 조건부 밀도 함수가 된다(절단면을 정의하는 고정된 값을 조건으로). 반대로 밀도의 고정된 값에 대해 단면을 취하면 등밀도 등고선이 된다. 정규 분포의 경우 이러한 등고선은 타원이다.
지질학에서, 행성의 내부 구조는 지구 단면도(오른쪽 그림)와 같이 행성 중심을 통과하는 행성의 단면도를 사용하여 설명된다.
해부학에서 단면은 장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왼쪽 그림).
나무 줄기의 단면은 나무의 나이와 환경의 시간적 특성을 파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나이테를 보여준다(왼쪽 그림).
4. 2. 공학
재료역학이나 구조역학에서는 하중을 받는 보 부재의 변형(굽힘이나 비틀림 등)을 간결하게 나타내기 위해, 단면적 외에도 단면에 관한 다양한 양이 정의되어 있다.
"정규 단면"은 하천 횡단면의 개수 계획용 횡단면 형상 등[8], 하천이나 도로 등의 공사에서 특정 구간에 걸쳐 성토 또는 절토를 할 때 해당 횡단면의 표준 형상이다. 하천 제방의 정규 단면에 대해서는 "하천 관리 시설 등 구조령"에 제방 정점부의 평탄부인 천단 폭과 법면의 경사 등이 규정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하천별 또는 하천 구간별로 정규 단면이 정해진다. 일반적으로 법면의 경사는 2할로 하며, 하도는 중앙에 고정되어 계획이 수립된다[9].
4. 3. 경제학
경제학에서 생산 함수 ''f''(''x'', ''y'')는 일반적으로 노동과 물적 자본인 다양한 투입량 ''x''와 ''y''에 의해 생산될 수 있는 산출량을 지정한다. 기업 또는 사회의 생산 함수는 3차원 공간에 플롯될 수 있다. ''xy''-평행한 단면을 취하면 결과는 평면 단면의 높이로 주어진 산출량 수준을 초래하는 다양한 노동 및 자본 사용 조합을 보여주는 등량곡선이 된다. 또는 생산 함수의 단면을 ''y''의 고정된 수준에서, 즉 ''xz''-평면에 평행하게 취하면, 다른 투입량 ''y''의 고정된 값과 결합된 하나의 투입량 ''x''의 다양한 사용 값 각각에서 얼마나 많은 산출량을 생산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2차원 그래프가 된다.
또한 경제학에서 기수적 또는 서수적 효용 함수 ''u''(''w'', ''v'')는 두 상품의 양 ''w''와 ''v''를 소비함으로써 얻는 소비자의 만족도를 제공한다. 주어진 높이(효용 수준)에서 효용 함수의 단면을 취하면 2차원 결과는 두 상품의 소비량 ''w''와 ''v''의 다양한 대체 조합을 보여주는 무차별 곡선이 되며, 이 모두는 지정된 수준의 효용을 제공한다.
4. 4. 기타
두 개의 임의 변수의 확률 밀도 함수의 단면은 절단면이 변수 중 하나의 고정된 값에 있을 때 다른 변수의 조건부 밀도 함수가 된다(절단면을 정의하는 고정된 값을 조건으로). 반대로 밀도의 고정된 값에 대해 단면을 취하면 등밀도 등고선이 된다. 정규 분포의 경우 이러한 등고선은 타원이다.
경제학에서 생산 함수는 일반적으로 노동과 물적 자본인 다양한 투입량에 의해 생산될 수 있는 산출량을 지정한다. 기업 또는 사회의 생산 함수는 3차원 공간에 플롯될 수 있다. 평행한 단면을 취하면 결과는 평면 단면의 높이로 주어진 산출량 수준을 초래하는 다양한 노동 및 자본 사용 조합을 보여주는 등량곡선이 된다. 또는 생산 함수의 단면을 고정된 수준에서, 즉 평면에 평행하게 취하면, 다른 투입량의 고정된 값과 결합된 하나의 투입량의 다양한 사용 값 각각에서 얼마나 많은 산출량을 생산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2차원 그래프가 된다.
또한 경제학에서 기수적 또는 서수적 효용 함수는 두 상품의 양을 소비함으로써 얻는 소비자의 만족도를 제공한다. 주어진 높이(효용 수준)에서 효용 함수의 단면을 취하면 2차원 결과는 두 상품의 소비량의 다양한 대체 조합을 보여주는 무차별 곡선이 되며, 이 모두는 지정된 수준의 효용을 제공한다.
5. 면적 및 부피
카발리에리의 원리에 따르면, 면적이 같은 상응하는 단면을 가진 입체는 부피가 같다.
특정 각도에서 관찰했을 때 물체의 단면적()은 해당 각도에서 물체의 정사영의 총 면적이다. 예를 들어, 높이 ''h''와 반지름 ''r''인 원통은 중심축을 따라 보면 이고, 직교 방향에서 보면 이다. 반지름 ''r''인 구는 어떤 각도에서 보아도 이다. 더 일반적으로, 는 다음 면적분을 평가하여 계산할 수 있다.
:
여기서 는 시청자를 향하는 시선 방향을 따라 가리키는 단위 벡터이고, 는 바깥쪽을 가리키는 법선을 가진 면적 요소이며, 적분은 시청자의 관점에서 "보이는" 표면의 가장 윗부분인 표면의 맨 위에 대해서만 수행된다. 볼록 집합의 경우, 시청자의 관점에서 물체를 통과하는 각 광선은 단 두 개의 표면을 교차한다. 이러한 물체의 경우, 피적분 함수의 절댓값을 취하고 (그래서 물체의 "상단"과 "하단"이 발산 정리가 상수 벡터장 에 적용된 것처럼 서로 빼지 않도록) 2로 나누어 전체 표면()에 대해 적분을 수행할 수 있다.
:
참조
[1]
서적
[2]
문서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문서
[7]
서적
[8]
웹사이트
河川用語解説集
https://www.kkr.mlit[...]
円山川流域委員会庶務
[9]
웹사이트
"「河川について」"
https://www.bridge-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