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당시선》은 명나라의 이반룡이 편찬한 당나라 시 선집으로, 성당 시기의 시를 중심으로 수록하였다. 청나라 시대에 이반룡의 위작 논란이 제기되었으나, 현재까지도 위작설이 유력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 책은 두보, 이백, 왕유 등의 작품을 다수 수록하고 있으며, 일본에서 널리 읽히는 등 동아시아 시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나라의 문학 - 영락대전
영락대전은 명나라 영락제의 명으로 편찬된 방대한 백과사전으로, 경사자집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의 서적을 운자 순서에 따라 배열한 것이 특징이며, 대부분 소실되어 현재는 약 400권 정도만 남아 세계 각지에 분산되어 있다. - 명나라의 문학 - 본초강목
본초강목은 리시진이 30년 이상 연구하여 1596년에 출판한 중국의 물질 의학 서적으로, 1,892종의 약재와 11,096종의 처방을 수록하며 약학, 생물학, 지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책 - 실천론
실천론은 마오쩌둥이 발표한 논문으로, 실천을 통해 지식이 형성되고 검증되며, 변증법적 유물론이 지식을 얻는 적절한 철학이라고 주장한다. - 중국의 책 - 모순론
마오쩌둥의 저서 모순론은 마르크스주의 변증법적 유물론에 근거하여 사회 및 자연 현상의 발전 원동력인 모순을 분석하고, 모순의 보편성과 특수성, 주요 모순과 비주요 모순, 모순의 두 측면 간의 동일성과 투쟁을 논하며, 사회 변혁의 방향을 제시하고 중국 사회주의 건설에 이념적 기반을 제공했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당시선 | |
---|---|
당시선 | |
![]() | |
개요 | |
저자 | 왕안석 |
유형 | 시집 |
시대 | 청나라 |
설명 | 명나라 이반룡이 편찬한 《당시선》을 형방이 수정한 것임. 강희제 때 간행됨. 총 7권으로 구성됨. 권1: 오언고시 권2: 칠언고시 권3: 오언율시 권4: 칠언율시 권5: 오언절구 권6: 칠언절구 권7: 가선 |
상세 내용 | |
수록 시인 | 두보 이백 왕유 맹호연 고적 최호 왕창령 이가은 조서 전기 위응물 류종원 백거이 두목 이상은 한악 사공도 |
관련 항목 | |
관련 항목 | 삼백수 천가시 |
2. 당시선(唐詩選)의 편찬 배경과 위작 논란
이반룡은 송나라 시가 주류를 이루던 당시 문단에서 왕세정 등과 함께 고문사파 후칠자로 활동하며, 성당 시대의 시를 모범으로 삼는 복고주의 문학을 주도했다. 《당시선》은 이러한 이반룡의 문학적 관점을 반영하여 두보, 이백, 왕유 등 성당 시기의 시를 중심으로 편찬되었고, 중·만당의 시는 경시되어 한유는 1수만 수록되었고 두목, 백거이는 채록되지 않았다.[1]
《당시선》은 이반룡 사후 명나라 말에 간행되어 청나라 초까지 향교 초학자들의 교재로 널리 읽혔다.[1] 일본 전래 시기는 불분명하지만, 오래전부터 전래된 것으로 추정된다.[1] 오규 소라이가 명나라 고문사파를 중시하여 《당시선》을 높이 평가했기 때문에 일본에서 크게 유행했고, 소라이의 제자 핫토리 난카쿠가 교정한 《당시선》은 판을 거듭하며 널리 읽혔다.[1]
2. 1. 위작 논란
청나라 시대에 편찬된 《사고전서총목제요》에서는 《당시선》이 이반룡의 이름을 도용한 위작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 시장 상인이 이반룡의 명성을 이용하여 《고금시산》의 당나라 부분을 발췌하고, 이반룡의 유고인 《선당시서》를 《당시선서》로 개작하여 서문으로 삼았다는 것이다.[1] 이러한 위작설은 일본에도 전해져 《당시선》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으나, 1932년 히라노 히코지로가 《사고전서총목제요》의 주장을 반박하고 이반룡의 진작임을 주장하는 논문을 발표하기도 했다.[1] 그러나 현재까지도 위작설이 유력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1]3. 당시선(唐詩選)의 구성 및 특징
《당시선》은 오언고시 14수, 칠언고시 32수, 오언율시 67수, 오언 배율 40수, 칠언율시 73수, 오언절구 74수, 칠언절구 165수 등 총 465수의 시를 수록하고 있다.[1] 이반룡은 왕세정과 함께 고문사파의 후칠자로, 성당(盛唐) 시기의 시를 규범으로 삼는 의고주의적 문학을 추진하여, 두보, 이백, 왕유 등의 시가 많이 채택된 반면, 중당(中唐) 및 만당(晩唐) 시는 경시되어 한유가 1수, 두목이나 백거이는 채록되지 않는 등, 그 시의 선택은 편향되어 있다.[1]
일본에서는 『당시삼백수』와 함께 널리 읽혔으며, 특히 에도 시대에는 『논어』나 『십팔사략』과 더불어 널리 읽혔다.[1] 오규 소라이가 명나라의 고문사파를 중시하여 『당시선』을 높이 평가했기 때문에 대유행했고, 소라이의 제자 핫토리 난카쿠가 새롭게 교정을 가한 『당시선』은 판을 거듭하여 베스트셀러가 되었다.[1]
그러나 중국 본토에서는 청나라 시대에 들어 명나라 시대의 문학관이 비판받게 되면서, 當時選중국어의 평가는 하락했다. 게다가 『사고전서총목제요』에서 當時選중국어이 이반룡의 편찬이 아니라, 민간 출판업자에 의한 위작이라는 설이 제시되면서 더욱 외면받게 되었다.[1]
3. 1. 수록 시인 및 작품 경향
當時選중국어은 이반룡이 편찬한 것으로 알려진 당나라 시 선집이다. 오언고시, 칠언고시, 오언율시, 오언배율, 칠언율시, 오언절구, 칠언절구 등 다양한 형식의 시 총 465수를 수록하고 있다.이반룡은 왕세정과 함께 고문사파의 후칠자로, 성당(盛唐) 시기의 시를 규범으로 삼는 의고주의적 문학을 추진했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 當時選중국어에는 두보, 이백, 왕유 등 성당 시인들의 작품이 많이 수록되었다. 반면, 중당(中唐) 및 만당(晩唐) 시기의 시는 상대적으로 적게 수록되었는데, 한유는 1수만 수록되었고, 두목이나 백거이의 작품은 아예 수록되지 않아 편향적인 작품 선정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주요 수록 시인과 작품 수는 다음과 같다.
작가 | 합계 | 오언고시 | 칠언고시 | 오언율시 | 오언배율 | 칠언율시 | 오언절구 | 칠언절구 |
---|---|---|---|---|---|---|---|---|
두보 | 51 | 2 | 8 | 12 | 7 | 15 | 2 | 5 |
이백 | 33 | 2 | 2 | 5 | 1 | 1 | 5 | 17 |
왕유 | 31 | 1 | 1 | 8 | 3 | 8 | 5 | 5 |
잠삼 | 28 | 1 | 3 | 3 | 1 | 6 | 2 | 12 |
왕창령 | 21 | 1 | 1 | 1 | 2 | 16 | ||
고적 | 18 | 1 | 2 | 5 | 2 | 2 | 2 | 4 |
이기 | 12 | 1 | 1 | 1 | 7 | 1 | 1 | |
송지문 | 9 | 2 | 2 | 4 | 1 | |||
심전기 | 9 | 2 | 6 | 1 | ||||
장설 | 9 | 3 | 1 | 3 | 1 | 1 | ||
위응물 | 8 | 1 | 1 | 4 | 2 | |||
두심언 | 8 | 4 | 1 | 3 | ||||
맹호연 | 7 | 2 | 1 | 3 | 1 | |||
가지 | 7 | 1 | 6 | |||||
유장경 | 7 | 1 | 2 | 2 | 2 | |||
진자앙 | 7 | 1 | 3 | 2 | 1 |
수록 시인 목록(가나다순):
- 가지
- 가지장
- 가도
- 가증
- 갈관
- 강위
- 고적
- 고황
- 곽진
- 구양첨
- 구위
- 권기
- 권덕여
- 기무잠
- 낙빈왕
- 노륜
- 노조린
- 노필
- 뇌즙
- 누영
- 단성식
- 대숙륜
- 도잠
- 두보
- 두심언
- 두추랑
- 등윤필
- 랑사원
- 맹교
- 맹호연
- 목상
- 무원형
- 문종
- 반숙
- 방간
- 배적
- 백거이
- 범등
- 변지화
- 사공서
- 서현
- 석교연
- 석령일
- 설도
- 설업
- 설영
- 소영사
- 소정
- 소진
- 소미도
- 손작
- 손창윤
- 송지문
- 송청
- 수공
- 승제람
- 시견오
- 신당서
- 심전기
- 심송
- 심송경
- 심아지
- 심운경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 심전기
4. 당시선(唐詩選)의 영향 및 평가
《당시선》은 이반룡 사후 명나라 말에 간행되었으며, 청나라 초까지 향교의 초학자들을 위한 교재로 널리 읽혔다. 그러나 중국 본토에서는 청나라 시대에 들어 고문사파 등 명나라 시대의 문학관이 비판받게 되면서 평가가 하락했다. 게다가 《사고전서총목제요》에서 이반룡의 편찬이 아니라 민간 출판업자에 의한 위작이라는 설이 제시되면서 더욱 외면받게 되었다.
이반룡은 북송 시가 우세한 가운데, 왕세정 등과 함께 고문사파의 후칠자로, 성당 시를 규범으로 하는 의고주의적인 문학을 추진했다. 《당시선》도 이러한 평가에 따라 시가 선택되었으며, 두보, 이백, 왕유 등 성당 시인의 시가 많이 채택된 반면, 한유가 1수, 두목이나 백거이는 채록되지 않는 등 중·만당의 시는 경시되었다.
이러한 시 선택의 편향성에도 불구하고, 《당시선》은 성당 시기의 시를 엿볼 수 있는 적절한 선집으로 오늘날까지 널리 알려져 있다. 소설가 후지사와 슈헤이는 한시를 즐겨 읽었는데, 만년에 "나와 같은 비전문가에게는 '당시선'과 같은 문고판 3권 정도의 작은 시집이 적당하다"고 말했다.
4. 1. 일본에서의 수용과 영향
일본에는 오래전부터 전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에서는 오규 소라이가 명나라의 고문사파를 중시하여 《당시선》을 높이 평가했기 때문에 대유행했고, 소라이의 제자 핫토리 난카쿠가 새롭게 교정을 가한 《당시선》은 판을 거듭하여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특히 에도 시대에는 《논어》나 《십팔사략》과 더불어 널리 읽혔다.오늘날까지도 일본에서는 당나라 시를 접하는 입문서로 《당시선》이 널리 읽히고 있다. 다만, 현재 '당시선'이라는 제목으로 출판되는 일본어 서적 중 상당수는 편자가 독자적으로 편찬한 '선시집'인 경우가 많다.
4. 2. 비판적 평가
중국 본토에서는 청 시대에 들어 명나라 시대의 문학관이 비판받으면서 《당시선》에 대한 평가가 하락했다. 게다가 《사고전서총목제요》에서 《당시선》이 이반룡의 편찬이 아니라 민간 출판업자에 의한 위작이라는 설이 제시되면서 더욱 외면받게 되었다.[1]《사고전서총목제요》의 위작설은 대략 다음과 같다.[1]
"'당시선'은 시장 상인이 당시 명성이 높았던 이반룡의 이름을 속여 이반룡이 편찬한 한시집 '고금시산'의 당나라 부분을 발췌하고, 이반룡의 유고 '선당시서'를 '당시선서'로 개작하여 서문으로 삼아 마치 이반룡이 '당시선'을 편찬한 것처럼 보이게 하였으며, 주석 또한 당여순의 '당시해'에서 도용한 것일 것이다. 서당에서 학습 교재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은 이상한 일이다."[1]
이 설이 일본에 전해지자 '당시선'에 대한 비판이 생겨났고, 위작설은 더욱 추궁되었다. "'당시선'에는 '고금시산'에 미수록된 한시도 들어있다. 따라서 '고금시산'의 발췌조차 아니다. 시의 선택도 의문이며, 가치가 낮은 서적이다"라고 여겨졌다. 야마모토 호쿠잔처럼 "가짜 당시"라고 말하는 사람조차 있었다고 한다. 이에 대해, 1932년에 히라노 히코지로가 "이우린 당시선은 과연 위서인가"에서 '사고전서총목제요'의 위작설을 비판하고, '당시선'은 이반룡의 진작이라고 주장하는 설을 발표했다. 그러나 현재에도 위작설이 유력하다.[1]
5. 당시선(唐詩選) 서문
이반룡(으로 추정되는 저자)은 서문에서 당시의 시풍과 주요 시인들의 작품 세계를 논하고 있다.[1]
진자앙은 자신의 오언고시를 전통적인 고시로 생각하고 있지만, 저자는 동의하지 않는다. 칠언고시에서는 두보만이 초당의 풍격을 유지하고 있지만, 격조를 깨뜨린 분방한 면이 있다고 평가한다. 이백도 분방하지만, 그의 시에는 종종 힘이 없어지는 부분이 나타나며, 때로는 늘어진 구절을 끼워넣기도 한다고 지적한다. 하지만 오언·칠언 절구에 있어서는 이백을 당대 삼백 년간의 제일인자로 꼽으며, 그의 명시는 생각을 집중하지 않았기에 떠오른 것이라고 평가한다.[1]
오언율시·오언배율에는 어느 시인에게나 대개 훌륭한 구절이 많다고 말한다. 칠언율시는 만들기 어렵지만, 왕유와 이기는 지묘의 경지에 어느 정도 도달했다고 평가한다. 반면 두보는 작품 수가 많지만, 웅건한 힘을 잃고 규격을 벗어난 경향을 보인다고 지적한다.[1]
저자는 시인들은 저마다 고생을 하지만, 하늘이 재능 있는 인물을 낳는 힘은 다함이 없다고 말한다. 그러므로 후세의 군자가 이 선집을 통해 당시를 다 알고 깨달아준다면, 당시의 모든 것은 여기에 다한 것이 될 것이라고 덧붙인다.[1]
6. 관련 인물
- 핫토리 난카쿠
- 모리 카이난
- 칸노 도우메이
- 요시카와 코지로
- 오가와 칸주
- 마에노 나오아키
- 이시카와 타다히사
- 마츠우라 토모히사
- 우에키 히사유키
- 마츠바라 아키라
참조
[1]
書籍
唐詩選
岩波文庫
[2]
人物
伝記不詳
[3]
人物
唐末の進士
[4]
人物
大暦14年の進士
[5]
人物
大暦年間の人
[6]
人物
洛陽出身、先天2年進士
[7]
人物
伝記不詳
[8]
人物
伝記不詳
[9]
人物
曲阿(江蘇省丹陽)の人物
[10]
人物
博州(山東省聊城)出身
[11]
人物
宋州(河南省商丘)出身
[12]
人物
崔恵童の弟
[13]
人物
宣宗の大中年間の進士
[14]
人物
伝記不詳
[15]
人物
文宗時代の詩人
[16]
人物
天宝の頃の人物
[17]
人物
姓名・事績ともに不詳
[18]
人物
景龍2年進士
[19]
人物
監察御史、平盧節度使
[20]
人物
揚州の人物
[21]
人物
潤州曲阿(江蘇省丹陽)の人物
[22]
人物
伝記不詳
[23]
人物
潤州曲阿(江蘇省丹陽)出身、開元13年進士
[24]
人物
鄭州滎陽出身
[25]
人物
関中出身、王維の親友
[26]
人物
伝記不詳
[27]
人物
潤州延陵(江蘇省丹陽)の人物
[28]
人物
張諤と共に岐王の屋敷に出入り
[29]
人物
臨漳(河南省)出身
[30]
人物
天保年間の進士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