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 임해 부도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쿄 임해 부도심은 1970년대부터 간척 사업을 통해 조성된 지역으로, 도쿄의 7번째 부도심으로 지정되었다. 다이바, 아오미, 아리아케키타, 아리아케미나미 등 4개 지구로 나뉘어 개발이 진행되었으며, 레인보우 브릿지, 유리카모메, 린카이선 등의 교통 시설과 다이버시티 도쿄, 도쿄 빅사이트, 아리아케 아레나 등의 상업, 문화 시설이 위치해 있다. 개발 과정에서 재정 문제, 열섬 현상 심화, 임시 시설 문제 등의 과제를 안고 있으며, 향후 스포츠 아레나, 복합 시설 건설 등 개발 계획이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쿄 임해 부도심 - 유리카모메 도쿄 임해 신교통 임해선
유리카모메 도쿄 임해 신교통 임해선은 신바시역과 도요스역을 잇는 14.7km의 무인 자동 안내 궤도 시스템 노선으로, 레인보우 브릿지를 통과하며 도쿄 도심과 오다이바의 경관을 감상할 수 있는 도쿄 임해 지역의 주요 교통 수단이다. - 도쿄 임해 부도심 - 아오미
아오미는 도쿄 만 매립지에 위치한 도쿄 임해 부도심의 일부로, 레저 시설, 오피스 빌딩, 공원 등이 혼재되어 있으며, 린카이선과 유리카모메가 지나가는 지역이다. - 일본의 계획도시 - 에비스 (도쿄도)
에비스는 도쿄도 시부야구 최남단에 위치한 지역으로, 삿포로 맥주의 에비스 맥주 생산과 함께 형성되었으며, 현재는 에비스 가든 플레이스와 여러 기업이 위치한 교통 요충지이다. - 일본의 계획도시 - 사이타마 신도심
사이타마 신도심은 도쿄 기능 분산 목적으로 조성된 업무핵도시로,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 코쿤 시티 등 주요 시설과 기업 고층 빌딩들이 들어서 있는 업무, 상업, 주거 기능이 조화된 재개발 지구이다.
도쿄 임해 부도심 | |
---|---|
개요 | |
공식 명칭 | 도쿄 임해 부도심 |
영어 명칭 | Tokyo Waterfront City |
별칭 | 레인보우 타운 |
면적 | 442 헥타르 |
위치 및 행정 구역 | |
국가 | 일본 |
광역 자치 단체 | 도쿄도 |
기초 자치 단체 | 미나토구, 고토구, 시나가와구 |
![]() | |
개발 주체 | |
주 개발 기관 | 도쿄도 |
2. 역사
에도 시대 말기 흑선 대책으로 만든 대포 다이바 건설이 이 지역 매립의 시작이었다. 1940년(쇼와 15년) 도쿄항 개항 이후 본격적인 돌제 건설과 매립이 시작되었다. 1978년 (쇼와 53년)에는 배의 과학관과 인접지에서 약 1년간 우주 과학 박람회(우주 박람회)가 개최되어 1,100만 명이 넘는 방문객을 모았다. 당시에는 일대가 모두 건설 예정지였으며, 건물은 배의 과학관과 해운 기업의 창고, 컨테이너 야적장, 목재 업자의 작업장과 사무소 정도밖에 없었다.
1979년 (쇼와 54년) 스즈키 슌이치 도지사 취임으로 린카이 부도심 개발 검토가 시작되어, 마이타운 구상 간담회, 1982년 (쇼와 57년) "도쿄도 장기 계획", 1985년 (쇼와 60년) "도쿄 텔레포트 구상", 1986년 (쇼와 61년) "제2차 도쿄도 장기 계획"이 발표되었다.
린카이 부도심 건설은 거품 경제 절정기인 1989년 (헤이세이 원년)부터 시작되었으며, 건설 기간은 3기[6] 27년이었다. 오피스 타운으로 개발될 예정이었기 때문에, 도쿄도는 기업 유치를 적극적으로 추진했지만, 거품 붕괴로 기업 진출 취소가 잇따르면서 개발 계획 재검토가 불가피해졌다.
1995년 (헤이세이 7년) 아오시마 유키오 도지사 취임 후, 1996년 (헤이세이 8년) 3월부터 예정되었던 "세계 도시 박람회"가 중지되었다. 그러나 아오시마 도지사는 개발 계획 자체는 멈추지 않았다.
1999년 (헤이세이 11년) 이시하라 신타로 도지사 취임으로 개발 사업이 추진되었다. 후지 텔레비전이 견인차 역할을 하며 지역 활성화 운동과 대규모 이벤트 회장 유치가 진행되었고, 2002년 (헤이세이 14년) 정령에 의한 도시 재생 긴급 정비 지역으로 지정되었다. 최근에는 어뮤즈먼트와 쇼핑 시설이 잇따라 개업하여 주말 관광지로 번성하고 있다.
2013년 (헤이세이 25년) 2020년 하계 올림픽 개최 도시가 도쿄로 결정되면서 (도쿄 2020 올림픽 경기 대회), 린카이 부도심은 올림픽 개최를 위한 준비에 들어갔다. 도쿄항에 대형 크루즈 선이 정박할 수 있는 "도쿄 국제 크루즈 터미널"이 정비되었고[8][9], 도쿄 2020 조직 위원회는 린카이 부도심 지역 전체를 "'''TOKYO WATERFRONT CITY''' (도쿄 워터프론트 시티)"로 명명했다.[10]
2. 1. 초기 개발
에도 시대 말기에 흑선 대책으로 만든 대포 다이바 건설이 이 지역 매립의 시작이었다. 1940년(쇼와 15년) 도쿄항 개항 이후 본격적인 돌제 건설과 매립이 시작되었다. 1979년(쇼와 54년)에 스즈키 슌이치가 도지사에 취임하면서 린카이 부도심 개발 검토가 시작되었다. 같은 해 마이타운 구상 간담회가 열렸고, 1982년(쇼와 57년) "도쿄도 장기 계획", 1985년(쇼와 60년) "도쿄 텔레포트 구상", 1986년(쇼와 61년) "제2차 도쿄도 장기 계획"이 발표되었다.린카이 부도심 건설은 거품 경제 절정기인 1989년(헤이세이 원년)부터 시작되었으며, 건설 기간은 3기[6] 27년이었다. 린카이 부도심은 오피스 타운으로 개발될 예정이었기 때문에, 도쿄도는 기업 유치를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그러나 거품 붕괴로 기업 진출 취소가 잇따르면서 개발 계획 재검토가 불가피해졌다.
1995년(헤이세이 7년), 아오시마 유키오가 도지사에 취임했다. 1996년(헤이세이 8년) 3월부터 린카이 부도심에서 "세계 도시 박람회"가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아오시마 도지사는 린카이 부도심 개발 재검토를 내걸고 세계 도시 박람회를 중지했다. 하지만 개발 계획 자체는 멈추지 않았다.
초기 개발과 관련된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사건 |
---|---|
1974년(쇼와 49년) | 배의 과학관 오픈, 13호지 공원(현재의 시오카제 공원) 개원 |
1979년(쇼와 54년) | 마이 타운 구상 간담회 개최 |
1981년(쇼와 56년) | 수도 고속도로 완간선 사용 개시 |
1982년(쇼와 57년) | "도쿄도 장기 계획" 발표 |
1983년(쇼와 58년) | 아리아케 테니스 숲 공원 개원 |
1985년(쇼와 60년) | "도쿄 텔레포트 구상" 발표 |
1986년(쇼와 61년) | "제2차 도쿄도 장기 계획" 발표 |
1987년(쇼와 62년) | 아리아케 콜로세움 오픈, "임해 부도심 개발 기본 구상" 결정 |
2. 2. 1기 (1989년 ~ 1995년)
1979년 스즈키 슌이치 도지사 취임과 함께 린카이 부도심 개발 검토가 시작되었다.[6] 1989년(헤이세이 원년) 거품 경제 절정기에 린카이 부도심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건설 기간은 3기 27년으로 예정되었다.[6] 도쿄도는 린카이 부도심을 오피스 타운으로 개발할 예정이었기에 기업 유치를 적극 추진했으나, 거품 붕괴로 기업 진출 취소가 잇따르면서 개발 계획 재검토가 불가피해졌다.1995년 아오시마 유키오가 도지사로 취임했다. 아오시마 도지사는 린카이 부도심 개발 재검토를 내걸고 1996년 예정되었던 세계 도시 박람회 개최를 중지했다. 그러나 개발 계획 자체는 중단되지 않았다.
- 1989년 (헤이세이 원년)
- * 개발 시작.
- 1993년 (헤이세이 5년)
- * 레인보우 브릿지 개통. 수도고속 11호 다이바선을 통해 도심과 직결.
- 1995년 (헤이세이 7년)
- * 아오시마 유키오 도쿄 도지사에 의해 세계 도시 박람회 중지 결정.
- * 도쿄도에 의해 도쿄의 7번째 부도심으로 지정.
- * 유리카모메 (신바시 - 아리아케 간) 개업.
- * 텔레콤 센터 준공.
- * 도쿄도 물의 과학관 개관.
- * 아리아케 스포츠 센터 개관.
- * 다이바 프론티어 빌딩 준공.
2. 3. 2기 (1996년 ~ 2005년)
1995년 (헤이세이 7년), 아오시마 유키오가 도지사에 취임했다.[6] 1996년 (헤이세이 8년) 3월부터 린카이 부도심의 대대적인 시범 사업과 함께 "세계 도시 박람회" 개최가 예정되어 있었으나,[6] 아오시마 도지사는 린카이 부도심 개발 재검토를 내걸고 세계 도시 박람회를 중지했다.[6] 그러나 개발 계획 자체는 중단되지 않았다.[6]1999년 (헤이세이 11년), 이시하라 신타로가 도지사에 취임하면서[7] 개발 사업 추진에 힘이 실렸다.[7] 이 무렵 건축물이 늘기 시작했고, 이전 스즈키 슌이치 도지사의 지원으로[7] 본사 건물을 이전한 후지 텔레비전이 견인차 역할을 하며, 지역 활성화 운동과 함께 대규모 이벤트 회장 유치가 진행되었다.[7] 2002년 (헤이세이 14년)에는 정령에 의한 도시 재생 긴급 정비 지역으로도 지정되었다.[7] 최근에는 오락 및 쇼핑 시설이 연이어 개업하여 주말의 가벼운 관광지로 번성하고 있다.[7]
1996년 (헤이세이 8년)부터 2005년 (헤이세이 17년)까지의 주요 시설 및 사건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사건 및 시설 |
---|---|
1996년 (헤이세이 8년) | |
1997년 (헤이세이 9년) | |
1998년 (헤이세이 10년) | |
1999년 (헤이세이 11년) | |
2000년 (헤이세이 12년) | |
2001년 (헤이세이 13년) | |
2002년 (헤이세이 14년) | |
2003년 (헤이세이 15년) | |
2005년 (헤이세이 17년) |
2. 4. 3기 (2006년 ~ 2015년)
2013년 (헤이세이 25년) 2020년 하계 올림픽 개최 도시가 도쿄로 결정되면서 (도쿄 2020 올림픽 경기 대회), 린카이 부도심은 올림픽 개최를 위한 준비에 들어갔다.[8][9] 도쿄항에는 대형 크루즈 선이 정박할 수 있는 "도쿄 국제 크루즈 터미널"이 정비되었다.[8][9] 도쿄 2020 조직 위원회는 대회 관련 시설이 설치된 린카이 부도심 지역 전체를 "'''TOKYO WATERFRONT CITY''' (도쿄 워터프론트 시티)"로 명명했다.[10] 또한, 대회 경기장이 설치된 아리아케 북쪽 지구는 "아리아케 어반 스포츠 파크" 등, "유산 지역"으로서 대회 종료 후 정비될 예정이다.[11][12][13]3기(2006년 ~ 2015년) 동안 린카이 부도심에서는 다음과 같은 주요 변화들이 있었다.
연도 | 주요 내용 |
---|---|
2006년 (헤이세이 18년) | |
2007년 (헤이세이 19년) | |
2008년 (헤이세이 20년) | |
2009년 (헤이세이 21년) | |
2010년 (헤이세이 22년) | |
2011년 (헤이세이 23년) | |
2012년 (헤이세이 24년) | |
2013년 (헤이세이 25년) |
2. 5. 4기 (2016년 ~ 현재)
2020년 하계 올림픽 개최 도시가 2013년 도쿄로 결정되면서 (도쿄 2020 올림픽 경기 대회) 린카이 부도심은 올림픽 개최를 위한 시설 정비가 이루어졌다. 도쿄항에는 대형 크루즈 선이 정박할 수 있는 도쿄 국제 크루즈 터미널이 정비되었고[8][9], 도쿄 2020 조직 위원회는 대회 관련 시설이 설치된 린카이 부도심 지역 전체를 '''TOKYO WATERFRONT CITY''' (도쿄 워터프론트 시티)로 명명했다[10]. 아리아케 어반 스포츠 파크 등 아리아케 북쪽 지구는 유산 지역으로서 대회 종료 후 정비될 예정이다[11][12][13].이후 린카이 부도심에서는 다음과 같은 변화가 있었다.
연도 | 사건 |
---|---|
2016년 (헤이세이 28년) | |
2017년 (헤이세이 29년) | UNIQLO CITY TOKYO 완공. |
2018년 (헤이세이 30년) | |
2019년 (헤이세이 31년/레이와 원년) | |
2020년 (레이와 2년) | |
2021년 (레이와 3년) | 토지 임대 계약 종료에 따라, 도쿄 오다이바 오에도 온천 이야기 폐관[55][56]. |
2022년 (레이와 4년) | |
2023년 (레이와 5년) | |
2024년 (레이와 6년) | 비너스 포트 (팔레트 타운 내) 부지를 활용하여 실내형 이머시브·테마파크 「이머시브 포트 도쿄」(임시 시설/운영: 칼사 그룹) 개업[15][16][17]. |
2025년 (레이와 7년) |
2. 6. 향후 개발 계획
2020년 도쿄 올림픽 개최를 기점으로 린카이 부도심은 다양한 시설 확충 및 재정비가 이루어지고 있다.연도 | 내용 |
---|---|
2016년 (헤이세이 28년) | |
2017년 (헤이세이 29년) | |
2018년 (헤이세이 30년) | |
2019년 (헤이세이 31년/레이와 원년) | |
2020년 (레이와 2년) | |
2021년 (레이와 3년) | |
2022년 (레이와 4년) | |
2023년 (레이와 5년) | |
2024년 (레이와 6년) | |
2025년 (레이와 7년) |
도쿄 임해 부도심은 주로 다음 4개 지구로 나뉘어 계획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3. 지역
3. 1. 다이바 지구 (미나토구 다이바 1·2초메)
오다이바
; 주요 시설
; 상업 시설
; 호텔
; 오피스 빌딩
; 공원
; 학교
; 주택 시설3. 2. 아오미 지구 (고토구 아오미 1·2초메 및 시나가와구 히가시야시오)
고토구 아오미 1·2초메 및 시나가와구 히가시야시오에 위치한 아오미 지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 복합 시설
; 상업 시설
; 오피스 빌딩
; 연구·연수 기관
; 공원
; 여객선 터미널
; 공공 시설
; 학교
; 테마파크
; 서킷장3. 3. 아리아케키타 지구 (고토구 아리아케 1·2초메)
; 복합 시설
; 상업 시설
; 호텔
; 업무 시설
; 공원・레거시 에리어
; 공공 시설
; 학교
; 주택 시설3. 4. 아리아케미나미 지구 (고토구 아리아케 3초메)
4. 교통
도쿄 임해 부도심은 대중교통으로 잘 연결되어 있다.
- '''철도'''
- 유리카모메 (신바시 - 도요스 간)
- 린카이선 (신키바 - 오사키 간, 사이쿄선과 상호 직결 운행)
- '''버스'''
- 도에이 버스
- km 모빌리티 서비스 (오다이바 레인보우 버스)
- '''도로'''
- 수도고속도로 만안선
- 수도고속도로 11호 다이바선 (레인보우 브리지)
- 수도고속도로 10호 하루미선
- '''수상 교통'''
- 도쿄 관광 기선 (히노데 부두 - 오다이바 해변공원 행, 직통 아사쿠사 행)
- 도쿄 수변 라인 (아사쿠사・오다이바 크루즈, 아사쿠사・카사이 크루즈, 카사이・오다이바 주유, 카사이・료고쿠 크루즈, 특별 유라부라 편)
4. 1. 철도
4. 2. 버스
- 도에이 버스
- km 모빌리티 서비스 「오다이바 레인보우 버스」
4. 3. 도로
- 수도고속도로 만안선
- 수도고속도로 11호 다이바선 (레인보우 브리지)
- 수도고속도로 10호 하루미선
4. 4. 수상 교통
5. 문제점
1995년 도지사에 아오시마 유키오가 취임하면서 세계 도시 박람회 개최를 중지하고 린카이 부도심 개발을 재검토했지만, 개발 계획 자체는 중단되지 않았다.[6] 1999년 이시하라 신타로가 도지사에 취임하면서 개발 사업을 추진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었다.
거품 경제 붕괴 이후 기업들의 진출 의욕이 저조했고, 다이바 지역은 교통편도 좋지 않아 매수자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도쿄도는 사업자 모집을 위해 10년 기한의 정기 차지권을 설정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도쿄도 소유 토지를 대여했다.
팔레트 타운(1999년 개업), 아니베르셀 도쿄 베이(2002년 개업), 오에도 온천 이야기(2003년 개업) 등은 이러한 정기 차지권이 설정된 임시 시설이었다. 초기 계약은 개업 후 10년 뒤 토지를 반환하는 것이었으나, 오에도 온천 이야기와 아니베르셀 도쿄 베이는 2021년 9월에 폐관했다.[55][56][32] 팔레트 타운은 재개발을 위해 2021년 12월부터 2022년 8월에 걸쳐 순차적으로 폐관했다.[33][34][35] 도쿄 텔레포트역 앞의 바미얀과 로손도 2023년에 폐점했다.[36]
2010년대 이후 BMW GROUP Tokyo Bay(2016년 개업), 도쿄 국제 전시장 동 신 전시동(2016년 가동) 등도 잠정 시설이다.[37] 팔레트 타운 부지에서는 토요타 그룹의 아레나가 개발될 예정이다.
5. 1. 재정 문제
린카이 부도심 건설은 거품 경제 절정기인 1989년부터 시작되었으며, 건설 기간은 3기[6] 27년이다. 오피스 타운으로 개발될 예정이었기 때문에, 도쿄도는 기업 유치를 적극적으로 추진했지만, 거품 붕괴로 기업 진출 취소가 잇따르면서 개발 계획 재검토가 불가피해졌다.1995년 도지사에 아오시마 유키오가 취임하면서 린카이 부도심 개발 재검토를 내걸고 세계 도시 박람회를 중지했지만, 개발 계획 자체는 멈추지 않았다.
도쿄 임해 부도심의 사업비는 도쿄도(東京都)만 2조 4,300억 엔이다.[57] 사업비를 충당하기 위해 약 5,200억 엔의 지방채를 발행했고,[58] 다른 특별 회계로부터의 차입도 이루어졌다. 제3섹터를 설립하여 지역 내 도시 기반의 조기 정비를 도모해 왔다.[59]
2001년, 도쿄도는 "임해 부도심 사업 회계"를 흑자인 "매립 사업 회계", "하네다 앞바다 매립 사업 회계"와 통합했다(3개 회계 통합).[58] 임해 부도심 사업 회계는 5,290억 엔의 누적 적자와 8,815억 엔의 빚을 안고 있었다. "도쿄도 임해 지역 개발 사업 회계"를 만들면서 장부상 적자와 빚의 일부가 상쇄되었지만, 5,185억 엔의 지방채와 이자 부담은 남았다.
2005년에는 도쿄 패션 타운, 타임 24가 파산하여 민사 재생법에 의한 재생 절차 개시를 신청[60], 이듬해 3월에 도쿄 빅사이트에 흡수 합병되어 민사 재생 절차가 종결되었다.[61]
2006년에는 도쿄 텔레포트 센터, 도쿄 임해 부도심 건설, 다케시바 지역 개발이 파산하여 민사 재생법에 의한 재생 절차를 신청했다.[62] 이들은 도쿄도의 거듭된 사업 지원에도 불구하고, 1,957억 엔의 누적 적자와 1,440억 엔의 채무 초과, 3,355억 엔의 빚을 안고 있었지만, 이듬해 4월에 도쿄 텔레포트 센터에 흡수 합병되어 민사 재생 절차가 종결되었다.[63]
2009년부터는 최초의 지방채 대량 상환기 (첫 번째 고비)를 맞이한다. 단년도로 1,000억 엔을 넘는 빚의 반환이 필요하다. 2002년의 "임해 부도심 개발 사업의 장기 수지 시산"에 따르면, "도유지 운용 수입 등의 수입 누적이 기반 정비 관련 경비나 도채 상환금 등의 지출 누적을 상회"하는 것은 2021년으로 예상된다.[64]
5. 2. 열섬 현상 심화
임해 부도심 개발 이전의 해당 지역은 매립지였으며, 대부분 빈터였다. 그곳에 많은 고층 건축물이 건축된 결과, 도쿄만에서 불어오는 해풍이 차단되어, 도쿄 도심부의 열섬 현상이 더욱 심화되었다는 비판이 종종 제기되고 있다.[65]이에 대해, 도쿄도 항만국에서는 임해 부도심의 남쪽, 더 나아가 도쿄만에 돌출된 중앙 방파제 내측 매립지에서의 정비가 예정되어 있는 바다의 숲 공원을 기점으로, 아리아케의 숲 테니스 공원을 경유하여, 황거나 요요기 공원에 이르는 "바람의 길" 정비를 통해, 열섬 현상의 완화를 계획하고 있다.[66]
5. 3. 임시 시설 문제와 개발 지연
1990년대 후반, 거품 경제 붕괴의 영향으로 기업들의 진출 의욕이 저조했고, 당시 교통편도 좋지 않았던 다이바 지역은 매수자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도쿄도는 사업자 모집을 위해 저렴한 가격으로 10년 기한의 정기 차지권을 설정하여 도쿄도 소유 토지를 대여했다.팔레트 타운(1999년 개업), 아니베르셀 도쿄 베이(2002년 개업), 오에도 온천 이야기(2003년 개업), 도쿄 텔레포트역 앞의 바미얀과 로손은 이러한 정기 차지권이 붙은 용지로 운영되는 임시 시설이었다. 초기 계약은 개업 후 10년 만에 토지를 반환하는 것이었으나, 오에도 온천 이야기와 아니베르셀 도쿄 베이는 2021년 9월에 폐관했다.[55][56][32] (아니베르셀 부지에는 TV 아사히가 「도쿄 드림 파크」를 개발). 팔레트 타운은 재개발 공사 착공을 위해 2021년 12월부터 2022년 8월에 걸쳐 순차적으로 폐관했다.[33][34][35] 바미얀과 로손도 2023년에 폐점했고, 부지는 다시 잠정 이용(소규모 물품 판매점, 3년~최대 5년)으로 토지 이용자 공모가 실시되었다.[36]
2010년대 이후 BMW GROUP Tokyo Bay(2016년 개업), 도쿄 국제 전시장 동 신 전시동(2016년 가동) 등도 잠정 시설이다.[37] 팔레트 타운 부지에서는 토요타 그룹의 아레나(MEGAWEB 부지 부분)가 개발될 예정이며, 모리 빌딩의 CITY CIRCUIT TOKYO BAY(MEGAWEB 부지 일부 활용, 2023년 11월 개업)와 이머시브 포트 도쿄(비너스 포트 건물 활용, 2024년 3월 개업)는 잠정 시설로 영업 중이다.[15][16]
; 팔레트 타운
팔레트 타운은 당초 계약에 따라 2010년 6월까지 관람차를 포함한 전체 시설을 폐쇄할 계획이었다.[38] 그러나 이용자와 도 간부들의 의문 제기[39]와 2008년 개발 사업자 공모를 통해 모리 빌딩과 토요타 자동차가 8140억엔에 부지를 매입했다.[40][41]
당시 계획은 팔레트 타운을 상업 시설, 호텔(컨벤션 일체형), 오피스, 자동차 전시 시설 등을 포함한 복합 빌딩(지상 23층・지하 2층)과 신형 관람차로 재건축하여 2013년 개업 예정이었다.[40][41] 그러나 경제 상황 변화로 2009년 11월 건설 계획이 연기되고, 기존 시설 영업이 연장되었다.[42][43] 2010년 1월, 도쿄도와 모리 빌딩, 토요타 자동차는 2016년 3월까지 신 시설 개업에 합의했지만,[44] 2018년에는 개업 예정이 2024년으로 연기되었다.[45]
이후 토요타 그룹의 도와 부동산(현: 토요타 부동산)이 2020년 3월 말 대형 복합 아레나 (수용 인원: 10,000명 규모) 건설 계획을 발표했다.[46] 같은 해 6월 30일, 토요타 자동차, 도와 부동산, 모리 빌딩, 도쿄도 4자 협의를 통해 2025년을 목표로 아레나 및 상업 시설 등을 개업한다고 일본 경제 신문이 보도했다.[47] MEGAWEB 부지에 건설되는 아레나 「TOYOTA ARENA TOKYO」[48]는 2023년 7월 착공, 2025년 6월경 준공, 같은 해 가을 개업 예정이다.[46][47][49][50] 스포츠, 모빌리티 등을 테마로 B 리그・알바르크 도쿄의 홈 아레나가 되는 외, 다양한 스포츠 및 각종 이벤트 개최도 예상된다. 아레나 외에 새로운 상업 시설도 계획 중이다[33][51] (계획명: TOKYO A-ARENA PROJECT/아오우미 ST 구획 프로젝트 [52]).
위 계획에 따라 팔레트 타운은 2022년 8월 말 모든 시설이 영업을 종료하고 폐관했다.[33][34][35]
팔레트 타운 부지에서는 모리 빌딩에 의한 유휴 시설 활용으로, 2023년 11월 개업한 서킷 「CITY CIRCUIT TOKYO BAY」(MEGAWEB 부지 부분 일부 활용, 운영은 톰스)와 2024년 3월 개업한 실내형 테마파크 「이머시브 포트 도쿄」(비너스 포트 건물 활용, 운영은 칼사 그룹)는 잠정 시설로 영업 중이며, 동사는 향후 재개발(개발 계획)도 계속 검토하고 있다.[15][16]
; 오에도 온천 이야기
오에도 온천 이야기는 당초 2013년 영업 종료 예정이었으나, 2015년까지 도쿄도와의 토지 임대차 계약이 연장되었다.[53] 이후 계약 기간 연장이 이루어져 2021년 말까지 계약이 지속될 전망이었다.[54] 그러나 2021년 6월 23일, 계약 최장 기간 20년 제한으로 재계약이 불가능하여 같은 해 말 계약 종료가 확정되었고, 해체 작업 기간을 고려하여 같은 해 9월 5일에 폐관한다고 발표되었다.[55][56]
참조
[1]
문서
東京都臨海地域開発規則第29条
[2]
뉴스
東京・臨海副都心の愛称 「レインボータウン」に決まる
交通新聞社
1997-01-24
[3]
문서
一般には13号埋立地エリアの北半分([[青海南ふ頭公園]]以北の港区台場一・二丁目及び江東区青海一・二丁目、品川区東八潮)を指して「お台場」の愛称が浸透している。
[4]
뉴스
東京テレポート駅の「テレポート」って何? 駅名に刻まれた臨海副都心の「先進」構想
https://trafficnews.[...]
乗りものニュース
2024-03-27
[5]
문서
現在は[[東京テレポートセンター]]や[[東京テレポート駅]]などの名称に残るのみである。由来については「[[東京テレポートセンター#名称の由来]]」を参照。
[6]
웹사이트
まちづくり推進計画(臨海副都心開発の基本方針)
https://www.kouwan.m[...]
2022-11-30
[7]
서적
メディアの支配者
講談社
[8]
뉴스
臨海副都心に大型クルーズ船の停泊拠点 五輪にらみ整備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3-09-25
[9]
뉴스
臨海副都心に新埠頭 東京五輪に合わせカジノも
http://news.tv-asahi[...]
テレ朝news
2013-09-26
[10]
웹사이트
東京2020大会における臨海副都心エリアでの象徴的な取組みについて
https://www.o-daiba.[...]
[11]
뉴스
都 有明北地区を“レガシーエリア”として整備
https://www.kentsu.c[...]
建通新聞
2018-06-22
[12]
웹사이트
有明レガシーエリアの検討
https://www.2020game[...]
東京都オリンピック・パラリンピック準備局
[13]
웹사이트
有明アーバンスポーツパーク(仮称)整備運営事業に係る実施方針の策定の見通しの公表について
https://www.metro.to[...]
東京都生活文化スポーツ局
2022-04-21
[14]
웹사이트
2019年6月3日(月) 23時 国道357号東京港トンネル 東行き(内陸側)が開通します!
https://www.ktr.mlit[...]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 川崎国道事務所
2019-05-12
[15]
간행물
お台場(青海地区)・パレットタウン跡地の暫定利用 「イマーシブ・テーマパーク」と「EVカートサーキット施設」が開業
https://www.mori.co.[...]
森ビル
2023-10-05
[16]
뉴스
ヴィーナスフォート跡地にイマーシブ・テーマパークとEVカートサーキット
https://www.watch.im[...]
Impress Watch
2024-03-27
[17]
웹사이트
【2024年3月1日(金)開業決定】テーマパークを超える、完全没入体験 世界初*のイマーシブ・テーマパーク 「イマーシブ・フォート東京」
https://prtimes.jp/m[...]
刀
2023-12-18
[18]
PDF
臨海副都心
https://www.kouwan.m[...]
[19]
뉴스
テレビ朝日が東京・臨海部に進出 有明の都有地取得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0-12-25
[20]
간행물
コナミグループの次世代研究開発拠点 「コナミクリエイティブフロント東京ベイ」の建設工事着工
https://www.konami.c[...]
コナミグループ
2022-12-27
[21]
뉴스
アニヴェルセル東京ベイ跡地!テレビ朝日によるエンタメ施設「東京ドリームパーク(臨海副都心有明南H区画)」の建設地の様子!隣にはコナミのビルも建設
https://bluestyle.li[...]
超高層マンション・超高層ビル
2022-07-02
[22]
뉴스
有明発・複合型エンタテインメント施設 「東京ドリームパーク」着工について
https://company.tv-a[...]
株式会社テレビ朝日
2024-03-28
[23]
뉴스
テレ朝「東京ドリームパーク」着工 26年春開業予定「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とテクノロジーが融合」
https://www.sponichi[...]
スポニチ Sponichi Annex
2024-03-28
[24]
웹사이트
「オリンピック・パラリンピックパーク」をレガシーに かけがえのない感動と記憶を、次世代へ:オリンピック・パラリンピックパーク名称の付与
https://www.metro.to[...]
東京都生活文化スポーツ局
2022-07-21
[25]
웹사이트
有明アーバンスポーツパーク整備運営事業実施方針の公表
https://www.metro.to[...]
東京都生活文化スポーツ局
2022-06-30
[26]
웹사이트
有明アーバンスポーツパーク 事業候補者を決定
https://www.metro.to[...]
2023-09-23
[27]
PDF
東京 2020 大会のレガシー継承、スポーツウェルネスの拠点へ
東京建物
2023-03-30
[28]
뉴스
豊洲のランニング施設解体・移設を同時進行、秋開業「有明アーバンスポーツパーク」
https://xtech.nikkei[...]
日経XTECH
2024-03-28
[29]
웹사이트
有明展示場(有明GYM-EX※)の開業について
https://www.bigsight[...]
東京ビッグサイト
2022-08-08
[30]
간행물
5月18日(木)「有明GYM-EX(ジメックス)」開業
https://www.bigsight[...]
株式会社東京ビッグサイト
2023-09-18
[31]
뉴스
都民向け開業は22〜23年、見えてきた五輪施設群の後工事計画
https://xtech.nikkei[...]
2021-11-26
[32]
웹사이트
アニヴェルセル 東京ベイ グランドフィナーレ
https://peraichi.com[...]
2021-01-20
[33]
뉴스
お台場パレットタウン営業終了へ 跡地に多目的アリーナ
https://www.asahi.co[...]
2021-08-09
[34]
뉴스
パレットタウン 12月から順次閉館/大型再開発を検討/森ビルら
https://www.kensetsu[...]
2021-08-09
[35]
간행물
パレットタウン 各館閉館/事業終了について
https://www.mori.co.[...]
臨海副都心パレットタウン運営協議会/森ビル/アムラックストヨタ/サノヤス・ライド/Zepp ホールネットワーク/森ビル・チームラボ有限責任事業組合
2021-08-09
[36]
웹사이트
東京臨海副都心:一般競争入札による都有地の暫定利用(概要版)
https://www.kouwan.m[...]
東京都港湾局
2023-07-20
[37]
웹사이트
臨海副都心
https://www.kouwan.m[...]
東京都港湾局
2020-09-20
[38]
뉴스
お台場 にぎわいどこへ パレットタウン2年後撤去
http://www.nikkei.co[...]
日経ネット
2008-08-01
[39]
뉴스
お台場激変!?パレットタウン撤去
日本経済新聞
2008-08-02
[40]
웹사이트
臨海副都心青海ST区画の進出事業予定者の決定について
http://www.metro.tok[...]
東京都港湾局
2008-10-08
[41]
뉴스
東京都:「パレットタウン」用地をトヨタと森ビルに売却-814億円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20-08-24
[42]
뉴스
ヴィーナスフォート、アウトレット開設 12月、23区で初
http://www.nikkei.co[...]
日経ネット
2009-11-06
[43]
뉴스
森ビル・トヨタ、お台場の大型商業施設の建設先送り
http://www.nikkei.co[...]
日経ネット
2009-11-06
[44]
뉴스
お台場新施設、16年3月までに開業 都、森ビル・トヨタと合意
http://www.nikkei.co[...]
日経ネット
2010-01-08
[45]
웹사이트
青海ST区画
東京都港湾局
[46]
간행물
大型複合アリーナ建設計画に関するお知らせ
https://www.toyotafu[...]
東和不動産株式会社
2022-05-01
[47]
뉴스
お台場にスポーツ・商業複合施設 トヨタ、25年開業へ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0-08-24
[48]
웹사이트
2025年秋開業予定、お台場エリア「青海」の新アリーナ施設名称を「TOYOTA ARENA TOKYO」に決定
https://global.toyot[...]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2024-03-28
[49]
웹사이트
「TOKYO A-ARENA PROJECT」始動 -東京・お台場エリアの「青海」に2025年秋 次世代アリーナ誕生-
https://global.toyot[...]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2022-09-13
[50]
웹사이트
TOKYO A-ARENA PROJECT
https://www.alvark-t[...]
[51]
웹사이트
「パレットタウン」を再開発する「青海ST区画プロジェクト(仮称)」 計画地の一部に最大約13,000席の「大型複合アリーナ」を建設!
http://building-pc.c[...]
2020-08-24
[52]
웹사이트
青海ST区画
https://www.kouwan.m[...]
東京都港湾局
2020-08-24
[53]
뉴스
お台場の大江戸温泉物語、運営3年延長で東京都と合意
http://www.nikkei.co[...]
日本経済新聞
2012-11-14
[54]
웹사이트
すしざんまい 豊洲の観光施設整備断念、社長涙「苦肉の判断」
http://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
2015-04-30
[55]
웹사이트
「東京お台場 大江戸温泉物語」 閉館のお知らせ
https://www.ooedoons[...]
大江戸温泉物語グループ
2021-06-23
[56]
뉴스
『東京お台場 大江戸温泉物語』9・5に営業終了&閉館 18年間の歴史に幕
https://www.oricon.c[...]
ORICON NEWS
2021-06-23
[57]
웹사이트
まちづくり推進計画(事業費)
https://www.kouwan.m[...]
2022-11-30
[58]
웹사이트
臨海地域開発財政基盤強化プラン
http://www.metro.tok[...]
東京都港湾局
2002-03-04
[59]
웹사이트
まちづくり推進計画(事業手法)
https://www.kouwan.m[...]
2022-11-30
[60]
웹사이트
東京ファッションタウン株式会社及び株式会社タイム二十四に係る民事再生手続の開始申立てについて
http://www.metro.tok[...]
東京都産業労働局
2005-03-31
[61]
웹사이트
東京ファッションタウン(株)及び(株)タイム二十四の(株)東京ビッグサイトへの吸収合併等について
http://www.metro.tok[...]
東京都産業労働局
2006-03-29
[62]
웹사이트
臨海三セクの民事再生手続の開始申立てについて
http://www.metro.tok[...]
東京都港湾局
2006-05-12
[63]
웹사이트
株式会社東京テレポートセンター、東京臨海副都心建設株式会社及び竹芝地域開発株式会社の再生手続終結について
http://www.metro.tok[...]
東京都港湾局
2007-04-16
[64]
웹사이트
臨海地域開発財政基盤強化プランの更なる取組み
http://www.metro.tok[...]
臨海地域開発の財政基盤強化策検討委員会
2006-03-01
[65]
논문
東京湾臨海部の都市計画の功罪
https://www.spf.org/[...]
海洋政策研究財団
2002-01-01
[66]
간행물
臨海副都心 TOKYO WATERFRONT CITY 日本語版
https://www.kouwan.m[...]
東京都港湾局
[67]
서적
VSデストロイアコンプリーション
2017-01-01
[68]
서적
VSデストロイアコンプリーション
2017-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