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흐나니 에르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흐나니 에르뇌는 헝가리 출신의 피아니스트, 지휘자, 작곡가였다. 1877년 포조니(오늘날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에서 태어나 부다페스트에서 음악을 공부했으며, 유럽과 미국에서 피아니스트로 데뷔했다. 그는 베를린 고등음악학교에서 가르쳤고, 부다페스트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음악 감독을 역임하며 헝가리 음악 발전에 기여했다. 도흐나니는 낭만주의 음악 어법을 따르는 개인적인 작곡 스타일을 가졌으며, 다양한 피아노곡, 실내악, 관현악, 무대 작품을 남겼다. 그는 또한 게오르그 솔티, 애니 피셔 등 뛰어난 제자들을 길러냈다. 1944년 미국으로 망명하여 플로리다 주립 대학교에서 가르치다 1960년 뉴욕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플로리다 주립 대학교 교수 - 제임스 M. 뷰캐넌
    제임스 M. 뷰캐넌은 공공선택이론의 선구자로 정치 과정에 경제학적 분석틀을 적용, 정치인과 유권자의 이기적 동기를 분석하고 헌법적 제약의 중요성을 강조한 미국 경제학자로, 경제적 및 정치적 의사결정 이론의 계약적 및 헌법적 기반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1986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 플로리다 주립 대학교 교수 - 해럴드 크로토
    해럴드 크로토는 1996년 풀러렌 발견으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영국의 화학자로, 분광학, 양자화학, 천체화학 분야에서 연구 활동을 펼쳤으며 과학 교육 및 대중화에 기여하고 사회적 책임을 강조한 무신론자이자 인본주의자이다.
  • 헝가리의 지휘자 - 코다이 졸탄
    코다이 졸탄은 헝가리의 작곡가이자 민속 음악학자, 음악 교육자로, 바르토크 벨라와 함께 헝가리 민요를 연구하여 민족 음악 발전에 기여했으며, 민속 음악 요소와 서유럽 음악 전통을 결합한 독창적인 작품과 혁신적인 음악 교육 방법인 '코다이 메소드'로 세계 음악 교육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헝가리의 지휘자 - 게오르그 솔티
    헝가리 출신 지휘자 게오르그 솔티는 바르토크와 코다이에게 사사 후 헝가리 국립 오페라에서 데뷔, 뮌헨과 프랑크푸르트 오페라 극장 음악감독, 코벤트 가든 로열 오페라 하우스 음악감독을 거쳐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를 세계 최정상급으로 발전시켰고, 데카 레코드와 협력하여 250개가 넘는 음반을 제작했으며, '월드 오케스트라 포어 피스'를 창설하는 등 평화를 위한 활동을 펼쳤다.
  • 헝가리의 클래식 작곡가 - 프란츠 리스트
    프란츠 리스트는 19세기 헝가리 출신의 "피아노의 왕"이라 불린 천재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로, 혁신적인 기법과 화려한 연주, 교향시 창시, 표제음악 발전, 바그너 지원, 종교 음악 작곡, 후진 양성 등 음악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헝가리의 클래식 작곡가 - 코다이 졸탄
    코다이 졸탄은 헝가리의 작곡가이자 민속 음악학자, 음악 교육자로, 바르토크 벨라와 함께 헝가리 민요를 연구하여 민족 음악 발전에 기여했으며, 민속 음악 요소와 서유럽 음악 전통을 결합한 독창적인 작품과 혁신적인 음악 교육 방법인 '코다이 메소드'로 세계 음악 교육에 큰 영향을 미쳤다.
도흐나니 에르뇌
기본 정보
에르뇌 도흐나니
Bain News Service, 출판사
본명도흐나니 에르뇌
다른 이름에른스트 폰 도흐나니
사망
、뉴욕 시
출생지
포조니
직업지휘자
피아니스트
음악 교사
학교 관리자
작곡가
활동 기간알 수 없음
이름
헝가리어Dohnányi Ernő
로마자 표기Dohányi Ernő
참고

2. 생애

도흐나니 에르뇌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이중 제국의 교육자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문은 1697년에 귀족 칭호와 문장을 받았다. 아버지 프리제스 도흐나니는 포조니(당시 독일어로는 프레스부르크)의 김나지움 수학 교사였으며, 첼로 연주자였다. 도흐나니는 아버지로부터 음악을 배우기 시작하여, 부다페스트 음악 아카데미에 진학하여 지역 교회 오르가니스트인 카를 포르스트너에게 피아노와 작곡을 배웠다. 1894년에는 톰만 이슈트반에게 피아노를, 한스 케슬러에게 작곡을 배웠다. 한스 케슬러는 레거의 사촌으로, 브람스를 숭배하여 그 작곡 기법을 가르쳤다.

1897년, 오이겐 달베르에게 레슨을 받은 후, 베를린에서 피아니스트로 데뷔하여 뛰어난 연주자로 인정받았다. 유럽 순회 연주에서도 성공을 거두었으며, 런던 퀸스 홀에서 한스 리히터 지휘로 베토벤피아노 협주곡 4번을 연주하며 데뷔했다. 그는 바르토크의 음악을 대중화하는 데 앞장섰다. 이후 미국을 방문하여 명성을 떨쳤고, 실내악 연주자로도 활약했다.

1905년부터 1915년까지 요제프 요아힘의 초청으로 베를린 고등 음악 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 그 후 부다페스트로 돌아와 많은 연주회를 열었다. 1919년 부다페스트 음악 아카데미 원장으로 임명되었지만, 정치적 압력으로 해임되었다. 이후 부다페스트 필하모니 관현악단의 음악 감독으로 취임하여 바르토크코다이 등 헝가리 작곡가들의 작품을 알리는 데 힘썼다. 1920년에는 베토벤의 피아노 곡 전곡을 연주했다.

1934년 다시 부다페스트 음악 아카데미 원장으로 취임하여 모차르트피아노 협주곡 전곡 연주를 달성했지만, 1941년 정치적 상황으로 사임하고, 부다페스트 필하모니 관현악단도 해산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 두 아들이 나치 독일과 싸웠지만, 도흐나니는 호르티 독재 하의 헝가리 왕국에 머물며 유대계 음악가들을 보호했다. 1944년 소련군이 부다페스트를 포위하자 무장 친위대의 호위를 받으며 아내와 함께 오스트리아, 아르헨티나, 멕시코를 거쳐 미국으로 망명했다. 1955년 미국 시민권을 취득했다.

플로리다주 탤러해시에 있는 도흐나니의 묘비


미국에서 콘서트 피아니스트로서의 경력을 되찾는 것은 어려웠지만, 플로리다주탤러해시의 플로리다 주립 대학교 음악과에서 10년 동안 가르치며 작곡 활동을 계속했다.

도흐나니는 1960년 뉴욕시에서 폐렴으로 사망하여 탤러해시의 로즈론 묘지에 묻혔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877-1897)

도흐나니 에르뇌는 헝가리 왕국 포조니(오늘날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의 유서 깊은 귀족 가문인 도흐나니 가문 출신으로 태어났다.[2] 그의 아버지 프리제스 도흐나니(1843-1909)는 수학 교수이자 아마추어 첼리스트였고, 어머니는 오틸리아 슬라베이였다.[2] 도흐나니는 아버지에게 처음 음악을 배웠고, 8살 때 지역 대성당의 오르간 연주자인 칼 포르스트너에게서 음악을 배웠다.

1894년, 도흐나니는 부다페스트로 이주하여 헝가리 왕립 국립 음악원에 입학했다.[3] 그곳에서 그는 프란츠 리스트가 가장 아끼는 제자였던 톰만 이슈트반에게 피아노를, 요하네스 브람스의 음악을 숭배했던 한스 폰 코슬러에게 작곡을 배웠다.[3] 이 두 스승은 도흐나니의 삶에 큰 영향을 주었는데, 리스트는 그의 피아노 연주에, 브람스는 그의 작곡에 영향을 미쳤다.

도흐나니의 첫 출판 작품인 피아노 5중주 C단조는 브람스의 인정을 받아 빈에서 연주되기도 했다.[3] 1897년 6월, 도흐나니는 음악원 졸업 시험을 치르고 작곡가와 피아니스트로서 높은 점수를 받으며 20세가 되기 전에 졸업했다.

2. 2. 초기 경력 (1897-1919)

도흐나니 에르뇌는 헝가리 왕국 포조니(오늘날 슬로바키아브라티슬라바)에서 유서 깊은 귀족 가문인 도흐나니 가문 출신으로 태어났다.[2] 그의 아버지는 수학 교수이자 아마추어 첼리스트였고, 도흐나니는 8살 때 지역 대성당의 오르간 연주자에게서 음악을 배웠다.[2] 1894년 부다페스트로 이주하여 헝가리 왕립 국립 음악원에 입학, 톰만 이슈트반에게 피아노를, 한스 폰 코슬러에게 작곡을 배웠다.[3]

톰만 이슈트반은 프란츠 리스트의 제자였고, 한스 폰 코슬러는 요하네스 브람스 음악의 숭배자였다. 이 두 가지 영향은 도흐나니의 삶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는데, 리스트는 그의 피아노 연주에, 브람스는 그의 작곡에 영향을 미쳤다. 도흐나니의 첫 출판 작품인 피아노 5중주 C단조는 브람스의 인정을 받아 빈에서 홍보되었다. 도흐나니는 1897년 6월, 학업을 마치지 않고 바로 최종 시험을 치러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로서 높은 점수를 받아 20세가 되기 전에 졸업했다.

오이겐 다알베르에게 레슨을 받은 후, 1897년 베를린에서 데뷔하여 뛰어난 연주자로 인정받았다. 빈과 유럽 투어에서도 성공을 거두었으며, 런던 퀸스 홀에서 열린 리히터 콘서트에서 베토벤의 피아노 협주곡 4번을 연주하여 데뷔했다. 그는 바르토크의 음악을 대중화하는 데 앞장섰다.

1898년 시즌 동안 도흐나니는 미국을 방문하여 세인트루이스 심포니와 함께 베토벤의 피아노 협주곡 4번을 연주하며 미국 데뷔를 했다. 그는 독주회와 협주곡뿐만 아니라 실내악에도 출연했다. 1901년 그는 첫 관현악 작품인 교향곡 1번을 완성했는데, 이 작품은 브람스 등 당대 작곡가들의 영향을 받았지만 상당한 기술적 기량을 보여주었다.[4]

에른스트 폰 도흐나니, 1900년경


도흐나니는 엘리자베스 "엘사" 쿤발트(피아니스트)와 결혼하여 1902년 아들 한스 폰 도흐나니를 낳았다. 한스는 독일 정치가 클라우스 폰 도흐나니와 지휘자 크리스토프 폰 도흐나니의 아버지였으며, 나치에 대항하는 독일 저항 운동의 지도자로 제2차 세계 대전 마지막 단계에서 처형되었다. 도흐나니 부부는 딸 그레타도 두었다.[5]

요제프 요아힘의 초청으로 1905년부터 1915년까지 베를린 고등음악학교에서 가르쳤다. 그곳에서 그는 ''피에레트의 베일''(The Veil of Pierrette)과 내림 라장조 모음곡을 썼다. 부다페스트로 돌아온 그는 10년 동안 많은 공연을 했는데, 특히 1920/1921년 베토벤 탄생 150주년 기념 공연이 두드러졌다.[6]

제1차 세계 대전 전, 도흐나니는 독일 여배우 엘사 갈라프레스와 사랑에 빠졌다.[7] 1917년 1월 도흐나니와 엘사 갈라프레스는 아들 매튜를 낳았다. 두 사람은 1919년 6월에 결혼했으며, 도흐나니는 엘사가 전남편과의 사이에서 낳은 아들 요하네스를 입양했다.[8]

1919년 헝가리 소비에트 공화국 기간 동안, 도흐나니는 부다페스트 아카데미의 원장으로 임명되었지만, 몇 달 후 임시 정부는 그를 후바이 제뇌로 교체했다. 1920년 호르티 미클로시가 헝가리 섭정이 되면서, 도흐나니는 부다페스트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음악 감독으로 임명되었고, 그 직책으로 버르토크 벨러, 코다이 졸탄, 바이너 레오 등 현대 헝가리 작곡가들의 음악을 홍보했다. 같은 해 그는 베토벤의 피아노 작품 전곡을 연주하고, 그의 작품 중 몇 곡을 녹음했다. 그는 안도르 폴데스, 게자 안다, 애니 피셔 등 많은 제자를 양성했으며, 1933년 제1회 국제 프란츠 리스트 피아노 콩쿠르를 조직했다.

2. 3. 부다페스트 시기 (1919-1944)

도흐나니는 1919년 짧았던 헝가리 소비에트 공화국 기간 동안 부다페스트 아카데미의 원장으로 임명되었지만, 몇 달 후 새 임시 정부는 그를 후바이 제뇌로 교체했다. 그 이유는 도흐나니가 페다고지와 작곡가 코다이 졸탄을 좌익 정치적 입장을 이유로 아카데미에서 해임하는 것을 거부했기 때문이다.[9] 1920년 호르티 미클로시가 헝가리 섭정이 되면서 도흐나니는 부다페스트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음악 감독으로 임명되었고, 그 직책으로 버르토크 벨러, 코다이 졸탄, 바이너 레오를 비롯한 여러 현대 헝가리 작곡가들의 음악을 홍보했다.[9] 같은 해, 그는 베토벤의 피아노 작품 전곡을 연주했고, 앰피코 플레이어 피아노 롤 장치로 자신의 작품 중 몇 곡을 녹음했다.[9] 그는 교사로서도 명성을 얻었는데, 그의 제자로는 안도르 폴데스, 미샤 레비츠키, 에르빈 니레지하지, 게자 안다, 애니 피셔, 호프 스콰이어, 헬렌 카밀 스탠리, 베르타 티데만-비에르스, 에드워드 킬레니, 벌린트 바조니, 게오르그 솔티, 이슈트반 칸토르, 조르주 치프라, 류도비트 라이테르 (지휘자이자 도흐나니의 대자)가 있다.[9] 1933년 그는 제1회 국제 프란츠 리스트 피아노 콩쿠르를 조직했다.[9]

1934년 도흐나니는 다시 부다페스트 음악 아카데미의 원장으로 임명되어 1943년까지 그 직책을 맡았다.[10] 1939년부터 그는 증가하는 나치의 영향에 맞서 싸우는 데 많은 시간을 쏟았다.[10] 1941년까지 그는 반유대주의 법안을 제출하는 대신 원장직에서 사임했다.[10] 그의 오케스트라인 부다페스트 필하모닉에서, 그는 1944년 3월 독일의 헝가리 침공 두 달 전까지 모든 유대인 단원을 유지했고, 그 후 앙상블을 해산했다.[10] 1944년 11월 그는 오스트리아로 이사했다.[11]

2. 4. 망명과 미국 시기 (1944-1960)

도흐나니는 1944년 11월 오스트리아로 이주했는데, 이 결정은 수년 동안 비판을 받았다.[11] 음악학자 제임스 A. 그리메스는 도흐나니의 전쟁 중 행동을 옹호하며, 유대인 동료와의 연대와 일부가 나치 점령 국가에서 탈출하도록 돕기 위한 그의 행동을 칭찬했다.[11]

1949년부터 도흐나니는 플로리다 주립 대학교 탤러해시 음악 학교에서 10년 동안 가르쳤다. 그는 그곳에서 파이 뮤 알파 심포니아 형제회의 엡실론 이오타 지부의 명예 회원이 되었다. 그와 그의 아내 일로나는 1955년에 미국 시민이 되었다.[12]

미국에서 그는 작곡을 계속했고 미국의 민속 음악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의 마지막 관현악 작품(1957년 교향곡 2번을 개정한 것을 제외하고)은 오하이오 대학교 150주년을 위해 쓰여졌고, "짚 속의 터키", "올드 스모키 산 꼭대기", "나는 가난한 순례자입니다"와 같은 민속 자료를 포함한 ''아메리카 랩소디''(1953)였다.[12]

그의 마지막 공개 공연은 1960년 1월 30일 플로리다 주립 대학교에서 열렸으며, 그의 박사 과정 학생인 에드워드 R. 테이든을 독주자로 베토벤의 피아노 협주곡 4번을 지휘했다. 공연 후 도흐나니는 에베레스트 레코드를 위해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와 짧은 피아노 곡을 녹음하기 위해 뉴욕시로 갔다.[12] 그는 이전에 1930년대 초 헝가리에서 모차르트 협주곡(17번, G장조, K. 453, 부다페스트 필하모닉을 연주하고 지휘)과 자신의 ''자장가 변주곡'', ''Ruralia hungarica''의 2악장(Gypsy Andante)과 78rpm으로 몇 곡의 솔로 작품(하지만 베토벤 소나타는 없음)을 녹음했다. 그는 또한 초창기 모노 LP에서 베토벤의 ''템페스트'' 소나타와 하이든의 F단조 변주곡을 포함한 다양한 다른 작품을 녹음했다.

도흐나니는 마지막 공연을 한 지 10일 후인 1960년 2월 9일 뉴욕시에서 폐렴으로 사망했으며, 10년 동안 대학에서 가르쳤던 플로리다 탤러해시에 묻혔다.[12]

2. 5. 가족

도흐나니 에르뇌는 헝가리 왕국 포조니(오늘날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의 오래된 귀족 가문인 도흐나니 가문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프리제스 도흐나니(1843-1909)였고, 어머니는 오틸리아 슬라베이였다.[2] 그는 아버지에게서 처음 음악을 배웠다.[2]

도흐나니는 엘리자베스 "엘사" 쿤발트(피아니스트)와 결혼하여 1902년에 아들 한스 폰 도흐나니를 낳았다.[5] 한스는 훗날 독일 정치가 클라우스 폰 도흐나니와 지휘자 크리스토프 폰 도흐나니의 아버지가 되었다.[5] 한스는 나치에 대항하는 독일 저항 운동의 지도자로 활동하다 제2차 세계 대전 마지막 단계에서 처형되었다.[5] 도흐나니 부부는 한스 외에도 딸 그레타를 두었다.[5]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기 전, 도흐나니는 독일 여배우이자 가수였던[7] 엘사 갈라프레스와 사랑에 빠졌다.[8] 1917년 1월, 도흐나니와 엘사 갈라프레스는 아들 매튜를 낳았다.[8] 두 사람은 1919년 6월에 결혼했으며, 도흐나니는 엘사가 전남편과의 사이에서 낳은 아들 요하네스도 입양했다.[8]

1937년, 도흐나니는 일로나 자카르를 만났다.[9] 그와 일로나는 부부로서 유럽 전역을 여행했지만, 미국에 정착할 때까지 법적으로 결혼하지는 않았다.[9]

도흐나니의 가족 관계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관계이름비고
아버지프리제스 도흐나니1843년 출생, 1909년 사망[2]
어머니오틸리아 슬라베이[2]
첫 번째 부인엘리자베스 "엘사" 쿤발트피아니스트[5]
장남한스 폰 도흐나니클라우스 폰 도흐나니와 크리스토프 폰 도흐나니의 아버지[5]
장녀그레타[5]
두 번째 부인엘사 갈라프레스독일 여배우, 가수[7], 브로니슬라프 후버만의 전 부인[15]
차남매튜[8]
의붓아들요하네스엘사 갈라프레스와 브로니슬라프 후버만의 아들[8]
세 번째 부인일로나 자카르[9]
손자클라우스 폰 도흐나니한스 폰 도흐나니의 장남, 함부르크 시장 역임
손자크리스토프 폰 도흐나니한스 폰 도흐나니의 차남, 세계적인 지휘자, 플로리다 주에서 수학
증손자유스투스 폰 도흐나니크리스토프 폰 도흐나니의 아들, 독일 배우


3. 주요 작품

도흐나니 에르뇌는 낭만주의 어법을 따르는 개인적이면서도 보수적인 작곡 스타일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헝가리 민속 음악의 요소를 사용했지만, 바르토크나 코다이처럼 민속 전통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지는 않았다. 그의 스타일은 브람스와 유사하게 전통적인 유럽-게르만적인 방식으로 평가받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브람스의 영향이 크지 않다는 의견도 있다.

그의 주요 작품으로는 현악 트리오를 위한 세레나데 다장조 Op. 10 (1902),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자장가 주제에 의한 변주곡'' Op. 25 (1914), 그리고 교향곡 2번 등이 있다. 특히 교향곡 2번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작곡한 주요 작품으로, 3악장이 침울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도흐나니는 헝가리의 다양한 민족 음악 요소를 받아들였지만, 코다이나 바르토크와 같은 애국적인 작곡가로 여겨지지는 않았다. 그의 창작 자세는 유럽클래식 음악 전통, 특히 브람스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일례로 《연주회용 연습곡집》 작품 28은 쇼팽연습곡보다는 브람스카프리치오나 인테르메초를 모범으로 삼고 있다.

또한, 그는 슈베르트, 브람스, 요한 슈트라우스 2세 등의 작품을 피아노 독주용으로 편곡하기도 했다.

3. 1. 무대 작품

제목설명작품 번호초연 연도
피에레트의 베일 (Der Schleier der Pierrette)3막의 마임극 (Arthur Schnitzler|아르투어 슈니츨러de의 대본)Op. 181909
시모나 이모 (Tante Simona)1막의 희극 오페라 (Victor Heindl|빅토르 하인들de의 대본)Op. 201912
보이보드의 탑 (A vajda tornya)3막의 낭만 오페라 (Viktor Lányi|빅토르 라니hu의 대본, Hans Heinz Ewers|한스 하인츠 에버스de와 Marc Henry|마르크 앙리프랑스어의 원작)Op. 301922
테너 (A tenor)3막의 희극 오페라 (Ernő Góth|에르뇌 고트de와 Carl Sternheim|카를 슈테른하임de의 대본, 카를 슈테른하임의 《뷔르거 쉬펠》(Bürger Schippel)을 바탕으로 함)Op. 341927


3. 2. 합창


  • 세게드 미사(Szeged Mass), Op. 35 (1930)
  • 칸투스 비타에(Cantus vitae), 교향 칸타타, Op. 38 (1941)
  • 스타바트 마테르(Stabat mater), Op. 46 (1953)

3. 3. 관현악


  • 피아노 협주곡 1번 E단조, 작품 5 (1898) (오프닝 테마는 브람스의 교향곡 1번에서 영감을 받음)[13]
  • 첼로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콘체르트슈튀크》 D장조, 작품 12 (1904)[13]
  •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자장가 주제에 의한 변주곡》, 작품 25 (1914)[13]
  • 바이올린 협주곡 1번 D단조, 작품 27 (1915)[13]
  • 피아노 협주곡 2번 B단조, 작품 42 (1947)[13]
  • 바이올린 협주곡 2번 C단조, 작품 43 (1950)[13]
  • 하프와 실내 관현악을 위한 콘체르티노, 작품 45 (1952)[13]

3. 4. 실내악

제목연도비고
현악 4중주 라단조1893미발표, 영국 도서관 필사본[1]
현악 6중주 내림 나장조18931896년 개정, 1898년 개정 및 초연, 2006년 헝가로톤 녹음[2]
현악 4중주를 위한 미뉴에트1894헝가리 국립 세체니 도서관 필사본[3]
피아노 4중주 올림 바단조1894
피아노 5중주 1번 다단조, Op. 11895
현악 4중주 1번 가장조, Op. 71899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내림 나단조, Op. 81899
현악 3중주를 위한 세레나데 다장조, Op. 101902
현악 4중주 2번 내림 라장조, Op. 151906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올림 다단조, Op. 211912
피아노 5중주 2번 내림 마단조, Op. 261914
현악 4중주 3번 가단조, Op. 331926
피아노, 현악기 및 관악기를 위한 6중주 다장조, Op. 371935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아리아, Op. 48, No. 11958
독주 플루트를 위한 파사칼리아, Op. 48, No. 21959


3. 5. 피아노

도흐나니 에르뇌는 개인적이면서도 보수적인 작곡 스타일을 가진 낭만주의 작곡가였다. 그는 헝가리 민속 음악의 요소를 사용했지만, 바르토크나 코다이처럼 민속 전통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지는 않았다. 그의 스타일은 브람스와 유사하게 전통적인 유럽-게르만적인 방식으로 평가받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브람스의 영향이 크지 않다는 의견도 있다.

그의 주요 피아노 작품은 다음과 같다.

제목연도
4개의 소품, 작품 21897년 (1905년 출판)
4 hands를 위한 F# 단조의 왈츠, 작품 31897년
E[mma].G[ruber]의 주제에 의한 변주곡과 푸가, 작품 41897년
가보트와 뮈제트 (WoO)1898년
앨범블라트 (WoO)1899년
E♭ 단조의 파사칼리아, 작품 61899년
4개의 랩소디, 작품 111903년
겨울 춤, 작품 131905년
모음곡 형식의 유머레스크, 작품 171907년
3개의 소품, 작품 231912년
왼손을 위한 D 단조 푸가 (WoO)1913년
A 단조 모음곡 "옛 스타일의 모음곡", 작품 241913년
6개의 콘서트 에튀드, 작품 281916년
헝가리 민요에 의한 변주곡, 작품 291917년
헝가리 크리스마스 노래에 의한 파스토랄 (WoO)1920년
왈츠 노블, 피아노를 위한 콘서트 편곡 (슈베르트, D. 969에 의거) (WoO)1920년
루랄리아 헝가리카, 작품 32a1923년
델리브의 "코펠리아"에서 가져온 피아노를 위한 왈츠 (WoO)1925년
6개의 소품, 작품 411945년
왈츠 모음곡,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작품 39a1945년
절름발이 왈츠, 피아노 독주를 위한, 작품 39b1947년
3개의 특이한 소품, 작품 441951년
고급 피아니스트를 위한 12개의 짧은 연습곡1951년



도흐나니의 작풍은 헝가리의 다양한 민족 음악 요소를 받아들였지만, 코다이나 바르토크와 같은 애국적인 작곡가로 여겨지지는 않았다. 그의 창작 자세는 유럽클래식 음악 전통, 특히 브람스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의 《연주회용 연습곡집》 작품 28은 쇼팽연습곡보다는 브람스카프리치오나 인테르메초를 모범으로 삼고 있다.

그는 슈베르트, 브람스, 요한 슈트라우스 2세 등의 작품을 피아노 독주용으로 편곡하기도 했다.

4. 교육 활동

도흐나니 에르뇌는 프란츠 리스트의 제자였던 톰만 이슈트반에게 피아노를, 요하네스 브람스의 음악을 숭배했던 한스 폰 코슬러에게 작곡을 배우며 음악적 소양을 길렀다.[3] 리스트는 그의 피아노 연주에, 브람스는 그의 작곡에 큰 영향을 주었다.[3]

1905년부터 1915년까지 베를린 고등음악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 양성에 힘썼다.[6] 부다페스트로 돌아온 후에는 부다페스트 음악 아카데미 원장을 역임하며 헝가리 음악 교육 발전에 기여했다.[6] 1920년에는 호르티 미클로시에 의해 부다페스트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음악 감독으로 임명되어, 버르토크 벨러, 코다이 졸탄을 비롯한 여러 현대 헝가리 작곡가들의 음악을 널리 알렸다.[10]

1933년에는 제1회 국제 프란츠 리스트 피아노 콩쿠르를 조직하여 젊은 음악가들을 발굴하고 지원했다.[10] 1934년 부다페스트 음악 아카데미 원장으로 재임명되어 1943년까지 활동했다.[10] 1941년에는 반유대주의 법안에 반대하여 원장직을 사임했다.[10]

1949년부터는 플로리다 주립 대학교 음악 학교에서 10년간 교수로 재직하며 미국 음악 교육에도 기여했다.[12] 그의 제자로는 게오르그 솔티, 애니 피셔, 게자 안다 등 세계적인 음악가들이 있다.[16] 그는 학생들에게 개방적인 태도로 가르쳤으며, 특히 뛰어난 재능을 가진 학생들에게는 모범을 통해 가르치는 방식을 선호했다.[16] 또한, 피아노 테크닉에 관한 교본을 저술하여 여러 나라에서 번역 출판되었다.[17]

5. 평가 및 유산

도흐나니 에르뇌는 뛰어난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 교육자로서 20세기 초 헝가리 음악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음악은 프란츠 리스트요하네스 브람스의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브람스는 그의 초기 작품을 인정하고 홍보하기도 했다.[3] 그는 베토벤의 피아노 작품 해석으로도 명성을 얻었으며, 버르토크 벨러코다이 졸탄 등 현대 헝가리 작곡가들의 음악을 알리는 데에도 앞장섰다.[4]

게오르그 솔티, 게자 안다, 애니 피셔 등은 도흐나니의 가르침을 받은 대표적인 제자들이다.[6] 솔티는 도흐나니에 대해 "훌륭한 피아니스트였다", "그가 연주하는 베토벤은 매우 자유로우면서도 프레이징과 양식에 대한 예리한 감각으로 넘쳐났다"라고 평했다.[16] 하지만 연습 부족으로 연주 중 곡을 잊어버리는 경우도 종종 있었으며, 그럴 때는 즉흥 연주로 넘겼다고 한다.[16] 또한 도흐나니는 제자들에게 "하루 3시간 연습으로 한 곡을 마스터하지 못한다면, 아무리 해도 소용없다"라며 과도한 연습을 경계했다.[15][16]

제2차 세계 대전 전후 나치 협력 의혹을 받기도 했지만, 최근 연구들은 그가 나치즘에 반대했으며 유대인 음악가들을 보호하려 노력했음을 보여준다.[9][11] 1990년 헝가리 정부는 그에게 사후 최고 시민 훈장인 코슈트 상을 수여했다.[11]

플로리다 주립 대학교 음악 대학의 워렌 D. 앨런 음악 도서관에는 도흐나니의 논문, 악보 및 관련 자료가 방대하게 보관되어 있다.[11] 2002년에는 플로리다 주립 대학교에서 국제 에르뇌 폰 도흐나니 페스티벌이 열리기도 했다.

참조

[1] 웹사이트 Dohnányi Yearbook 2002 – Abstracts http://www.zti.hu/do[...] 2013-01-17
[2] 웹사이트 Ernő (Ernst) von Dohnányi https://www.geni.com[...] 2022-09-01
[3] 문서
[4] 웹사이트 Full review https://www.gramopho[...] 2020-06-21
[5] 웹사이트 Greta mention https://blog.sharmus[...] 2020-06-21
[6] 웹사이트 Table in Ilona Kovács: Dohnányi Ernő zongora művészeti pályája (The piano career of Ernst Dohnányi). Part I http://zti.hu/mza-do[...] 2020-06-21
[7] 웹사이트 Elza Galafres: Huberman.info http://www.huberman.[...] 2013-01-04
[8] 문서
[9] 서적 Österreichische Musik-Zeitung
[10] 문서
[11] 웹사이트 Dohnányi and the Hungarian Holocaust http://www.jamesagry[...] 2017-10-14
[12] 문서
[13] 간행물 Ernő Dohnányi's Revision of His Symphony in E major, Op. 40 Academiae Scientiarum Hungarica
[14] 웹사이트 Dohnányi, Ernő https://www.emb.hu/e[...] www.emb.hu 2021-01-18
[15] 문서
[16] 문서
[17] 웹사이트 Dohnányi Ernő: Essential Finger Exercises https://www.kotta.in[...] www.kotta.info 2021-01-18
[18] 문서
[19] 웹인용 Archived copy http://www.zti.hu/do[...] 2013-0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